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351B1 -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351B1
KR100815351B1 KR1020050046254A KR20050046254A KR100815351B1 KR 100815351 B1 KR100815351 B1 KR 100815351B1 KR 1020050046254 A KR1020050046254 A KR 1020050046254A KR 20050046254 A KR20050046254 A KR 20050046254A KR 100815351 B1 KR100815351 B1 KR 100815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ing means
cavity
shielding cas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364A (ko
Inventor
유로프 빅토
양행석
김천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35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6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ylindrical or toric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2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광원, 실린더 렌즈, 포물렌즈, 회절형 광변조기를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화시킨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절형 광변조기, 디스플레이, 일체식, 실린더 미러, 포물 미러

Description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using monolith optical system}
도 1은 광의 반사나 회절을 이용하여, 광스위치, 광변조소자에 적용되는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삼성전기가 개발한 압전 재료를 이용한 회절형 광변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삼성전기의 압전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광학장치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 레이저 다이오드 120, 220 : 포물 미러
130, 230 : 실린더 미러 140, 240 : 회절형 광변조기
본 발명은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광원, 실린더 렌즈, 포물렌즈, 회절형 광변조기를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화시킨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기술의 진전에 따라서, 소위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초소형 전기적·기계적 복합체)소자 및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를 조립한 소형기기가 주목되고 있다.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는 실리콘기판, 유리 기판 등의 기판상에 미세구조체로서 형성되고, 기계적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체와, 구동체를 제어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등을 전기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결합시킨 소자이다.
도 1 은 광의 반사나 회절을 이용하여, 광스위치, 광변조소자에 적용되는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1)는 기판(12)과, 기판(12)상에 형성한 기판측 전극(13)과, 기판측 전극(13)을 브리지형상으로 걸쳐진 들보(14)를 갖추어 이룬다. 들보(14)와 기판측 전극(13)과는 그 사이의 공극(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들보(14)는 기판측 전극(13)을 브리지형상으로 걸어서 기판(12)상에 입각하는 예를 들면 실리콘 나이트나이드(SiN)막으로 이루는 브리지 부재(15)와, 기판측 기판(13)에 대향하여 상호 평행하게 브리지부재(15)상에 설치된, 예를 들면 막두께 100nm정도의 알루미늄(Al)막으로이루는 반사막을 겸하는 구동측 전극(16)으로 구성된다. 들보(14)는 그 양단이 지지된 소위 브리지식으로 형성된다.
이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1)에서는 기판측전극(13)과 구동측전극(16)에 주어지는 전위에 따라서, 들보(14)가 기판측전극(13)과의 사이의 정전인력 또는 정전반발에 의해 변위하고, 예를 들면 도 1의 실선과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같이, 기판측전극(3)에 대하여 평행상태와 오목상태로 변위한다.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1)는 광반사막을 겸하는 구동측전극(16)의 표면에 광이 조사되고, 들보(14)의 구동 위치에 따라서, 그 광의 반사방향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한 방향의 반사광을 검출하여 스위치기능을 가지게 한 광스위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1)는 광강도를 변조시키는 광변조소자로서 적용할 수 있다. 광의 반사를 이용하는 때는, 들보(14)를 진동시켜서 단위 시간당의 일방향의 반사광량으로 광강도를 변조한다.
광의 회절을 이용하는 때는 공통의 기판측 전극(13)에 대하여 복수의 들보( 14)을 병렬 배치하여 광변조소자를 구성하고, 공통의 기판측 전극(13)에 대한 예를 들면 1개 거른 들보(14)의 근접, 이간의 동작에 의해, 광반사막을 겸하는 구동측 전극의 높이를 변화시키고, 광의 회절에 의해 구동측 전극에서 반사하는 광의 강도를 변조한다. 이 광변조소자는 소위 공간변조이다.
이러한, 공간 광변조소자로서 또 다른 예로 실리콘 라이트 머신사(社)가 레이저 디스플레이용 광강도변환소자, 즉, 광변조기로서 개발한 회절격자 광밸브(GLV:Grating Light Valve) 장치가 있다. 회절격자 광밸브 장치는 유리 기판등의 절연기판상에 공통의 기판측 전극이 형성되고, 이 기판측 전극에 교차하여 브리지형으로 거는 복수가 병렬배치되어 이룬다.
도 2는 삼성전기가 개발한 압전 재료를 이용한 함몰형 회절형 광변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삼성전기가 개발한 함몰형 박막 압전 광변조기는 실리콘 기판(40)과, 복수의 회절부재(42a~42n)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회절부재(42a~42n)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일정하게 정렬하여 함몰형 박막 압전 광변조기를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회절부재(42a~42n)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며 교번하여 정렬하여 함몰형 박막 압전 광변조기를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회절부재(42a~42n)는 일정간격(거의 회절부재(42a~42n)의 폭과 같은 거리)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실리콘 기판(40)의 상면의 전부에 형성된 마이크로 미러층이 입사된 빛을 반사하여 회절시킨다.
실리콘 기판(40)은 회절부재(42a~42n)에 이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함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연층(41)이 상부 표면에 증착되어 있고, 함몰부의 양측에 회절부재(42a~42n)의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회절부재(여기에서는 도면부호 42a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지만 나머지 42b~42n도 동일하다)는 막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분이 실리콘 기판(40)의 함몰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양끝단의 하면이 각각 실리콘 기판(40)의 함몰부를 벗어난 양측지역에 부착되어 있고, 실리콘 기판(40)의 함몰부에 위치한 부분이 상하로 이동가능한 하부지지대(43a)를 포함한다.
또한, 회절부재(42a)는 하부지지대(43a)의 좌측단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전극층(44a)와, 하부전극층(44a)에 적층되어 있으며 양면에 전압이 인가되면 수축 및 팽창하여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 재료층(45a)와, 압전 재료층(45a)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재료층(45a)에 압전 전압을 제공하는 상부 전극층(46a)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회절부재(42a)는 하부지지대(43a)의 우측단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전극층(44a')과, 하부전극층(44a')에 적층되어 있으며 양면에 전압이 인가되면 수축 및 팽창하여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 재료층(45a')과, 압전 재료층(45a')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재료층(45a')에 압전 전압을 제공하는 상부 전극층(46a')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회절부재(42a)의 중앙부분의 하부지지대(43a)의 상부에는 마이크로 미러층(47a)가 적층되어 있어 입사되는 입사광을 반사 또는 회절시킨다.
도 3은 삼성전기의 압전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광학장치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학장치는 광원계(50), 집광부(52), 조명렌즈계(54), 판형 칼라휠(57), 회절형 광변조기(58), 푸리에 필터계(59), 프로젝션 시스템(62), 스크린(65)을 포함하고 있다.
광원계(50)는 복수의 광원(51a~51c)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집광부(52)는 하나의 미러(53a)와 복수의 색선별 미러(53b, 53c)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 광원(51a~51c)은 일예로 적색 광원(51a), 녹색 광원(51b), 청색 광원(51c)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집광부(52)는 하나의 반사미러(53a)와 다수의 색선별 미러(53b, 53c)에 의해 청색광, 녹색광 그리고 적색광이 집광되어 다중빔이 형성되어 단일 조명계를 이룬다.
다음으로, 조명렌즈계(54)는 집광된 다중광을 선형의 평행광으로 변화시켜 판형 칼라휠(57)을 통하여 광변조기(58)로 입사시킨다. 여기에서 판형 칼라휠(57)은 좀더 상세히 알아보면 다중광중 각각의 칼라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칼라필터와, 칼라필터가 부착되는 결합기(Coupler)와, 결합기에 부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등을 구비하여 모터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결합기와 이에 판형으로 부착된 칼라필터들이 회전함에 의해 광의 색을 순차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회절형 광변조기(58)는 판형 칼라휠(57)로부터 단일 파장의 선형 평행광이 입사되면 입사되는 시간동안 해당 파장의 선형 평행광에 대한 광변조를 수행하여 회절광을 형성하고 형성된 회절광을 푸리에 필터계(59)로 입사시킨다.
푸리에 필터계(59)은 푸리에 렌즈(60)과 색선별 필터(6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절광을 차수별로 분리하고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만을 투과시킨다.
한편, 프로젝션 시스템(62)은 스캐너(63)와 프로젝션 렌즈(64)를 구비하고 있으며, 입사된 회절광을 스크린(65)에 투사한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광학계는 장치가 복잡하고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많은 렌즈들이 사용되어 비용면에서도 효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케이스안에 광원, 실린더 렌즈, 포물렌즈, 회절형 광변조기를 배치하여 장치의 소형화, 단순한 광학구조의 실현, 부품수 감소에 의한 비용 절감 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동의 내부로 광의 출입할 수 있도록 입력홀과 출력홀이 형성되어 있는 차폐 케이스; 상기 차폐 케이스의 입력홀에 부착되어 있으며, 출사면이 공동 내부로 향하고 있어 광을 생성하여 공동 내부로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출사면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차폐 케이스의 공동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포물면 형상을 하고 있고, 정방향의 입사광을 평행광이 되도록 반사하고, 역방향의 입사광을 집광되어 출력홀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수단; 상기 제1 반사수단에 대향하여 상기 차폐 케이스의 공동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실린더 포물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정방향의 입사광을 집광되도록 반사하고, 역방향의 입사광을 평행광이 되도록 제1 반사수단으로 반사하는 제2 반사수단; 및 상기 제2 반사수단에 대향하는 상기 차폐 케이스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되는 입사광을 변조하여 회절광을 형성하여 제2 반사수단으로 출사하는 회절형 광변조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도 4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입구를 가지고 있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형성된 공동을 외부의 광으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폐 케이스(100), 차폐 케이스(100)의 입구에 출사면이 공동을 향하여 부착되어 있는 레이저다이오드(LD; Laser Diode)(110), 차폐 케이스(100)의 공동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광을 반사하여 평행광을 변화시키는 포물 미러(120), 차폐 케이스(100)의 공동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광을 반사하여 집광하고 선형광으로 변화시키는 실린더 미러(130), 차폐 케이스(100)의 공동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광을 변조하여 회절광을 형성하는 회절형 광변조기(140)를 구비하고 있다 .
차폐 케이스(100)는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으며, 광이 공동을 분산(scattering)과 손실없이 퍼져나갈 수 있으며, 포물 미러(120), 실린더 미러(130)가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폐 케이스(100)는 단단하고(rigid), 투명하고(transparent), 동질성(homogenous)이 있으며, 내부에 거품(bubbles)이나 입자(particles)가 없어야 한다. 또한, 차폐 케이스(100)는 유리이거나, 플래스틱이거나, 단결정 반도체(monocrystal)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프레임(미도시)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차폐 케이스(100)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있는 입력-출력면(112)을 구비하여 입력-출력면(112)의 입구에는 레이저 다이오드(110)가 출사면이 공동 내부를 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폐 케이스(100)는 입구를 가지고 있는 광변조면(142)을 구비하여 회절형 광변조기(140)의 광변조면이 공동 내부를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10)는 차폐 케이스(100)의 입력-출력면(112)의 입구에 출사면이 공동 내부를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면, 레이저를 공동 내부로 출사한다. 여기에서는 광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11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고발광 LED(Superluminescent LED)도 사용가능하며, 그와 유사한 것은 모두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포물 미러(120)는 레이저 다이오드(110)의 출사면에 대응되는 차폐 케이스(100)의 공동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10)의 출사광을 반사하여 평행광을 변환하여 공동 내부로 출사한다. 포물 미러(120)는 포물면을 가지고 있으며, 금속 미러(metallic curved mirror)나 유전 다층 미러(dielectric multi-layer mirror)나, 내부 전반사 미러(total internal reflection mirr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거의 100%에 가깝게 반사하여야 한다. 또한, 포물미러(120)의 초점은 레이저 다이오드(110)의 출사면의 중심과 일치되어야 한다.
물론, 포물 미러(120)가 레이저 다이오드(110)의 출사광을 직접 입사받지 않고, 그 사이에 반사미러를 구비하여 반사미러를 통하여 입사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10)의 출사광을 입사받아 평행광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실린더 미러(130)는 포물 미러(120)의 대응되는 위치의 차폐 케이스(100)의 공동 내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형 포물면을 가지고 있고,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집광하고 선형광으로 변화시켜 회절형 광변조기(140)로 입사되도록 한다. 물론, 실린더 미러(130)는 포물 미러(120)의 대응되는 위치의 차폐 케이스(100)의 공동 내벽에 형성될 수 있지만, 그 사이에 반사미러를 더 구비하여 반사미러를 통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을 집광하고 선형광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도 5는 이러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실린더 미러(130)는 금속 미러(metallic curved mirror)나 유전 다층 미러(dielectric multi-layer mirror)나, 내부 전반사 미러(total internal reflection mirr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거의 100%에 가깝게 반사하여야 한다. 또한, 실린더 미러(130)의 초점은 회절형 광변조기(140)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직선상에 있어야 한다.
한편, 회절형 광변조기(14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사되는 선형광을 변조하여 여러 회절 차수를 가지는 회절광을 형성하여 출사한다. 이때, 회절광이 출사되는 경로는 레이저 다이오드(110)에서 출사된 입사광이 거쳐온 경로와 반대로 진행하여 입력-출력면(112)에 이르게 된다.
즉, 회절형 광변조기(140)에서 형성된 회절광은 이제 반대로 실린더 렌즈(130)로 방사되어 나가게 되며, 실린더 렌즈(130)는 회절형 광변조기(140)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을 반사하여 평행광을 변화시켜 포물 미러(120)로 출사한다.
그러면, 포물 미러(120)는 실린더 렌즈(130)에서 입사된 회절광을 반사하여 집광하고 선형광을 변화시켜 입력-출력면(112)으로 반사한다. 이때, 입력-출력면(112)에는 입구 외에서 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포물 미러(120)로부터 반사되는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만을 통과시켜 이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회절광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입구를 가지고 있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형성된 공동을 외부의 광으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폐 케이스(200), 차폐 케이스(200)의 입구에 출사면이 공동을 향하여 부착되어 있는 레이저다이오드(LD; Laser Diode)(210), 차폐 케이스(200)의 공동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광을 반사하여 평행광을 변화시키는 포물 미러(220), 차폐 케이스(200)의 공동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광을 반사하여 집광하고 선형광으로 변화시키는 실린더 미러(230), 포물 미러(220)와 실린더 미러(230)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포물 미러(220)의 반사광을 실린더 미러(230)로 향하도록 하는 반사미러(225), 차폐 케이스(200)의 공동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광을 변조하여 회절광을 형성하는 회절형 광변조기(240)를 구비하고 있다 .
차폐 케이스(2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어, 포물 미러(220), 실린더 미러(230), 반사미러(225)가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차폐 케이스(200)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있는 입력-출력면(225)을 구비하여 입력-출력면(225)의 입구에는 레이저 다이오드(210)가 출사면이 공동 내부를 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폐 케이스(200)는 입구를 가지고 있는 광변조면(242)을 구비하여 회절형 광변조기(240)의 광변조면이 공동 내부를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레이저 다이오드(210)는 차폐 케이스(200)의 입력-출력면(212)의 입구에 출사면이 공동 내부를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면, 레이저를 공동 내부로 출사한다.
그리고, 포물 미러(220)는 레이저 다이오드(210)의 출사면에 대응되는 차폐 케이스(200)의 공동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되는 레이저 다이오드(210)의 방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평행광을 변환하여 공동 내부로 출사한다.
물론, 포물 미러(220)가 레이저 다이오드(210)의 출사광을 직접 입사받지 않고, 그 사이에 반사미러를 구비하여 반사미러를 통하여 입사되는 레이저 다이오드(210)의 출사광을 입사받아 평행광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반사미러(225)는 포물 미러(220)로부터 입사되는 평행광을 실린더 미러(230)측으로 반사하여 입사광이 광경로를 변환시키며, 이렇게 함으로 광경로에 대한 자유도를 부여하여 차폐 케이스(200)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실린더 미러(230)는 반사 미러(225)의 대응되는 위치의 차폐 케이스(200)의 공동 내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집광하고 선형광으로 변화시켜 회절형 광변조기(240)로 입사되도록 한다.
한편, 회절형 광변조기(24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사되는 선형광을 변조하여 여러 회절 차수를 가지는 회절광을 형성하여 출사한다. 이때, 회절광이 출사되는 경로는 레이저 다이오드(210)에서 출사된 입사광이 거쳐온 경로와 반대로 진행하여 입력-출력면(212)에 이르게 된다.
즉, 회절형 광변조기(240)에서 형성된 회절광은 이제 반대로 실린더 렌즈(230)로 방사되어 나가게 되며, 실린더 렌즈(230)는 회절형 광변조기(240)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을 반사하여 평행광으로 변화시켜 반사 미러(225)로 향하도록 한다.
그러면, 반사미러(225)는 실린더 렌즈(230)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경로를 변화시켜 포물 미러(220)로 향하도록 한다.
포물 미러(220)는 실린더 렌즈(230)에서 반사미러(225)를 경유하여 입사된 회절광을 반사하여 집광하고 선형광으로 변화시켜 입력-출력면(212)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입력-출력면(212)에는 입구 외에서 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포물 미러(220)로부터 반사되는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만을 통과시켜 이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회절광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의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광학계의 구성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광학구조를 통하여 탁월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부품수 감소를 통한 효율 증대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동의 내부로 광의 출입할 수 있도록 입력홀과 출력홀이 형성되어 있는 차폐 케이스;
    상기 차폐 케이스의 입력홀에 부착되어 있으며, 출사면이 공동 내부로 향하고 있어 광을 생성하여 공동 내부로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출사면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차폐 케이스의 공동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포물면 형상을 하고 있고, 정방향의 입사광을 평행광이 되도록 반사하고, 역방향의 입사광을 집광되어 출력홀을 향하도록 반사하는 제1 반사수단;
    상기 제1 반사수단에 대향하여 상기 차폐 케이스의 공동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실린더 포물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정방향의 입사광을 집광되도록 반사하고, 역방향의 입사광을 평행광이 되도록 제1 반사수단으로 반사하는 제2 반사수단; 및
    상기 제2 반사수단에 대향하는 상기 차폐 케이스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사되는 입사광을 변조하여 회절광을 형성하여 제2 반사수단으로 출사하는 회절형 광변조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케이스의 재료는 유리, 플라스틱, 단결정 반도체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 고발광 LED(Superlminescent LED)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케이스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과 상기 제1 반사수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제1 반사수단으로 반사하고, 상기 제1 반사수단에서 출사하는 광을 출력홀측으로 반사하는 제 3 반사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케이스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반사수단과 상기 제2 반사수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반사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제2 반사수단으로 반사하고, 상기 제2 반사수단에서 출사하는 광을 제1 반사수단으로 반사하는 제 4 반사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46254A 2005-05-31 2005-05-31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5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54A KR100815351B1 (ko) 2005-05-31 2005-05-31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54A KR100815351B1 (ko) 2005-05-31 2005-05-31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364A KR20060124364A (ko) 2006-12-05
KR100815351B1 true KR100815351B1 (ko) 2008-03-19

Family

ID=3772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254A KR100815351B1 (ko) 2005-05-31 2005-05-31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71B1 (ko) * 2007-08-07 2008-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투사 장치
JP7324989B2 (ja) * 2019-07-30 2023-08-14 株式会社ジェイテ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形状可変ミラ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9392A (en) 1979-02-01 1981-09-15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Pentagonal roof reflecting mirror assembly
US5835231A (en) 1997-10-31 1998-11-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Commerce Broad band intra-cavity total reflection chemical sensor
US6749346B1 (en) 1995-11-07 2004-06-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iniature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US20040184012A1 (en) 2003-03-19 2004-09-23 Hidehiko Hori Optical system and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equipped with optica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9392A (en) 1979-02-01 1981-09-15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Pentagonal roof reflecting mirror assembly
US6749346B1 (en) 1995-11-07 2004-06-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iniature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US5835231A (en) 1997-10-31 1998-11-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Commerce Broad band intra-cavity total reflection chemical sensor
US20040184012A1 (en) 2003-03-19 2004-09-23 Hidehiko Hori Optical system and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equipped with optic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364A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410B2 (en) Illuminating apparatus and projector
KR100815366B1 (ko) 1판넬 회절형 광변조기 및 그를 이용한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03599B1 (ko) 조명계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션 시스템
EP1860889B1 (en) Projection display system
US7481538B2 (en) Illuminator and projector
JP7122592B2 (ja) 照明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投写型画像表示装置
US20120086917A1 (en) Optical unit,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optical diffuser
JPWO2007023649A1 (ja) 照明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投写型ディスプレイ装置、照明方法、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投影方法
US7227594B2 (en) Display device using optical modulator equipped with lens system having improved numerical aperture
CN109324467B (zh) 光源装置以及投影型显示装置
US20110128505A1 (en) Laser beam source device, laser beam sourc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projector, and monitoring device
WO2010061884A1 (ja) 光変調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装置
US7495814B2 (en) Raster scanning-type display device using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KR100815351B1 (ko)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90291B1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래스터 스캐닝 방식의디스플레이 장치
KR101235807B1 (ko)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US20080036974A1 (en) Display device using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and having image distortion function
JP2010210813A (ja) アクチュエーター、光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0197621A (ja) 光源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KR100815340B1 (ko) 균일성 구현을 위한 다각 반사 조명 장치
KR100897673B1 (ko) 프리즘 스캐너와 그를 이용한 회절형 광변조기의디스플레이 장치
JP2008292672A (ja) 色分離合成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
JP2019101409A (ja) 光源装置、及び投写型画像表示装置
KR100832637B1 (ko) 차수 분리 및 다중빔 방식의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린팅 장치
KR100871024B1 (ko) 바타입의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