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774B1 -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74B1
KR100846774B1 KR1020020024438A KR20020024438A KR100846774B1 KR 100846774 B1 KR100846774 B1 KR 100846774B1 KR 1020020024438 A KR1020020024438 A KR 1020020024438A KR 20020024438 A KR20020024438 A KR 20020024438A KR 100846774 B1 KR100846774 B1 KR 10084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filtering
block
quantization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076A (ko
Inventor
박정훈
김용제
이영렬
신일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774B1/ko
Priority to AU2003266120A priority patent/AU2003266120A1/en
Priority to CN03800902.1A priority patent/CN1287598C/zh
Priority to EP03747541.5A priority patent/EP1516491B1/en
Priority to PCT/KR2003/000087 priority patent/WO2003094521A1/en
Priority to US10/359,300 priority patent/US7145953B2/en
Publication of KR2003008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블록킹 효과 및/또는 링잉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방법은 (a) 비디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수평 방향 에 대해 1차원 DCT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1차원 DCT 변환된 각 DCT 계수에 대해, 픽셀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에 대해 수직 방향의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양자화된 픽셀의 계수 값에 기초하여 필터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블록킹 효과 및/또는 링잉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계산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Filtering method for removing block artifacts and/or ringing noise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
도 2(a)(b)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필터부(7)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블록킹 효과(blocking artifacts)와 링잉 잡음(ringing noise)의 제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프레임을 블록 단위로 처리함에 따라 야기되는 블록킹 효과 및 링잉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부분의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방법은 비디오 프레임을 블록 단위로 처리한다. 특히,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H.263 등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부호화 표준들은 비디오 프레임을 부호화하기 위해 블록 단위로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변환을 수행한 다음 양자화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블록 단위로 부호화하는 방법은 블록킹 효과 및 링잉 노이즈를 유발시킨다. 블록킹 효과에 의해 재현된 비디오 프레임에는 원 프레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블록과 블록 사이의 경계가 발생되는 등 인접 픽셀 간에 연속성이 파괴되며, 링잉 노이즈에 의해 재현된 비디오 프레임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경계선이 매끄럽게 표시되지 않고 울퉁불퉁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압축율이 높은 경우 블록킹 효과 및 링잉 노이즈는 더욱 두드러진다.
블록킹 효과와 링잉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블록킹 효과와 링잉 노이즈가 발생된 영역을 정확히 파악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원래의 이미지 프레임에 존재하는 에지 영역을 블록킹 효과에 의해 생긴 것으로 오판하여 없애버림으로써 필터링 수행 후의 화질이 오히려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 블록킹 효과 및/또는 링잉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에서 재현된 픽셀 블록에 존재하는 에지 영역을 변별하기 위해 에지 영역을 검사하는 대표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즉, 8×8 픽셀 블록 또는 4×4 픽셀 블록들의 경계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값, 예를 들어 밝기, 휘도, 및 색상 값의 분포를 조사한 다음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에지 영역을 검출하는 방식이다. 임계값은 8×8 픽셀 블록 또는 4×4 픽셀 블록들의 경계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밝기, 휘도, 색상) 값의 분포를 측정한 다음 측정된 값들의 분포와 에지 영역의 존재 여부에 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픽셀값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블록 간의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픽셀값들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검사해야 한다. 그러나, 픽셀값들을 일일이 검사하기 위해서는 계산량이 적지 않고 복잡성이 높아진다. 특히, 수직 방향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메모리 액세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메모리 액세스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지 영역의 존재 여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지 영역의 존재 여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계산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방법은 (a) 비디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선정된 하나의 방향에 대해 1차원 DCT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선정된 방향의 1차원 DCT 변환된 각 계수에 대해, 픽셀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양자화된 픽셀의 계수 값에 기초하여, 필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필터링 방법에서 는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에서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필터링 정보는 수직 방향의 블록킹 효과에 연관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필터링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에서 DC 성분에 인접한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의 양자화 값이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 (C1) 상기 필터 정보로서 수평 방향 블록킹 플래그 (HBF)를 1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링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의 양자화 값이 소정의 값을 갖지 않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에서 상기 DC 성분과 상기 선택된 픽셀을 제외한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방법은 (a) 비디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선정된 하나의 방향에 대해 1차원 DCT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선정된 방향의 1차원 DCT 변환된 계수 값들 중, 선택된 픽셀 위치의 1 차원 DCT 변환된 계수 값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변환된 상기 선택된 픽셀의 계수 값을 양자화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양자화된 상기 선택된 픽셀의 계수 값을 기초로 필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생성된 필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필터링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 또는 최좌측 열 중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필터링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 또는 최좌측 열의 복수개의 픽셀들 중 DC 성분에 인접한 픽셀이며, 상기 필터링 방법은 (b1) 상기 선정된 방향의 1차원 DCT 변환된 계수 값들 중, 상기 선택된 픽셀이 속하는 최상단행 또는 최좌측 열의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상기 제1 픽셀 이외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c1) 상기 (b1) 단계에서 변환된 픽셀의 변환된 계수 값을 양자화하는 단계; 및 (d1) 상기 (c1) 단계에서 양자화된 상기 픽셀의 계수 값을 기초로 필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필터링 정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블록킹 효과의 발생 정도를 알려주는 필터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필터링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행 및 최좌측행을 제외한 픽셀 들 중 하나이며, 상기 필터링 정보는 링잉 노이즈의 발생 정도를 알려주는 필터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장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선정된 방향으로 1차원 DCT 변환 하고, 상기 1차원 DCT 변환된 각 계수 값에 대해, 픽셀의 위치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으로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고, 상기 양자화된 픽셀의 계수 값에 기초하여 필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필터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필터링 정보를 기초로 필터 특성치를 결정하는 필터 특성치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특성치에 따라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디블록킹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필터링 장치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에서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필터링 정보는 수직 방향의 블록킹 효과에 연관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법의 기초가 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 데이터는 복수개의 이미지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이미지 프레임들은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과 인터 프레임(Inter frame)으로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인트라 프레임은 다른 이미지들의 참조없이 부호화된 것으로 독립적으로 복호화 가능하다. 이에 반해, 인터 프레임은 이전 이미지를 참조하여 그 차이값만을 부호화한 것으로 복호화시 이전 프레임이 필요하다. 각 이미지 프레임은 복수개의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 되며 매크로 블록에는 복수개의 픽셀 블록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방법 및 그 부호화 장치는 에지 영역을 판별함에 있어 각 픽셀 값을 DCT 변환시켜 얻어진 DCT 변환값들의 분포 및/또는 DCT 변환되고 양자화된 값들의 분포를 기초로 한다. 그 구체적인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부호화 장치는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호화 장치는 움직임 추정부(1),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변환부(2), 양자화부(3), 역양자화부(4), IDCT(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변환부(5), 움직임 보상부(6), 및 루프 필터부(7)를 구비한다. 나아가, 부호화 장치는 제어부 (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하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스위치(10), 제2 스위치(20), 및 제3 스위치(30)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비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1 스위치(10)를 제어하여 인트라 프레임의 경우에는 곧 바로 DCT 변환부(2)로 입력시키고 인터 프레임의 경우에는 움직임 추정부(1)로 입력시킨다. 움직임 추정부(1)는 픽셀 블록 단위로 이전 이미지 프레임과 픽셀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 (움직임 벡터)을 DCT 변환부(2)로 출력한다. DCT 변환부(2)는 인트라 프레임의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 프레임에 존재하는 픽셀값들을, 인터 프레임의 경우에는 차이값 (움직임 벡터)들의 데이터 표현 방식을 바꾸어 다시 표현, 즉 변환(transform)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변환 방식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이다. 적용가능한 다른 변환 방식, 예를 들면 DWT(Discrete Wavelete Transform)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자화부(3)는 변환된 값들 (DCT의 DCT 계수값들)을 소정 양자화 스텝에 따라 양자화한다. 양자화 스텝은 각 블록 단위로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양자화 스텝이 클수록 양자화 노이즈는 증가된다. DCT 변환되고 양자화된 값들은 예를 들면 가변 길이 부호화 (variable length coding:VLC) 등으로 코딩되어 수신단으로 전송된다.
한편, DCT 변환되고 양자화된 값들은 다시 역양자화부(4) 또는 루프 필터부(7)로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는 제2 스위치(20)를 제어하여 인트라 프레임의 경우에는 루프 필터부(7)로도 입력시킨다. 인터 프레임의 경우에는 역양자화부(4)로만 입력시킨다. 인트라 프레임의 경우에는 양자화부(3)에서 출력된 값들이 에지 영역을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 즉 블록 단위의 픽셀값들이 DCT 변환되고 양자화된 값들이므로 부가적인 처리과정이 필요 없어 곧바로 루프 필터부(7)로 입력된다. 인터 프레임의 경우에는 양자화부(3)에서 출력된 값들은 차이값들 (움직임 벡터들)에 대해 DCT 변환되고 양자화된 값들이므로 블록 단위의 픽셀값들이 DCT 변환되고 양자화된 값들을 얻기 위해 역양자화부(4)로 입력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블록 단위의 픽셀 값을 복원하기 위한 과정이다.
역양자화부(4)는 입력받은 값들을 소정 양자화 스텝을 기초로 역양자화하고 IDCT 변환부(5)는 IDCT 변환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DCT(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한다. DCT 변환부(2)가 다른 변환 방식에 의한 경우 IDCT 변환부(5) 또한 그에 따른 변환 방식에 따른다. 가령, 변환부(2)가 DWT에 따른 경우 역변환부(5) 또한 IDWT(Inverse Discrete Wavelete Transform)에 의한다. 인트라 프레임의 경우 IDCT 변환부(5)에서 출력된 값은 필터링의 대상이 되는 값들, 즉 현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픽셀 값들이므로 루프 필터부(7)로 입력된다. 인터 프레임은 현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픽셀값들을 얻기 위해서는 움직임 보상 과정이 더 필요하므로 움직임 보상부(6)로 입력된다. 제어부는 제3 스위치(30)를 제어하여 인트라 프레임의 경우에는 IDCT 변환부(5)의 출력값이 루프 필터부(7)로 입력시키고, 인터 프레임의 경우에는 움직임 보상부(6)로 입력시킨다. 움직임 보상부(6)는 블록 단위로 차이값들을 이전 이미지 프레임에 더하여 현재 이미지 프레임을 복원하여 루프 필터부(7)로 출력한다.
루프 필터부(7)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을 수행한다. 즉, 각 블록에 대해 수평 방향 1차원 DCT 변환하고, 픽셀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된 일부 픽셀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직 방향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적응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필터부(7)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루프 필터부(7)는 루프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부(71), 루프 1차원 수직 방향 DCT 변환부/양자화부(72), 필터 정보 생성부(73), 필터 특성치 결정부(74), 디블럭킹 필터(75) 및 디링잉 필터(76)를 구비한다.
루프 필터부(7)로 입력되는 값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첫째는 필터링을 위한 대상 데이터이고, 둘째는 필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이다. 참조번호 ①은 대상 데이터이고 참조번호 ② 및 ③은 기초 데이터이다.
대상 데이터는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블록 단위의 픽셀값들로서, 인트라 프 레임의 경우 제3 스위치(30)로부터 전달되고 인터 프레임의 경우 움직임 보상부(6)로부터 입력된다.
필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들 중, 인트라 프레임의 경우 블록 단위의 픽셀값의 DCT 변환되고 양자화된 값들이 제2 스위치(20)로부터 전달되지만, 인터 프레임의 경우 블록 단위의 픽셀값의 DCT 변환되고 양자화된 값들을 얻기 위한 픽셀값들이 움직임 보상부(6)로부터 입력된다. 따라서, 인터 프레임의 경우 루프 필터부(7) 내에서 픽셀값을 변환하고 양자화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제2 스위치(20)로부터 입력된 값, 즉 필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 중 인트라 프레임은 필터 정보 생성부(73)로 입력되고, 움직임 보상부(6)로부터 입력된 값, 즉 인터 프레임에 대한 블록 단위의 픽셀값들은 루프 변환부(71)로 입력된다.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부(71)는 인터 프레임에 대해 픽셀값들을 블록 단위로 각각 변환하고 양자화한다. 다만,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부(71) 및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부/양자화부(72)의 변환 및 양자화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DCT 변환부(2) 및 양자화부(3)와 수행하는 기능의 의미는 동일하지만,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부(71) 및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부/양자화부(72)에 의해 최종 생성되는 값들은 단지 블록 효과를 판별하기 위한 것 이기 때문에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과정에서 행하여지는 변환 및 양자화와 동일한 정밀도를 가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부/양자화부(72)는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부(71)로부터 입력된 블록의 1차원 DCT 변환된 계수들 중 일정 픽셀 위치의 계수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다.
필터 정보 생성부(73)는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부/양자화부(72)에서 생성된 양자화 계수 값을 검사하여,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필터 정보, 즉 수평 방향 필터링 플래그 HFF, 수직 방향 필터링 플래그 VFF, 및 링잉 플래그 RF를 생성하고,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부/양자화부(72)로 하여금, 선정된 다른 위치의 계수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선정된 조건에 대한 설명 및 필터 정보 생성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5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필터 특성치 결정부(74)는 생성된 필터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 특성치를 결정하여 출력하고, 디블록킹 필터(75)와 디링잉 필터(76)는 결정된 특성치에 따른 적응적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선택적으로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부(71) 및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부/양자화부(72)는 변환과 양자화를 수행함에 있어서 소수점 연산 대신 정수 연산을 수행하거나 양자화 스텝을 크게 하거나, FAST 모드 DCT를 수행하는 등 그 정밀도를 낮추어 계산량을 경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1차원 수평 방향 DCT 변환부(71)는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을 수행하고, 1차원 수직 방향 DCT 변환부/양자화부(72)는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을 수행하지만, 선택적으로 1차원 수평 방향 DCT 변환부(71) 및 1차원 수직 방향 DCT 변환부/양자화부(72)가 각각 1차원 수직방향 및 수평 방향 DCT 변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2차원 DCT 변환 부(71) 및 양자화부(72)는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중 일정 픽셀 위치의 계수에 대해, 2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다. 2차원 DCT 변환부(71) 및 양자화부(72)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는 도 2(a)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필터 정보 생성부(73)는 양자화부(72)에서 생성된 양자화 계수 값을 검사하여,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필터 정보, 즉 수평 방향 필터링 플래그 HFF, 수직 방향 필터링 플래그 VFF, 및 링잉 플래그 RF를 생성하고,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2차원 DCT 변환부(71) 및 양자화부(72)로 하여금, 선정된 다른 위치의 계수에 대해 2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DCT 변환의 가분성(separability)에 따라 2차원 DCT 변환이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 및 수직방향 DCT 변환으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기본 단위인 4×4 픽셀 블록(도 3a)을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하면 4×4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된 DCT 블록(도 3b)이 얻어지며, 4×4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된 DCT 블록(도 3b)을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을 수행하면, 4×4 2차원 DCT 변환된 DCT 블록(도 3c)이 얻어지며, 이는 원래의 4×4 픽셀 블록(도 3a)을 2차원 DCT 변환을 한 것과 동일한 결과임을 보여준다.
도 4는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루프 필터부(7)에서 이루어지는 필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계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b에 대응하는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된 4×4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된 블록이다.
도 4b는 도 4a의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된 블록 중 DC 성분에 해당하는 A에 대해서만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 4×4 블록이다.
도 4c는 도 4a의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된 블록의 최좌측열 중 DC 성분 에 인접한 B에 대해서만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 4×4 블록을 도시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픽셀 C 및 D에 대해서도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가 수행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 4d는 도 4a의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된 블록의 최상단 행 중 DC 성분 에 인접한 E에 대해서만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 4×4 블록을 도시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픽셀 F 및 G에 대해서도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가 수행됨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4e는 도 4a의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된 블록의 최좌측열 및 최상단행 성분을 제외한 픽셀 중, DC 성분에 인접한 a에 대해서만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 4×4 블록을 도시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픽셀 b, c, d 등에 대해서도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가 수행됨을 나타내고 있다.
DCT 블록의 A는 DC 성분을 나타낸다. DCT 블록의 최좌측 열에서 DC 성분 A를 제외한 값들, 즉 B, C, D는 4×4 픽셀 블록의 수평 방향에 에지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려주고, 최상단 행에서 DC 성분 A를 제외한 값들 B, C, D는 4×4 픽셀 블록의 수직 방향에 에지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또한, DCT 블록 에서 최좌측 열 및 최상단행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 a, b, c, ..은 4×4 픽셀 블록에 모든 방향으로 에지 영역을 갖는 오브젝트가 존재하므로 링잉 노이즈가 발생하게 됨을 알려준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기초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1차원 수평 방향 DCT 변환을 수행하여, 1차원 수평방향 변환된 DCT 계수값을 계산한다.
단계 510에서는 단계 500에서 계산된 DCT 계수값 들 중, 블록의 최좌측 열의 DC 성분에 인접한 픽셀 B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을 수행하고, 변환된 DCT 계수 값을 양자화하여, 양자화 계수값을 계산한다 (도 4c 참조).
단계 512에서는 단계 510에서 계산된 양자화 계수값을 검사하여, 양자화 계수값이 '0'인 경우에는 단계 514로 진행하고, 양자화 계수값이 소정의 값을 가지거나, 양자화된 픽셀이 최좌측열 중 마지막 픽셀, 즉 D인 경우에는 단계 516으로 진행한다.
단계 514에서는 다음 픽셀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및 양자화를 수행하고, 양자화 계수값을 계산하여, 단계 512로 다시 진행한다.
단계 516에서는 이전 단계 512에서 마지막으로 검사된 양자화 계수값이 '0'이 아닌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필터 정보로서 수평 방향 블록킹 플래그 HBF를 1로 설정한다.
단계 518에서는 단계 500에서 계산된 DCT 계수값 들 중, 블록의 최상단행 중 DC 성분에 인접한 픽셀 E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을 수행하고, 변환된 DCT 계수 값을 양자화하여, 양자화 계수값을 계산한다 (도 4d 참조).
단계 520에서는 단계 518에서 계산된 양자화 계수값을 검사하여, 양자화 계수 값이 '0'인 경우에는 단계 522로 진행하고, 양자화 계수값이 '0'이 아닌 소정의 값을 가지거나, 양자화된 픽셀이 최상단행 중 마지막 픽셀, 즉 G인 경우에는 단계 524로 진행한다.
단계 522에서는 다음 픽셀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및 양자화를 수행하고, 양자화 계수값을 계산하여, 단계 520으로 다시 진행한다.
단계 524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마지막으로 검사된 양자화 계수값이 '0'이 아닌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필터 정보로서 수직 방향 블록킹 플래그 HBF를 1로 설정한다.
단계 526에서는 단계 500에서 계산된 DCT 계수값 들 중, 블록의 최상단행 및 최좌측열을 제외한 픽셀 중, DC 성분에 인접한 픽셀 a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하고, 변환된 DCT 계수 값을 양자화하여, 양자화 계수값을 계산한다 (도 4e 참조).
단계 528에서는 단계 526에서 계산된 양자화 계수값을 검사하여, 양자화 계수값이 '0'인 경우에는 단계 530으로 진행하고, 양자화 계수값이 '0'이 아닌 소정의 값을 가지거나, 양자화된 픽셀이 최상단행 중 마지막 픽셀, 즉 i인 경우에는 단 계 532로 진행한다.
단계 530에서는 다음 픽셀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및 양자화를 수행하고, 양자화 계수값을 계산하여, 단계 528로 다시 진행한다.
단계 532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마지막으로 검사된 양자화 계수값이 '0'이 아닌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필터 정보로서 링잉 플래그 RF를 1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534에서 부호화 장치는 생성된 필터 정보를 기초로 필터 특성치를 결정하여 적응적 필터링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1차원 수평방향 DCT 변환된 블록의 DC 성분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여, DC 성분의 양자화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계 510, 단계 518, 및 단계 526에서는 최좌측열의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 최상단 행의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 최좌측 열 및 최상단 행 중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 중 DC 성분에 인접한 픽셀에 대해 우선적으로 1 DCT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였지만, 선택적으로 이들 복수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그룹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우선적으로 1 차원 수직방향 DCT 및 양자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단계 500에서 1차원 수평 방향 DCT를 수행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방식으로, 즉 픽셀 위치에 따라 선택된 픽셀에 대해 2차원 DCT 및 양자화를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필터 정보의 생성에 필요한 계산량을 줄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양자화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과정에서 행하여지는 양자화와 동일한 정밀도를 가지지 않아도 무방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은 간략화된 양자화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LEVEL = (K×A(QP) + f×220)/220
여기에서, LEVEL은 양자화된 계수 값을 의미하고, K는 양자화되는 픽셀의 DCT 변환된 계수이며, A(QP)는 매핑 테이블에 따른 상수값이며, f는 목표하는 압축 효율에 따라 정해되는 상수값이다.
본 실시예에서 양자화 계수는 K < (220 - f × 220) / A(QP) 인 경우,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0으로 결정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소정의 값으로 결정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과정에서 행해지는 양자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방법은 1차원 DCT 변환된 블록의 DCT 계수들에 대해 픽셀 위치에 따라 선택된 픽셀의 계수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단계 512에서 최좌측열의 픽셀 B의 위치에 해당하는 양자화 값이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 최좌측열의 나머지 픽셀들 C, D에 대해서는 더 이상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지 않고, HBF를 1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필터링 방법에 비해 필터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계산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516, 단계 524, 단계 532에서는 도 5에 도시된 필터링 방법에 따라 구해진, 최좌측 열의 양자화된 계수값, 최상단 행의 양자화된 계수값, 및 최좌측열 및 최상단 행을 제외한 픽셀의 양자화된 계수값으로부터, 블록킹 효과의 정도를 판단하여 대응하는 필터 정보를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
최상단 행 중 DC 성분을 제외한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양자화된 계수가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수신단에서 재현된 픽셀 블록의 수직 방향의 픽셀값이 일정 범위의 같은 값을 갖게 된다. 이같은 경우에는 원래 픽셀 블록의 수평 방향에는 에지 영역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나 수직 방향에는 에지 영역이 존재할 가능성이 극히 낮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재현된 픽셀 블록의 수직 방향에 에지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블록킹 효과에 의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필터 정보로서 수직 방향의 블록킹 플래그 VBF가 1로 세팅된다.
또한, 최좌측 열 중 DC 성분을 제외한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양자화된 계수가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수신단에서 재현된 픽셀 블록의 수평 방향의 픽셀값이 일정 범위의 같은 값을 갖게 된다. 이같은 경우에는 원래 픽셀 블록의 수직 방향에는 에지 영역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나 수평 방향에는 에지 영역이 존재할 가능성이 극히 낮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재현된 픽셀 블록의 수평 방향에 에지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블록킹 효과에 의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한다. 따라서, 필터 정보로서 수평 방향의 블록킹 플래그 HBF가 1로 세팅된다.
최좌측 열 및 최상단 행을 제외한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양자화된 계수가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재현된 픽셀 블록에 링잉 노이즈가 발생되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필터 정보로서 링잉 플래그 RF가 1로 세팅된다.
또한, 이들 DC 성분을 제외한 픽셀 위치의 양자화된 계수 값이 모두 '0'이고, DC 성분와 양자화된 계수값만이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수신단에서 재현될 픽셀 블럭의 모든 픽셀값은 동일한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같은 경우에는 원래 픽셀 블록의 수평 및 수직방향에 에지 영역이 존재할 가능성이 극히 낮음을 의미하고, 재현된 픽셀 블록에 에지 영역이 존재한다면 이는 블록킹 효과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필터 정보로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블록킹 플래그 HVF, VBF가 모두 1로 세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블록 단위로 1차원 수평 방향 DCT 변환을 수행하고, 단계 620에서 픽셀 위치에 따라 선택된 픽셀에 대해 1차원 수직방향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다.
단계 630에서는 단계 620에서 상기 선택된 픽셀의 양자화된 계수값을 검사하여,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계 640으로 진행하여, 검사 결과를 기초로 필터 정보를 생성하고, 단계 650에서 생성된 필터 정보에 따라 적응적인 필터링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선정된 조건은 양자화된 계수값이 '0'이 아닌 소정의 값이거나, 선택되어 양자화된 이전 픽셀이 블록의 최좌측열, 최상단 행, 또는 블록의 마지막 픽셀 중 하나인 경우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방법 및 그 필터를 부호화 장치에서의 루프 필터로서 구현하였으나 복호화 장치에서 사용되는 포스트 필터(post filter)로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방법 및 그 필터를 부호화 장치에서의 루프 필터로서 구현하였으나, 역양자화부(4), 역변환부(5), 제3 스위치(30), 움직임 보상부(6), 루프 필터부(7), 제2 스위치(20) 블록의 루프로 구성되는 복호화 장치에서의 루프 필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블록킹 효과 및/또는 링잉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필터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계산량을 종전의 필터링 방법 및 필터링 장치에 비해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a) 비디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선정된 하나의 방향에 대해 1차원 DCT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선정된 방향의 1차원 DCT 변환된 각 계수에 대해, 픽셀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양자화된 픽셀의 계수 값에 기초하여, 필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에서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필터링 정보는 수직 방향의 블록킹 효과에 연관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에서 DC 성분에 인접한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의 양자화 값이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 (C1) 상기 필터 정보로서 수평 방향 블록킹 플래그 (HBF)를 1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의 양자화 값이 소정의 값을 갖지 않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에서 상기 DC 성분과 상기 선택된 픽셀을 제외한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는, 상기 블록의 최좌측 열에서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필터링 정보는 수직 방향의 블록킹 효과에 연관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좌측 열에서 DC 성분에 인접한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의 양자화 값이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 (c1) 상기 필터 정보로서 수평 방향 블록킹 플래그 (VBF)를 1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의 양자화 값이 소정의 값을 갖지 않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블록의 최좌측 열에서 상기 DC 성분과 상기 선택된 픽셀을 제외한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는,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 및 최좌측 열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필터링 정보는 링잉 노이즈에 연관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의 양자화 값이 소정의 값을 갖는 경우, (c1) 상기 필터 정보로서 링잉 플래그 (RF)를 1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의 양자화 값이 소정의 값을 갖지 않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블록에서 최상단 행 및 최좌측 열 및 상기 선택된 픽셀을 제외한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3. (a) 비디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선정된 하나의 방향에 대해 1차원 DCT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선정된 방향의 1차원 DCT 변환된 계수 값들 중, 선택된 픽셀 위치의 1 차원 DCT 변환된 계수 값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변환된 상기 선택된 픽셀의 계수 값을 양자화하는 단 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양자화된 상기 선택된 픽셀의 계수 값을 기초로 필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생성된 필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 또는 최좌측 열 중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 또는 최좌측 열의 복수개의 픽셀들 중 DC 성분에 인접한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방법은
    (b1) 상기 선정된 방향의 1차원 DCT 변환된 계수 값들 중, 상기 선택된 픽셀이 속하는 최상단행 또는 최좌측 열의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상기 제1 픽셀 이외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의 1차원 DCT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c1) 상기 (b1) 단계에서 변환된 픽셀의 변환된 계수 값을 양자화하는 단계; 및
    (d1) 상기 (c1) 단계에서 양자화된 상기 픽셀의 계수 값을 기초로 필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정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블록킹 효과의 발생 정도를 알려주는 필터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행 및 최좌측행을 제외한 픽셀 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정보는 링잉 노이즈의 발생 정도를 알려주는 필터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방법.
  2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상기 필터링 방법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법.
  21. 제1항 기재의 상기 필터링 방법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복호화 방법.
  22. 제13항 기재의 상기 필터링 방법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복호화 방법.
  23.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선정된 방향으로 1차원 DCT 변환하고, 상기 1차원 DCT 변환된 각 계수 값에 대해, 픽셀의 위치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에 대해 상기 선정되지 않은 방향으로 1차원 DCT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고, 상기 양자화된 픽셀의 계수 값에 기초하여 필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필터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필터링 정보를 기초로 필터 특성치를 결정하는 필터 특성치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특성치에 따라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디블록킹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필터부는 인터 프레임에 대해 블록 단위로 픽셀값들을 변환하기 위한 루프 변환부; 및 상기 루프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값들을 양자화하기 위한 루프 양자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에서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필터링 정보는 수직 방향의 블록킹 효과에 연관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좌측 열에서 DC 성분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며, 상기 생성된 필터링 정보는 수직 방향의 블록킹 효과에 연관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픽셀은 상기 블록의 최상단 행 및 최좌측 열을 제외한 복수개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필터링 정보는 링잉 노이즈에 연관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장치.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상기 필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장치.
  29. 제23항 기재의 상기 필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복호화 장치.
KR1020020024438A 2002-05-03 2002-05-03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084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438A KR100846774B1 (ko) 2002-05-03 2002-05-03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AU2003266120A AU2003266120A1 (en) 2002-05-03 2003-01-15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locking artifacts and/or ringing noise
CN03800902.1A CN1287598C (zh) 2002-05-03 2003-01-15 用于消除区块效应和/或铃振噪声的滤波方法和装置
EP03747541.5A EP1516491B1 (en) 2002-05-03 2003-01-15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locking artifacts and/or ringing noise
PCT/KR2003/000087 WO2003094521A1 (en) 2002-05-03 2003-01-15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locking artifacts and/or ringing noise
US10/359,300 US7145953B2 (en) 2002-05-03 2003-02-06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locking artifacts and/or ringing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438A KR100846774B1 (ko) 2002-05-03 2002-05-03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076A KR20030086076A (ko) 2003-11-07
KR100846774B1 true KR100846774B1 (ko) 2008-07-16

Family

ID=2924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438A KR100846774B1 (ko) 2002-05-03 2002-05-03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5953B2 (ko)
EP (1) EP1516491B1 (ko)
KR (1) KR100846774B1 (ko)
CN (1) CN1287598C (ko)
AU (1) AU2003266120A1 (ko)
WO (1) WO2003094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9977A1 (en) 2002-01-31 2015-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lock artifacts or ringing noise
US7496141B2 (en) 2004-04-29 2009-02-24 Mediatek Incorporation Adaptive de-blocking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PEG video decoder
US7397853B2 (en) 2004-04-29 2008-07-08 Mediatek Incorporation Adaptive de-blocking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PEG video decoder
US7397854B2 (en) 2004-04-29 2008-07-08 Mediatek Incorporation Adaptive de-blocking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PEG video decoder
US7400679B2 (en) 2004-04-29 2008-07-15 Mediatek Incorporation Adaptive de-blocking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PEG video decoder
US7539248B2 (en) 2004-04-29 2009-05-26 Mediatek Incorporation Adaptive de-blocking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PEG video decoder
US7460596B2 (en) 2004-04-29 2008-12-02 Mediatek Incorporation Adaptive de-blocking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PEG video decoder
KR100644618B1 (ko) 2004-07-02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 단위로 부호화된 영상의 블록경계에서의 불연속성제거필터 및 방법
US7697782B2 (en) 2004-09-16 2010-04-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for reducing ringing artifacts
US7136536B2 (en) * 2004-12-22 2006-11-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ve filter
US8218634B2 (en) * 2005-01-13 2012-07-10 Ntt Docomo, Inc. Nonlinear, in-the-loop, denoising filter for quantization noise removal for hybrid video compression
CN101123682B (zh) * 2006-08-11 2011-06-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可减少图像振铃噪声的方法、装置及集成电路
KR101566557B1 (ko) * 2006-10-18 2015-11-05 톰슨 라이센싱 예측 데이터 리파인먼트를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100819289B1 (ko) 2006-10-20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의 디블록킹 필터링 방법 및 디블록킹 필터
US20090060368A1 (en) * 2007-08-27 2009-03-05 David Drezner Method and System for an Adaptive HVS Filter
CN101527841B (zh) * 2008-03-06 2011-05-11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去除图像区块效应的方法及装置
JP5102122B2 (ja) * 2008-06-11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復号化装置及び復号化方法
KR101647376B1 (ko) * 2009-03-30 2016-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01342B1 (ko) 2009-08-14 201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인 루프 필터링을 이용한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391365B1 (ko) * 2010-09-17 2014-05-0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영상 부호화 장치 및 영상 복호 장치
US9635359B2 (en) * 2011-11-28 2017-04-25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blocking filter intensity
US11457239B2 (en) 2017-11-09 2022-09-27 Google Llc Block artefact redu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3971A (ja) * 1994-04-08 1995-10-27 Sony Corp ノイズリデューサ
KR970009302A (ko) * 1995-07-11 1997-02-24 구자홍 광대역 휘도 조절 회로
KR0141082B1 (ko) * 1992-07-02 1998-06-15 모리시타 요이찌 적응에지부 강화필터를 지닌 영상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US5844614A (en) * 1995-01-09 1998-1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deco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302B1 (en) * 1993-08-17 1997-06-10 Lg Electronics Inc Block effect reducing apparatus for hdtv
US5850294A (en) * 1995-12-18 1998-12-1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t-processing images
US5737446A (en) * 1996-09-09 1998-04-07 Hughes Electronics Method for estimating high frequency components in digitally compressed images and encoder and decoder for carrying out same
JPH11187400A (ja) * 1997-12-22 1999-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歪除去方法および歪除去フィルタ
KR100269125B1 (ko) * 1997-10-25 2000-10-16 윤덕용 양자화효과감소를위한영상데이터후처리방법및장치
US6983079B2 (en) * 2001-09-20 2006-01-03 Seiko Epson Corporation Reducing blocking and ringing artifacts in low-bit-rate coding
EP2899977A1 (en) * 2002-01-31 2015-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lock artifacts or ringing noise
US6912255B2 (en) * 2002-05-30 2005-06-28 Mobixell Netwoks Inc. Bit rate control through selective modification of DCT coeffici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082B1 (ko) * 1992-07-02 1998-06-15 모리시타 요이찌 적응에지부 강화필터를 지닌 영상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JPH07283971A (ja) * 1994-04-08 1995-10-27 Sony Corp ノイズリデューサ
US5844614A (en) * 1995-01-09 1998-1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decoding apparatus
KR970009302A (ko) * 1995-07-11 1997-02-24 구자홍 광대역 휘도 조절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66120A1 (en) 2003-11-17
CN1547853A (zh) 2004-11-17
WO2003094521A1 (en) 2003-11-13
EP1516491B1 (en) 2013-09-04
US7145953B2 (en) 2006-12-05
KR20030086076A (ko) 2003-11-07
EP1516491A4 (en) 2012-06-27
EP1516491A1 (en) 2005-03-23
US20040022315A1 (en) 2004-02-05
CN1287598C (zh)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774B1 (ko)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US9467715B2 (en) Filtering method for removing block artifacts and/or ringing noise and apparatus therefor
KR100708202B1 (ko)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KR20050079690A (ko) 필터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