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857B1 -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857B1
KR100846857B1 KR1020070048313A KR20070048313A KR100846857B1 KR 100846857 B1 KR100846857 B1 KR 100846857B1 KR 1020070048313 A KR1020070048313 A KR 1020070048313A KR 20070048313 A KR20070048313 A KR 20070048313A KR 100846857 B1 KR100846857 B1 KR 10084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ape
plate
product
shap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의 가동측에 구비되어 제품(M)의 언더컷(M')을 성형하는 형상코어조립체(50)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코어조립체(50)는 언더컷(M')을 성형하는 형상코어(52)와 상기 형상코어(52)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구동바(55), 그리고 형상코어(52)와 구동바(55)를 연결하는 연동핀(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55)는 제품(M)을 성형하기 위해 금형조립체에 구비되는 캐비티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구비되므로, 메인코어를 비롯한 기타 코어에 의한 간섭 없이 형상코어(52)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측과 가동측이 밀착되는 과정에서 언더컷(M')을 형성하는 형상코어(52)가 구동바(55)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형상코어(52)가 제품(M)의 형상에 제한받지 않고 용이하게 원위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금형조립체, 언더컷, 원위치

Description

금형조립체{Mold assembly}
도 1은 언더컷이 형성된 제품의 일부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형상코어 및 제품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형상코어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금형조립체에서 제품이 취출되는 모습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측판 12: 제1형판
15: 제1메인코어 20: 주입구
30: 가동측판 32: 스페이서블록
34: 밀판 40: 제2형판
45: 제2메인코어 50: 형상코어조립체
52: 형상코어 55: 구동바
58: 연동핀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품의 언더컷부분을 형성하는 형상코어가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언더컷이 형성된 제품의 일부구성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금형조립체는 성형기에 장착되어 원하는 제품(M)을 만들어낸다. 상기 금형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성형기의 고정측에 구비되는 상형과 가동측에 구비되는 하형에 각각 구비된 메인코어가 협력하여 제품(M)을 만들어낸다.
이때, 제품(M)의 언더컷(M')에 해당하는 부분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메인코어와는 별도로 경사코어나 슬라이드코어가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형상코어는 상기 제품(M)의 언더컷(M')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금형조립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서로 분리되면 상기 언더컷(M')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품(M)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형상코어는 상기 언더컷(M')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제품(M)을 따라 상기 고정측을 향해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형상코어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언더컷(M')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더컷(M')은 상기 제품(M)에 서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언더컷(M')은 일반적으로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금형조립체에는 밀핀이 설치된다. 상기 밀핀은 상기 제품(M)을 금형조립체로부터 취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가동측에 설치된다. 상기 밀핀은 상기 가동측과 고정측이 서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품(M)을 밀어올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M)에 언더컷(M')이 쌍을 이루어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경사코어를 적용할 수 없어, 상기 형상코어가 상기 금형조립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서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언더컷(M')에 걸어져 상기 제품(M)에 딸려 계속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M)이 취출되고 나서, 상기 형상코어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측에 형성된 상대코어와 같은 구성요소가 상기 가동측의 형상코어의 선단을 밀어주게 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M')을 중심으로 제품(M)이 막혀 고정측의 상대코어가 관통할 수 있는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고정측의 상대코어가 상기 가동측의 형상코어를 밀어줄 여지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언더컷을 형성하는 형상코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에 딸려 이동한 형상코어가 금형조립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고정측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성형기의 고정측판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메인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만드는 제2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제품의 언더컷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1형판과 상기 제2형판이 상대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형판에 구비되는 형상코어와, 상기 가동측에 상기 형상코어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연동핀에 의해 상기 형상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1형판과 상기 제2형판이 밀착되면 상기 형상코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핀은 상기 형상코어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형상코어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연동핀의 양단에는 상기 구동바가 상기 연동핀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동핀은 상기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상기 형상코어에는 상기 제품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1언더컷 및 제2언더컷에 각각 대응되는 제1형상부와 제2형상부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바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바의 이동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측과 가동측이 밀착되는 과정에서 언더컷을 형성하는 형상코어가 구동바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형상코어가 제품의 형상에 제한받지 않고 용이하게 원위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형상코어 및 제품의 구성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형상코어, 연동핀 그리고 구동바가 조립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품과 관련된 구성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측판(10)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판(1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가동측판(30)과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측판(10)에는 제1형판(12)이 구비된다. 상기 제1형판(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형판(40)과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제품(M)을 형성하고 취출하게 된다. 상기 제1형판(12)에는 제1메인코어(15)가 구비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15)는 상기 제품(M)의 형상을 성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후술할 제2메인코어(45)와 협력하여 상기 제품(M)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만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메인코어(15)는 상기 제1형판(12)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별개물로 만들어져 상기 제1형판(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측판(10)에는 주입구(20)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20)는 상기 제1메인코어(15)와 제2메인코어(45)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 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가동측판(30)은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판(30)도 상기 고정측판(1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상이다. 상기 가동측판(30)에는 스페이서블록(32)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블록(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에는 밀판(34)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밀판(34a) 및 제2밀판(34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밀판(34)은 후술할 밀핀(60)을 상기 고정측을 향해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32)에는 받침판(36)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36)에는 제2형판(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형판(40)에는 제2메인코어(45)가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45)는 상기 제1메인코어(15)와 함께 상기 제품(M)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만드는 것으로, 상기 제2형판(4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제2형판(40)에 형성된 장착홈(도시되지 않음)에 별개물로 삽입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형판(40)에는 형상코어조립체(50)가 구비된다. 상기 형상코어조립체(50)는 상기 제품(M)의 언더컷(M')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1형판(12)과 상기 제2형판(40)이 상대이동하는 방향으로 일정구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형상코어조립체(50)에는 형상코어(52)가 포함된다. 상기 형상코어(52)는 대략 바아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품(M)의 언더컷(M')을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형상코어(52)는 상기 제2메인코어(45)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거나, 혹은 제2메인코어(45)와는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상코어조립체(50)에 총 2개의 형상코어(52)가 포함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코어(52)의 선단에는 상기 언더컷(M')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형상부(53a,53b)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두 형상부(53a,53b)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품(M)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두 언더컷(M')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2형판(40)에는 상기 형상코어(52) 이외에도 다수개의 코어(C)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형판(40)에는 상기 형상코어(52)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동바(55)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바(55)는 상기 형상코어(52)와 마찬가지로 바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형상코어(52)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55)는 상기 형상코어(52)와 후술할 연동핀(58)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55)는 상기 제품(M)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로부터 벗어난 외측에 구비된다. 이는 상기 구동바(55)가 상기 제2메인코어(45)와 기타 코어(C)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55)는 상기 형상코어(5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구동바(55)가 균형을 이루면서 고정측에 의해 밀려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바(55)는 상기 제1 및 제2형판(12,40)이 서로 밀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측에 의해 가동측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형상코어(5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측을 향한 구동바(55)의 상면(55')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바(55)의 일측에는 걸이턱(5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6)은 상기 구동바(55)가 고정측을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이동되는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형판(40)에 형성된 상기 걸이턱(56)에 대응되는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지게 된다. 이때, 이러한 이동높이는 상기 형상코어(50)와 인접한 다른 코어(C)들이 상기 제품(M)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상기 가동측이 이동길이보다 같거나 길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턱(56)이 상기 구동바(55)의 하단에 형성되나, 반드시 이러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형상코어(52)와 상기 구동바(55)는 연동핀(5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동핀(58)은 상기 형상코어(52)와 상기 구동바(55)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것으로, 도 4에서 보듯이 대략 바아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동핀(58)은 상기 형상코어(52) 및 상기 구동바(55)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연동핀(58)은 상기 구동바(55)와 형상코어(52)를 연결시켜, 상기 구동바(55)가 상기 고정측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는 힘을 상기 형상코어(5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판(34)에는 밀핀(60)이 구비된다. 상기 밀핀(60)은 상기 제품(M)을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밀판(34)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제품(M)을 밀어주게 된다. 도 2에는 하나의 밀핀(6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품(M)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밀핀(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금형조립체에서 제품이 취출되는 모습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제품(M)과 형상코어조립체(50)의 모습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금형조립체의 상기 두 메인코어(15,45) 내부에서 상기 제품(M)이 완성되면, 상기 제품(M)을 취출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금형조립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이 서로 분리된 후, 상기 밀핀(60)이 상기 제품(M)을 밀어올려 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품(M)에는 언더컷(M')이 형성되고, 상기 언더컷(M') 사이에는 상기 형상코어(52)의 형상부(53a,53b)가 걸어져 상기 형상코어조립체(50)가 상기 제품(M)에 딸려가게 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코어(52)가 상기 언더컷(M')에 걸어져 딸려가고, 이에 따라 상기 형상코어(52)와 연동핀(58)에 의해 연결된 상기 구동바(55) 역시 상기 고정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측을 향해 이동하는 형상코어조립체(50)의 이동높이는 상기 구동바(55)에 형성된 걸이턱(56)에 의해 제한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높이는 상기 형상코어(50)와 인접한 다른 코어(C)들이 상기 제품(M)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상기 가동측의 이동길이보다 같거나 길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형상코어조립체(50)의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제품(M)의 언 더컷(M')으로부터 상기 형상코어(52)가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측이 계속하여 이동하면, 상기 제2메인코어(45)와 기타 다른 코어(C)들로부터 상기 제품(M)이 완전히 분리되고 금형조립체로부터 취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되었던 가동측과 고정측이 다시 밀착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형상코어조립체(5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동측이 상기 고정측을 향해 이동
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바(55)의 상면(55')이 상기 고정측에 의해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바(55)와 연동핀(58)에 의해 연결된 상기 형상코어(52)도 고정측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55)는 제품(M)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의 외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2메인코어(45)를 비롯한 각종 코어(C)들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상기 고정측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바(55)는 상기 형상코어(52)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므로, 균형을 이루면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바(55)는 반드시 두개가 대칭을 이루도록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연동핀(58)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핀(58)역시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는 연동핀(58)이 구비되고 각각의 연동핀(58)의 선단에 총 4개의 구동바(5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형상코어의 양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동바가 연결되므로, 제품의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형상코어를 용이하게 원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형상코어를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형상코어를 밀어주기 위한 상대코어를 정확하게 설계할 필요가 없어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형상코어를 보다 용이하게 원위치시킬 수 있어 금형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형상코어를 하나의 연동핀으로 연결할 수 있어 형상코어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부품수가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비용절감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성형기의 고정측판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메인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만드는 제2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제품의 언더컷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1형판과 상기 제2형판이 상대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형판에 구비되는 형상코어와 연동핀에 의해 상기 형상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1형판과 상기 제2형판이 밀착되면 상기 형상코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바를 포함하는 형상코어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코어조립체는
    상기 제품의 언더컷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형판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형판에 구비되는 형상코어와,
    상기 제2형판에 상기 형상코어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형상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1형판과 상기 제2형판이 밀착되면 상기 형상코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바,
    상기 형상코어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형상코어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게 연장되어 상기 형상코어와 구동바를 연결하는 연동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핀은 상기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의 외측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코어에는 상기 제품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언더컷에 각각 대응되는 제1형상부와 제2형상부가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바의 이동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KR1020070048313A 2007-05-17 2007-05-17 금형조립체 KR10084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13A KR100846857B1 (ko) 2007-05-17 2007-05-17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13A KR100846857B1 (ko) 2007-05-17 2007-05-17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857B1 true KR100846857B1 (ko) 2008-07-17

Family

ID=3982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313A KR100846857B1 (ko) 2007-05-17 2007-05-17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8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060B2 (ja) * 1990-09-26 1994-11-02 豊田合成株式会社 成形用金型
JPH07253Y2 (ja) * 1989-04-26 1995-01-11 株式会社東芝 成形型のアンダーカット処理装置
KR100787196B1 (ko) 2006-07-04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Y2 (ja) * 1989-04-26 1995-01-11 株式会社東芝 成形型のアンダーカット処理装置
JPH0686060B2 (ja) * 1990-09-26 1994-11-02 豊田合成株式会社 成形用金型
KR100787196B1 (ko) 2006-07-04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058B1 (ko) 금형조립체
US8926316B2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KR100787195B1 (ko) 사출성형금형의 언더컷용 슬라이드 구동구조
KR100684354B1 (ko) 금형조립체의 슬라이드코어 록킹구조
WO2021044643A1 (ja) スライド機構、固定型、可動型及び成形用金型
KR100933545B1 (ko) 금형조립체
KR200440564Y1 (ko) 언더컷 성형을 위한 슬라이드 코아장치
KR101578122B1 (ko)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JP5114803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KR100846857B1 (ko) 금형조립체
KR100814928B1 (ko) 금형조립체
JP5562083B2 (ja) 成形用金型
KR100814930B1 (ko) 금형조립체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KR20100070889A (ko) 경사코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금형조립체
KR100988790B1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KR100922153B1 (ko) 금형조립체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KR20090067841A (ko) 금형조립체
KR100846851B1 (ko) 금형조립체의 밀핀장치
KR100823340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0864252B1 (ko) 금형조립체
KR20090073797A (ko) 테스트 금형조립체
KR100846856B1 (ko) 금형조립체
KR100864251B1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