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332B1 -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332B1
KR100834332B1 KR1020067010655A KR20067010655A KR100834332B1 KR 100834332 B1 KR100834332 B1 KR 100834332B1 KR 1020067010655 A KR1020067010655 A KR 1020067010655A KR 20067010655 A KR20067010655 A KR 20067010655A KR 100834332 B1 KR100834332 B1 KR 100834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mpensation
compensation layer
liquid crystal
layer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540A (ko
Inventor
츠요시 지바
히로유키 오카다
요시츠구 기타무라
šœ스케 슈토우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using mesoge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40Materials having a particular birefringence, retard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4Number of plates greater than or equal to 4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7All plates on one side of the LC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8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a particular optical axis orie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박형화에 기여하고, 열 편차를 방지하며, 또한,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광 누설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편광자,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을 이 순서로 갖는다.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은 각각 소정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 굴절률 분포, 면내 위상차 및/또는 두께 방향의 위상차를 갖는다.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 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10°∼30°이고,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 2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70°∼95 이고,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 3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70°∼95°이다.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박형화에 기여하고, 열 편차를 방지하며, 또한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광 누설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로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더하여, 반투과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반투과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밝은 장소에서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와 동일하게 외광을 이용하고, 어두운 장소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내부 광원에 의해 표시를 시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반투과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반사형 및 투과형을 겸비한 표시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주위의 밝기에 따라 반사 모드, 투과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 그 결과, 반투과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면서 주위가 어두운 경우라도 명료한 표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표시부에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투과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막에 광투과용의 창부를 형성한 반사막을 하부 기판의 내측에 구비하고, 이 반사막을 반투과 반사판으로서 기능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반사 모드인 경우에는 상부 기판측으로부터 입사된 외광이, 액정층을 통과한 후에 하부 기판 내측의 반사막에서 반사되고, 다시 액정층을 투과하여 상부 기판측으로부터 출사되어 표시에 기여한다. 한편, 투과 모드의 경우에는 하부 기판측으로부터 입사된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이, 반사막의 창부를 통하여 액정층을 통과한 후, 상부 기판측으로부터 출사되어 표시에 기여한다. 따라서, 반사막 형성 영역 중, 창부가 형성된 영역이 투과 표시 영역이 되고, 그 외의 영역이 반사 표시 영역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반사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의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광 누설이 생겨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42226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9065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박형화에 기여하고, 열 편차를 방지하고, 또한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광 누설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편광자,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을 이 순서로 갖고; 그 제 1 광학 보상층이,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nx>ny=nz 의 관계를 갖고, 또한 그 면내 위상차 (Re1) 가 200∼300㎚ 이고; 그 제 2 광학 보상층이,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nx>ny=nz 의 관계를 갖고, 또한, 그 면내 위상차 (Re2) 가 90∼160㎚ 이고; 그 제 3 광학 보상층이, nx=ny>nz 의 관계를 갖고, 그 면내 위상차 (Re3) 가 0∼20㎚ 이고, 또한, 그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3) 가 30∼300㎚ 이고; 그 편광자의 흡수축과 그 제 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10°∼30°이고, 그 편광자의 흡수축과 그 제 2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70°∼95°이고, 그리고, 그 편광자의 흡수축과 그 제 3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70°∼95° 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의 두께는 1∼50㎛ 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은 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350㎚ 이하인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은 nx=ny>nz 의 관계를 갖고,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과, 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350㎚ 이하인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액정 패널이 제공된다. 이 액정 패널은 상기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과 액정 셀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셀은 반사형 또는 반투과형의 VA 모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 1 광학 보상층 (λ/2판), 제 2 광학 보상층 (λ/4판) 및 제 3 광학 보상층 (네거티브 C 플레이트) 의 각각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소정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특히 반사형 및 반투과형의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흑색 표시의 광 누설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액정 재료와 카이랄제를 사용한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에서 제 3 광학 보상층 (네거티브 C 플레이트) 을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네거티브 C 플레이트에 비하여 두께를 현격히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제 3 광학 보상층 (네거티브 C 플레이트) 을 얇게 함으로써, 열 편차가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의 개략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11 : 편광자
12 : 제 1 광학 보상층
13 : 제 2 광학 보상층
14 : 제 3 광학 보상층
20 : 액정 셀
100 : 액정 패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1)「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즉, 지상축 방향) 의 굴절률이고,「ny」는 면내에서 지상축으로 수직한 방향 (즉, 진상축 방향) 의 굴절률이고,「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또한, 예를 들어「nx=ny」는 nx 와 ny 가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nx 와 ny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실질적으로 동일하다」란,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전체적인 편광 특성에 실용상의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nx 와 ny 가 다른 경우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2)「면내 위상차 (Re)」는 23℃ 에 있어서의 파장 590㎚ 의 광에서 측정한 필름(층) 면내의 위상차값을 말한다. Re 는 파장 590㎚ 에 있어서의 필름(층)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로 하고, d(nm) 를 필름(층)의 두께로 하였을 때, 식: Re=(nx-ny)×d 에 의해서 구해진다.
(3)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는 23℃ 에 있어서의 파장 590㎚ 의 광에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말한다. Rth 는 파장 590㎚ 에 있어서의 필름(층)의 지상축 방향,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z 로 하고, d(nm) 를 필름(층)의 두께로 하였을 때, 식: Rth=(nx-nz)×d 에 의해서 구해진다.
(4)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용어나 기호에 부여되는 첨자「1」은 제 1 광학 보상층을 나타내고, 첨자 「2」는 제 2 광학 보상층을 나타내고, 첨자「3」은 제 3 광학 보상층을 나타낸다.
(5)「λ/2 판」이란, 어느 특정한 진동 방향을 갖는 직선 편광을, 당해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진동 방향을 갖는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거나, 우 원편광을 좌원편광으로 (또는 좌원편광을 우원편광으로) 변환하기도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말한다. λ/2 판은 소정 광의 파장 (통상, 가시광 영역) 에 대하여, 필름(층)의 면내의 위상차값이 약 1/2 이다.
(6)「λ/4 판」이란, 어느 특정한 파장의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 (또는,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말한다. λ/4 판은 소정 광의 파장 (통상, 가시광 영역) 에 대하여, 필름(층)의 면내의 위상차값이 약 1/4 이다.
(7)「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이란, 당해 층의 구성 분자가 나선 구조를 가지고, 그 나선축이 면 방향으로 거의 수직하게 배향하고, 그 배향 상태가 고정되어 있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은 액정 화합물이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보이는 경우뿐만 아니라, 비액정 화합물이 콜레스테릭 액정상과 같은 유사적 구조를 갖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은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상태에서 카이랄제에 의해 비틀림을 부여하여 콜레스테릭 구조 (나선 구조) 로 배향시키고, 그 상태에서 중합 처리 또는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당해 액정 재료의 배향(콜레스테릭 구조) 을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8)「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350㎚ 이하」란, 선택 반사의 파장역의 중심 파장 (λ) 이 35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이 액정 모노머를 사용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선택 반사의 파장역의 중심 파장 (λ) 은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λ= n×P
여기에서, n 은 액정 모노머의 평균 굴절률을 나타내고, P 는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의 나선 피치 (nm) 를 나타낸다. 상기 평균 굴절률 (n) 은 (no+ne)/2 로 표시되고, 통상 1.45∼1.65 의 범위이다. no 는 액정 모노머의 정상 광굴절률을 나타내고, ne 는 액정 모노머의 이상 광굴절률을 나타낸다.
(9)「카이랄제」란, 액정 재료 (예를 들어, 네마틱 액정) 를 콜레스테릭 구조가 되도록 배향하는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10)「비틀림력 (torsion force)」이란, 카이랄제가 액정 재료에 비틀림을 부여하여 콜레스테릭 구조 (나선 구조) 로 배향시키는 능력인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비틀림력은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비틀림력=1/(P×W)
P 는 상기한 바와 같이, P 는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의 나선 피치 (nm) 를 나타낸다. W 는 카이랄제 중량비를 나타낸다. 카이랄제 중량비 (W) 는 W=[X/(X+Y)]×100 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X 는 카이랄제의 중량이고, Y 는 액정 재료의 중량이다.
A.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A-1.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의 광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10) 은 편광자 (11) 와 제 1 광학 보상층 (12) 과 제 2 광학 보상층 (13) 과 제 3 광학 보상층 (14) 을 이 순서로 갖는다.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각 층은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실용적으로는, 편광자 (11) 의 광학 보상층이 형성되지 않은 측에는 임의의 적절한 보호 필름 (도시 생략) 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편광자 (11) 와 제 1 광학 보상층 (12) 사이에 보호 필름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 (12) 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nx>ny=nz 의 관계를 갖고, 또한, 그 면내 위상차 (Re1) 가 200∼300㎚ 이다.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 (13) 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nx>ny=nz 의 관계를 갖고, 또한, 그 면내 위상차 (Re2) 가 90∼160㎚ 이다.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14) 은 nx=ny>nz 의 관계를 갖고, 그 면내 위상차 (Re3) 가 0∼20㎚ 이고, 또한, 그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3) 가 30∼300㎚ 이다.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각각 후술하는 A-2 항, A-3 항 및 A-4 항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 (12) 은 그 지상축 (B) 이 편광자 (11) 의 흡수축 (A) 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α) 를 규정하여 적층되어 있다. 각도 (α) 는 편광자 (11) 의 흡수축 (A) 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0°∼30°이고, 12°∼27°가 바람직하고, 14°∼25°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 (13) 은 그 지상축 (C) 이 편광자 (11) 의 흡수축 (A) 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β) 를 규정하여 적층되어 있다. 각도 (β) 는 편광자 (11) 의 흡수축 (A) 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70°∼95°이고, 72°∼93°가 바람직하고, 74°∼92°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14) 은 그 지상축 (D) 이 편광자 (11) 의 흡수축 (A) 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γ) 를 규정하여 적층되어 있다. 각도 (γ) 는 편광자 (11) 의 흡수축 (A) 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70°∼95°이고, 72°∼93°가 바람직하고, 74°∼92°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정한 위치 관계에서 특정한 3 개의 광학 보상층을 적층함으로써, VA 모드 (특히, 반사형 또는 반투과형의 VA 모드) 의 액정 표시 장치의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광 누설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편광판의 전체 두께는 80∼270㎛ 가 바람직하고, 110∼270㎛ 가 더욱 바람직하고, 140∼270㎛ 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3 광학 보상층 (네거티브 C 플레이트: 후술) 을 액정성 모노머와 카이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함으로써, nx 와 nz 의 차를 매우 크게 (nx>>nz 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3 광학 보상층을 매우 얇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2 축 연신에 의한 네거티브 C 플레이트가 60㎛ 이상의 두께를 갖는 데 대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 3 광학 보상층은 두께를 2㎛ 까지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동일한 구성 (즉, 4 층 구조) 을 갖는 종래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전체 두께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A-2. 제 1 광학 보상층
제 1 광학 보상층 (12) 은 λ/2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 1 광학 보상층이 λ/2 판으로서 기능함으로써, λ/4 판으로서 기능하는 제 2 광학 보상층의 파장 분산 특성 (특히, 위상차가 λ/4 를 벗어나는 파장 범위) 에 대해서, 위상차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광학 보상층의 면내 위상차 (Re1) 는 200∼300㎚ 이고, 220∼280㎚ 이 바람직하고, 230∼270㎚ 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 (12) 은 nx>ny=nz 의 굴절률 분포를 갖는다.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의 두께는 λ/2 판으로서 가장 적절히 기능할 수 있 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두께는 원하는 면내 위상차가 얻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께는 37∼53㎛ 가 바람직하고, 40∼50㎛ 가 더욱 바람직하고, 43∼47㎛ 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 (12) 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10-13∼1.0×10-11,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12∼1.0×10- 11 의 수지를 함유한다.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이러한 범위이면, 가열시의 수축 응력이 발생한 경우에 위상차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여 제 1 광학 보상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의 열 편차가 양호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광탄성 계수를 만족할 수 있는 수지의 대표예로서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이 중합 단위로서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405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48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22137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환상 올레핀의 개환(공)중합체,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에서 변성된 그래프트 변성체 및 그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 및 그 알킬 및/또는 알킬리덴 치환체, 예를 들어 5-메틸-2-노르보르넨, 5-디메틸-2-노르보르넨, 5-에틸-2-노르보르넨, 5-부틸-2-노르보르넨, 5-에틸렌-2-노르보르넨 등, 이들의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 디시클로펜타디엔, 2,3-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등;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 그 알킬 및/또는 알킬리덴 치환체 및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 예를 들어 6-메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에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에틸리덴-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클로로-1,4:5,8-디메 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시아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피리딜-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메톡시카르보닐-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등; 시클로펜타디엔의 3∼4량체, 예를 들어 4,9:5,8-디메타노-3a,4,4a,5,8,8a,9,9a-옥타히드로-1H-벤조인덴, 4,11:5,10:6,9-트리메타노-3a,4,4a,5,5a,6,9,9a,10,10a,11,11a-도데카히드로-1H-시클로펜타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환 중합 가능한 다른 시클로올레핀류를 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클로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5,6-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의 반응성의 2 중 결합을 1 개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톨루엔 용매에 의한 겔ㆍ투과형ㆍ크로마토그래프 (GPC) 법으로 측정한 수평균 분자량 (Mn) 이 25,000∼200,000 이 바람직하고, 30,000∼100,000 이 더욱 바람직하고, 40,000∼80,000 이 가장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상기의 범위이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용해성, 성형성, 유연 조작성이 좋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것인 경우에는, 수소 첨가율은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내열 열화성 및 내광 열화성 등이 우수하다.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다양한 제품이 시판되어 있다. 구체예로서는, 닛폰 제온사 제조의 상품명 「제오넥스」,「제오노아」, JSR 사 제조의 상품명 「아튼 (Arton)」, TICONA 사 제조의 상품명「토패스」, 미쓰이 화학사 제조의 상품명「APEL」을 들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셀룰로오스계 수지 (대표적으로는 셀룰로오스와 산의 에스테르) 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가 특히 바람직하다. 저복굴절성이고, 또한, 고투과율이기 때문이다. TAC 는 많은 제품이 시판되어 있고, 입수 용이성이나 비용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TAC 의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후지샤신 필름사 제조의 상품명「UV-50」,「UV-80」,「SH-50」,「SH-80」,「TD-80U」,「TD-TAC」,「UZ-TAC」, 코니카사 제조의 상품명「KC 시리즈」, 론자저팬사 제조의 상품명「3아세트산셀룰로오스 80㎛ 시리즈」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TD-80U」가 바람직하다. 투과율 및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TD-80U」는 특히 TFT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우수한 적합성을 갖는다.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 (12) 은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또는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로부터 형성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얻어진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또는 셀룰로오스계 수지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성형가공법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압축 성형법, 트랜스퍼 성형법,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분말 성형법, FRP 성형법, 주형(캐스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압출 성형법 또는 주형(캐스팅)법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필름의 평활성을 높이고, 양호한 광학적 균일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성형 조건은 사용되는 수지의 조성이나 종류, 제 1 광학 보상층에 소망되는 특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많은 필름 제품이 시판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시판 필름을 그대로 연신 처리에 제공해도 된다.
상기 필름의 연신 배율은 제 1 광학 보상층에 소망되는 면내 위상차값 및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온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배율은 1.75∼2.05 배가 바람직하고, 1.80∼2.00 배가 더욱 바람직하고, 1.85∼1.95 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율로 연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적절히 발휘할 수 있는 면내 위상차를 갖는 제 1 광학 보상층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필름의 연신 온도는 제 1 광학 보상층에 소망되는 면내 위상차값 및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배율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온도는 130∼150℃ 가 바람직하고, 135∼145℃ 가 더욱 바람직하고, 137∼143℃ 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로 연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적절히 발휘할 수 있는 면내 위상차를 갖는 제 1 광학 보상 층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제 1 광학 보상층 (12) 은 편광자 (11) 와 제 2 광학 보상층 (13)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광학 보상층을 배치하는 방법으로서는,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 (12) 은 그 양측에 점착제층 (도시 생략) 을 형성하고, 편광자 (11) 및 제 2 광학 보상층 (13) 에 접착시킨다. 각 층의 간극을 이와 같이 점착제층으로 채움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에 조합하였을 때, 각 층의 광학축의 관계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각 층끼리가 스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층간의 계면 반사를 적게 하고,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하였을 때에 콘트라스트를 높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1㎛∼100㎛ 가 바람직하고, 5㎛∼50㎛ 가 더욱 바람직하고, 10㎛∼30㎛ 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가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용제형 점착제, 비수계 에멀전형 점착제, 수계 점착제, 핫멜트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용제형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편광자 및 제 1 광학 보상층에 대하여 적절한 점착 특성 (습윤성, 응집성 및 접착성) 을 나타내고, 또한 광학 투명성, 내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A-3. 제 2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13) 은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λ/4 판으로서 기능하는 제 2 광학 보상층의 파장 분산 특성을 상기 λ/2 판으로서 기능하는 제 1 광학 보상층의 광학 특성에 따라서 보정함으로써, 넓은 파장 범위에서의 원편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광학 보상층의 면내 위상차 (Re2) 는 90∼160㎚ 이고, 100∼150㎚ 이 바람직하고, 110∼140㎚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 (13) 은 nx>ny=nz 의 굴절률 분포를 갖는다.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의 두께는 λ/4 판으로서 가장 적절히 기능할 수 있 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두께는 원하는 면내 위상차가 얻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께는 42∼58㎛ 가 바람직하고, 45∼55㎛ 가 더욱 바람직하고, 48∼52㎛ 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 (13) 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 바람직하게는 2.0×10-13∼1.0×10-11,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12∼1.0×10- 11 의 수지를 함유한다.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이러한 범위이면, 가열시의 수축 응력이 발생한 경우에 위상차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여 제 2 광학 보상층을 형성함으로써, 제 1 광학 보상층의 효과도 함께, 얻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의 열 편차가 양호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광탄성 계수를 만족할 수 있는 수지의 대표예로서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상세함에 대해서는, 상기 A-2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 2 광학 보상층 (13) 의 면내 위상차 (Re2) 는, 상기 A-2 항에 기재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연신 배율 및 연신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제 2 광학 보상층에 소망되는 면내 위상차값 및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온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배율은 1.17∼1.47배가 바람직하고, 1.22∼1.42배가 더욱 바람직하고, 1.27∼1.37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율로 연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적절히 발휘할 수 있는 면내 위상차를 갖는 제 2 광학 보상층이 얻어질 수 있다.
연신 온도는, 제 2 광학 보상층에 소망되는 면내 위상차값 및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배율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온도는 130∼150℃ 가 바람직하고, 135∼145℃ 가 더욱 바람직하고, 137∼143℃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로 연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적절히 발휘할 수 있는 면내 위상차를 갖는 제 2 광학 보상층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제 2 광학 보상층 (13) 은 제 1 광학 보상층 (12) 과 제 3 광학 보상층 (14)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광학 보상층을 배치하는 방법으로서는,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상 기 제 2 광학 보상층 (13) 은 그 제 1 광학 보상층 (12) 측에 점착제층 (도시 생략) 을 형성하고, 제 1 광학 보상층 (12) 을 첨부하고, 그 제 3 광학 보상층 (14) 측에는 접착제층 (도시 생략) 을 형성하고, 제 3 광학 보상층 (14) 을 부착한다. 제 3 광학 보상층 (14) 이 적층 구조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플라스틱 필름층) 를 갖는 경우에는, 제 2 광학 보상층 (13) 과 플라스틱 필름층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부착하고,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과 플라스틱 필름층을,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부착한다. 또, 점착제층의 상세함에 대해서는, 상기 A-2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대표적으로는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경화형 접착제의 대표예로서는, 자외선 경화형 등의 광경화형 접착제, 습기 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열경화형 접착제의 구체예로서는, 에폭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습기 경화형 접착제의 구체예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계의 습기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습기 경화형 접착제 (특히,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계의 습기 경화형 접착제) 가 바람직하다. 습기 경화형 접착제는, 공기 중의 수분이나 피착체 표면의 흡착수, 수산기나 카르복실기 등의 활성 수소기 등과 반응하여 경화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도공 후, 방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경화시킬 수 있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경화를 위해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3 광학 보상층이 적층(접착)시에 가열되지 않는다. 그 결과, 가열 수축의 걱정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제 3 광학 보상층이 매우 얇은 경우라도, 적층시의 깨짐 등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경화형 접착제는, 경화 후에 가열되더라도 거의 신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3 광학 보상층이 매우 얇은 경우, 또한, 얻어지는 편광판을 고온 조건 하에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제 3 광학 보상층의 깨짐 등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계 접착제란,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우레탄 수지 접착제의 총칭이다.
상기 경화형 접착제는, 예를 들어 시판된 접착제를 사용해도 되고, 상기의 각종 경화형 수지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경화형 수지 접착제 용액 (또는 분산액) 으로서 조제해도 된다. 용액 (또는 분산액) 을 조제하는 경우, 당해 용액에 있어서의 경화형 수지의 함유 비율은 고형분 중량이 10∼80 중량% 가 바람직하고, 20∼65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25∼65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고, 30∼50 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경화형 수지의 종류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용매가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아세트산에틸,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톨루엔, 자일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으로의 접착제의 도공량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공량은 제 2 광학 보상층의 면적(㎠)당 0.3∼3㎖ 가 바람직하고, 0.5∼2㎖ 가 더욱 바람직하고, 1∼2㎖ 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공 후, 필요에 따라 접착제에 함유되는 용매는, 자연 건조나 가열 건조에 의해서 휘발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접착제층의 두께는, 0.1㎛∼20㎛ 가 바람직하고, 0.5㎛∼15㎛ 가 더욱 바람직하고, 1㎛∼10㎛ 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층의 누름 경도 (Microhardness) 는, 0.1∼0.5GPa 가 바람직하고, 0.2∼0.5GPa 가 더욱 바람직하고, 0.3∼0.4GPa 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 누름 경도는 비커스 경도와의 상관성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비커스 경도로도 환산할 수 있다. 누름 경도는, 예를 들어 닛폰덴키 주식회사 (NEC) 제조의 박막 경도계 (예를 들어, 상품명 MH4000, 상품명 MHA-400) 를 사용하여, 누름 깊이와 누름 하중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A-4. 제 3 광학 보상층
A-4-1. 제 3 광학 보상층의 전체 구성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14) 은 nx=ny>nz 의 관계를 갖고, 소위 네거티브 C 플레이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 3 광학 보상층이 이러한 굴절률 분포를 가짐으로써, 특히 VA 모드의 액정 셀의 액정층의 복굴절성을 양호하게 보상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야각 특성이 현저히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nx=ny」는, nx 와 ny 가 엄밀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하기 때문에, 제 3 광학 보상층은 면내 위상차를 가질 수 있고, 추가로 지상축을 가질 수 있다. 네거티브 C 플레이트로서 실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면내 위상차 (Re3) 는 0∼20㎚ 이고, 0∼10㎚ 이 바람직하고, 0∼5㎚ 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14) 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3) 는, 30∼300㎚ 이고, 60∼180㎚ 이 바람직하고, 80∼150㎚ 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120㎚ 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얻어질 수 있는 제 3 광학 보상층의 두께는, 사용되는 재료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광학 보상층의 두께는 1∼50㎛ 가 바람직하고, 1∼20㎛ 가 더욱 바람직하고, 1∼15㎛ 가 가장 바람직하다. 제 3 광학 보상층이 후술하는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단독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두께는 1∼10㎛ 가 바람직하고, 1∼8㎛ 가 더욱 바람직하고, 1∼5㎛ 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는, 2 축 연신에 의한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 (예를 들어, 60㎛ 이상) 에 비교하여 얇고,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제 3 광학 보상층을 매우 얇게 형성함으로써, 열 편차가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매우 얇은 광학 보상층은 콜레스테릭 배향의 흐트러짐이나 투과율 저하의 방지, 선택 반사성, 착색 방지,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3 광학 보상층 (네거티브 C 플레이트) 는, 상기한 바와 같은 두께 및 광학 특성이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매우 얇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는, 액정 재료를 사용하여 콜레스테릭 배향을 형성하고, 당해 콜레스테릭 배향을 고정화시킴으로써, 즉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콜레스테릭 배향을 형성하는 재료 및 콜레스테릭 배향의 고정화 방법의 상세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14) 은 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350㎚ 이하인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으로 이루어진다. 선택 반사의 파장역의 상한은 3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0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선택 반사의 파장역의 하한은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350㎚ 을 초과하면, 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가시광 영역에 들어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착색이나 탈색이라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100nm 보다 작으면, 사용해야 할 카이랄제(후술) 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지기 때문에, 광학 보상층 형성시의 온도 제어를 매우 정밀히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편광판의 제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에 있어서의 나선 피치는, 0.01∼0.25㎛ 가 바람직하고, 0.03∼0.20㎛ 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0.15㎛ 가 가장 바람직하다. 나선 피치가 0.01㎛ 이상이면, 예를 들어 충분한 배향성이 얻어진다. 나선 피치가 0.25㎛ 이하이면, 예를 들어 가시광의 단파장측에 있어서의 선광성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광 누설 등을 충분히 회피할 수 있다. 나선 피치는, 후술하는 카이랄제의 종류 (비틀림력) 및 양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나선 피치를 조정함으로써, 선택 반사의 파장역을 원하는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14) 은 상기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과, nx=ny>nz 의 관계를 갖고,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필름층이라고도 한다) 과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플라스틱 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 (이러한 광탄성 계수를 만족할 수 있는 수지) 의 대표예로서는, 환상 올레핀 계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상세함에 대해서는, 상기 A-2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대표적으로는, TAC 필름) 은 nx=ny>nz 의 관계를 갖는 필름이다.
A-4-2. 제 3 광학 보상층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을 형성하는 액정 조성물: 액정 재료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은 액정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당해 조성물에 함유되는 액정 재료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액정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액정상이 네마틱상인 액정 재료 (네마틱 액정) 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정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나 액정 모노머가 사용 가능하다. 액정 재료의 액정성의 발현 기구는, 리오트로픽이나 서모트로픽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의 배향 상태는 호모지니어스 배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의 액정 재료의 함유량은 75∼95 중량% 가 바람직하고, 80∼9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액정 재료의 함유량이 7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이 액정 상태를 충분히 보이지 않고, 결과적으로 콜레스테릭 배향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액정 재료의 함유량이 95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카이랄제의 함유량이 적어지고, 비틀림이 충분히 부여되지 않게 되므로, 콜레스테릭 배향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액정 재료는, 액정 모노머 (예를 들어, 중합성 모노머 및 가교성 모노머)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정 모노머를 중합 또는 가교시킴으로써, 액정 모노머의 배향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액정 모노머를 배향시킨 후에, 예를 들어 액정 모노머끼리를 중합 또는 가교시키면, 그에 따라 상기 배향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중합에 의해 폴리머가 형성되고, 가교에 의해 3 차원 그물코 구조가 형성되게 되지만, 이들은 비액정성이다. 따라서, 형성된 제 3 광학 보상층은 예를 들어 액정성 화합물에 특유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액정상, 유리상, 결정상으로의 전이가 일어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제 3 광학 보상층은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매우 안정성이 우수한 광학 보상층이 된다.
상기 액정 모노머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액정 모노머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표 2002-533742호(WO00/37585), EP358208(US5211877), EP66137(US4388453), WO93/22397, EP0261712, DE19504224, DE4408171 및 GB2280445 등에 기재된 중합성 메소겐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성 메소겐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BASF 사의 상품명 LC242, Merck 사의 상품명 E7, Wacker-Chem 사의 상품명 LC-Sillicon-CC3767 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정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네마틱성 액정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1) 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액정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 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01
상기 식 (1) 에 있어서, A1 및 A2 는 각각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A1 및 A2 는 어느 한 쪽이 수소이어도 된다. X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O-, -S-, -C=N-, -O-CO-, -CO-O-, -O-CO-O-, -CO-NR-, -NR-CO-, -NR-, -O-CO-NR-, -NR-CO-O-, -CH2-O- 또는 -NR-CO-NR 을 나타내고, R 은 H 또는 C1∼C4 알킬을 나타내고, M 은 메소겐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에 있어서, X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1) 의 모노머 중에서도, A2 는 각각 A1 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식
Z-X-(Sp)n …(2)
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A1 및 A2 는 동일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2) 에 있어서, Z 는 가교성기를 나타내고, X 는 상기 식 (1) 로 정의한 바와 같고, Sp 는 1∼3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기쇄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를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을 나타낸다. 상기 Sp 에 있어서의 탄소쇄는, 예를 들어 에테르 관능기 중의 산소, 티오에테르 관능기 중의 황, 비인접 이미노기 또는 C1∼C4 의 알킬이미노기 등에 의해 들어가 있어도 된다.
상기 식 (2) 에 있어서, Z 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원자단 중 어느 하나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에 있어서, R 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등의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02
또한, 상기 식 (2) 에 있어서, Sp 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원자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에 있어서, m 은 1∼3, p 는 1∼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03
상기 식 (1) 에 있어서, M 은 하기 식 (3) 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 (3) 에 있어서, X 는 상기 식 (1) 에 있어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Q는, 예를 들어 치환 또는 비치환의 직쇄 또는 분기쇄 알킬렌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원자단을 나타낸다. Q 는 예를 들어 치환 또는 비치환의 직쇄 또는 분기쇄 C1∼C12 알킬렌 등일 수 있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04
상기 Q 가 방향족 탄화수소 원자단인 경우, 예를 들어, 하기 식에 표시되는 원자단이나, 그들의 치환 유사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05
상기 식으로 표시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원자단의 치환 유사체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환 1 개에 대해 1∼4 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또한 방향족환 또는 기 1 개에 대해 1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치환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어 C1∼C4 알킬, 니트로, F, Cl, Br, I 등의 할로겐, 페닐, C1∼C4 알콕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정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4)∼(19) 로 표시되 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06
상기 액정 모노머가 액정성을 나타내는 온도 범위는, 그 종류에 따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온도 범위는 40∼120℃ 가 바람직하고, 50∼100℃ 가 더욱 바람직하고, 60∼90℃ 가 가장 바람직하다.
A-4-3. 제 3 광학 보상층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을 형성하는 액정 조성물: 카이랄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을 형성할 수 있는 액정 조성물은 카이랄제를 함유한다. 액정 조성물 중의 카이랄제의 함유량은 5∼23 중량% 가 바람직하고, 10∼2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비틀림이 충분히 부여되지 않게 되므로, 콜레스테릭 배향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얻어지는 광학 보상층의 선택 반사의 파장역을 원하는 대역(저파장측) 으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함유량이 23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정 재료가 액정상태를 보이는 온도 범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광학 보상층 형성시의 온도 제어를 매우 정밀히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편광판의 제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카이랄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이랄제로서는, 액정 재료를 원하는 콜레스테릭 구조로 배향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카이랄제의 비틀림력은 1×10-6-1ㆍ(wt%)-1 이상이 바람직하고, 1×10-5-1ㆍ(wt%)-1∼1×10-2-1ㆍ(wt%)-1 이 더욱 바람직하고, 1×10-4-1ㆍ(wt%)-1∼1×10-3-1ㆍ(wt%)-1 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틀림력을 갖는 카이랄제를 사용함으로써,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의 나선 피치를 원하는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선택 반사의 파장역을 원하는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비틀림력의 카이랄제를 사용하는 경우, 액정 조성물 중의 카이랄제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형성되는 광학 보상층의 선택 반사의 파장역은 저파장측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액정 조성물 중의 카이랄제의 함유량이 동일하면, 카이랄제의 비틀림력이 클수록 형성되는 광학 보상층의 선택 반사의 파장역은 저파장측이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는 이하와 같다: 형성되는 광학 보상층의 선택 반사의 파장역을 200∼220㎚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비틀림력이 5×10-4-1ㆍ(wt%)- 1 의 카이랄제를, 액정 조성물 중에 11∼13 중량% 의 비율로 함유시키면 된다. 형성되는 광학 보상층의 선택 반사의 파장역을 290∼310㎚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비틀림력이 5×10-4-1ㆍ(wt%)- 1 의 카이랄제를 액정 조성물 중에 7∼9 중량% 의 비율로 함유시키면 된다.
상기 카이랄제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성 카이랄제이다. 중합성 카이랄제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 (20)∼(23) 으로 표시되는 카이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Z-X5)nCh …(20)
(Z-X2-Sp-X5)nCh …(21)
(P1-X5)nCh …(22)
(Z-X2-Sp-X3-M-X4)nCh …(23)
상기 식 (20)∼(23) 에 있어서, Z 및 Sp 는 상기 식 (2) 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2, X3 및 X4 는 서로 독립적으로 화학적 단결합, -O-, -S-, -O-CO-, -CO-O-, -O-CO-O-, -CO-NR-, -NR-CO-, -O-CO-NR-, -NR-CO-O-, -NR-CO-NR- 을 나타내고, R 은 H, C1∼C4 알킬을 나타낸다. 또한, X5 는 화학적 단결합, -O-, -S-, -O-CO-, -CO-O-, -O-CO-O-, -CO-NR-, -NR-CO-, -O-CO-NR-, -NR-CO-O-, -NR-CO-NR, -CH2O-, -O-CH2-, -CH=N-, -N=CH- 또는 -N≡N- 을 나타낸다. R 은 상기와 동일하게 H, C1∼C4 알킬을 나타낸다. M 은 상기와 동일하게 메소겐기를 나타내고, P1 은 수소, 1∼3 개의 C1∼C6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C1∼C30 알킬기, C1∼C30 아실기 또는 C3∼C8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n 은 1∼6 의 정수이다. Ch 는 n 가의 카이랄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 (23) 에 있어서, X3 및 X4 는 적어도 그 한 쪽이 -O-CO-O-, -O-CO-NR-, -NR-CO-O- 또는 -NR-CO-NR-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22) 에 있어서, P1 이 알킬기, 아실기 또는 시클로알킬기인 경우, 예를 들어 그 탄소쇄가, 에테르관능기 내의 산소, 티오에테르 관능기 내의 황, 비인접 이미노기 또는 C1∼C4 알킬이미노기에 의해서 들어가도 된다.
상기 Ch 로 표시되는 카이랄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원자단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07
Figure 112006038563892-pct00008
상기 원자단에 있어서, L 은 C1∼C4 알킬, C1∼C4 알콕시, 할로겐, COOR, OCOR, CONHR 또는 NHCOR 를 나타내고, R 은 C1∼C4 알킬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식에 나타낸 원자단에 있어서의 말단은 인접하는 기와의 결합수(手)를 나타낸다.
상기 원자단 중에서도,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원자단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09
또한, 상기 식 (21) 또는 (23) 으로 표시되는 카이랄 화합물은 예를 들어 n 이 2 이고, Z 가 H2C=CH- 이고, Ch 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원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10
상기 카이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24)∼(44)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카이랄 화합물은 비틀림력이 1×10-6-1ㆍ(wt%)-1 이상이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11
Figure 112006038563892-pct00012
상기한 바와 같은 카이랄 화합물 외에도, 예를 들어, RE-A4342280호 및 독일특허출원 19520660.6호 및 19520704.1 호에 기재되는 카이랄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액정 재료와 상기 카이랄제의 조합으로서는,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조합이 채용될 수 있다. 특히, 대표적인 조합으로서는, 상기 식 (10) 의 액정 모노머/상기 식 (38) 의 카이랄제의 조합, 상기 식 (11) 의 액정 모노머제 /상기 식 (39) 의 카이랄제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A-4-4. 제 3 광학 보상층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을 형성하는 액정 조성물: 그 밖의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을 형성할 수 있는 액정 조성물은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 (경화제) 의 적어도 한 쪽을 추가로 포함한다. 중합 개시제 및/또는 가교제 (경화제) 를 사용함으로써, 액정 재료가 액정 상태로 형성된 콜레스테릭 구조 (콜레스테릭 배향) 를 고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 또는 가교제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물질이 채용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일퍼옥사이드 (BPO),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AIBN) 을 들 수 있다. 가교제 (경화제) 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제, 광경화제, 열경화제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액정 조성물 중의 중합 개시제 또는 가교제의 함유량은 0.1∼10 중량% 가 바람직하고, 0.5∼8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1∼5 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콜레스테릭 구조의 고정화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함유량이 10 중량% 를 초과하면, 상기 액정 재료가 액정 상태를 나타내는 온도 범위가 좁아지므로, 콜레스테릭 구조를 형성할 때의 온도 제어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액정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노화 방지제, 변성제, 계면 활성제, 염료, 안료, 변색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노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유기황계 화합물, 포스핀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콜류, 실리콘류나 알코올류를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어 광학 보상층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기위해서 첨가되고, 예를 들어 실리콘계, 아크릴계, 불소계의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A-4-5. 제 3 광학 보상층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의 형성 방법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원하는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이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제 3 광학 보상층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의 대표적인 형성 방법은 상기 액정 조성물을 기판 상에 전개하여 전개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당해 액정 조성물 중의 액정 재료가 콜레스테릭 배향이 되도록, 당해 전개층에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당해 전개층에 중합 처리 및 가교 처리 중 적어도 1 개를 실시하여, 당해 액정 재료의 배향을 고정하는 공정과, 기판 상에 형성된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을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하, 당해 형성 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액정 재료, 카이랄제, 중합 개시제 또는 가교제 및 필요에 따라 각종첨가제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액정 도공액을 조제한다. 액정 재료, 카 이랄제, 중합 개시제, 가교제 및 첨가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액정 도공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4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염화메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오르소디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페놀, p-클로로페놀, o-클로로페놀, m-크레졸, o-크레졸, p-크레졸 등의 페놀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톡시벤젠, 1,2-디메톡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MEK),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탄온,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케톤계 용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t-부틸알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2-메틸-2,4-펜탄디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아미드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부티로니트릴과 같은 니트릴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또는 2황화탄소, 에틸셀솔브, 부틸셀솔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MEK,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에틸셀로솔브이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정 도공액의 점도는, 상기 액정 재료의 함유량이나 온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의 실온 (20∼30℃) 에 있어서 액정 도공액 중의 액 정 재료의 농도가 5∼70 중량% 인 경우, 당해 도공액의 점도는 0.2∼20mPaㆍs 가 바람직하고, 0.5∼15mPaㆍs 가 더욱 바람직하고, 1∼10mPaㆍs 가 가장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도공액에 있어서의 액정 재료의 농도가 30 중량% 인 경우, 당해 도공액의 점도는 2∼5mPaㆍs 가 바람직하고, 3∼4mPaㆍs 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공액의 점도가 0.2mPaㆍs 이상이면, 도공액을 주행(走行)하는 것에 의한 액 흐름의 발생을 매우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공액의 점도가 20mPaㆍs 이하이면, 두께 불균일이 없고, 매우 우수한 표면 평활성을 갖는 광학 보상층이 얻어진다. 또한, 도공성도 우수하다.
다음으로, 상기 액정 도공액을, 기판 상에 도공하여 전개층을 형성한다. 전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 (대표적으로는, 도공액을 유동 전개시키는 방법) 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롤코트법, 스핀코트법, 와이어바코트법, 딥코트법, 익스트루전법, 커튼코트법, 스프레이코트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포 효율의 관점에서 스핀코트법, 익스트루전코트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 도공액의 도공량은 도공액의 농도나 목적으로 하는 층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공액의 액정 재료 농도가 20 중량% 인 경우, 도공량은 기판의 면적 (100㎠) 당 0.03∼0.17㎖ 가 바람직하고, 0.05∼0.15㎖ 가 더욱 바람직하고, 0.08∼0.12㎖ 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으로서는, 상기 액정 재료를 배향시킬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기판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각종 플라스틱 필름을 들 수 있다. 플 라스틱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케톤술피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계 플라스틱,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구리, 철 등의 금속제 기판, 세라믹제 기판, 유리제 기판 등의 표면에, 상기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를 배치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또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의 표면에 Si02 사방 증착막을 형성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기판의 두께는, 5㎛∼500㎛ 가 바람직하고, 10㎛∼200㎛ 가 더욱 바람직하고, 15㎛∼150㎛ 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이면 기판으로서 충분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조시에 파단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개층에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상태에서 배향시킨다. 상기 전개층에는, 상기 액정 재료와 함께 카이랄제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상태에서 비틀림이 부여되어 배향된다. 그 결과, 전개층 (을 구성하는 액정 재료) 이 콜레스테릭 구조 (나선 구조) 를 나타낸다.
상기 가열 처리의 온도 조건은 상기 액정 재료의 종류 (구체적으로는, 액정 재료가 액정성을 나타내는 온도) 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온도는 40∼120℃ 가 바람직하고, 50∼100℃ 가 더욱 바람직하고, 60∼90℃ 가 가장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40℃ 이상이면, 통상 액정 재료를 충분히 배향시킬 수 있다. 가열 온도가 120℃ 이하이면, 예를 들어 내열성을 고려한 경우에 기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액정 재료에 따른 가장 적합한 기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시간은 30 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1 분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2 분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4 분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처리 시간이 30 초 미만인 경우에는, 액정 재료가 충분히 액정 상태를 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가열 시간은 10 분 이하가 바람직하고, 8 분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7 분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처리 시간이 10 분을 초과하면, 첨가제가 승화될 위험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액정 재료가 콜레스테릭 구조를 나타낸 상태에서, 전개층에 중합 처리 또는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당해 액정 재료의 배향 (콜레스테릭 구조) 을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액정 재료 (중합성 모노머) 및/또는 카이랄제 (중합성 카이랄제) 가 중합하고, 중합성 모노머 및/또는 중합성 카이랄제가 폴리머 분자의 반복 단위로서 고정된다. 또한,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액정 재료 (가교성 모노머) 및/또는 카이랄제가 3 차원의 그물코 구조를 형성하고, 당해 가교성 모노머 및/또는 카이랄제가 가교 구조의 일부로서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액정 재료의 배향 상태가 고정된 다. 또, 액정 재료가 중합 또는 가교하여 형성되는 폴리머 또는 3차원 그물코 구조는「비액정성」이고, 따라서, 형성된 제 3 광학 보상층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액정 분자에 특유의 온도 변화에 의한 액정상, 유리상, 결정상으로의 전이가 일어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온도에 의한 배향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형성된 제 3 광학 보상층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성능의 광학 보상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제 3 광학 보상층은 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100㎚∼320㎚ 의 범위로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광 누설 등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합 처리 또는 가교 처리의 구체적인 순서는,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나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중합 개시제 또는 광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조사를 실시하면 되고, 자외선 중합 개시제 또는 자외선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면 되고, 열에 의한 중합 개시제 또는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을 실시하면 된다. 광 또는 자외선의 조사 시간, 조사 강도, 합계의 조사량 등은 액정 재료의 종류, 기판의 종류, 제 3 광학 보상층에 소망되는 특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동일하게 가열 온도, 가열 시간 등도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기판 상에 형성된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은 제 2 광학 보상층의 표면에 전사되어 제 3 광학 보상층이 된다. 제 3 광학 보상층이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과 플라스틱 필름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필름층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제 2 광학 보상층에 부착되고, 당해 플라스틱층에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이 전사되어 제 3 광학 보상층이 된다. 또는, 기재에 형성된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플라스틱 필름층을 부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당해 적층체를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제 2 광학 보상층의 표면에 부착해도 된다. 전사는 기재를 제 3 광학 보상층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A-3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플라스틱 필름층은 상기 A-4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 3 광학 보상층의 형성 방법의 상기와 같은 대표예는, 액정 재료로서 액정 모노머 (예를 들어, 중합성 모노머 또는 가교성 모노머) 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3 광학 보상층의 형성 방법은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액정 폴리머를 사용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단, 상기와 같은 액정 모노머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액정 모노머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광학 보상 기능을 갖고, 또한, 보다 얇은 광학 보상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모노머를 사용하면 선택 반사의 파장역을 한층 더 제어하기 쉽다. 또한, 도공액의 점도 등의 설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매우 얇은 제 3 광학 보상층의 형성이 한층 더 용이해지고, 또한, 취급성도 매우 우수하다. 또한, 얻어지는 광학 보상층의 표면 평탄성이 더욱 우수한 것이 된다.
A-5. 편광자
상기 편광자 (11) 로서는,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ㆍ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 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2 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편광자가, 편광 2색비가 높아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8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수욕 중에도 연신할 수 있다.
A-6.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으로서는,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 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스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르보르넨계, 폴리올레핀계, 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예를 들어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측쇄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대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TAC,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유리질계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TAC 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필름은 투명하고, 착색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이 -90㎚∼+90㎚ 이 바람직하고, -80㎚∼+80㎚ 이 더욱 바람직하고, -70㎚∼+70㎚ 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의 두께로서는, 상기의 바람직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호층의 두께는 5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500㎛ 가 특히 바람직하고, 5∼150㎛ 가 가장 바람직하다.
편광자 (11) 의 외측 (광학 보상층과 반대측) 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이 실시될 수 있다.
A-7. 편광판의 그 밖의 구성 요소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또 다른 광학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다른 광학층으로서는, 목적이나 화상 표시 장치의 종류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층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액정 필름, 광산란 필름, 회절 필름, 또 다른 광학 보상층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적어도 한 쪽에 최외층으로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외층으로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다른 부재 (예를 들어, 액정 셀) 와의 적층이 용이해지고, 편광판이 다른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재료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점착제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A-2 항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접착제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A-3 항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습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가 사용된다. 흡습에 의한 발포나 박리, 열팽창차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 액정 셀의 휨 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용적으로는, 상기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의 표면은 편광판이 실제로 사용 되기 까지의 사이, 임의의 적절한 세퍼레이터에 의해서 커버되고,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임의의 적절한 필름에,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제에 의한 박리 코트를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에 있어서의 각 층은 예를 들어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에 의한 처리 등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능을 부여한 것이어도 된다.
B. 편광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상기 각 층을 상기와 같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적층 수단으로서는, 각 층의 광축이 이루는 각도 (상기 각도 α, β 및 γ) 가 상기의 범위가 되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자,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을 소정의 크기로 펀칭하고, 상기 각도 α, β 및 γ 가 희망하는 범위가 되도록 방향을 맞추어,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통하여 그것들을 적층할 수 있다.
C. 편광판의 용도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각종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자발광형 표시 장치) 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 스플레이 (P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FED: Field Emission Display)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광 누설 방지 및 시야각 보상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반사형 및 반투과형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EL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극 반사 방지에 유용하다.
D.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에 관해서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가 바람직하고, 반사형 및 반투과형의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가 특히 바람직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액정 패널의 개략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반사형의 액정 표시 장치용 액정 패널을 설명한다. 액정 패널 (100) 은 액정 셀 (20) 과, 액정 셀 (20) 의 상측에 배치된 위상차판 (30) 과, 위상차판 (30) 의 상측에 배치된 편광판 (10) 을 구비한다. 위상차판 (30) 으로서는, 목적 및 액정 셀의 배향 모드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위상차판이 채용될 수 있다. 목적 및 액정 셀의 배향 모드에 따라서는, 위상차판 (30) 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 (10) 은 상기 A 항 및 B 항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이 다. 액정 셀 (20) 은 한 쌍의 유리 기판 (21, 21') 과, 그 기판 사이에 배치된 표시 매체로서의 액정층 (22) 을 갖는다. 하부 기판 (21') 의 액정층 (22) 측에는, 반사 전극 (23) 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기판 (21) 에는, 컬러 필터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21, 21') 의 간격 (셀 갭) 은 스페이서 (24) 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사형 VA 모드의 경우에는,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100) 는 전압 무인가시에는, 액정 분자는 기판 (21, 21') 면에 수직하게 배향된다. 이러한 수직 배향은 수직 배향막 (도시 생략) 을 형성한 기판 사이에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을 배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편광판 (10) 을 통과한 직선 편광의 광을 상부 기판 (21) 의 면으로부터 액정층 (22) 에 입사시키면, 입사광은 수직 배향하는 액정 분자의 장축의 방향을 따라 진행된다. 액정 분자의 장축 방향에는 복굴절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입사광은 편광 방위를 바꾸지 않고 진행하고, 반사 전극 (23) 에서 반사되어 다시 액정층 (22) 을 통과하고, 상부 기판 (21) 으로부터 출사된다. 출사광의 편광 상태는 입사시와 같기 때문에, 당해 출사광은 편광판 (10) 을 투과하고, 밝은 상태의 표시가 얻어진다.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 분자의 장축이 기판면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 상태의 액정층 (22) 에 입사된 직선 편광의 광에 대하여 액정 분자는 복굴절성을 나타내고, 입사광의 편광 상태는 액정 분자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된다. 소정의 최대 전압 인가시에 있어서, 반사 전극 (23) 에서 반사되어 상부 기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예를 들어 편광 방위가 90°회전된 직선 편광이 되기 때 문에, 편광판 (10) 에서 흡수되어 어두운 상태의 표시가 얻어진다. 다시 전압 무인가 상태로 하면, 배향 규제력에 의해 밝은 상태의 표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인가 전압을 변화시켜 액정 분자의 경사를 제어하여 편광판 (10) 으로부터의 투과광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계조 표시가 가능해진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두께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두께를, (주)오자키 제작소 제조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열 편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에 대하여, 동일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끼리를 부착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하였다. 부착시에는, 서로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그리고, 제 3 광학 보상층끼리가 대향하도록 하였다. 이 측정 시료를 백라이트 상에 두고, 백라이트로 비춰진 화상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촬영 화상을 미타니 상사(주) 제조, Win Roof v3.0 을 사용하여 회색화 (256 계조) 하였다. 밝기의 계조 0-255 의 35 계조째를 임계값으로 하고, 0-35 를 백, 35-255 를 흑으로 하여 2값화하였다. 화상 중에 포함되는 백의 비율을 % 표시로 나타내었다. 측정 시료를 85℃ 에서 10 분간 가열하고, 가열 전후의 백의 비율을 측정하여 그 변화량을 구하였다. 변화량이 작아지면 열 편차가 작음을 나타낸다.
(3) 투과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에 대해서, 동일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끼리를 부착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하였다. 부착시에는, 서로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그리고, 제 3 광학 보상층끼리가 마주 보도록 하였다. 이 측정 시료의 투과율을, 상품명 DOT-3 (무라카미 색채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편광자의 제작)
시판된 폴리비닐알코올 (PVA) 필름 (구라레사 제조) 을, 요오드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도비가 다른 롤사이에서 약 6 배로 1 축 연신하여 장척의 편광자를 얻었다. PVA 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 편광자의 양면에 시판된 TAC 필름 (후지샤신 필름사 제조) 을 부착하고, 전체 두께 100㎛ 의 편광판 (보호 필름/편광자/보호 필름) 을 얻었다. 이 편광판j을 세로 20㎝×가로 30㎝ 로 펀칭하였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이 세로 방향이 되도록 하였다.
(제 1 광학 보상층의 제작)
장척의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 (닛폰 제온사 제조: 상품명 Zeonoa: 두께 60㎛: 광탄성 계수 3.10×10-12㎡/N) 을 140℃ 에서 1.90 배로 1 축 연신함으로써, 장 척의 제 1 광학 보상층용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필름의 두께는 45㎛, 면내 위상차 (Re1) 는 270㎚ 이었다. 이 필름을 세로 20㎝×가로 30㎝ 로 펀칭하였다. 이 때, 지상축이 세로 방향이 되도록 하였다.
(제 2 광학 보상층의 제작)
장척의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 (닛폰 제온사 제조: 상품명 Zeonoa: 두께 60㎛: 광탄성 계수 3.10×10-12㎡/N) 을 140℃ 에서 1.32 배로 1 축 연신함으로써, 장척의 제 2 광학 보상층용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필름의 두께는 50㎛, 면내 위상차 (Re2) 는 140㎚ 이었다. 이 필름을 세로 20㎝× 가로 30㎝ 로 펀칭하였다. 이 때, 지상축이 세로 방향이 되도록 하였다.
(제 3 광학 보상층의 제작)
하기 식 (10) 으로 표시되는 네마틱 액정성 화합물 90 중량부, 하기 식 (38) 으로 표시되는 카이랄제 10 중량부,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907, 티바 스페셜티 케미칼사 제조) 5 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30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액정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이 액정 도공액을 기판 (2 축 연신 PET 필름) 상에 코팅하여, 80℃ 에서 3 분간 열처리하고, 이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 처리하고, 제 3 광학 보상층을 형성하였다. 제 3 광학 보상층이 형성된 기판을 세로 20㎝×가로 30㎝ 로 펀칭하였다. 제 3 광학 보상층의 두께는 2㎛, 면내 위상차 (Re3) 는 0㎚, 두께 방향 위상차 (Rth3) 는 110㎚ 이었다.
Figure 112006038563892-pct00013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을 이 순서로 적층하였다. 여기에서,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각각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5°, 75°및 75°가 되도록 적층하였다. 편광판과 제 1 광학 보상층 및 제 1 광학 보상층과 제 2 광학 보상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두께 20㎛) 를 사용하여 적층하고, 제 2 광학 보상층과 제 3 광학 보상층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형 접착제 (두께 5㎛) 를 사용하여 적층하였다. 이어서, 제 3 광학 보상층이 지지되어 있던 기판 (2 축 연신 PET 필름) 을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액정 셀과 부착시키기 위한 아크릴계 점착제 (두께 20㎛) 를 도포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로 4.0㎝×가로 5.3㎝ 로 펀칭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두께, 투과율 및 열 편차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실시예 2∼3 및 비교예 1∼3 의 결과와 함께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두께 (㎛) 투과율 (%) 열 편차
가열 전(%) 가열 후(%) 변화량
실시예 1 262 0.10 0.21 1.55 1.34
실시예 2 340 0.10 7.53 12.18 4.65
실시예 3 322 0.10 0.25 1.60 1.35
비교예 1 262 0.85 1.22 2.60 1.38
비교예 2 262 0.80 1.28 2.70 1.42
비교예 3 340 0.85 8.02 12.54 4.52
실시예 2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 제 1 광학 보상층 및 제 2 광학층을 제작하였다.
(제 3 광학 보상층의 제작)
장척의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 (JSR사 제조: 상품명 Arton: 두께 100㎛: 광탄성 계수 5.00×10-12㎡/N) 을 175℃ 에서 약 1.27 배로 세로 연신하고, 이어서 176℃ 에서 약 1.37 배로 가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3 광학 보상층용 필름 (두께 65㎛) 을 제작하였다. 이 필름을 세로 20㎝×가로 30㎝ 로 펀칭하고, 제 3 광학 보상층으로 하였다. 제 3 광학 보상층의 면내 위상차 (Re3) 는 0㎚, 두께 방향 위상차 (Rth3) 는 110㎚ 이었다.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제작)
제 2 광학 보상층과 제 3 광학 보상층을 아크릴계 점착제 (두께 20㎛) 를 사용하여 적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상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 제 1 광학 보상층 및 제 2 광학 보상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제한 액정 도공액을 기판 (2 축 연신 PET 필름) 상에 코팅하고, 80℃ 에서 3 분간 열처리하고, 이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처리하고,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 (두께 2㎛) 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당해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형 접착제 (두께 5㎛) 를 도포하고, 당해 접착제를 통하여 플라스틱 필름층 (TAC 필름; 두께 40㎛) 을 부착하여, 제 3 광학 보상층을 형성하였다. 제 3 광학 보상층이 형성된 기판을 세로 20㎝×가로 30㎝ 로 펀칭하였다. 제 3 광학 보상층의 두께는 47㎛, 면내 위상차 (Re3) 는 0㎚, 두께 방향 위상차 (Rth3) 는 140㎚ 이었다.
실시예 1 의 순서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을 이 순서로 적층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단, 제 2 광학 보상층과 제 3 광학 보상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두께 20㎛) 를 사용하여 적층하였다. 그 때, 제 3 광학 보상층의 플라스틱 필름층 (TAC 필름) 이, 제 2 광학 보상층에 대향하도록 하여 적층하였다.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상기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제 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상기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제 2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상기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제 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상기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를 소정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크로스니콜 상태에서의 투과율을 매우 작게 할 수 있었다. 즉,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광 누설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었다. 한편, 적어도 1 개의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비교예에 따르면, 크로스니콜 상태에서의 투과율이 매우 컸다. 즉,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광 누설이 매우 크고, 실용에 제공할 수 있는 레벨이었다. 또한, 적어도 1 개의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비교예에 따르면, 열 편차 시험에 있어서 초기값부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3 과 실시예 2 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제 3 광학 보상층으로서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을 채용함으로써, 광 누설의 방지와 열 편차의 방지를 양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3 광학 보상층의 적층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가열시의 제 3 광학 보상층의 깨짐이 양호하게 방지되는 것이 실제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각종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자발광형 표시 장치) 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편광자,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nx>ny=nz 의 관계를 가지며, 또한 그 면내 위상차 (Re1) 가 200∼300㎚ 이고,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nx>ny=nz 의 관계를 갖고, 또한 그 면내 위상차 (Re2) 가 90∼160㎚ 이고,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은 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350㎚ 이하인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으로 이루어지고, nx=ny>nz 의 관계를 갖고, 그 면내 위상차 (Re3) 가 0∼20㎚ 이고, 또한 그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3) 가 30∼300㎚ 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10°∼30°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70°∼95°이며, 또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70°∼95°이고,
    VA 모드 액정표시장치용인,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4. 편광자, 제 1 광학 보상층, 제 2 광학 보상층, 및 제 3 광학 보상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nx>ny=nz 의 관계를 가지며, 또한 그 면내 위상차 (Re1) 가 200∼300㎚ 이고,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nx>ny=nz 의 관계를 갖고, 또한 그 면내 위상차 (Re2) 가 90∼160㎚ 이고,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은, nx=ny>nz 의 관계를 갖고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10-11㎡/N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과, 선택 반사의 파장역이 350㎚ 이하인 콜레스테릭 배향 고화층의 적층구조를 갖고,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 전체로서 nx=ny>nz 의 관계를 갖고, 그 면내 위상차 (Re3) 가 0∼20㎚ 이고, 그리고, 그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3) 가 30∼300㎚ 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 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10°∼30°이고,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 2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70°∼95°이며, 또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70°∼95°이고,
    VA 모드 액정표시장치용인,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과 VA 모드인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6. 삭제
  7. 제 5 항에 기재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삭제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광학 보상층의 두께는 1∼50㎛ 인,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KR1020067010655A 2004-12-02 2005-11-25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0834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9387 2004-12-02
JP2004349387 2004-12-02
JPJP-P-2005-00100958 2005-03-31
JP2005100958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540A KR20060107540A (ko) 2006-10-13
KR100834332B1 true KR100834332B1 (ko) 2008-06-02

Family

ID=3656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655A KR100834332B1 (ko) 2004-12-02 2005-11-25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23714B2 (ko)
KR (1) KR100834332B1 (ko)
TW (1) TW200636361A (ko)
WO (1) WO2006059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200B2 (ja) * 2004-11-22 2007-01-3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層付偏光板、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光学補償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US20090122236A1 (en) * 2005-10-21 2009-05-14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with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90027189A (ko) * 2006-04-28 2009-03-1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5252335B2 (ja) * 2006-10-27 2013-07-3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4998941B2 (ja) * 2006-11-20 2012-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165185A (ja) * 2006-12-07 2008-07-17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181082A (ja) * 2006-12-25 2008-08-07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069166B2 (ja) * 2008-04-09 2012-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324316B2 (ja) * 2008-05-27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TWI492612B (zh) * 2012-05-15 2015-07-11 Chi Mei Materials Technology Corp 影像顯示器與利用此影像顯示器之立體影像顯示器
JP6376126B2 (ja) * 2013-05-17 2018-08-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5210459A (ja) * 2014-04-30 2015-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円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US10254459B2 (en) * 2014-09-17 2019-04-09 Zeon Corporation Circular polarizing plate, wideband lambda/4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P3199989A4 (en) * 2014-09-26 2018-08-15 Zeon Corporation Elongate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elongated broadband /4 pla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7022592A1 (ja) 2015-07-31 2017-02-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窓
US20190064413A1 (en) * 2016-03-30 2019-02-28 Zeon Corporatio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816A (ja) * 1996-08-29 1998-03-10 Sharp Corp 位相差板及び円偏光板
JP2004318060A (ja) * 2003-04-01 2004-11-11 Nitto Denko Corp 光学素子、偏光素子、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0482B2 (ja) 1997-12-26 2003-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593982B2 (en) 1999-11-01 2003-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color filter having depressed portion for wide viewing angle
US7561240B2 (en) 1998-10-30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on electrode on substrate having non-depressed surface portion overlapping opening in pixel electrode on opposite substrate and depressed portion partially overlapping edge of the pixel electrode
KR100623984B1 (ko) 1999-12-02 2006-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시야각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판
KR100590744B1 (ko) 1998-10-30 2006-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필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0347177A (ja) * 1999-03-29 2000-12-15 Minolta Co Ltd 表示光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ー表示装置
JP3763401B2 (ja) * 2000-05-31 2006-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2148623A (ja) * 2000-08-31 2002-05-22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3114325A (ja) * 2001-10-03 2003-04-18 Nitto Denko Corp 積層1/4波長板、円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875869B1 (ko) * 2001-10-09 2008-12-2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소자 및 이에 사용하는 위상차 필름의 사용
JP4036322B2 (ja) * 2002-03-25 2008-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849659B2 (ja) 2003-03-13 2006-11-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84972B2 (ja) * 2005-04-26 2011-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004123A (ja) * 2005-05-25 2007-01-11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070076155A1 (en) * 2005-09-09 2007-04-05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film, optical compensa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816A (ja) * 1996-08-29 1998-03-10 Sharp Corp 位相差板及び円偏光板
JP2004318060A (ja) * 2003-04-01 2004-11-11 Nitto Denko Corp 光学素子、偏光素子、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23714B2 (en) 2008-09-09
KR20060107540A (ko) 2006-10-13
WO2006059545A1 (ja) 2006-06-08
US20070222919A1 (en) 2007-09-27
TWI321696B (ko) 2010-03-11
TW200636361A (en)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332B1 (ko)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132995B1 (ko)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US7557883B2 (en)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and image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0959266B1 (ko)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0848528B1 (ko) 편광 소자, 액정 패널, 액정 tv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47400A (ko)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사용한 액정 패널, 액정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34892B1 (ko) 액정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4388023B2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光学補償層付偏光板を用いた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00045910A1 (en) Laminated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laminated optical film
KR100840166B1 (ko) 타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사용한화상표시장치
KR20070008534A (ko) 타원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표시 장치
KR100842699B1 (ko)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JP4382743B2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3996940B2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917488B2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7114762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光学補償層付偏光板を用いた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61299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111978A (ja)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152293A (ja) 液晶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