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573B1 - Solar cell module structure - Google Patents

Solar cell modul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573B1
KR100841573B1 KR1020060039653A KR20060039653A KR100841573B1 KR 100841573 B1 KR100841573 B1 KR 100841573B1 KR 1020060039653 A KR1020060039653 A KR 1020060039653A KR 20060039653 A KR20060039653 A KR 20060039653A KR 100841573 B1 KR100841573 B1 KR 100841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outdoor
frame
modul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7318A (en
Inventor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윤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호 filed Critical 윤종호
Priority to KR102006003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573B1/en
Publication of KR2007010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5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60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 F24S20/62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in the form of fences, balustrades or hand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옥외 난간 외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이 프레임부 상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프레임부를 옥외 난간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제공된다. 개시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따르면, 건물 외부에서 행해지는 위험한 설치작업이 요구됨 없이, 발코니 내부에서의 안정적인 설치작업을 보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이 최적의 입사면적을 유지하면서도 옥외 난간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으며, 설치되는 수평 방향에 관계없이 최적의 방위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disposed to be inclin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A solar cell module mounted obliquely on the frame portion; And a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rame portion to the outdoor railing. According to the disclose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le installation work inside the balcony, and easy maintenance, without requiring dangerous installation work performed outside the building. In addition, each solar cell module does not protrude significantly outside the outdoor railing while maintaining the optimal incidence area,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intain the optimum azimuth angle regardless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talled.

태양광발전, 태양전지, 모듈 Solar power, solar cell, module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Solar cell module structure}Solar cell modu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측면도이고,FIG. 2 is a side view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의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part shown in FIG. 1,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제1브래킷 및 제2브래킷의 사시도이고,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shown in FIG. 1,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태양전지 모듈의 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olar cell module shown in FIG. 1,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체결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astening means shown in FIG.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설치 순서를 나타낸 개념도들이고,7A to 7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procedure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내부 전선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shown in FIG.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olar cell module illustrated in FIG. 10.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체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astening means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200...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110,210...프레임부100,200 ...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10,210 ... Frame part

111,211...메인 프레임 112,212...지지대111,211 ... Main frame 112,212 ... Support

113,213...브래킷 120,220...태양전지 모듈113,213 ... bracket 120,220 ... solar module

121,221...제1태양전지 모듈 122,222...제2태양전지 모듈121,221 ... first solar cell module 122,222 ... second solar cell module

123,223...제3태양전지 모듈 130,230...체결수단3rd solar cell module 130,230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건물의 옥외 난간 외부에 설치되어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s install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of the joint building to convert the light energy of the sun into electrical energy.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화석에너지는 그 양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언젠가는 고갈되고 여러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는 여러 종류가 있는바,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조력, 파도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풍력, 그리고 땅속의 열을 이용하는 지열 등이 있으며, 이들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태양에너지가 있다. 이들 여러 대체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상당 부분 실용화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 및 난방에 이용하는 것도 그 중 하나이다.In general, widely used fossil energy is limited in amount, and sometime it is exhausted and emits various pollutants, so most countries are developing alternative energy that can be used instead. There are many kinds of energy that can replace fossil energy: tidal power using tidal tide, energy using waves, wind power using energy of wind, and heat in the ground. There is geothermal heat using, and there is solar energy that is the source of these energy. The use of these various alternative energy has been practically used, and one of them is the use of solar energy for power generation and heating.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에 의해 데워진 물 등을 이용하여 난방 및 발전을 하는 방법이며,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이 전기로 각종 기계 및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태양광발전(太陽光發電)이라고 한다.The method of using solar energy is largely divided into a method using solar heat and a method using solar light. The method of using solar heat is to heat and generate electricity using water heated by the sun, and the method of using solar light can generate electricity by using the light of the sun to operate various machines and appliances. It is called solar power (太 陽光 發電).

이 중 태양광발전은 태양의 빛 에너지를 태양 전지라는 광전 변환기(光電 變換機)를 이용하여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용하는 것으로서, 전력계통과의 연계 유무에 따라, 생산된 전기를 전력망에 연결하지 않고 사용하는 독립형과, 생산된 전기를 전력망에 연결하여 전력공급회사로 보내는 형식으로, 쓰고 남은 전기를 전력회사에 팔고 생산된 전기만으로는 필요한 전기를 충당하지 못할 경우에는 전력망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계통연계형으로 구별되며, 부분적으로 빛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흐린 날에도 이용이 가능하여 태양 에너지의 이용 효율이 태양열발전보다 높은 것이 특징이다.Among thes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to convert solar light energy into electric energy directly using a photoelectric converter called a solar cell, and does not connect the produced electricity to the power grid depending on whether the power system is connected or not. It is a stand-alone type that is used,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is connected to the power grid and sent to the power supply company.If the electricity used is sold to the power company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does not provide the necessary electricity, the electricity can be supplied through the power grid. It is classified as a grid-connected type, and because it uses light in part, it can be used even on a cloudy day, so the use efficiency of solar energy is higher than that of solar thermal power generation.

이러한 태양광발전은,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연료비가 불필요하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 발생이 없으며, 발전 부위가 반도체 소자이고 제어부가 전자 부품이므로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없다. 또한, 태양 전지의 수명이 최소 20년 이상으로 길고, 발전 시스템을 자동화시키기에 용이하며, 운전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Since the solar power generation uses unlimited, non-polluting solar energy, fuel costs are unnecessary, there is no air pollution or waste generation, and since the power generation part is a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control unit is an electronic component, there is no mechanical vibration and noise. In addition, the solar cell has a long life of at least 20 years, easy to automate the power generation system, and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cost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상기 태양광발전에 이용되는 태양전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주로 실리콘과 복합재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태양 빛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광전효과(光電效果)를 이용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태양전지는 대면적의 P-N 접합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N 접합 다이오드의 양극단에 발생 된 기전력(起電力)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The solar cell used for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convert the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ually silicon and a composite material is used. Specifically, the solar cell is used by bonding a P-type semiconductor and an N-type semiconductor to use a photoelectric effect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receiving sunlight. Most solar cells are composed of a large area P-N junction diode, and th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at the anode end of the P-N junction diod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이러한 태양전지의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태양전지를 셀 그대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다. 실제 사용되는데 필요한 전압이 수 V에서 수십 혹은 수백 V 이상인데 비하여 셀 1개로부터 나오는 전압은 약 0.5V로 매우 작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다수의 단위 태양전지들을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태양전지가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여러 가지 혹독한 환경에 처하게 되므로,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연결된 다수의 셀을 혹독한 환경에서 보호하기 위하여 복수의 셀을 패키지로 한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로 구성하여 사용한다.The minimum unit of such a solar cell is called a cell, and in practice, the solar cell is rarely used as it is. Since the voltage required for actual use is more than a few tens or hundreds of volts, the voltage from one cell is about 0.5V, which is very small. Therefore, multiple unit solar cells can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the required unit capacity. Doing. In addition, when the solar cell is used outdoors, it may be subjected to various harsh environments, so that a plurality of cells are packaged as a solar cell module to protect a plurality of cells connected in a required unit capacity in a harsh environment. Configure and use.

그러나 종래 태양전지 모듈은, 일정 전력을 얻기 위하여 다량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장소에 제한이 따른다. 즉, 종래 태양전지 모듈은 건물 옥상이나 옥외 시설물 등에 설치할 때는 별문제가 없지만, 주택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세대 내 개별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의 각도에 따른 효율의 변화를 갖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특성상 종래 태양전지 모듈은 건물의 옥상, 지붕 또는 별도로 세운 지주 등에 설치해야 하며,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방향이 남향으로 되어야 한다는 제한도 따른다.However, the conventional solar cell module, because it must be used in large quantities in order to obtain a constant power is limited in the installation place. That is, the conventional solar cell module does not have any problem when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or outdoor facilities, but when installed in a multi-unit housing that occupies a large number of houses, there is a problem that individual installation in the household is difficult.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a change i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ngle of solar light, the conventional solar cell module should be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a roof, or a prop built up separately, and the direc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that absorbs solar energy is toward south. There is also a restriction.

이런 문제로 인해 한정되어 있는 건물의 옥상 또는 별도의 옥외 시설물을 사용해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발전을 하고 있으며,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공동건물, 옥외 구조물 등에서의 개별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이용은 설치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제한되고 있다.Due to this problem, solar cells are installed using the rooftop of a limited building or separate outdoor facilities to generate power, and the use of individual photovoltaic systems in apartments, multi-generational houses, communal buildings, and outdoor structures can be used. Limited due to lack of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태양전지 모듈이 공동건물을 포함한 모든 건물 및 옥외 시설물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며, 설치 방향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효율 변화가 없도록 구조를 개선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olar cell module is to be installed in all buildings and outdoor facilities, including the common building, and improved solar structure so that there is no change i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은, 옥외 난간 외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 상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프레임부를 옥외 난간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ame portion is disposed obliquely outside the outdoor railing; A solar cell module mounted obliquely on the frame portion; And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rame part to an outdoor railing.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단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옥외 난간 외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옥외 난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옥외 난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고정시 키는 지지대;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상기 프레임부 상에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rame portion, the upper frame is fixed by the fastening means, and the main frame is inclin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A support disposed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outdoor railing to fix the main fram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utdoor railing;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racket for fixing the solar cell module inclined on the frame portion.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 라운드진 내측이 옥외 난간 상부에 지지되며, 개방된 양단이 상기 프레임부 상단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is formed in a U-shape, the rounded inner side is supported on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portion.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부가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옥외 난간 상부에 걸쳐지며, 상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하부는 상기 프레임부 외측 상단과 결합하는 제1체결체; 및 라운드진 상부가 상기 제1체결체 상부와 결합함으로써 제1체결체와 함께 옥외 난간 상부를 둘러싸며, 상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하부는 상기 프레임부 내측 상단과 결합하는 제2체결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 rounded over the outdoor railing upper portion, the lower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upp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portion; And a rounded upper part surrounding the outdoor railing upper part together with the first fastening body by combin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astening body, and the lower part extending straight from the upper part includes a second fastening body which is engaged with the inner upper end of the frame part. It is preferable.

아울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는 제1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제2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 모듈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태양전지 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제3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olar cell module, the first solar cell module disposed on the frame portion; A second solar cell modul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solar cell module and disposed under the first solar cell module; And a third solar cell modul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 modules and disposed under the second solar cell module.

또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프레임부 상에 일측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olar cell module is preferably mount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on the frame portion.

또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 배후 면에는, 다수의 방열판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heat sinks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브래킷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por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shown in FIG. 1.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은, 프레임부(110)와, 태양전지 모듈(120) 및 체결수단(130)을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unit 110, a solar cell module 120, and a fastening means 130. .

상기 프레임부(110)는, 옥외 난간(10), 바람직하게는 공동건물의 발코니(Balcony)에 설치된 난간 외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1)과, 지지대(112) 및 브래킷(113)을 포함한다.The frame part 110 is disposed to be inclined outside the balustrade installed in the outdoor balustrade 10, preferably in the balcony of the common building, as shown in FIG. 2, the main frame 111 and the support stand. 112 and bracket 113.

상기 메인프레임(111)은, 프레임부(110)의 틀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세로프레임(111a) 및 이 한 쌍의 세로프레임(111a)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프레임(11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프레임(111b)이 세 개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로프레임(111b)의 개수는 메인프레임(111) 상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모듈(12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11)은, 옥외 난간(10) 외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양측 상단이 체결수단(13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옥외 난간(10)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옥외 난간(10) 외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메인프레임(111)의 경사진 정도는, 상기 메인프레임(111)의 하단과 옥외 난간(10)과의 이격 거리와, 태양전지 모듈(120)이 이루게 될 경사 정도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이 옥외 난간(10) 외부로 돌출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frame 111 forms a frame of the frame unit 110, and as shown in FIG. 3, a pair of vertical frames 111a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111a arranged side by sid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 (111b) disposed betw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frame 111b is illustrated as thre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the horizontal frame 111b is a solar cell module disposed on the main frame 111 ( 120) may vary. The main frame 111 is disposed to be inclin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10, and both upper ends of the main frame 111 are fixed by the fastening means 130, so that the main frame 111 is installed above the outdoor railing 10.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main frame 111 disposed to be inclin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10 is a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111 and the outdoor railing 10 and the solar cell module 120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degree of inclination to be achieved and the degree to which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outdoor railing 10.

상기 메인프레임(111)이 이러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옥외 난간(10) 외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111)과 옥외 난간(10) 사이에 지지대(112)가 배치된다. 이 지지대(112)는, 메인프레임(111) 양 측부 소정부위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대(11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각의 지지대(112)는, 각각 일단이 메인프레임(111)의 측부 소정부위에 결합하고 타단이 옥외 난간(10) 하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11)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옥외 난간(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옥외 난간(10) 하부에 결합하는 지지대(112) 타단은, 옥외 난간(10)과의 반복적인 체결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나사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옥외 난간(10) 하부와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for the main frame 111 to be disposed outside the outdoor balustrade 10 with such an inclination angle, a support 112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frame 111 and the outdoor balustrade 10. The support 112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ne each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11, and each support 112 is preferably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Each of the supports 112, each one end is coupled to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ide of the main frame 11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10, the outdoor frame while the main frame 111 forms a predetermined slope. To be fixed at (1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112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outdoor railing 10 is to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outdoor railing 10 by means of a screw or the like so as to be repeatedly fastened and separated from the outdoor railing 10. It is preferable.

상기 메인프레임(111) 상에 태양전지 모듈(120)을 고정하기 위하여, 메인프 레임(111)과 태양전지 모듈(120) 사이에는 다수의 브래킷(113)이 배치되며, 이러한 브래킷(1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상부 브래킷(113a)과, 하부 브래킷(113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상부 브래킷(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가로프레임(111b) 상에 결합하고 타단이 태양전지 모듈(120) 상부와 결합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20) 상부를 메인프레임(111)에 고정하게 되며, 하부 브래킷(113b)은, 일단이 세로프레임(111a) 상에 결합하고 타단이 태양전지 모듈(120) 하부와 결합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20) 하부를 메인프레임(111)에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브래킷(113a,113b)에 있어서, 하부 브래킷(113b)은 상부 브래킷(113a)보다 더욱 긴 길이를 가짐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20)이 메인프레임(111)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면서 하부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태양전지 모듈(120)의 경사진 각도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이 설치되는 지역의 위치 및 기후 조건 등을 고려하여, 태양전지 모듈(120)이 최적의 입사각을 갖도록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는 태양전지 모듈(120)의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45°정도의 각도일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solar cell module 120 on the main frame 111, a plurality of brackets 113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frame 111 and the solar cell module 120, the bracket 113 is 4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bracket 113a and a lower bracket 113b having a shape as shown in FIG. 4. Among these, the upper bracket 113, as shown in Figure 2, one end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11b)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120, the upp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120 It is fixed to the frame 111, the lower bracket 113b, one end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11a)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120, the lower part of the solar cell module 120 main frame It is fixed to 111. In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113a and 113b, the lower bracket 113b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upper bracket 113a, so that the solar cell module 120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11. To be inclined downward. At this time, the inclined angle of the solar cell module 120,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and climatic conditions of the region where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is installed, the solar cell module 120 should be adjusted to have an optimal angle of incidence This is to maximiz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module 120, and preferably may be about 45 degrees.

한편, 태양전지 모듈(120)은, 상기 프레임부(110) 상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부 상부에 배치되는 제1태양전지 모듈(121)과,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제1태양전지 모듈(121) 하부에 배치되는 제2태양전지 모듈(122) 및 상기 제1 및 제2태양전지 모듈(121,122)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며, 제2태양전지 모듈(122) 하부에 배치되는 제3태양전지 모듈(123)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121,122,123) 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며, 각각 메인프레임(111)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면서 하부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120)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은,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121,122,123)이 최적의 입사각과 입사면적을 유지하면서도 옥외 난간(10)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게 되며, 전체적인 외관이 루버(Louver)형 차양 막 형태를 가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lar cell module 120, which is mounted inclined on the frame portion 110,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first solar cell module (arranged above the frame portion 110) ( 121 and the second solar cell module 122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solar cell module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solar cell module 121 and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 modules 121 and 122. The third solar cell module 123 has a larger size and is disposed under the second solar cell module 122. Each of the solar cell modules 121, 122, and 123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described above, and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11, respectively. In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olar cell module 121, 122, 123 does not protrude significantly outside the outdoor railing 10 while maintaining an optimal angle of incidence and an area of incidence. The overall appearance will be in the form of a louver awnin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태양전지 모듈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olar cell module shown in FIG. 1.

이하, 도 5에 도시된 제1태양전지 모듈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구비되는 태양전지 모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olar cell module provided in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irst solar cell module shown in FIG. 5.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121)은, 태양 빛을 받아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셀 집합체(121a) 및 이 태양전지 셀 집합체(121a) 하부에 배치되어 태양전지 셀 집합체(121a)를 고정하는 모듈 프레임(12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듈 프레임(121b)은, 태양전지 셀 집합체(121a)를 고정하는 동시에 다수의 브래킷(113)과 각각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121)을 프레임부(110) 상에 고정하는 매개체가 된다. 아울러 태양전지 셀 집합체(121a) 배면 측에는, 태양전지 셀 집합체(121a)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태양전지 셀 집합체(121a)를 냉각시킴으로써, 태양전지 셀 집합체(121a)의 온도상승에 의한 발전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열판(121c)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판(121c)을 더 구비함으로써, 태양전지 셀 집합체(121a)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뿐 아니라 건물 내에서 보이게 되는 태양전지 모듈(120)의 배후 면의 미관이 보다 수려하게 보이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solar cell module 121 is disposed under the solar cell aggregate 121a and the solar cell aggregate 121a that receives solar light and converts light energy of the sun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module frame 121b for fixing the solar cell assembly 121a. Here, the module frame 121b fixes the first solar cell module 121 on the frame part 110 by fixing the solar cell assembly 121a and combining the plurality of brackets 113, respectively. It is a medium. In addition, the solar cell assembly 121a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olar cell assembly 121a by receiving heat from the solar cell assembly 121a and releasing it into the atmosphere to cool the solar cell assembly 121a,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ar cell assembly 121a. A heat sink 121c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a decrease in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further providing the heat dissipation plate 121c as well,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olar cell assembly 121a as well as the aesthetics of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120 to be seen in the building becomes more beautiful. You will get the effect.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태양전지 모듈(121)만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위에서 설명된 제1태양전지 모듈(121)의 구조는 제2 및 제3태양전지 모듈(122,123)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first solar cell module 121 is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structure of the first solar cell module 121 described above is the same in the case of the second and third solar cell modules 122 and 123. Can be applied. Thi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이상에서는 태양전지 모듈이 3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 구비될 수 있음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is illustrated as having three solar cell modu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lar cell module may be provided with two or four or more if necessary, and also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will be obvious to on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체결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astening mean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은, 옥외 난간(10) 상에 장착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수단(13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130 as shown in FIG. 6 in order to be mounted on the outdoor railing 10.

상기 체결수단(1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을 옥외 난간(1)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프레임부(110)를 옥외 난간 상부(10)에 고정시키는 것이며, 개방된 양단이 프레임부(110) 상단과 결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체결수단(130)은,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라운드진 내측이 옥외 난간(10) 상부에 지지가 되며, 개방된 양단이 메인프레임(111)의 세로프레임(111a) 상단과 결합하는 것이다.The fastening means 130 is to fix the frame portion 110 to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10 in order to mount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on the outdoor railing 1 as described above, both ends open The frame unit 110 is coupled with the upper end. More specifically, the fastening means 1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 the rounded inner side is supported on the outdoor railing 10, and both ends of the open vertical frame 111a of the main frame 111. To combine with the top.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설치 순서를 나타낸 개념도들이다.7A to 7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procedure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shown in FIG. 1.

아래에,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옥외 난간에 설치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7A to 7C, a process of installing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 outdoor rail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을 옥외 난간(10)에 설치하기 위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 내부에서 태양전지 모듈(120)이 장착된 프레임부(110)를 상기 체결수단(130)을 이용하여 옥외 난간(10) 상부에 결합한다. 그런 다음, 옥외 난간(10) 상부에 결합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 난간(10) 상부를 중심으로 옥외 난간(10) 외부로 회전시킨 후 지지대(112)를 옥외 난간(10) 하부에 고정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20)이 장착된 프레임부(110)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옥외 난간(10) 상에 장착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을 옥외 난간(10)에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110)의 메인프레임(111)은, 그 하부가 옥외 난간(10)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모듈(120)이 공동건물의 층간 간격 부분까지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20)의 발전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First, in order to install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utdoor railing 10, as shown in FIG. 7A, a frame unit i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120 is mounted inside a balcony. The 11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10 by using the fastening means 130. Then, as shown in FIG. 7B,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railing 10 is rotat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10 about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railing 10 and then the support 112. By fix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10, when the frame unit 110, o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120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outdoor railing 10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outdoor railing 10 is completed. At this time,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11 of the frame portion 110 is formed to be located below the outdoor railing 10, the solar cell module 120 is to be arranged to the interlayer spacing of the common building. By making it possible, the power generation area of the solar cell module 120 can be maximized.

한편,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이사시에 발코니 외측으로 고가 사다리차가 접근하게 되는데, 이때 옥외 난간(10) 외부에 설치된 상기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 때문에 고가 사다리차의 접근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때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 난간(10) 하부와 지지대(112)의 결합을 해제하여 태양 전지 모듈(120) 및 프레임부(110)를 옥외 난간에 밀착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multi-family house such as an apartment, an expensive ladder car approaches the outside of the balcony at the time of mov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pensive ladder car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install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10.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7C, by uncoup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10 and the support 112, the solar cell module 120 and the frame part 110 may be closely adhered to the outdoor railing, thereby solving this problem. have.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코니 내부에서 옥외 난간(10) 상부에 결합한 후, 옥외 난간(10) 상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옥외 난간(10) 외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하여, 건물 외부에서 행해지는 위험한 설치작업이 요구됨 없이, 발코니 내부에서의 안정적인 설치작업을 보장한다. 또한, 표면세척 및 보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을 다시 회전시켜 발코니 내부에서 표면세척 및 보수작업을 수행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by the above method, as described above, after coupling to the top of the outdoor balustrade 10 in the interior of the balcony, the top of the outdoor balustrade 10. By having a structure that is rotated to the center to be installed outside the outdoor balustrade 10, it ensures stable installation work inside the balcony without requiring dangerous installation work performed outside the building. In addition, when surface cleaning and repair is required, since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is rotated again to perform surface cleaning and repair work in the balcony,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내부 전선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shown in FIG. 1.

아래에,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내부 전선 연결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FIG. 8, the internal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은, 태양광발전 시스템 관련 설비 또는 전력회사의 전력망과 연결되는 전선부(140)를 옥외 난간(10) 상부 내부공간과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ar cell module connected to the power grid of the solar power system-related equipment or power company, the outdoor space 10 and the upper interior space 10 and the solar cel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inside the module structure.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태양광발전 시스템 관련 설비 또는 전력회사의 전력망으로부터 연장된 전선(141)이 옥외 난간(10) 상부 내부공간을 통과하도 록 하고, 이 전선(141)은 옥외 난간(10) 상부와 체결수단(130)이 맞닿은 지점에서, 옥외 난간(10) 상부 내부공간으로부터 세로프레임(111a)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세로프레임(111a) 내부로 삽입된 전선(141)은, 커넥터(142)에 의해 분기 되며, 분기 된 각각의 전선들(143)은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120)과 연결된다.In more detail, the electric wire 141 extending from the power grid of the photovoltaic system-related equipment or the electric power company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outdoor railing 10, and the electric wire 141 is the outdoor railing 10. At the point where the upper portion and the fastening means 130 abut, the outdoor railing 10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111a from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10. The wire 141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111a is branched by the connector 142, and each of the branched wires 143 is connected to each solar cell module 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은, 이러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전선부(140)를 통하여, 태양전지 모듈(120)에 의해 발전 된 전기를 전송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생산된 전기를 전력망에 연결하여 쓰고 남은 전기를 전력회사에 팔고 생산된 전기만으로는 필요한 전기를 충당하지 못할 경우에는 전력망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전선부(140)를 전력회사 전력망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은, 생산된 전기를 전력망에 연결하지 않고 독자적인 축전설비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독립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전선부(140)를 축전설비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solar cell module 120 through the wire unit 140 having such a connection structure. By connecting the generated electricity to the power grid and selling the remain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power company and applying to the grid-connect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an receive electricity through the power grid if the electricity produced is not enough to supply the necessary electricity, The wire unit 140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power company power gri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tand-alon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unique power storage facility without connecting the produced electricity to a power grid. The wire unit 140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power storage facility,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9에는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shown in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은, 공동건물,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옥외 난간 외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은, 상기에 설 명한 바와 같이 옥외 난간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는 루버형 차양 막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이 최적의 입사각과 입사면적을 유지하면서도,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parately install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of a multi-family house, such as a common building. Since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louver-shaped sunshade that does not protrude significantly outside the outdoor railing as described above, each solar cell module maintains an optimal angle of incidence and an area of incidence. I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우선, 태양광원(太陽光源)은 그다지 밝게 보이지 않게 하고, 건물 내부만 밝게 할 수 있으며, 태양광선에 지향성(指向性)을 갖게 하여 실내의 조도분포(照度分布)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직사 일광(日光)을 겨울철에는 실내에 들어오게 하고 여름철에는 차단하여 일조(日照)를 조정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밖에서는 실내가 들여다보이지 않고, 실내에서는 밖을 내다보는 데 불편이 없도록 하며, 통풍에도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아울러, 건축 및 설비 마감자재에 상응하는 수준의 미려한 디자인을 통하여 건물과 자연스럽게 조화될 수 있다.First of all, the solar light source is not so bright, only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can be brightened, and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the room can be uniformed by giving directivity to the sunlight. In addition, direct sunlight can enter indoors in winter and block sunlight in summer to adjust daylight. In addition, the interior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looking out from the insid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entilation. In addition, it can be harmonized naturally with the building through a beautiful design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building and equipment finishing materials.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Here,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various embodiments that can replace them.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체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lar cell module shown in Figure 10,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means shown in Figure 10 .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refer to the same member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먼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200)은, 프레임부(210)와, 태양전지 모듈(220) 및 체결수단(230)을 구비함으로 써,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00)과 유사하나, 태양전지 모듈(220)이 프레임부(110) 상에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First, referring to FIG. 10,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ortion 210, a solar cell module 220, and a fastening means 230, and thus the overall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but the solar cell module 220 is inclined to one side on the frame part 110.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태양전지 모듈(220)을 도 11을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2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브래킷(213,214)에 의해 고정되어 메인프레임(211) 상에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 모듈(220)을 메인프레임(211) 상에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1 및 제2브래킷(213,214)은, 각각 상부 브래킷(213a,214a) 및 하부 브래킷(213b,214b)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제2브래킷(214)에 포함되는 상부 및 하부 브래킷(214a,214b) 각각은, 제1브래킷(213)에 포함되는 상부 및 하부 브래킷(213a,213b)보다 각각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각각의 하부 브래킷(213b,214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같이, 각각의 하부 브래킷(213a,214a)보다 더욱 긴 길이를 가짐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11, a solar cell module 220 having such a fea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shown in FIG. 11, the solar cell module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t is fixed by the brackets (213, 214) is dispos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on the main frame (211).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13 and 214 provided to fix the solar cell module 220 on the main frame 211 are divided into upper brackets 213a and 214a and lower brackets 213b and 214b, respectively. Each of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214a and 214b included in the second bracket 214 may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213a and 213b included in the first bracket 213, respectively. Is characteristic. In addition, each of the lower brackets 213b and 214b has a longer length than each of the lower brackets 213a and 214a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213,214) 중, 제1브래킷(213)은 태양전지 모듈(22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브래킷(213a)은 가로프레임(211b) 상에 결합하여 태양전지 모듈(220)의 상부를 지지하게 되며, 하부 브래킷(213b)은 세로프레임(211a) 상에 결합하여 태양전지 모듈(22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2브래킷(214)은 태양전지 모듈(220)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브래킷(214a)은 가로프레임(211b) 상에, 하부 브래킷(214b)은 세로프레임(214a) 상에 각각 결합하여 태양전지 모듈(22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Among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13 and 214, the first bracket 213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220, and the upper bracket 213a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211b to form a solar cell. The upper part of the module 220 is supported, and the lower bracket 213b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211a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solar cell module 220. In addition, the second bracket 214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220, the upper bracket 214a is on the horizontal frame 211b, the lower bracket 214b is on the vertical frame 214a, respectively Combined to support the top and bottom of the solar cell module 220, respectively.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2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221,222,223)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며, 각각 메인프레임(211)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면서 하부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동시에 일측으로도 경사지게 배치된다.According to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solar cell module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0, each solar cell module (221, 222, 223)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ach main It is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ame 211, and is also inclined to one sid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200)은,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121,122,123)이 최적의 입사면적을 유지하면서도 옥외 난간(10)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게 되며, 전체적인 외관이 루버형 차양 막 형태를 가지게 됨과 동시에, 설치되는 수평 방향에 관계없이 최적의 입사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200)은, 메인프레임(211)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면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알맞은 길이를 가지는 제2브래킷(214)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220)의 수평 방향 경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200)이 설치되는 건물이 남향이 아니더라도 태양전지 모듈(220)만을 남향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220)은 최적의 방위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최적의 발전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olar cell module 121, 122, 123 does not protrude greatly to the outside of the outdoor railing 10 while maintaining an optimal incidence area. This louver type canopy film has a shape, and an optimum angle of incidence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it is installed. In other words, since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211, a second having a suitable length according to a situation. By adjusting the horizontal tilt angle of the solar cell module 220 using the bracket 214, even if the building i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200 is installed is not south, only the solar cell module 220 may be disposed southward. Accordingly, the solar cell module 220 is able to maintain the optimum azimuth, thereby obtaining the optimum power generation efficienc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200)은, 옥외 난간(10) 상에 장착되기 위하여, 체결수단(230)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astening means 230 to be mounted on the outdoor railing 10.

아래에,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23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astening means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230)은,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200)을 옥외 난간(10)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210)를 옥외 난간(10) 상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제1체결체(231) 및 제2체결체(23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2, the fastening means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unting the frame unit 210 on the outdoor railing to mount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200 on the outdoor railing 10. (10) Fixing the upper portion, the first fastening body 231 and the second fastening body 232 are included.

이 중, 상기 제1체결체(231)는, 옥외 난간 상부에 걸쳐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가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하부는 프레임부(210),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로프레임(211a) 외측 상단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2체결체(232)는, 라운드 지게 형성된 상부가 제1체결체(231) 상부와 결합함으로써, 이 제1체결체(231)와 함께 옥외 난간(10) 상부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하부는 프레임부(210),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로프레임(211a) 내측 상단과 결합하도록 구비된다.Among these,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1 has a rounded upper portion so as to spa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and the lower portion extending straight from the upper portion is the frame portion 210, 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frame ( 211a) engage with the outer top. In additio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32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railing 10 together with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1 by joining the upper part of the round fasten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1. The lower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210,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211a.

아래에, 이러한 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옥외 난간에 설치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Below,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astening means to the outdoor railings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옥외 난간(10)에 설치하기 위하여, 발코니 내부에서 태양전지 모듈(220)이 장착된 프레임부(210) 상단을 상기 제1체결체(231)와 결합한다. 그런 다음, 태양전지 모듈(220)이 장착된 프레임부(210)를 옥외 난간(10) 외부로 위치시키고, 제1체결체(231)를 옥외 난간(10) 상부에 걸쳐 놓는다. 그러한 상태에서, 제2체결체(232)의 상부를 제1체결체(231)와 결합하고 하부를 프레임부(210)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옥외 난간(10)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프레임부(210)를 옥외 난간(10) 하부에 고정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220)이 장착된 프레 임부(210)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옥외 난간(10) 상에 장착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옥외 난간(10)에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된다.First, in order to install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utdoor railing 10, the upper part of the frame unit 210 o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220 is mounted in the balcony is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body ( 231). Then, the frame unit 210 o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220 is mounted is positioned outside the outdoor balustrade 10, and the first fastener 231 is placed over the outdoor balustrade 10. In such a state,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astening body 23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body 231, and the lower par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210 to rotate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on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10. To be combined. Finally, the frame portion 21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10 so that the frame portion 210 o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220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outdoor railing 10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n, the installa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utdoor railing 10 is comple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230)을 구비함으로써 나타나는 특징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회전시킬 필요 없이 발코니 내부에서 옥외 난간(10) 상에 곧바로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옥외 난간(10)과 건물 천장 사이의 공간이 옥외 난간(10) 상부를 중심으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회전시킬 수 없을 만큼 좁더라도, 안정적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설치 작업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게 된다. 그 외의 특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나타나는 특징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mong the features shown by the fastening means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iggest feature distinguished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balcony without the need to rotate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t can be mounted directly on the outdoor balustrade 10. This feature, even if the space between the outdoor railing (10) and the ceiling of the building is narrow enough to rotate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round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10, the effect of ensuring a stabl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nstallation work It makes sense to provide. Other features are the same as the features shown by providing th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y the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건물 외부에서 행해지는 위험한 설치작업이 요구됨 없이, 발코니 내부 에서의 안정적인 설치작업을 보장한다. 또한, 표면세척 및 보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다시 회전시켜 발코니 내부에서 표면세척 및 보수작업을 수행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First, it ensures stable installation inside the balcony without requiring dangerous installation work outside the building. In addition, when surface cleaning and repair is required,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s rotated again to perform surface cleaning and repair work inside the balcony, so maintenance is easy.

둘째,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이 최적의 입사면적을 유지하면서도 옥외 난간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으며, 설치되는 수평 방향에 관계없이 최적의 방위각으로 설치될 수 있다.Second, each solar cell module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door railing while maintaining the optimum incidence area, it can be installed at the optimum azimuth angle regardless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talled.

셋째, 전체적인 외관이 루버형 차양 막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직사 일광을 겨울철에는 실내에 들어오게 하고 여름철에는 차단하여 일조를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밖에서는 실내가 들여다보이지 않고, 실내에서는 밖을 내다보는 데 불편이 없도록 하며, 통풍에도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아울러, 건축 및 설비 마감자재에 상응하는 수준의 미려한 디자인을 통하여 건물과 자연스럽게 조화될 수 있다.Third, the overall appearance has a louver-shaped awning, so that direct sunlight can enter the interior in winter and block the summer in order to adjust the sun, and look out from the inside without looking inside. There is no inconvenienc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entilation. In addition, it can be harmonized naturally with the building through a beautiful design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building and equipment finishing materials.

넷째, 태양전지 모듈 배후 면에 방열판을 구비함으로써, 태양전지 셀 집합체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뿐 아니라 건물 내에서 보이게 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배후 면의 미관이 보다 수려하게 보이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Fourth, by providing a heat sink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not only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olar cell assembly but also the effect of making the aesthetics of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visible in the building more beautiful. do.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옥외 난간 외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프레임부와;A frame part disposed to be inclin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상기 프레임부 상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태양전지 모듈; 및A solar cell module mounted obliquely on the frame portion; And 상기 프레임부를 옥외 난간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rame portion to the outdoor railings, 상기 체결수단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 라운드진 내측이 옥외 난간 상부에 지지되며, 개방된 양단이 상기 프레임부 상단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The fastening means is formed in a U-shape, the rounded inner side is supported on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the open end of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portion. 옥외 난간 외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프레임부와;A frame part disposed to be inclined outside the outdoor railing; 상기 프레임부 상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태양전지 모듈; 및A solar cell module mounted obliquely on the frame portion; And 상기 프레임부를 옥외 난간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rame portion to the outdoor railings, 상기 체결수단은,The fastening means, 상부가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옥외 난간 상부에 걸쳐지며, 상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하부는 상기 프레임부 외측 상단과 결합하는 제1체결체; 및A first fastening body formed in a rounded upper part over an outdoor railing upper part, the lower part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upper part and engag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frame part; And 라운드진 상부가 상기 제1체결체 상부와 결합함으로써 제1체결체와 함께 옥외 난간 상부를 둘러싸며, 상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하부는 상기 프레임부 내측 상단과 결합하는 제2체결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The rounded upper part surrounds the outdoor railing upper part with the first fastening body by engaging with the first fastening body, and the lower part extending straight from the upper part includes a second fastening body which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frame part. Battery module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39653A 2006-05-02 2006-05-02 Solar cell module structure KR100841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53A KR100841573B1 (en) 2006-05-02 2006-05-02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53A KR100841573B1 (en) 2006-05-02 2006-05-02 Solar cell modul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18A KR20070107318A (en) 2007-11-07
KR100841573B1 true KR100841573B1 (en) 2008-06-30

Family

ID=3906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653A KR100841573B1 (en) 2006-05-02 2006-05-02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57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336A3 (en) * 2009-09-23 2011-06-16 (주)엘지하우시스 Photovoltaic module attached to guardrail
KR101045065B1 (en) 2009-10-09 2011-06-28 남성기전 주식회사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179686B1 (en) * 2010-03-29 2012-09-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lar energy devices for public building simultaneously use solar thermal and photovoltaic system
KR20220022255A (en)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포스팩토리 Solar module support apparatus for home use of sunlight-sensitized angle regulating type
KR20220105746A (en) 2021-01-21 2022-07-28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of position control for solar cell 4-way actu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3320B2 (en) 2008-01-18 2015-01-13 Tenksolar, Inc. Redundant electrical architecture for photovoltaic modules
WO2009092109A1 (en) * 2008-01-18 2009-07-23 Tenksolar, Inc Detachable louver system
KR100888407B1 (en) * 2008-10-13 2009-03-13 제일설계(주) Photovoltaic module device installed at the balcony in building
US8563847B2 (en) 2009-01-21 2013-10-22 Tenksolar, Inc Illumination agnostic solar panel
KR101147329B1 (en) * 2009-08-12 2012-05-23 정태락 To be established in the railing and in order to followed the heliometer light, the system
US9773933B2 (en) 2010-02-23 2017-09-26 Tenksolar, Inc. Space and energy efficient photovoltaic array
US9299861B2 (en) 2010-06-15 2016-03-29 Tenksolar, Inc. Cell-to-grid redundandt photovoltaic system
KR101475317B1 (en) * 2013-11-01 2014-12-23 (주) 마이크로발전소 Photovaltaic Module Frame for Apartment House Veranda Lower Side Outer Wall Installation
KR101421015B1 (en) * 2013-11-19 2014-07-23 박재택 Multi-Phase Fixer for Solar Module
KR200481480Y1 (en) * 2015-05-26 2016-10-06 이승례 Solar Module Fixing Apparatus
KR101674817B1 (en) 2015-07-10 2016-11-09 서정수 Porch solar system installation
IT202000027540A1 (en) * 2020-11-17 2022-05-17 Aton Green Storage S P A PHOTOVOLTAIC PANEL FOR BALCON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063A (en) * 1984-07-31 1986-02-26 Toshiba Electric Equip Corp Solar cell mounting apparatus
JPH08162660A (en) * 1994-12-07 1996-06-21 Kazuichi Torii Support device for solar cell
KR20050040376A (en) * 2003-10-28 2005-05-03 모인에너지(주) Structure for setting up solar battery module in restricted sp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063A (en) * 1984-07-31 1986-02-26 Toshiba Electric Equip Corp Solar cell mounting apparatus
JPH08162660A (en) * 1994-12-07 1996-06-21 Kazuichi Torii Support device for solar cell
KR20050040376A (en) * 2003-10-28 2005-05-03 모인에너지(주) Structure for setting up solar battery module in restricted spa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336A3 (en) * 2009-09-23 2011-06-16 (주)엘지하우시스 Photovoltaic module attached to guardrail
US9169649B2 (en) 2009-09-23 2015-10-27 Lg Hausys, Ltd. Photovoltaic module attached to guardrail
KR101045065B1 (en) 2009-10-09 2011-06-28 남성기전 주식회사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179686B1 (en) * 2010-03-29 2012-09-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lar energy devices for public building simultaneously use solar thermal and photovoltaic system
KR20220022255A (en)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포스팩토리 Solar module support apparatus for home use of sunlight-sensitized angle regulating type
KR20220105746A (en) 2021-01-21 2022-07-28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of position control for solar cell 4-way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18A (en)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573B1 (en) Solar cell module structure
US8222533B2 (en) Low profile photovoltaic (LPPV) box
KR101035388B1 (en) A solar structure possible angle-adjustment
KR101123686B1 (en) Solar cell window of bipv system
JP2017503467A (en) Solar energy collection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1080153B1 (en) A supporting structure for a solar cell module
KR101309831B1 (en) Photovoltaic module angle control apparatus
KR101895703B1 (en) Wind Power­Solar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098931B1 (en) A supporting structure for a solar cell module
KR20190082494A (en) Building veranda hand rail one body type solar photovoltaic module system
KR101028032B1 (en) Parking lot construction
KR102271899B1 (en) Solar energy generating apparatus
KR100680052B1 (en)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KR101586783B1 (en) Photovoltaic Solar Energy Generator Assembling Build-up-Type Korean-Style Wall
KR101135974B1 (en) Supporting frame of building integrated pv and using the solar cell window
KR20050040376A (en) Structure for setting up solar battery module in restricted space
KR101200844B1 (en) Design collective building structure
AU2009225948A1 (en) Tile unit
KR20110007272A (en) Curtain device combined photovaltaic
KR20120005985U (en) Glass block having solar condenser power module
KR101554144B1 (en) Concentrating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KR200452364Y1 (en) Solar cell module structure
KR20090047074A (en) A louver with solar cell and solar heating pipe
Kimura Photovoltaic systems and architecture
KR200340282Y1 (en) Structure for setting up solar battery module in restricted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