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188B1 - 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188B1
KR100822188B1 KR1020010065663A KR20010065663A KR100822188B1 KR 100822188 B1 KR100822188 B1 KR 100822188B1 KR 1020010065663 A KR1020010065663 A KR 1020010065663A KR 20010065663 A KR20010065663 A KR 20010065663A KR 100822188 B1 KR100822188 B1 KR 100822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bimetal
battery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3594A (en
Inventor
나성환
이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188B1/en
Publication of KR2003003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5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감아서 형성된 극판 조립체와; 극판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각형 케이스와; 각형 케이스를 밀폐하는 금속재의 캡 플레이트와;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절연재의 가스켓과; 가스켓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전극 단자와; 극판 조립체의 양극판과 음극판 중 하나와 전기적 연결이 된 전극 탭; 및 일단부는 케이스 내로 삽입된 전극 단자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전극 탭과 결합하는 바이메탈;을 구비한다.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thode plate assembly formed by winding a cathode plate, an anode plate, and a separator; A rectangular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therein; A cap plate made of metal to seal the rectangular case; A gasket of insulating material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ap plate; An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llow formed in the gasket; An electrode tab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on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of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And a bimetal having one e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cas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electrode tab.

Description

각형 이차전지{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도 1은 종래의 각형 이차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FIG.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바이메탈이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imetal is operated in FIG.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21..캡 플레이트 22..가스켓21. Cap plate 22. Gasket

23..전극 단자 24..케이스23. Electrode terminal 24. Case

25..극판 조립체 27,28,29..절연체25.Polar plate assembly 27, 28, 29. Insulator

30..바이메탈 31..리벳30.Bimetal 31..Rivet

본 발명은 각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지의 이상동작으로 전지 내부의 온도가 규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에 작동되어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각형 이 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rises above the prescribed temperature due to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battery by blocking the flow of curr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tangular battery having a device.

통상적으로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극판 조립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스의 외관에 따라서 원통형 전지와 각형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각형 전지는 직육면체의 케이스 내에 극판 조립체가 수용된 것이다. In general, secondary batteries are rechargeable, miniaturized and large in capacity, and typically, nickel-hydrogen (Ni-MH) batteries, lithium (Li) batteries, and lithium-ion (Li-ion) batteries are used.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battery and a square battery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case housing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In the rectangular battery, the pole plat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a cas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이차전지는 전지의 이상 작동을 하게 되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전지의 안전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기존의 전지 시스템에서는 전지의 이상동작을 미리 방지해 주는 보호회로를 장착하여 사용시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리튬 이차전지 관련기술이 발달하면서 전지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보호회로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되고 있다.When the secondary battery malfunctions, the temperature rises, and since the secondary battery seriously affects the safety of the battery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he conventional battery system is equipped with a protection circuit that prevents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Risk factors in use were eliminated.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lithium secondary battery-related technology, a method of replacing a protection circuit having a great influence on battery prices has been devised.

그 일예로서 도 1에 안전변이 구비된 각형 이차전지가 도시되어 있다. As an example, FIG. 1 illustrates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having a safety valve.

도면을 참조하면, 각형 이차전지는, 직육면체의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5)와, 케이스(15)의 내부에 수용된 극판 조립체(16)와, 극판 조립체(16)의 일측에 형성되어 극판 조립체를 이루는 양극판과 음극판 중 하나와 전기적 연결이 된 전극 탭(17)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case 15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ace, a pole plate assembly 16 accommodated in the case 15, and a pole plate assem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pole plate assembly 16. An electrode tab 1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상기 케이스(15)와 조립되는 캡 조립체는 케이스(15)의 상단을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11)와, 상기 캡 플레이트(11)에 형성된 구멍(11a)에 삽입되는 가스켓(12)과, 상기 가스켓(12)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전극 탭(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단자(13)와, 상기 전극 탭(17)과 캡 플레이트(11)를 전기적으로 절연 시키는 절연체(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The cap assembly assembled with the case 15 includes a cap plate 11 sealing the upper end of the case 15, a gasket 12 inserted into a hole 11a formed in the cap plate 11, and the gasket. An electrode terminal 13 inserted into the hollow formed in the cavity 1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17, and an insulator 14 which electrically insulates the electrode tab 17 from the cap plate 11. It is configured by.

한편, 상기 캡 플레이트(11)의 타측에는 안전변(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전변(18)은 박막으로 이루어져, 전지의 비정상 작동으로 인하여 전지내에 가스가 발생하여 내압이 상승하는 경우 파단되어 개방됨으로써, 전지의 폭발을 방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afety side 18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p plate (11). The safety valve 18 is formed of a thin film, and when a gas is generated in the battery due to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the internal pressure thereof is broken and opened, thereby preventing the battery from being exploded.

이외에 전지의 안전장치와 관련된 기술로서, 일본특개평11-329405호에 개시된 "비수 전해액 2차전지"가 있다. In addition, as a technique related to the safety device of the battery, there is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329405.

개시된 비수 전해액 2차전지는 내부의 단자판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합된 다이어프램을 구비함으로써, 전지의 내압이 상승하게 되면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이루어져 단자판과의 접합부가 파단되면서, 전류를 차단시키게 된다.Since the disclose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diaphragm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bonded to an internal terminal plat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is increased, the diaphragm is deformed to break the junction with the terminal plate, thereby blocking the current.

다른 관련기술로서, 일본특개평10-275545호에 개시된 "밀폐형 2차전지에 설치하고 사용한 온도퓨즈"가 있다. As another related art, there is a "temperature fuse installed and used in a sealed secondary battery"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75545.

개시된 온도퓨즈는, 2개의 가동 접촉편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들 사이에 열팽창성 절연물을 개재하며, 가동 접촉편들의 각 일단부들을 상호 접합함으로써 형성한 접점 부재를 절연판에 형성된 설치공 내에 삽입시키고, 가동 접촉편들의 상호 접합되지 않은 각 타단부들이 절연판의 양면에 설치된 전극들과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전지 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열팽창성 절연물이 팽창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호 접착된 가동 접촉편들에서의 접합부가 파단되면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The disclosed thermal fuse has two movable contact pieces, a thermally insulated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 pieces, and a contact member formed by joining respective ends of the movable contact pieces to each other in an installation hole formed in the insulating plate. And the other end portions of the movable contact pieces which are not joined to each other are in contact with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plate.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in the battery rises, the thermally expandable insulator expands, thereby breaking the junctions in the mutually bonded movable contact pieces and blocking the flow of current.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전지의 내압 상승에 의하여 박막의 안전변이 파열되거 나, 단자판과 접합된 다이어프램이 변형되어 단자판으로부터 파단 분리되거나, 전지의 온도 상승에 의해 열팽창성 절연물이 팽창하여 가동 접촉편이 파단 분리됨으로써, 전류를 차단하는 안전장치들은 1회의 동작 후, 전지의 이상요인이 제거된 후에도 전지를 재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지의 안전성 시험, 예를 들어 전지의 낙하시험에서, 충격에 의하여 박막 또는 다이어프램이 파열되거나, 온도퓨즈의 접합부가 손상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edge of the thin film is ruptur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or the diaphragm bonded to the terminal plate is deformed and broken from the terminal plate. As a result, the safety devices that cut off the current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battery cannot be reused even after one operation of the battery is removed. In addition, in the safety test of the battery, for example, the drop test of the battery, problems such as tearing of the thin film or the diaphragm or damage of the junction of the temperature fuse may occur due to the impac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는 전극 탭과 전극 단자사이에 바이메탈을 설치함으로써, 전지의 이상동작시 상기 바이메탈이 작동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bimetal between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terminal, the bimetal can operate during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can block the flow of curr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감아서 형성된 극판 조립체와; 상기 극판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각형 케이스와; 상기 각형 케이스를 밀폐하는 금속재의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절연재의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전극 단자와; 상기 극판 조립체의 양극판과 음극판 중 하나와 전기적 연결이 된 전극 탭; 및 일단부는 케이스 내로 삽입된 상기 전극 단자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전극 탭과 결합하는 바이메탈;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athode plate assembly formed by winding a cathode plate, an anode plate, and a separator; A rectangular case accommodating the pole plate assembly therein; A cap plate made of metal to seal the rectangular case; A gasket of an insulating material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ap plate; An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llow formed in the gasket; An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And a bimetal having one e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cas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electrode tab.

상기 바이메탈은 두 종류의 금속들이 상하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층에 위치된 금속의 열팽창률이 하층에 위치된 금속의 열팽창률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bimetal is formed by stacking two kinds of metals up and down, and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metal located in the upper layer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metal located in the lower lay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바이메탈이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FIG. 2.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imetal is operated in FIG. 3.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각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케이스(24)는 각형으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24)의 내부 공간에는 극판 조립체(25)가 수용되어 있다. 2 to 4, in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the case 24 has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25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4.

상기 극판 조립체(25)는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을 세퍼레이터로 상호 격리시키고, 상기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젤리 롤(jelly roll)의 형태로 감아서 형성한 것이다. 상기 극판 조립체(25)의 일측에는 양극판과 음극판 중 하나와 전기적 연결이 된 전극 탭(26)이 형성되어 있다.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25 is formed by isolati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with a separator, and windi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in the form of a jelly roll. One side of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25 is formed with an electrode tab 26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상기 케이스(24)는 캡 조립체와 조립되는데, 캡 조립체는 케이스(24)를 밀폐시키기 위해서 케이스(24)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캡 플레이트(21)를 구비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21)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에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가스켓(22)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스켓(22)의 중앙부에도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공을 통하여 전극 단자(23)가 삽입된다. 따라서, 전극 단자(23)는 케이스(24) 내로 삽입이 이루어진다.The case 24 is assembled with a cap assembly, which has a cap plate 21 that engages with an upper end of the case 24 to seal the case 24. The cap plate 2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gasket 22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through hole. In addition,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gasket 22, and the electrode terminal 23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Thus, the electrode terminal 23 is inserted into the case 24.

상기 캡 플레이트(21)의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구(21a)가 형성되어 있는데, 전해액 주입구(21a)는 캡 플레이트(21)가 케이스(24)와 조립된 이후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전해액의 주입이 끝난 후에는 전해액 주입구(21a)는 도시되지 아니한 플러그에 의해 밀봉된다.An electrolyte inlet 21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plate 21, and the electrolyte inlet 21a is for injecting electrolyte after the cap plate 21 is assembled with the case 24. After the injection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21a is sealed by a plug (not shown).

상기 케이스(24) 내로 삽입된 전극 단자(23)와 상기 극판 조립체(25)의 일측에 형성된 전극 탭(26) 사이에는 바이메탈(30)이 설치된다. The bimetal 30 is installed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23 inserted into the case 24 and the electrode tab 26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25.

즉, 상기 바이메탈(30)에 있어서, 일단부는 자유단으로서 전극 단자(23)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고정단으로서 극판 조립체(25)로부터 돌출된 전극 탭(26)의 상단부와 결합하여 고정된다. That is, in the bimetal 30,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23 as the free end,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tab 26 protruding from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25 as the fixed end. Is fixed.

상기 바이메탈(30)과 전극 탭(26)이 결합되는 부위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특히, 상기 전극 탭(26)의 결합되는 부위는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들을 통하여 리벳(31)으로 바이메탈(30)과 전극 탭(26)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리벳(31)을 이용하는 경우, 결합된 후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 측면에서 우수하며, 결합 방식도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Where the bimetal 30 and the electrode tab 26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holes are forme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26 has a bent por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couple the bimetal 30 and the electrode tab 26 with the rivet 31 through the through holes. In the case of using the rivet 31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tate after the combination is excellent in terms of durabili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upling method is also simple.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이메탈(30)과 전극 탭(26) 사이의 결합 방식은 바이메탈(30)의 작동시 전극 탭(26)에 바이메탈(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bimetal 30 and the electrode tab 26 may be variously supported in the range in which the bimetal 30 may be stably supported and fixed to the electrode tab 26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imetal 30. Modifications of the branches will be possible.                     

한편, 상기 캡 플레이트(21)와 극판 조립체(25)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판상 부재의 절연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절연체들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insulator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of a plate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ap plate 21 and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25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cap plate 21 and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25.

상기 극판 조립체(25)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절연체(27)는 바이메탈(30)과 극판 조립체(25) 사이의 절연을 시키게 된다.The first insulator 27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ole plate assembly 25 insulates the bimetal 30 from the pole plate assembly 25.

상기 바이메탈(30)의 상부면과 접촉되게 설치되는 제2절연체(28)는 바이메탈(30)과 전극 탭(26)이 리벳(31)에 의하여 결합될 때 같이 결합됨으로써, 바이메탈(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insulator 28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imetal 30 is coupled together when the bimetal 30 and the electrode tab 26 are coupled by the rivet 31 to support the bimetal 30. It plays a role.

상기 캡 플레이트(21)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3절연체(29)는 캡 플레이트(21)와 리벳(31)의 캡 플레이트(21) 측으로 향하는 일단부 사이를 절연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하부면에는 상기 리벳(3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절연체(29)의 중앙부에는 단차지게 홈이 형성되어 가스켓(2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스켓(22)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절연체들(27,28,29)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일부 절연체는 필요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 The third insulator 29 positioned below the cap plate 21 is interposed therebetween to insulate between the cap plate 21 and one end of the cap plate 21 toward the cap plate 21 of the rivet 31. 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so that one end of the rivet 31 can be inserted. In addition,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third insulator 29 so that a part of the gasket 22 may be inserted to fix the gasket 22. The insulators 27, 28, and 29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some insulator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한편, 상기 바이메탈(30)은 두 종류의 금속이 상하로 적층됨으로써, 상층 금속(30a) 및 하층 금속(30b)으로 이루어진 이층구조를 가진다. 상층 금속(30a)의 열팽창률은 하층 금속(30b)의 열팽창률보다 크다. 상기 바이메탈(30)의 종류 및 형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100℃ 근방에서 작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imetal 30 has a two-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the upper metal 30a and the lower metal 30b by stacking two kinds of metals up and down.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upper layer metal 30a is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layer metal 30b. The type and shape of the bimetal 30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imetal 30 can operate in the vicinity of 100 ° C.

상기의 구성을 가진 바이메탈(30)에 있어서, 전지의 이상동작으로 전지 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상층 금속(30a)의 열팽창률이 하층 금속(30b)의 열팽창률보다 크므로 상층 금속(30a)의 변형량이 하층 금속(30b)의 변형량보다 크게 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30)은 하측으로 굽어지게 된다. In the bimetal 30 having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temperature in the battery rises due to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upper metal 30a is greater than that of the lower metal 30b, so that the upper metal 30a is formed. The deformation amount of is larger than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lower layer metal 30b.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the bimetal 30 is bent downward.

즉, 전극 단자(23)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있는 바이메탈(30)의 자유단이 하측으로 굽어지게 되어 전극 단자(23)의 하부면으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바이메탈(30)의 고정단은 전극 탭(26)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으므로, 전극 단자(23)와 전극 탭(26)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게 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다. That is, the free end of the bimetal 3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23, is bent downward, so that separa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23 is performed. Since the fixed end of the bimetal 30 is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26,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23 and the electrode tab 26 is cut off, thereby blocking the flow of current.

한편, 전지의 이상요인이 제거되고 나면, 바이메탈(30)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전극 단자(23)와 전극 탭(26)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바이메탈(30)은 전지의 안전장치로서, 전지의 이상동작시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전지의 이상요인이 제거된 후에도 전지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abnormality of the battery is removed, the bimetal 3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 23 and the electrode tab 26. As described above, the bimetal 30 is a safety device for the battery, and ensures safety during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and enables the battery to be used again even after the abnormality factor of the battery is remov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는 전지의 이상동작시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지의 이상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장치로서 바이메탈을 사용함으로써, 바이메탈은 반복사용이 가능하므로, 전지 또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can be prevented by blocking the current during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In addition, by using a bimetal as a safety device, since the bimetal can be used repeatedly, the battery can also be reused.

그리고, 본 발명의 바이메탈을 이용한 안전장치는 각형 이차전지뿐만 아니라, 원통형 이차전지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using the bimet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cylindrical secondary batteries as well as rectangular secondary batterie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Could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3)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감아서 형성된 극판 조립체와;An electrode plate assembly formed by winding an anode plate, an anode plate, and a separator; 상기 극판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각형 케이스와;A rectangular case accommodating the pole plate assembly therein; 상기 각형 케이스를 밀폐하는 금속재의 캡 플레이트와;A cap plate made of metal to seal the rectangular case;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절연재의 가스켓과;A gasket of an insulating material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ap plate; 상기 가스켓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전극 단자와;An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llow formed in the gasket; 상기 극판 조립체의 양극판과 음극판 중 하나와 전기적 연결이 된 전극 탭; 및An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plate assembly; And 일단부는 케이스 내로 삽입된 상기 전극 단자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전극 탭과 결합하는 바이메탈;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이차전지.And one end of the bimetal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cas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ectrode coupled to the electrode tab.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이메탈은 두 종류의 금속들이 상하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층에 위치된 금속의 열팽창률이 하층에 위치된 금속의 열팽창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이차전지. The bimetal is formed by stacking two kinds of metals up and down, wherein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metal located in the upper layer is greater than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metal located in the lower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극 탭과 바이메탈은 리벳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이차전지.The electrode tab and the bimetal is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y rivets.
KR1020010065663A 2001-10-24 2001-10-24 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KR1008221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663A KR100822188B1 (en) 2001-10-24 2001-10-24 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663A KR100822188B1 (en) 2001-10-24 2001-10-24 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594A KR20030033594A (en) 2003-05-01
KR100822188B1 true KR100822188B1 (en) 2008-04-16

Family

ID=2956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663A KR100822188B1 (en) 2001-10-24 2001-10-24 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1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021B1 (en) * 2004-12-10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Locking-typed Battery Pack
KR100786941B1 (en) 2005-05-10 2007-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Protection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0686837B1 (en) * 2005-05-16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KR100930473B1 (en) * 2006-02-13 200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free battery pack using interference fit rivets
WO2007073066A1 (en) 2005-12-22 2007-06-28 Lg Chem, Ltd. No-welding type battery pack using forced-inserting type rivet
KR101089094B1 (en) * 2006-11-13 2011-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ical Connecting Structure Having Uniform Contact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US9263724B2 (en) * 2009-10-12 2016-02-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107017361A (en) * 2017-05-24 2017-08-04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Cover plate of power battery and its electrokinetic ce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566A (en) * 1998-05-08 1999-12-06 손욱 Square secondary battery
JP2007099008A (en) * 2005-09-30 2007-04-19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motorcy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566A (en) * 1998-05-08 1999-12-06 손욱 Square secondary battery
JP2007099008A (en) * 2005-09-30 2007-04-19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motorcyc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특1999-008456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594A (en)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804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thereof
KR101649136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182284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477750B1 (en) Electorde assembly for lithium ion cell and lithium ion cell using the same
KR100938896B1 (en) Battery pack
US20120121945A1 (en)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9990031352A (en) Battery safety device
KR19990027311A (en) 켑 assembly of square battery
KR20130039178A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822188B1 (en) 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KR100477754B1 (en) Battery pack
KR100496302B1 (en)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fety vent
KR100670453B1 (en) Cylindrical Li Secondary Battery
KR100416096B1 (en) Safety valve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such
KR20060103028A (en) Cylindrical li secondary battery
KR100346386B1 (en) Safety apparatus used in secondary battery
KR100420150B1 (en) Prismatic type sealed battery
KR100943191B1 (en) Battery pack
KR20020021888A (en) Safety apparatus used in secondary battery
KR100788558B1 (en) Pack of secondary battery
KR100319110B1 (en) Prismatic type Secondary battery
KR100875111B1 (en) Secondary Battery with Safety Device
KR20060037832A (en) Secondary battery
US20240145871A1 (en) Power storage cell
US20240162537A1 (en) Power storage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