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865B1 - 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865B1
KR100847865B1 KR1020050100716A KR20050100716A KR100847865B1 KR 100847865 B1 KR100847865 B1 KR 100847865B1 KR 1020050100716 A KR1020050100716 A KR 1020050100716A KR 20050100716 A KR20050100716 A KR 20050100716A KR 100847865 B1 KR100847865 B1 KR 100847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lay
base station
relay devic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4612A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앤아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앤아이엔 filed Critical (주) 케이앤아이엔
Priority to KR102005010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865B1/en
Publication of KR2007004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5Selecting relay station antenna mode, e.g. selecting omnidirectional -, directional beams, selecting polariz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의 각 휴대폰과 제 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고, 특정 기지국과 제 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는 중계 장치로서, 상기 제 1 안테나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전치 증폭하는 제 1 프리 증폭부의 출력을 주 증폭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 1 메인 증폭부; 상기 제 1 메인 증폭부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 1 이득 조절부;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전치 증폭하는 제 2 프리 증폭부의 출력을 주 증폭하여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 2 메인 증폭부; 상기 제 2 메인 증폭부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 2 이득 조절부; 상기 제 2 메인 증폭부의 출력에서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 상기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상기 제 2 이득 조절부에 제공할 이득으로부터 중계 장치와 단말기간에 중계 커버리지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중계 커버리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구비된 제 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계산된 무선 중계 커버리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 정보, 제1, 제2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 확보 여부, 중계 장치의 셧다운 상태, AGC 수행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lay device for wirelessly connecting each cell phone to a neighbor through a first antenna and a wireless connection through a specific base station and a second antenna, and outputting a first preamplifier for preamplifying a signal from the first antenna. A first main amplifier for main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antenna; A first gain adjuster adjusting a gain of the first main amplifier; A second main amplifier for main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second preamplifier for preamplifying the signal flowing from the second antenna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sig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A second gain adjuster adjusting a gain of the second main amplifier; A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or for detecting a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ntenna at an output of the second main amplifier; And calculating the relay coverage between the relay device and the terminal from the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ion unit and the gain to be provided to the second gain control unit. A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to display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alculated wireless relay coverage an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whether to secure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 shutdown state of the relay device, and an AGC performance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It includes.

Description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 및 방법{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 및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망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relay apparatus and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계 장치와 리모콘의 상세 블록도,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relay apparatus and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계 장치의 상세 블록도에서 수행되는 중계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by step an embodiment of a relay method performed in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relay apparatus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휴대폰 100, 300 : 제 1, 제 2 안테나50: mobile phone 100, 300: first and second antenna

200 : 중계 장치200: relay device

210, 222 : 제 1, 제 2 프리 증폭부210, 222: first and second preamplifiers

212, 224 : 제 1, 제 2 이득 조절부 214, 412 : 제 1, 제 2 제어부212 and 224: first and second gain control units 214 and 412: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216, 226 : 제 1, 제 2 메인 증폭부 218 : 발진 신호 감지부216 and 226: first and second main amplifiers 218: oscillation signal detectors

220, 416 : 제 1, 제 2 표시부 228 :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220, 416: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228: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ion unit

230, 414 : 제 1, 제 2 무선 송수신부 410 : 키 입력부230, 414: first and second wireless transceiver 410: key input unit

400 : 리모콘 500 : 기지국400: remote control 500: base st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계 장치가 서비스하는 무선 중계 커버리지를 디스플레이(display)하여, 일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무선 중계 커버리지를 보면서 휴대폰과 무선 접속하는 안테나와 기지국과 무선 접속하는 안테나 간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이 확보되도록 중계 장치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and a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display a wireless relay coverage serviced by a relay device, and an antenna and a base station wirelessly connected to a mobile phone while a general user views the displayed wireless relay cover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allowing a relay apparatus to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so as to secure isolation between antennas to be wirelessly connected.

중계기(repeater)란 차폐된 공간이나 소규모 블록화된 음영 지역(지하 상가, 터널, 지하 주차장 등)에 기지국을 신설하거나 중계 차량을 운용하기 부적합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비이다. 차폐 공간이나 음영 지역에 상존하는 신호 중에서 중계하고자 하는 미약한 신호를 추출, 저잡음으로 증폭한 후 안테나를 통해 재방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불감 지역에서 이동 전화 및 무선 호출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간이 중계기, 무선 호출 중계기라고도 한다.A repeater is a device that is mainly used in an unsuitable place to install a base station or to operate a relay vehicle in a shielded space or a small blocked area (underground mall, tunnel, underground parking lot, etc.). It is possible to receive mobile phone and wireless call in dead zone by extracting weak signal to be relayed in a shielded space or shadowed area and amplifying it with low noise and then radiating it again through an antenna. Also known as a simple repeater or a wireless call repeater.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3-0023982호 '지하종합무선중계시스템'에서는 지상의 안테나로 수신된 전파를 전치증폭한 후 주파수별로 분리처리하고 누설동축케이블 및 종단저항 안테나를 통해 지하공간에 복사하는 것에 있어서, 전치증폭된 신호 중 AM주파수대역신호를 증폭 및 송출하기 위한 AM 송출수단; 전치증폭된 나머지 신호를 FM 신호와 페이저신호로 분리하는 안테나분배수단; 분리된 FM 주파수대역신호를 증폭 및 송출하기 위한 FM 송출수단; 분리된 페이저대역신호를 증폭 및 송출하기 위한 페이저송출수단; 지상송수신안테나; 상기 지상송수신안테나 및 제1분배수단에 결합되어 양방향 셀룰라주파수대역신호를 증폭 및 송출하기 위한 셀룰라송출수단; 상기 FM송출수단 및 하나이상의 페이저 송출수단의 송출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하기 위한 공용기를 포함하고 이 공용기의 출력을 AM주파수대역신호, 셀룰라주파수대역신호와 함께 통합하는 제1분배수단; 및 상기 통합된 신호를 누설동축케이블 및 종단저항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지하공간에 복사하고 지하공간에서 셀룰라신호를 수신하는 제2분배수단을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3-0023982 'Underground integrated wireless relay system' pre-amplifies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antenna on the ground, separates it by frequency, and radiates it into the underground space through the leakage coaxial cable and the terminating resistor antenna. An AM transmitting means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an AM frequency band signal among preamplified signals; An antenna distribu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preamplified remaining signal into an FM signal and a pager signal; FM transmitting means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the separated FM frequency band signal; Pager sending means for amplifying and sending the separated pager band signal; Ground transceiver antenna; Cellular transmission means coupled to the terrestrial transmission antenna and first distribution means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a bidirectional cellular frequency band signal; First dividing means comprising a common unit for impedance matching the outgoing signals of the FM transmitting unit and at least one pager transmitting unit and integrating the output of the common unit with an AM frequency band signal and a cellular frequency band signal; And a second distribution means for copying the integrated signal into a plurality of underground spaces through a leaky coaxial cable and a terminating resistor antenna and receiving cellular signals in the underground space.

그러나, 이 지하종합무선중계시스템은 지하에서 무선중계를 제공할뿐, 무선중계 커버리지(coverage)를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그 지하종합무선중계시스템 주변의 셀룰라폰 사용자는 지하종합무선중계시스템을 막연히 이용만 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이와 같은 지하종합무선중계시스템의 무선중계 커버리지를 일반 사용자가 알 수 없으므로 그 지하종합무선중계시스템의 설치 역시 전문 기사만이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지하종합무선중계시스템을 설치하는 전문 기사를 고용한 사업주는 그 전문 기사의 고용에 따른 급여지출 등에 따른 비용을 셀룰라폰 사용자에게 고스란히 부담시키게 되는 것이다.However, this underground wireless relay system only provides wireless relay underground, and does not display wireless relay coverage, so cell phone users around the underground wireless relay system use the underground wireless relay system only vaguely. Have no choice but to. In addition, since the general users do not know the wireless relay coverage of the underground integrated wireless relay system, the installation of the underground integrated wireless relay system is also a hassle that only an expert should do. In addition, the employer employing a professional engineer to install the integrated underground wireless relay system will burden the cell phone users with the costs associated with the payment of salaries due to the employment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먼저,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보면서 중계 장치에 연결 된 도우너 안테나의 방향을 기지국으로 정확히 향하도록 해서 중계 장치로 가장 강한 양질의 기지국 신호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중계 장치의 무선 중계 커버리지를 넓힌다. 이후, 무선 중계 커버리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일반 사용자가 무선 중계 커버리지를 보면서 휴대폰과 무선 접속하는 안테나와 기지국과 무선 접속하는 안테나 간의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도록 중계 장치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first, by display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to the user to look at it, the direction of the donor antenna connected to the relay device to the base station to the most accurate to the relay device The wireless relay coverage of the relay device can be extended by allowing strong high quality base station signals to be introduced. Thereafter, the wireless relay coverage is displayed so that a general user can install the relay device at an appropriate position so that an isolation between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cellular phone and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nd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is secured while the general user views the wireless relay coverage. And to provide a metho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주변의 각 휴대폰과 제 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고, 특정 기지국과 제 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는 중계 장치로서, 상기 제 1 안테나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전치 증폭하는 제 1 프리 증폭부의 출력을 주 증폭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 1 메인 증폭부; 상기 제 1 메인 증폭부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 1 이득 조절부;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전치 증폭하는 제 2 프리 증폭부의 출력을 주 증폭하여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 2 메인 증폭부; 상기 제 2 메인 증폭부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 2 이득 조절부; 상기 제 2 메인 증폭부의 출력에서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 상기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상기 제 2 이득 조절부에 제공할 이득으로부터 중계 장치와 단말기간에 중계 커버리지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중계 커버리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제 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계산된 무선 중계 커버리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 정보, 제1, 제2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 확보 여부, 중계 장치의 셧다운 상태, AGC 수행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lay apparatus for wirelessly connecting each cell phone in the vicinity through a first antenna and wirelessly connecting a specific base station and a second antenna, the relay apparatus pre-amplifying a signal flowing from the first antenna. A first main amplifie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first preamplifier through the second antenna; A first gain adjuster adjusting a gain of the first main amplifier; A second main amplifier for main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second preamplifier for preamplifying the signal flowing from the second antenna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sig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A second gain adjuster adjusting a gain of the second main amplifier; A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or for detecting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ntenna at an output of the second main amplifier; The calculated relay coverage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ar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relay coverage between the relay device and the terminal from the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or and the gain to be provided to the second gain control unit. A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to display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alculated wireless relay coverage an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whether to secure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 shutdown state of the relay device, and an AGC performance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제어부에 접속되고 외부의 리모콘과 송수신하는 제 1 무선 송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모콘은 사용자가 특정 명령을 키 입력하도록 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의 명령에 따라 구비된 제 2 무선 송수신부; 상기 제 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제어부로 상기 중계 장치의 제어 명령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로부터 상기 중계 장치의 정보를 받아 구비된 제 2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 및 상기 중계 장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중계 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중계 장치의 정보는 상기 중계 커버리지 정보 및 상기 특정 기지국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한다.The relay apparatu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wireless transcei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l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with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key in a specific command;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key input unit; A second control unit which provides a control command of the relay device to the first control unit throug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relay device from the first control unit and displays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relay device. The control command includes an on / off command of the relay device. The relay device information includes the relay coverag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메인 증폭부의 출력을 감시하고 있다가 상기 제 1, 제 2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메인 증폭부의 출력에서 발진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 제공해서 상기 제 1 제어부가 상기 제 1, 제 2 이득 조절부에 제공할 이득을 줄이도록 하여 AGC 기능을 제공하는 발진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relay apparatu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output of the first main amplifier and detects an oscillation signal at the output of the first main amplifier if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s not secured. The oscillation signal detection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ovide the AGC function by providing the first control unit so that the first control unit reduces the gain to b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gain control unit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중계 장치에 고정 설치되며 지향성이 없는 옴니 안테나를 사용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는 도우너 안테나로 지향성이 있는 야기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를 사용하고 상기 특정 기지국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안테나는 상기 중계 장치와 긴 전선을 통해 유연하게 접속되어, 사용자가 상기 중계 장치를 특정 위치에 특정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커버리지를 확인하면서 설치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first antenna is fixed to the relay device and uses an omni-directional omni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uses a yagi antenna or patch antenna directed to the donor antenna and faces the specific base station. While being fixedly installed, the second antenna is flexibly connected to the relay device through a long wire, allowing the user to install the relay device while checking the displayed coverage in a particular direction at a specific location.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주변의 각 휴대폰과 제 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고, 특정 기지국과 제 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는 중계 장치에서 무선통신망의 중계 방법으로서, (a) 중계 장치의 제1 메인 증폭부의 출력신호에서 발진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발진 신호 감지부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발진 신호 감지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의 판단 결과, 발진이 발생하여 상기 제 1, 제 2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이 불량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를 줄여, 작아진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 정보를 제1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제어부의 판단결과, 발진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제 1, 제 2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이 양호할 경우 이에 대응해서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를 늘려, 커진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 정보를 제1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laying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relay apparatus for wirelessly connecting each cell phone in the vicinity through a first antenna and wirelessly connecting a specific base station and a second antenna,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an oscillation occurs in an output signal of the main amplifier through an oscillation signal detector; (b) If the oscillation occurs and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s poo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signal detecting unit, the coverage of the radio relay is reduced accordingly. Displaying the coverage information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c) when oscillation does not occur and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s satisfactor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controller, the coverage of the increased radio relay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verage of the radio relay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의 중계 방법은, 리모콘의 제2 제어부로부터 제2,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 중계 장치의 제1 제어부로 무선 중계 커버리지 정보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무선 중계 장치의 제1 제어부로부터 상기 리모콘의 제2 제어부로 무선 중계 커버리지 정보를 제공하여 제2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lay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request for wireless relay coverag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of the remote control unit to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relay device through the second and first wireless transceiver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wireless relay coverage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unit from the first control un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 및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망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로, 휴대폰(50), 제 1, 제 2 안테나(100, 300), 중계 장치(200), 리모콘(400), 및 기지국(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안테나(100)로는 지향성이 없는 옴니 안테나 등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제 2 안테나(300)는 도우너 안테나로, 지향성이 있는 야기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가 주로 사용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relay apparatus and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mobile phone 50,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0 and 300, and the relay device 200 are shown in FIG. , A remote controller 400, and a base station 500. As the first antenna 100, omni antennas having no directivity are mainly used. The second antenna 300 is a donor antenna, and mainly a directional Yagi antenna or a patch antenna is used.

동 도면에 있어서, 중계 장치(200)는 주변의 각 휴대폰(50)과 제 1 안테나 (100)를 통해 무선 접속하고, 기지국(500)과 제 2 안테나(300)를 통해 무선 접속하여, 주변의 각 휴대폰(50)과 기지국(500) 간을 중계하는데, 이의 상세한 동작설명은 하기에서 기술하기로 한다.In the figure, the relay device 200 is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cell phone 50 and the first antenna 100 in the vicinity, and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the base station 500 and the second antenna 300, It relays between each mobile phone 50 and the base station 500, a detaile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사용자는 리모콘(400)을 사용하여 중계 장치(200)를 제어하고, 중계 장치(200)로부터 정보를 받을 수 있는데, 이의 상세한 동작설명은 하기에서 기술하기로 한다.The user may control the relay apparatus 20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400 and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relay apparatus 2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계 장치(200)와 리모콘(400)의 상세 블록도로, 중계 장치(200)는 제 1, 제 2 프리 증폭부(210, 222), 제 1, 제 2 이득 조절부(212, 224), 제 1 제어부(214), 제 1, 제 2 메인 증폭부(216, 226), 발진 신호 감지부(218), 제 1 표시부(220),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228), 및 제 1 무선 송수신부(230)로 구성된다. 리모콘(400)은 키 입력부(410), 제 2 제어부(412), 제 2 무선 송수신부(414), 및 제 2 표시부(416)로 구성된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relay device 200 and the remote controller 400 shown in FIG. 1. The relay device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preamplifiers 210 and 222 and first and second gain adjustments. Unit 212 and 224, first control unit 214, first and second main amplifiers 216 and 226, oscillation signal detector 218, first display unit 220,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or 228 , And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230. The remote controller 400 includes a key input unit 410, a second control unit 412, a second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14, and a second display unit 416.

동 도면에 있어서, 중계 장치(200) 내의 제 1 프리 증폭부(210)는 제 1 안테나(100)로부터 유입되는 휴대폰(50)의 출력 신호를 전치 증폭해서 제 1 이득 조절부(212)를 통해 제 1 메인 증폭부(216)로 제공한다.In the same figure, the first preamplifier 210 in the relay device 200 pre-amplifies the output signal of the mobile phone 50 introduced from the first antenna 100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gain adjuster 212. The first main amplifier 216 is provided.

제 1 메인 증폭부(216)는 제 1 프리 증폭부(210)의 출력을 제 1 이득 조절부(212)의 이득에 따라 주 증폭하여 제 2 안테나(300)를 통해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The first main amplifier 216 main amplifies the output of the first preamplifier 210 according to the gain of the first gain adjuster 212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base station 500 through the second antenna 300. .

제 2 프리 증폭부(222)는 제 2 안테나(300)로부터 유입되는 기지국(500)의 출력 신호를 전치 증폭해서 제 2 이득 조절부(224)를 통해 제 2 메인 증폭부(226) 로 제공한다.The second preamplifier 222 preamplifies the output signal of the base station 500 introduced from the second antenna 300 and provides the preamplified signal to the second main amplifier 226 through the second gain adjuster 224. .

제 2 메인 증폭부(226)는 제 2 프리 증폭부(222)의 출력을 제 2 이득 조절부(224)의 이득에 따라 주 증폭하여 제 1 안테나(100)를 통해 휴대폰(50)으로 전송한다.The second main amplifier 226 main amplifies the output of the second preamplifier 222 according to the gain of the second gain adjuster 224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mobile phone 50 through the first antenna 100. .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228)는 제 2 메인 증폭부(226)의 출력에서 제 2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기지국(500)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제 1 제어부(214)로 제공한다.The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or 228 detects the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500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ntenna at the output of the second main amplifier 226 and provides it to the first controller 214.

제 1 제어부(214)는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228)로부터 제공되는 기지국(500)의 신호 세기와 제 1 이득 조절부(212)에 제공할 이득으로부터 중계 장치와 단말기간에 중계 커버리지를 계산하여 이 계산된 중계 커버리지를 제 1 표시부(22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제 1 제어부(214)는 제 1, 제 2 안테나(100, 300) 간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아 중계 장치(200)의 AGC(automatic gain control) 기능에 의해 제 1, 제 2 이득 조절부(212, 224)에 제공할 이득이 줄어들 경우 중계 커버리지도 작아지도록 계산하여 이 계산 결과를 제 1 표시부(22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표시부(220)에 디스플레이시킨 중계 커버리지를 보면서 제 1 안테나(100)가 고정 설치된 중계 장치(200)의 위치를 변경하여 제 1, 제 2 안테나(100, 300) 간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표시부(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214 calculates the relay coverage between the relay apparatus and the terminal from the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500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ion unit 228 and the gain to be provided to the first gain control unit 212. The displayed relay cover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unit 214 is not secu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0 and 30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ain control units (AGC) may be controlled by the AGC (automatic gain control) function of the relay device 200. When the gain to be provided to 212 and 224 is reduced, the relay coverage is also calculated to be smaller, and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Therefore, while the user views the relay cover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the us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relay device 200 in which the first antenna 100 is fixed, so that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0 and 300 is performed. Can be secured. The first display unit 220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제 1 표시부(220)는 제 1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기지국(500)의 신호 세기, 무선 중계 커버리지, 제 1, 제 2 안테나(100, 300) 간 아이솔레이션 확보 여부, 중계 장치(200)의 셧다운(shotdown) 상태, AGC 수행 상태, 기기의 사용 중 여 부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제 2 안테나(100, 300) 간 아이솔레이션 확보 여부 등 간단한 표시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220 controls the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500, the wireless relay coverage, whether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0 and 300 is secured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214, and the relay device 200. It can display the shutdown status of the device, the AGC performance status, and whether the device is in use. In this case, a simple display such as whether to secure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0 and 300 may be simply displayed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발진 신호 감지부(218)는 제 1 메인 증폭부(216)의 출력을 감시하고 있다가 상기 제 1, 제 2 안테나(100, 300) 간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제 1 메인 증폭부(216)의 출력에서 발진 신호를 감지하여 제 1 제어부(214)로 제공해서 제 1 제어부(214)가 제 1, 제 2 이득 조절부(212, 224)에 제공할 이득을 줄이도록 하여 발진 신호의 세기가 커지지 않게 상술한 AGC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The oscillation signal detector 218 monitors the output of the first main amplifier 216, but when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0 and 300 is not secured, the first main amplifier 216 The oscillation signal is sensed at the output of the signal and provided to the first control unit 214 so that the first control unit 214 reduces the gain to b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gain control units 212 and 224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oscillation signal is increased. The AGC function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not to become large.

리모콘(400) 내의 키 입력부(410)는 사용자의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키 입력을 제 2 제어부(412)로 제공한다.The key input unit 410 in the remote controller 400 provides a key inpu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of the user to the second control unit 412.

제 2 제어부(412)는 키 입력부(410)의 명령에 따라 제 2 무선 송수신부(414)와 제 1 무선 송수신부(230)를 통해 제 1 제어부(214)로 중계 장치(200)의 제어 명령 예로, 중계 장치(200)의 온/오프 명령을 제공하고 제 1 제어부(214)로부터 중계 장치(200)의 정보 예로, 중계 커버리지 정보 및 기지국(500)의 신호 세기 정보를 받아 제 2 표시부(416)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지국(500)의 신호 세기를 리모콘(400)에 구비된 제 2 표시부(416)를 통해 보면서 제 2 안테나(300)의 방향을 직접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중계 커버리지 정보 및 기지국(500)의 신호 세기 정보를 중계 장치(200)에 구비된 제 1 표시부(214)를 통해 볼 수도 있겠지만 그 제 1 표시부(214)는 제 2 안테나(300)와 상당 거리만큼 떨어져 있기가 쉽기 때문에, 리모콘(400)에 구비된 제 2 표시부(416)를 통해 중계 커버 리지 정보 및 기지국(500)의 신호 세기 정보를 보는 것이 훨씬 편리하다.The second control unit 412 controls commands of the relay device 200 to the first control unit 214 through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414 and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230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key input unit 410.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unit 416 may provide an on / off command of the relay device 200 and receive the relay coverage information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500 from the first controller 214 as 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of the relay device 200. ) So that the user can see it. Therefore, the user may directl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ntenna 300 while looking 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500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416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400. Of course, the relay coverage information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500 may be view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214 provided in the relay device 200, but the first display unit 214 is equivalent to the second antenna 300. Since it is easy to be separated by a distance, it is much more convenient to view the relay coverage information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500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416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400.

상술한 제 1 안테나(100)를 중계 장치(200)에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제 2 안테나(300)를 기지국(500)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하는 동시에 제 2 안테나(500)를 중계 장치(200)와 긴 전선을 통해 유연하게 접속하여, 사용자가 중계 장치(200)를 특정 위치에 특정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커버리지를 확인하면서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10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relay device 200, the second antenna 300 is fixed to the base station 500, and the second antenna 500 is fixed to the relay device 200. By flexibly connecting through a long wire, the user can allow the relay device 200 to be installed while checking the displayed coverage in a specific direction in a specific posi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200)는 셧다운 기능이 있다. 예로, +6dBm 이상의 과송출이 있을 경우 기지국을 보호하고 장비의 열화를 막기 위하여 장비를 강제로 셧다운시킨다. 즉, 최초에 +6dBm 이상의 과송출 발생 시 장비를 세번 온/오프시킨다. 이후에도 계속 +6dBm 이상의 과송출이 발생되면 장비를 셧다운시키고, 이후에 송출이 +6dBm 미만으로 떨어지면 장비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킨다.In addition, the re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utdown function. For example, if there are over + 6dBm over-transmission, the equipment is forcibly shut down to protect the base station and prevent the equipment from deteriorating. In other words, the equipment is turned on / off three times when an over-transmission of more than + 6dBm occurs. After that, if overtransmission of more than + 6dBm occurs, the equipment is shut down. If the transmission drops below + 6dBm, the equipment operates normally.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계 장치(200)의 상세 블록도에서 수행되는 중계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by step an embodiment of a relay method performed in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relay apparatus 200 shown in FIG. 2.

먼저, 중계 장치(200)와 리모콘(400)에 각기 구비된 제 1, 제 2 표시부(220, 416)에 기지국(500)의 신호 세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보면서 중계 장치(200)에 연결된 도우너 안테나(제 2 안테나(300))의 상, 하, 좌, 우 방향을 기지국(500)으로 정확히 향하도록 조정해서 중계 장치(200)로 가장 강한 양질의 기지국 신호(500)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중계 장치(200)의 무선 중계 커버리지를 넓혀 놓는다.First, the donor connected to the relay device 200 by display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500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220 and 416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relay device 200 and the remote controller 400. By adjust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ntenna (second antenna 300) to the base station 500 accurately, the strongest high quality base station signal 5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lay device 200. The wireless relay coverage of the relay device 200 is expanded.

도 3에 있어서, 중계 장치(200)내의 제 1 제어부(214)는 제 1 메인 증폭부 (216)의 출력 신호에서 발진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발진 신호 감지부(218)를 통해 판단한다(단계 S10). 발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안테나(100, 300) 간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제 1 메인 증폭부(216)의 출력에서 발진 신호가 발생되는 것으로, 증폭기에서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로 제공됨으로써 발생되는 현상이다.In FIG. 3, the first control unit 214 in the relay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oscillation occurs i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main amplifier 216 through the oscillation signal detecting unit 218 (step S10). ). As described above, the oscillation signal is generated at the output of the first main amplifier 216 when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0 and 300 is not sec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a phenomenon caused by being provided.

제 1 제어부(214)는 단계 S10의 판단 결과, 발진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제 2 안테나(100, 300) 간 아이솔레이션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이득 조절부(224)의 이득을 작게 하여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를 줄이며, 작아진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 정보를 제 1 표시부(220)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2, S14).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 when the oscillation occurs, the first controller 214 determines that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0 and 300 is poor, and decreases the gain of the second gain adjuster 224 to wirelessly. The coverage of the relay is reduced, and the coverage information of the reduced wireless relay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steps S12 and S14).

이에 반하여, 제 1 제어부(214)는 단계 S10의 판단 결과, 발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 1, 제 2 안테나(100, 300) 간 아이솔레이션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이득 조절부(224)의 이득을 크게 하여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를 늘리며, 커진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 정보를 제 1 표시부(220)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6, S18).In contrast, when the oscillation does not occur, the first controller 214 determines that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0 and 300 is good and the gain of the second gain adjuster 224 is determined. To increase the coverage of the wireless relay and display the increased coverag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lay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steps S16 and S18).

이때, 무선 중계 장치(200)의 제 1 제어부(214)는 리모콘(400)의 제 2 제어부(412)로부터 제 2, 제 1 무선 송수신부(414, 230)를 통해 무선 중계 커버리지 정보의 요청이 있을 경우 리모콘(400)의 제 2 제어부(412)로 그 커버리지 정보를 제공해서 제 2 제어부(412)가 제공받은 무선 중계 커버리지 정보를 제 2 표시부(416)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제 2 표시부(416)를 통해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unit 214 of the wireless relay device 200 requests a request for wireless relay coverag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412 of the remote controller 400 through the second and first wireless transceivers 414 and 230. If present, the second control unit 412 of the remote controller 400 provides the cover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splay unit 416 is displayed by the user by displaying the wireless relay cover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412 on the second display unit 416. ) To make it easier to se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중계 장치(200)와 리모콘(400)에 각기 구비된 제 1, 제 2 표시부(220, 416)에 기지국(500)의 신호 세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보면서 중계 장치(200)에 연결된 도우너 안테나의 방향을 기지국(500)으로 정확히 향하도록 해서 중계 장치(200)로 가장 강한 양질의 기지국 신호(500)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중계 장치(200)의 무선 중계 커버리지를 넓힌다. 이 후, 중계 장치(200)가 서비스하는 무선 중계 커버리지를 제 1, 제 2 표시부(220, 416)에 디스플레이하여, 일반 사용자가 무선 중계 커버리지를 보면서 휴대폰과 무선 접속하는 제 1 안테나(100)와 기지국(500)과 무선 접속하는 제 2 안테나(300) 간의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도록 중계 장치(200)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중계 장치를 일반 사용자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계 장치의 사용이 더욱 쉬워지고 대중화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isplays the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500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220 and 416 provided in the relay device 200 and the remote controller 400, respectively. While pointing the direction of the donor antenna connected to the relay device 200 to the base station 500 to ensure that the strongest high quality base station signal 500 flows into the relay device 200 so that the radio of the relay device 200 Increase relay coverage. Thereafter, the wireless relay coverage serviced by the relay apparatus 200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220 and 416 so that the general user wirelessly connects to the mobile phone while viewing the wireless relay coverage. The relay device 200 may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so that isol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500 and the second antenna 300 for wireless connection is secured. Therefore, the relay device can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by the general user, thereby making the use of the relay device easier and popularized.

Claims (9)

주변의 각 휴대폰과 제 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고, 특정 기지국과 제 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는 중계 장치로서,A relay device for wirelessly connecting each cell phone in the vicinity through a first antenna, and wirelessly connecting through a specific base station and a second antenna. 상기 제 1 안테나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전치 증폭하는 제 1 프리 증폭부의 출력을 주 증폭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 1 메인 증폭부;A first main amplifier for main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first preamplifier for preamplifying the signal flowing from the first antenna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signal through the second antenna; 상기 제 1 메인 증폭부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 1 이득 조절부;A first gain adjuster adjusting a gain of the first main amplifier;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전치 증폭하는 제 2 프리 증폭부의 출력을 주 증폭하여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 2 메인 증폭부;A second main amplifier for main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second preamplifier for preamplifying the signal flowing from the second antenna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sig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상기 제 2 메인 증폭부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 2 이득 조절부;A second gain adjuster adjusting a gain of the second main amplifier; 상기 제 2 메인 증폭부의 출력에서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A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or for detecting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ntenna at an output of the second main amplifier; 상기 기지국 신호 세기 검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상기 제 2 이득 조절부에 제공할 이득으로부터 중계 장치와 단말기간에 중계 커버리지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중계 커버리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제 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및The calculated relay coverage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ar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relay coverage between the relay device and the terminal from the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detector and the gain to be provided to the second gain control unit. A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to display the first display unit; And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계산된 무선 중계 커버리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 정보, 제1, 제2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 확보 여부, 중계 장치의 셧다운 상태, AGC 수행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alculated wireless relay coverage an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specific base station, whether to secure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 shutdown state of the relay device, and an AGC performance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Relay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제어부에 접속되고 외부의 리모콘과 송수신하는 제 1 무선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And a first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 receiving with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리모콘은 사용자가 특정 명령을 키 입력하도록 하는 키 입력부;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key in a specific command; 상기 키 입력부의 명령에 따라 구비된 제 2 무선 송수신부;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key input unit; 상기 제 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제어부로 상기 중계 장치의 제어 명령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로부터 상기 중계 장치의 정보를 받아 구비된 제 2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 및A second control unit which provides a control command of the relay device to the first control unit throug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relay device from the first control unit and displays the second display unit; And 상기 중계 장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표시부;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relay device;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Relay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중계 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And the control command includes an on / off command of the relay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중계 장치의 정보는 상기 중계 커버리지 정보 및 상기 특정 기지국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And the relay device information includes the relay coverag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메인 증폭부의 출력을 감시하고 있다가 상기 제 1, 제 2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메인 증폭부의 출력에서 발진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 제공해서 상기 제 1 제어부가 상기 제 1, 제 2 이득 조절부에 제공할 이득을 줄이도록 하여 AGC 기능을 제공하는 발진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If the output between the first main amplifier is monitored while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s not secured, an oscillation signal is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first main amplifier and provided to the first controller to provide the first controller. And an oscillation signal detector for providing an AGC function by reducing a gain to b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gain adjusting uni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중계 장치에 고정 설치되며 지향성이 없는 옴니 안테나를 사용하고, The first antenna is fixed to the relay device and uses an omni-directional omni antenna, 상기 제 2 안테나는 도우너 안테나로 지향성이 있는 야기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를 사용하고 상기 특정 기지국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중계 장치와 긴 전선을 통해 유연하게 접속되어, 사용자가 상기 중계 장치를 특정 위치에 특정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커버리지를 확인하면서 설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장치.The second antenna uses a directed yagi antenna or patch antenna as a donor antenna and is fixedly installed to face the specific base station, and is flexibly connected to the relay apparatus through a long wire, so that the user can position the relay apparatus at a specific position. And installing the terminal while checking the displayed coverage in a specific direction. 주변의 각 휴대폰과 제 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고, 특정 기지국과 제 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접속하는 중계 장치에서 무선통신망의 중계 방법으로서,As a relay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relay apparatus that wirelessly connects each cell phone with a first antenna through a first antenna and wirelessly connects through a specific base station and a second antenna, (a) 상기 제2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는 중계 장치의 제1 메인 증폭부의 출력신호에서 발진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발진 신호 감지부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 (a) determining whether an oscillation occurs in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main amplifier of the re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through an oscillation signal detector; (b) 상기 발진 신호 감지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의 판단 결과, 발진이 발생하여 상기 제 1, 제 2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이 불량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중계 장치와 단말기간에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를 줄여, 작아진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 정보를 제1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b) when the oscillation occurs and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s poo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signal detecting unit, the coverage of the wireless relay between the relay device and the terminal is reduced accordingly. Displaying coverage information of a reduced wireless relay on a first display unit; And (c) 상기 제1 제어부의 판단결과, 발진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제 1, 제 2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이 양호할 경우 이에 대응해서 상기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를 늘려, 커진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 정보를 제1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c) When the first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oscillation does not occur and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s good, the coverage of the radio relay is increased by correspondingly increasing the coverage of the radio relay. Displaying on a display unit;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방법.Relay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무선 중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의 제2 제어부로부터 상기 리모콘의 제2 무선 송수신부, 상기 무선 중계 장치의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중계의 커버리지를 제어하는 무선 중계 장치의 제1 제어부로 무선 중계 커버리지 정보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무선 중계 장치의 제1 제어부로부터 상기 리모콘의 제2 제어부로 무선 중계 커버리지 정보를 제공하여 제2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망의 중계 방법.From the second control unit of the remote control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relay device from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of the remote control,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re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verage of the wireless relay throug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of the wireless relay device If there is a request for the relay coverage information, providing the wireless relay coverage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relay device to the second control unit of the remote control to display on the second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lay method.
KR1020050100716A 2005-10-25 2005-10-25 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847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716A KR100847865B1 (en) 2005-10-25 2005-10-25 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716A KR100847865B1 (en) 2005-10-25 2005-10-25 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612A KR20070044612A (en) 2007-04-30
KR100847865B1 true KR100847865B1 (en) 2008-07-23

Family

ID=3817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716A KR100847865B1 (en) 2005-10-25 2005-10-25 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86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240A (en) * 2002-11-20 2004-05-2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Repeater detecting antenna isolation using reverse link
KR20050090330A (en) * 2005-08-16 2005-09-13 차윤원 Rf repeater oscillation detection and monitoring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wibro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240A (en) * 2002-11-20 2004-05-2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Repeater detecting antenna isolation using reverse link
KR20050090330A (en) * 2005-08-16 2005-09-13 차윤원 Rf repeater oscillation detection and monitoring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wibr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612A (en) 200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1203B2 (en) Radio frequency repeater for cancelling feedback interference signal with built in antenna
EP15111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boosting and monitoring
JP4588790B2 (en) RF repeater
US20140004853A1 (en) Terrestrial communications network suitable for providing air-to-ground connectivity
US10236921B1 (en) Signal booster device, a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a signal booster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signal booster device
JP3583962B2 (en) transceiver
US20210399409A1 (en) Rtk base station apparatus and signal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20040038644A1 (en) Repeater for a satellite phone
KR100509687B1 (en) Apparatus for testing isolation status in RF repeater and method thereof
KR100847865B1 (en) Repeating apparatus and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470441B1 (en) Portable ICS Repeater for Cascade RF Connect
KR200346327Y1 (en) Radio frequency repeater having structure of embedded two-way antenna
KR100673171B1 (en) Microwave repeater system and line of sight setting method for microwave repeater system
KR19980054603A (en) Repeater Monitoring Method using Digit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Receiver
KR100320131B1 (en) Microwave repeater system
KR10029092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KR20050059392A (en)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pparatus for using integrated duplex
KR100718392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f split repeater
JP2556387B2 (en) Leaky coaxial line
JP2002319890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281627B1 (en) Noise Reduction Circuit of Wireless Repeater
KR20100000702A (en) Dual antenna usable relay system and method
KR100379494B1 (en) Booster for Directional Antenna and operating method in booster
KR200233511Y1 (en) Antenna modul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in-building using frequence transfer method
KR101098643B1 (en) System and device for booster amplifiying signal of rep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