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718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718B1
KR100813718B1 KR1020060135421A KR20060135421A KR100813718B1 KR 100813718 B1 KR100813718 B1 KR 100813718B1 KR 1020060135421 A KR1020060135421 A KR 1020060135421A KR 20060135421 A KR20060135421 A KR 20060135421A KR 100813718 B1 KR100813718 B1 KR 100813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indoor
unit
air conditioner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718B1/ko
Priority to EP07851651A priority patent/EP2095033A2/en
Priority to PCT/KR2007/006685 priority patent/WO2008078906A2/en
Priority to CN200710307130XA priority patent/CN10121072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설치블럭을 구비하지 않고 실내기 내부에 그릴승강수단의 설치가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그릴(120)과, 상기 흡입그릴(120)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80)와, 상기 흡입그릴(120) 외측에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오리피스(180)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전면판넬(110)과,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또는 전면판넬(1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224)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그릴(120)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다수의 그릴승강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내부 일측에 구동부(2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230)가 구비되어 상기 오리피스(180) 또는 전면판넬(110)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흡입그릴, 그릴승강수단, 오리피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그릴승강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을 분리시켜 실내기 내부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키트박스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그릴승강수단이 오리피스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7a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
도 7b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그릴승강수단이 작동하여 전면판넬이 하강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전면판넬
112. 흡입구 114. 토출구
116. 루버 118. 모터커버
119. 모터수리용커버 120. 흡입그릴
122. 공기유동공 130. 캐비넷
140. 베이스 142. 에어가이드
150. 드레인팬 154. 관통구
160. 실내열교환기 170. 실내팬
172. 팬모터 180. 오리피스
182. 오리피스공 190. 플라즈마필터
192. 필터브라켓 194. 집진필터
196. 컨트롤박스 198. 인쇄회로기판
200. 그릴승강수단 220. 승강키트
222. 체결구멍 224. 구동부
226. 롤러부 228. 키트박스
228'. 박스몸체 228". 박스커버
229. 관통구멍 230. 승강제어부
240. 와이어 260. 키트브라켓
262. 삽입구멍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블럭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실내기 내부에 설치 가능한 그릴승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실내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나 소음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즉,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이하 '실내기'라 칭함)의 구 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그릴승강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하면이 천장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0)과, 상기 전면판넬(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20)과, 상기 실내기(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30)과, 상기 캐비넷(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가 천장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베이스(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은 내부가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되어 상기 흡입그릴(20)이 장착되며 하면에는 직사각형상의 토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10)의 전후좌우에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에는 토출구(12)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4)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14)는 상기 토출구(12)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공기 유동 방향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는 흡입그릴(2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20)의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제되어 상하부가 관통되도록 흡입구(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의 상측에는 에어필터(5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50)는 상기 흡입구(22)를 통해서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실내기(1) 내부의 이물 적재를 차단한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전면판넬(1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60)이 안착된다. 상기 드레인팬(6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70)가 공기를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집수공간(62)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60)은 흡입구(2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중앙을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60)의 중앙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관통구(6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64)를 통해 실내 공기는 드레인팬(60)의 상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통구(64) 내부에는 오리피스(66)가 삽입된다. 상기 오리피스(66)는 드레인팬(60) 하측의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80)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원통 모양을 가지며, 하단부가 외측으로 펼쳐져 상단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집수공간(62)의 상측에는 실내열교환기(7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 환기(70)는 상기 에어필터(50)에 의해서 정화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상기 집수공간(62)과 대응되는 횡단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70)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62)에 집수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0)의 외측에는 상기 실내기(1)의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넷(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0)은 대략 8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단부는 상기 전면판넬(10)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지지대(42)와 결합된다.
즉, 상기 캐비넷(30)의 상단부에는 베이스지지대(42)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구(32)가 돌출 성형되어 베이스지지대(42)와 결합 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판넬(10) 상면과 스크류체결 가능하도록 체결플랜지(34)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8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8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82)와 연결되며, 상기 팬모터(8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82)가 회전하여 상기 실내기(1) 내부에 공기 유동이 강제되면,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실내 공기는 흡입되며,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서 열교환 된 후 상기 캐비넷(30)에 의해서 안내되어 토출구(12)로 토출가능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82)는 모터마운트(84)에 의해서 유동이 규제된다. 즉, 상기 모 터마운트(84) 내부에는 팬모터(82) 상부의 유동이 규제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모터마운트(84)는 전술한 베이스(40)의 저면 중앙부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8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유동이 규제된 상태로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40)와 캐비넷(30) 사이에는 베이스지지대(4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대(42)는 팬모터(82)와 실내팬(80)의 하중이 상기 베이스(40)에 의해 지지될 때 하중으로 인한 베이스(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전면판넬의 상측에는 그릴승강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90)은 흡입그릴(20)의 상/하방향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릴승강수단(90)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키트(92)와, 상기 구동키트(92)가 발생한 회전력을 흡입그릴(20)에 전달하는 와이어(94)와, 상기 드레인팬(60)과 전면판넬(10)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팔각형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구동키트(92)가 설치되는 설치블럭(96)과, 상기 구동키트(92)의 작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9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블럭(96)은 중앙부가 천공되어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상방 유동하는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70)로 유동되도록 안내하게 되며, 테두리부에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7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구(12)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블럭(96)의 내부 벽면에는 상기 구동키트(92)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키트(92)는 설치블럭(96)의 좌/우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되며, 도시되진 않 았지만 상기 구동키트(92) 내부에는 구동모터와 롤러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는 롤러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롤러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94)는 선택적으로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94)의 단부가 흡입그릴(20)의 상면 좌/우측에 결합 고정되면, 상기 구동모터(미도시)가 회전시에 와이어(94) 길이의 변화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20)은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1) 내부에는 흡입그릴(20)을 승강시키기 위한 그릴승강수단(9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그릴승강수단(90)은 전면판넬(10)과 드레인팬(60)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그릴승강수단(90)이 설치된 실내기(1)는 설치블럭(96)의 두께만큼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결국 실내기(1)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천장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설치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수의 증가는 실내기의 하중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그릴승강수단(90)은 다수개의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구동키트(92), 와이어(94), 설치블럭(96) 및 승강제어박스(98)로 구성된다. 따라서, 실내기(1)에 그릴승강수단(90)을 장착하게 되면 실내기(1)의 비용이 증가하 게 되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블럭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실내기 내부에 설치 가능한 그릴승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실내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키트의 작동 제어를 위한 승강제어부가 승강키트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릴승강수단을 컴팩트화함으로써 기존 설치블럭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실내기에도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흡입그릴 외측에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오리피스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오리피스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다수의 그릴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릴승강수단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그릴승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제어부는 다수의 그릴승강수단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됨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승강제어부는, 상기 그릴승강수단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흡입그릴 외측에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오리피스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오리피스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다수의 그릴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릴승강수단은 상기 오리피스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리피스는, 냉매와 실내공기가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의 내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은,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그릴의 상/하방향 유동을 강제하는 다수개의 승강키트와; 일단부가 상기 흡입그릴과 결합되며, 상기 승강키트에서 발생한 회전동력을 흡입그릴로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키트는,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롤러부와; 상기 구동부와 롤러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키트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키트의 외면 일측에는, 판재로 절곡 성형되고, 상기 승강키트와 오 리피스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키트가 오리피스에 지지되도록 하는 키트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트박스의 상/하면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천공된 관통구멍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내부 공간 효율이 극대화되며, 설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을 분리시켜 실내기 내부를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면은 천장 하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10)과, 상기 전면판넬(1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120)과, 상기 실내기(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130)과, 상기 캐비넷(1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도 4의 도면부호 1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은 중앙부가 사각형상으로 천공된 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면판넬(110)의 중앙부에는 흡입구(112)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12)에는 상기 흡입그릴(120)이 위치하여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그릴(120)은 실내기(100) 내부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11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120)의 상면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선택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에어필터(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필터는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전면(全面)에는 미세구멍(미도시)이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미세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잔류되어 상기 에어필터(미도시)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이물의 적재가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120)은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상기 흡입그릴(120)의 전면(全面)에는 등간격으로 길게 공기유동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공(122)은 흡입그릴(1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100) 내부 중앙의 공간이 실내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가 작동시에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122)을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되며, 상기 토출구(114)에 의해 안내되어 다시 실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110)의 전/후 좌/우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토출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4)는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가 실내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4) 내부에는 토출구(114)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16)가 장착된다. 상기 루버(116)는 토출구(114)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양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116)의 일단부에는 루버모터(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루버모터는 전원이 인가될 때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루버(116)와 축결합됨으로써 상기 루버(116)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모터는 다수개의 루버(116)와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된다. 즉, 1개의 루버(116)에 1개의 루버모터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 루버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다수개 루버(116)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루버모터 중에서 1개만 작동시켜 이와 축결합된 루버(116) 1개만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4개의 루버모터를 모두 작동시켜 모든 루버(116)를 회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로써 상기 루버(116)의 상면과 토출구(114)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루버모터의 회동에 의해 루버(116)와 토출 공기의 접촉각이 시시각각 변하게 되어 상기 루버(116)는 토출 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상면 모서리부에는 모터커버(118)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커버(118)는 상기한 루버모터가 전면판넬(110)의 상면 모서리부에 설치됨에 따라 루버모터가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것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4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커버로부터 이격된 하측 즉, 상기 전면판넬(110)의 하면 모서리부에는 모터수리용커버(119)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수리용커버(119)는 루버모터가 고장시에 전면판넬(1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루버모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160)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실내공기가 열교환시에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방에서 본 실내열교환기(160)의 외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집수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공간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160)의 하단부가 수용 및 안착됨으로써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형성된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은 에어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150)의 중앙부에는 동그랗게 관통구(154)가 천공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112)와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수공간(미도시)의 상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열교환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에어필터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ㅁ" 형상으로 절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늘고 긴 관을 다수회 절곡한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볼 때 사각형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한 실내 공기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 강제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열교환하게 되며, 열교환 과정 중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공간(미도시)에 집수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측에는 전술한 캐비넷(1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130)은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상방에서 볼 때 8각형을 이루며, 상기 실내기(100)의 전후좌우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실내기(100) 내부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의 하단부는 전면판넬(110)의 상면 테두리부에 접 촉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베이스(140)의 하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넷(130)의 상/하단부에 상기 베이스(140)와 전면판넬(110)이 결합되면,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다수개 부품이 내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비넷(130)과 실내열교환기(160) 사이에는 에어가이드(142)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42)는 내부가 빈 사각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캐비넷(130)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42)의 횡단면 크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보다는 크고 전면판넬(110) 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72)와 연동하여 공기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풍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팬모터(17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관통구(154) 및 흡입구(112)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를 관통함으로써 냉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 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구(154) 내부에는 오리피스(18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80)는 드레인팬(150)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드레인팬(15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80)의 내부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상기 드레인팬(150) 하측의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82)이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경은 실내팬(170)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부에 상기 실내팬(17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회동하여 하측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150)을 기준으로 하측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좌측에는 플라즈마필터(190)가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필터(19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대전시켜 흡착하는 것으로, 전/후단부가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일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라즈마필터(190)의 상측에는 필터브라켓(192)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브라켓(192)은 플라즈마필터(190)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구속력을 발 생하여 상기 플라즈마필터(19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브라켓(192)은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브라켓(192)에 의해 구속된 플라즈마필터(190)는 상기 필터브라켓(192)이 오리피스(180)에 결합됨에 따라 하방향으로 낙하되지 않고 필터브라켓(192)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어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브라켓(192)과 플라즈마필터(190) 사이에는 집진필터(19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집진필터(194)는 상기 에어필터(미도시)와 플라즈마필터(190)에 2차적인 필터링에도 불구하고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이물을 한번 더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브라켓(192)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와 플라즈마필터(190) 및 집진필터(194)를 거쳐 3단계로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 이물 적재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보다 더 쾌적한 실내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우측에는 컨트롤박스(196)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96)는 실내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98)이 내장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전/후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그릴승강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상기 흡입그릴(120)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리피스(180)와 전면판넬(110) 사이에 설치되며, 와이어(240)를 선택적으로 권취함으로써 상기 흡입그릴(110)을 승강시킬 수 있 게 된다.
상기 와이어(240)의 하단부는 상기 흡입그릴(120)의 상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와이어(240) 하부는 각각 두 갈래로 갈라져 하단부가 상기 흡입그릴(120)의 네 모서리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240)는 실질적으로 상기 흡입그릴(120)의 네 곳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흡입그릴(120)을 승/하강시에 흡입그릴(120)의 흔들림은 최소화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그릴승강수단의 구성을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키트박스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그릴승강수단이 오리피스(180)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오리피스(18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의 좌/우측면에는 키트브라켓(260)이 구비된다. 상기 키트브라켓(260)은 그릴승강수단(200)이 오리피스(18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키트브라켓(260)은 사각판재를 직교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직교하는 두 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승강키트(220)의 외면과 오리피스(180)의 하면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키트브라켓(260)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멍(262)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180)와 아래에서 설명할 키트박스(228) 외면에는 상기 삽입구멍(262)과 대응되는 개수의 체결구멍(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키트브라켓(260)의 삽입구멍(262)에 체결부재를 삽입한 후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를 체결구멍(222)에 체결시키게 되면,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키트브라켓(260)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어 오리피스(180)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크게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그릴(120)의 상/하방향 유동을 강제하는 다수개의 승강키트(220)와, 하단부가 상기 흡입그릴(120)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롤러부(226)에 선택적으로 권취되어 상기 승강키트(220)가 발생한 회전동력을 흡입그릴(120)로 전달하는 와이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키트(220)가 와이어(240)를 끌어당기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120)은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흡입구(112)를 차폐하게 되며, 상기 승강키트(220)가 와이어(240)의 길이를 늘어뜨리게 되면 상기 흡입구(112)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승강키트(22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224)와, 상기 구동부(224)와 연동하여 상기 와이어(240)를 선택적으로 권취하는 롤러부(226)와, 상기 구동부(224)와 롤러부(226)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승강키트(2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키트박스(2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승강키트(220)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승강키트(220)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모든 구동부(22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승강제어부(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구동부(224)는 한 개의 승강제어부(23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의 회전 동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224)는 전원을 인가받았을 때 회전 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모터가 적용되며, 상기 롤러부(226)는 구동부(224)가 발생한 회전동력으로 회전하여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240)를 감거나 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224)와 롤러부(226)의 일측에는 풀리(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풀리에 밸트(미도시)를 인장력을 가지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구동부(224)와 롤러부(226) 일측에 각각 기어(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동부(224)와 롤러부(226)가 연동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40)의 일단부(토출그릴에 결합된 단부의 반대측)는 롤러부(226)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이것은 상기 롤러가 회전하여 와이어(240)가 완전히 풀렸을 때 롤러부(226)로부터 와이어(24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224)와 롤러부(226)는 전술한 키트박스(228) 내부에 내장된다. 상기 키트박스(228)는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몸체(228')와, 상기 박스몸체(228')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박스커버(2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박스몸체(228') 내부에 구동부(224)와 롤러부(226) 및 승강제어부(2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박스몸체(228') 상단부에 박스커버(228")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박스몸체(228')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키트박스(228)의 상/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와이어(240)가 관통되도록 동그랗게 천공된 관통구멍(229)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229)은 와이어(240)가 키트박스(228)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박스커버(228")와 박스몸체(228')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40)는 박스몸체(228')와 박스커버(228")에 형성된 관통구멍(229)을 통해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며, 이것은 상기 키트박스(228)의 장착 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키트박스(22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트브라켓(260)이 상부 외면에 결합되어 오리피스(180)에 고정되어질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6과 같은 상태로 결합된 키트박스(228)와 키트브라켓(260)을 회전시켜 상면이 하측에 놓이도록 한 다음, 상기 전면판넬(110) 상면 일측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키트박스(228)가 전면판넬(110)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흡입그릴(120)은 박스커버(228")에 근접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240)는 박스커버(228")에 형성된 관통구멍(229)을 통해 인출된 후 상기 흡입그릴(120)과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제어부(230)는 구동부(224)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키트박스(228)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승강제어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트박스(228) 내부 벽면으로부터 8㎜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것은 상기 승강제어부(230)로 인가되는 전원이 키트박스(228)로 누전되었을 때 발생될 수 있는 감전 및 여타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제어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과 연동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리모컨은 그릴승강수단(20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실내기(100) 조작을 위한 리모컨에 그릴승강수단(200)의 조작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승강제어부(230)는 실내기(100)가 작동중일 때에는 상기 리모컨을 조작하게 되더라도 구동부(224)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70)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속도, 보다 정확하게는 150RPM 이상일 때에도 상기 승강제어부(230)는 구동부(224)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상기 실내기(10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승강제어부(230)는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의해 흡입그릴(120)이 개방되었을 때 실내기(100)의 시운전은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실내기(100)의 서비스를 위해 흡입그릴(120)을 하강시켰을 때 실내기(100) 내부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서 상기 전면판넬(110)이 드레인팬(150)의 하면에 근접하여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팬모터(172)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며, 상기 팬모터(172)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상기 실내팬(170)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상기 흡입그릴(120)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는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강제된다.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흡입구(112)를 관통한 후에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후 상기 에어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플라즈마필터(190) 및 집진필터(194)에 의해 재차 필터링되며, 이렇게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실내팬(170) 내부 중앙으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팬(17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 강제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냉각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42)와 베이스(14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11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물론 상기 루버(116)는 일정각도만큼 반복적으로 회동하여 토출 공기를 간섭함으로써 실내의 구석진 곳까지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의 작용을 도 3 및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그릴승강수단이 작동하여 전면판넬이 하강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와 같은 상태 즉 상기 흡입그릴(120)이 전면판넬(1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부(224)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224)가 회전동력을 발생하면 상기 롤러부(226)는 구동부(224)와 연동하게 되어 상기 롤러부(226)에 권취되어 있던 와이어(240)를 풀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224)의 회전방향은 구동부(224)와 롤러부(226)가 밸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된 경우와 기어(미도시)에 의해 결합된 경우가 서로 반대방향이 된다.
즉, 상기 구동부(224)와 롤러부(226)가 밸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된 경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부(22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며, 기어로 결합된 경우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부(2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롤러부(226)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240)가 풀어지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120)은 전면판넬(110)의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며(도 7b 참조), 사용자는 상기 흡입그릴(120)의 상면에 안착된 에어필터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제어부(230)는 그릴승강수단(200)의 작동에 의해 흡입그릴(120)이 하방향으로 하강할 때 하강 범위를 제한하여 일정 길이만큼만 하강하도 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흡입그릴(120)에서 분리된 에어필터는 깨끗이 세척되거나 교체되며, 상기 흡입그릴(120)에 에어필터가 다시 설치된 후에는 상기 구동부(22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흡입그릴(120)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전면판넬(110)의 중앙부를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제어부(230)는 상기 구동부(224)에 의해 권취된 와이어(240)의 길이를 인식하여 상기 흡입그릴(120)의 위치가 전면판넬(110)과 동일한 높이에 놓이게 되면 상기 구동부(224)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구동부(224)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그릴승강수단이 별도의 설치블럭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내기 내부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내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며, 설치블럭을 별도로 구비한 경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설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키트의 작동 제어를 위한 승강제어부가 승강키트 내부에 구비되 며, 승강제어부는 다수개의 승강키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내기의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그릴승강수단을 컴팩트화하여 오리피스 하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 설치블럭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실내기에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릴승강수단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 만족도 향상이 기대된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흡입그릴 외측에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오리피스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오리피스의 하면 또는 전면판넬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다수의 그릴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릴승강수단은 내부 일측에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오리피스 또는 전면판넬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냉매와 실내공기가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의 내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승강수단은,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그릴의 상/하방향 유동을 강제하는 다수개의 승강키트와;
    일단부가 상기 흡입그릴과 결합되며, 상기 승강키트에서 발생한 회전동력을 흡입그릴로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 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키트는,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롤러부와;
    상기 구동부와 롤러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키트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키트의 외면 일측에는,
    판재로 절곡 성형되고, 상기 승강키트와 오리피스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키트가 오리피스에 지지되도록 하는 키트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박스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를 차폐하는 박스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박스몸체와 박스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응되는 크기로 천공되어 상기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관통하도록 안내하는 관통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실내팬의 회전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일 때 구동부의 작동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키트박스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는 다수 갈래로 갈라져 상기 흡입그릴의 상면 일측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상기 롤러부에 권취된 와이어의 길이만큼 흡입그릴의 하강길이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리모컨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상기 실내기가 동작하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리모컨에 의해 신호를 받더라도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상기 흡입그릴이 개방된 경우, 상기 실내기의 시운전은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135421A 2006-12-27 2006-12-2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13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421A KR100813718B1 (ko) 2006-12-27 2006-12-2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07851651A EP2095033A2 (en) 2006-12-27 2007-12-20 Controller assembly of air conditioner
PCT/KR2007/006685 WO2008078906A2 (en) 2006-12-27 2007-12-20 Controller assembly of air conditioner
CN200710307130XA CN101210725B (zh) 2006-12-27 2007-12-27 空调的控制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421A KR100813718B1 (ko) 2006-12-27 2006-12-2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718B1 true KR100813718B1 (ko) 2008-03-13

Family

ID=3939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421A KR100813718B1 (ko) 2006-12-27 2006-12-2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13718B1 (ko)
CN (1) CN1012107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602B1 (ko) * 2021-09-09 2022-01-14 장현실 천장형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3845B (zh) * 2012-05-16 2016-07-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走线装置及空调器
CN104566877A (zh) * 2014-12-20 2015-04-29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电机的走线结构
CN106181852B (zh) * 2015-04-29 2020-12-08 宸展光电(厦门)股份有限公司 钩槽配合的拆卸装置及具有该拆卸装置的组件
CN108169983A (zh) * 2016-12-07 2018-06-15 中航国画(上海)激光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结构及基于该连接结构的激光投影机外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20A (ko) * 2001-06-25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분할식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
KR20060005847A (ko) * 2004-07-14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0959B2 (ja) * 1990-03-29 1999-03-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JP2002115890A (ja) * 2000-10-05 2002-04-19 Sekisui Chem Co Ltd 冷暖房装置の選択入力方法
CN1294389C (zh) * 2002-05-22 2007-01-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显示控制板的安装结构
CN2847121Y (zh) * 2005-11-14 2006-12-13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空调室内机控制板底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20A (ko) * 2001-06-25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분할식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
KR20060005847A (ko) * 2004-07-14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602B1 (ko) * 2021-09-09 2022-01-14 장현실 천장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10725A (zh) 2008-07-02
CN101210725B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86235A (ja) 壁掛け型空気調和装置
KR1008137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00804B1 (ko)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KR100953198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500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75632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0654999B1 (ko) 공기조화기
KR1011396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968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299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979017A (zh) 分体式空调器室内机的电机盖结构
JP4641228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6011961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필터 제어 방법
KR1005299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구조
KR2008005693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05052455A1 (ja) 天吊型空気調和装置
CN218001662U (zh) 空调室内机
KR20060098262A (ko) 공기조화기
KR20050052142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146095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증발수받이의 전선고정장치
KR20070069537A (ko) 공기 조화기
KR102643409B1 (ko) 공기조화기
KR10051762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813327B1 (ko) 공기 조화기용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KR2008001151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