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735B1 -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가 설치되는 장방향 응집지에서 그 응집기를 설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가 설치되는 장방향 응집지에서 그 응집기를 설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735B1
KR100831735B1 KR1020060069356A KR20060069356A KR100831735B1 KR 100831735 B1 KR100831735 B1 KR 100831735B1 KR 1020060069356 A KR1020060069356 A KR 1020060069356A KR 20060069356 A KR20060069356 A KR 20060069356A KR 100831735 B1 KR100831735 B1 KR 100831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low
long
flocculation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583A (ko
Inventor
주윤식
Original Assignee
(주)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 filed Critical (주)우진
Priority to KR102006006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7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0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ㆍ하수도에서 운용되어지는 장방향 형태의 토목 구조물로 이루어진 응집지에 1대의 수직형 응집기로 응집에 필요한 유체 유동력을 형성할 수 있는 교반 방법을 규정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수직형 응집기는 도 1에 제시한 ⑴ 구동부 - 모타, 발명감속기, ⑵ 베이스 하우징, ⑶ 임펠러 축, ⑷ 교반익 (허브와 블레이드, 블레이드 개수 3개 혹은 4개) - 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구성으로 최소의 수량 및 소요 동력으로 장방향 형태의 토목 구조물로 이루어진 응집지에서도 Dead Zone의 방지 및 원활한 수류 순환에 의한 양호한 Floc 형성을 위해서 도 2와 같은 Single Flow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장방향 형태 응집지의 크기와 교반익의 형태, 교반익의 갯수, 교반익의 크기, 교반익의 설치 위치, 적용 회전수 등을 선정하여 장방향 형태의 토목 구조물 응집지에 1대의 수직형 응집기를 적용 할 수 있는 교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수직형 응집기, 응집지, 다공벽, 도류벽, 교반방법

Description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가 설치되는 장방향 응집지에서 그 응집기를 설치하는 방법 {method for installing one vertical coagulator in lengthwise cohesive area}
1 도는 수직형 응집기 적용 형태 대표도
2 도는 유체 흐름의 형태 (Single Flow)
3~5 도는 장방향 응집지내 응집기 공정도
6 도는 장방향 응집지내 수평형 Paddle을 적용한 응집기 공정도
7 도는 장방향 응집지내 2개의 수직형 Paddle을 적용한 응집기 공정도
8 도는 장방향 응집지내 2개의 수직 교반기를 적용한 응집기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 구동부 (모타, 감속기)
2 : 베이스 하우징 (구동부 지지부)
3 : 임펠러 축
4 : 교반익 (허브와 3 ~ 4 블레이드로 구성)
본 발명의 목적은 장방향 형태 구조의 응집지 내에 1대의 수직형 응집기를 설치하여 응집에 필요한 원활한 Single flow 유동을 발생시켜 양호한 Floc 형성 효율을 향상시키는 교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용하는 응집기의 절대 수량을 감소시켜 시설비 및 유지관리비 등 제반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의 상,하수처리장 장방향(직육면체) 구조의 응집지는 장방향을 정방향 구획에 1대를 설치한다는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설계 및 적용되었다. 첫째, 장방향 조에 적용된 수평패들형 구조이다(도6 참조). 이는 1개의 조에 1대의 구동부로 여러개의 Paddle을 설치하여 운용되어지는 것으로 동력전달효율이 떨어져 동력이 상승되고,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둘째, 장방향 조에 적용된 수직패들형 구조이다(도7 참조). 이는 1개의 조에 2대의 구동부로 Paddle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운용되어지는 것으로 수평패들형보다 구조의 안정성을 위주로 보완된 것이다. 그러나 동력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설치 수량이 많으며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셋째, 장방향 조에 적용된 수직형 Turbine(도8참조)으로 1개의 조에 2대의 구동부로 임펠러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운용되어지는 것으로 수직패들형보다 개선된 것이다. 이는 동력전달 효율은 우수하나 수량이 많아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ㆍ하수공정상의 응집지 중에서 장방향 형태의 토목 구조 응집지에 2대의 응집기를 설치하지 않고 1대의 응집기를 설치하여 수량을 감소하고 동시에 각 구역별(제1, 2, 3열)로 점감식으로 Floc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즉, 제1열은 30~75s-1, 제2열은 15~50s-1, 제3열은 8~25s-1로 점감한다. 양호한 Floc 형성을 위해 원활한 유동과 동력 절감으로는 토목의 조건(유입 및 유출부 포함)에 따라 교반 조건을 점감식으로 줄이며 적정한 임펠러의 형태(3~4 blade), 설치 높이, 직경, 회전수 등을 선정하는 것이다.
응집지의 장방향 규모 즉, 가로세로의 비율에 따라서 적합한 하나의 수직형 응집기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호한 Floc을 생성하여 구석진 부분에 Dead Zone을 없애기 위해선 임펠러의 적합한 선택 및 구성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즉, 적은 동력으로 원활한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임펠러의 크기가 정해져야 하고, 임펠러의 크기에 따른 임펠러 회전속도를 적용하여 유체에 주는 유동력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여 고른 흐름이 발생토록 한다. 즉, 수직형 응집기 1대의 구성으로도 응집지 전체에 고른 순환을 유지시켜 조의 모서리 부분에 침전이 발생하지 않게 하고 Floc의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내부 유체와의 접촉기회를 늘리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서 창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수직형 응집기 1대로 장방향 형태의 토목 구조물 응집지의 유체 순환율을 원활하게 하여 Floc의 성장을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침전지내 Floc 침전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해 응집지의 토목 설계 조건에 맞추어서 교반익의 형태와 직경, 교반익 설치 위치 및 적정회전수를 선정하여 1대의 수직형 응집기로 응집지의 원할한 유체흐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을 뒷받침할 수 있는 Criteria를 구성하기 위해 교반기의 Scale-up 방법을 적용하였고, 이에 대한 Pilot Scale 실험을 시행하였고 Full Scale에서의 교반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요한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Figure 112006052913044-pat00001
또한, 실험에 적용한 Scale-up 법칙은 다음의 공식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Figure 112006052913044-pat00002
N1은 Pilot Scale에서의 회전수, N2는 Full Scale에서의 회전수, D1과 D2는 각각 Pilot과 Full Scale에서의 임펠러 직경임. n은 지수값 (3/4) Scale-up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것은 Pilot Test에서의 유동 형태(Flow)가 Full Sclae 에서의 유동 형태와 동일한 것인가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동력을 전달하는 수직형 응집기를 사용하며 교반익(날개)와 허브, 임펠러 축, 구동부(모타 및 감속기) 및 지지 브라켓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교반익은 유동력/동력소비(Nq/Np) 비가 높은 Hydrofoil 계열을 주로 사용하며 이와 결합하는 허브는 교반 효과에서 매우 좋은 취부각인 45°를 주로 적용한다. 임펠러 축은 교반에 적용되는 축의 모멘트에 견딜 수 있도록 Shear Stress(Ss)를 충분히 구비하도록 하고 Critical Speed가 최대 75% 이내가 되도록 구성 한다. 구동부는 교반조 내에 적절한 유동력을 줄 수 있도록 충분한 토크를 줄 수 있는 사양을 선정하도록 한다. 구동부 지지 브라켓은 교반기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익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방향 형태의 응집지에 적용되는 임펠러의 형태는 3~4개의 교반익을 가진 형태를 선정하여야 한다. 이는 일반적인 정육면체 구조의 응집지에 적용되는 응집기보다 다음과 같은 몇가지 사항으로 구성하여 적용하면 매우 적은 동력으로 강한 유동력을 발생한다.
Figure 112006052913044-pat00003
상기 표는 장방향 형태의 응집지에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교반 에너지("G-Value)를 적용하였을 때의 응집기 동력 및 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응집지의 길이 대비 폭에 대한 등가 직경[Te = 1.13×√( L × W)]에 대해서 임펠러의 직경(D)는 D/Te = 0.35 ~ 0.4 정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임펠러의 직경을 조의 직경에 비해 너무 작으면(D/Te < 0.35) 많은 동력이 소요되고 동일 동력에 비해 전체 유동이 저하되며 국부적인 유동에 의한 Floc 파괴로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임펠러의 직경이 조의 직경에 비해 너무 크면(D/Te > 0.4) 응집지 내 단방향의 벽면과 임펠러 끝단의 길이가 가까워져서 바로 벽면에 흐름이 부딪혀 Single Flow 흐름이 발생하지 않아 Floc 생성에 방해 요인이 되며, 벽면을 치고 되돌아오는 유체의 반발력에 의한 동력 증가 및 예측 못하는 Hydraulic Force에 의한 응집기의 진동 발생으로 인한 손괴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임펠러의 설치 위치(C)는 조바닥에서 부터 임펠러의 직경(D)의 약 0.5 ~ 0.6배 정도를 띄우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 때가 동일 동력에 비해 유체의 순환 기능이 매우 좋게 나타난다. 임펠러의 설치 위치에 따라 동력 대비 유동 효율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난 다.
본 발명은 상ㆍ하수처리장내에서 장방향 형태의 토목 구조물 응집지를 다수의 응집기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1개의 수직형 응집기를 설치하여 응집기 수량 감소 효과와 동력 절감 및 원활한 유동으로 인한 양호한 Floc 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응집지내의 양호한 Floc 생성 및 Dead Zone 방지를 위한 원활한 유체 순환으로 동력 소모율을 줄이면서 고른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임펠러의 형태는 3~4개의 교반익을 가진 피치각이 45°인 수직형 응집기이고, 응집지내의 길이 대비 폭에 대한 등가직경[Te = 1.13×√( L × W)]에 대해서 임펠러의 직경(D)는 D/Te = 0.35~0.4 정도를 사용해야 하며, 임펠러의 설치 위치(C)는 조바닥에서부터 임펠러의 직경의 0.5~0.6배(C = 0.5~0.6D)정도를 띄워야 한다. 이 때가 동일 동력일때 유체의 순환 기능이 매우 좋게 나타난다. 이것은 동력을 최소화하고 유체 순환 능력을 극대화하여 Dead Zone 발생 억제 및 양호한 Floc 형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최적의 구성이 되는 것이다. 유체의 순환은 도 4 및 도 5의 형태로 Single Flow 로서 응집지의 아래 부분에서 위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럼으로, 제안사항인 장방향 형태의 응집지에 1대의 수직형 응집기를 적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방향 형태의 응집지를 운영함에 있어, 2대 이상의 수직형 응집기를 적용하던 종래의 기술보다, 1대의 수직형 응집기로 적용이 가능케 함으로서, 건설비 및 유지 관리비의 감소로 기존 사용되고 있는 응집지에 비해 전반적으로 50~70% 정도의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등 그 경제적 효과가 큰 발명이다.

Claims (3)

  1. 삭제
  2. 장방향 형태의 응집지내에 3~4개의 교반익을 가진 수직형 응집기를 1대 로 설치 구성함에 있어 응집기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응집지내의 길이 대비 폭에 대한 등가직경[Te = 1.13×√( L × W)]에 대해서 임펠러의 직경(D)는 D/Te = 0.35~0.4 로 계산하여 구성하고, 임펠러의 설치 위치(C)는 조바닥에서 부터 임펠러의 직경의 0.5~0.6배(C = 0.5~0.6D)로 계산하여 응집지내에 1대의 응집기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가 설치되는 장방향 응집지에서 그 응집기를 설치하는 방법
  3. 삭제
KR1020060069356A 2006-07-24 2006-07-24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가 설치되는 장방향 응집지에서 그 응집기를 설치하는 방법 KR10083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356A KR100831735B1 (ko) 2006-07-24 2006-07-24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가 설치되는 장방향 응집지에서 그 응집기를 설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356A KR100831735B1 (ko) 2006-07-24 2006-07-24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가 설치되는 장방향 응집지에서 그 응집기를 설치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024U Division KR200432357Y1 (ko) 2006-07-25 2006-07-25 장방향 응집지에서의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를 설치하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583A KR20080009583A (ko) 2008-01-29
KR100831735B1 true KR100831735B1 (ko) 2008-05-23

Family

ID=3922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356A KR100831735B1 (ko) 2006-07-24 2006-07-24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가 설치되는 장방향 응집지에서 그 응집기를 설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7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214A (ja) 1999-05-12 2000-11-21 Japan Organo Co Ltd 凝集沈澱装置
US20030222027A1 (en) 2001-04-30 2003-12-04 Philip Streat Treatment of liquids with ballasted flocculation
KR20050000872A (ko) * 2003-06-25 2005-01-06 송구영 G값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용 응집기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214A (ja) 1999-05-12 2000-11-21 Japan Organo Co Ltd 凝集沈澱装置
US20030222027A1 (en) 2001-04-30 2003-12-04 Philip Streat Treatment of liquids with ballasted flocculation
KR20050000872A (ko) * 2003-06-25 2005-01-06 송구영 G값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용 응집기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583A (ko) 200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262B1 (ko) 교반기용 스컴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교반기
CN102491545B (zh) 一种双曲面搅拌曝气机
CN203999081U (zh) 用于污水处理的搅拌混凝装置
CN208485627U (zh) 一种气浮机
JP5413243B2 (ja) 攪拌装置および攪拌方法
CN204874050U (zh) 一种变频式污水处理曝气装置
CN202893246U (zh) 混凝搅拌器
CN102765823A (zh) 一种风力直驱循环充氧设备
CN208022733U (zh) 一种气浮机
CN104043369B (zh) 一种污水处理用潜水搅拌机***
KR100831735B1 (ko)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가 설치되는 장방향 응집지에서 그 응집기를 설치하는 방법
KR200432357Y1 (ko) 장방향 응집지에서의 한대의 수직형 응집기를 설치하는 구조
CN103585924B (zh) 一种搅拌推进器的桨叶装置及其用途
CN104961185A (zh) 一种新型气浮池
CN201572613U (zh) 一种水翼式叶轮絮凝器
JP4668554B2 (ja) 凝集沈殿処理装置及び凝集沈殿処理方法
CN203329637U (zh) 移动式潜水搅拌机
CN105217760A (zh) 一种双层异向循环机械絮凝增效装置
KR100647716B1 (ko) 정수처리시설용 일체형 응집 및 침전장치
CN202968265U (zh) 一种悬挂式水下推流器
KR20100083524A (ko) 장방향 생물반응조에서의 교반기 구성방법 및 1대의 수직형교반기가 구성되는 생물반응조
KR101142862B1 (ko) 와류발생장치를 부착한 수직형 응집기
CN205011415U (zh) 气浮池
KR100906384B1 (ko) 안내 깃 장치와 와류 봉을 부착한 하이드로포일 날개를가진 응집기
CN104445593B (zh) 轴流式倒伞曝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