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622B1 - Built-in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Built-in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622B1
KR100829622B1 KR1020070002565A KR20070002565A KR100829622B1 KR 100829622 B1 KR100829622 B1 KR 100829622B1 KR 1020070002565 A KR1020070002565 A KR 1020070002565A KR 20070002565 A KR20070002565 A KR 20070002565A KR 100829622 B1 KR100829622 B1 KR 10082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cabinet
main body
open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622B1/en
Priority to PCT/KR2007/005749 priority patent/WO2008084913A1/en
Priority to EP07834055.1A priority patent/EP2102559B1/en
Priority to RU2009125566/03A priority patent/RU2411415C1/en
Priority to AU2007342771A priority patent/AU2007342771B2/en
Priority to CN2007800496147A priority patent/CN101600910B/en
Priority to US12/448,805 priority patent/US20100313870A1/en
Priority to MX2009007365A priority patent/MX2009007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A built-in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to smoothly discharge hot air out from the cooking appliance by forming at least one opening, and to provide a good appearance by placing a top plate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is on the same level with the upper surface of a cabinet, and covering a spa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A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top plate(200), a main body(300), a cabinet, a top frame(210), and an opening. The main body is provided under the top plate, with a heat source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cabinet accommodates the main body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is on the same level with that of the top plate. The top frame is placed between an edge of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The opening is provided in the top frame, and discharges fluid from a space in which the heat source is disposed to an external space. The opening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so that the fluid is gui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low upwards, and passes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to flow outside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빌트 인 조리기기 {Built-in cooking appliance}Built-in cooker {Built-in cooking applianc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1 is an installation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부분 절결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도 3의 A-A'부를 나타낸 측단면도.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AA ′ portion of FIG. 3.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uilt-in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캐비넷 120. 수용부100. Cabinet 120. Receptacle

200. 탑 플레이트 210. 탑 프레임200.Top Plate 210.Top Frame

220. 조작부 300. 본체220. Control panel 300. Main unit

310. 히터 320. 팬310. Heater 320. Fan

400. 개구부 410. 제1개구부400. Opening 410. First opening

420. 제2개구부420. Second opening

본 발명은 빌트 인 타입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열기가 원활히 배기되면서 상면이 주방 가구의 상면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는 빌트 인 타입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type cooker, and to a built-in type cooker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kitchen furniture while the heat inside is smoothly exhausted.

빌트 인(Built-in) 타입의 제품은 주방 공간의 다양한 활용을 고려하여, 주방 가구와 어울리도록 배치되면서 설치되는 주방 가구에 수납되어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근래에 들어 빌트 인 타입의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Built-in type products are stored in the kitchen furniture installed while being arranged to match the kitchen furnitur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uses of the kitchen space, so that the kitchen spa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The product is gaining popularity.

따라서, 빌트 인 타입의 제품은 주방 공간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주방 가구인 장(이하에서는 '캐비넷'이라 칭한다)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빌트 인 타입의 제품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주방 공간을 아름답게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built-in type product refers to a product that is formed to be used in a state where it is housed in a cabin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binet), which is kitchen furniture that is pre-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his built-in type of produc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the user and beautify the kitchen space.

또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익힘으로써 사람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방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가열방법과,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가열방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is one of the kitchen appliances for humans to ingest by heating food to cook. Such a cooking apparatus is largely divided into an electric heating method for generating heat for heating food using electricity and a gas heating method for generating heat for heating food by burning gas.

그리고, 하측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방법은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화재의 위험이 적고, 청소가 쉬워 점차적으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heating a container containing food by using radiant heat generated from the lower side has a tendency that the flam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risk of fire is small and the cleaning is easy, and its use is gradually increased.

이처럼,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음식물로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가 수행되는 조리기기는 근래에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관심만큼이나 홉(hob), 호브, 레인지(range), 핫 플레이트(hot plat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As such,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food is cooked by allowing heat to be transferred to food through a top plate forming an upper surface appearance is being developed in recent years, and as much as the interest of hobs, hobs, and ranges. It is called various names such as range and hot plate.

이하에서 조리기기라고 명칭하는 경우 이와 같은 형태의 조리기기를 일컫는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oking appliance refers to a cooking appliance of this type.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는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냉각시켜주기 위하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사유로 인해 상기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가 캐비넷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inside can flow to the outside in order to cool a plurality of components mounted therein, and for this reason, the top plate protrudes above a certain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It is formed, the lower side of the top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in body o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mounted is accommodated into the cabinet.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상기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한 불만을 가지게 되며, 탑 플레이트의 주변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고, 조리기기의 인접부에서 사용되는 물이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간을 통해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top plate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so that the user has a dissatisfac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surroundings of the top plate. It causes a problem that water used in the vicinity of the inflow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ody through the space for the flow of air.

그리고,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 부품들이 손상을 입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문제에 의해 본체 내부 공간 또는 캐비넷의 내부가 다습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본체 또는 캐비넷의 내부에 형성되는 습기에 의해 세균의 번식 또는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causes damage to a plurality of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is problem cause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or the cabinet is humid. Furthermore, due to the moistur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or cabinet, the growth or hygiene of bacteria occurs.

더구나, 조리기기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탑 플레이트의 상면에 음식물이 담 긴 음식 용기가 놓인 상태에서 음식물의 요리가 수행되는데, 이때,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미끄러운 경우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탑 플레이트의 바깥쪽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oking apparatus is a food is cooked in a state in which the food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s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made of a flat surface, when the top plate is slippery so tha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falls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The problem arises.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은,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캐비넷의 상면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pose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does not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공기의 배기가 원활한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oking device with a smooth exhaust of the internal air.

상기와 같은 제안을 구현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제공되어, 내부에 가열원이 위치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면을 가지는 캐비넷;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의 사이에 놓이는 탑 프레임; 상기 탑 프레임에 제공되어, 상기 가열원이 위치하는 공간의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개구부; 가 포함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의 사이를 통과하여 본체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the above proposal, Top plate; A main body provided below the top plate and having a heating source therein; A cabinet accommodating the body and having a top surface substantially the same as a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A top frame placed between the edge of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An opening provided in the top frame, through which fluid in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source is located is exhausted to an external space; And the opening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so that the fluid is gui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lows upwardly and passes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and flows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Done.

상기 본체 내부의 유체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열원이 놓이는 공간으로부터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의 사이를 상방으로 통과하게 된다. The fluid inside the main body substantially passes upwar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from the space in which the heating source is placed.

상기 본체의 내부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방향의 측면은 상기 캐비넷의 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된다.A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fluid of the body is guided to flow to the outer space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side of the cabinet.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위치하여, 내부에 가열원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고, 상면이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과 동일면으로 이루어지는 캐비넷;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 사이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프레임; 상기 가열원이 위치하는 공간의 유체가 상방으로 배기되는 제1개구부; 상기 제1개구부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탑 프레임의 외부로 배기되도록 제1개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개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된다.In another aspect,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A main body positioned below the top plate and provided with a heating source therein; A cabinet in which the main body is accommodated and an upper surface of which is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A top frame placed above the edge of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space where the heating source is located is exhausted upward; A second opening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opening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top frame, and the second opening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이처럼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냉각의 효율성과, 사용의 안정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Th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of maximizing cooling efficiency and stability of use.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탑 플레이트에 의해 상면이 형성되면서,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음식물로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수행되는 조리기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이와 같은 형태의 조리기기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더라도 그 이름과는 상관없이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by the top plate, the cooking apparatus in which the food is performed by transferring heat to the food through the top plate will be described. Even if the cooking appliance is called various names, it will be said to b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nam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를 살펴보면, 주방 공간에는 다른 주방 가구와 조화롭게 배치할 수 있는 캐비넷(100)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100)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20)에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안착된다. 1 is an install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nstalled. Looking at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kitchen space is provided with a cabinet 100 that can be arranged in harmony with other kitchen furniture, the cabinet 100 while forming an internal space, downward A recess 120 is formed to be recess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s accommodate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20 and is seated.

이러한 조리기기는 상기 캐비넷(100)의 전방에서 절제되는 캐비넷(100)의 일부분으로 전방에서 오븐과 함께 수용되기도 한다. Such a cooking appliance may be accommodated together with an oven in front of a part of the cabinet 100 which is cut off in front of the cabinet 100.

상기 수용부(120)에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 상기 캐비넷(100)에 의해 조리기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200)가 지지된다. 수용부(120)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안착부는 수용부(12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단이 지는 형태로 제공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20, the top plate 200 is formed by the cabinet 100 to form an upper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receiving part 120 may have a seating part on which the top plate 200 is seated.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ep along the upper edge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is formed to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top plate 200.

즉, 상기 안착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일정 부분 파이면서 형성되고, 파이는 깊이는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안착부는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되더라도 파이는 깊이가 거의 없게 형성되며, 탑 플레이트(200)가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설치되면, 안착부는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보다 더 깊이 파이면서 형성된다. That is,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while pie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the depth of the pie will vary depending on how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When the top plate 200 is install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the pie is formed to have almost no depth even if the seating portion is not formed or formed, the top plate 200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When installed to be recessed further downward,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while piling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200.

상기 안착부에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면, 안착부에 의해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과 양 측방 테두리 부분이 지지되고,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은 지지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When the top plate 20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the front and both side edge portions of the top plate 200 are supported by the seating portion, and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top plate 200 is not supported.

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해 일정 정도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form a predetermined gap in the rear edge of the top plate 200 to exhaust the hot air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to the external space.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은 막혀서 제공되며, 비록 막혀있다고 하더라도 상 기 캐비넷(100)의 여타 틈새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수용부(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외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is provided by being blocked, and even though it is blocked,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20 through other gaps in the cabinet 100, and the introduced air is cooked.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or flow along the outside.

한편,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물이 유동하게 될 때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기도 하며, 이러한 배수구는 물이 유입되는 경로의 직근 하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부(120)의 바닥면이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경사지는 바닥면의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unit 12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is formed a drain hole for draining water, such a drain is preferably provided directly below the path of the water inflow path In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20 is provided in an inclined form, the inclined bottom may be formed in a portion having the lowest height of the inclined bottom surface.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부분 절결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조리기기의 상단부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20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본체(300)에 의해 조리기기는 외관을 이루게 된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op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200 for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while forming the top appearance, An inner space is formed below the top plate 200, and a main body 300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mounted in the inner space is provided. The cooker forms an appearance by the top plate 200 and the main body 300.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라믹 소재의 열 강화유리로 형성되어 열에 강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이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원에서 발생하 게 되는 열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The top plate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of thermally tempered glass made of ceramic material, and thus has a strong resistance to heat. This is to withst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 source for cooking food is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에 파이면서 형성되는 부분인 안착부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이 안착부에 의해 지지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캐비넷(10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top plate 200 is supported by a seat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formed while piling on the edge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or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is supported by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are mounted to form substantially the same surface. Shall be.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에는 탑 프레임(210)이 장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 상단부가 차폐된다. 이때,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가 일정 부분 간격을 가지거나 간격이 형성되지 않게 되더라도,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캐비넷(100)의 상면을 구분하기 위하여 탑 프레임(210)이 장착된다. The top frame 210 is mounted between the edg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top surface of the cabinet 100. An upper end portion of the top frame 210 is shielded between an edge of the top plate 20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At this time, even if the interval between the edg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or a gap is not form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The frame 210 is mounted.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부분이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 부분은 상기 캐비넷(100) 즉,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은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일부분이 고정되고, 캐비넷(1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일부분은 캐비넷(100)의 상면에 지지된다. A portion of the top frame 210 is positioned along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other portion is positioned along an edge of the cabinet 100, that is, the receiving portion 120. The top frame 210 is fixed to a portion tha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p plate 200, the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0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상기 탑 프레임(210)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은 접착, 걸림 고정, 체결 고정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접착 방식이 사용된다.The fixing of the top frame 210 to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bonding, fastening, fastening, and the like, and an adhesive method is preferably used.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습기 등에 의해 움직이게 될 때 탑 플레이트(200)의 외부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음식 용기를 탑 플레이트(200)에 놓을 때 탑 플레이트(200)의 안쪽에 용기가 제대로 놓여있는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기의 가열 효율이 개선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by the top frame 210 is moved by moisture or the like does not fall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200.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fety of the user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can be clearly recognized that the container is properly placed inside the top plate 200 when the food container is placed on the top plate 200,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cooking appliance is improved, and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do.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은 조리기기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는 부분 다시 말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도 설치된다. 이때, 탑 플레이트(200)의 후측과 캐비넷(10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탑 프레임(210)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300)의 측면과 캐비넷(100)이 접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간격에 의해 공기 또는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본체(300)의 외면과 캐비넷(100)의 세로면이 접하지 않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top frame 210 is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heat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is discharged, that is, at the rear edge of the top plate 200. 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top frame 210 install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cabinet 100 is mounted such that the side of the main body 300 and the cabinet 100 contact. This spacing allows air or water to flow. Of course,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300 and the vertical surface of the cabinet 100 may be mounted so as not to contact.

그리고, 상기 탑 프레임(210)에는 개구부(도 4의 400)가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에 의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가 제공됨으로써 원활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n opening (400 in FIG. 4) is formed in the top frame 210 to allow fluid to flow. The top frame 210 is provided with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so that the fluid can be smoothly flowed.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정확한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식 용기가 놓이는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20)가 구비된다.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place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top shear portion of the top plate 200, the position where the food container is placed is shown, the top shear portion of the top plate 200 is cooked by the user An operation unit 220 is provided to directly operate the apparatus.

상기 조작부(22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조작버 튼(222)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222)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조리기기를 동작시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222)을 터치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열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온도 및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열원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The operation unit 2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222 are provided to operate in a touch screen manner.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222, the user operates the cooking appliance to cook food. That is,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a heat source that provides heat for cooking food by touching the operation button 222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time for heating the food, and to control the power of the heat source on / off You can cook food.

상기 조작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튼의 형상이 아닌 노브(knob)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도 가능하며, 스위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가 아닌 상기 본체(30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거나, 상기 캐비넷(100)에 위치하게 되거나, 동시에 설치되는 오븐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operation unit 22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knob, not in the shape of a button, or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witch. In addition, the top plate 200 may b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300, not at the front end of the top plate 200, the cabinet 100, or may b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oven is installed at the same time.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처럼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이 캐비넷(1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이루게 되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하여 느끼는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is positioned to form substantially the same surface as the top surface of the cabinet 100, as described above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top surface of the cabinet 100 When substantially the same side, it is possible to resolve the complaints that the user feels about the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이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과 조리기기의 상면인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탑 프레임(210)으로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 부분이 차폐되면서 사용자가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form substantially the same surface, and the edge of the top plate 200 is shielded by the top frame 210. The user does not feel a big difference. Therefore, the user's dissatisfac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solved.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310)와, 본체(300)의 내부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해 본체(300) 내부 공간의 열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팬(320)이 장착된다. 상기 히터(310)는 직접 가열방식 또는 간접 가열방식 등 어떠한 방식의 히터(310)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두 형태의 히터(310)가 동시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발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At least one heater 310 that provides a heat source for cooking foo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and forcibly exhausting the heat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to cool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The fan 320 is mounted. The heater 310 may be equipped with any type of heater 310, such as a direct heating method or an indirect heating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be equipped with two types of heaters 310 at the same time to dissipate heat for cooking food. Do.

직접 가열방식의 상기 히터(310)는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를 투과하여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며, 간접 가열방식의 히터(310)는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유도열에 의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용기에서 전달되는 전도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The heater 310 of the direct heating method cooks food by heating a container containing food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p plate 200 through the radiant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310 to pass through the top plate 200, Indirect heating heater 310 is to cook the food by the conductive heat delivered from the container by heat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by the induction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310.

상기 팬(320)은 가로 방향으로 긴 회전축에 다수의 팬 날개가 구비되어 회전축이 회전 운동하게 됨에 따라 다수의 팬 날개가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이 사용되며, 이러한 횡류팬이 아닌 축류팬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횡류팬의 사용이 바람직함에 따라 하기 실시예에서는 횡류팬이 사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fan 3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n blades on the long axis of rot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axis of rotation rotates to rotate the plurality of fan blades to suck air in the axial direction to discharge the air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s Cross flow fan is us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axial flow fan instead of the cross flow fan. As the use of the crossflow fan is preferred, the following example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crossflow fan.

상기 팬(320)은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3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팬(3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조작부(220)에 열 손상이 방지되며, 본체(300)의 외부로 전도되는 열이 작아지게 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사 용자의 인체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The fan 320 sucks air positioned in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by the rotational movement and exhausts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310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an 320,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300 does not rise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ddition, as the temperature does not rise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rmal damage is prevented on the operation unit 220, and heat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0 is reduced so that the user uses the cooking appliance. The human body is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to ensure safety.

상기 팬(320)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전단부에 장착되어 회전 운동함으로써 외부의 본체(300) 외부의 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The fan 320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and rotates so as to suck the air outside the outer main body 300 in the axial direction and flow it to the rear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As such, the hot air flowing backward is exhausted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는 상기 히터(310)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 및 유도열에 의해 가열되어 음식물이 요리된다. 따라서, 탑 플레이트(200)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가열되는 면적만큼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 및 유도열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되며, 그 외의 부분에는 복사열 및 유도열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p plate 200 is heated by the radiant heat and induction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310 is cooked food. Therefore, the top plate 200 is formed so that the radiant heat and induction heat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can be transmitted as much as the area where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s heated, the radiant heat and the induction heat to other parts. This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ensure safety when the user uses the cooking appliance.

상기 본체(3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본체(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이 개구되는 사각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300)에 의해 조리기기의 하부 외관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200)에 의해 상면이 정의되고, 본체(300)에 의해 측면과 하면이 정의된다. The main body 300 is positioned below the top plate 200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the main body 30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rectangular box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The lower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formed by the main body 300. Therefore, in the cooking apparatus, an upper surface is defined by the top plate 200, and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re defined by the main body 300.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하면, 상기 본체(3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탑 플레이트(200)의 전후 방향 길이가 수용부(120)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수용 부(120)의 후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in the front, the rear end of the top plate 200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3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ar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That is,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top plate 200 are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rea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와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의 상측에 상기 탑 프레임(210)이 장착되어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캐비넷(100) 사이 간격을 차폐하게 된다. The top frame 210 is mounted on an upper side of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rea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to thereby space the gap between the top plate 200 and the cabinet 100. To shield.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빌트 인 조리기기의 후단부를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rear end of the built-in cook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조리기기의 후단부를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후단부를 살펴보면, 조리기기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 유체가 상방으로 배기되는 제1개구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410)의 상측에는 제1개구부(410)를 통과한 유체가 조리기기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도록 제2개구부(420)가 형성된다.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ar end of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Looking at the rear end of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4,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0 of the cabinet 100, the internal fluid of the main body 300 is exhausted upwards A first opening 410 is formed, and a second opening 420 is formed above the first opening 410 such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41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cooking apparatus.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에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발산되는 열을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한 개구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00)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유체가 상방 즉, 상기 탑 플레이트(200)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1개구부(410)와, 제1개구부(410)를 통과한 유체가 조리기기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2개구부(420)가 구비된다. In detail, in the built-in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400 for exhausting heat dissip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to the outer space is formed. The opening 400 may include the first opening 410 and the first opening 410 formed so that the fluid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300 flows up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top plate 200. The second opening 420 is formed to exhaust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o the outside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다시 말해, 상기 제1개구부(41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본체(300)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이러한 제1개구부(410)를 통과한 유체가 조리기기의 외 부 공간으로 배기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2개구부(420)는 상기 탑 프레임(210)에 형성된다. In other words, the first opening 410 is formed between the top plate 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and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410 is exhausted to the oute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second opening 420 formed to be formed in the top frame 210 is formed.

조리기기가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되면서 설치되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300)의 내측 후면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이 상기 제1개구부(410)가 된다. When the cooking apparatus is install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0, the rear end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300 form a space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pace is It becomes the first opening 410.

즉,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1개구부(410)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제1개구부(410)를 통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여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That is, the first opening 410 is substantially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and is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and flows upward through the first opening 410. Hot air flows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상기 제1개구부(410)의 상측에는 상기 탑 프레임(210)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은 일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top frame 21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opening 410. A part of the top frame 210 is located above the top plate 200, and another part is located above the cabinet 100.

상기 탑 프레임(210)의 후면에는 상기 제1개구부(410)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300)의 상측으로 배기되는 더운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도록 형성되는 제2개구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개구부(420)는 제1개구부(410)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제1개구부(410)를 통과하는 더운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동하게 되도록 한다. A second opening 42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top frame 210 so that hot air exhaus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410 and exhaus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30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cooking apparatus. do. The second opening 420 is located above the first opening 410 so that hot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410 flows naturally.

즉, 상기 제2개구부(420)가 상기 제1개구부(410)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제1개구부(410)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다시 하방으로 방향을 바꿔 유동하여야 함에 따라 유동 저항이 커지게 되어 더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개구부(420)는 상기 제1개구부(410)보다 상 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when the second opening 420 is located below the first opening 410, the hot air flowing upward through the first opening 410 has to change direction again downward. As a result, the flow resistance increases, so that the flow of hot air is not smooth. Accordingly, the second opening 420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opening 410.

또한, 상기 제2개구부(420)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물이 많이 사용되는 주방 공간의 특성상 캐비넷(100)의 상면을 따라 물이 유동하여 제2개구부(420)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 다시 말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opening 420 may be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This is due to the nature of the kitchen space where water is used a lot of water flow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passes through the second opening 420, that is,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main body 300 To prevent this.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2개구부(420)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탑 프레임(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nother aspect, the second opening 420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frame 210, or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op frame 210.

상기 제2개구부(420)가 상기 탑 프레임(2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위치하여 조리기기를 작동시키게 되는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전방에 위치하게 될 때 사용자가 제2개구부(420)를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질 수 있는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한 불만족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The second opening 42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top frame 210 is located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user who operates the cooking appliance is located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user opens the second opening ( This is to relieve dissatisfac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aratus which the user may have by not recognizing the 420.

물론, 상기 제2개구부(420)가 상기 탑 프레임(210)의 상면 및 하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second opening 42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op frame 210.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빌트 인 조리기기의 공기 유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조리기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히터(310)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에 의해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온도는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게 되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해 본체(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팬(320)이 작동하게 된다.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air flow of the built-in cooker with reference to Figure 5,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oker to cook food,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300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310 The fan 320, which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300, operates to cool the internal space temperature of the main body 300 that rises to a high temperature and rises.

상기 팬(320)이 작동하게 되면, 팬(320)의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 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더운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제1개구부(410)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When the fan 320 is operated, the air is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n 320 and the air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s so that hot air flows to the rear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The hot air flowing to the rear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flows upward through the first opening 410.

한편, 상기 팬(320)이 동작하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캐비넷(100)과 본체(300)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본체(300)에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n 320 operates,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300.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cabinet 100 and the main body 300 and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Inlet is formed in the main body 300 for the inflow of external air.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300)의 어느 면이나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하기되는 실시예에서는 본체(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본체(300)의 어느 면에 형성되더라도,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장착된다. 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on any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and 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Of course, even if formed on any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it is mounted to smooth the flow of air.

즉, 상기 팬(320)이 회전 운동하게 되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찬 공기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고,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외부의 찬 공기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면서 본체(300) 내부를 냉각시키게 된다. That is, when the fan 320 rotates, the external cold air is suck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300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external cold air suck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300 is the main body. It cool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00 while flow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300.

상기 제1개구부(410)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제2개구부(420)로 유동하게 되고, 제2개구부(420)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개구부(400)를 통과하게 된다. 개구부(400)를 통과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조리기기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Hot air flowing upward through the first opening 410 flows to the second opening 420, and hot air flowing to the second opening 420 passes through the opening 400. do.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40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이하에서는 조리기기와 인접해 있는 유체와 본 발명과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uid adjacent to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조리기기는 주방의 싱크대와 인접되어 장착됨에 따라 물의 사용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된다. 물의 사용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 및 양 측방에서는,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상기 수용부(120)에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는 부분의 접촉면이 소정의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되는 방식으로 서로 접하게 된다. First, as the cooking appliance is mounted adjacent to the kitchen sink, it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water is frequently used. Even if the water is used frequently, the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To this end,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top plate 200, the contac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0 and the portion where the top plate 200 is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20 is sealed by a predetermined sealing memb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way.

그러므로, 외부 공간의 유체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외부 공간의 유체로 인한 문제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 부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the fluid of the outer space does not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and the problem caused by the fluid of the outer space is caused by the portion of the top frame 210 located behind the top plate 200. Will occur.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후단부와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 공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In detail, it is generated by the spa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top frame 210 and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which is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상기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개구부(400) 즉,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상기 제1개구부(410)를 통해 배기된 다음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기 위하여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420)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일정 수준 높은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2개구부(420)로 유입되는 물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The opening 400 formed in the top frame 210, that is, hot air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is exhaus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410 and then exhausted to the outer space. The second opening 420 formed in the 210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and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opening 420 is blocked at the sour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배수구는 상기 수용부(120)의 하면이 막혀있는 경우 수용부(120)의 하면에 고인 물이 집수되어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수용부(120)의 하면이 막혀있지 않고, 열려있는 경우 수용부(120)의 하측 소정의 위치에 집수장치를 제공하여 조리기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는 물을 집수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is blocked, the drain port performs a function of collecting water accumul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to be discharged into the external space. In another case,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is not blocked, and is open, the water collecting devic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receiving portion 120 to collect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o the lower side. It can also be discharged into space.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놓이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설치 상태로 제한되지 않고,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 테두리 부분과, 양 측방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테두리에 각각의 탑 프레임(210)이 놓이면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top frame 210 is described as being placed along the top edge of the top plate 200, but is not limited to such an installation state, the front edge portion of the top plate 200, both side edge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in,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while each top frame 210 is placed on each rim.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 후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의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기 위한 상기 제2개구부(420)가 상기 탑 프레임(210)의 상면에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ar end of the built-in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opening 42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frame 210 to exhaust hot air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0 to the outer space of the cooking apparatus.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일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어느 한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ample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hange, It may be easily proposed by the deletion,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cluded in one embodiment may be proposed another embodiment by being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which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하기 위 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oposed that at least one opening is formed so that hot air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apparatus is smoothly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 공간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ot air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flows smoothly to the outside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더운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 공간으로 원활하게 유동하게 됨에 따라 조리기기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어 조리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 부품의 열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열 손상의 방지는 제품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As the hot air flows smoothly into the outside space of the cook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oker does not rise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the thermal damage of many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cooker. Prevention will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product malfunctions.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에 대한 열 손상이 방지됨에 따라 부품의 수명이 향상되고, 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유지 비용이 감소하게 되며,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thermal damage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is prevented, the life of the components is improved, the maintenance cost for using the product is reduced, and the service cost is reduced.

또한, 제품의 오작동이 방지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malfunction of the product is prevente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created.

더구나,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캐비넷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게 되고, 탑 플레이트와 캐비넷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제품 외관에 대한 불만족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form substantially the same surface, and by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ssatisfac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user.

나아가, 상기 캐비넷의 상면에서 발생하게 되는 물기가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리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제품 손상 및 상기 본체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ater gener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from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a number of products mount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nd damage to the main body. There is also an effect.

덧붙여,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장착되는 상기 탑 프레이메 의해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을 구분하는 경계가 확실해짐으로써 제품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undary that separates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is ensured by the top frame mounted along the edge of the top plate,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use for the product.

Claims (4)

탑 플레이트;Top plate;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제공되어, 내부에 가열원이 위치하는 본체;A main body provided below the top plate and having a heating source therein; 상기 본체가 수용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면을 가지는 캐비넷;A cabinet accommodating the body and having a top surface substantially the same as a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의 사이에 놓이는 탑 프레임;A top frame placed between the edge of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상기 탑 프레임에 제공되어, 상기 가열원이 위치하는 공간의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개구부; 가 포함되고,An opening provided in the top frame, through which fluid in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source is located is exhausted to an external space; Is included,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의 사이를 통과하여 본체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The opening is a built-in that is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so that the fluid is gui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flows upwards, and passes through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Cook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 내부의 유체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열원이 놓이는 공간으로부터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의 사이를 상방으로 통과하게 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And a fluid inside the main body substantially passes upwar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from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source is plac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내부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방향의 측면은 상기 캐비넷의 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The side of the direction for guiding the inner fluid of the main body to flow to the outer space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abinet. 탑 플레이트;Top plate;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 위치하여, 내부에 가열원이 제공되는 본체;A main body positioned below the top plate and provided with a heating source therein; 상기 본체가 수용되고, 상면이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과 동일면으로 이루어지는 캐비넷;A cabinet in which the main body is accommodated and an upper surface of which is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 사이의 상측에 놓이는 탑 프레임;A top frame placed above the edge of the top plate and the cabinet; 상기 가열원이 위치하는 공간의 유체가 상방으로 배기되는 제1개구부;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space where the heating source is located is exhausted upward; 상기 제1개구부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탑 프레임의 외부로 배기되도록 제1개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개구부가 포함되고,A second opening located above the first opening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top frame;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The second opening is a built-in cooking appliance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KR1020070002565A 2007-01-09 2007-01-09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829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65A KR100829622B1 (en) 2007-01-09 2007-01-09 Built-in cooking appliance
PCT/KR2007/005749 WO2008084913A1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EP07834055.1A EP2102559B1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RU2009125566/03A RU2411415C1 (en) 2007-01-09 2007-11-15 Inbuilt electric cooker
AU2007342771A AU2007342771B2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CN2007800496147A CN101600910B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US12/448,805 US20100313870A1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MX2009007365A MX2009007365A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65A KR100829622B1 (en) 2007-01-09 2007-01-09 Built-in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622B1 true KR100829622B1 (en) 2008-05-16

Family

ID=3966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565A KR100829622B1 (en) 2007-01-09 2007-01-09 Built-in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9622B1 (en)
CN (1) CN101600910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100B1 (en) 2008-12-05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Aook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155A (en) * 1991-10-28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magnetic induction-heated cooking appliance
JP2005265209A (en) * 2004-03-16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uilt-in type cooking device
KR200449779Y1 (en) * 2009-12-17 2010-08-09 최명식 Portable Plastic Pack Bid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155A (en) * 1991-10-28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magnetic induction-heated cooking appliance
JP2005265209A (en) * 2004-03-16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uilt-in type cooking device
KR200449779Y1 (en) * 2009-12-17 2010-08-09 최명식 Portable Plastic Pack Bid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100B1 (en) 2008-12-05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A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0910B (en) 2012-04-18
CN101600910A (en)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720B1 (en)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US10443858B2 (en) Cooking appliance
KR100889132B1 (en) Oven
JP5100440B2 (en) Cooker
WO2017145792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2005174678A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EP2102557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20110079007A (en) Cooking appliance
KR100829622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JP2004349041A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KR100688663B1 (en) Structure of burner spring for electric oven range
KR100826706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826707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20080065431A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1531062B1 (en) Oven range including a duct unit
JP2004039356A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stove
KR101864488B1 (en) A home appliance and guide-duct integrated fan installed therein
KR20080064382A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device of the same
EP1972856B1 (en) Cooking appliance
KR100826705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device thereof
KR20110053628A (en) Cooking appliance
KR101291500B1 (en) Installation device for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863838B1 (en) Cooking appliance
RU2420694C2 (en) In-built electric hot plate
KR100829623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