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098B1 - Luminous body and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uminous body and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098B1
KR100828098B1 KR1020070026770A KR20070026770A KR100828098B1 KR 100828098 B1 KR100828098 B1 KR 100828098B1 KR 1020070026770 A KR1020070026770 A KR 1020070026770A KR 20070026770 A KR20070026770 A KR 20070026770A KR 100828098 B1 KR100828098 B1 KR 10082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d
layer
light emitting
carbon nanotubes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장환
공두원
박정운
강원일
김영관
서지훈
Original Assignee
황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장환 filed Critical 황장환
Priority to KR102007002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0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0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A luminous body and an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erform low current driving by using a high electric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 of a CNT(Carbon NanoTube). A luminous bodies includes CNTs(63), an OLED material layer(64), and an electrode layer(65). The CNTs are individually formed. The OLED material layer is formed at each of the CNTs. The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a lower part of the CNT with the OLED material layer inside. The luminous body is CNT/OLED powder or CNT/OLED solution mixed with conductive polymer material.

Description

발광체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Luminous body and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inous body, an OLED,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n organic light-

도 2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LED 발광체의 구성도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L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발광체의 제조를 위한 공정 순서도Figure 4 is a flow chart for the fabrication of an OLED light e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공정 순서도FIG. 5 is a flow chart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내지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발광체의 제조를 위한 공정 단면도Figures 6A-6G show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for the fabrication of an OLED light e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발광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를 위한 구성도FIGS. 7A and 7B are diagram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an OL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61. AAO 격벽 62. 공극61. AAO bulkhead 62. Pore

63. 탄소 나노 튜브 64. OLED 물질층63. Carbon nanotubes 64. OLED material layer

65. 전극층 66. 전도성 고분자 물질층65. Electrode layer 66. Conductive polymer material layer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OLED 발광체의 밀봉 및 개별화에 의해 광효율 및 사용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고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한 발광체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ght efficiency and service life characteristics by sealing and individualizing an OLE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carbon nanotub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정보화사회에서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중요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In the information society, display devic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s visual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 order to preempt important positions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meet requirement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thinning, light weight, and high image quality.

이러한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As such display device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plasma display devices (PDP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높은 휘도, 색재현성, 광시야각, 저소비전력 및 RC 지연 특성이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장치로는 수mm 이하로 얇게 만들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주목받고 있다.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which can be thinned to several millimeters or les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display devices capable of minimizing high brightness, color reproducibility, wide viewing angle, low power consumption and RC delay characteristics as display devices ha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OLED의 일반적인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general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an OL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기본 구조는 음극(cathode)(1)과 양극(anode)(3), 그리고 발광을 위한 유기층(2)으로 이루어지며, 유기층(2)은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과 전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전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그리고 전자-정공 재결합에 의한 발광 층(Emission Layer: EML)로 구성된다.The basic structure is composed of a cathode 1 and an anode 3 and an organic layer 2 for light emission. The organic layer 2 is composed of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an electron emission layer (EML).

여기서, 유기층(2)은 도 1에서와 같이 한정되지 않고 단일 구조 또는 이중 구조 또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organic layer 2 is not limited as in FIG. 1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a dual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OLED는 도 2에서와 같이, 전극으로부터 전자와 정공이 각각 유기 반도체층의 전도대와 가전자대로 주입되고,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내부로 확산되어 재결합되며, 이 과정을 통하여 광이 발생하게 된다. 2, electrons and holes are injected into the conduction band and the valence band of the organic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and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are diffused and recombined in the OLED. As a result, .

이와 같은 OLED는 영상 디스플레이 분야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고화소, 제조 공정의 용이성, 박형화, 플렉서블 특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field of image display, such OLEDs are required to have a high pixel, easy manufacturing process, thinness,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그러나 종래 기술의 OLED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은 형성 재료의 한계 및 제조 공정 기술의 한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LED of the prior art have the following problems due to limitations of the forming material and limitation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technology.

첫째, 소자의 고집적화 및 정밀화에 대한 요구가 더해지고 있는데 반하여 마스크를 이용한 제조 공정의 한계로 인하여 미세 패턴을 보다 정확하게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First, there is a demand for highly integrated and precise devices, but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fine pattern more accurately due to limitations of a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mask.

둘째, 마스크를 이용한 제조 공정으로 인하여 공정의 단순화가 어려워 제조 비용 및 공정 시간의 감소에 어려움이 있고 수율 향상의 어려움이 있다.Second, it is difficult to simplify the process due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mask,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process time, and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yield.

셋째, 글래스 기판상에 전극층을 형성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글래스층에 의한 내부전반사 문제, TFT 회로, 필름의 균일도 문제에 의한 광효율 저하 문제가 있다.Third, since an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a glass substrate,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light efficiency due to the problem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caused by the glass layer, the TFT circuit, and uniformity of the film.

넷째, 수분의 침투에 의한 유기발광층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로 인해, 밀봉 (Encapsulation)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Fourth, an encapsulation process is required due to the shortening of the life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ue to the penetration of moisture.

다섯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진공 챔버, 진공 펌프, 고진공 펌프 등의 고가의 장비로 인하여 제조 라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Fifth, expensive equipment such as a vacuum chamber, a vacuum pump, and a high vacuum pump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expensive to construct a manufacturing line.

여섯째, 제조 비용 등을 줄이기 위한 기술로 도입되고 있는 고분자 OLED를 이용한 실크스크린법, 인쇄법 등은 낮은 휘도, 낮은 색재현성 등으로 양산에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Six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lk screen method and the printing method using a polymer OLED, which is introduced as a technique for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re not applicable to mass production due to low luminance and low color reproducibility.

이와 같이 고휘도, 높은 색재현성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단분자 OLED의 생산 방법 및 제품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제조 공정 및 소자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 production method and a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of a single-molecule OLED capable of satisfying high luminance and high color reproducibility are desperately required, bu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due to limitations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device structur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OLED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OLED 발광체의 개별화에 의해 광효율 및 사용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고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발광체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LED of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ight efficiency and service life characteristic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by individualizing the OLED light emitting body using the carbon nanotub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단순화된 공정으로 집광 특성을 향상시켜 내부전반사를 최소화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수분 침투 및 가스 침투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수명 특성을 향상시킨 고화소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definitio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light efficiency, improve moisture absorption and gas penetration by minimiz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by a simplified process using carbon nanotub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마스크 제조 공정 및 마스크를 이용한 소자 제조 공정을 스킵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밀도 및 크기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탄소 나노 튜브의 설 계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esign of a carbon nanotube that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skipping the mask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mask, and can precisely control the density and size.

또한, 이들 기술을 이용한 나노미터 크기의 극미세 영역에서 새로운 물리현상과 향상된 물질특성을 나타내는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carbon nanotubes that exhibits new physical phenomena and improved material characteristics in a very minute region of nanometer size using these techniqu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OLED 발광체의 밀봉 및 개별화에 의해 AM-OLED 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인쇄법이나 실크스크린법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발광체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uminous bod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 printing method or a silk scre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M-OLED by sealing and individualizing OLED luminous bodies using carbon nanotub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본 발명은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OLED 발광체의 밀봉 및 개별화에 의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진공 챔버, 진공 펌프, 고진공 펌프 등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한 제조 라인의 구축없이 인쇄법이나 실크스크린법 등을 이용한 단순화된 공정으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LE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carbon nanotub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y sealing and individualizing the OLED light emitting device by using a printing method or a silk screen method without building a manufacturing line using expensive equipment such as a vacuum cha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OLED 물질층이 탄소 나노 튜브 및 전극층에 의해 밀봉된 상태의 발광체들을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하여 CNT/OLED 분말 또는 CNT/OLED 용액 상태로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용이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LED material layer is sealed with carbon nanotubes and an electrode layer to form a CNT / OLED powder or a CNT / OLED solution by mixing the conductive polymer material with the conductive polymer material. It has its purpos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는 서로 개별화되는 탄소 나노 튜브들;상기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들 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상기 내부에 OLED 물질층을 갖는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arbon nanotubes that are individualized from each other, an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 nanotubes, And an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여기서, 상기 OLED 물질층이 탄소 나노 튜브 및 전극층에 의해 밀봉된 상태의 발광체들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되어진 CNT/OLED 분말 또는 CNT/OLED 용액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ight emitting bodies in which the OLED material layer is sealed by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electrode layer are in the CNT / OLED powder or CNT / OLED solution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material.

그리고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는 TFT 영역 및 화소 영역들을 갖는 기판;상기 기판의 각각의 화소 영역에,서로 개별화된 탄소 나노 튜브들 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 그리고 상기 내부에 OLED 물질층을 갖는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하고 이루어진 발광체들;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LED display including a substrate having a TFT region and pixel regions, a pixel region of the OLED material formed in individual CNTs, And an electrode layer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each carbon nanotube having an OLED material layer thereon.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 제조 방법은 AAO 템플릿내의 공극내에 탄소 나노 튜브(CNT)를 성장시키는 단계;AAO 템플릿의 하부 알루미늄층을 제거하고, 노출된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을 증착하는 단계;상기 탄소 나노 튜브내에 형성된 OLED 물질층에 연결되도록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전극층이 형성된 템플릿의 AAO 격벽을 제거하여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이 봉입된 CNT/OLED를 개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abric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growing carbon nanotubes (CNTs) in pores in an AAO template; removing the lower aluminum layer of the AAO template; Forming an electrode layer to be connected to the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 removing the AAO barrier of the template having the electrode layer, and forming a CNT / OL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가 발광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은 AAO 템플릿내의 공극내에 탄소 나노 튜브(CNT)를 성장시키는 단계;AAO 템플릿의 하부 알루미늄층을 제거하고, 노출된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을 증착하는 단계;상기 탄소 나노 튜브내에 형성된 OLED 물질층에 연결되도록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전극층이 형성된 템플릿의 AAO 격벽을 제거하여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이 봉입된 CNT/OLED를 개별화하는 단계;개별화된 CNT/OLED들을 전도성 고분자와 혼합하는 단계;상기 전도성 고분자와 혼합된 CNT/OLED들을 TFT 영역 및 화소 영역들을 갖는 기판의 각각의 화소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abricating a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growing carbon nanotubes (CNTs) in pores in an AAO template; removing a lower aluminum layer of the AAO template; Forming an electrode layer to be connected to a layer of the OLED material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 removing the AAO barrier wall of the template having the electrode layer, forming a layer of the OLED material in the carbon nanotub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CNT / OLED customization, mixing individualized CNTs / OLEDs with a conductive polymer, CNT / OLEDs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on each pixel region of a substrate having a TFT region and pixel regions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light emitting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light emitting body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LED 발광체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발광체의 제조를 위한 공정 순서도이다.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LED phosp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rocess flow chart for manufacturing an OLED phosp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OLED 발광체의 밀봉 및 개별화에 의해 광효율 및 사용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고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한 발광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uminous body which can improve the light efficiency and service life characteristics by sealing and individualizing the OLED luminous body using carbon nanotubes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는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개별화된 탄소 나노 튜브(63)들과, 상기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63)들 내에 형성되고 탄소 나노 튜브(63)들에 의해 밀봉되는 OLED 물질층(유기 발광층)(64)과, 상기 내부에 OLED 물질층(64)을 갖는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63)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극층(65)을 포함 하고 구성된다.3,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dividual carbon nanotubes 63 and OLED materials 63 formed in the respective carbon nanotubes 63 and sealed by carbon nanotubes 63, And an electrode layer 65 formed under each of the carbon nanotubes 63 having the OLED material layer 64 therein.

여기서, OLED 물질층이 탄소 나노 튜브 및 전극층에 의해 밀봉된 상태의 발광체들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되어진 CNT/OLED 분말 또는 CNT/OLED 용액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light emitting materials in which the OLED material layer is sealed by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electrode layer can be used 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device in a CNT / OLED powder or a CNT / OLED solution mixed with a conductive polymer material.

그리고 탄소 나노 튜브는 형태에 따라서 단중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WNT), 단중벽 나노 튜브가 두겹으로 겹쳐 있는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walled Carbon Nanotube;DWNT), 단중벽 나노 튜브가 여러 겹으로 겹쳐져 있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MWNT), 다발형 나노튜브(Nanotube Rope)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 형성 공정은 단중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WNT) 또는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walled Carbon Nanotube;DWNT)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MWNT)를 사용하여 형성한다.The carbon nanotubes can be classified into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DWNTs),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and nanotube ropes in which a plurality of carbon nanotubes are stacked in layers. The process of forming a phosp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SWNT) or a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DWNT) or a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N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 emit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4에서와 같이, AAO 템플릿내의 공극내에 CNT를 성장시키는 단계(S401)와, AAO 템플릿의 하부 알루미늄층을 제거하는 단계(S402)와, 노출된 CNT내에 OLED 물질층을 증착하는 단계(S403)와, 상기 CNT내에 형성된 OLED 물질층에 연결되도록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S404)와, 상기 전극층이 형성된 템플릿을 분쇄 또는 AAO 격벽을 제거하여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이 봉입된 CNT/OLED를 개별화하는 단계(S405)를 포함하고 이루어진다.4, a step S401 of growing a CNT in the pores in the AAO template, a step S402 of removing the lower aluminum layer of the AAO template, a step of depositing an OLED material layer in the exposed CNT S403, (S404) forming an electrode layer to be connected to the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the CNT; and grinding the template having the electrode layer formed thereon or removing the AAO barrier wall to separate the CNT / OLED having the OLED material layer in the carbon nanotube (S405).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시에 인쇄법 또는 실크스크린법에 의해 개별 화된 CNT/OLED들을 화소 영역에 도포하기 위하여, 개별화된 CNT/OLED들을 전도성 고분자와 혼합하는 단계(S4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mixing the individual CNTs / OLEDs with the conductive polymer (S406) may be further included to apply the CNTs / OLEDs customized by the printing method or the silk screening method to the pixel region in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t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공정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OL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와 같이, 먼저 발광체를 만들기 위하여, AAO 템플릿내의 공극내에 CNT를 성장시키는 단계(S501)와, AAO 템플릿의 하부 알루미늄층을 제거하는 단계(S502)와, 노출된 CNT내에 OLED 물질층을 증착하는 단계(S503)와, 상기 CNT내에 형성된 OLED 물질층에 연결되도록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S504)와, 상기 전극층이 형성된 템플릿을 분쇄 또는 AAO 격벽을 제거하여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이 봉입된 CNT/OLED를 개별화하는 단계(S505)를 진행한다.As shown in FIG. 5, first, in order to make the phosphor, a step of growing CNTs in the pores in the AAO template (S501), removing the lower aluminum layer (S502) of the AAO template, (S504) forming an electrode layer to be connected to the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the CNT, removing the template or the AAO barrier to form the electrode layer, and sealing the OLED material layer in the carbon nanotub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05 in which the CNT / OLED is customized.

그리고 인쇄법 또는 실크스크린법에 의해 개별화된 CNT/OLED들을 화소 영역에 도포하기 위하여, 개별화된 CNT/OLED들을 전도성 고분자와 혼합하는 단계(S506)와, 인쇄법 또는 실크스크린법에 의해 개별화된 CNT/OLED들을 TFT 기판의 화소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S507)를 진행하여, TFT 영역 및 화소 영역들을 갖는 기판의 각각의 화소 영역에, 서로 개별화된 탄소 나노 튜브들 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 그리고 상기 내부에 OLED 물질층을 갖는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하고 이루어진 발광체들;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한다.(S506) mixing the individualized CNTs / OLEDs with the conductive polymer so as to apply the CNTs / OLEDs individualized by the printing method or the silk screen method to the pixel region, (S507) of applying the OLEDs to the pixel region of the TFT substrate to form an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the individual CNTs in the individual pixel regions of the substrate having the TFT region and the pixel regions, And an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carbon nanotubes having the OLED material layer there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a내지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발광체의 제조를 위한 공정 단면도이고,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발광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를 위한 구성도이다.FIGS. 6A to 6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L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and 7B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an OL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OLED 발광체는 공극 베리어층에 의해 각각 분리되는 공극들을 포함하는 양극 산화 알루미나(AAO;Anodic Aluminum Oxide) 나노 템플릿내의 공극들 내에 탄소 나노 튜브(CNT;Carbon Nano Tube)를 성장시키고 성장된 탄소 나노 튜브 내에 OLED 물질층을 증착한 후에 탄소 나노 튜브들 단위로 개별화하여 형성하는 것이다.The OL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arbon nanotube (CNT) is grown in pores in an anodic aluminum oxide (AAO) nanotemplate including pores separated by a voided barrier layer, An OLED material layer is deposited in a carbon nanotube and then individualized into carbon nanotubes.

본 발명에 사용되는 AAO 나노 템플릿은 양극 산화된 알루미늄 표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미터크기(10~100nm)의 공극(pore)들이 형성되는 알루미늄 기판을 말한다. 이것은 나노튜브(nanotube)나 나노와이어(nanowire)등의 nano구조를 만드는 틀로써 사용되며, AAO 템플릿 자체가 나노 마스크(nano mask)로 활용될 수도 있다.The AAO nanotem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aluminum substrate on which pores having a nanometer size (10 to 100 nm) are regularly arranged on an anodized aluminum surface. It is used as a template for creating nano structures such as nanotubes and nanowires, and the AAO template itself can be used as a nano mask.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AAO 템플릿을 탄소 나노 튜브의 크기나 밀도 제어 그리고 탄소 나노 튜브의 직진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AO template is used to control the size and density of carbon nanotubes and to secure the linear growth of carbon nanotubes.

나노 물질 중에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는 탄소나노튜브는 아직도 탄소나노튜브의 크기나 밀도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AAO 템플릿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게 되면 AAO의 공극의 직경과 배열을 따라서 탄소나노튜브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것은 field emitter tip이나 AFM tip등의 나노 소자로 응용이 가능하다. Carbon nanotubes, which are highly anticipated among nanomaterials, are still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size and density of carbon nanotubes. Therefore, when the carbon nanotubes are synthesized using the AAO template, the size of the carbon nanotubes can be various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ameter and arrangement of the pores of the AAO, and this can be applied to nano devices such as a field emitter tip or an AFM tip .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AAO 격벽(61)들에 의해 분리되는 일정 간격으로 공극(62)들을 갖는 양극 산화 알루미나(AAO;Anodic Aluminum Oxide) 나노 템플릿을 준비한다.First, as shown in FIG. 6A, an anodic aluminum oxide (AAO) nanotemplate having pores 62 at regular intervals separated by AAO barrier ribs 61 is prepared.

그리고 도 6b에서와 같이, AAO 템플릿을 나노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공극(62)들 내에 탄소 나노 튜브(63)를 성장시킨다.6B, carbon nanotubes 63 are grown in the voids 62 using the AAO template as a nano-mask.

여기서, 탄소 나노 튜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Ni, Fe, Co,Y 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촉매 금속(도시하지 않음)으로 공극(62)들내에 증착하고, 양극 산화 알루미나(AAO;Anodic Aluminum Oxide) 나노 템플릿내의 공극(62)내에 탄소 나노 튜브(63)를 성장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form the carbon nanotubes, any one of Ni, Fe, Co, and Y, or an alloy thereof is deposited in the voids 62 with a catalyst metal (not shown), and anodic aluminum A method of growing the carbon nanotubes 63 in the pores 62 in the nano template can be applied.

여기서, 공극(62)들 내의 하부 영역에 촉매 금속이 증착된 상태에서 NH3 가스를 30sccm 5분간 먼저 주입하고, C2,H2 가스를 30sccm으로 NH3 가스를 동시에 20분간 주입하여 탄소 나노 튜브(63)를 성장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NH 3 gas was injected at 30 sccm for 5 minutes in the state where catalytic metal was deposited in the cavity 62, NH 3 gas was simultaneously injected at 30 sccm for C 2 and H 2 gas for 20 minutes, (63) may be grown.

그리고 탄소 나노 튜브(63)의 형성 높이는 AAO 격벽(61)의 두께와 반드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탄소 나노 튜브의 직선 형태를 확보할 수 있는 높이까지 형성하여 사용된다.The height of the carbon nanotubes 63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AAO barrier ribs 61 but is formed to a height sufficient to ensure the linear shape of the carbon nanotubes.

이어, 공극(62)들내에 탄소 나노 튜브(63)를 갖는 AAO 템플릿의 하부를 식각하여 탄소 나노 튜브(63)의 일부를 노출시킨다.Subsequently, the lower portion of the AAO template having the carbon nanotubes 63 in the spaces 62 is etched to expose a part of the carbon nanotubes 63.

여기서, 탄소 나노 튜브의 성장 공정후에 잔류하는 촉매 금속은 AAO 템플릿의 하부를 식각하는 공정에서 알루미늄과 같이 제거된다.Here, the catalyst metal remaining after growing the carbon nanotubes is removed like aluminum in the process of etching the lower part of the AAO template.

그리고 도 6c에서와 같이, 탄소 나노 튜브(63)의 노출된 부분을 통하여 탄소 나노 튜브(63)내에 OLED 물질층(64)을 증착한다.6C, the OLED material layer 64 is deposited in the carbon nanotubes 63 through the exposed portions of the carbon nanotubes 63. [

여기서, OLED 물질층(64)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HTL), 발광층(Emission Layer:EML)이 적층된 형태로써 이와 같은 형태가 상기에서 설명한 탄소 나노 튜브의 내부에 증착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OLED material layer 64 is formed by stacking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an emission layer (EML), and the shape of the OLED material layer 64 may be deposited inside the carbon nanotubes described above.

다른 형태로는 정공 유입층(Hole Injection Layer:HIL),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ETL)이 적층된 형태 또는 정공 수송층(HTL),발광층(EML),여기 블록층(Exciton Block Layer;EB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유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EIL)이 적층된 형태 또는 정공 유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여기 블록층(EBL), 발광층(EML),전자 수송층(ETL), 전자 유입층(EIL)이 적층된 형태로써 이와 같은 형태가 상기에서 설명한 탄소 나노 튜브의 내부에 증착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light emitting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or a hole transport layer (HTL), a light emitting layer (EML)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 light emitting layer (EML), an excitation blocking layer (EBL), a light emitting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 A light emitting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are stacked on each other.

물론, 이와 같은 적층 형태가 아니고 다른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made in another form instead of such a laminated form.

그리고 OLED 물질층(64)을 탄소 나노 튜브(63)내에 형성하는 공정은 물리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PVD), 플라즈마 증가형 화학 기상 증착법(Plasma enhancement Chemical Vapor Deposition;PECVD),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CVD), Langmuir-Brodgette(LB)법, LiTi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OLED material layer 64 in the carbon nanotubes 63 may be performed by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Langmuir-Brodgette (LB) method, LiTi method and the like can be used.

이와 같은 공정으로 OLED 물질층(64)을 탄소 나노 튜브(63)내에 형성하고, 도 6d에서와 같이, 내부에 OLED 물질층(64)이 형성된 탄소 나노 튜브(63)의 일단에 전극층(65)을 형성한다.6D, an OLED material layer 64 is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 63 and an electrode layer 65 is formed on one end of the carbon nanotube 63 having the OLED material layer 64 formed therein, .

전극층(65)은 탄소 나노 튜브(63)의 내부에 OLED 물질층(64)이 형성된 상태에서 Al, Ag, Au 등의 금속을 증착하여 형성한다.The electrode layer 65 is formed by depositing a metal such as Al, Ag, or Au in a state where the OLED material layer 64 is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s 63.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AAO 격벽(61)에 의해 분리되는 공극(62)내의 탄소 나노 튜브(63)내에 OLED 물질층(64)이 형성되고 탄소 나노 튜브(63) 일측에 전극층(65)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 6e에서와 같이, AAO 격벽(61)을 제거하여 각각의 CNT/OLED 구조의 OLED 발광체들을 개별화하는 공정을 진행한다.The OLED material layer 64 is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s 63 in the void 62 separated by the AAO barrier 61 and the electrode layer 6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rbon nanotubes 63 The AAO barrier ribs 61 are removed and individual OLED luminous bodies of each CNT / OLED structure are processed as shown in FIG. 6E.

AAO 격벽(61)의 제거는 AAO 격벽(61)을 구성하는 Al2O3를 선택적인 식각 공정으로 제거하거나, 탄소 나노 튜브(63)가 깨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는 공정을 사용하여 각각의 CNT/OLED 구조의 OLED 발광체들을 개별화한다.Removal of the AAO bulkhead 61 each use a step of removing the Al 2 O 3 constituting the AAO partition wall (61) in a selective etching process, or ground to a size of a carbon nanotube 63 is not broken The OLED luminaires of the CNT / OLED structure are individualized.

도 6f에서와 같이 개별화되어진 CNT/OLED 구조의 OLED 발광체들은 전도성 고분자와 혼합되어 분말 또는 용액 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도 6g에서와 같이 전도성 고분자 물질층(66)과 혼합하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시에 인쇄 또는 실크스크린법으로 소자의 화소 영역에 증착할 수 있다.The individualized OLED phosphors having the CNT / OLED structure as shown in FIG. 6F may be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to form a powder or a solution state, and may be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material layer 66 as shown in FIG. 6G, It can be deposited in the pixel region of the device by printing or silk screening.

물론, 개별화되어진 CNT/OLED 구조의 OLED 발광체들을 사용하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시에 기판의 화소 영역에 도포하는 방법은 상기한 인쇄법 또는 실크스크린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기판의 화소 영역에 증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method of applying the individualized OLED luminous bodies of the CNT / OLED structure to the pixel region of the substrate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printing method or the silk screen method described above, Lt; RTI ID = 0.0 > region. ≪ / RTI >

도 7a는 CNT/OLED 구조의 OLED 발광체들 형성시에 각각의 R,G,B 발광층을 형성하고 이들 각각의 R,G,B 발광을 위한 OLED 발광체들을 R 화소 영역, G 화소 영역, B 화소 영역에 각각 증착한 것이다.7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LED light emitters for R, G, and B light emission are formed in the R, G, and B light emitting layers in the formation of the OLED light emitters of the CNT / OLED structure, Respectively.

이와 같은 공정으로 형성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화소 구동을 위한 TFT들이 위치하는 TFT 영역 및 화소 영역들을 갖는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의 각각의 R,G,B 화소 영역에, 서로 개별화된 탄소 나노 튜브들 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 그리고 상기 내부에 OLED 물질층을 갖는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하고 이루어진 각각의 R,G,B의 OLED 발광체들;이 위치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med by such a process includes a substrate having TFT regions and pixel regions in which TFTs for driving each pixel are located; And an electrode layer formed on each of the R, G, and B pixel regions of the substrate, an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individualized carbon nanotubes, and an electrode layer formed under each carbon nanotube having the OLED material layer therein And OLED emitters of R, G, and B, respectively.

여기서,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체들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되어진 분말 또는 용액 형태로 인쇄법 또는 실크스크린법에 의해 각각의 R,G,B 화소 영역에 증착된다.Here, the light emitting bodies located in the pixel region are deposited in the R, G, and B pixel regions by a printing method or a silk screen method in the form of a powder or a solution mixed with a conductive polymer material.

그리고 도 7b는 CNT/OLED 구조의 OLED 발광체들 형성시에 탄소 나노 튜브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을 백색 발광층(R,G,B의 Phosphorescence 또는 R,B의 Phosphorescence를 이용한)으로 형성하고 이를 TFT 영역 및 화소 영역들을 갖는 기판의 화소 영역에 증착한 것이다.FIG. 7B illustrates a method of forming an OLED material layer in a CNT / OLED structure by forming a white light emitting layer (phosphorescence of R, G, or B or phosphorescence of R and B) And a pixel region of a substrate having pixel region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R(Red)-G(Green)-B(Blue) 칼라 구현을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A method for implementing R (Red) -G (Green) -B (Blue) color of an OLED display using the phosp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도 7a에서와 같이 R,G,B 각각의 발광층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도 7b에서와 같이 백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R,G,B 칼라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First, a method of using R, G and B light emitting layers as shown in FIG. 7A or a method of forming a white light emitting layer and using R, G, and B color filters as shown in FIG. 7B can be used.

다른 방법으로는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청색을 녹색과 적색으로 변환하는 색 변환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R,G,B 칼라를 구현할 수 있다.Alternatively, R, G, and B color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forming a blue light emitting layer and using a color conversion material that converts blue light into green light and red light.

또한, 넓은 색 스펙트럼을 갖는 발광층에 대하여 광학적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R,G,B로 변환시키는 방법, 한 개의 부화소가 R,G,B를 선택적으로 생성시키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Also, a method of converting R, G, and B into a light emitting layer having a wide color spectrum using an optical mechanism, a method of selectively generating R, G, and B by one sub-pixel, or the like.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칼라 구현 방법은 이상의 설명에 의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colo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other methods may be used.

그리고 칼라 구현 방식에 따라 발광체 형성시의 OLED 물질층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층들이 다르게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nd it is natural that the material layers for forming the OLED material layer in the formation of the light-emitting body can be sel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lor implementation method.

이와 같은 공정으로 형성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화소 구동을 위한 TFT들이 위치하는 TFT 영역 및 화소 영역들을 갖는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의 화소 영역에, 서로 개별화된 탄소 나노 튜브들 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 그리고 상기 내부에 OLED 물질층을 갖는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하고 이루어진 각각의 백색의 OLED 발광체들;이 위치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med by such a process includes a substrate having TFT regions and pixel regions in which TFTs for driving each pixel are located; And an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the individual CNTs in the pixel region of the substrate, and an electrode layer formed under each of the CNTs having the OLED material layer therein, The light emitters are located.

여기서,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체들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되어진 분말 또는 용액 형태로 인쇄법 또는 실크스크린법에 의해 각각의 화소 영역에 증착된다.Here, the light emitting bodies located in the pixel region are deposited in the respective pixel regions by a printing method or a silk screen method in the form of a powder or a solution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material.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OLED의 미세크기 조절 가능하여 고밀도의 소자 집적 을 이룰 수 있으며 저 전류 및 탄소 나노 튜브에 의한 밀봉으로 수증기와 산소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By such a process, the fine size of the OLED can be controlled to achieve high-density device integration, and the influence of water vapor and oxygen can be reduced by low current and sealing with carbon nanotubes, thereby prolonging the life of the display device.

따라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공정시에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단순화된 공정으로 광효율 및 사용 수명 특성이 향상된 고화소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alize a high-defini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the light efficiency and service lif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by a simplified process using carbon nanotube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또한, 마스크 제조 공정 및 마스크를 이용한 소자 제조 공정을 스킵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밀도 및 크기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탄소 나노 튜브의 설계 제어 방법을 구현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designing and controlling a carbon nanotube that can precisely control density and size by simplifying a manufacturing process by skipping a mask manufacturing process and a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mask is implemented.

그러므로 이들 기술을 이용한 나노미터 크기의 극미세 영역에서 새로운 물리현상과 향상된 물질 특성을 나타내는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new typ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carbon nanotubes that exhibits a new physical phenomenon and improved material properties in a very minute region of nanometer size using these techniques.

또한,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OLED 발광체의 개별화에 의해 광효율 및 사용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고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한 발광체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을 구현한다.Also, a light emitting bod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n be realized which can improve light efficiency and service life characteristics by individualizing an OLED light emitting body using carbon nanotubes and simplify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elemen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를 형광등, 백열등의 제조에 적용하게 되면 박형화가 가능하고, 광고판 또는 벽지 또는 쇼핑몰의 윈도우 등에 직접 도포하는 경우에는 광고판, 벽지, 윈도우를 광원 디스플레이 장치화할 수 있다.When the luminous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fluorescent lamps and incandescent lamps, it can be thinned. In the case of directly applying the luminous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billboard, a wallpaper, or a window of a shopping mall, the billboard, wallpaper and window can be used as a light source display device.

특히, 벽지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액자형에 머물러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지형 디스플레이 장치 단계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in case of applying to a wallpaper, a display device staying in a frame type can be extended to the step of a wallpaper type display devic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laim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탄소 나노 튜브의 높은 전계 방출 특성을 이용하여 저전류 구동이 가능한 OLED 제작이 가능하다.First, it is possible to fabricate OLEDs capable of low current driving by utilizing the high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tubes.

둘째, OLED 분자를 탄소 나노 튜브의 내부에 증착하여 하나의 탄소 나노 튜브에 OLED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Second, OLED molecules can be deposited inside the carbon nanotubes to form OLED devices in one carbon nanotube.

이는 소자의 고집적화 및 정밀화 요구에 따른 미세 패턴을 보다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precisely implement fine pattern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high integration and precision of devices.

셋째, 마스크를 이용한 제조 공정을 스킵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 및 공정 시간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Third, th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mask is skipped to simplify the process,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process time.

넷째, 우수한 전계 방출 특성을 갖는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에 의해 소자의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Fourt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carbon nanotubes having excellent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can be fabricated to improve the light efficiency of the device.

다섯째, 탄소 나노 튜브가 갖는 수분침투억제 및 기체 차단 특성을 이용한 단순화된 공정으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소자(OLED)를 제조하여 광효율 및 사용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f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can be manufactured by a simplified process using the moisture permeation suppression and gas barrier properties of the carbon nanotube, thereby improving the light efficiency and service life characteristics.

여섯째,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OLED 발광체의 밀봉 및 개별화에 의해 AM- OLED 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인쇄법이나 실크스크린법 등을 이용하여 높은 휘도 특성 및 색재현성을 갖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Sixt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characteristics and color reproducibility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a printing method, a silk screen method, or the like in manufacturing an AM-OLED by sealing and individualizing an OLED light emitting body using carbon nanotubes.

일곱째,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OLED 발광체의 밀봉 및 개별화에 의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진공 챔버, 진공 펌프, 고진공 펌프 등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한 제조 라인의 구축없이 인쇄법이나 실크스크린법 등을 이용한 단순화된 공정을 적용 가능하게 한다.Seventh, by sealing and individualizing the OLED light emitting body using carbon nanotubes, a printing method, a silk screen method,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without building a manufacturing line using expensive equipment such as a vacuum chamber, a vacuum pump and a high vacuum pump for manufacturing an OLED display device To simplify the process.

여덟째, OLED 물질층이 탄소 나노 튜브 및 전극층에 의해 밀봉된 상태의 발광체들을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하여 CNT/OLED 분말 또는 CNT/OLED 용액 상태로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Eighth, the emitters in which the OLED material layer is sealed with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electrode layer are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material to make the CNT / OLED powder or the CNT / OLED solution state and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o that the manufacturing easiness can be secured.

Claims (18)

서로 개별화되는 탄소 나노 튜브들;Carbon nanotubes customized to each other; 상기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들 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An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each of the carbon nanotubes; 상기 내부에 OLED 물질층을 갖는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And an electrode layer formed under each of the carbon nanotubes having the OLED material layer there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LED 물질층이 탄소 나노 튜브 및 전극층에 의해 밀봉된 상태의 발광체들은,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LED material layer is sealed by carbon nanotubes and an electrode layer,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되어진 CNT/OLED 분말 또는 CNT/OLED 용액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A CNT / OLED powder mixed with a conductive polymer material or a CNT / OLED solution. TFT 영역 및 화소 영역들을 갖는 기판;A substrate having a TFT region and pixel regions; 상기 기판의 각각의 화소 영역에,In each pixel region of the substrate, 서로 개별화된 탄소 나노 튜브들 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 그리고 상기 내부에 OLED 물질층을 갖는 각각의 탄소 나노 튜브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하고 이루어진 발광체들;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individualized carbon nanotubes, and an electrode layer formed under each of the carbon nanotubes having the OLED material layer therei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체들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4.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ight emitting bodies located in the pixel region are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materi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각각의 화소 영역은 각각 R 화소 영역, G 화소 영역, B 화소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R,G,B 화소 영역에는 R 발광층을 갖는 OLED 발광체, G 발광층을 갖는 OLED 발광체, B 발광층을 갖는 OLED 발광체가 각각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each pixel region of the substrate is divided into an R pixel region, a G pixel region, and a B pixel region, and each of the R, G, An OLED light emitting body having a B light emitting layer, and an OLED light emitting body having a B light emitting lay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모든 화소 영역에 R,G,B의 Phosphorescence 또는 R,B의 Phosphorescence를 이용한 백색 발광층을 갖는 OLED 발광체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n OLED phosphor having a white light emitting layer using phosphorescence of R, G, B or phosphorus of R, B is applied to all pixel regions of the substr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튜브들 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은,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s comprises: 정공 유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여기 블록층(EBL),전자 수송층(ETL), 전자 유입층(EIL)들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EIL), an electron-transporting layer (ETL), and an electron-injecting layer (EIL),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form of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ing layer (HTL)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AO 템플릿내의 공극내에 탄소 나노 튜브(CNT)를 성장시키는 단계;Growing carbon nanotubes (CNTs) in pores in the AAO template; AAO 템플릿의 하부 알루미늄층을 제거하고, 노출된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을 증착하는 단계;Removing the lower aluminum layer of the AAO template, and depositing a layer of OLED material in the exposed carbon nanotubes; 상기 탄소 나노 튜브내에 형성된 OLED 물질층에 연결되도록 전극층을 형성하 는 단계;Forming an electrode layer to be connected to the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 상기 전극층이 형성된 템플릿의 AAO 격벽을 제거하여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이 봉입된 CNT/OLED를 개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제조 방법.And removing the AAO barrier wall of the template having the electrode layer to separate the CNT / OLED having the OLED material layer in the CNT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OLED 물질층이 탄소 나노 튜브 및 전극층에 의해 밀봉된 상태의 발광체들을,9.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OLED material layer compris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bodies sealed with carbon nanotubes and an electrode layer,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하여 CNT/OLED 분말 또는 CNT/OLED 용액 상태로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의 제조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the conductive polymer material with the CNT / OLED powder or the CNT / OLED solution by mixing with the conductive polymer material. 제 8 항에 있어서, 탄소 나노 튜브내에 봉입되어진 OLED 물질층은,The OLED material layer as claimed in claim 8, 각각 R,G,B 발광을 위한 R 발광층 또는 G 발광층 또는 B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의 제조 방법.Emitting layer or a G light-emitting layer or a B light-emitting layer for R, G and B light emission, respectively. 제 8 항에 있어서, 탄소 나노 튜브내에 봉입되어진 OLED 물질층은,The OLED material layer as claimed in claim 8, R,G,B의 Phosphorescence 이거나 R,B의 Phosphorescence를 이용한 백색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의 제조 방법.R, G, and B phosphorescence or phosphorescence of R and B, respective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튜브들 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은,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s comprises: 정공 유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여기 블록층(EBL),전자 수송층(ETL), 전자 유입층(EIL)들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의 제조 방법.(EIL), an electron-transporting layer (ETL), and an electron-injecting layer (EIL),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form of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ing layer (HTL) By weight. 제 8 항에 있어서, 탄소 나노 튜브들내에 형성되는 OLED 물질층을 증착하는 공정을,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depositing a layer of an OLED material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s, 물리 기상 증착법(PVD), 플라즈마 증가형 화학 기상 증착법(PECVD), 화학 기상 증착법(CVD), Langmuir-Brodgette(LB)법, LiTi법의 어느 하나의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의 제조 방법.Wherein the film is formed using any one of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Langmuir-Brodgette (LB) Gt; 제 8 항에 있어서, 발광체를 만들기 위한 탄소 나노 튜브를,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또는 double walled carbon nanotube 또는 Multi walled carbon nanotub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의 제조 방법.a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or a double walled carbon nanotube or a multi walled carbon nanotube is used. AAO 템플릿내의 공극내에 탄소 나노 튜브(CNT)를 성장시키는 단계;Growing carbon nanotubes (CNTs) in pores in the AAO template; AAO 템플릿의 하부 알루미늄층을 제거하고, 노출된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을 증착하는 단계;Removing the lower aluminum layer of the AAO template, and depositing a layer of OLED material in the exposed carbon nanotubes; 상기 탄소 나노 튜브내에 형성된 OLED 물질층에 연결되도록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n electrode layer to be connected to the OLED material layer formed in the carbon nanotube; 상기 전극층이 형성된 템플릿의 AAO 격벽을 제거하여 탄소 나노 튜브내에 OLED 물질층이 봉입된 CNT/OLED를 개별화하는 단계;Removing the AAO barrier of the template in which the electrode layer is formed to individualize the CNT / OLED in which the OLED material layer is embedded in the carbon nanotube; 개별화된 CNT/OLED들을 전도성 고분자와 혼합하는 단계;Mixing individualized CNTs / OLEDs with a conductive polymer; 상기 전도성 고분자와 혼합된 CNT/OLED들을 TFT 영역 및 화소 영역들을 갖는 기판의 각각의 화소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And applying CNTs / OLEDs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to each pixel region of a substrate having a TFT region and pixel regions. 제 15 항에 있어서, 전도성 고분자와 혼합된 CNT/OLED들을 TFT 영역 및 화소 영역들을 갖는 기판의 각각의 화소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에서,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in the step of applying the CNTs / OLEDs mixed with the conductive polymer to the respective pixel regions of the substrate having TFT regions and pixel regions, 인쇄법 또는 실크스크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Wherein a printing method or a silk screen method is us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각각의 화소 영역은 각각 R 화소 영역, G 화소 영역, B 화소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R,G,B 화소 영역에는 R 발광층을 갖는 OLED 발광체, G 발광층을 갖는 OLED 발광체, B 발광층을 갖는 CNT/OLED들을 각각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each pixel region of the substrate is divided into an R pixel region, a G pixel region, and a B pixel region, and each of the R, G, Where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모든 화소 영역에 R,G,B의 Phosphorescence 또는 R,B의 Phosphorescence를 이용한 백색 발광층을 갖는 CNT/OLED들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CNTs / OLEDs having phosphorescence of R, G, B or phosphorescence of R, B are applied to all pixel regions of the substrate.
KR1020070026770A 2007-03-19 2007-03-19 Luminous body and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8280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70A KR100828098B1 (en) 2007-03-19 2007-03-19 Luminous body and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70A KR100828098B1 (en) 2007-03-19 2007-03-19 Luminous body and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098B1 true KR100828098B1 (en) 2008-05-08

Family

ID=3964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770A KR100828098B1 (en) 2007-03-19 2007-03-19 Luminous body and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0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922B1 (en) 2010-03-10 2011-06-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fabricating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tilizing porous polymer light emitting layer and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abricated thereb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577A (en) * 2001-08-21 2003-03-03 백홍구 A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included DLCs(Diamond Like Carbon)
KR20030096884A (en) * 2002-06-18 2003-12-31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040070561A (en) * 2003-02-04 2004-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20050067648A (en) * 2003-12-29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060058610A (en) * 2004-11-25 2006-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577A (en) * 2001-08-21 2003-03-03 백홍구 A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included DLCs(Diamond Like Carbon)
KR20030096884A (en) * 2002-06-18 2003-12-31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040070561A (en) * 2003-02-04 2004-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20050067648A (en) * 2003-12-29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060058610A (en) * 2004-11-25 2006-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and methode for manufactur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3-0016577호
공개특허 제2003-0096884호
공개특허 제2004-0070561호
공개특허 제2005-0067648호
공개특허 제2006-0058610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922B1 (en) 2010-03-10 2011-06-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fabricating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tilizing porous polymer light emitting layer and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abricated thereb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060095A (en) Device containing conductive coating placed on radiation region and method therefor
CN104051672B (en) OLED pixel structure
Shi et al. High performance blue 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employing polyethylenimine ethoxylated as the interfacial modifier
WO2016011688A1 (en) Color display component structure
WO2018232948A1 (en) Oled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40010719A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using charge accumul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02432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quantum dot light-emitting element and quantum dot display device
KR100813248B1 (en)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nanorods
WO2016058223A1 (en) Method for fabrication of oled device, and oled device resulting from said method
KR20100089606A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quantum dot for color changing layer
WO2004075604A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7234241A (en) Organic el element
JP2006224296A (en) Carbon nanotub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ield emission device using the carbon nanotub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WO2020081696A1 (en) Perovskite lighting systems
CN110429096A (en) Display device
KR101333057B1 (en) Method of graphene QDs form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display by using block copolymer self-assembled structure
JP3697257B2 (en) Carbon fiber, electron-emitting device, electron source, image forming apparatus, light valve,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9101006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28098B1 (en) Luminous body and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849473B1 (en)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40512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0833975B1 (en)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869125B1 (en) Ole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868941B1 (en) Oled using cnt without catalys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8112644A (en) Self luminous plana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