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618B1 -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 Google Patents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618B1
KR100844618B1 KR1020060133893A KR20060133893A KR100844618B1 KR 100844618 B1 KR100844618 B1 KR 100844618B1 KR 1020060133893 A KR1020060133893 A KR 1020060133893A KR 20060133893 A KR20060133893 A KR 20060133893A KR 100844618 B1 KR100844618 B1 KR 100844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
blockage
dryer
flow path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59940A (en
Inventor
김양환
김경훈
구자인
김주현
배순철
민주영
허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618B1/en
Priority to CA2599375A priority patent/CA2599375C/en
Priority to US11/849,531 priority patent/US8387272B2/en
Priority to DE102007042061.9A priority patent/DE102007042061B4/en
Priority to CN2007101487325A priority patent/CN101139793B/en
Publication of KR2008005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조정장치를 통하여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또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a dryer that displays a degree or condition of a blockage of an air flow path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인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은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막힘 정도를 원격조정장치로 송신하는 건조기와, 상기 막힘 정도를 상기 건조기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원격조정장치로 이루어진다. The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the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nd transmits the blockage degree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to receive the blockage degree from the dryer and display the blockage degree through a display unit. It consists of an adjusting device.

Description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Clogging Detection System of Dryer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yer of FIG. 1.

도 3은 도 1의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er of FIG. 1.

도 4는 도 1의 건조기의 부분 절개도이다. 4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the dryer of FIG. 1.

도 5는 도 1의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clogging detection apparatus of the dryer of FIG.

도 6은 도 5의 마이컴이 인식하는 온도에 따른 건조 동작의 온/오프 그래프들이다. FIG. 6 is an on / off graph of a drying operation according to a temperature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의 구동 순서도이다. 7 is a driving flowchart of the clogging detection apparatus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의 다른 구동 순서도이다. 8 is another driving flowchart of the clogging detection apparatus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1의 원격조정장치의 구성도이다.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1.

도 10은 도 1의 막힘 감지 시스템의 제1 동작 실시예이다. FIG. 10 is a first operation embodiment of the blockage detection system of FIG. 1.

도 11은 도 1의 막힘 감지 시스템의 제2 동작 실시예이다. FIG. 11 is a second operation embodiment of the blockage detecting system of FIG. 1.

도 12는 도 1의 막힘 감지 시스템의 제3 동작 실시예이다. 12 is a third operation embodiment of the blockage detection system of FIG. 1.

도 13 내지 도 15은 도 1의 원격조정장치에 표시되는 표시예들이다. 13 to 15 are display examples displayed on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1.

도 16 내지 도 20은 도 1의 원격조정장치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들이다. 16 to 20 are other display examples displayed on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9a: 입력부 9b: 표시부9a: input section 9b: display section

30: 히터 72: 모터30: heater 72: motor

90: 마이컴 100: 원격조정장치90: micom 100: 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조정장치를 통하여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또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a dryer that displays a degree or condition of a blockage of an air flow path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일반적으로 건조 세탁기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감싸며, 세척수가 집수되는 터프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과 연결되어 세척수 또는 상기 세제통의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과, 세탁행정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 끝단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강제로 배수시키기 위한 펌프 및 배수호스로 구성된다.In general, a dry washing machin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drum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 toughness surrounding the drum and collecting wash water,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drum, and a detergent container for injecting detergent.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detergent container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water mixed with the detergent of the detergent container,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used in the washing stroke to the outside, and forcibly draining the washing wat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rain pipe. It consists of pump and drain hose.

이러한,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드럼속에 빨랫감과 세척수를 넣고 드럼이 회전될 때 빨랫감이 중력방향으로 낙하되면서 발생되는 세척수와의 마찰에 의하여 세탁하는 것이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는 근래에 들어 그 기능이 부가되어 세탁 뿐만이 아니라, 빨래감을 열풍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Such a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is to wash laundry by friction with the washing water generated by dropping the laundry feeling and washing water into the drum and the washing feeling fall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when the drum is rotated. In recent years, such a drum washing machine has been added to its function, and has reached the stage of drying not only washing but also washing by hot air.

상기와 같은 건조 세탁기는, 다시 응축식과 배기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응축식은 히터에서 발생된 열기를 송풍팬에 의하여 드럼측으로 보내어 드럼내의 빨랫감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빨래를 건조시킨 드럼내의 공기는 고온다습한 상태가 되며 터브와 연통된 배기구로 이동된다. 이때, 배기구의 일측에는 차가운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이 부설되어 상기 고온다습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를 다시 송풍팬에 공급하게 된다.The dry wash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may be further divided into condensation type and exhaust type, and the condensation type sends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to the drum side by a blowing fan to dry the laundry in the drum. At this time, the air in the drum drying the laundry is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state and is moved to the exhaus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tub. At this time, a nozzle for injecting cold wate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port to remove moisture from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ir to supply dry air to the blower fan again.

그리고, 배기식은 드럼내의 빨래감에 히터와 송풍팬에서 발생된 열풍을 통과시킨 후 상기 열풍을 세탁기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서 그대로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는 터프와 연결되는 주름진 호스로 연결되며,이 배기구는 유아나 애완동물등이 세탁기 내에 갇히었을 때 숨구멍의 역활을 하게 된다.In the exhaust type,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eater and the blower fan is passed through the laundry in the drum, and then the hot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exhaust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Here, the exhaust port is connected by a corrugated hose that is connected to the tough, the exhaust port serves as a pore when the infant or pet is trapped in the washing machine.

이러한, 배기식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건조시 빨랫감에서 린트(미세한 보푸라기)가 발생하게 된다. 린트는 세탁기 내의 드럼에서 열풍을 따라 순환하여 배기구를 따라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In such a washing machine having an exhaust type drying function, lint (fine lint) is generated in the dryness of the laundry. The lint circulates along the hot air from the drum in the washing machine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washing machine along the exhaust port.

세탁 후 빨랫감으로부터 발생되는 린트가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에 쌓이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린트를 수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세탁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린트가 배기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구 내에 린트 필터가 장착된다. Lint filter in the exhaust port to prevent lint from blocking the exhaust port due to long-term use of the washing machine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collect the lint regularly so that lint generated from the feeling of washing after washing does not accumulate in the exhaust outle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Is fitted.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배기구가 연결되는 외벽을 관통하도록 되 므로, 외벽을 관통하는 배기구의 초기 상태(설치시)를 확인하는 절차를 전혀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기의 동작을 위한 최소한의 사양을 충족시키는지를 설치자가 임의로 판단할 수 밖에 없다. Since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passes through the outer wall to which the exhaust port is connected, no procedure for checking the initial state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exhaust port penetrating the outer wall is performed. The installer has no choice but to judge whether it meets the requirements.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의류 건조기 사용시마다 필터 청소를 권고하고 있으나, 청소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으로 인해 거의 필터 청소를 소홀히 하게 되어, 건조를 수행함에 따라 필터의 막힘 정도가 심해져서, 건조시간이 증가하게 되거나 전력소비가 증가하게 되며, 그 막힘 정도가 심할 수록 미세한 린트가 필터에 포집되지 않고 부유하다가 의류 및 건조기 내부에 달라붙어 의류를 오염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 건조기 외부로 건조작용을 수행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 자체에 린트가 적층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러한 배기구의 막힘을 확인하는 것을 상당히 곤란하다. In addition,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commends cleaning the filter every time the clothes dryer is used, but the filter is almost neglected due to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of cleaning. As time increases or power consumption increases, the greater the degree of blockage, the finer the lint is not trapped in the filter, it can float and cling inside the clothes and dryers, contaminating the clothes. Moreover, in the case of the exhaust type dryer, it is quite difficult for the user to confirm the blockage of such an exhaust port when lint is laminated on the exhaust port itself, which discharges the air which has been dried out of the dryer, to hinder the flow of air.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배기구의 막힘만을 판단하거나 확인할 뿐이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배기구 또는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대해서는 어떠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In addition,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nly determines or confirms the clogging of the exhaust port, but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exhaust port or the air flow passage that is currently in progres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er clogging detection system that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which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short or long distance.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와 함께 막힌 부분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하여 원격조정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독자적으로 제공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및 원격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clogging detection system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or independently provid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by checking the information on the blocked portion along with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보의 확인 요청 및 표시를 수행하는 원격조정장치 및 그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n interface device thereof for performing a request for confirmation and display of clogging information in an air passage.

본 발명인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은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막힘 정도를 원격조정장치로 송신하는 건조기와, 상기 막힘 정도를 상기 건조기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원격조정장치로 이루어진다. The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the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nd transmits the blockage degree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to receive the blockage degree from the dryer and display the blockage degree through a display unit. It consists of an adjusting device.

이때, 상기 원격조정장치는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대한 요청명령을 상기 건조기로 송신하고, 이에 상기 건조기가 상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원격조정장치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device preferably transmits a request command for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o the drier, and thus the dryer determine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또한, 상기 원격조정장치는 상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명령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 user's request command for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또한, 상기 건조기는 상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명령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ry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 user's request command for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또한, 상기 건조기와 원격조정장치는 전력선 통신 또는 무선주파수 통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yer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perform communication according to power line communication o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막힘 정도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preferably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visually or acoustically.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막힘 정도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preferably displays the degree of clogging in at least two stages.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막힘 정도가 임계단계 이상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warning message when the degree of block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level.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막힘 정도와,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preferably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lint filter and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막힘 정도를 문자, 도형, 숫자, 그래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preferably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us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figure, a number, and a graph.

또한, 본 발명인 원격조정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건조기로부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devic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from the dryer,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blockage.

또한, 본 발명인 원격조정장치는 건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건조기로부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수신하도록 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remote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dryer,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eans to receive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from the drye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means, the blockage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egree.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힘 감지 시스템은 건조 동작을 수행하면서 공기유로의 막힘 상태 등을 판단하는 건조기(1)와, 건조기(1)로부터 공기유로의 막힘 상태 등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원격조정장치(100)와, 건조기(1)와 원격조정장치(1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네트워크(200)로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logging detection system includes a drier 1 for determining a clogged state of an air flow path and a remote contro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clogged state of an air flow path from the drier 1 while performing a drying operation. And a communication network 200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dryer 1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100.

먼저, 건조기(1)는 기본적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하며, 부가적으로 공기유로의 막힘 상태, 막힘 정도, 또는 막힘 진행 정도, 예상 에너지 소비량 등을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과정은 하기에서 개시된다. First, the dryer 1 basically performs a drying operation, and additionally determines a blockage state, a blockage degree, or a blockage progression degree, an expected energy consumption amount, and the like of the air flow path. This determination process is described below.

원격조정장치(100)는 공기유로의 막힘 상태, 막힘 정도, 또는 막힘 진행 정도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110)과, 사용자로부터 공기유로의 막힘 상태 등에 대한 요청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120) 및, 하기에서 개시되는 통신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진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이루어진다.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display means 110 for displaying a blocked state, a blocked degree, or a blocked progression degree of the air flow path, and an input means 120 for receiving a request command for a blocked state of the air flow path from a user. And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dryer including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disclosed below. A more detailed description follows.

통신 네트워크(200)는 예를 들면 전력선 통신 매체이거나, 무선주파수 통신 매체가 적용될 수 있다. 이 통신 네트워크(200)는 건조기(1)와 원격조정장치(100)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있을 때에 적절하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be, for example,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dium, or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edium may be applied. This communication network 200 allows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s appropriate when the dryer 1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100 are in a short or long distan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부분 절개도이다. 본 발명은 배기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배기식 건조기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xhaust type dryer as an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haust type dryer.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 내측에 배치되어 포가 수용되는 드럼(10)과, 드럼(10)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흡입 유로(20)와, 흡입 유로(20) 상에 설치된 히터(30)와, 드럼(10)을 통과한 공기가 캐비닛(1) 외부로 배기되도록 설치된 배기 유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배기식 건조기가 설치되는 경우, 배기 유로(40)에 결합되어 건물의 내벽(60) 등을 관통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외부 배기덕트(5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2, the exhaust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rum 10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 to accommodate a fabric and a suction flow path 20 installed to suck air into the drum 10. And a heater 30 provided on the suction passage 20 and an exhaust passage 40 install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rum 1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In addition, when the exhaust type dryer is installed, an external exhaust duct 50 coupled to the exhaust flow passage 40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wall 60 of the building and the like to exhaust the air to the outside is installed.

송풍팬(43)은 흡입 유로(20)와 배기 유로(40) 중 일측에 설치되며, 이하에서는 배기 유로(4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blower fan 4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flow path 20 and the exhaust flow path 40, and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exhaust flow path 4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은 베이스 팬(2)과, 베이스 팬(2)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 본체(3)와, 캐비닛 본체(3)의 전면에 설치된 캐비닛 커버(4)와, 캐비닛 본체(3)의 배면에 설치된 백 패널(7)과, 캐비닛 본체(3)의 상면에 설치된 탑 커버(8)와, 캐비닛 커버(4)의 상단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abinet 1 includes a base fan 2, a cabinet main body 3 installed above the base fan 2, and a cabinet cover provided in front of the cabinet main body 3. (4), a back panel (7) provided on the back of the cabinet body (3), a top cover (8)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body (3), and a control panel (9) provided on the top of the cabinet cover (4).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캐비닛 커버(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가 드럼(10)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포 출입홀(5)이 형성됨과 아울러 포 출입홀(5)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캐비닛 커버(4)의 상단에는 컨트롤 패널(9)이 설치된다. 이 컨트롤 패널(9)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9a)와, 건조기의 상태(예를 들면, 건조 진행 상태, 건조 진행 정도, 건조 남은 시간, 건조 모드의 선택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9b)가 구비된다. 또한, 캐비닛 커버(4)의 후방에는 드 럼(10)의 선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11)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 3, the cabinet cover 4 is formed with a gun entry hole 5 so that the carriage drum 10 can enter and exit, and a door 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un entry hole 5 is rotated. Possibly connected. In addition, a control panel 9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cover 4. The control panel 9 includes an input unit 9a for acquiring a user's inpu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dryer (for example, the drying progress state, the drying progress degree, the remaining drying time, the selection of the drying mode, etc.) 9b). In addition, the front supporter 11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cover 4 to rotatably support the tip of the drum 10.

백 패널(7)의 전방에는 드럼(10)의 후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서포터(12)가 장착된다. 리어 서포터(12)에는 흡입 유로(20)를 통과한 공기가 드럼(10)의 입구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 유로(20)와 드럼(10)의 입구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3)이 형성된다.In front of the back panel 7, a rear supporter 12 is mounted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drum 10 in a rotatable manner. The rear supporter 12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13 for communicating the suction passage 20 and the inlet of the drum 10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assage 20 can be sucked into the inlet of the drum 10. .

드럼(10)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포가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가 전후방향로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원형 통으로서, 후면 개구부가 드럼 입구부를 형성하고, 전면 개구부가 드럼 출구부를 형성한다. 드럼(10)은 회전시 포가 들어 올렸다가 낙하될 수 있도록 내둘레면에 리프트(14)가 돌출되게 설치된다.3 and 4, the drum 10 is a circular barrel that is accommodated therein and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air pass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ear opening forms the drum inlet, and the front opening is the drum. Form an outlet. The drum 10 is installed so that the lift 14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fabric can be lifted and dropped during rotation.

흡입 유로(20)는 하단이 히터(30)의 후단과 연통하고 상단이 리어 서포터(12)의 연통홀(13)과 연통되게 설치된 흡입 덕트에 의해 형성된다.The suction passage 20 is formed by a suction duct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nd communicates with the rear end of the heater 30 and the upper end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3 of the rear supporter 12.

히터(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팬(2)의 상면에 설치되고 흡입 유로(20) 즉, 흡입 덕트(20)와 연통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배열된 발열 코일로 구성되어, 발열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히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 및 히터 케이스가 가열되어 히터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 저습의 공기로 가열시킨다.3 and 4, the heater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an 2 and arranged in the heater cas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flow path 20, that is, the suction duct 20, and inside the heater case.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coil, the inner space of the heater case and the heater case are heated to he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eater case with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ir.

배기 유로(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 내부의 공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드럼 출구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배기되는 공기 중의 실밥 등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린트 필터(41)가 장착된 린트 덕트(42)와, 린트 덕 트(42)와 연통되고 송풍팬(43)이 내장되는 팬 하우징(44)과, 팬 하우징(44)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타단이 캐비닛(1)의 외부로 연장된 배기파이프(46)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배기 파이프(46)에는 캐비닛(1)의 외부로 배기된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외부 배기 덕트(50)가 연결된다. 이 외부 배기 덕트는 캐비닛(1)의 외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인도하는 것으로, 건물 내벽(60)을 통과할 수 있다. 3 and 4, the exhaust flow passage 40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drum outlet so that the air inside the drum 10 can be exhausted, so that foreign matters such as seams in the exhausted air can be filtered out. A lint duct 42 having a lint filter 41 mounted thereon, a fan housing 44 in communication with the lint duct 42 and a blower fan 43 built therein, and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an housing 44 and the other end thereof. This other end is made by the exhaust pipe 46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e exhaust pipe 46 is connected to an external exhaust duct 50 for guiding outdoor air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e external exhaust duct is formed outside the cabinet 1 to direct air to the external space and can pass through the building inner wall 6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기 유로는 흡입유로(20)와, 드럼(10)의 내부 공간, 배기유로(40) 및 외부 배기덕트(50)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기 유로의 막힘은 배기유로(40)의 린트필터(41)와, 외부 배기덕트(50)에서 주로 발생한다. 배기유로(40)의 린트필터(41)의 막힘에 따른 공기 흐름의 방해 정도는 외부 배기덕트(50)의 막힘에 따른 공기 흐름의 방해 정도에 비하여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 The air flow pat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flow path 20, an internal space of the drum 10, an exhaust flow path 40, and an external exhaust duct 50, and the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is the exhaust flow path 40. Mainly occurs in the lint filter 41 and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The degree of obstruction of air flow due to the blockage of the lint filter 41 of the exhaust passage 40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egree of obstruction of air flow due to the blockage of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배기식 건조기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ryer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드럼(10)의 내부로 포를 투입한 후, 도어(6)를 닫고, 컨트롤 패널(9)을 조작하여 배기식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배기식 건조기는 히터(30)를 온시키고, 모터(72)를 구동시킨다.First, after the cloth is introduced into the drum 10, the door 6 is closed, and the control panel 9 is operated to operate the exhaust dryer, and the exhaust dryer turns on the heater 30 and the motor. Drive 72.

히터(30)의 온시 히터(30)는 내부를 가열하고, 모터(72)의 구동시, 벨트(70)와 송풍팬(43)은 회전된다. 벨트(70)의 회전시 드럼(10)은 회전되고, 드럼(10) 내의 포는 리프트(14)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는 동작을 반복한다.When the heater 30 is turned on, the heater 30 heats the inside, and when the motor 72 is driven, the belt 70 and the blowing fan 43 rotate. When the belt 70 rotates, the drum 10 is rotated, and the artillery in the drum 10 is lifted up by the lift 14 and then repeatedly drops.

송풍팬(43)의 회전시, 캐비닛(1) 외부의 공기는 송풍팬(43)의 회전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해 백커버(7)의 공기 흡입홀(7a)로 흡입되어, 캐비닛(1)과 드럼(10)의 사이로 흡입된다. 캐비닛(1)과 드럼(10)의 사이의 공기는 히터(30)로 유입되어 가 열됨에 따라 고온 저습하게 바뀌고, 이후 흡입 유로(20)와 리어 서포터(12)의 연통홀(13)을 통해 드럼(10)의 내부로 흡입된다.When the blowing fan 43 is rotated, air outside the cabinet 1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hole 7a of the back cover 7 by the blowing force generated when the blowing fan 43 is rotated, and the cabinet 1 ) And the drum 10. The air between the cabinet 1 and the drum 10 changes into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s it enters the heater 30 and is heated, and thereaf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 of the suction channel 20 and the rear supporter 12. It is sucked into the drum 10.

드럼(10)으로 흡입된 고온 저습한 공기는 드럼(10)의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서 포와 접촉되어 다습하게 변하고, 이후, 배기 유로(40)로 배기된다.The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ir sucked into the drum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loth while moving toward the front of the drum 10, and changes to high humidity. Then, the air is exhausted into the exhaust passage 40.

배기 유로(40)로 배기되는 공기는 배기 파이프(46)를 그대로 통과하여 외부 배기덕트(50)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Air exhausted to the exhaust flow passage 40 passes through the exhaust pipe 46 as it is an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도 5는 도 1의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막힘 감지 장치는 외부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히터(30)에 공급되도록 하되, 히터(30)의 온도 또는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과, 마이컴(90)의 제어명령에 의해 온/오프됨으로써 히터(30)에 상용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치(SW)와, 입력부(9a)와, 표시부(9b)와, 히터(30)와, 송풍팬(43)과, 모터(72)와, 공기 유로 내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82)와, 원격조정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84)과, 온도센서(82)에 의해 스위치(SW)를 온/오프시키고, 이 온/오프 명령에 따라 공기 유로의 상태를 확인하는 마이컴(90)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용전원으로부터 마이컴(90) 및 입력부(9a) 및 표시부(9b) 등에 사용되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정도의 기술에 불과하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clogging detection apparatus of the dryer of FIG. The blockage detecting device shown in FIG. 5 receives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and is supplied to the heater 30, but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30 or the temperature of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30. And a switch SW for inputting commercial power to the heater 30 by being turned on / off by the second thermostat TS1 and TS2 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microcomputer 90, the input unit 9a, The display unit 9b communicates with the heater 30, the blowing fan 43, the motor 72, the temperature sensor 82 for sensing the air temperature in the air flow path, and the remote controller 100. The switch SW is turned on / off by the communication means 84 and the temperature sensor 82, and the microcomputer 90 checks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according to the on / off command. However, although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DC power source used for the microcomputer 90, the input unit 9a, the display unit 9b, and the like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is not shown, such a power supply unit is natural to those familiar with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just a technique.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는 일종의 온도에 따른 조절부로서, 히터(30)의 측면 또는 근방에 장착되어, 히터(30)의 온도 또는 히터(30)에 의해 가열 된 공기의 온도에 반응하여, 소정의 과열온도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온상태를 유지하고, 과열온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오프상태로 변하여 히터(30)에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제1서모스탯(TS1)은 제2서모스탯(TS2)을 보완하기 위해, 한번 오프 상태로 되면 온 상태로 복귀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은 예를 들면, 히터(30)에 연결되는 흡입유로(20)에 장착된다.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are kinds of adjustment units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are mounted on or near the heater 30 to be hea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30 or by the heater 30.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of the air, the on state is maintained before reaching the predetermined overheating temperature, and when the overheating temperature is exceeded, the state is turned off so that commercial power is not applied to the heater 30. In particular, the first thermostat TS1 does not return to the on state once it is turned off to complement the second thermostat TS2.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are mounted to the suction passage 20 connected to the heater 30, for example.

또한, 스위치(SW)는 릴레이와 같은 소자로 구성되어, 마이컴(90)의 온 제어에 따라 건조 수행 중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마이컴(90)의 오프 제어에 따라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In addition, the switch SW is configured of an element such as a relay, and maintains an on state during the dry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n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90, and maintains an off state according to the off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90.

또한, 입력부(9a)는 사용자로부터 건조 동작 등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마이컴(90)으로 인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9a receives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a drying operation from a user and applies it to the microcomputer 90.

또한, 표시부(9b)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건조 동작에 대한 입력과, 건조 동작의 진행 정도, 남은 시간뿐만 아니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막힌 부분 등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유로는 흡입유로(20), 드럼(10) 내부, 배기유로(40) 및 외부 배기덕트(50)를 포함하며, 특히, 배기유로(40) 내의 린트필터(41)와 외부 배기덕트(50)를 지칭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9b displays not only the input for the drying operation input by the user, the progress of the drying operation, the remaining time, but also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he blocked portion, and the lik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ir passage includes a suction passage 20, a drum 10, an exhaust passage 40, and an external exhaust duct 50, and in particular, the lint filter 41 and the external exhaust in the exhaust passage 40. It may also refer to the duct 50.

또한, 온도센서(82)는 배기유로(40)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서모스탯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온도센서(82)는 린트필터(41)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배기유로(40)에서 린트필터(41) 후단에 장착된다. 이것은 배기유로(40)와 배기덕트(50)는 직접 연통되어 있기에, 온도센서(82)가 린트필터(41) 이후의 배기유로(40)에 장착되어, 온도를 감지하여도, 배기덕트(50)의 온도에 가장 근접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temperature sensor 82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passage 40, a thermostat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sensor 82 is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lint filter 41 in the exhaust passage 40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int filter 41. This is because the exhaust passage 40 and the exhaust duct 50 communicate directly with each other, so that even if the temperature sensor 82 is mounted in the exhaust passage 40 after the lint filter 41, the exhaust duct 50 is sensed. You can detect the temperature closest to the temperature of).

또한, 통신수단(84)은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조정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즉, 통신수단(84)은 원격조정장치(100)로부터 공기유로의 상태(막힘 상태, 막힘 정도, 막힘 진행 정도, 예상 에너지 소비량 등)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마이컴(90)으로 인가한다. 또한, 통신수단(84)은 마이컴(90)으로부터 공기유로의 상태를 인가받아 원격조정장치(100)로 송신한다. 이 통신수단(84)은 일종의 전력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주파수 통신 모듈에 해당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eans 84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at is, the communication means 84 receives a request for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blocking state, blockage degree, blockage progression, expected energy consumption, etc.)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100 and applies it to the microcomputer 9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eans 84 receives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from the microcomputer 90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This communication means 84 corresponds to a kind of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o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odule.

마이컴(90)은 기본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입력부(9a)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히터(30)와, 스위치(SW)와, 모터(72)를 제어하고, 모터(72)의 제어를 통하여 송풍팬(43)을 제어하여 건조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마이컴(90)은 이러한 제어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며, 이 저장부는 예를 들면, EEPROM이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90 basically controls the heater 30, the switch SW, and the motor 72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9a, and controls the motor 72. The blowing fan 43 is controlled to perform a dry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has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such a control algorithm, for example, the EEPROM may be used.

마이컴(90)은 상술된 컨트롤 패널(9)의 후면에 장착된다.The microcomputer 90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control panel 9 described above.

또한, 마이컴(90)은 배기유로(40)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100~110℃)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센서(82)로부터의 감지 온도에 따라 스위치(SW)를 온/오프시킴으로써, 히터(30)의 발열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turns on the switch SW according to the sensing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82 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flow path 40 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100 to 110 ° C).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30 is controlled by turning on / off.

마이컴(90)이 이용하는 상황은 하기와 같다. 예를 들면, 공기 유로(특히, 외부 배기덕트(50) 또는 린트 필터(41))가 막힌 정도가 심할 수록, 외부와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히터(30)의 온도 또는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어,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이하, '온도조절부'로 통 칭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온도센서(82)에 의한 감지된 온도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느리게 상승하게 된다. 이에 마이컴(90)은 스위치(SW)에 대한 온/오프 제어가 공기 유로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점을 이용하여, 공기 유로의 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공기 유로의 상태는 막힘 정도와, 공기 유로 상의 막힌 부분의 위치에 대한 사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린트 필터(41)가 다소 막힌 경우는 막힌 정도가 약한 상태이고, 외부 배기 덕트(50)가 막힌 경우는 막힌 정도가 심한 상태이다. The situation used by the microcomputer 90 is as follows. For example, a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particularly,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or the lint filter 41) increases, the air flow to the outside is not smooth, an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30 or the heater 30 The temperature of the air heated by) increases, affecting the first and second thermostats TS1 and TS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mperature controller'). However,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82 rises relatively slowly because the air flow is not smooth. The microcomputer 90 checks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using the point that the on / off control of the switch SW varie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Here,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may include both the degree of blockage and the matter of the position of the blocked portion on the air flow path. For example, when the lint filter 41 is somewhat blocked, the degree of blockage is weak, and when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is blocked, the degree of blockage is severe.

공기 유로의 막힌 정도가 약한 경우에는, 온도조절부에 미치는 공기 온도와, 온도센서(82)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차이는 작게 되어,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더라도, 온도조절부에 의한 전원 차단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마이컴(90)이 스위치(SW)의 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s weak,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temperature a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82 becomes small, and even if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rise, the power supply is shut off b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Before losing, the microcomputer 90 controls the switch SW to be turned off.

반면에, 공기 유로의 막힌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온도조절부에 미치는 공기 온도가 온도센서(82)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보다 현저하게 높게 되므로, 마이컴(90)에 의한 스위치(SW)의 제어가 요구되기 이전에 온도조절부의 오프 동작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컴(90)에 의한 스위치(SW) 제어의 수행은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어, 배기유로(40)의 공기 온도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에야 가능하게 된다. 다만, 건조기(10)의 최초 사용 시나, 린트 필터(41)를 청소한 이후에 공기 유로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배기덕트(50)의 상태(막힘 상태)에 대한 확인이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s severe, the air temperature a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82, so that the control of the switch SW by the microcomputer 90 is controlled. The off operation of the thermostat is automatically performed before it is required. Therefore, the control of the switch SW by the microcomputer 90 can be performed only when a considerable time has elapsed and the air temperature of the exhaust flow path 40 is raised above a predetermined range. However, when checking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during the first use of the dryer 10 or after cleaning the lint filter 41, the state (clogging state) of the exhaust duct 50 is performed.

또한, 공기유로의 상태가 건조기의 설계 시에 특정의 직경을 지닌 배기덕 트(50)에서, 건조 동작의 수행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을 실험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50)의 직경과, 에너지 소비량 간의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것은 배기덕트(50)에 의한 공기 배기가 원활하기 않을 경우, 건조기 내의 포에 대한 건조가 지연되고, 그에 따라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되는 관계에 대응한다. 따라서, 마이컴(90)은 배기덕트(50)의 막힘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예상 소비전력량을 예측하거나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예상 소비전력량은 특정 값이 아니라, 기설정된 배기덕트(50)의 직경 또는 막힘 상태와, 확인된 배기덕트(50)의 막힘 상태를 비교하여, 배수의 형태로 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xhaust duct 50 having a specific diameter in the design of the dryer, the energy consumption for performing the drying operation can be experimentally estimat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of the exhaust duct 50 and the energy consumption can be statistically predicted. This corresponds to a relationship in which when the air exhaust by the exhaust duct 50 is not smooth, drying to the fabric in the dryer is delayed, and thus power consumption increases. Therefore, the microcomputer 90 may predict or calculate an expected amount of power consumption that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exhaust duct 50. For example,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may be calculated in the form of drainage by comparing the diameter or blocked state of the predetermined exhaust duct 50 with the blocked state of the confirmed exhaust duct 50, rather than a specific value. .

이 마이컴(90)은 이 예상 소비전력량을 산정하여, 공기유로의 상태에 포함시켜 통신수단(84)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icrocomputer 90 calculates the estimated amount of power consumption, can be included in the air flow path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eans 84.

또한, 마이컴(90)은 배기덕트(50)의 막힘 정도, 린트필터(41)의 막힘 정도에 대한 각각의 임계단계에 대한 정보를 지니고 있어서, 배기덕트(50)의 막힘 정도 또는 린트필터(41)의 막힘 정도가 임계단계 이상이 되면, 그에 상응하는 알람 및 표시 등이 표시부(9b)에 이루어지도록 인가하거나 원격조정장치(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오프 듀티비 0.5가 린트필터(41)의 임계단계로, 오프 듀티비 0.8이 배기덕트(50)의 임계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has information on each of the critical stages for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and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lint filter 41, and thu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or the lint filter 41. When the degree of block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level, the corresponding alarm and indicator ar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9b or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off duty ratio 0.5 may be set as the threshold stage of the lint filter 41 and the off duty ratio 0.8 may be set as the threshold stage of the exhaust duct 50.

또한, 마이컴(90)은 자동적으로 또는 원격조정장치(1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확인된 공기유로의 상태를 원격조정장치(100)로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automatically transmits the status of the confirmed air flow path to the remote controller 100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도 6은 도 5의 마이컴이 인식하는 온도에 따른 건조 동작의 온/오프 그래프들이다. 도 6에서, R은 배기덕트(50)의 직경을 의미하며, 그 숫자의 단위는 inch이 다. 즉, 직경이 R(0), R(1.0), R(1.5), R(2.0), R(2.625)일 때, 마이컴(90)이 온도센서(82)로부터의 감지 온도에 따라 스위치(SW)를 온/오프하는 것을 나타낸다. 직경이 넓을 수록, 공기 유로의 상태(막힘 정도)가 약한 것이고, 직경이 좁을 수록, 공기 유로의 상태(막힘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FIG. 6 is an on / off graph of a drying operation according to a temperature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of FIG. 5. In Figure 6, R means the diameter of the exhaust duct 50, the unit of the number is inches. That is, when the diameters are R (0), R (1.0), R (1.5), R (2.0), and R (2.625), the microcomputer 90 switches SW accor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82. ) On / off. The larger the diameter, the weaker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degree of blockage), and the narrower the diameter, the more severe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degree of blockage).

먼저, 공기 유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원공급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 듀티비(x/y)와, 오프 듀티비(z/y)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중의 하나만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의 그래프를 포함하여, 실험결과에 따른 공기 유로의 상태는 표1과 같다. First, in order to confirm the state of an air flow path, the method of calculating and confirming the on / off duty ratio of a power supply is disclosed. In this embodiment, both the on duty ratio (x / y) and the off duty ratio (z / y) may be used, and only one of them may be used. Including the graph of Figure 6,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오프 듀티비Off duty ratio 막힘 정도Degree of blockage 막힌 부분Blockage 0~0.300-0.30 -- -- 0.30~0.450.30-0.45 하(약함)Low (weak) 린트 필터Lint filter 0.45~0.600.45-0.60 중(중간)Medium 린트 필터Lint filter 0.60~10.60 ~ 1 상(심함)Severe 외부 배기 덕트External exhaust duct

마이컴(90)은 표 1과 같은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건조 동작을 수행하면서, 스위치(SW)의 온/오프 제어 특성을 반영하는 오프 듀티비(또는 온 듀티비)를 산정하여, 기저장된 룩업 데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영역의 막힘 상태(막힘 정도, 막힌 부분)를 확인한다. The microcomputer 90 stores the lookup table shown in Table 1, calculates an off duty ratio (or on duty ratio) reflecting the on / off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switch SW while performing a drying operation, and stores the lookup table. In comparison with the table, the blockage state (degree of blockage, blockage)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checked.

또한, 마이컴(90)은 현재 확인된 공기 유로의 상태를 저장한다. 또한, 마이컴(90)은 이 확인된 공기 유로의 상태를 표시부(9b)를 통하여 표시하여, 건조기가 설치되는 경우, 그 설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사용자(설치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즉, 공기 유로의 상태가 막힘 정도가 심한 경우, 마이컴(90)은 사용자(설치자)에게 건조기를 다시 설치하라는 메시지 또는 외부배기덕트(50)가 보다 넓어지도록 외벽 등에 추가적인 관통 작업을 하라는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원격조정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stores the state of the currently confirmed air flow path.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can display the confirmed state of the air flow path through the display portion 9b, and can display to the user (installer) whether the installation is properly performed when the dryer is installed. That is, when the condition of the air flow path is severely clogged, the microcomputer 90 prompts the user (installer) to install the dryer again or additionally penetrates the outer wall and the like so that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becomes wider. May be displayed or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또한, 현재 확인된 공기 유로의 상태는 외벽 등에 형성된 관통구의 영향을 받는 것이므로, 최초 설치시나 린트 필터(41)의 청소 이후에 확인된 공기 유로의 상태는 건조기의 사용에 따라 막힘 정도가 점차 심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마이컴(90)은 이 현재 확인된 공기 유로의 상태가 하나의 기준 상태로 사용하거나, offset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ly confirmed air flow path is influenced by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uter wall or the like, the air flow path confirmed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or after the cleaning of the lint filter 41 may become increasingly clogg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dryer. Will be. Therefore, the microcomputer 90 may use the currently confirmed air flow path as one reference state or as an offset value.

먼저, 기준 상태(초기막힘정도)로 이용되는 경우로, 마이컴(90)이 건조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 확인 명령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각 건조 동작 시의 공기 유로의 상태를 확인하고, 기저장된 공기 유로의 상태와 비교하여, 현재의 공기 유로의 상태를 결정한다. First, in the case of being used as a reference state (initial blockage degree), as the microcomputer 90 repeats the dry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tatus confirmation command or automatically checks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during each drying operation, The state of the current air flow path is determined in comparison with the state of the stored air flow path.

다음으로, offset값으로 사용되는 경우로, 마이컴(90)은 이 현재의 공기 유로의 상태를 반영하여, 건조 알고리즘을 변경하여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건조 알고리즘 시의 스위치(SW)의 제어 온도, 건조 시간 등에 공기 유로의 상태를 반영할 수도 있다. Next, when used as an offset value, the microcomputer 90 may perform the drying operation by changing the drying algorithm to reflect the state of the current air flow path. That is,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may be reflected in the control temperature, drying time, etc. of the switch SW in the drying algorithm.

또한, 이 결정된 공기 유로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표시는 사용자가 건조기에 의한 건조 동작의 완료된 이후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건조 동작을 중단하고 무리하게 린트 필터(41) 등의 청소를 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화상 등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determined state of the air flow path to the user. However, such display is performed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drying operation by the dryer, thereby inducing the user to stop the drying operation and not to excessively clean the lint filter 41, and thus not to be exposed to a burn or the like. You can do thi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의 구동 순서도이다. 7 is a driving flowchart of the clogging detection apparatus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세하게는, 단계(S71)에서, 마이컴(90)은 건조기의 공기유로(흡입유로(20)와, 배기 유로(40) 및 외부 배기덕트(50)를 모두 이르는 용어)에 대한 막힘 정도를 상술된 방법에 따라 판단한다. 이에 따라, 마이컴(90)은 온 듀티비(예르 들면, 0.70)를 획득한다. 이러한 단계(S71)은 마이컴(90)이 독자적인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할 수도 있고, 입력부(9a)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확인 명령에 따라 또는 원격조정장치(100)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마이컴(9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입력부(9a)는 건조기의 컨트롤패널(9)이 아닌 건조기의 내부 및 배면에 설치 장착되어서, 건조기의 설치 기술자가 직접 조작 및 확인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Specifically, in step S71, the microcomputer 90 describes the degree of blockage for the air passage of the dryer (terms leading to both the suction passage 20 and the exhaust passage 40 and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Judge according to the method. 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90 obtains an on duty ratio (for example, 0.70). This step (S71) may be performed by the microcomputer 90 according to its own control algorithm, or according to a command for confirming the blockage degree of the air flow path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9a or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It may be performed by the microcomputer 90 according to. Moreover, this input part 9a is attached to the inside and the back of the dryer rather than the control panel 9 of the dryer, 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allation engineer of a dryer to operate and confirm it directly.

단계(S72)에서, 마이컴(90)은 기저장된 초기막힘정도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초기막힘정도가 있으면 단계(S7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73)로 진행한다. In step S72,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re-stored initial blockage degree. If there is an initial blockage degre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4,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3.

단계(S73)에서, 마이컴(90)은 판단된 막힘 정도를 초기막힘정도로 설정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 초기막힘정도는 상술된 바와 같이, 기준상태가 된다. 이 초기막힘정도는 건조기가 건조동작을 전혀 수행하지 않았거나, 린트필터(41)가 청소된 경우에 판단되었으면, 외부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만을 의미하게 된다. In step S73, the microcomputer 90 sets the determined degree of blockage as the initial degree of blockag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This initial blockage degree becomes a reference state as described above. This initial blockage degree means only the blockage degree of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yer has not performed the drying operation at all or the lint filter 41 is cleaned.

단계(S74)에서, 마이컴(90)은 기저장된 초기막힘정도와 현재 판단된 막힘정도 간의 차이값을 산정한다. 단계(S75)는 초기막힘정도를 지닌 공기유로가 건조동작의 수행에 따라 그 막힘 정도가 더 심해지는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기도 하고, 건조기가 다른 장소에 설치된 경우, 초기막힘정도에 대한 재설정이 요구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In step S74, the microcomputer 90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ly stored degree of clogging and the currently determined degree of blocking. Step S75 is to confirm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passage having the initial blockage becomes more severe as the dry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dryer is installed in another place, a reset of the initial blockage is required. It is also because.

단계(S75)에서, 마이컴(90)은 단계(S74)에서 산정된 차값이 초기차값기준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 이 초기차값기준은 건조기가 새로운 장소에 설치되거나, 배기덕트(50)의 막힘상태가 진행되는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건조기가 건조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막힘정도가 심하여 지는데, 갑자기 판단된 막힘정도가 훨씬 더 심해지거나(현재 장소의 배기덕트(50)의 상태 악화, 이상에 의한 배기덕트(50)의 상태 악화), 훨신 더 개선된 경우(이사 또는 수리에 의한 배기덕트(50)의 상태 변화)에 초기막힘정도를 갱신하기 위해 단계(S75)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초기막힘정도의 온 듀티비가 0.7인 경우, 판단된 막힘 정도가 0.8로 된 경우, 초기차값기준이 초기막힘정도의 4%로 설정되면, 초기차값기준은 0.7±0.028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초기차값기준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단계(S76)로 진행한다. 반면에, 판단된 막힘 정도가 0.697인 경우, 예시된 초기차값기준에 해당하여 단계(S77)로 진행한다. 또한, 이 초기차값기준은 배기덕트(50)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최소의 기준에 해당되는 것으로, 린트필터(41)의 막힘 정도가 최고조가 되더라도, 이 초기차값기준 이내에서 판단된 막힘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In step S75,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calculated in step S74 corresponds to the initial difference value reference. This initial difference value criterion determines the degree to which the dryer is installed in a new place or the clogging state of the exhaust duct 50 is advanced. As the dryer performs the drying operation, the degree of clogging becomes severe, and suddenly, the degree of clogging suddenly becomes even more severe (deterioration of the state of the exhaust duct 50 at the current place, or deterioration of the state of the exhaust duct 50 due to abnormalities), Step S75 is required to update the initial blockage degree even in the case of further improvement (state change of exhaust duct 50 by moving or repairing). For example, when the on-duty ratio of the initial blockage degree is 0.7, and when the determined blockage degree is 0.8, when the initial difference value criterion is set to 4% of the initial blockage degree, the initial difference value criterion is 0.7 ± 0.028. Therefore, in this case, since it does not correspond to an initial difference value criterion, it progresses to step S76.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ed degree of blockage is 0.69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7 corresponding to the illustrated initial difference value criteria. In addition, this initial difference value criterion corresponds to a minimum criterion that can be affected by the state of the exhaust duct 50. Even if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41 is the highest, it is determined within this initial difference value criterion. Affects the degree of blockage

단계(S76)에서, 마이컴(90)은 판단된 막힘정도를 새로운 초기막힘정도로 저장부에 저장하여 갱신한다. 단계(S76)에서는, 마이컴(90)이 이 저장된 초기막힘정도가 표1에 따라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에 해당되는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S74)에서의 차값은 배기덕트(50)에 추가적으로 진행된 막힘정도를 나타내므로, 판단된 막힘정도가 초기막힘정도보다 급격하게 감소된 경우, 배기덕트(50)의 막힘 진행 정도가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마이컴(90)은 새롭게 저장된 초기막힘정도를 제외한 모든 막힘정도를 삭제할 수도 있다. In step S76, the microcomputer 90 stores the determined blockage degree as a new initial blockage degree in the storage unit and updates it. In step S76, the microcomputer 90 may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stored initial blockage corresponds to the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according to Table 1. In addition, since the difference value in step S74 represents the degree of clogging further progressed to the exhaust duct 50, when the determined degree of clogging decreases more rapidly than the initial degree of clogging, the degree of clogging progress of the exhaust duct 50 is serious. It means.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90 may delete all the blockage except for the newly stored initial blockage.

단계(S77)에서, 마이컴(90)은 가장 최후에 저장된 막힘정도와 판단된 막힘정도간의 차값을 산정한다. 예를 들면, 최후에 저장된 막힘정도가 0.698이고, 현재 판단된 막힘정도가 0.697인 경우, 그 차값은 0.01이다. 이 차값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더 심해진 정도이면서도, 린트필터(41)에 생긴 막힘정도에 해당된다. 즉,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는 서서히 심해지고,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는 급격히 심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서서히 심해지는 것은 린트필터(41)의 영향이고, 급격히 심해지는 것은 배기덕트의 영향이다. In step S77, the microcomputer 9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st recently stored blockage degree and the determined blockage degree. For example, when the last stored blockage degree is 0.698 and the currently determined blockage degree is 0.697, the difference value is 0.01. This difference value corresponds to the degree of blockage generated in the lint filter 41 while the degree of blockage in the air flow path becomes more severe. That is, since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41 gradually increases, and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exhaust duct 50 increases rapidly, it is the influence of the lint filter 41 that gradually increases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entire air flow path. What gets worse is the effect of the exhaust duct.

단계(S78)에서, 마이컴(90)은 그 차값을 표시부(9b)에 표시하여,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가 증가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In step S78, the microcomputer 90 may display the difference value on the display unit 9b to indicate that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41 is increasing.

단계(S79)에서, 마이컴(90)은 이 판단된 막힘정도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때, 초기막힘정도를 제외하고, 5개를 초과하게 되면 이전에 가장 오래전에 판단된 막힘정도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컴(90)은 이 차값을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로 저장한다. In step S79, the microcomputer 90 stores the determined degree of blockage in the storage unit. At this time, except for the initial blockage, if more than five blocks can be deleted previously determined the longest.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90 stores this difference value as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41.

단계(S80)에서, 마이컴(90)은 초기막힘정도를 표시부(9b)에 표시한다. 단계(S73), (S76)로부터 진행된 경우, 이 초기막힘정도는 표1과 같이, 막힘 정도 또는 막힘 부분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In step S80, the microcomputer 90 displays the initial blockage degree on the display portion 9b. When proceeding from step S73 and step S76, this initial blockage degree may be expressed as a blockage degree or a blockage part, as Table 1 shows.

상술된 단계(S72 및 S73), 단계(S72, S74, S75, S76)에 따라 마이컴(90a)은 배기덕트의 막힘정도 또는 막힘진행정도가 확인되고, 단계(S72, S74, S75, S77)에 의해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 또는 막힘진행정도가 확인된다. 따라서, 마이컴(90)은 배기덕트와 린트필터(41) 각각의 막힘정도를 동시에 또는 교번하여 표시부(9b)에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eps S72 and S73 and steps S72, S74, S75 and S76, the degree of blockage or progression of the exhaust duct is confirmed, and the steps S72, S74, S75 and S77 are confirmed. The degree of clogging or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41 is confirmed by this. Therefore, the microcomputer 90 can display the clogging degree of each of the exhaust duct and the lint filter 41 at the same time or alternately,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9b.

단계(S77 및 S78)에서, 마이컴(90)이 초기막힘정도와, 제1의 판단된 막힘정도를 지니고 있는 경우, 초기막힘정도와 판단된 막힘정도 간의 차값은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마이컴(90)이 제2의 판단된 막힘정도를 획득한 경우, 이 제1의 막힘정도와 제2의 막힘정도 간의 차값은 린트필터(41)에서 추가적으로 진행된 막힘정도에 해당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마이컴(90)은 각각의 차값으로 린트필터(41)의 막힘진행정도를 확인하고, 이러한 차값의 누적된 값은 현재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를 의미한다. In steps S77 and S78, when the microcomputer 90 has the initial blockage degree and the first determined blockage degree,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itial blockage degree and the determined blockage degree determines the blockage degree of the lint filter 41. It is judged to indicate. Thereafter, when the microcomputer 90 acquires the second determined blockage degr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lockage degree and the second blockage degree corresponds to the blockage degree further advanced in the lint filter 41. In this way, the microcomputer 90 confirms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41 at each difference value, and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means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lint filter 41 at present.

상술된 순서도에서, 마이컴(90)은 배기덕트(50)의 막힘 정도 또는 막힘 진행정도와, 린트필터(41)의 막힘 정도 또는 막힘 진행 정도를 구별하여 확인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flow chart, the microcomputer 90 may identify the degree of blockage or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and the degree of blockage or blockage of the lint filter 41 by distinguishing them.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의 다른 구동 순서도이다. 8 is another driving flowchart of the clogging detection apparatus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91)는 상술된 도 7의 단계(S71)와 동일하다. Step S91 is the same as step S71 of FIG. 7 described above.

단계(S92)에서, 마이컴(90)은 판단된 막힘정도가 배기덕트(50)의 막힘기준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 표1에 따른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기준은 온 듀티비는 0.4이하인 경우 배기덕트(50)의 막힘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판단된 막힘정도가 이 막힘정도기준에 해당하면, 단계(S9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94)로 진행한다. In step S92,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degree of blockage corresponds to the blockage criterion of the exhaust duct 50.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exhaust duct 50 according to Table 1 is determined as the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when the on duty ratio is 0.4 or less. Therefore, if the determined degree of blockage corresponds to this degree of blockage criterion, the flow advances to step S93, and otherwise, to step S94.

단계(S93)에서, 마이컴(90)은 현재의 배기덕트(50)가 막혔다고 판단하여,이 배기덕트(50)의 막힘을 표시부(9b)에 표시한다. In step S93,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exhaust duct 50 is blocked, and displays the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on the display portion 9b.

단계(S94)에서, 마이컴(90)은 초기막힘정도와 판단된 막힘정도 간의 차값을 산정한다. 예를 들면, 초기막힘정도의 온 듀티비가 0.7이고, 판단된 막힘정도가 0.67인 경우, 그 차값은 0.03이다. 또는 판단된 막힘정도가 0.61인 경우, 그 차값은 0.09이다. In step S94, the microcomputer 9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itial blockage degree and the determined blockage degree. For example, when the on-duty ratio of the initial blockage degree is 0.7 and the determined blockage degree is 0.67, the difference value is 0.03. Or when the determined degree of blockage is 0.61, the difference is 0.09.

단계(S95)에서, 마이컴(90)은 이 산정된 차값이 린트필터(41)의 막힘기준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린트필터(41)의 막힘기준은 그 차값이 0.07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단계(S94)에서 산정된 0.03의 차값은 그 기준에 해당되지 않게 되어, 단계(S9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단계(S94)에서 산정된 0.09의 차값은 그 기준에 해당되어 단계(S96)로 진행한다. In step S95,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corresponds to the clogging criterion of the lint filter 41.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lint filter 41 is set to 0.07 or more, the difference value of 0.03 calculated in step S94 does not correspond to the standard,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97. Instead, the difference value of 0.09 calculated in step S94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and proceeds to step S96.

단계(S96)에서, 마이컴(90)은 린트필터(41)가 막혔다고 판단하고, 표시부(9b)를 통하여 린트필터(41)의 막힘 상태를 표시한다. In step S96,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that the lint filter 41 is blocked and displays the blocked state of the lint filter 41 through the display unit 9b.

단계(S97)에서, 마이컴(90)은 판단된 막힘정도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때, 마이컴(90)은 공기유로가 정상적인 상태임을 표시부(9b)에 표시할 수도 있다. In step S97, the microcomputer 90 stores the determined degree of blockage in the storage unit.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90 may display on the display unit 9b that the air flow path is in a normal state.

상술된 도 8은 판단된 막힘정도에 따라, 배기덕트의 막힘 또는 린트필터의 막힘 또는 정상적인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8 described above can notify the user that the exhaust duct is blocked or the lint filter is blocked or in a normal stat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gree of clogging.

도 9는 도 1의 원격조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조정장치(100)는 건조기의 공기유로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10)과,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는 입력수단(120)과, 건조기(1)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130) 및, 이들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공기유로의 상태를 제공하는 마이컴(140)으로 이루어진다.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1. As shown in FIG. 9,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10 for displaying a state of an air flow path of a dryer, an input unit 120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nd the dryer 1. ) And a communication means 130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and a microcomputer 140 for controlling them to provide a state of the air flow path to the user.

표시수단(110)은 공기유로의 상태인 막힘 상태, 막힘 정도, 또는 예상 에너지 소비량 등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건조기의 건조 동작의 진행 정도, 남은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 표시수단(110)은 예를 들면, LED 표시 장치 이거나 LCD 표시장치일 수 있다. 물론, 이 표시수단(110)은 시각적인 표시뿐만 아니라 청각적인 표시를 위한 스피커 등을 구비한다. The display unit 110 not only displays a blocked state, a blocked degree, or an expected energy consumption amount, which is a state of the air flow path, but also displays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drying operation of the dryer, the remaining time, and the like. The display means 110 may be, for example, an LED display device or an LCD display device. Of course, the display means 110 is provided with a speaker and the like not only for visual display but also for audio display.

입력수단(120)은 건조기(1)의 건조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의 입력을 수행하고, 특히 공기유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건조기(1)에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마이컴(140)에 인가한다. The input unit 120 inputs a control command for a drying operation of the dryer 1, and in particular, obtains a user input for requesting the dryer 1 from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and applies it to the microcomputer 140. do.

통신수단(130)은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건조기(1)와 통신을 수행한다. 즉, 통신수단(130)은 공기유로의 상태(막힘 상태, 막힘 정도, 막힘 진행 정도, 예상 에너지 소비량 등)에 대한 요청을 마이컴(140)으로부터 인가받아 건조기(1)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수단(130)은 건조기(1)로부터 수신된 공기유로의 상태, 건조 동작의 진행 정도 등의 정보를 건조기(1)로부터 수신하여 마이컴(140)에 인가한다. 이 통신수단(84)은 일종의 전력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주파수 통신 모듈에 해당된다. The communication means 130 communicates with the dryer 1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30 receives the request for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blocking state, blockage degree, blockage progression, expected energy consumption, etc.) from the microcomputer 140 and transmits to the dryer (1).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0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received from the dryer 1, the progress of the drying operation, etc. from the dryer 1 and applies it to the microcomputer 140. This communication means 84 corresponds to a kind of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o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odule.

마이컴(140)은 통신수단(130)을 통하여, 건조기(1)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공기유로의 상태 등을 수신하여 표시수단(110)에 표시한다. 이 공기유로의 상태 등의 정보는 마이컴(140)이 입력수단(12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요청할 수도 있고, 건조기(1)가 독자적으로 원격조정장치(100)로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The microcomputer 140 communicates with the dryer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receive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and displays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110.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may be requested by the microcomputer 140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20, the dryer 1 independently the remote control device 100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t can also be transmitted.

또한, 마이컴(140)은 수신된 공기유로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수단(110)이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수단(110)에 적합한 표시신호로 변환하여야 한다. 즉, 공기유로의 상태 등의 정보는 특정 수치 또는 비율 등이므로, 이 특정 수치 또는 비율이 표시되기 위한 표시신호(예를 들면,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등)를 생성하여 표시수단(110)에 인가한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40 should convert the display unit 110 into a display signal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10 so that the display unit 110 can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the received air flow path. That is, since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the air flow path is a specific value or ratio, etc., a display signal (for example,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etc.) for displaying the specific value or ratio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display means 110. do.

또한, 마이컴(140)은 수신된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따라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독자적으로 산정할 수도 있다. 상술된 건조기의 마이컴(90)이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산정하여 원격조정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마이컴(140)이 마이컴(90)이 수행하는 방식에 따라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40 may independently estimate the expected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received air flow path. The microcomputer 90 of the above-described dryer may calculate the estimated energy consumption and transmit the estimated energy consump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100, or the microcomputer 140 may estimate the estimated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microcomputer 90.

또한, 마이컴(140)은 배기덕트(50)의 막힘 정도, 린트필터(41)의 막힘 정도에 대한 각각의 임계단계에 대한 정보를 지니고 있어서, 배기덕트(50)의 막힘 정도 또는 린트필터(41)의 막힘 정도가 임계단계 이상이 되면, 그에 상응하는 알람 및 표시 등이 표시수단(110)에 이루어지도록 표시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예를 들면, 오프 듀티비 0.5가 린트필터(41)의 임계단계로, 오프 듀티비 0.8이 배기덕트(50)의 임계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40 has information on each of the critical stages for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and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lint filter 41, and thu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50 or the lint filter 41. ) When the degree of block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level, generates and applies a display signal such that corresponding alarms and displays are made to the display means 110. For example, the off duty ratio 0.5 may be set as the threshold stage of the lint filter 41 and the off duty ratio 0.8 may be set as the threshold stage of the exhaust duct 50.

도 10은 도 1의 막힘 감지 시스템의 제1 동작 실시예이다. 도 10의 제1 동작 실시예에서는, 건조기의 마이컴(90)이 독자적으로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등의 상태를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조정장치(100)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FIG. 10 is a first operation embodiment of the blockage detection system of FIG. 1. In the first operating embodiment of FIG. 10, the microcomputer 90 of the dryer independently transmits a state such as a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자세하게는, 단계(S151)에서, 마이컴(140)은 통신수단(130)을 통하여 건조기(1)로부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등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막힘 정도를 수신하였으면 단계(S15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한다. In detail, in step S151, the microcomput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s received from the dryer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If the degree of blockage has been receiv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2;

단계(S152)에서, 마이컴(140)은 수신된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막힌 부분 등의 정보를 표시수단(110)이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신호로 변환하여, 표시수단(110)에 인가한다. In step S152, the microcomputer 140 converts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he blocked portion, and the like into a display signal for displaying by the display means 110, and applies it to the display means 110. .

단계(S153)에서, 표시수단(110)은 마이컴(140)으로부터 표시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공기유로의 막힘 상태, 막힘 정도, 예상 에너지 소비량 등을 표시한다. In step S153, the display means 110 receives the display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140, and displays the blocked state, the blocked degree, the expected energy consumption, and the like of the air flow channel corresponding thereto.

도 11은 도 1의 막힘 감지 시스템의 제2 동작 실시예이다. 도 11의 제2 동작 실시예에서는, 건조기의 마이컴(90)이 독자적으로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등의 상태를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조정장치(100)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FIG. 11 is a second operation embodiment of the blockage detecting system of FIG. 1. In the second operation embodiment of FIG. 11, the microcomputer 90 of the dryer independently transmits a state such as a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자세하게는, 단계(S161)은 도 10의 단계(S151)와 동일하다. In detail, step S161 is the same as step S151 of FIG. 10.

단계(S162)에서, 마이컴(140)은 수신된 막힘 정도, 상태 등에 따라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산정한다. 이 예상 에너지 소비량의 산정은 특정 수치로 산정될 수도 있고, 막힘 정도에 따른 비율로 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이컴(140)은 이러한 산정된 예상 에너지 소비량과, 막힘 정도 등의 표시를 위해 표시신호로 변환하여, 표시수단(110)에 인가한다. In step S162, the microcomputer 140 calculates an expected energy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the received blockage degree, state, and the like. This estimate of energy consumption may be estimated at specific values or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blockage.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40 converts the display signal into a display signal for displaying the calculated estimated energy consumption and the degree of blockage, and applies the same to the display means 110.

단계(S163)에서, 표시수단(110)은 수신된 예상 에너지 소비량과 막힘 정도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In step S163, the display means 110 displays the received estimated energy consumption and the degree of blockage, etc.,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도 12는 도 1의 막힘 감지 시스템의 제3 동작 실시예이다. 12 is a third operation embodiment of the blockage detection system of FIG. 1.

자세하게는, 단계(S171)에서, 마이컴(140)은 입력수단(120)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공기유로의 막힘 상태 등에 대한 요청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요청 명령이 입력수단(120)으로부터 입력되었으면 단계(S17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73)로 진행한다. In detail, in step S171, the microcomputer 140 checks whether a request command for a blocked state of the air flow path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20. If the request command has been input from the input means 12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2;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3.

단계(S172)에서, 마이컴(140)은 사용자로부터의 요청명령에 따라 통신수단(130)을 통하여 건조기(1)로 막힘 정도 등에 대한 요청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건조기의 마이컴(90)이 요청명령을 수신하여, 상술된 도 7 및 8의 구동 순서에 따른 막힘 감지를 수행하고, 통신수단(84)을 통하여 막힘 정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원격조정장치(100)로 전송한다. In step S172, the microcomputer 140 transmits a request command for the degree of blockage, etc. to the dryer 1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130 in accordance with a request command from the user. 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90 of the dryer receives the request command, performs clogging det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sequence of FIGS. 7 and 8 described above, and remotely controls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gree of block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84. Send to 100.

단계(S173)에서, 마이컴(140)은 건조기(1)로부터 막힘 정도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S171) 및 (S172)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건조기(1)가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등을 확인할 수도 있고, 독자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으므로, 막힘 정도 등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In step S173, the microcomputer 140 checks whether a degree of blockage has been received from the dryer 1. In accordance with steps S171 and S172, the dryer 1 may check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or the like, or may independently verify the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단계(S174)에서, 마이컴(140)은 수신된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등의 정보를 표시신호로 변환하여, 표시수단(110)에 인가하고, 표시수단(110)은 인가된 표시신호에 따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등을 표시한다. In step S174, the microcomputer 140 converts the received information such a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nto a display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display means 110, and the display means 110 supplies air in accordance with the applied display signal.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flow path is indicated.

도 13 내지 도 15은 도 1의 원격조정장치에 표시되는 표시예들이다. 13 to 15 are display examples displayed on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1.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140)은 마이컴(90)에 의해 표1과 비교되어 판단된 막힘정도를 표시수단(110)에 표시하되, 막힘정도(린트필터(41)가 막힌 상태)와, 막힌 부분을 도형과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microcomputer 140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determined by the microcomputer 90 in comparison with Table 1 on the display unit 110, but the degree of blockage (the lint filter 41 is blocked). Also, the blocked portion may be displayed in figures and characters.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수단(110)은 막힘정도를 막대 그래프 및 문자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막힌 부분을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4,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the degree of blockage using a bar graph and a letter, and may display the blockage with a letter.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수단(110)은 막힘 정도(오프 듀티비)를 %를 이용한 숫자로, 막힌 부분을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막힘 정도는 오프 듀티비에 100을 곱한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즉, 공기유로의 오프 듀티비가 0.7인 경우, 70% 막힘 상태로, 배기덕트(50)가 막힌 상태에 해당한다. As shown in FIG. 15,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the blockage degree (off duty ratio) as a number using% and the blockage part as a letter. This degree of blockage can be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off duty ratio multiplied by 100. That is, when the off-duty ratio of the air flow path is 0.7, it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exhaust duct 50 is blocked in a 70% blocked state.

또한, 표시수단(110)은 막힘 정도 및 막힌 부분을 음성 또는 알람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means 110 may notify the user of the degree of blockage and the blocked portion through voice or alarm.

도 16 내지 도 20은 도 1의 원격조정장치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들이다. 16 to 20 are other display examples displayed on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140)은 마이컴(90)에 의해 수행된 단계(S73)에 따라 설정된 초기막힘정도인 배기덕트(50)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고, 동시에 또는 교번하여 린트필터(41)의 막힘 상태 또는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건조기가 최초로 외부 배기덕트(50)에 연결되어 막힘 감지 방법에 따른 공정이 수행된 상태로, 린트필터(41)에 전혀 막힘정도가 확인되지 않는 깨끗한 상태이다. As shown in FIG. 16, the microcomputer 140 displays a blockage level of the exhaust duct 50, which is an initial blockage level set according to the step S73 performed by the microcomputer 90, and simultaneously or alternately, the lint filter. The blocked state or degree of (41) can be displayed. 16 is a state in which the dryer is first connected to the external exhaust duct 50 and a process according to the clogging detection method is performed, and the degree of clogging is not confirmed at all on the lint filter 41.

도 17은 마이컴(90)에 의해 수행된 단계(S76)에서, 건조 동작의 수행에 따라, 또는 이사나 배기덕트(50)의 막힘에 따라,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가 도 16에 비하여 급격하게 심각해진 상태이다. 도 17에서 배기덕트상태가 ◀에 도달하면, 마이컴(140)은 현재의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가 임계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수단(110)을 통하여 배기덕트(50)의 막힘에 대한 경고 메시지(또는 청소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배기덕트상태의 표시가 점멸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끌도록 한다. FIG. 17 shows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exhaust duct 50 in step S76 performed by the microcomputer 90,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drying operation, or the blockage of the moving duct or the exhaust duct 50. FIG. It's a serious condition. In FIG. 17, when the exhaust duct state reaches ◀, the microcomputer 140 determines that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current exhaust duct 50 has reached a critical stage, and the display means 110 of the exhaust duct 50 Visually or audibly displays warning messages (or cleaning messages) about blockages. For example, the display of the exhaust duct state flashes to attract the user's attention.

도 18은 건조 동작의 수행에 따라, 린트필터(41)에 막힘정도가 도 16에 비하여 서서히 심각해지는 상태이다. 역시, 마이컴(140)은 린트필터(41)의 막힘상태가 ◀에 도달하면, 마이컴(140)은 현재의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가 임계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수단(110)을 통하여 린트필터(41)의 막힘에 대한 경고 메시지(또는 청소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린트필터상태의 표시가 점멸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끌도록 한다. FIG. 18 is a state in which the degree of clogging in the lint filter 41 becomes more serious as compared with FIG. 16 as the dry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blocked state of the lint filter 41 reaches ◀, the microcomputer 140 determines that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current lint filter 41 has reached the critical stage, and then the display means 110. ), A warning message (or a cleaning message) about clogging of the lint filter 41 is visually or audibly displayed. For example, the display of the lint filter state flashes to attract the user's attention.

도 19는 도 18의 상태에서, 배기덕트(50)에 대한 청소 및 이사 등에 따른 환경 변화와, 린트필터(41)에 대한 청소에 따른 변화를 표시한다. FIG. 19 shows changes in the environment due to cleaning and moving of the exhaust duct 50 and cleaning of the lint filter 41 in the state of FIG. 18.

도 20은 마이컴(90) 또는 마이컴(140)에 의해 산정된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표시한 것이다. 공기유로의 막힘이 없는 상태가 '정상' 범위에 표시되고,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가 심하거나 심하게 진행되는 경우, '높음' 범위로 그 표시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공기유로의 막힘에 의해 건조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건조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이 건조 시간의 증가에 따른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게 됨을 인식할 수 있다. 20 shows the estimated energy consumption calculated by the microcomputer 90 or the microcomputer 140.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s displayed in the 'normal' range, and when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is severe or severely progressed, the display area becomes wider in the 'high' range. Accordingly,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dry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smoothly due to the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hereby increasing the drying time and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drying tim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a configura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short or long distance.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와 함께 막힌 부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원격조정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hecking the information on the blocked portion along with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to provide in real time or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보의 확인 요청 및 표시를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user with useful information by performing a request for confirmation and display of the clogging information in the air flow path.

Claims (24)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막힘 정도를 원격조정장치로 송신하는 건조기와; A dryer for determining a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nd transmitting the degree of blockage to a remote controller; 상기 막힘 정도를 상기 건조기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원격조정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Receiving the blockage degree from the dryer, the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mote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the blockage degree through a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조정장치는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대한 요청명령을 상기 건조기로 송신하고, 이에 상기 건조기가 상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원격조정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sends a request command for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to the drier, and the drier determine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원격조정장치는 상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명령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a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 user's request command for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건조기는 상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명령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The dryer is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 user's request command for the degree of clogging of the air flow path.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건조기와 원격조정장치는 전력선 통신 또는 무선주파수 통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The dryer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o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막힘 정도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The display unit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or visually or acoustically displaying the degree of blockag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막힘 정도를 복수의 단계들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blockage degree in a plurality of steps.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표시부는 상기 막힘 정도가 임계정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The display unit is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if the degree of clogging is more than the threshold degre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는 린트필터의 막힘 정도와,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lint filter and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막힘 정도를 문자, 도형, 숫자, 그래프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The display unit is clogging detection system of the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clogging using one or more of letters, figures, numbers, graphs. 건조기로부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from the dryer; 상기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blockage.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수신된 막힘 정도에 대응하는 표시 신호를 상기 표시수단으로 인가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The dryer user interface device includes a control means for applying a displa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blockage degree to the display means.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공기 유로의 막힘 정도를 상기 건조기에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The dryer user interface device includes a user input device for requesting the dryer for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막힘 정도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display means is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blockage visually or audio.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막힘 정도를 복수의 단계들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display means displays the degree of clogging in a plurality of steps.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막힘 정도가 임계정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display means displays a warning message when the degree of blockage corresponds to a threshold or more.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수단은 린트필터의 막힘 정도와,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said display means displays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lint filter and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exhaust duct.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막힘 정도를 문자, 도형, 숫자, 그래프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The display means is a dryer user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clogging by using one or more of letters, figures, numbers, graphs.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막힘 정도에 대응하는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display means displays an expected energy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blockage. 건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과;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dryer;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건조기로부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수신하도록 하는 제어 수단과;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eans to receive a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from the dryer; 상기 제어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장치.And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blockage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means. 제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막힘 정도를 표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장치.And said control means converts said blockage degree into a display signal and applies it to said display means. 제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막힘 정도에 대응하는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산정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장치.And the control means calculates an expected energy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blockag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제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원격조정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대한 요청명령을 획득하는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장치.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for obtaining a request command for the degree of blockage of the air flow path from the user. 제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통신 수단은 전력선 통신 또는 무선주파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장치. And the communication means performs power line communication o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KR1020060133893A 2006-09-06 2006-12-26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KR100844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893A KR100844618B1 (en) 2006-12-26 2006-12-26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CA2599375A CA2599375C (en) 2006-09-06 2007-08-29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US11/849,531 US8387272B2 (en) 2006-09-06 2007-09-04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DE102007042061.9A DE102007042061B4 (en) 2006-09-06 2007-09-05 Clogging detection system for a dryer
CN2007101487325A CN101139793B (en) 2006-09-06 2007-09-06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893A KR100844618B1 (en) 2006-12-26 2006-12-26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940A KR20080059940A (en) 2008-07-01
KR100844618B1 true KR100844618B1 (en) 2008-07-07

Family

ID=3981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893A KR100844618B1 (en) 2006-09-06 2006-12-26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6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07Y1 (en) * 2021-03-10 2021-06-08 주식회사 와스코 Dryer of cloth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538B1 (en) * 2021-10-19 2023-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f dryer, and a medium storing a program to run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f dry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859A (en) * 2004-11-01 2006-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A filter closed detectable apparatus of cloth dryer
KR20060086089A (en) * 2005-01-26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51864B1 (en) * 2005-12-22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all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859A (en) * 2004-11-01 2006-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A filter closed detectable apparatus of cloth dryer
KR20060086089A (en) * 2005-01-26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51864B1 (en) * 2005-12-22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all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07Y1 (en) * 2021-03-10 2021-06-08 주식회사 와스코 Dryer of clot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940A (en)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617B1 (en) Safety device for dryer
CA2599375C (en)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US7926201B2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KR100867475B1 (en) Clogging degree deciding method for dryer
KR100872218B1 (en) Controlling apparatus for dryer
KR100844608B1 (en) Clogging detecting method for dryer
KR100872234B1 (en) Clogging detecting method for dryer
US8146265B2 (en) Display device of dryer
CA2610133C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KR20080093830A (en) Dryer
EP1236824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844618B1 (en)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JP4950788B2 (en) Drum type washer / dryer
KR100872217B1 (en) Display apparatus for dryer
KR102012455B1 (en) Clothing dryer and blockage detection method thereof
US7797952B2 (en) Defrosting method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0819596B1 (en) Clogging detecting apparatus for dryer
KR100783229B1 (en) Clogging detecting apparatus for dryer
KR100819594B1 (en) Safety device for dryer
KR100819595B1 (en) Clogging detecting apparatus for dryer
KR100872216B1 (en) Display apparatus for dryer
KR100844609B1 (en) Clogging detecting method for dryer
KR20090071283A (en) Dryer having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