KR100849521B1 - 준설토 선별 분리기 - Google Patents

준설토 선별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521B1
KR100849521B1 KR1020070106662A KR20070106662A KR100849521B1 KR 100849521 B1 KR100849521 B1 KR 100849521B1 KR 1020070106662 A KR1020070106662 A KR 1020070106662A KR 20070106662 A KR20070106662 A KR 20070106662A KR 100849521 B1 KR100849521 B1 KR 100849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ludge
water
water tank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희
Original Assignee
김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희 filed Critical 김덕희
Priority to KR102007010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03B5/04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8Screw dis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토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한편 크기가 적은 모래나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은 탈수시킨 후 적치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준설토의 선별과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구에서 준설된 준설토를 스크린 진동기로 투입하여 0.3mm 이상의 것과 0.3mm 이하의 것을 구분하도록 한 후 0.3mm 이상의 것은 복토용으로 적치되게 하고, 0.3mm 이하의 것은 스크류 압축기에서 탈수가 이루어진 후 적치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준설토 중에서 0.3mm 이상의 것은 복토용으로 재활용하고, 0.3mm 이하의 것은 처리가 용이하도록 함수율을 낮추는 것이다.
준설, 탈수, 슬러지, 분리

Description

준설토 선별 분리기{Sorting separator of dredge soils}
본 발명은 준설토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한편 크기가 적은 모래나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은 탈수시킨 후 적치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준설토의 선별과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하수구에는 하수의 흐름에 따라 슬러지 및 토사 등이 퇴적하여 쌓이게 되고, 이러한 하수구의 퇴적물은 주기적으로 준설하여 하수구의 공간을 확보하여야만 우기시 하수구의 범람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수구의 준설은 준설차량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나, 준설차량은 준설토를 싣고 별도의 장소에 준설토를 적치시킨 후 준설토의 수분이 제거되면 이를 매립하여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준설토를 적치한 후 수분이 자연적으로 제거되기 위해서는 일정시간이 경과되어야 하므로, 이 기간 동안 악취가 발생함은 적치된 상태에서 비가 올 경우 준설토가 다시 쓸려 내려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준설토 중에서 일부는 선별하여 복토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준설토를 전부 매립하여 처리하는 것은 자원을 낭비함은 물론 환경친화적인 처리를 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하수구 준설시 발생된 준설토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복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0.3mm 이상의 것과 0.3mm 이하의 것으로 구분한 후 0.3mm 이상의 모래와 자갈은 복토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0.3mm 이하의 슬러지나 모래는 수분을 제거한 후 적치장으로 이동시켜 탈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준설토의 일부를 복토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슬러지의 탈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구에서 준설된 준설토를 스크린 진동기로 투입하여 0.3mm 이상의 것과 0.3mm 이하의 것을 구분하도록 한 후 0.3mm 이상의 것은 복토용으로 적치되게 하고, 0.3mm 이하의 것은 스크류 압축기에서 탈수가 이루어진 후 적치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준설토 중에서 0.3mm 이상의 것은 복토용으로 재활용하고, 0.3mm 이하의 것은 처리가 용이하도록 함수율을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구 준설시 발생되는 준설토 중에서 0.3mm 이상의 것은 복토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0.3mm 이하의 것은 탈수가 이루어진 후 적치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함수율을 낮추어 용이하게 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구에서 준설된 준설토를 선별하고 탈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준설토는 스크린 진동기에 올려져 일정크기로 선별되게 되고, 상기 스크린 진동기에서 선별된 일정크기 이상의 모래나 자갈은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적치장으로 이동하여 복토용으로 사용되게 하고, 스크린 진동기에서 선별된 일정크기 이하의 모래나 슬러지는 물이 채워진 물탱크에 세척되게 하고, 물탱크의 모래나 슬러지는 스크류 압축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나 스크류 압축기에서 탈수가 이루어진 후 배출되게 하고, 상기 스크류 압축기에서 탈수된 슬러지나 모래는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적치장으로 이동하여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크린 진동기는 준설토가 올려진 선별망을 진동모터로 진동을 가하여 선별망의 망크기에 따른 선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선별망의 망크기 이상의 모래나 자갈은 선별망의 상부를 타고 배출되고, 선별망의 망크기 이하의 모래나 슬러지는 선별망의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스크린 진동기의 선별망에는 상부에서 물을 분사시킬 경우 선별망에 놓여진 준설토의 선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물탱크는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스크린 진동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나 모래를 세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물탱크에 채워진 물은 외부로 배출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재사용하게 한다.
본 발명의 스크류 압축기는 물탱크에 넣어진 슬러지나 모래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물기를 제거한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 관의 내부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를 타고 모래나 슬러지가 배출되게 하되 상기 이송스크류의 중간에 탈수콘을 설치하여 모래나 슬러지가 탈수콘을 통과하면서 탈수콘과 이송관 사이에서 탈수가 이루진 후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탈수콘은 콘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모래나 슬러지가 배출되는 쪽으로 직경이 크게 하고, 상기 탈수콘과 이송관 사이는 간격을 좁게 하여 모래나 슬러지가 탈수콘과 이송관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콘베이어벨트는 선별되고 탈수된 자갈이나 모래 및 슬러지 등을 적치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준설토(1)를 선별망(11)에 올린 후 선별망(11)을 진동모터(12)로 진동을 가하여 준설토(1)를 선별하는 스크린 진동기(10)와; 상기 스크린 진동기(10)에서 선별된 일정크기 이상의 자갈이나 모래(2)를 적치장으로 이동시키는 콘베이어벨트(40)와; 상기 스크린 진동기(10)에서 선별된 일정크기 이하의 모래나 슬러지(3)를 물로 세척하는 물탱크(20)와; 상기 물탱크(20)의 모래나 슬러지(3)를 탈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 압축기(30)와; 상기 스크류 압축기(30)에서 탈수된 모래나 슬러지(3)를 적치장으로 이동시키는 콘베이어벨트(50)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특히 스크린 진동기(10)와 물탱크(20)및 스크류 압축기(30)를 필수 구성요소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진동기(10)는 경사진 형태로 일정한 망목을 갖는 선별망(11)을 진동모터(12)로 진동시켜 선별망(11)에 올려진 준설토(1)가 선별망(11)을 타고 낮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선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즉 스크린 진동기(10)는 경사지게 설치된 선별망(11)을 진동모터(12)로 진동을 가하여 선별망(11)의 망 크기에 따른 선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선별망(11)의 망 크기 이상의 자갈이나 모래(2)는 선별망(11)의 상부를 타고 경사를 따라 배출되고, 선별망(11)의 망 크기 이하의 모래나 슬러지(3)는 선별망(11)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진동기(10)에 설치된 선별망(11)은 0.3mm 정도의 망목을 갖고, 0.3mm 이상의 자갈이나 모래(2)는 선별망(11)을 타고 배출되게 하고, 0.3mm 이하의 모래나 슬러지(3)는 선별망(11)을 통과하여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물탱크(20)는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스크린 진동기(10)로부터 배출되는 모래나 슬러지(3)를 세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물탱크(20)에 채워진 물은 상측에 형성된 배출구(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로 배출된 오염된 물은 깨끗이 걸러준 후 물탱크(20)로 재투입되어 재활용되게 하며, 상기 물탱크(20)의 하부에는 슬러지 등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22)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스크류 압축기(30)는 물탱크(20)에 넣어진 모래나 슬러지(3)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물기를 제거한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물탱크(20)에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관(31)의 내부에 이송스크류(32)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스크류(32)는 모터(33)의 회전력을 체인(34)으로 전달받는 이송스크류(32)를 타고 배출구(31a)로 배출되게 하며, 상기 이송스크류(32)의 중간에 콘 형태의 탈수콘(35)을 설치하여 모래나 슬러지(3)가 탈수콘(35)과 이송관(31) 사이를 통과하면 서 탈수가 이루진 후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탈수콘(35)은 콘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모래나 슬러지(3)가 탈수콘(35)과 이송관(31)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진 후 이송스크류(32)를 타고 배출구(31a)를 통하여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진동기(10)에서 선별된 자갈이나 모래(2)는 콘베이어벨트(40)를 타고 적치장으로 이동되고, 스크류 압축기(30)에서 탈수된 모래나 슬러지(3)는 콘베이어벨트(50)를 타고 적치장으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선별망(11)의 상측으로 준설토(1)를 펼쳐주는 롤러(15)를 설치하는 동시에 선별망(11)을 향하여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16)을 설치함으로써 선별망(11)의 상부에 놓인 준설토(1)가 용이하게 선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물탱크(20)에 채워진 물을 깨끗이 걸러준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물탱크(20)에 채워진 물이 파이프(61)를 통하여 펌프(62)로 가압된 후 침전탱크(60)로 유입되게 하되 펌프(62)로 가압된 물은 침전탱크(60)의 측면에서 접선 방향을 향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침전탱크(60)의 내부에는 물이 회오리 형태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침전탱크(60)의 중앙에는 배출 파이프(63)를 설치하여 내부의 물을 펌프(64)로 가압한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침전탱크(60)에 설치된 파이프(61)의 위치보다 배출 파이프(63)의 위치를 낮게 하여, 침전탱크(60)에서 회오리 형태로 돌면서 침전물이 가라앉아 깨끗해진 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수구에서 준설된 준설토(1)를 스크린 진동기(10)에 올려 놓고 스크린 진동기(10)를 작동시키면 선별망(11)을 통하여 0.3mm 이상의 자갈이나 모래(2)는 콘베이어벨트(40)를 통하여 배출되고, 0.3mm 이하의 모래나 슬러지(3)는 물탱크(20)로 투입되게 된다.
여기서 선별망(11)의 상부에 롤러(15)를 설치하여 준설토(1)를 고르게 펼쳐주는 한편 노즐(16)을 통하여 물을 분사시킬 경우 보다 빠르게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탱크(20)로 배출된 모래나 슬러지(3)는 물로 세척되는 동시에 스크류 압축기(30)의 이송스크류(32)를 타고 경사지게 배출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이송스크류(32)는 경사지게 설치되어 모래나 슬러지(3)를 이동시키면서 세척과 함께 물기가 제거되게 하며, 이송스크류(32)를 타고 이동하는 모래나 슬러지(3)는 탈수콘(35)에 의해 이송관(31)과 탈수콘(35)과의 틈새에서 탈수가 이루어진 후 다시 이송스크류(32)를 타고 배출구(31a)로 배출되게 된다.
즉 물탱크(20)의 모래나 슬러지(3)는 이송스크류(32)를 타고 배출이 이루어지되 탈수콘(35)에 의해 모래나 슬러지(3)에 포함되어 있는 물기가 탈수되게 함으로써 콘베이어벨트(50)를 타고 적치장으로 이동된 모래나 슬러지(3)는 함수량이 낮아 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물탱크(20)의 물은 파이프(61)를 통하여 침전탱크(60)에 회오리 형태로 분사되게 되고, 침전탱크(60)에서 이물질이 침전된 물은 배출 파이프(63)를 통하여 다시 노즐(16)로 분사되게 함으로써 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류 압축기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린 진동기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 순환 구조를 보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침전탱크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크린 진동기 11 : 선별망
16 : 노즐 20 : 물탱크
30 : 스크류 압축기 31 : 이송관
32 : 이송 스크류 35 : 탈수콘
40,50 : 콘베이어벨트 60 : 침전탱크

Claims (3)

  1. 준설토(1)를 선별망(11)에 올린 후 선별망(11)을 진동모터(12)로 진동을 가하여 선별망(11)의 망 크기에 따라 준설토(1)를 선별하되 상기 선별망(11)의 상측에는 준설토(1)를 펼쳐주는 롤러(15)를 설치하는 한편 준설토(1)에 물을 뿌리는 노즐(16)을 설치한 스크린 진동기(10)와;
    상기 스크린 진동기(10)의 선별망(11)을 통과한 모래나 슬러지(3)를 물로 세척하는 물탱크(20)와;
    상기 물탱크(20)에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관(31)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32)는 모터(33)의 회전력을 체인(34)으로 전달받아 물탱크(20)에서 세척된 모래나 슬러지(3)가 배출구(31a)로 배출되게 하되 상기 이송스크류(32)의 중간에 이송관(31)과 일정간격을 갖는 콘 형태의 탈수콘(35)을 설치하여 모래나 슬러지(3)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 압축기(3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선별 분리기.
  2. 삭제
  3. 삭제
KR1020070106662A 2007-10-23 2007-10-23 준설토 선별 분리기 KR10084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662A KR100849521B1 (ko) 2007-10-23 2007-10-23 준설토 선별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662A KR100849521B1 (ko) 2007-10-23 2007-10-23 준설토 선별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521B1 true KR100849521B1 (ko) 2008-07-31

Family

ID=3982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662A KR100849521B1 (ko) 2007-10-23 2007-10-23 준설토 선별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5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564B1 (ko) 2009-11-27 2010-02-16 (주)경북환경개발 하수도 준설물 처리시스템
KR101185493B1 (ko) 2010-09-28 2012-09-24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침사 분리 종합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2008124B1 (ko) 2019-01-24 2019-10-21 현대건설주식회사 매립재 활용을 위한 준설토 선별시스템 및 그 선별시스템을 이용한 매립재 활용방법
KR20200094457A (ko) * 2019-01-30 2020-08-07 백도선 친환경 준설토 처리 시스템
CN112024578A (zh) * 2020-09-07 2020-12-04 解明 一种生活垃圾分类压缩转运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476A (ko) * 1998-09-11 2000-04-15 김양수 모래 세척기
JP2002204976A (ja) * 2001-01-09 2002-07-23 Takeo Suzuki スラッジ粉砕機
JP2003090195A (ja) 2001-07-12 2003-03-28 Hanshin Kensetsu Co Ltd 泥濃式または泥土圧式推進工法における排泥処理設備
KR100404922B1 (en) 2002-11-13 2003-11-12 Daemyung Crusher Co Ltd Device for recycling sand by using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KR200406313Y1 (ko) 2005-11-04 2006-01-20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20060103773A (ko) * 2005-03-28 2006-10-04 주식회사 광진기계 골재용 세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476A (ko) * 1998-09-11 2000-04-15 김양수 모래 세척기
JP2002204976A (ja) * 2001-01-09 2002-07-23 Takeo Suzuki スラッジ粉砕機
JP2003090195A (ja) 2001-07-12 2003-03-28 Hanshin Kensetsu Co Ltd 泥濃式または泥土圧式推進工法における排泥処理設備
KR100404922B1 (en) 2002-11-13 2003-11-12 Daemyung Crusher Co Ltd Device for recycling sand by using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KR20060103773A (ko) * 2005-03-28 2006-10-04 주식회사 광진기계 골재용 세척기
KR200406313Y1 (ko) 2005-11-04 2006-01-20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564B1 (ko) 2009-11-27 2010-02-16 (주)경북환경개발 하수도 준설물 처리시스템
KR101185493B1 (ko) 2010-09-28 2012-09-24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침사 분리 종합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2008124B1 (ko) 2019-01-24 2019-10-21 현대건설주식회사 매립재 활용을 위한 준설토 선별시스템 및 그 선별시스템을 이용한 매립재 활용방법
KR20200094457A (ko) * 2019-01-30 2020-08-07 백도선 친환경 준설토 처리 시스템
KR102170275B1 (ko) * 2019-01-30 2020-10-26 백도선 친환경 준설토 처리 시스템
CN112024578A (zh) * 2020-09-07 2020-12-04 解明 一种生活垃圾分类压缩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863B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49521B1 (ko) 준설토 선별 분리기
CN108855587A (zh)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KR100942564B1 (ko) 하수도 준설물 처리시스템
KR101658523B1 (ko) 오염토양 선별 및 세척처리 정화시스템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200422043Y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KR101070255B1 (ko)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11034B1 (ko) 준설토 처리 장치
KR101804978B1 (ko) 협잡물이 포함된 침사물을 처리하기 위한 일체형 침사물 분리방법 및 일체형 침사물 분리장치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KR100453932B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101943483B1 (ko) 준설토 처리장치
CN108409073A (zh) 通沟污泥处理方法
KR101048065B1 (ko)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2351916B1 (ko)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토양정화시스템
KR100400197B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616525B1 (ko) 골재 세척장치
KR20130090851A (ko) 침사물 감량화 방법 및 침사물 감량화 처리 시스템
KR200430295Y1 (ko) 세척수 회수가 가능한 여과사 골재 선별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CN111672619A (zh) 一种混凝土废料快速处理回收***
KR200346465Y1 (ko)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JP4557604B2 (ja) 沈砂分級機
KR200142646Y1 (ko) 침사 선별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