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318B1 -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318B1
KR100820318B1 KR1020070062939A KR20070062939A KR100820318B1 KR 100820318 B1 KR100820318 B1 KR 100820318B1 KR 1020070062939 A KR1020070062939 A KR 1020070062939A KR 20070062939 A KR20070062939 A KR 20070062939A KR 100820318 B1 KR100820318 B1 KR 10082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ehicle
locking
ignition knob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탁
김민석
이경문
고재평
양재우
Original Assignee
양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우 filed Critical 양재우
Priority to KR102007006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3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3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05Arrangement of the steering colum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7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having other than linear, axial or radial motion, e.g. rotatable; Steering column locking us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2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echanical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n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lock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rom malfunctioning by mechanically controlling the locking operation based on an electronic control. An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comprises an ignition knob body(200) formed at a front end of a key cylinder(100) into which a key(28) is inserted. A first locking member(23) mov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axial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to change a key insertion enable state into a key insertion disable state or vice versa. A second locking member(24)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An actuator(25)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A controller(300) drives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Description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 및 그 록킹방법{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재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손잡이 평면도 및 키FOB의 삽입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handle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and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key F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내부 구성도이다.4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king method of a vehicle ignition knob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키실린더 200 : 이그니션 노브 록 바디100: key cylinder 200: ignition knob lock body

300 : 제어부 400 : 키FOB300: control unit 400: key FOB

21,22 : 제1 및 제2 잠금홈 23,24 : 제1 및 제2 잠금부재21,22: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 23,24: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

25 : 액츄에이터 26 : 코일안테나25: actuator 26: coil antenna

27 : 스프링 28 : 자동차키27: spring 28: car key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Ignition Knob Lock) 장치 및 그의 록킹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당한 사용자 이외에는 자동차 키(key)의 삽입 및 회전을 방지하고 스티어링 조작 및 엔진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 및 그 록킹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and a locking method thereof, and particularly, except for a legitimate user, to preven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a car key and to prevent steering operation and engine starting, thereby theft of the vehicle. An ignition knob lock device for a vehicle and a lock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시동을 위해 사용되는 이그니션 록 장치는 엔진을 스타트하는 스타트 스위치(start switch)라고도 불리우며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조향축의 잠금장치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the ignition lock device used to start an engine of a vehicle is also called a start switch for starting the engine, and is mostly integrated with a steering shaft lock to prevent theft of the vehicle.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이그니션 록 장치는 통상적으로 조향휠과 연결된 조향축 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그 전면에 자동차키 구멍을 통해 운전자가 자동차키를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자동차 이그니션 록 장치는 자동차키가 삽입되는 이그니션 록, 상기 자동차키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자동차키의 조작이 가해지는 키실린더, 상기 키실린더의 조작상태에 따라서 잠금작용을 수행하는 이그니션 록바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자동차키의 회전단계에 따라 자동차의 상태가 전환된다. 상기 자동차키의 회전단계는 록(LOCK), 액세서리전원공급(ACC),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 온(ON), 시동스타트(START)의 4단계로 이루어지고, 자동차키는 상기 록(LOCK)의 위치에서만 이그니션 록에 삽입되거나 탈거된다.Such a conventional vehicle ignition lock device is typically installed to be fixed on a steering shaft connected to a steering wheel, and the driver can insert the car key through a car key hole in the front thereof. That is, the vehicle ignition lock device includes an ignition lock to which an automobile key is inserted, a key cylinder to which the operation of the car key is applied by rotating with the car key inserted, and an ignition to perform a locking a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key cylinder. Consists of a rock body, the state of the vehicle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ge of the car key. The rotation of the car key is composed of four steps: lock, accessory power supply (ACC), control device and driving device (ON), and start start (START). Only in position is inserted or removed in the ignition lock.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이그니션 록 장치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와 스티 어링 컬럼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록 장치이다. 이러한 기계식 록 장치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자동차키를 삽입하여 회전단계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엔진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향축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계식 록 장치는 운전자가 반드시 자동차키를 삽입하여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상기 기계식 록 장치를 파손시킨 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엔진의 시동을 걸어 차량을 도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gnition lock device is a mechanical lock device installed near the steering device and the locking device of the car door. Such a mechanical lock device generally allows the driver to start the engine by inserting a car key and oper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ge, and release the steering shaft from being locked. By the way, the conventional mechanical lock device is a hassle that the driver must insert the car key to rotate, and after the mechanical lock device is damaged, it is possible to start the engine through the simple operation to steal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한편, 최근에 출시되는 자동차에는 스마트키(smart key)가 제공된다. 스마트키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출시 과정에서 키실린더와 스티어링 컬럼의 구조를 변경하여 정상적인 인증과정이 아닌 경우 자동차키가 키실린더에 삽입되지 못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키만을 사용하여 도어를 록/언록할 수 있고 키 삽입 등의 행위 없이 인증 결과를 통하여 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mart cars are provided in recently released cars. A car using smart keys is designed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key cylinder and steering column during the launch process so that the car key cannot be inserted into the key cylinder unless it is a normal authentication process. The user can lock / unlock the door using only the smart key and perform the start-up through the authentication result without inserting the key.

그러나, 스마트키가 제공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 물리적인 키를 삽입하여 회전단계에 따라 작동하여 스티어링 컬럼 록을 풀어주고 시동을 걸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물리적인 키를 사용하는 차량에 스마트키를 적용하여 키의 삽입 및 회전동작과 같은 번거로움을 없앨려면 자동차키가 항상 키실린더에 삽입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차키가 키실린더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도난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vehicle that is not provided with a smart key, there is a hassle to release the steering column lock and start the engine by inserting a physical key to oper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ge.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the trouble of inserting and rotating the key by applying the smart key to the vehicle using the physical key, the car key should always be inserted in the key cylinder. However, in this case, the car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cylinder, which may cause theft of the car.

이에 대하여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물리적인 키를 사용하는 차량에 스마트키를 적용하는 경우 자동차키를 항상 자동차 실내에 설치해 두면서 도난 및 보안 문 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에 대한 기술적인 요구가 있어 왔다.In the technical field, there has been a technical demand for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that can solve the theft and security problems while the car key is always installed inside the car when the smart key is applied to the vehicle using the physical key. .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정당한 사용자 이외에는 자동차 키(key)의 삽입 및 회전을 방지하고 스티어링 조작 및 엔진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당한 사용자만이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 및 그 록킹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events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a car key except for a legitimate user, prevents steering operation and engine starting, and at the same time, only a legitimate user starts the engin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ignition knob lock device and a locking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자동차키가 삽입되는 키실린더의 전단에 제공된 이그니션 노브 바디;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키실린더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며 상기 이동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동차키 삽입의 가능 상태 및 불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제 1 잠금부재;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키실린더의 축 방향과 직각으로 이동하며 그 이동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동차키 회전의 가능 상태 및 불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제 2 잠금부재;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제1 및 제2 잠금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 내부로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가 출입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 및 자동차용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인증이 통과되면 상 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각각 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ignition knob bod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key cylinder into which the automobile key is inserted; A first locking member moving in parallel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in the ignition knob body and switching between enabling and disabling the vehicle key insertio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A second locking member moving inside the ignition knob body at a right angle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and switching between enabling and disabling the vehicle key rotatio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are formed to guid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enter and exi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respectively. An actuator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authentication on a key fob for a vehicle, and to drive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respectively, so tha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are switched to a possible state. It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는 상기 키실린더와 분리된 구조이며 상기 키실린더에 삽입된 자동차키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knob body is separated from the key cylinder and is preferably coupled by an automobile key inserted into the key cylind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 내부로 각각 들어가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 내부에서 각각 빠져나오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제1 잠금부재가 상기 제1 잠금홈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는 경우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끝단부가 상기 키실린더의 전단부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enter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respectively, the vehicle key may be inserted into and rot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may be rotated. When exiting from the inside of the groove respectively,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is switched to the impossible state. In this case,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completely exits from the first lock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first locking member contacts the front end of the key cylind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용 키FOB으로 고유 ID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D를 이용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에 제공되는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변속 레버 P(parking) 신호가 온(ON)되는 경우에 상기 키FOB으로 고유 ID를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ID와 미리 저장된 ID를 비교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preferably requests and receives a unique ID from the automobile key FOB, and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key FOB using the received I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requests a unique ID to the key FOB when the driver's door closing signal or the shift lever P (parking) signal provided to the vehicle is ON, and compares the received ID with a previously stored I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코일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 안테나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and a coil antenna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and the control unit preferably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coil antenna.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내부에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을 각각 포함하도록 소정의 솔레노이드형태로 코일이 권선된 제1 및 제2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양 끝단부의 극성을 전환시키는 극성전환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의 극성 전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의 내부로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가 출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ctuator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in which coils are wound in a predetermined solenoid form to include at leas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respectively; A polarity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polarities of both ends of the electromagnet; Including,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to enter and exi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according to the polarity chang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are permanent magnet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FOB으로 키FOB ID의 요청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키FOB으로부터 상기 ID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자동차에 제공되는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키FOB으로 상기 ID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키FOB으로부터 상기 ID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ID를 내부에 미리 저장된 ID와 비교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통과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CU;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자동차키의 회전상태에 따른 자동차 엔진 시동을 위한 전원을 시동모터(Start Motor)로 스위칭하는 시동릴레이; 및 상기 MCU에서 인증이 통과된 이후에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 결과를 상기 MCU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of a key FOB ID to the key FOB; A receiving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ID from the key FOB; When the driver's seat door closing signal or brake pedal signal provided to the vehicle is ON, the ID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key FOB through the transmitter, and the ID is received from the key FOB through the receiver. An MCU which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key FOB by comparing the received ID with an ID previously stored therein,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when the authentication passes; A start relay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for starting a car engine according to a rotation state of the car key to a start motor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And a timer that counts the elapsed time since the authentication passes in the MCU and provides the count result to the MCU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송신부는 LF 통신으로 상기 키FOB으로 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RF 통신으로 상기 키FOB으로부터 ID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er transmits an ID request signal to the key FOB through LF communication, and the receiver receives an ID from the key FOB through RF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제공된 카운트 시 간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자동차 엔진 시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 후,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vehicle key insertion and rotation to a non-available state if power for start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not supplied within a preset time using a count time provided from the timer. And driving the actuator to move the second locking member. At this tim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is impossible, the driver's door closing signal or brake When the pedal signal is turned on,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the vehicle key insertion and rotation can be switched.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은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온(ON)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온(ON)된 경우 자동차용 키FOB으로 고유 ID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키FOB으로부터 고유 ID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수신된 ID를 이용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고, 상기 인증이 통과되지 않으면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ocking method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is at least one of the driver's seat door closing signal or brake pedal signal of the vehicle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is ON; Requesting a unique ID from a key fob of a vehicle when the at least one signal is turned on and receiving a unique ID from the key fob in response to the request; A third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key FOB using the received ID; And driving a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are enabled when the authentication passes, and if the authentication does not pass,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is prevented. And a fourth step of driving a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to be switched to the impossible sta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단계는 LF 통신으로 상기 키FOB으로 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RF 통신으로 상기 키FOB으로부터 ID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is to transmit the ID request signal to the key FOB in LF communication, and to receive the ID from the key FOB in RF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상기 키FOB 인증이 통과되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 경우, 브레이크 페달 신호, 변속레버 P 신호 및 점화스위치 START 신호가 온(ON)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온(ON)되었으면 시동릴레이를 온시켜 상기 점화스위치로부터 START 신호를 엔진시동을 위한 시동모터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fter the fourth step, when the key FOB authentication passes and the vehicle key is inserted and rotated, the brake pedal signal, the shift lever P signal, and the ignition switch START signal are output. Determining whether it is ON; And turning on the start relay if it is turned on, and transmitting a START signal from the ignition switch to the start motor for engine st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이 통과된 후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된 시간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자동차 엔진 시동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 후,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fourth step, counting time elapsed after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is passed; And driving a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are impossible when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not completed within the preset time using the counted time. It may further include. In this case, after driving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the vehicle key insertion and rotation are impossible, the driver's door closing signal or brake pedal signal is turned on. And driving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key insertion and rotation are enabled.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크게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 및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는 키실린더(100)의 전단에 제공되며 제어부(300)는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키실린더(100)는 자동차키(28)가 삽입되고 삽입된 카동차키(28)의 회전상태에 따라 자동차의 전원모드가 전환된다. 즉 자동차키(28)가 키실린더(100)에 삽입된 상태로 록(LOCK), 액세서리전원공급(ACC),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 온(ON), 시동스타트(START)의 4단계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상태에 따라 자동차의 전원모드가 전환된다. 삽입된 자동차키(28)는 스프링(27)의 탄성에 의해 록(LOCK) 단계에서 자동으로 탈거된다. Referring to FIG. 1, an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mposed of an ignition knob body 200 and a controller 300. In more detail, the ignition knob body 20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key cylinder 100 and the controller 300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knob body 200 by wire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In the key cylinder 100, the car key 28 is inserted and the power mode of the car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inserted car donkey 28. In other words, the car key 28 is inserted into the key cylinder 100 to rotate in four stages of LOCK, accessory power supply (ACC), control device and driving device (ON), and start start (START). Then, the power mode of the vehicle is switched according to this rotation state. The inserted car key 28 is automatically removed in the lock step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27.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며 자동차의 조향휠과 연결된 조향축 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는 키실린더(100)의 전단에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실린더(100)와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와 키실린더(100)는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자동차키(28)의 삽입에 의해 결합된다. The ignition knob body 20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installed to be fixed on a steering shaft connected to a steering wheel of an automobile. In particular, the ignition knob body 20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key cylinder 100, and preferably has a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key cylinder 100. Therefore, the ignition knob body 200 and the key cylinder 100 are coupled by the insertion of the car key 28 having a physical structure.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의 내부에 상기 키실린더(100)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며 그 이동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동차키(28) 삽입의 가능 상태 및 불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제1 잠금부재(23) 및 상기 키실린더(100)의 축 방향과 수직으로 이동하며 그 이동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동차키(28) 회전의 가능 상태 및 불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제2 잠금부재(24)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는 각각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A first locking member which moves i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100 in the ignition knob body 200 and switches the possible state and the impossible state of the vehicle key 28 insertio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23) and a second locking member (24) which moves perpendicularly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100) and which switches between possible and impossible states of the rotation of the car key (28) in accordance with the moved position. . One or mor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의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제1 및 제2 잠금홈(21,22)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21,22)은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의 이동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25)의 일부에 형성된다. 즉, 액츄에이터(25)의 일부분에 상기 키실린더(100)의 축 방향 및 축 방향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 잠금홈(2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잠금홈(21)은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제2 잠금홈(22)은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제1 잠금홈(21)의 내부로 제1 잠금부재(23)가 이동되고, 상기 제2 잠금홈(22)의 내부로 제2 잠금부재(24)가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잠금부재(23)가 이동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키실린더(100)에 자동차키(28)의 삽입 가능상태 및 불가능상태가 결정되고, 상기 제2 잠 금부재(24)가 이동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동차키(28)의 회전 가능상태 및 불가능상태가 결정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잠금부재(23)가 상기 제1 잠금홈(21)에 들어가면 상기 제1 잠금부재(23)와 키실린더(100) 간에 간격이 발생되어 그 간격만큼 자동차키(28)가 삽입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제1 잠금부재(23)가 상기 제1 잠금홈(21)에서 빠져나오면 상기 제1 잠금부재(23)의 끝단부가 상기 키실린더(100)의 전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자동차키(28)는 상기 키실린더(100)에 삽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21 and 22 are provided inside the ignition knob body 20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21 and 22 are formed in a part of the actuator 25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That is,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21 and 22 are formed in a portion of the actuator 25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100, respectively, and the first locking groove 21 is provided.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gnition knob body 200, the second locking groove 22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gnition knob body 200. The first locking member 23 is move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21,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24 is mov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22. Here, the insertable state and the impossible state of the car key 28 are determined in the key cylinder 100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locking member 23 is moved,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24 is moved. The rotatable state and the impossible state of the car key 28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more detail,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23 enters the first locking groove 21,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locking member 23 and the key cylinder 100 and the car key is separated by the interval. 28 may be inserted. 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23 comes out of the first locking groove 21, an end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member 23 is a front end of the key cylinder 100. In contact with the vehicle key 28 is impossible to be inserted into the key cylinder (100).

또한, 상기 제2 잠금부재(24)가 상기 제2 잠금홈(22)에 들어가면 상기 제2 잠금부재(24)가 상기 제2 잠금홈(22)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제2 잠금홈(22)과 일체형으로 된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와 연결된 자동차키(28)가 회전이 되지 않고, 반대로 상기 제2 잠금부재(24)가 상기 제2 잠금홈(22)에서 빠져나오면 상기 자동차키(28)는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locking member 24 enters the second locking groove 22, the second locking member 24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groove 22, so that the second locking groove 22 and When the car key 28 connected to the integral ignition knob body 200 is not rotated, 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locking member 24 comes out of the second locking groove 22, the car key 28 is Rotation is possible.

이와 같이 상기 제1 잠금부재(23)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동차키(28) 삽입의 가능상태 및 불가능상태가 전환되고, 상기 제2 잠금부재(24)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동차키(28) 회전의 가능상태 및 불가능상태가 전환된다. In this way, the possible state and the impossible state of inserting the car key 28 are switched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first locking member 23, and the car key 28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second locking member 24. ) The possible and impossible states of rotation are switched.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의 이동은 액츄에이터(25)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5)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의 이동을 제어한다.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is effected by the actuator 25. The actuator 25 receives a driving signal from the controller 30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차 사용자(운전자)가 가지고 있는 키FOB(40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고유 ID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키FOB 의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자동차키(28)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5)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키FOB(400)에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의 ID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ID에는 자동차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키FOB(400)은 내부에 배터리(미도시)를 내장하고 있어서 자동차의 근처 또는 실내에 접근하면 상기 제어부(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실내에 설치된 안테나를 통해 상기 키FOB(400)과 무선통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의 운전석 문닫힘 상태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운전석 문닫힘 감시 스위치 및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미도시)와 각각 연결되어 있어, 운전자가 운전석 문닫힘 상태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00)가 기동하여 키FOB(400)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키FOB 인증 후에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이상 급출발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과 상기 제어부(300)와 키FOB(400)의 통신을 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unique ID information for the key FOB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key FOB 400 owned by an automobile user (driver) and uses the received key FOB to generate the key ID. Perform authentication on. At this time, when the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is passed, the actuator 25 of the actuator 25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so that the vehicle key 28 can be inserted and rotated. Control the drive. The key FOB 400 preferably has an internal ID embedded therein, and the ID includes legitimate user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 addition, the key FOB 400 has a built-in battery (not shown) so that when approaching a vehicle near or indoors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300. That is, the controller 300 is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key FOB 400 through an antenna installed indoor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driver's door closed monitoring switch and the brake pedal switch (not shown), respectively, so as to detect whether the driver's seat door closed state and the brake pedal is pressed, so that the driver's driver's door closed state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00 may be started while the brake pedal is press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key FOB 400,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may be unlocked after the key FOB authenticatio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abnormal starting and departure of the vehicle and a function of initi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key FOB 400.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에 제공되는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변속 레버 P(parking) 신호가 온(ON)되는 경우에 상기 키FOB(400)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키FOB으로 키FOB의 고유 ID를 요청하고 상기 키FOB으로부터 고유 ID를 수신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is a key to the key FOB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key FOB 400 when the driver's seat door closing signal or the shift lever P (parking) signal is preferably provided (ON) to the vehicle Request a unique ID of the FOB and receive a unique ID from the key FOB.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이 통과 된 이후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도 3의 35 참조)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35)를 이용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이 통과된 이후부터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자동차의 엔진 시동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5)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300 includes a timer (see 35 in FIG. 3) that counts the time that has elapsed since the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is passed, and using the timer 35. If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not comple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is passe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are moved so that the vehicle key is not inserted and rotated. In order to drive the actuator 25 can be driven.

본 발명에 따른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코일안테나(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코일안테나(26)로 구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코일안테나(26)는 본 발명에 따른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와 키FOB(400)의 배터리 부족시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상기 코일안테나(26)는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battery and a coil antenna (26) for powering the battery. The controller 300 may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coil antenna 26. The coil antenna 26 is a device used when the battery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and the key FOB 4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antenna 26 may also be used for the immobilizer function of the motor vehicle.

상기 이그니션 록 바디(200)의 전단에는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헤드(11)가 제공되고, 상기 헤드(11)에는 키FOB(400)이 결합되는 키FOB 도킹홀(12)이 마련되고 상기 키FOB 도킹홀(12)의 내부에는 상기 키FOB(400)의 결합을 감지하는 단자(13)가 마련된다.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FOB(400)을 상기 키FOB 도킹홀(12)에 결합하여야 한다. 상기 키FOB(400)을 키FOB 도킹홀(12)에 결합하면 상기 단자(13)를 통해 제어부(300)로 결합신호가 입력되어 이모빌라이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The head 11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ignition lock body 200, and the head 11 is provided with a key FOB docking hole 12 to which a key FOB 400 is coupled, and the key FOB The docking hole 12 is provided with a terminal 13 for sensing the coupling of the key FOB 400. In order to implement an immobilizer function of the vehicle, the key FOB 400 must be coupled to the key FOB docking hole 12. When the key FOB 400 is coupled to the key FOB docking hole 12, a combined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300 through the terminal 13 to perform an immobilizer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재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25)는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의 이동을 제어한다. 도 2에는 하나의 잠금홀(21)이 형성된 액츄에이터(25)의 일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5)는 내부에 적어도 상기 잠금홀(21)을 포함하도록 소정의 솔레노이드 형태로 코일(14)이 권선되어 이루어진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양단부에서의 극성을 전환시키는 극성전환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면 자화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자석으로, 가장 간단한 형태의 전자석은 원통 모양의 철심에 코일을 감아서 만든 솔레노이드이다. 원통형으로 감은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형성되며, 그 속에 철심을 넣으면 더 강한 자기장을 얻는다.Referring to FIG. 2, as described above, the actuator 25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2 shows only a part of the actuator 25 in which one locking hole 21 is formed. The actuator 25 has an electromagnet formed by winding the coil 14 in a predetermined solenoid form to include at least the locking hole 21 therein, and a polarity switching unit 15 for switching the polarities at both ends of the electromagne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 general, an electromagnet is a magnet that magnetizes when an electric current flow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non-magnetized state when the electric current is interrupted. The simplest electromagnet is a solenoid formed by winding a coil around a cylindrical iron core. A magnetic field is formed when current flows through a coil wound in a cylinder, and a stronger magnetic field is obtained by placing an iron core in it.

상기 전자석은 권선된 코일(14)에 제공된 전류에 의해 양 끝단이 각각 N극 또는 S극의 자성을 갖는다. 상기 극성은 코일(14)의 권선 방향 및 코일(14)에 인가된 전류의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극성전환부(15)는 코일(14)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 양단부의 극성을 전환시킨다.The electromagnet has magnetism of N pole or S pole, respectively, at both ends by the current provided to the wound coil 14. The polarity is determined by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14 and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4. Therefore, the polarity switching unit 15 changes the polarity of both ends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잠금부재(23)는 바람직하게는 영구자석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네오디움(Neodyuium)이라는 희토류(Rare Earth) 원소와 산화철, 보론을 주성분으로 한 성형 소결품으로 자기력이 매우 강력한 영구자석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locking member 23 is preferably a permanent magnet. More preferably, a molded sintered product mainly composed of a rare earth element called neodymium, iron oxide, and boron is a permanent magnet having a very strong magnetic force.

상기 전자석 양단부의 극성전환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23)는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잠금홀(21) 내부로 출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23)가 상기 잠금홀(21) 내부로 들어가면 상기 액츄에이터(25)와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와 키실린더(100)간에 일정한 간격(d)이 생겨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는 키실린더(1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자동차키(28)가 상 기 간격(d)만큼 더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잠금부재(23)가 상기 잠금홀(21)에서 빠져나와 상기 키실린더(100)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와 키실린더(100) 간에는 간격(d)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200)는 키실린더(1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자동차키(28)는 삽입이 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23)가 상기 잠금홀(21)에서 빠져나와 상기 키실린더(100)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잠금홀(21) 내부에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전자석에서 발생된 강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를 키실린더(100) 방향으로 밀어내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잠금홀(21)과 잠금부재(23) 간에는 더 이상 거리가 좁혀지지 않는다. As the polarity of both ends of the electromagnet is switched, the locking member 23 moves left and right to enter and exit the locking hole 21. In this case, when the locking member 23 enters the lock hole 21, a predetermined distance d is formed between the ignition knob body 200 and the key cylinder 100, which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actuator 25, and thus the ignition knob. The body 200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100 so that the car key 28 may be further inserted by the interval d. On the contrary, when the locking member 23 exits the locking hole 21 and contacts the key cylinder 100, the gap d does not occur between the ignition knob body 200 and the key cylinder 100. The ignition knob body 200 may not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100. In this case, the car key 28 is not inserted. He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member 23 exits the locking hole 21 and contacts the key cylinder 100, a space is generated inside the locking hole 21, but a strong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 Since the locking member 23 is pushed toward the key cylinder 100 by the magnetic field, the distance between the locking hole 21 and the locking member 23 is no longer narrowed.

이러한 동작원리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가 상기 잠금홀(21) 내부로/부터 출입을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잠금부재(23)의 이동위치에 따라 자동차키(28)의 삽입 가능상태 및 불가능상태가 전환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원리는 제2잠금홀(22) 및 제2잠금부재(24)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러한 제2잠금부재(24)의 이동위치에 따라 자동차키(28)의 회전 가능상태 및 불가능상태가 전환되는 것이다.Due to this operation principle, the locking member 23 repeats entry and exit into and out of the locking hole 21, and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23, the insertable state and impossible of the car key 28 are impossible. The state is switched. The operation principle is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locking hole 22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24, and the rotatable state and the impossible state of the car key 28 depend o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second locking member 24. Will be conver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손잡이 평면도 및 키FOB의 삽입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handle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and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key F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는 차량의 대쉬보드 내측으로 시동노브(201)가 구비된 키실린더(100)가 삽입된 후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시동노브(201)의 주변에는 이를 감싸는 그로메트(202)가 마련되고, 상기 그로메 트(202)는 대쉬보드에 고정된 베젤(203)에 장착된다. 이를 상기 키실린더(100)에 마련된 시동노브(201)를 회전시키면 상기 시동노브(201)의 작동에 따라 시동노브(201)가 그로메트(202)의 일정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차량은 상기 시동노브(201)가 위치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능을 통해 차량에는 시동이 걸리거나 전원이 인가되는 등의 작동이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after the key cylinder 100 having the starting knob 201 is inserted into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That is, the grommets 202 are provided around the starting knob 201 and the grommets 202 are mounted on the bezel 203 fixed to the dashboard. Rotating the start knob 201 provided in the key cylinder 100 causes the start knob 201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grommet 20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art knob 201 and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start knob. 201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For example, with each function, an operation such as starting a vehicle or applying power is performed.

또한, 키FOB(400)은 키 FOB 도킹홀(12)에 결합되며, 이로써 상기 키FOB의 결합을 감지하는 단자(13)를 통해 제어부(300)로 상기 키FOB의 결합신호를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key FOB 400 is coupled to the key FOB docking hole 12, thereby transmitting the combined signal of the key FOB to the control unit 300 through a terminal 13 for detecting the combination of the key FOB.

도 4는 본 발명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내부 구성도이다.4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제어부(300)는 외부로부터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한 조건에 따라서 자동차의 엔진 시동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고, 키FOB(400)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이 통과되면 자동차키(28)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 unit 300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plurality of signals from the outside, performs a procedure for start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performs the operation with the key FOB 400. Authentication is performed for the key FOB through communication, and when the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passes, the vehicle key 28 is controlled to be inserted.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제어부(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300)는 무선송신부(301), 무선수신부(302),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Micro Control Unit)(303), 시동릴레이(304) 및 코일안테나 구동부(3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Looking at the control unit 300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control unit 300 is a wireless transmitter 301, a wireless receiver 302, a micro control unit (MCU: Micro Control Unit) 303, a start relay 304, and a coil antenna driver 305.

상기 무선송,수신부(301,302)는 키FOB(4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송신부(301)는 상기 키FOB(400)로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키FOB(400)으로 고유 ID를 요청한다. 상기 무선수신부(302)는 상기 키FOB(400)으로부터 상기 ID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송신부(301)는 LF(Low Frequency) 통신으로 상기 키FOB(400)으로 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수신부(302)는 RF(Radio Frequency) 통신으로 상기 키FOB(400)으로부터 ID를 수신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s 301 and 302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key FOB 400. 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transmitter 301 transmits a radio signal to the key FOB 400 and requests a unique ID from the key FOB 400. The radio receiver 302 receives the ID from the key FOB 400. Preferably, the wireless transmitter 301 transmits an ID request signal to the key FOB 400 through low frequency (LF)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receiver 302 transmits the key FOB 400 through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Receive ID from

상기 MCU(303)는 운전석 문닫힘 신호(S1)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S2) 중 어느 하나가 온(ON)되면 제1제어신호를 상기 무선송신부(301)로 출력하는 OR 논리연산부(31)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신호(S2), 변속레버 P(parking) 신호(S3) 및 점화스위치(미도시) START 신호(S4)가 동시에 온(ON)되면 제2제어신호를 시동릴레이(304)로 출력하는 AND 논리연산부(32)와, 상기 무선수신부(302)를 통해 수신된 ID를 이용하여 상기 키FOB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33)와, 상기 인증부(33)에서의 인증 통과 이후에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CU 303 includes an OR logic operation unit 31 for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tter 301 when either the driver's door closing signal S1 or the brake pedal signal S2 is turned on. When the brake pedal signal S2, the shift lever P (parking) signal S3, and the ignition switch (not shown) START signal S4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a second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start relay 304. AND logic operation unit 32, an authentication unit 33 which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by using the ID received through the radio receiver 302, and after the authentication passes in the authentication unit 33 And a timer 35 for counting elapsed time.

상기 무선송신부(301)는 상기 OR 논리연산부(31)로부터 제1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내부에 구비된 송신안테나 구동부(미도시)를 구동시켜 상기 키FOB(400)으로 고유 ID 요청을 위한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무선송신부(301)는 운전석 문닫힘 신호(S1)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S2)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상기 키FOB(400)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ID를 요청하게 된다.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R logic operation unit 31, the wireless transmitter 301 drives a transmission antenna driver (not shown) provided therein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or requesting a unique ID to the key FOB 400. Do this. In this way, the wireless transmitter 301 requests ID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key FOB 400 only when one of the driver's door closing signal S1 or the brake pedal signal S2 is input. .

상기 인증부(33)는 상기 무선수신부(302)를 통해 수신된 상기 키FOB의 고유 ID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ID와 비교한 후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The authentication unit 33 compares the ID stored in advance by using the unique ID of the key FOB received through the radio receiver 302 and then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key FOB.

상기 타이머(35)는 상기 인증부(33)에서의 키FOB 인증이 완료된 이후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러한 경과시간의 카운트는 상기 키FOB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일정한 시간동안 자동차 엔진 시동 완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5)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키FOB 인증이 통과된 경우라도 일정한 시간동안 엔진 시동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를 이동시켜 자동차키(28)의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timer 35 counts the time that has elapsed since the key FOB authentication in the authentication unit 33 is completed. The count of the elapsed time is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when the vehicle engine start completion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key FOB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re switched to the impossible state. It is for driving the actuator 25 to move the 24. Even if the key fob authentication is passed as described above, if the engine is not star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are moved again to preven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28. This allows for better security by making the transition.

이때, 상기 MCU(303)는 상기와 같이 키FOB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이후부터 일정한 시간 내에 자동차 엔진 시동 완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5)를 구동시킨 후, 재차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5)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MCU 303 locks the first and second locks such that the vehicle engine starting completion signal is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ince the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vehicle key is not inserted and rotated. After driving the actuator 25 to move the member, when the driver's door closing signal or the brake pedal signal is turned on again, the first and second locks are switched to enable the vehicle key insertion and rotation.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actuator 25 to move the member.

또한, 상기 MCU(303)는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후, 자동차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S2),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P 신호(S3) 및 점화스위치 START 신호(S4)가 모두 온(ON)된 경우 시동릴레이(304)를 온시킨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신호(S2)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경우에 내부의 신호 처리에 의해 온(ON) 신호가 출력되고, 밟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의 신호처리에 의해 오프(OFF)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가 P 포지션에 있을 경우에 변속레버 P 신호(S3)는 온(ON) 신호가 출력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변속 레버의 P(Parking)는 주차할 때나 시동할 때의 위치이며, R(Reverse)은 후진시 사용하며, N(Neutral)은 중립 위치로 시동을 걸 때나 주행 중 장기간 정차해 있을 때 사용하며, D(Drive)는 보통 주행할 때 사용한다. 또한 오토매틱 차량의 엔진을 시동할 때 변속 레버를 P에서 R-N-D로 놓는바, MCU(303)에서 최우선 상태인 P 상태를 점검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변속 레버가 자동차가 주차상태를 나타내는 P 포지션에 있을 경우에 변속레버 P 신호(S3)가 온(ON)되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the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is completed, the MCU 303 has a brake pedal signal S2, a shift lever P signal S3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nd an ignition switch START signal S4. When all are ON, the start relay 304 is turned on. Here, the brake pedal signal S2 outputs an ON signal by internal signal processing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and outputs an OFF signal by internal signal processing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do. In addition, when the shift lever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is in the P position, the shift lever P signal S3 outputs an ON signal. In general, P (Parking) of the shift lever is a position when parking or starting, R (Reverse) is used when reversing, N (Neutral) when starting to the neutral position or when stopped for a long time while driving D (Drive) is usually used when driving. In addition, when the engine of the automatic vehicle is started, the shift lever is set from P to R-N-D, and the MCU 303 checks the state of P as the highest priority. Thus, when the shift lever is in the P position indicating the parking state, the shift lever P signal S3 is turned on.

상기 시동릴레이(304)는 바람직하게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초기에 스위치가 열려 있다가 상기 MCU(233)로부터 제2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치를 닫아서 점화스위치를 통해 공급된 전류를 엔진 시동을 위한 시동모터(Start Motor)로 공급하도록 한다. The start relay 304 may be preferably configured as a switch. When the switch is initially opened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CU 233, the switch is closed to supply the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ignition switch to the start motor for starting the engine.

또한, 상기 MCU(303)는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5)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25)는 자동차키(28)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의 이동을 제어한다. 만약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이 통과되지 않으면, 상기 액츄에이터(25)는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면 인증이 통과되지 못하여 상기 자동차키(28)의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차량의 도난이나 보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MCU 303 drives the actuator 25 when the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passes. At this time, the actuator 25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so that the vehicle key 28 can be inserted and rotated. If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is not passed, the actuator 25 is not driven. Therefore, if the user is not a legitimate user, the authentication is not passed, so tha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28 is impossibl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theft or security of the vehicle.

한편, 키FOB(400)의 접촉신호가 상기 제어부(300)로 입력되면 코일안테나 구 동부(305)를 구동하기 위하여 스위치(34)를 온시킨다. 이로써 상기 코일안테나 구동부(305)에서는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에 구비된 코일안테나(26)에 전압을 유기시켜 키FOB(400) 내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ct signal of the key FOB 400 is input to the controller 300, the switch 34 is turned on to drive the coil antenna bulb 305. As a result, the coil antenna driver 305 induces a voltage to the coil antenna 26 provided in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so as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in the key FOB 4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에 적용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king method of a vehicle ignition knob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thod of the vehicle ignition knob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제어부(300)에서 자동차의 운전석 문닫힘 신호(S1)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S2)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0). 상기 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온(ON)되었으면 키FOB(400)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키FOB(400)으로 고유 ID를 요청하고(S402) 상기 키FOB(400)으로부터 ID를 수신한다(S404).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신된 ID와 내부에 미리 저장된 ID를 비교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406).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300 of the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of the driver's seat closing signal S1 and the brake pedal signal S2 of the vehicle is turned on. (S400). If at least one of the two signals is O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key FOB 400 is performed to request a unique ID from the key FOB 400 (S402), and the ID is received from the key FOB 400. It receives (S404). Subsequently, the controller 300 compares the received ID with a previously stored ID and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key FOB (S406).

상기 키FOB의 인증이 통과되면(S408) 액츄에이터(25)를 구동하고(S410), 상기 액츄에이터(25)의 구동에 따라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가 이동함으로써 자동차키(28)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S41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에서의 록킹방법은 키FOB 인증이 통과된 경우에만 자동차키(28)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정된다.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passes (S408), the actuator 25 is driven (S410),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ar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actuator 25 so that the car key 28 ) Is switched to a state capable of insertion and rotation (S412).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method in the vehicle ignition knob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such tha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28 are possible only when the key FOB authentication is passed.

이때 상기 키FOB의 인증이 통과되면 타이머(35)가 동작하여 상기 인증이 통 과된 이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414),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브레이크 페달 신호(S2), 변속레버 P 신호(S3) 및 점화스위치 START 신호(S4)가 모두 온(ON)되었는지 판단하여(S416), 상기 세 신호(S2,S3,S4)가 모두 온(ON)되었으면 시동릴레이(304)가 온(ON)되어(S418), 상기 점화스위치로부터 엔진 시동을 위한 START 신호(S4)가 엔진시동을 위한 시동모터로 전송된다(S420). 상기 시동모터는 상기 START 신호(S4)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점화스위치 START 신호(S4)는 자동차키(28)의 회전에 따라 록(LOCK), 액세서리전원공급(ACC),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 온(ON), 시동스타트(START)의 4단계 중 마지막 단계로서 엔진 시동을 위한 단계이다. In this case,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passes, the timer 35 operates to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authentication passes (S414), before the set time elapses, the brake pedal signal S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hift lever P signal S3 and the ignition switch START signal S4 are both turned on (S416), and if the three signals S2, S3, and S4 are all turned on, the start relay 304 When it is turned on (S418), the START signal (S4) for starting the engine from the ignition switch is transmitted to the starting motor for starting the engine (S420). The starting motor starts the engi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TART signal S4. Here, the ignition switch START signal (S4) is the four steps of the lock (LOCK), accessory power supply (ACC), control device and drive ON (ON), start start (STAR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r key 28 The final step is to start the engine.

만약,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자동차 엔진 시동 완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즉 자동차 엔진 시동 완료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액츄에이터(25)를 구동시켜(S422),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23,24)를 이동시킨다(S424). If the automobile engine start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preset time within the preset time, that is, if the preset time elapses before the automobile engine start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S422), the actuator 25 is drive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23 and 24 are moved to switch the vehicle key insertion and rotation to an impossible state (S42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에서는 우선적으로 키FOB 인증이 통과된 후에 자동차키(28)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해당 키FOB을 가지고 있는 정당한 사용자만이 자동차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ocking method of the automotiv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legitimate user having the corresponding key FOB can be inserted and rotated after the key FOB authentication has been passed. Allow the car engine to start.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re merely exemplary of the invention, which are u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된 스티어링 컬럼과 키실린더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적은 비용으로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at a low cost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and the key cylin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를 이용하면 정당한 사용자만이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자동차 보안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vehicle ignition knob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legitimate user can insert and rotate a car key, thereby increasing car security.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제어를 바탕으로 자동차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을 기구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오작동으로 인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vehicle ignition knob lock device based on the electronic control,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risk of malfunction.

Claims (18)

자동차키가 삽입되는 키실린더의 전단에 제공된 이그니션 노브 바디;An ignition knob bod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key cylinder into which the automobile key is inserted;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키실린더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며 상기 이동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동차키 삽입의 가능 상태 및 불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제 1 잠금부재;A first locking member moving in parallel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in the ignition knob body and switching between enabling and disabling the vehicle key insertio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키실린더의 축 방향과 직각으로 이동하며 그 이동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동차키 회전의 가능 상태 및 불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제 2 잠금부재;A second locking member moving inside the ignition knob body at a right angle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key cylinder and switching between enabling and disabling the vehicle key rotatio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제1 및 제2 잠금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 내부로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가 출입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 및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are formed to guid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enter and exi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respectively. An actuator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And 자동차용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각각 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A control unit which performs authentication on a key fob for a vehicle and drives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respectively, so tha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are switched to enable states, respectively, when the authentication passes; Ignition knob lock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그니션 노브 바디는 상기 키실린더와 분리된 구조이며 상기 키실린더에 삽입된 자동차키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And the ignition knob body is separated from the key cylinder and is coupled by an automobile key inserted into the key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 내부로 각각 들어가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 내부에서 각각 빠져나오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When enter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 groove, respectively,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is switched to the state, and when exit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 groove, respectively,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is impossible. Ignition knob lock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 잠금부재가 상기 제1 잠금홈에서 빠져나오는 경우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끝단부가 상기 키실린더의 전단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first lock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key cylinder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is released from the first lock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자동차용 키FOB으로 고유 ID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D를 이용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The vehicle's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a unique ID from the automotive key FOB, and authenticating the key FOB using the received I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자동차에 제공되는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변속 레버 P(parking) 신 호가 온(ON)되는 경우에 상기 키FOB으로 고유 ID를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ID와 미리 저장된 ID를 비교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When a driver's seat door closing signal or shift lever P (parking) signal provided to the vehicle is turned on, a unique ID is requested to the key FOB, and the received ID is compared with a previously stored ID to the key FOB. Ignition knob lock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코일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 안테나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further comprises a battery and a coil antenna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the control unit ignition knob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pplying a drive signal to the coil anten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ctuator, 내부에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을 각각 포함하도록 소정의 솔레노이드형태로 코일이 권선된 제1 및 제2 전자석;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having coils wound in a predetermined solenoid shape to include at leas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therein; 상기 전자석의 양 끝단부의 극성을 전환시키는 극성전환부; 를 포함하여,A polarity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polarities of both ends of the electromagnet; Including,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의 극성 전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잠금홈의 내부로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가 출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to enter and exi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according to the polarity chang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 is a permanent magne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키FOB으로 키FOB ID의 요청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A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of a key FOB ID to the key FOB; 상기 키FOB으로부터 상기 ID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A receiving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ID from the key FOB; 상기 자동차에 제공되는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키FOB으로 상기 ID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키FOB으로부터 상기 ID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ID를 내부에 미리 저장된 ID와 비교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통과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CU; When the driver's seat door closing signal or brake pedal signal provided to the vehicle is ON, the ID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key FOB through the transmitter, and the ID is received from the key FOB through the receiver. An MCU which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key FOB by comparing the received ID with an ID previously stored therein,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when the authentication passes;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자동차키의 회전상태에 따른 자동차 엔진 시동을 위한 전원을 시동모터(Start Motor)로 스위칭하는 시동릴레이; 및A start relay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for starting a car engine according to a rotation state of the car key to a start motor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And 상기 MCU에서 인증이 통과된 이후에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 결과를 상기 MCU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타이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A timer that counts the elapsed time since authentication passes in the MCU and provides the count result to the MCU in real time; Ignition knob lock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송신부는 LF 통신으로 상기 키FOB으로 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RF 통신으로 상기 키FOB으로부터 ID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And th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n ID request signal to the key FOB through LF communication, and the receiving unit receives an ID from the key FOB through RF communic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타이머로부터 제공된 카운트 시간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자동차 엔진 시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The actuator is us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the vehicle key insertion and rotation become impossible when the power for starting the vehicle engine is not supplied within a preset time using the count time provided from the timer. Ignition knob lock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 후,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After driving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the car key insertion and rotation are made impossible, the car key is inserted when the driver's door closing signal or the brake pedal signal is ON. And driving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rotation is enabled.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에 있어서,In the locking method of the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of the motor vehicle in any one of Claims 1-13, 상기 자동차의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온(ON)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driver's seat door closing signal and the brake pedal signal of the vehicle is 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온(ON)된 경우 자동차용 키FOB으로 고유 ID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키FOB으로부터 고유 ID를 수신하는 제2단계;Requesting a unique ID from a key fob of a vehicle when the at least one signal is turned on and receiving a unique ID from the key fob in response to the request; 상기 수신된 ID를 이용하여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제3단계; 및A third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key FOB using the received ID; And 상기 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고, 상기 인증이 통과되지 않으면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If the authentication passes, driving the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 so tha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is enabled, and if the authentication does not pass,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is impossible. A fourth step of driving a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to be switched to the state; The locking method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step, LF 통신으로 상기 키FOB으로 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RF 통신으로 상기 키FOB으로부터 ID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A method of locking an ignition knob lock of an automobile,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n ID request signal to the key FOB through LF communication and receiving an ID from the key FOB through RF communic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에,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fter the fourth step, 상기 키FOB 인증이 통과되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 경우, 브레이크 페달 신호, 변속레버 P 신호 및 점화스위치 START 신호가 온(ON)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brake pedal signal, the shift lever P signal, and the ignition switch START signal are turned on when the key FOB authentication passes and the vehicle key is inserted and rotated; And 온(ON)되었으면 시동릴레이를 온시켜 상기 점화스위치로부터 START 신호를 엔진시동을 위한 시동모터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If it is ON, turning on a start relay and transmitting a START signal from the ignition switch to a start motor for engine start; The locking method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에,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fter the fourth step, 상기 키FOB에 대한 인증이 통과된 후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및Counting time elapsed since authentication for the key FOB has passed; And 상기 카운트된 시간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자동차 엔진 시동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 및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Driving a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the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ar key are impossible when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not completed within the preset time using the counted time; The locking method of the ignition knob lock device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불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 후, 운전석 문닫힘 신호 또는 브레이크 페달 신호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키 삽입 및 회전이 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노브 록 장치의 록킹방법.After driving the actuator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the car key insertion and rotation are made impossible, the car key is inserted when the driver's door closing signal or the brake pedal signal is ON. And driving said actuator for moving said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so that rotation is switched to an enabled state.
KR1020070062939A 2007-06-26 2007-06-26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203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39A KR100820318B1 (en) 2007-06-26 2007-06-26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39A KR100820318B1 (en) 2007-06-26 2007-06-26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318B1 true KR100820318B1 (en) 2008-04-08

Family

ID=3953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939A KR100820318B1 (en) 2007-06-26 2007-06-26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3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982A (en)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아모센스 Sealing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state of the same
CN111767528A (en) * 2019-03-28 2020-10-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authentication device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074A (en) * 1995-04-28 1996-11-19 Alpha Corp Lock protecting device
JPH09317268A (en) * 1996-05-27 1997-12-09 Suzuki Motor Corp Key structure for ignition switch
JP2001323698A (en) 2000-05-18 2001-11-22 Nissan Motor Co Ltd Electronic key device for vehicle
JP2002242501A (en) 2001-02-16 2002-08-28 Denso Corp Radio locking-unlocking apparatus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074A (en) * 1995-04-28 1996-11-19 Alpha Corp Lock protecting device
JPH09317268A (en) * 1996-05-27 1997-12-09 Suzuki Motor Corp Key structure for ignition switch
JP2001323698A (en) 2000-05-18 2001-11-22 Nissan Motor Co Ltd Electronic key device for vehicle
JP2002242501A (en) 2001-02-16 2002-08-28 Denso Corp Radio locking-unlocking apparatus for automobi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982A (en)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아모센스 Sealing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state of the same
KR102519906B1 (en) 2018-11-09 2023-04-10 주식회사 아모센스 Sealing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state of the same
CN111767528A (en) * 2019-03-28 2020-10-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authentication device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859B1 (en) Structure of automobile electronic key for security
KR1009163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ting an Engine of Automobile using Start-Button
JP55708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hicle
US20030231100A1 (en) Vehicular burglarproof device
US20100090817A1 (en)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CN101113647A (en) Key system
JP20083081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ting automobile engine
JP5599759B2 (en) Start control device
KR100921048B1 (en) Shift Lever Locking Apparatus of Vehicle with Smart Key System
JP3706934B2 (en) Vehicle locking device with enhanced anti-theft function
US6380642B1 (en) Method for starting a motor vehicle and ignition-starter device
US20130033361A1 (en) Automatic detection of valet mode for smart entry systems
KR100820318B1 (en)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506008A (en) Electric steering lock,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201102084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ting automobile using start-button
KR100856809B1 (en) Rf control type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050943A (en) Vehicular wireless control device
WO2022085323A1 (en) Door unlocking device
KR100856580B1 (en) Electronic-control type ignition knob lock apparatus for car and locking method thereof
KR100820858B1 (en) Structure of automobile ignition key for security
JP5507342B2 (en) Ignition switch operation restriction device
KR20110121193A (en) Immobilizer antena in starting engine apparatus using fob key
JP5275743B2 (en)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JP6533152B2 (en) Steering lock device
JP4199582B2 (en) Electronic steering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