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731B1 -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731B1
KR100845731B1 KR1020010079249A KR20010079249A KR100845731B1 KR 100845731 B1 KR100845731 B1 KR 100845731B1 KR 1020010079249 A KR1020010079249 A KR 1020010079249A KR 20010079249 A KR20010079249 A KR 20010079249A KR 100845731 B1 KR100845731 B1 KR 10084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article siz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127A (ko
Inventor
김동명
조병기
김효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1007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731B1/ko
Priority to AT02291541T priority patent/ATE392920T1/de
Priority to EP02291541A priority patent/EP1319387B1/en
Priority to DE60226207T priority patent/DE60226207D1/de
Publication of KR2003004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기능의 활성물질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적으로 물을 다량 함유한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백 활성물질을 용매에 용해시켜 가교결합 아크릴 파우더로 캡슐화하고 이를 소수화 표면처리시 사용되는 소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백성분 함유 파우더와, 평균입도가 3.5㎛이며 비표면적이 110-150m2/g인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평균입도가 3.7㎛이며 비표면적이 150-180m2/g인 HDI/Trimethylol Hexyllatactone (and) Silica 크로스폴리머, 평균입도가 25㎛이며 비표면적이 100-300m2/g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및 평균입도가 5.0㎛, 흡유량이 0.3㎖-4㎖/g인 무정형 실리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 파우더, 및 제형과 활성물질 안정화를 위한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 성분이 다량 함유된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of Powder-type Containing Whitening Active Material}
본 발명은 미백효과가 큰 기능성 활성물질을 안정화시킨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자극을 극소화하면서 미백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제형적인 측면에서 액상 성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게 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장기에는 일광에 대하여 피부가 쉽게 대응을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피부조직이 점차 변화함에 따라 일광으로 인한 주름살, 피부의 두꺼워짐, 피부의 처짐, 피부 탄력의 상실, 피부의 거칠어짐, 피부의 건조함, 피부얼룩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일광에 의한 이러한 영향이 축적되어 생긴 결과를 통칭하는 용어가 바로 광노화로서, 이와 같은 피부 광노화는 광에 대한 대응력이 약해진 피부에서 일광으로 인해 표피와 진피조직이 변화하고 이로 인해 주름살이 생기며 피부가 누르스름해지고 두꺼워지며 탄력성이 점차 감소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들어 산업사회의 가속화와 더불어 문화수준이 급속하게 향상되면서 그 반대급부적인 현상으로 자동차 대수의 증가, 난방, 에어콘 등에 의한 실내외 대기오염의 심각성이 점점 더해지고 있으며, 나아가 질소화합물에 의한 오존층의 파괴와 환경오염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대기오염이 증가되어 급기야 오존주의보를 발령하는 사태에 이르고 있다. 또한, 봄, 가을에는 꽃가루 등 알러지 물질의 확산으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발생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산업폐수, 가정하수 등에 의한 수질오염 역시 확산되고 있으며, 토양오염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반적인 문화수준의 향상에 따라 화장료를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미(美)에 대한 욕구 또한 증진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피부 광노화 및 공해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보습과 영양공급, 피부미화 차원을 넘어서 피부주름 형성완화 및 개선, 미백효과, 자외선 차단효과, 공해물질에 대한 방어 등의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제품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고, 실제 이러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 및 출시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화장료중 보습이나, 주름방지 또는 미백기능이 부여될 수 있는 제형들로는 스킨, 로션, 크림 등의 전형적인 스킨케어 제품군과, 색채부여에 의한 피부미화나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결점 커버를 위한 메이크업 화장료를 들 수 있는데, 이중에서도 주름방지 또는 미백 활성물질 등의 액상성분을 함유한 분말형 제품류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상성분을 다량 함유한 파우더 제형의 경우 비표면적이 80㎡/g이상인 소수화 실리카, 불소화합물 표면처리 파우더, 유성성분 및 수성성분(30-90%)으로 구성되는 일본특허 특개평 6-1661과 특개평 5-65212의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특허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위 무정형 실리카를 이용하여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파우더 표면이 너무 친수상태이면 파우더 제형이 잘 구성되지 않으므로 실리콘 및 불소화합물로 적당량 소수화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형들은 파우더의 혼합이 균일하지 않은 상태에서 액상성분이 투입되는 경우 또는 혼합시 혼합기의 혼합속도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에 파우더 제형이 균일하게 되지 않는 단점과 사용시 뭉침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고, 특히 유용성 감초추출물, 비타민 C 및 그유도체 등과 같은 활성물질을 혼용하기가 어려우며 역가 및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메이크업 화장료 제품군중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안정화시켜 제조한 화장료의 사례들을 들 수 있는데, 바로 수중유(O/W)형이나, 유중수(W/O)형의 유화제형 화장료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화제형 화장료들의 경우, 액상성분을 다량 함유한 파우더 제형에서는 그 상용성이 너무 우수하여, 즉 친수성이 너무 강해 파우더와 쉽게 엉김으로써 제형의 제조가 쉽지 않고 사용시 끈쩍임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역가 보존율이 나쁘고, 변색, 변취 등의 치명적인 약점이 있어 본 발명과 같은 액상함유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미백 효과를 부여하면서, 피부 보정효과가 있어 피부결점을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면서도 기능성물질의 안정화 및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제형 즉, 액상성분이 다량 함유된 파우더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미백 활성물질을 용매에 용해시켜 가교결합 아크릴 파우더로 캡슐화하고, 이를 소수화 표면처리시 사용되는 소수화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백성분 함유 파우더와, 평균입도가 3.5㎛이며 비표면적이 110-150m2/g인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평균입도가 3.7㎛이며 비표면적이 150-180m2/g인 HDI/Trimethylol Hexyllatactone (and) Silica 크로스폴리머, 평균입도가 25㎛이며 비표면적이 100-300m2/g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및 평균입도가 5.0㎛, 흡유량이 0.3㎖-4㎖/g인 무정형 실리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 파우더, 및 제형과 활성물질 안정화를 위한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성분을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백기능의 활성물질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적으로 액상성분을 다량 함유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용성 미백 활성물질을 가교결합(cross-linked) 아크릴 파우더에 캡슐화(encapsulation)시킨 후 소수성 고분자로 2차 코팅하고, 이를 수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파우더 제형에 적용한, 미백 활성성분이 포함된 액상성분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미백효과를 부여하면서, 피부 보정효과가 있어 피부결점을 효과적으로 커버함과 동시에, 기능성물질의 안정화 및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수년간 연구를 수행한 끝에, 일반적으로 파우더는 액상성분과의 상용성이 나쁘다는 점을 역이용하여 액상성분을 효과적으로 함유할 수 있는 무정형의 파우더를 이용 액상성분이 다량 함유된 파우더 제형을 개발하고, 여기에,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코직애씨드, 상지추출물 등 미백효과를 가지고는 있으나 파우더 제형 내에서는 불안정하던 기능성 물질들을, 에스테르, 부틸렌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가교결합 아크릴 파우더에 캡슐화시키고 소수성 고분자로 2차 코팅하여 안정화하여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기능성 물질이 사용전, 후에 서서히 용출되어 나올 수 있도록 제조된 본 발명의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백성분은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 1.0-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완성은 크게 3가지의 세부 부문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우더 제형에서 미백 활성물질의 안정성 및 역가보존에 관한 것으로 서, 알부틴, 코직애씨드,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유용성 감초추출물, 상지추출물, 에칠아스코빌 에테르, 마그네슘아스코빌 포스페이트 등 미백효과가 큰 물질을, BHT[2,6 bis(1,1-dimethylethyl)-4-methoxyphenol], BHA[buthylated hydroxyanisole],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폴리페놀 및 캄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산화 물질과 함께, 제조할 캡슐화 파우더 기준 1-30중량%의 양으로, 유성 또는 수성의 용매, 구체적으로 헥실라우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등에 투입하여 용해하고, 이를 가교결합 아크릴 파우더로 캡슐화한 후 냉동건조하여 입도를 제형특성에 맞게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매중 수성계로는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콘작 등을 들 수 있으며, 유성계로는 헥실라우레이트, 스쿠알란, 트리옥틸도데실사이트레이트 등과 상온에서 액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모든 종류의 유성물질, 즉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합성유, 광물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기능성 성분 함유 캡슐을 파우더 제형에서의 사용성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소수화 표면처리를 하게 되는데, 여기서 소수화 표면처리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소수화 정도가 약할 경우, 물에 쉽게 엉겨 제형화가 곤란해지고, 소수화가 너무 강할 경우 사용시 사용감촉이 나빠지며 역시 제형화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소수화 표면처리시 사용되는 소수화 고분자 물질의 종류는 화장료의 사용성, 안정성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등의 실리콘계와 불소유도체, 아미노산염 등으로 표면처리를 하게 될 경우, 소수화는 어느 정도 만족스러우나 안정성 확보, 사용성 측면에서 단점을 가지게 되므로, 본 출원인은 소수화 표면처리시 사용되는 소수화 고분자로 사이크로메치콘과 디메치콘,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세틸 디메치콘코폴리올를 혼용한 물질을 사용하여 표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표면처리시 상기 표면처리 물질의 적정 함량은 상기 캡슐화된 파우더 기준 0.5-5%중량%로서, 바람직하게는 0.5-2.0%이다.
표면처리 물질의 함량이 0.5% 미만일 경우 소수화정도가 약해 유용성의 기능성 물질이 수상성분에 용출되는 단점이 있음과 동시에 사용성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고, 2.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안정성은 우수하나 물과의 친화력이 너무 적어 제형화가 어렵고 사용시 밀리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실리콘 물질의 조성과 혼용비도 중요한데 본발명에서는 사이크로메치콘 : 디메치콘 :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 세틸 디메치콘코폴리올을 전체 표면처리물질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28~40중량% : 48~60중량% : 3~10중량% : 0.1~2.0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세부 부문은 액상성분을 다량 함유한 파우더 제형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성성분을 효과적으로 함수하기 위해 평균입도가 3.5㎛이며 비표면적이 110-150m2/g인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평균입도가 3.7㎛이며 비표면적이 150-180m2/g인 HDI/Trimethylol Hexyllatactone (and) Silica 크로스폴리머, 평균입도가 25.0㎛이며 비표면적이 100-300m2/g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및 평균입도가 5.0㎛, 흡유량이 0.3㎖-4㎖/g인 무정형 실 리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파우더로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파우더는 액상성분 함량에 따라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 5-15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파우더로는, 이외에 색상이나 펄감을 부여하고자 할 때 산화철, 이산화티탄, 펄 등이 적당량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세부 부문은 액상성분이 다량 함유되고 유용성 활성 물질이 안정화된 파우더의 안정성 및 사용성의 확보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성분이 파우더에 혼합됨에 따라 스프레이로 분무시 뭉침발생 등이 야기되고, 상용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수성성분)/실리콘 유화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유화베이스에 의해 제형의 안정성, 유용성 기능성물질 안정화 등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었으며, 초기 퍼짐성을 우수하게 하고 마무리시 수성성분이 피부에 침투됨으로써 부착 및 지속성이 향상될 수 있었고, 파우더의 가루날림을 방지하는 효과 등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중 폴리올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만난, 소이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실리콘으로는 사이크로메치콘, 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실리콘 파우더, 세틸디메치콘 코폴리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과 실리콘은 유화베이스 총량 기준 각각 5-20중량% 및 2-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상기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 제조시에는 제조되는 유화베이스 기준 70-93중량% 양으로 정제수가 첨가되는데, 이상과 같은 조성 및 함량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최종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물 및 글리세린 등의 액상성분이 50-80중량%의 양을 차지하게 된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 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제조예]
먼저, 본 발명 실시예의 제조를 위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미백 활성화 물질을 비타민 C 등 다른 유효성분과 함께 유성전달매체에 용해시키고 가교결합 아크릴 파우더에 캡슐화 함으로써 1차적으로 안정화 하였다.
No. 성분 샘플 1 샘플 2
1 가교결합 아크릴파우더 83.7 81.7
2 비타민 C - 3.0
3 1, 3-부틸렌글리콜 - 15.0
4 유용성 감초 추출물 1.0 -
5 헥실라우레이트 15.0 -
6 BHT 0.2 0.2
7 메칠파라핀 0.1 0.1

(제조방법)
1) 원료 1을 초고속 헨셀믹서에 투입하고, 혼합속도 1000rpm으로 혼합시킨다.
2) 원료2-6을 상온에서 초고속 Ultra mixer를 이용하여 용해시킨다.
3) 상기 2)를 혼합속도 3000rpm으로 혼합시키면서 상기 1)에 서서히 투입을한 후, 냉동건조시킨다.
다음에, 이렇게 제조된 기능성 성분 함유 캡슐을 수분이 다량 함유된 제형에서의 상용성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소수화 표면처리 함으로써 2차적으로 안정화하였다.
No. 성분 샘플 3 샘플 4
1 샘플 2 98 -
2 샘플 1 - 97.5
3 사이크로메치콘 0.50 0.40
4 디메치콘 1.20 1.33
5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0.20 0.20
6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머 0.10 0.07

(제조방법)
1) 원료 3-6을 초고속 Ultra mixer를 이용하여 3500rpm에서 20분간 균일하게 혼합한다.
2) 원료 1, 2를 초고속 헨셀믹서에 투입하고, 혼합속도 1000rpm으로 혼합시키면서 상기 1)을 스프레이 분무하고 냉동건조한 후, 50mesh를 이용하여 여과시킨다.
다음에, 제형의 안정성, 유용성 기능성물질 안정화 등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로서,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를 제조하였다.
No. 성분 샘플 5 샘플 6
1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0.4 0.5
2 디메치콘(6cs) 10.0 5.0
3 디메치콘(100cs) - 5.0
4 사이크로 메치콘 3.0 5.0
5 라우릴 디메치콘 코폴리올 0.3 0.5
6 정제수 To 100 To 100
7 글리세린 10.0 5.0
8 1,3-부틸렌글리콜 5.0 10.0
9 콘작 0.5 0.5
10 D.L 판테놀 0.1 0.1
11 방부제 q.s q.s
12 착향제 q.s q.s

(제조방법)
원료 1-5를 70-75도씨로 가온하고, 원료 6-11를 70-75도씨로 가온하여 방부제등을 용해시킨 후, 유상 파트에 수상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Homo Rpm 3000에서 10분간 유화시키고, 원료 12를 투입하여 1분간 유화시킨 다음, 30℃까지 냉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표 1, 2 의 조성에 따라 제조한 안정화 미백성분 함유 파우더와 표 3의 조성에 따라 제조한 유화베이스를 이용하여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No.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 샘플 1 3.0 - - - -
2 샘플 3 - 3.0 - - -
3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5.0 3.0 5.0 5.0 -
4 유용성 감초추출물 (스쿠알란 0.10% 용해) - - - - 0.5
5 HDI/Trimethylol Hexyllatactone 크로스폴리머 (and) Silica 5.0 12.0 5.0 5.0 -
6 실리카(소수화) - - - - 10.0
7 유용성 감초추출물 - - - 3.0 3.0
8 정제수 - - - To 100 To 100
9 농글리세린 - - - 8.3 -
10 1, 3 부틸렌 글리콜 - - - 4.15 -
11 방부제 - - - q.s q.s
12 샘플 5 To 100 - To 100 - -
13 샘플 6 - To 100 - - -
14 샘플 2 - - 3.0 - -
15 유용성 감초추출물 (O/W 에멀젼 0.1% 함유) - - - - 0.5
16 폴리페놀 0.2 0.2 0.2 0.2 0.2

(제조방법)
1) 원료 1-6을 헨셀믹서에 투입하고 혼합한다.
2) 원료 7-15를 아지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1)에 서서히 스프레이 분무하면서 제형한다.
[시험예 1]
상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분말화 상태로서 제조용이성을, 45℃ 4주 보관후 변색 및 변취 정도와 1개월 보관후 역가보존율로서 안정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이중 제조용이성은 관능시험으로, 역가는 제조 직후 및 45℃ 1개월 보관후에 HPLC를 이 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시험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제조직 후 a a b c c
1개월 경과 (45℃) c b a d d
a: 95% 이상 양호, b: 80% 이상 양호, c: 70% 이상 양호, d: 50% 미만 양호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변색, 변취 (45??, 4주후) c b a d d
역가 보존율 (%) 직후 1개월 직후 1개월 직후 1개월 직후 1개월 직후 1개월
99.4 99.0 99.7 98.6 99.5 97.3 98.4 55.5 98.6 57.6
a: 95% 이상 양호, b: 80% 이상 양호, c: 70% 이상 양호, d: 50% 미만 양호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형화(분말화) 면에서 비교예에 비해 훨씬 용이하고, 고온에서의 제형 유지도 면에서도 더 우수한 것으로 나나났다. 이는 본 발명과 같은 수분이 다량 함유된 제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정한Water-Proof 기능이 있어야 하고, 수분을 다량 함유한 분말상의 특성인 고온안정도가 저하되는 점을 극복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 파우더의 단순 소수화보다는 실리콘 혼합물로 표면처리하고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파우더 입자뭉침이 방지되고, 고온 안정성이 훨씬 우수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45℃에서 1개월 보존한 후의 역가 측정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역시 본 발명의 표면처리와 폴리 올/실리콘 유화베이스가 일반 유화제형과 단순혼합에 비하여 유화막의 안정성이 더 우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2]
상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피부자극과 사용성 및 사용시 액화상태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의 화장료로서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시험하였다.
시험방법은 폐쇄 첩포시험 방법으로서, 25-35세의 여성 20명에게 24시간 동안 시험제품을 부착하게 한 후 제거하여 피부자극 정도를 관능시험으로 판정하도록 하였으며, 판정기준은 피부자극이 전혀 없는 경우를 0, 심한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관능값의 평균을 기재하였으며, 시험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시험군을 이용하여 1달간, 1일 1회씩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그 사용성 및 사용시 액화상태의 관능값을 측정하게 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피부자극 0.4 0.7 0.9 3.3 2.7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사용성 a b a d e
사용시 액화상태 b b a c c
a: 매우 우수, b: 80% 우수, c: 70% 보통 d: 나쁨 e:매우 나쁨
표 7의 시험 결과를 볼 때,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안전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피부자극물질인 유용성 감초추출물 등의 기능성 물질이 파우더에 캡슐화되어 있음으로 인해 소량씩 서서히 방출됨으로써 피부자극이 극소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표 8의 시험결과를 볼때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비교에에 비하여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그 제형의 특성상 육안으로 보기에는 분말상이나 사용시에는 액상으로 변하는 제형으로서, 피부에 도포시 부드럽게, 자연스럽게 스며들며 파우더감이 없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를 사용하여 액상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이를 달성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시험예 3]
상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색채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효과를 시험하였다.
색채변화의 측정은 온도 24-26℃, 습도 38-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건강한 여성 20명(25-35세)을 대상으로 두 가지의 제품을 각각 피검자의 왼쪽과 오른쪽의 얼굴에 하루 2회씩 2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Colorimetere를 이용하여 사용 전,후의 피부밝기차이 L(Lightness)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시험결과는 하기 표 9에 좌측과 우측의 L값의 차이 ΔE로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ΔE 1.0 1.4 1.5 0.20 0.35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미백효과가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캡슐화된 미백기능성 물질이 서서히 더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미백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피부 보정효과가 있어 피부결점을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면서도 기능성물질의 안정화 및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제형 즉, 액상성분이 다량 함유된 파우더제형의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 인해, 캡슐화된 미백성분이 서서히 방출됨으로써,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고, 장기간 보관 후에도 변색, 변취 등을 일으키지 않음은 물론 그 화장료로서의 역가를 간직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파우더 제형에서 볼 수 있는 가루날림 현상까지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2)

  1. 알부틴, 코직애씨드,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유용성 감초추출물, 상지추출물, 에칠아스코빌 에테르 및 마그네슘아스코빌 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활성물질이 포함된 액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미백 활성물질을 항산화제와 함께 용매에 용해시켜 가교결합 아크릴 파우더로 캡슐화하고, 이를 사이크로메치콘, 디메치콘,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세틸 디메치콘코폴리올을 혼합한 표면처리물질인 소수화 표면처리시 사용되는 소수화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백성분 함유 파우더와;
    평균입도가 3.5㎛이며 비표면적이 110-150m2/g인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평균입도가 3.7㎛이며 비표면적이 150-180m2/g인 HDI/Trimethylol Hexyllatactone (and) Silica 크로스폴리머, 평균입도가 25.0㎛이며 비표면적이 100-300m2/g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및 평균입도가 5.0㎛, 흡유량이 0.3㎖-4㎖/g인 무정형 실리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 파우더와;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사이크로메치콘 : 디메치콘 :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 세틸 디메치콘코폴리올을 전체 표면처리물질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28~40중량% : 48~60중량% : 3~10중량% : 0.1~2.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미백 활성물질은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 1.0-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미백 활성물질을 용해시키는 용매는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콘작 중에서 선택되는 수성계 용매와, 헥실라우레이트, 스쿠알란, 트리옥틸도데실사이트레이트,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합성유 및 광물유 중에서 선택되는 유성계 용매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는 BHT[2,6 bis(1,1-dimethylethyl)-4-methoxyphenol], BHA[buthylated hydroxyanisole],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폴리페놀 및 캄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 0.05-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소수화 표면처리시 사용되는 소수성 고분자는 캡슐화된 파우더 기준 0.5-5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혼합 파우더는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 5-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중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만난 및 소이폴 중 어느 하나이며, 실리콘은 사이크로메치콘, 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실리콘 파우더 및 세틸디메치콘 코폴리올 중 어느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중 폴리올과 실리콘은 유화베이스 총량 기준 각각 5-20중량% 및 2-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정제수가 유화베이스 총량 기준 70-93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최종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기준 액상성분이 50-80중량%의 양을 차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79249A 2001-12-14 2001-12-14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10084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249A KR100845731B1 (ko) 2001-12-14 2001-12-14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AT02291541T ATE392920T1 (de) 2001-12-14 2002-06-20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in form eines pulvers enthaltend hautweissungsmittel
EP02291541A EP1319387B1 (en) 2001-12-14 2002-06-20 Cosmetic compositions of powder-type containing whitening ingredient
DE60226207T DE60226207D1 (de) 2001-12-14 2002-06-20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in Form eines Pulvers enthaltend Hautweissungsmitt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249A KR100845731B1 (ko) 2001-12-14 2001-12-14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127A KR20030049127A (ko) 2003-06-25
KR100845731B1 true KR100845731B1 (ko) 2008-07-11

Family

ID=1971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249A KR100845731B1 (ko) 2001-12-14 2001-12-14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319387B1 (ko)
KR (1) KR100845731B1 (ko)
AT (1) ATE392920T1 (ko)
DE (1) DE6022620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482B1 (ko) * 2002-02-05 2008-05-21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01309B1 (ko) * 2002-08-01 2005-07-18 앨트웰코스메틱 주식회사 알부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493846B1 (ko) * 2003-01-23 2005-06-0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젤라틴 캡슐의 내용물로서의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US20050031699A1 (en) 2003-06-26 2005-02-10 L'oreal Porous particles loaded with cosmetically or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FR2856594B1 (fr) * 2003-06-26 2006-03-03 Oreal Particules poreuses chargees en compose(s) actif(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KR100604244B1 (ko) * 2004-01-20 2006-07-25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토마토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2874321B1 (fr) * 2004-08-17 2010-11-26 Oreal Composition topique comprenant des particules poreuses chargees et un compose absorbant le sebum
KR100710657B1 (ko) * 2005-11-24 2007-04-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768113B1 (ko) * 2005-12-02 2007-10-18 주식회사 케미랜드 분체 상의 화장료 조성물
BR112012029160A8 (pt) 2010-05-18 2017-06-06 Unilever Nv Composições para clarear a pele, processo para preparar um extrato, uso de um extrato e método cosmético para clarear a pele
KR102644390B1 (ko) * 2015-11-30 2024-03-07 (주)아모레퍼시픽 혼합 용이성이 확보된 이액 제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5973A (ja) * 1995-12-21 1997-07-08 Beiersdorf Ag 疎水性無機微細顔料を含有する、化粧品及び皮膚科用光線防御調製物
JPH1067630A (ja) 1996-05-23 1998-03-10 Unilever Nv 遮光剤を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KR19980070544A (ko) * 1997-01-24 1998-10-26 고바야시야스키요 미백 파우더
KR19980069943A (ko) * 1997-02-18 1998-10-26 유상옥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000022491A (ko) * 1996-07-02 2000-04-25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피부 미백 조성물
KR20000065646A (ko) * 1999-04-07 2000-11-15 손경식 미백 기능이 있는 w/s 유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769A (en) * 1989-08-01 1993-08-03 Kanebo, Ltd. Microcapsule, treating liquids containing the same, and textile structure having microcapsules adhering thereto
US5411741A (en) * 1993-07-29 1995-05-02 Zaias; Nardo Method and composition for skin depigmentation
JP4514902B2 (ja) * 1999-08-24 2010-07-28 株式会社コーセー 含水粉末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当該粉末組成物を含有する化粧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5973A (ja) * 1995-12-21 1997-07-08 Beiersdorf Ag 疎水性無機微細顔料を含有する、化粧品及び皮膚科用光線防御調製物
JPH1067630A (ja) 1996-05-23 1998-03-10 Unilever Nv 遮光剤を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KR20000022491A (ko) * 1996-07-02 2000-04-25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피부 미백 조성물
KR19980070544A (ko) * 1997-01-24 1998-10-26 고바야시야스키요 미백 파우더
KR19980069943A (ko) * 1997-02-18 1998-10-26 유상옥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000065646A (ko) * 1999-04-07 2000-11-15 손경식 미백 기능이 있는 w/s 유형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6207D1 (de) 2008-06-05
KR20030049127A (ko) 2003-06-25
ATE392920T1 (de) 2008-05-15
EP1319387A3 (en) 2006-05-17
EP1319387B1 (en) 2008-04-23
EP1319387A2 (en)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719B1 (ko) 주름개선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76978A (ko) 일소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용 자기-태닝제
CA2292669A1 (en) Wet appliable sunscreen and makeup and method for testing sunscreens for efficacy
EP2174639A1 (en) Body cosmetic for wet skin
KR100845731B1 (ko)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EP1541126B2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ine Kombination aus grünem Farbstoff und antiinflammatorischem Wirkstoff
EP0802785A1 (en) 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s with dermatologically active agents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617B1 (ko) 지속성 및 제형 안정성이 개선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
BR112021011123A2 (pt) Composição, uso da mesma, processo cosmético para o cuidado de um material de queratina, notavelmente a pele, e mais particularmente a pele do rosto e processo para tornar a pele do rosto opaca e/ou para reduzir o seu brilho
US5976510A (en) Cosmetic tanning and sunscreen agent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6979B1 (ko)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49925B1 (ko)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를 포함하는 액상 성분 함유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8065A (ko) 아스타잔틴-포함 액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27915B1 (ko)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27894B1 (ko)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668880B1 (ko) 무기안료 캡슐 입자가 분산된 실리콘을 함유한 투명겔 화장료 조성물
KR101396277B1 (ko) 바인더로 유중다가알코올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