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909B1 -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909B1
KR100816909B1 KR1020070036041A KR20070036041A KR100816909B1 KR 100816909 B1 KR100816909 B1 KR 100816909B1 KR 1020070036041 A KR1020070036041 A KR 1020070036041A KR 20070036041 A KR20070036041 A KR 20070036041A KR 100816909 B1 KR100816909 B1 KR 10081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discharge
unit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기탁
정경선
신진혁
조성구
황근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909B1/en
Priority to PCT/KR2008/001458 priority patent/WO2008114968A1/en
Priority to AU2008227382A priority patent/AU2008227382B2/en
Priority to EP08723495.1A priority patent/EP2131712B1/en
Priority to RU2009135623/12A priority patent/RU2418565C1/en
Priority to CN2008800139407A priority patent/CN101668465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909B1/en
Priority to US12/537,697 priority patent/US831650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5Dry filters funnel-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A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is provided to allow a dust container to be detached from the dust separating apparatus so that a user empties the dust container easily. A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comprises a dust separating unit, a dust discharge unit(130), a dust container(20), and a flow guide(170). The dust separating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ust suction unit(120). The dust discharge un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The dust container is connected with the dust discharge unit to collect dust. The flow guide is configured to guide air in the dust container to the dust separating unit. The flow guide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dust discharge unit into a dust discharge path(132) and an air collecting path(134). The flow guide includes a first flow guide and a second flow guide.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서 집진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도 5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6은 도 1의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수직 단면도. 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먼지 분리부 20 : 집진 용기10 dust separation unit 20 dust collection container

40 : 흡입 안내관 120 : 공기 흡입부40: suction guide pipe 120: air intake

130 : 먼지 배출부 132 : 먼지 배출 유로130: dust discharge portion 132: dust discharge passage

134 : 공기 회수 유로 140 : 공기 배출부134: air recovery passage 140: air outlet

150 : 필터 부재 170 : 유로 가이드150: filter member 170: flow guide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되며,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져 흡입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separation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to improve the dust separation performance, so that the flow of air is smoothly maintained suction force.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side the body.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크게 흡입구인 노즐부가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노즐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Such a vacuum cleaner may be distinguished by a canister method in which a nozzle part, which is a large suction por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and an upright method in which the nozzle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한편,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어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장치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집진 장치는 주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해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ncludes a cleaner body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o stor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Such a dust collector is mainly configured to separate dust by the cyclone principl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성능은 실질적으로 먼지 분리 성능의 고저에 따라 판단될 수 있으며, 먼지 분리 성능은 흡입력의 고저에 의해서 판단될 ㅅ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되는 진공 청소기가 제안되어 왔다. The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ubstanti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dust separation performance, and the dust separation performance may be determined by the height of the suction force. Therefore, a vacuum cleaner which continuously improves dust separation performance has been proposed.

그리고, 사용자 측면에서는 상기 집진 장치를 상기 청소기 분체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가 먼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On the user side, the dust collecting device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cleaner powde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discharge dust.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배경하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under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pose a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dust separ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져 흡입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to allow a smooth flow of air to maintain the suction force.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용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먼지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n which dust is stor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ischarge the dust.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부가 제공되는 먼지 분리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먼지 배출부; 상기 먼지 배출부와 연통되어 상기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용기; 및 상기 집진 용기 상의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 가이드가 포함된다.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ir intake unit dust separation unit; A dust discharge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 dust collecting container communicating with the dust discharge part and storing the separated dust; And a flow path guide for guiding air 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move to the dust separation unit.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내부에 먼지 분리 영역과, 분리된 먼지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먼지 배출 영역이 형성되는 먼지 분리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용기; 상기 먼지 배출 영역의 먼지 및 일부 공기가 상기 집진 용기로 배출되도록 하는 먼지 배출 유로; 및 상기 집진 용기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로 회수되도록 하는 공기 회수 유로가 포함된다.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separation unit having a dust separation region and a dust discharge region for guiding discharge of the separated dust therein;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A dust discharge passage configured to discharge dust and some air in the dust discharge region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an air recovery flow path for allow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be recover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서 집진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10)와,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용기(20)와, 상기 먼지 분리부(10)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흡입 안내관(40)이 포함된다. 1 to 3,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separation unit 10 for separating dust from inhaled air, and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to be stored, and the suction guide tube 4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ir containing dust to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included.

상세히, 상기 흡입 안내관(40)은 도시되지 않은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10)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 In detail, the suction guide tube 40 is a part for guiding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not shown) to be mov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10.

그리고, 상기 흡입 안내관(40)은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집진 용기(20)의 하측에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suction guide tube 40 is provided inside the cleaner body, and is located below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상기 먼지 분리부(10)는 상기 흡입 안내관(40)을 따라 이동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먼지 분리부(10)는 싸이클론 원리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도록 한다. The dust separator 10 is a part to separate the dust from the air moved along the suction guide tube 40, the dust separa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parate the dust in the air by the cyclone principle do.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양측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공기 흡입부(1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공기 흡입부(120)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air of air intakes 120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or 10 to allow air to be sucked into the dust separator 10. Such a pair of air intake 12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n order to generate a cyclone flow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10.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부(120)는 분배관(50)에 의해서 상기 흡입 안내관(40)과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air suc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guide tube 40 by a distribution tube 50.

상세히, 상기 흡입 안내관(40)은 상기 분배관(50)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120)는 상기 분배관(5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다. In detail, the suction guide tube 40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ipe 50, and the air suction unit 12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stribution pipe 50.

따라서, 상기 흡입 안내관(40)을 따라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분배관(50)의 중간부에서 양측으로 분배되고, 분배된 공기는 상기 각 공기 흡입부(120)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로 흡입된다. Therefore, the air flowing along the suction guide tube 40 is distributed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ipe 50 to both sides, and the distributed air rises along each of the air suction units 120 to separate the dust separation unit. It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10.

즉,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는 상기 흡입 안내관(40)으로 흡입된 공기가 복수의 공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That is,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guide tube 40 to be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suction units 120.

한편,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중앙부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10)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먼지 배출부(130)가 연장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formed a dust discharge unit 130 to discharge the dust separat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formed.

따라서, 상기 각 공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양측에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와 분리되어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중앙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용기(20)로 배출된다. Therefore, the dust in the air sucked from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or 10 through each of the air inlet 120 is separated from the air by the cyclone flow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dust separator 10. In addition, the moved dust is discharg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through the dust discharge unit 130.

여기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는 먼지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대략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ust discharge unit 13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so that the dust is discharged smoothly.

이와 같이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접선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즉 먼지가 회전하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밀도가 비교적 큰 먼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밀도가 비교적 작은 먼지 또한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As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discharg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that is, the dust is dischar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the dust having a relatively high density is easily discharged and the density is relatively high. Small dust may also be easily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또한, 밀도가 작은 먼지가 용이하게 배출됨에 따라 후술할 필터 부재에 밀도가 작은 먼지가 쌓이지 않게 되어 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먼지 분리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되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w-density dust is easily discharged, the low-density dust is not accumulated in the filter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air can be smoothly flowed, and thus the dust separa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

즉, 상기 공기 흡입부(120)와 상기 먼지 배출부(130)가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먼지가 상기 먼지 분리부(10)로 흡입되어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배출되기까지의 유동 곡선은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일 측면에서 타측으로 평면 투영할 때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That is, as the air suction unit 120 and the dust discharge unit 130 are form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e dust is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10 and the dust discharge unit ( It can be seen that the flow curve until discharge through the 130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when the plane projection from one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o the other side.

이와 같이 먼지의 유동 곡선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 한다는 것은 먼지가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와 원활히 분리되고, 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way, the flow curve of the dust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means that the dust is smoothly separated from the air by the cyclone flow, the separated dust can be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양측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한 쌍의 공기 배출부(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14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합지 유로(142)에서 합쳐진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 And, on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formed a pair of air discharge unit 140 for discharging the air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40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lamination passage 142.

한편, 상기 집진 용기(20)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20)는 상기 집진 용기(20)가 청소 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부(10)와 연통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a portion to store the dust separat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separation unit 10 a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상세히, 상기 집진 용기(20)가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집진 용기(20)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 용기(20)의 상측에 먼지 유입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배출부(130)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In detail,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located under the dust separating unit 10. Accordingly, the dust inlet 210 is formed 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n addition, the dust discharge unit 130 extends downwar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분리된 먼지는 용이하게 상기 집진 용기(2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moved downward along the dust discharge unit 130, the separated dust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20) 하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버 부재(3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 부재(30)는 상기 집진 용기(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 부재(20)의 결합 방법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a cover member 30 is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to discharge dust stored therein. The cover member 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No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coupling the cover member 20.

이와 같이 상기 집진 용기(20)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와 별도의 물품으로 제공되어 상기 먼지 분리부(1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As su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provided as a separate article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10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dust separating unit 1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집진 용기(20) 만을 분리하여 상기 집진 용기(20)에 저장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may separate onl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to discharg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20)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공간 만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 용기(20)의 구조가 간단해지게 되고 상기 집진 용기(20)의 무게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only a space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by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form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simplified and the weight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minimized.

뿐만 아니라, 상기 집진 용기(20)의 무게가 최소화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집 진 용기(20)를 용이하게 들거나 취급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집진 용기(20)의 내부 구조가 간단함에 따라 저장된 먼지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집진 용기(20)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weight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minimized, the user can easily lift or handl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nd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can be easily stored.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moothly,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1. .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양측단에는 한 쌍의 공기 흡입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공기 흡입부(120)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4 to 6,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air intakes 1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ust separator 10. In addition, the air intakes 120 are form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따라서, 상기 각 공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에서는 대응되는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된다. Therefore, as the air is sucked through each of the air intakes 120, a corresponding pair of cyclone flows are formed in the dust separator 10.

이와 같이 단일의 공간에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 유로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기의 유로 손실이 감소되어 분리 성능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As the pair of cyclone flows are generated in a single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flow path area of the air is increased, and thus, the loss of the flow path of the air can be reduced and the separation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그리고, 단일의 공간에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종래에서처럼 하나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는 구조 보다 먼지 분리부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As a pair of cyclone flows are generated in a single space, the siz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be smaller than that of a structure in which one cyclone flow is generated as in the related art.

이 때,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공기 흡입부(120) 측에서 발생되는 원심력은 종래 보다 커지게 되므로, 먼지 분리 성능은 향 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even if the siz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made small,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t the air intake unit 120 side becomes larger than that of the related art, and thus dust separation performance may be improved.

또한, 단일의 공간에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종래의 공기가 복수의 먼지 분리부를 거치는 구조와 동일한 먼지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먼지 분리부가 요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도 추가적인 먼지 분리부가 더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as a pair of cyclone flows are generated in a single spac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dust separation performance as a structure in which a conventional air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dust separation units, and thu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No additional dust separator is required to separate the dust again. However,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provide an additional dust separator.

또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은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양측에서 각각 발생되어 중앙부로 이동하게 되며, 중앙부에서 상기 각 싸이클론 유동이 만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중앙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부(120) 측에서 발생된 싸이클론 유동 보다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된다. In addition, a pair of cyclone flows are generated at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and move to the center portion, and the cyclone flows meet at the center portion. Accordingly, a stronger cyclone flow is gener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ust separator 10 than the cyclone flow generated from the air intake 120.

따라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중앙부에 모이는 경우에는 동일한 공간에서 단일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보다 유동 세기가 커져 먼지의 분리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a pair of cyclone flows are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e flow intensity is increased than when a single cyclone flow occurs in the same space, so that dust separa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do.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중앙부로 이동된 먼지는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용기(20)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의 배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dust mov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may be discharg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0 through the dust discharge unit 130 by a strong cyclone flow, so that the dust discharge performance It can be improved.

특히,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은 정전기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입구측 또는 내부에 쉽게 붙을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상기 먼지 배출부(130) 측에서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상기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이 상기 먼지 배출부(130)에 붙지 않고, 상기 집진 용기(20)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foreign matter such as hair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let side or the inside of the dust discharge unit 130 by static electricity, and as the cyclone flow is generated on the dust discharge unit 130 side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such as hair does not adhere to the dust discharge unit 130, and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먼지 분리부(10)의 양측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고, 발생된 싸이클론은 중앙부로 모여지며, 분리된 먼지는 중앙부로 모여진 상태에서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집진 용기(20)로 배출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cyclone flow is generated at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and the generated cyclone is collected at the center, and the separated dust is collected at the dust discharge unit 130 in a state where it is collected at the center. Discharged to the vessel 20.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 공간은, 양측에 먼지가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영역(102)과, 상기 양측의 먼지 분리 공간(102)의 사이에 형성되어 분리된 먼지가 모인 상태에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먼지 배출 영역(105)으로 나뉠 수 있다. 즉,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양측에 먼지 분리 영역(102)이 형성된다. Therefore, the inner sp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formed between the dust separation region 102 to allow the dust to be separated by the cyclone flow on both sides and the dust separation space 102 on both sides, It may be divided into a dust discharge area 105 to allow the dust to be discharged in a collected state. That is, dust separation regions 10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그리고,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수직 단면적은 상기 먼지 분리 영역(102)의 수직 단면적보다 큰 값을 가진다. 즉,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직경은 중앙부가 양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dust discharge area 104 has a larger value tha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dust separation area 102. That is, the diameter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both sides.

그리고, 상기 먼지 배출부(130)는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에서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폭과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폭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dust discharge unit 130 extends to the outside from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the width of the dust discharge unit 130 and the width of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is formed to the same size.

이와 같이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수직 단면적이 상기 먼지 분리 영역(102)의 수직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과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폭이 동일한 경우, 분리된 먼지가 보다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dust discharge area 104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dust separation area 102, and the widths of the dust discharge area 104 and the dust discharge part 130 are the same, separation is performed. Used dust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상세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양측에서 발생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은 중앙부로 이동되어 서로 모이게 되나, 실질적으로 각 싸이클론 유동은 중심부에서 정확하게 모이기 어렵고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칠 수 있다.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cyclone flows generated at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are moved to the center portion and are gathered with each other, but substantially each cyclone flow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llect at the center and may be biased to either side. have.

이러한 경우 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고,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에서 계속 회전되거나 후술할 필터 부재 측으로 이동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parated dust may 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dust discharge unit 130, but may be continuously rotated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10 or may be moved to the filter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직경이 상기 먼지 분리 영역(10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에서 모이게 되므로, 분리된 먼지가 필터 부재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However, when the diameter of the dust discharge area 104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ust separation area 102 a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ir of cyclone flows are collected in the dust discharge area 104, separation The prevented dust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filter member side.

뿐만 아니라, 상기 먼지 배출부(130)와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폭이 동일하므로,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먼지의 배출이 가이드되어 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 배출부(130)로 완전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ust discharge unit 130 and the dust discharge area 104 is the same width, the discharge of the dust of the dust discharge area 104 is guided and the separated dust to the dust discharge unit 130 It can be discharged completely.

한편,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양측면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공(116)이 관통 성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배출공(116)이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공기 배출공(116)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e air discharge hole 116 through which the air from which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discharged. As such, when the air discharge holes 11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e air discharge holes 116 face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각 공기 배출공(116)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15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필터 부재(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152)와, 상기 체결부(152)에서 연장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며,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부(154)로 구성된다. 그리 고, 상기 필터부(154)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다수의 통공(156)이 형성된다. And, each of the air discharge hole 116 is coupled to the filter member 150 for filtering the discharged air. In detail, the filter member 1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and the fastening part 152, and extends from the fastening part 152 to filter air, and has a conical shape. It is composed of a filter unit 154 formed as. Then, the filter unit 154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56 through which air flows.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통공(156)을 거쳐 상기 배출공(116)을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배출된다. Accordingly, the air from which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6 via the through hole 156.

여기서, 상기 체결부(152)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아서, 상기 공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에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through hole is not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152,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part 120 may be smoothly rotated inside the dust separation part 10 without being immediately discharged.

즉, 상기 체결부(152)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의 회전이 가이드되어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 특히 상기 먼지 분리 영역(102)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원활히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That is, by the fastening part 152, the rotation of the sucked air is guided, so that cyclone flow can be smoothly generated in the dust separation part 10, particularly in the dust separation area 102. Dust separ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한편, 상기 먼지 분리부(10)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한 쌍의 필터 부재(150)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폭(L2) 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L1) between the pair of filter members 150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L2) of the dust discharge unit 130.

상세히,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내부에서 발생된 한 쌍의 싸이클론 유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에서 모이게 되며,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배출된다. In detail, the pair of cyclone flows generated inside the dust separator 10 are collected in the dust discharge area 104 as described above, and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by the cyclone flow is discharged from the dust.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unit 130.

이 때, 상기 한 쌍의 필터 부재(150)의 거리(L1)가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폭(L2)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머리카락 또는 휴지 등과 같은 이물이 상기 먼지 배출부(130)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고, 상기 필터 부재(150)에 달라 붙거나 상기 통공(156)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 부재(150)를 원활히 통과할 수 없게 되어 흡입력이 저하된다. At this time, when the distance (L1) of the pair of filter members 150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L2) of the dust discharge portion 130, foreign matter such as hair or tissue paper is the dust discharge portion 130 Without being discharged through, it may be stuck to the filter member 150 or caught in the through hole 156. In this case, the air cannot smoothly pass through the filter member 150, and the suction force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필터 부재(150) 사이의 거리(L1)가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폭(L2) 보다 크도록하여 머리카락 또는 휴지 등과 같은 이물이 상기 먼지 배출부(130)로 완전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pair of filter members 150 is greater than the width L2 of the dust discharge unit 130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hair or tissue is discharged from the dust discharge unit 130. To be completely discharged.

여기서, 상기 먼지 배출부(130)와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폭은 동일하므로, 상기 한 쌍의 필터 부재의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width of the dust discharge unit 130 and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is the same, so that the distance (L1) between the pair of filter members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It can also be understoo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공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10) 내부로 흡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복수의 공기 배출공(116)을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s sucked into the dust separator 10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suction units 120, and the air from which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10 is a plurality of air.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6).

따라서, 각각의 공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0)로 흡입된 공기가 각각의 공기 배출공(116)을 통하여 배출됨에 따라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s the air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rough each air suction unit 120 is discharged through each air discharge hole 116, the air can be smoothly discharged.

이렇게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흡입력이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먼지 분리부(10)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smooth discharge of air from the dust separator 10 allows the suction force to be substantially increased, and the cyclone flow is smoothly performed within the dust separator 10.

또한, 어느 필터 부재에 먼지가 쌓여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다른 필터 부재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공기의 흡입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dust is accumulated in one filter member and air does not flow smoothly, the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filter member, so that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air may be prevented from dropping rapidly.

한편, 상기 먼지 배출부(130) 내부에는 먼지 배출 과정에서 상기 집진 용 기(20)로 이동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유로 가이드(170)가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inside the dust discharge unit 130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guide 170 for guiding the air mov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n the dust discharge process flows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10).

즉, 상기 유로 가이드(170)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이에 따라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내부에는 먼지 배출 유로(132)와 공기 회수 유로(134)가 형성된다. That is, the flow path guide 170 partitions an inner space of the dust discharge part 130, and thus, the dust discharge path 132 and the air recovery flow path 134 are formed in the dust discharge part 130. do.

상세히, 상기 유로 가이드(17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가이드(172)와, 상기 제 1 가이드(172)의 상측에서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연장되는 제 2 가이드(174)와, 상기 제 1 가이드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가이드(176)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flow path guide 170 includes a first guide 172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a second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uide 172 toward the dust discharge area 104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 guide 174 and a third guide 176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uide is included.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172)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유로, 즉, 먼지 배출 유로(132)와 공기 회수 유로(134)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In more detail, the first guide 172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dust discharge unit 130 into two flow passages, that is, the dust discharge passage 132 and the air recovery passage 134.

상기 제 2 가이드(174)는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이드(174)는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guide 174 is formed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Thus, the second guide 174 serves to maintain cyclone flow in the dust discharge area 104.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가이드(174)는 상기 공기 회수 유로를 통하여 상기 먼지 배출 영역으로 회수되는 공기가 상기 먼지 배출 영역의 싸이클론 유동와 원활히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174 allows the air recovered to the dust discharge area through the air recovery flow path to be smoothly mixed with the cyclone flow of the dust discharge area.

즉,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과 상기 먼지 배출부(130)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 2 가이드(174)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기 회수 유 로(134)를 통하여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으로 회수되는 공기가 곧바로 상기 먼지 배출 유로(132)로 배출되게 된다. That is,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and the dust discharge portion 130 are formed continuously, when the second guide 174 is not provided through the air recovery passage 134 the dust discharge region The air recovered to 104 is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dust discharge passage 132.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 회수 유로(134)를 통하여 회수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에서의 싸이클론 유동이 간섭되고, 싸이클론 유동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yclone flow in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may be interfered by the air recovered through the air recovery passage 134, and the cyclone flow may be broken.

그러나, 상기 제 2 가이드(174)가 상기 먼지 배출 영역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공기 회수 유로(134)를 통하여 회수되는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먼지 배출 영역(134)에서의 싸이클론 유동이 원활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However, when the second guide 174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dust discharge region, the air recovered through the air recovery passage 134 may be dischar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cyclone flow. Therefore, the cyclone flow in the dust discharge region 134 can be maintained smoothly.

한편, 상기 제 3 가이드(176)에는 상기 집진 용기(20)의 공기는 통과되고, 먼지는 필터링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177)이 형성된다. 즉, 상기 통공(177)에 의해서 상기 집진 용기(20) 상의 먼지가 상기 공기 회수 유로(134)를 통하여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가이드(176)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의 역하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guide 176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177 to allow the air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to pass through, dust is filtered. That is, the dust 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through the air recovery passage 134 by the through hole 177. Thus, the third guide 176 performs the reverse of the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air.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 회수 유로(134)에 의해서 상기 집진 용기(20) 내의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10)로 회수됨에 따라, 상기 먼지 배출 유로(132) 내부에 휴지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이 걸리게 되어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의 유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흡입력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As the air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recover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10 by the air recovery passage 134 as described above, a large volume of foreign matter such as a tissue is disposed inside the dust discharge passage 132. This prevents the suction force from dropping and keeps the air flow constant so that the suction force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즉, 먼지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 유로(132)가 막히는 경우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잔재하게 되고, 이러한 먼지에 의해서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That is, when the dust discharge passage 132 is blocked by dust, the separated dust is not discharged, and thus, the separated dust remains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0, and air cannot flow smoothly by the dust. A problem arises.

그러나, 상기 집진 용기(20)와 상기 먼지 분리부(10)를 연통시키는 공기 회수 유로(134)가 더 형성되는 경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진공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이 상기 공기 회수 유로(134)에 지속적으로 작용하므로, 진공압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 유로(132) 상의 먼지가 상기 집진 용기로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owever, when the air recovery flow path 134 communicat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10 is further formed,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motor provided to the cleaner body is the air recovery flow path 134. Since it continuously acts on, the dust on the dust discharge passage 132 can be discharg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y the vacuum pressure, thereby allowing the air to flow smoothly.

그리고,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흡입력의 저하가 방지되고, 흡입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As the air flows smoothly, the lowering of the suction force is prevented and the suction force can be kept constant.

한편,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에는 상기 필터 부재(150)의 교체를 위한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2)는 커버 부재(16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이 때, 상기 개구부(112)와 상기 커버 부재(160)의 결합 부위에는 실링 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an opening 112 for replacing the filter member 150 is formed in the dust discharge region 10. In addition, the opening 112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cover member 160. In this case, a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 coupling portion of the opening 112 and the cover member 160.

여기서, 상기 커버 부재(160)는 내측면은 상기 개구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ver member 16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inner surface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in the state coupled to the opening 112.

즉, 상기 커버 부재(160)와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That is, the cover member 160 and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is formed continuously.

따라서,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커버 부재(160)에 의해서 변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cyclone flow of the dust discharge area 104 is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by the cover member 160, and can be kept constant.

그리고, 상기 개구부(112)에 상기 커버 부재(16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커버 부재(160)를 분리하여 상기 필터 부재(1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As the cover member 1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112, the user may easily replace the filter member 150 by detaching the cover member 160.

한편, 상기 집진 용기(20)의 내부에는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202)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 용기(20)의 상측에는 먼지 유입부(210)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먼지 유입부(210)는 상기 집진 용기(20)가 청소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먼지 배출부(130)와 연통된다. Meanwhile, a dust storage unit 202 for storing dust is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nd a dust inlet 210 is formed abov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t this time, the dust inlet 2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discharge unit 130 a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따라서, 상기 먼지 유입부(210)에는 상기 먼지 유입부(210)와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접촉 부위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 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에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Therefore, the dust inlet 210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not shown) for seal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dust inlet 210 and the dust outlet 130. In this case, the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the dust discharge unit 130.

여기서, 상기 집진 용기(20)가 별도의 물품으로 제공되어 상기 먼지 분리부(1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집진 용기(20)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집진 용기(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provided as a separate article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size of the container 20 can be adjusted.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집진 용기(20)를 크게 형성하여, 상기 먼지 저장부(202)에 저장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In this case, by form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large,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02 can be increa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청소기 본체에서 진공압이 발생되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흡입 안내관(40)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안내관(4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분배관(50)으로 유입되고, 상기 분배관(50)에서 상기 각 공기 흡입부(120)로 분배된다. 그러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각 공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양측에서 접선 방향으로 흡입된다. When a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cleaner body, dust-containing air is moved along the suction guide tube 40. In addition, the air moving along the suction guide tube 40 is introduced into the distribution pipe 50, and is distributed from the distribution pipe 50 to each of the air suction units 120. Then,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s suck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0 through the respective air intakes (120).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양측의 먼지 분리 영역(102)에서 선회하면서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으로 모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sucked air is collected in the dust discharge area 104 while turning in the dust separation area 102 on both sides, and in this process, air and dus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receiving different centrifugal forces due to the weight difference. .

그리고, 분리된 먼지(점선)는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에서 회전되다가 접선 방향으로 상기 먼지 배출 유로(132)로 배출되고, 배출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 유로(132)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집진 용기(2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먼지 배출 유로(132)를 통하여 상기 분리된 먼지 뿐만 아니라 공기의 일부가 함께 배출됨은 물론이다. The separated dust (dotted line) is rotated in the dust discharge region 104 and discharged to the dust discharge passage 132 in a tangenti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d dust is moved along the dust discharge passage 132 to collect the dust. It flows into the container 20. At this time, not only the separated dust but also a part of the air are discharged together through the dust discharge passage 132.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기(실선)는 상기 필터 부재(150)의 통공(156)을 통하여 여과된 후 상기 배출공(116)을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공기는 상기 각 공기 배출부(140)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합지 유로(142)에서 합쳐진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separated air (solid line) is filtered through the through-hole 156 of the filter member 150 and is discharged from the cyclone unit 1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6. In addition, the discharged air is moved along each of the air discharge parts 140, and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body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ed air is combined in the lamination passage 142.

또한, 상기 집진 용기(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통공(177)을 거치면서 필터링되고, 상기 공기 회수 유로(134)를 통하여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으로 회수되며, 상기 먼지 배출 영역(104)의 싸이클론 유동과 합쳐진다.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77, and is recovered to the dust discharge area 104 through the air recovery passage 134, and the dust discharge area 104. ) Is combined with the cyclone flow.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유로 가이드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원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par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riginal embodiment and diff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path guides.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e original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회수 유로(134)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에 형성되는 제 1 유로 가이드(270)와 상기 집진 용기(20)에 형성되는 제 2 유로 가이드(220)에서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air recovery flow path 1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ow path guide 270 form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0 and a second flow path guide 220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상세히, 상기 제 1 유로 가이드(270)는 상기 먼지 배출부(13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가이드(272)와 상기 제 1 가이드(272)의 상측에서 소정의 곡률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174)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272) 및 제 2 가이드(274)의 형상 및 기능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detail, the first flow path guide 270 extends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uide 272 and the first guide 272 which are form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the dust discharge unit 130. Two guides 174 are included. Since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first guide 272 and the second guide 274 are the same as the original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제 2 유로 가이드(220)는 상기 집진 용기(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222)와 상기 수평 가이드(222)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 가이드(22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가이드(222)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223)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low path guide 220 is a horizontal guide 222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nd a vertical guide exten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guide 222 ( 224). The horizontal guide 22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3 for filtering the discharged air.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10)가 상기 집진 용기(20)와 연결되면, 상기 제 1 가이드(272)의 하측과 상기 수직 가이드(224)의 상측은 서로 접하게 된다. When the dust separator 10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uide 272 and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guide 22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이 상기 집진 용기(20)의 내부에 제 2 유로 가이드(22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집진 용기(20)에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222)에 의해서 공기의 유로 면적이 커지게 되어 상기 공기 회수 유로(134)를 통하여 보다 원활히 공기가 회수될 수 있게 된다. As the second flow path guide 220 is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s described above, the air flow path may b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nd the air may be formed by the horizontal guide 222. The passage area is increased, so that air can be recovered more smoothly through the air recovery passage 134.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여서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예를 더 제안할 수 있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further suggest other embodiments as follows.

먼저, 상기 집진 용기(20)는 청소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하방에 위치되나, 이와 달리 상기 집진 용기(20)가 상기 싸이클론부(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집진 용기(20)의 먼지 유입부는 상기 집진 용기(20)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집진 용기(20)의 상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Firs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positioned below the cyclone unit 110 in a state wher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Alternativel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cyclone unit 110. Can be. In this case, the dust inlet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it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20)의 측방에 먼지 유입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커버 부재가 상기 집진 용기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쪽에도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dust inle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0, a cover member for discharging dust may be provided on either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또한, 원 실시예에서 먼지 유입부는 상기 집진 용기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집진 용기의 하측에 제공되나, 이와 달리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집진 용기의 상측에 제공되고, 먼지 유입부가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집진 용기 자체 만의 구조는 한층 더 간단해 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dust inlet is formed abov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below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whereas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abov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dust inlet is the It may be formed in the cover member. In such a case,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tself can be further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흡입 안내관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각각의 흡입부으로 분배되도록 하는 분배관이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흡입 안내관에서 곧바로 각각의 흡입부가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llustrated that a distribution pipe is formed so that the air moving along the suction guide tube is distributed to the respective suction units, but alternatively, each suction unit may be branched immediately from the suction guide tube. .

또한, 상기 배출공 측에 필터 부재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지 않고,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기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 안내부는 원 실시예의 체결부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통공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is no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side, the exhaust guide may be formed to guide the discharge of air. That is, the exhaust guide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like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original embodiment, the through hole may not be formed.

또한, 상기 집진 용기의 내부에는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는 가압 장치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장치는 상기 집진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지진 용기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는 상기 집진 용기의 외부, 일 례로 청소기 본체에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essurization device for compressing the stored dust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 pressurizing devi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ressurizing member movable within the seismic container, and a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pressing member may be out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example, a cleaner body.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먼지 분리부는 단일의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되나, 이와 달리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싸이클론부가 서로 결합되어 완전한 먼지 분리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싸이클론부에 하나의 흡입부가 형성되고, 다른 싸이클론부에 다른 하나의 흡입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먼지 배출부 또한 상기 각 싸이클론부가 결합되어 완전한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st separator may be formed by a single cyclone unit, but alternatively, a pair of cyclone uni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omplete dust separator. That is, one suction part is formed in one cyclone part, and the other suction part is formed in another cyclone part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imilarly, the dust discharge unit may be combined to form each of the cyclone unit to form a complete shape.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먼지 분리부에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부 내부에 복수의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공기의 유동 유로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기의 유로 손실이 감소되어 분리 성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First, as a plurality of air inlets are formed in the dust separator, a plurality of cyclone flows are generated inside the dust separator, thereby increasing the flow path area of the air, thereby reducing the flow path loss of the air. The effect is to increase performance.

둘째, 공기 흡입부가 먼지 분리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먼지 배출부가 먼지 분리부의 중앙부에 형성됨에 따라, 먼지 분리부의 중앙부에 강력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어 먼지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as the air intak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ust separator, and the dust discharge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ust separator, a strong cyclone flow is generated in the center of the dust separator, so that dust can be smoothly discharged.

셋째, 먼지 배출 영역의 직경이 양측의 먼지 분리 영역의 직경보다 크게 형 성됨에 따라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먼지 배출 영역에서 잘 모이게 되고, 분리된 먼지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Third, as the diameter of the dust discharge zone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ust separation zone on both sides, the cyclone flow gathers well in the dust discharge zone, and the separated dust can be discharged smoothly.

넷째, 집진 용기 내의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로 회수되도록 하는 공기 회수 유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먼지 배출 유로 내부에 휴지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이 걸리게 되어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의 유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흡입력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Fourth, as the air recovery flow path is formed to allow the air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be recover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a bulky foreign material such as a toilet paper is caught inside the dust discharge flow path, thereby preventing the suction force from being lowered and the flow of air. Keep it constant so that the suction power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다섯째,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용기가 먼지 분리부와 별도의 물품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집진 용기 만을 분리하여 먼지를 비우면 되므로, 사용자의 집진 용기 취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Fifth, sinc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storing the dust is provided as a separate article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the user only has to empty the dust by separat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handling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improved.

여섯째, 집진 용기의 내부에는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 만이 형성되므로, 상기 집진 용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게 되고 상기 집진 용기의 무게가 최소화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Sixth, since only a space for storing dust is form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simplified and the weight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minimized,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일곱째, 집진 용기의 내부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상기 집진 용기에 저장된 먼지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venth,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simplified,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an be easily discharged.

Claims (11)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부가 제공되는 먼지 분리부; A dust separator provided with at least one air intake;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먼지 배출부; A dust discharge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상기 먼지 배출부와 연통되어 상기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용기; 및 A dust collecting container communicating with the dust discharge part and storing the separated dust; And 상기 집진 용기 상의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 가이드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And a flow path guide for guiding air 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move to the dust separa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먼지 배출부의 내부 공간을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 유로와 공기가 회수되도록 하는 공기 회수 유로로 구획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And the flow path guide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dust discharge part into a dust discharge flow path through which dust is discharged and an air recovery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s recover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먼지 분리부에 형성되는 제 1 유로 가이드와, The flow guide is a first flow guide form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상기 집진 용기에 형성되는 제 2 유로 가이드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a second flow path guid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먼지 배출부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 1 가이드와, The flow path guide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itioning an inside of the dust discharge part; 상기 제 1 가이드에서 소정의 곡률로 연장 성형되는 제 2 가이드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a second guid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to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집진 용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부재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 흡입부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The plurality of air intake portion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먼지 배출부는 상기 각 흡입부 사이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The dust discharge unit is a dust separation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is located between each suction unit. 내부에 먼지 분리 영역과, 분리된 먼지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먼지 배출 영역이 형성되는 먼지 분리부; A dust separation unit having a dust separation area and a dust discharge area guiding discharge of the separated dust therein;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용기;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상기 먼지 배출 영역의 먼지 및 일부 공기가 상기 집진 용기로 배출되도록 하는 먼지 배출 유로; 및 A dust discharge passage configured to discharge dust and some air in the dust discharge region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상기 집진 용기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로 회수되도록 하는 공기 회수 유로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n air recovery passage for recover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the dust separation unit.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먼지 분리부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 배출 유로와 상기 공기 회수 유로가 구획되도록 하는 유로 가이드가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guide for partitioning the dust discharge passage and the air recovery passag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먼지 배출 영역이 양측에 상기 먼지 분리 영역이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wherein the dust discharge region is provided with the dust separation region on both sides.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먼지 배출 영역의 직경은 상기 먼지 분리 영역의 직경 보다 큰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And a diameter of the dust discharge area is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dust separation area.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집진 용기 또는 상기 먼지 분리부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로 회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부재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air recovered to the dust separator in the dust container or the dust separator.
KR1020070036041A 2007-03-16 2007-04-12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816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041A KR100816909B1 (en) 2007-04-12 2007-04-12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PCT/KR2008/001458 WO2008114968A1 (en) 2007-03-16 2008-03-14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AU2008227382A AU2008227382B2 (en) 2007-03-16 2008-03-14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EP08723495.1A EP2131712B1 (en) 2007-03-16 2008-03-14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RU2009135623/12A RU2418565C1 (en) 2007-03-16 2008-03-14 Device to separate dust for vacuum cleaner (versions)
CN2008800139407A CN101668465B (en) 2007-03-16 2008-03-14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US12/537,697 US8316507B2 (en) 2007-03-16 2009-08-07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041A KR100816909B1 (en) 2007-04-12 2007-04-12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909B1 true KR100816909B1 (en) 2008-03-25

Family

ID=3941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041A KR100816909B1 (en) 2007-03-16 2007-04-12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9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072A1 (en) * 2009-02-12 201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6663U (en) 1980-05-28 1981-12-26
KR20040110883A (en) * 2003-06-20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separator for cyclone cieaner
JP2005040257A (en) 2003-07-25 2005-02-17 Sanyo Electric Co Ltd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dust collecting device
JP2006130119A (en) 2004-11-08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6663U (en) 1980-05-28 1981-12-26
KR20040110883A (en) * 2003-06-20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separator for cyclone cieaner
JP2005040257A (en) 2003-07-25 2005-02-17 Sanyo Electric Co Ltd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dust collecting device
JP2006130119A (en) 2004-11-08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072A1 (en) * 2009-02-12 201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AU2009340149B2 (en) * 2009-02-12 2013-01-24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361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nm cleaner
KR100601896B1 (en)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KR101462945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for vaccum clear
KR101250077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100846900B1 (en) Vaccum cleaner
KR100853331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nm cleaner
KR20080000188A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cum cleaner
JP2007307352A (en) Vacuum cleaner
KR100816911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JP2016154706A (en) Vacuum cleaner
KR20120011828A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KR100816910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JP2004229826A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using it
KR100854148B1 (en)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KR100816909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859033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nm cleaner
KR100809776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1411801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nm cleaner
KR101065985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nm cleaner
KR101250079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cum cleaner
KR20100010162A (en) A vacuum cleaner
KR100809775B1 (en)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KR20080022350A (en) Vaccum cleaner and dust seperating apparatus thereof
JP3841064B2 (en) Vacuum cleaner
KR100860651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