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442B1 - 묘삼 이식기 - Google Patents

묘삼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442B1
KR100813442B1 KR1020060096707A KR20060096707A KR100813442B1 KR 100813442 B1 KR100813442 B1 KR 100813442B1 KR 1020060096707 A KR1020060096707 A KR 1020060096707A KR 20060096707 A KR20060096707 A KR 20060096707A KR 100813442 B1 KR100813442 B1 KR 10081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edlings
movable
pi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희
강태경
이공인
이채식
황성준
최덕규
곽태용
김충길
김진영
이성우
이규승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6009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묘포에서 키운 묘삼을 삼포에 이식할 때 수행하는 작조(作條)작업과 식부(植付)작업 및 복토(覆土)작업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자동수행하는 묘삼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기체와, 상기 기체를 주행시켜 주게 전측부에 설치되는 주행장치와, 상기 기체의 주행장치의 직 후방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행장치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작동하여 두둑의 흙을 파서 묘삼을 이식하는 구덩이를 바닥이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만드는 작조장치와, 상기 작조장치의 후방에 위치하게 기체에 설치되며 구덩이에 이식할 묘삼을 낱개로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상기 공급장치의 직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기체가 소정의 거리를 주행한 후 정지하면 작동하여 공급장치로부터 낱개로 공급받은 묘삼을 구덩이의 경사진 바닥에 경사지게 이식하는 식부장치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묘삼, 인삼, 묘삼 이식기

Description

묘삼 이식기{Ginseng seedling transplanter}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묘삼 이식기의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동 묘삼 이식기의 측면도
도 3은 동 묘삼 이식기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4는 동 묘삼 이식기의 정면도
도 5a-d는 동 묘삼 이식기에서 작조장치를 발췌하여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a는 동 묘삼 이식기에서 공급 및 식부장치의 좌측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6b는 동 묘삼 이식기에서 공급 및 식부장치의 우측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7a,b는 동 묘삼 이식기에서 공급 및 식부장치의 일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8a-c는 동 묘삼 이식기에서 공급 및 식부장치의 일부를 발췌하여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a-e는 동 묘삼 이식기에서 공급 및 식부장치의 작동상태를 일부를 발췌하여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10a-c는 동 묘삼 이식기에서 공급 및 식부장치의 작동상태를 일부를 발췌 하여 좌측에서 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체 13 : 손잡이
16 : 바퀴 20 : 주행장치
21 : 전동기 22 : 클러치
23,23' : 제1,2 전동기구 24, 24' : 캐터필러
30 : 작조장치 31 : 전동기구
32 : 굴삭기구 33 : 승강기구
34 : 감지센서 321 : 주축
323 : 지축 326 : 작조판
331 : 구동모터 332 : 구동링크
335 : 가동링크 336 : 가동로드
337 : 연동링크 40 : 공급장치
41 : 호퍼 42 : 로드
43 : 솔레노이드 44 : 코일스프링
50 : 식부장치 51 : 구동기구
52 : 동력전달기구 53 : 이동기구
54 : 이식기구 54a : 집게부재
54b : 가변부재 54c,d :제1,2 전환부재
본 발명은 묘삼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묘포에서 키운 묘삼을 삼포에 이식할 때 수행하는 작조(作條)작업과 식부(植付)작업 및 복토(覆土)작업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자동수행하는 묘삼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인삼재배의 종주국이지만 최근 가격 경쟁력이나 인삼에 대한 인식부족 등의 이유로 인하여 세계시장에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실정임은 물론 인삼재배에 있어서 국내의 여건은 여타의 농작물과 마찬가지로 농촌인구의 감소와 노령화 및 인건비의 상승과 연작재배가 곤란한 특성으로 인하여 초작지를 찾아 새로이 경작해야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인삼은 오랜 기간 국가의 전매품으로 보호 관리되고 있음은 물론 농산물로는 유일하게 육성관리를 위한 인삼산업법(1995년)의 제정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우리나라는 호당 재배면적이 0.3ha이고 4~6년근을 수확하는데 비하여 중국이나 북미는 호당 3ha이상의 대규모 재배면적에서 값싼 임차료와 대형 농기계를 사용하여 3~4년근을 수확하기 때문에 저가의 인삼생산이 가능하므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인삼재배는 차양(遮陽)의 설치와 묘삼의 이식은 물론 제초 및 농약의 살포 등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특히 이식작업은 묘포에서 약 1년간 키운 묘삼을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 사이에 뿌리가 굽혀지지 않도록 43-47°의 각도로 이식하여야 하므로 짧은 작업기간 동안에 많은 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하여야 됨에 따라 인삼의 생산비용 중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직파(直播)의 확대 등 재배방식의 전환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직파재배된 인삼은 43-47°의 각도로 이식재배한 인삼과는 달리 고려인삼의 특징인 사람형상(人)을 닮지 않고 직근(直根) 형태로 되므로, 출하시 제값을 받지 못하게 되었음은 물론 홍삼으로의 가공이 부적합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묘삼을 삼포에 이식할 때 인력으로 수행하던 작조작업과 식부작업 및 복토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계 장치가 필요하였지만, 종래에는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삼을 이식재배하는데 필요한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묘삼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삼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묘삼 이식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은 묘삼을 이식할 때 수행하는 작조작업부터 식부작업 및 복토작업까지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자동수행하는 묘삼 이식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러한 묘삼 이식기는 기체와 상기 기체를 주행시켜주는 주행장치와, 상기 기체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행장치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작동 하여 두둑의 흙을 파서 묘삼을 이식하는 구덩이를 바닥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만드는 작조장치와, 상기 작조장치의 후방에 위치하게 기체에 설치되며 구덩이에 이식할 묘삼을 낱개로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상기 공급장치의 직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기체가 소정의 거리를 주행한 후 정지하면 작동하여 공급장치로부터 낱개로 공급받은 묘삼을 구덩이에 경사지게 이식하는 식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묘삼 이식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묘삼 이식기의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묘삼 이식기의 측면도이며,도 3은 동 묘삼 이식기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동 묘삼 이식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묘삼 이식기는 기체(10)와, 상기 기체를 주행시켜 주게 전측부에 설치되는 주행장치(20)와, 상기 기체의 주행장치의 직 후방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행장치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작동하여 두둑(1)의 흙을 파서 묘삼(2)을 이식하는 구덩이(1a)를 바닥이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만드는 작조장치(30)와, 상기 작조장치의 후방에 위치하게 기체에 설치되며 구덩이에 이식할 묘삼을 낱개로 공급하는 공급장치(40) 및 상기 공급장치의 직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기체가 소정의 거리를 주행한 후 정지하면 작동하여 공급장치로부터 낱개로 공급받은 묘삼을 구덩이의 경사진 바닥에 경사지게 이식하는 식부장 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기체(10)는 서로 평행하는 양측 프레임(11)과, 양측의 전·후단에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지지각(121)의 각 하단을 상기 양측 프레임의 전측부 상면에 부착하여 주행장치(20)와 작조장치(30)를 설치하는 기대(12)와, 하향연장된 양단을 상기 프레임들의 후단 상면에 부착하여 기체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거나 인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손잡이(13)를 구비하여 된다.
그리고, 기체(10)의 전방 좌우에는 결합관(15)을 고정 착설하고, 상기 결합관에는 바퀴(16)의 지지관(161)을 결합하여 결속핀(17)으로 결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은, 기체(10)가 두둑(1)을 주행할 때 바퀴(16)들은 양측의 고랑(1b)을 따라 주행하게 함으로써 기체가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두둑에 묘삼(2)의 이식을 완료한 다음에 작업자가 기체를 다른 두둑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손잡이(13)를 잡고 상기 기체를 적절히 들어서 바퀴를 이용하면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방향전환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바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단히 분리하여 보관할 수도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행장치(20)는 기대(12)의 상면에 설치되는 전동기(21)와, 상기 전동기의 동력이 전달되면 가동되어 기체(10)를 주행시켜 주게 프레임(11)의 전·후측 사이를 가로지르게 전·후에 설치되는 캐터필러(24)(24')와, 상기 전동기의 구동축(211)에 축 설치되어 동력을 간헐적으로 상기 캐터필러와 작조장치(30)에 번갈아 전달하는 클러치(22) 및 상기 동력을 캐터필러(24)에 전달하는 제1 전동기구(23)와 캐터필러(24')에 전달하는 제2 전동기구(23')를 구비하여 된다.
클러치(22)는 수동클러치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전동기(21)의 동력을 전·후방에 장착된 캐터필러(24)(24')와 작조장치(30)에 번갈아 간헐적으로 자동전달하기 위해서는 전자클러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동기구(23)는, 구동축(211)에 축 설치하는 구동체인기어(231)와 캐터필러(24)의 전·후 가동축(232)들 중 전측의 가동축에 축 설치하는 전동체인기어(233) 및 상기 구동 및 전동체인기어에 걸어주는 구동체인(234)으로 구성되며, 제2 전동기구(23')는 전·후 가동축(232)들 중 후측의 가동축에 축 설치하는 연동체인기어(235)와 캐터필러(24')의 전·후 가동축(232')들 중 전측의 가동축에 축 설치한 피동체인기어(236)와 상기 연동 및 피동체인기어에 걸어주는 연동체인(237)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1,2 전동기구(23)(23')는 전동기(21)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동력을 동시에 캐터필러(24)(24')에 전달하여 기체(10)를 주행시켜 주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동기의 동력이 클러치(22)의 동작으로 상기 제1 전동기구의 구동체인기어(231)에 전달되면 구동체인(234)과 가동체인기어(233)에 의해 전·후 가동축(232)에 전달됨과 동시에 동력은 상기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 전동기구의 연동체인기어(235)와 연동체인(237)에 의해 피동체인기어(236)로 전달되어 전·후 가동축(232')을 회전시켜 주기 때문에 상기 캐터필러들은 함께 가동하게 되는 것이다.
작조장치(30)는 전동기(21)의 하측부에 위치하게 기대(12)에 설치되는 것으 로서, 도 5a-d에서와 같이 상기 전동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31)와, 동력이 전달되면 작동하여 두둑(1)에 구덩이(1a)를 파는 굴삭기구(32) 및 상기 굴삭기구의 전단부를 하강 또는 상승시켜 주는 승강기구(33)를 구비하여 된다.
전동기구(31)는 구동축(211)에 축 설치되며 전동기(21)의 동력이 클러치(22)의 동작으로 전달되면 회전하는 주동체인기어(311)와, 굴삭기구(32)의 주축(321)에 축 설치되는 종동체인기어(312) 및 상기 주동 및 종동체인기어에 걸어주는 체인(3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동기구(21)는 전동기(21)의 동력이 클러치(22)에 의해 주동체인기어(311)에 전달될 때에는 작동하여 굴삭기구(32)를 가동시켜 주고, 동력이 상기 클러치에 의해 구동체인기어(231)로 전달될 때에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굴삭기구(32)는 기대(12)의 양측 후방 지주(121)들의 하부에 양단부를 축 결합하여 프레임(11)의 상측부를 가로지르게 설치하는 주축(321)과, 상기 주축의 양측부에 후단을 각각 축 결합하는 소정길이의 좌우 지지대(322)와, 상기 지지대들의 선단부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각 선단부에 축 결합한 지축(323) 및 상기 주축과 지축의 각 양단부에 축 설치한 체인기어(324)들과, 상기 체인기어들의 사이에 각각 걸어주는 양측의 체인(325)들의 외측 둘레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가로 지르게 양단을 부착한 복수의 작조판(326)을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굴삭기구(32)는 평상시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수평상태로 있게 하므로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흙을 팔 때에는 전동기(21)의 동력이 클러치(22)의 작동으로 주축(321)에 전달되어 작조판(326)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줌과 동시에 도 5b,c에서와 같이 승강기구(33)가 작동하여 상기 굴삭기구의 선단부를 주축(321)을 축으로 하여 하강회전시켜 지면에 접지되게 하여 흙을 파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작조판들의 각 단부는 두둑(1)의 흙을 보다 용이하게 팔 수 있도록 갈퀴 형태로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회동하고 있는 작조판(326)들은 지면에 접지되어 흙을 파내게 되는데, 이때 승강기구(33)는 굴삭기구(32)의 선단부를 43-47°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강시켜 주기 때문에 상기 작조판들은 두둑(1)에 바닥이 후방을 향해 43-47°의 각도로 상향경사지는 구덩이(1a)를 파게 된다.
이와 같이 구덩이(1a)를 바닥이 후방을 향해 43-47°로 상향경사지게 파는 것은 묘삼(2)을 43-47°의 각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로 이식재배하여야 고려인삼의 특징인 사람형상(人)을 닮게 되어 출하시 제값을 받을 수 있게 됨은 물론 홍삼으로의 가공에도 적합하기 때문이다.
승강기구(33)는 구동모터(331)와, 상기 모터축(332)에 일단이 축 결합되는 구동링크(333)와, 상단은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연동축(334)으로 축 결합하는 가동링크(335)와, 중간부에 상기 가동링크의 하단이 축 결합 고정되는 가동로드(336) 및 상단은 상기 로드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 고정하고 하단은 지축(323)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한 쌍의 연동링크(337)를 구비하여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승강기구(33)는 전동기(21)의 동력이 클러치(22)에 의해 굴삭기구(32)로 전달되어 복수의 작조판(326)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작동하여 상기 굴삭기구의 선단부를 하강시켜 주므로 작조판들이 지면에 접지되어 두 둑(1)의 흙을 파게 한다.
그러나, 구동모터(331)가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구동링크(333)의 타단은 상승하여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타단에 상단이 힌지축(334)으로 축 설치된 가동링크(335)도 상기 타단이 상승한 만큼 상승하기 때문에 가동로드(336)와 연동링크(337)가 함께 상승하여 지축(323)을 상향시켜 주므로 굴삭기구(32)가 수평상태로 되어 작조판(326)이 지면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기(21)의 동력이 굴삭기구(32)에 전달되어 작조판(326)들이 회동하게 되면, 구동모터(331)가 구동하여 구동링크(333)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므로 그 타단이 축(33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승된 위치에 있던 상기 타단은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지나갈 때까지는 도 5c에서와 같이 하강하다가 하사점을 지나면 다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링크(333)의 타단이 하강할 때에는 상기 타단에 상단이 축 결합된 가동링크(335)가 하강하게 되므로 하단이 축 결합 고정된 가동로드(336)와 그 양단부에 상단이 축 결합 고정된 연동링크(337)들이 지축(323)을 하강시켜 주기 때문에 굴삭기구(32)의 선단부가 하강하게 되며, 이러한 하강과정에서 회동하고 있는 작조판(326)들이 두둑(1)에 접지되어 흙을 파내게 된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지는 구덩이(1a)의 깊이는 모터축(332)과 연동축(334) 사이의 거리에서 수평상태로 있는 굴삭기구(32)의 선단부가 하강하여 작조판(326)들이 지면에 접지하게 되는 거리를 제외한 거리에 비례하게 되며, 바닥은 구동링크(333)에 의해 하강하는 가동링크(335)가 상기 굴삭기구(32)의 선단부를 하강시켜 주게 되는 43-47°의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링크(335)에 의해 굴삭기구(32)의 선단부가 43-47°의 각도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회동하고 있는 작조판(326)들이 구덩이(1a)를 파는 것이며, 이 후 구동링크(333)의 타단이 하사점을 지나서 도 5d에서와 같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가동링크와 함께 굴삭기구의 선단부도 상승하므로 구덩이를 파는 작동은 일단락되는 반면에 계속 상승하는 타단이 상사점에 도달하기 직전에 설치된 감지센서(336)에 감지되면 구동모터(331)가 정지하므로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이 도 5a에서와 같이 상사점의 직 후방에서 정지하여 일 회의 구덩이를 파는 작동이 완료된다.
한편, 구덩이(1a)를 파는 작동을 할 때 전동기(21)의 동력은 클러치(22)에 의해 주행장치(20)로는 전달되지 않고 굴삭기구(32)로 전달되기 때문에 기체(10)가 정지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며, 파는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클러치는 동력을 주행장치로 전달하여 기체를 주행시켜 주게 하는 반면에 굴삭기구로는 전달하지 않아 동력의 낭비가 방지된다.
그리고, 구덩이(1a)를 판 다음 기체(10)가 주행하는 거리는 굴삭기구(32)와 식부장치(50)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는 것으로서, 상기 식부장치가 만들어진 구덩이 위치에 도착하면 클러치(22)의 작동으로 동력은 주행장치(20)로는 전달되지 않고 수평상태로 있는 굴삭기구(32)로 전달되므로 상기 기체는 정지하는 반면에 작조판(326)은 회동을 하게 되지만 이때는 상기 굴삭기구가 수평상태로 있기 때문에 접지에 접지하지 않고 공 회동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체(10)가 정지한 후 식부장치(50)가 작동하여 이미 만들어진 구덩이(1a)에 낱개의 묘삼(2)을 이식하면, 작조장치(30)가 다시 작동하여 두둑(1)의 상기 묘삼이 이식된 구덩이의 직 전방부분을 파서 새로운 구덩이를 만들게 되며, 이때 후방으로 파내지는 흙은 상기 묘삼이 이식된 구덩이에 투입되어 묘삼을 덮어 주므로 이식이 완료된다.
이러한 이식과정에서 작조장치(30)의 직 후방에는 파내지는 흙이 후방으로 멀리 비산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묘삼(2)이 이식된 구덩이(1a)에 투입되게 안내하는 안내판(18)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내지는 흙은 모두 상기 구덩이에 투입되어 이식된 묘삼을 덮어주게 한다.
이렇게 묘삼(2)을 이식하는 구덩이(1a)는, 작조판(326)들의 좌우 폭에 비례하여 두둑(1)을 가로지르는 폭으로 길게 만들어지므로 식부장치(30)는 상기 하나의 구덩이에 복수개의 묘삼을 일정간격으로 하나씩 동시에 이식하게 된다.
공급장치(40)는, 양측 프레임(11)의 후측부에 직립설치한 지주(14)들의 상단부에 양단을 고정하여 가로지르게 설치한 가로대(14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묘삼(2)을 수용하는 복수의 호퍼(41)와, 상기 호퍼들을 동시에 여닫아주게 연결하는 로드(42)와, 상기 로드를 전진시켜 호퍼를 동시에 열어주게 작동하는 솔레노이드(43)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정지되면 로드를 후진시켜 호퍼들을 동시에 닫아주는 코일스프링(44)을 구비하여 된다(도 6a,b참조).
호퍼(41)에는 묘삼(2)이 하나씩 수용되게 낱개로 투입(도 8a 참조)하는 것으로서, 투입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투입하여도 되지만 상기 호퍼의 숫자와 묘삼을 투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물론 뿌리가 위로 향하게 투입해야되는 등의 제반사항을 감안하면 수작업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호퍼(41)는 수직으로 분할되어 상단을 서로 축 결합하며 폭이 넓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서로 합쳐져서 닫히게 하는 가동부재(411)와 고정부재(411')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동부재의 전면에는 결속편(412)을 전방으로 연장하여 로드(42)를 관통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로드의 전·후진에 의해 모든 호퍼의 가동부재가 함께 이동하므로 호퍼는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솔레노이드(43)는 가로대(141)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가동핀(431)의 외단을 연결편(413)으로 로드(42)의 해당부위에 서로 평행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가동핀이 전진하게 되면 연결편에 의해 로드가 함께 전진하므로 모든 가동부재(411)들이 좌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각 호퍼(41)들은 동시에 하부가 벌어져서 열리게 된다(도 8b,c 참조).
이때, 로드(42)가 전진하여 가동부재(411)를 좌측으로 회동시켜 주는 거리는 각 호퍼(41)에 낱개로 수용되어 있는 묘삼(2)이 낙하하여 식부장치(50)에 공급될 수 있는 정도면 된다.
한편, 호퍼(41)에 뿌리가 위로 향하게 묘삼(2)을 거꾸로 투입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부장치(50)가 공급장치(40)로부터 상기 묘삼을 공급받아 바닥이 후방을 향해 43-47°의 각도로 경사지게 만들어진 구덩이(1a)에 이식하기 위해서는 상부에서 수직으로 낙하하여 공급된 상기 묘삼을 잡은 다음 133-137°의 각도로 정 회전시켜 뿌리가 하향하게 함과 동시에 43-47°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강시켜야 상기 구덩이에 정상적으로 이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호퍼(41)에 수용된 묘삼(2)이 낙하하여 식부장치(50)로 공급된 다음 하강하여 구덩이(1a)에 이식되면 솔레노이드(43)의 작동이 정지되며, 이렇게 되면 가로대(141)의 좌측부에 착설되어 로드(42)의 좌단부가 관통하게 지지하는 지지편(414)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상기 로드의 좌측부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받침편(415)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로드가 전진될 때 받침편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44)의 탄력이 작용하여 상기 로드를 후진시켜 주므로 로드에 착설된 각 가동부재(411)들이 동시에 우측으로 회동하여 고정부재(411')와 합치되기 때문에 열려있던 상기 각 호퍼들이 닫히게 되므로 다음 이식을 위한 묘삼을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식부장치(50)는, 구동기구(51)와, 상기 구동기구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52)와, 상기 동력전달기구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133-137°의 각도로 하강 및 승강 회전하며 하강시에는 상기의 각도내에서 전방으로 회동하고 상승하면 후방으로 회동하는 이동기구(53) 및 호퍼(41)로부터 묘삼(2)이 낙하하여 공급되면 파지하며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하여 잡은 묘삼이 구덩이(1a)에 도달하면 이식하는 이식기구(54)를 구비하여 된다(도 6a,b 및 도 7a,b참조).
구동기구(51)는, 양측의 지주(14)들 중에서 일측 지주의 직 후방에 설치되는 모터(511)와, 상기 지주들의 사이를 가로질러 양단부가 지주를 관통하게 축 결합 설치하는 장축(512) 및 상기 모터의 축과 장축에 각각 축 설치하는 가동 및 수동체인기어(513)(514)에 걸어주는 동력전달체인(51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기구(51)의 모터(511)는 정·역 구동하는 것으로서, 정 구동시에는 이식기구(54)를 하강시켜서 묘삼(2)을 구덩이(1a)에 이식할 수 있게 하며, 역 구동시에는 상기 묘삼을 이식한 이식기구를 원위치로 상승시켜 준다.
동력전달기구(52)는, 양측 지주(14)의 각 외측에 위치하게 상기 장축의 양단에 각각 축 설치되는 상부체인기어(521)(521')와, 상기 상부체인들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전방에 위치하게 양측 프레임(11)에 축 설치하는 하부체인기어(522)(522')에 각각 걸어주어 43-47°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동체인(523)(52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동력전달기구(52)는, 모터(511)가 정 구동하면 그 동력이 가동 및 수동체인기어(513)(514)와 동력전달체인(515)에 의해 전달되어 장축(512)을 정 회전시켜 주며, 이렇게 되면 상기 장축의 양단에 축 설치된 상부체인기어(521)(521')와 하부체인기어(522)(522')에 걸어진 가동체인(523)(523')이 동시에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가동체인(523)(523')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범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묘삼(20)의 이식기구(54)가 잡고 있는 부분을 제외한 뿌리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이 구덩이(1a)에 진입하는 정도로 되며, 이러한 상태가 되면 모터(511)가 정지한 후 상기 이식기구가 잡고 있던 묘삼을 놓아서 구덩이에 이식하게 되고, 이 후 상기 모터가 역 구동하여 가동체인들을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이식기구를 원위치로 상승시켜 준 다음 정지한다.
이동기구(53)는, 이식기구(54)가 공급장치(40)로부터 묘삼(2)을 공급받기 위해 상승한 위치에 있을 때 가동체인(523)(523')의 상부체인기어(521)(521')에 근접하는 상측부분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외단을 착설하는 이동대(531)(531')와, 상기 이동대가 43-47°의 각도로 하강 및 상승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가동체인의 내측에 위치하게 지주(14)와 프레임(11)에 상·하단을 착설하여 43-47°의 각도를 유지하게 설치하며 상기 이동대의 일측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532)(532')과, 상기 이동대에 각각 축 설치하는 이동축(533)(533')과, 상기 이동축의 내단에 중간을 축 결합하여 설치하는 회동대(534)(534') 및 상기 회동대가 하강할 때에는 전방으로 133-137°의 각도로 정 회전시켜 주는 스프링부재(535)와, 상기 회동대가 상승하면 후방으로 133-137°의 각도로 역 회전시켜 원위치하게 하는 받침부재(536)을 구비하여 된다(도 6a,b 및 도 7a,b참조).
회동대(534)(534')는 상측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43-47°의 각도로 연장되는 하측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의 상·하단측 내면에는 상·하 가로지지대(537)의 각 양단을 각각 착설하여 이식기구(54)를 설치하고, 받침부재(536)의 선단에는 롤러(536')를 축 설치하여 회동대(534)의 경사부와 마찰을 감소시켜 주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기구(53)는 이동대(531)가 상승한 위치에 있을 때 회동대(534)의 수직부는 상측에 경사부는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는 스프링부재(535)가 후방에서 상기 수직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고 있어도 받침부재(536)의 선단이 상기 경사부의 후면 하단을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기구(51)가 구동되어 그 동력이 동력전달기구(52)에 전달되면 가동체인(523)(523')이 동시에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이동대(531)(531')가 하강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동대(534)의 경사부 후면 하단이 받침부재(536)의 선단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회동대가 더 이상 후면 하단을 받쳐주지 못하게 되므로 회동대는 후방에서 수직부를 밀어주고 있는 스프링부재(535)의 탄성에 의해 이동축(533)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약 133-137°의 각도로 정 회전되어 수직부와 경사부의 상하 위치가 바뀌게 된다.
이렇게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대(534)(534')의 수직부들 사이에 착설된 가로지지대(537)에 설치되어 공급장치(40)로부터 공급된 묘삼(2)을 잡고 있는 이식기구(54)도 상기 회동대와 함께 133-137°의 각도로 정 회전하므로 잡고 있는 묘삼의 뿌리가 하향된 상태로 하강하게 되며, 상기 묘삼이 구덩이(1a)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기구(51)의 구동이 정지하여 상기 회동대가 정지함과 동시에 이식기구는 묘삼을 구덩이에 낙하시켜 이식하게 된다.
다음에는, 구동기구(51)가 역 구동되므로 하강하였던 회동대(534)(534')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회동대의 상향되어 있던 하측의 경사부의 후면이 받침부재(536)의 선단에 받쳐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상기 회동대는 계속 상승하게 되므로 경사부가 받침부재에 받쳐진 상태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회동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후 경사부의 하단 후면이 받침부재의 선단에 받쳐지는 위치까지 상승하면 구동기구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회동대는 133-137°의 각도로 역 회전하여 수직부가 상향하고 정지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회동대(534)(534')가 133-137°의 각도로 정 회전되어 하강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 회전되어 하강할 때에는 이식기구(54)가 약 41-45°의 각도로 하강하다가 잡고 있는 묘삼(2)의 뿌리가 구덩이(1a)의 내부로 진입한 다음부터 묘삼을 낙하시킬 때까지는 비록 짧은 거리이지만 43-47°의 각도로 더 하강한 후 낙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은, 작조장치(30)의 굴삭기구(32)가 두둑(1)의 흙을 팔 때 바닥이 약 43-47°의 각도를 유지하게 파서 구덩이(2)를 만들지만, 바닥이 정확히 상기의 각도를 유지하게 파졌으나 바닥의 상측부에 파낸 흙의 일부가 흘러내려 있거나 묻혀있는 작은 돌이 튀어나와 있는 경우 등에는 이식기구(54)가 잡고 있는 묘삼(2)의 뿌리가 상기 바닥과 동일하게 43-47°의 각도로 상기 구덩이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흘러내린 흙이나 튀어나온 돌 등에 걸려서 휘어지게 되는 등 정상적인 이식이 방해받기 때문에 생육에 큰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회동대(534')의 수직부 상단측 외면에 가이드롤러(538)를 축 결합설치하여 상기 수직부가 정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532')의 상면에 얹혀지게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롤러의 반경에 비례하여 회동대(534)(534')의 수직부가 41-45°의 각도를 유지하는 상태로 하강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 하단부분(a)은 상기 가이드롤러의 반경을 감안하여 상측부 보다 더 경사지게 형성하여 가이드롤러가 상기 하단부분에 위치하면 회동대의 수직부가 43-47°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도 6b 및 10a-c 참조).
이렇게 하면, 가이드롤러(538)가 하단부분(a)에 도달하기 전에는 회동대(534)(534')의 수직부가 약 41-45°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이식기구(54)가 잡고 있는 묘삼(2)도 상기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하강하다가 뿌리가 구덩이(1a)의 내부로 진입한 이후 상기 가이드롤러가 하단부분에 도달하였을 때 43-47°의 각도로 되기 때문에 구덩이에 진입할 때에는 뿌리가 구덩이의 바닥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정상적인 이식이 가능하게 된다.
이식기구(54)는 공급장치(40)의 각 호퍼(41)들의 직 하방에 위치하게 가로지지대(537)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집게부재(54a)와, 상기 호퍼로부터 집게부재에 공급된 묘삼(2)을 동시에 잡게 하고 상기 묘삼을 구덩이(1a)에 이식할 때는 동시에 놓게 하는 가변부재(54b)와, 회동대(534)(534')가 하강할 때 상기 집게부재가 공급된 묘삼을 잡도록 가변부재를 정 동작시켜 주는 제1 전환부재(54c) 및 상기 묘삼을 이식할 때는 가변부재를 역 동작시켜 집게부재가 묘삼을 놓게 하는 제2 전환부재(54d)를 구비하여 된다(도 6a,b 및 도 10a-e 참조).
집게부재(54a)는 하측부를 가로지지대(537)의 해당위치에 서로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직으로 축 결합 설치하는 한 쌍의 집게판(541)(541')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나의 묘삼(2)이 호퍼(41)로부터 낙하 공급되면 상기 집게판들의 서로 간격이 벌어져 있는 상측부 사이에 수용된다(도 8a-c 참조).
가변부재(54b)는 집게판(541)(541')들의 하단 직 하방을 가로지르게 양단을 회동대(534)(534')의 수직부를 관통하게 축 결합하는 가변축(542)과, 회동대(534)의 수직부를 관통한 상기 가변축의 좌단측에 축 설치되어 상기 회동대가 하강될 때 제1 전환부재(54c)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가변축을 정 회전시켜 주는 레버(543)와, 일부분이 상기 집게판들의 하단 사이에 개재되게 가변축에 각각 축 설치되며 축공을 깃점으로 양면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변휠(544) 및 상기 집게판들의 하단부에 양단을 착설하여 하부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당겨주게 설치되는 코일스프링(54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변부재(54b)는, 솔레노이드(43)가 작동하여 도 8b에서와 같이 가동부재(411)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각 호퍼(41)를 열어주면 수용된 하나의 묘삼(2)이 낙하하여 그 직 하방에 있는 각 집게부재(54a)의 집게판(541)(541')의 상측부 사이에 수용된 다음에 구동기구(51)의 작동으로 이동기구(53)의 회동대(534)(534')가 하강을 하게되면 도 8c에서와 같이 상기 집게판들이 상측부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묘삼을 파지토록 함으로써 회동대가 133-137°의 각도로 정 회전하여 묘삼의 뿌리가 하향하는 43-47°의 각도로 하강한 후 구덩이(1a)에 이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집게판(541)(541')의 상측부 사이에 묘삼(2)이 수용된 후에 회동대(534)(534')들이 하강을 시작할 때에는 레버(543)의 하부가 제1 전환부재(54c)의 내부 장착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단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단이 축 결합되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전환편(546)의 상단에 받쳐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레버의 하부가 전환편의 상단을 통과할 때에는 돌출되어 있는 상단에 받쳐져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레버가 정 회전하여 가변축(542)이 함께 정 회전하며, 이렇게 되면 각 가변휠(544)이 동시에 정 회전하여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상기 집게판들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집게판들 하부의 간격이 벌어지 게 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상부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기 때문에 상부에 수용되어 있는 묘삼을 잡아 주게 된다(도 8c 및 도 9a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도 계속 하강하는 회동대(534)(534')들의 각 경사부의 하단 후면이 받침부재(536)의 선단을 벗어나게 되면 후방에서 스프링부재(535)의 탄성이 수직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고 있으므로 상기 회동대들이 정 회전하여 수직부가 약 43-47°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묘삼(2)은 집게판(541)(541')들이 잡고 있기 때문에 이탈하지 않게 된다(도 9b 참조).
그리고, 회동대(534)(534')가 계속 하강하여 각 집게부재(54a)들이 잡고 있는 각 묘삼(2)의 뿌리부위가 구덩이(2)의 안쪽으로 진입하여 이식할 위치에 도달하면, 이때는 정 회전으로 상향되어 있는 레버(543)의 하부가 가이드레일(532)의 하단측에 위치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전환부재(54d)에 받쳐지면서 통과하게 된다(도 9c 참조).
이렇게 되면, 레버(54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가변축(542)에 의해 각 가변휠(544)이 동시에 역 회전되어 두께가 얇은 부분이 상기 집게판들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두꺼운 부분이 위치하고 있었을 때 늘어난 코일스프링(545)의 수축력이 작용하여 집게판들의 하부를 마주 당겨서 간격을 좁혀 주기 때문에 반대로 상부의 간격이 벌어져 잡고 있던 묘삼(2)을 놓아주므로 낙하되어 구덩이(1a)에 이식되게 한다(도 9d 참조).
다음에는, 구동기구(51)의 모터(511)가 역 구동하여 제3 체인(526)(526')을 역 회동시켜 주므로 이동대(531)(531')에 의해 회동대(534)(534')들이 함께 상승하 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회동대의 각 경사부의 후면이 받침부재(536)의 선단에 받쳐지게 되면 이때부터 회동대는 시계방향으로 역 회전됨과 동시에 스프링부재(535)를 후방으로 밀어 젖히면서 상승하게 된다(도 9e 참조).
이후에도, 계속 상승하므로 레버(543)가 제1 전환부재(54c)의 전환편(546)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환편의 상단은 돌출되어 있지만 하단은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레버가 하측으로부터 통과함에 따라 전환편의 돌출되어 있는 상단이 내장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내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레버는 하부가 하향되어 있는 상태로 전환편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레버(543)의 하부가 전환편(546)의 상단을 통과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탄발로 상단이 다시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모터(511)의 구동이 정지되어 회동대(534)(534')의 상승도 정지됨에 따라 상기 레버의 하부는 전환편의 돌출된 상단에 받쳐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회동대는 경사부의 후면 하단이 받침부재(536)의 선단에 받쳐져서 수직부가 직립되므로 각 집게부재(54a)들은 각 호퍼(41)로부터 다음 이식할 묘삼을 공급받기 위한 초기의 상태로 된다(도 9a 참조).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묘삼 이식기는, 기체(10)가 주행장치(20)의 작동으로 소정거리(대략 20㎝)를 주행한 다음 정지하면 작조장치(30)의 굴삭기구(32)가 작동하여 두둑(1)의 흙을 파서 바닥이 43-47°의 각도를 유지하는 구덩이(1a)를 작조판(326)의 좌우폭에 비례하는 길이로 만들어 주며, 하나의 구덩이가 만들어진 후 상기 기체가 다시 소정거리를 주행한 후 정지하면 공급장치(40)가 작동하여 각 호퍼(41)에 하나씩 투입하여 수용되어 있는 묘삼(2)을 식부장치(50)의 이식기구(54)가 구비하고 있는 각 집게부재(54a)에 각각 공급하여 준다.
이렇게 공급된 각 묘삼(2)은 이식기구(54)가 작동하여 구덩이(1a)에 낙하시켜 주며, 낙하가 완료되면 작조장치(30)가 작동하여 상기 묘삼이 낙하된 구덩이의 직 전방의 흙을 파서 다음 구덩이를 만들게 되는데, 이때 파지는 흙은 상기 묘삼이 낙하되어 있는 구덩이에 투입되어 묘삼을 덮어주므로 하나의 구덩이에 낙하된 묘삼들의 이식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이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진행되므로 작업자가 각 호퍼(41)에 묘삼(2)을 하나씩 투입하여 주기만 하면 기체(10)가 소정거리를 주행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자동으로 두둑(1)에 묘삼을 이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묘삼 이식기는, 묘포에서 키운 묘삼을 삼포에 이식할 때 두둑에 바닥이 43-47°의 각도로 경사지게 파서 구덩이를 만드는 작조작업과 상기 구덩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묘삼을 하나씩 43-47°의 각도로 이식하는 식부작업 및 이식한 후 흙을 덮어주는 복토작업을 순차적으로일관되게 자동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묘삼의 이식작업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은 물론 모든 관련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고 인삼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도 크게 기여하게 되는 등의 장점도 있다.

Claims (16)

  1. 서로 평행하는 양측 프레임과, 상기 양측 프레임의 전측부에 하단을 부착하여 주행장치와 작조장치를 설치하는 기대와, 상기 프레임들의 후단 상면에 부착하여 기체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거나 인력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기체와;
    상기 기체를 주행시켜 주게 상기 기대에 설치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동력이 전달되면 가동되어 기체를 주행시켜 주게 프레임의 전·후측 사이를 가로지르게 전·후에 설치되는 전·후 캐터필러와, 상기 전동기의 구동축에 축 설치되어 동력을 간헐적으로 캐터필러와 작조장치에 번갈아 전달하는 클러치와, 상기 동력을 전측 캐터필러에 전달하는 제1 전동기구 및 전측 캐터필러에 전달된 동력을 후측 캐터필러에 전달하는 제2 전동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에 의해 기체가 소정의 거리를 주행한 다음 정지하면 작동하여 두둑의 흙을 파서 묘삼을 이식하는 구덩이를 만들도록 상기 전동기의 하측부에 위치하게 기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동기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전동기의 동력이 클러치의 동작으로 전달되면 회전하는 주동체인기어와 굴삭기구의 주축에 축 설치되는 종동체인기어 및 상기 주동 및 종동체인기어에 걸어주는 체인으로 구성된 전동기구와, 상기 동력이 전달되면 작동하여 두둑에 구덩이를 파는 상기 기대의 하부에 양단부를 축 결합하여 양측 프레임의 상측부를 가로지르게 설치하는 주축과 상기 주축의 양측부에 후단을 각각 축 결합하는 좌우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들의 선단부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각 선단부에 축 결합한 지축 및 상기 주축과 지축의 각 양단부에 축 설치한 양측 체인기어들과, 상기 양측 체인기어들의 사이에 각각 걸어주는 양측의 체인들의 외측 둘레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가로지르게 양단을 부착한 복수의 작조판으로 구성된 굴삭기구 및 상기 굴삭기구의 전단부를 하강 또는 상승시켜 주도록 구동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링크와 상단은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연동축으로 축 결합하는 가동링크와, 중간부에 상기 가동링크의 하단이 축 결합 고정되는 로드 및 상단은 상기 로드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 고정하고 하단은 지축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한 쌍의 연동링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승강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작조장치와;
    상기 작조장치의 후방에 위치하게 기체에 설치되며, 상기 구덩이에 이식할 묘삼을 낱개로 수용하도록 상기 양측 프레임의 후측부에 직립설치한 지주들의 상단부에 양단을 고정하여 가로지르게 설치한 가로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묘삼을 수용하도록 수직으로 분할되어 상단을 서로 축 결합하며 폭이 넓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서로 합쳐져서 닫히게 하는 가동부재와 고정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로드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결속편을 구비하여 구성된 복수의 호퍼와, 상기 호퍼들을 동시에 여닫아주게 연결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전진시켜 호퍼를 동시에 열어주게 작동하도록 가동핀의 외단을 연결편으로 상기 로드에 평행하게 연결하여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정지되면 로드를 후진시켜 호퍼들을 동시에 닫아주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의 직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기체가 소정의 거리를 주행하여 공급장치가 수용하고 있는 묘삼이 이식될 구덩이의 위치에 도달하여 기체가 정지하면 작동되어 공급장치로부터 낱개로 공급받은 묘삼을 구덩이에 이식하도록 구동기구와, 상기 구동기구의 정·역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동력전달기구로부터 정 구동력이 전달되면 하강하면서 133-137°의 각도로 전방으로 정 회동하며 역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승하면서 상기의 각도내에서 후방으로 역 회동하는 이동기구(53) 및 상기 이동기구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로부터 묘삼이 낙하하여 공급되면 파지하고 이동기구에 의해 하강하면 잡고 있는 묘삼을 놓아서 구덩이에 이식하는 이식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식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이식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전방 좌우에는,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바퀴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이식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동기구는, 상기 구동축에 축 설치하는 구동체인기어와 전측 캐터필러의 전·후 가동축들 중 전측의 가동축에 축 설치하는 전동체인기어 및 상기 구동 및 전동체인기어에 걸어주는 구동체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전동기구는,전측 캐터필러의 후측의 가동축에 축 설치하는 연동체인기어와 후측 캐터필러의 전·후 가동축들 중 전측의 가동축에 축 설치한 피동체인기어와 상기 연동 및 피동체인기어에 걸어주는 연동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이식기.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조장치의 승강기구는, 상기 굴삭기구의 선단부를 주축을 축으로 43-47°의 각도로 하강시켜 작조판들이 파는 구덩이의 바닥이 후방을 향해 43-47°의 각도로 상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이식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조장치는,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이 하사점을 지나서 상승하여 상사점에 도달하기 직전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타단이 감지되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이식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부장치의 구동기구는, 모터와 양단부가 상기 지주들의 사이를 가로질러 지주를 관통하게 축 결합 설치되는 장축과, 상기 모터의 축과 장축에 각각 축 설치하는 가동 및 수동체인기어에 걸어주는 동력전달체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장축의 양단에 각각 축 설치되는 상부체인기어들과, 상기 상부체인기어들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전방에 위치하게 양측 프레임에 축 설치하는 하부체인기어들 및 상기 상·하부 체인기어들에 각각 걸어주어 43-47°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양측의 가동체인들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이식기구가 공급장치로부터 묘삼을 공급받기 위해 상승한 위치에 있을 때 양측 가동체인들의 상부체인기어에 근접하는 상측부분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외단을 각각 착설한 이동대들과 상기 이동대들이 43-47°의 각도로 하강 및 상승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가동체인들의 내측에 위치하게 지주와 프레임에 상·하단을 착설하여 43-47°의 각도를 유지하게 설치하며 상기 이동대의 일측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들과, 상기 이동대들에 각각 축 설치하는 이동축들과 상기 이동축들의 내단에 중간을 축 결합하여 설치하는 회동대들 및 상기 회동대들이 하강할 때 전방으로 밀어 133-137°의 각도로 정 회전시켜 주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회동대가 상승하면 후방으로 133-137°의 각도로 역 회전시켜 주는 받침부재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식기구는, 상기 공급장치의 각 호퍼들의 직 하방에 위치하게 수직으로설치되는 복수의 집게부재와 상기 호퍼로부터 집게부재에 공급된 묘삼을 동시에 잡게 하고 구덩이에 이식할 때는 동시에 놓게 하는 가변부재와 회동대들이 하강할 때는 집게부재가 공급된 묘삼을 잡도록 가변부재를 정 동작시켜 주는 제1 전환부재 및 상기 묘삼을 이식할 때는 가변부재를 역 동작시켜 집게부재가 묘삼을 놓게 하는 제2 전환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이식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재들은, 하측부를 상기 가로지지대에 서로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직으로 축 결합 설치하는 한 쌍의 집게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부재는, 상기 집게판들의 하단 직 하방을 가로지르게 양단을 양측 회동대의 각 수직부를 관통하게 축 결합하는 가변축과 상기 회동대의 수직부를 관통한 가변축의 좌단측에 축 설치되어 상기 회동대가 하강될 때 제1 전환부재에 의해 동작하여 가변축을 정 회전시켜 주는 레버와, 일부분이 상기 집게판들의 하단 사이에 개재되게 가변축에 각각 축 설치되며 축공을 깃점으로 양면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변휠 및 상기 집게판들의 하단부에 양단을 착설하여 하부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당겨주게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이식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부재는,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상단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단을 축 결합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전환편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이식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회동대들 중 우측 회동대의 수직부 상단 외면에는 가이드롤러를 축 결합설치하고 상기 회동대들이 정 회전하면 가이드롤러가 해당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얹혀지게 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 하단부분은 가이드롤러의 반경을 감안하여 상측부 보다 더 경사지게 형성하여 가이드롤러가 하강하여 상기 하단부분에 위치하면 회동대의 수직부가 43-47°의 각도를 유지하게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이식기.
KR1020060096707A 2006-09-30 2006-09-30 묘삼 이식기 KR10081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707A KR100813442B1 (ko) 2006-09-30 2006-09-30 묘삼 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707A KR100813442B1 (ko) 2006-09-30 2006-09-30 묘삼 이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442B1 true KR100813442B1 (ko) 2008-03-17

Family

ID=3941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707A KR100813442B1 (ko) 2006-09-30 2006-09-30 묘삼 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4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19B1 (ko) 2008-09-09 2011-03-09 신동균 종삼 이식기
KR101348296B1 (ko) 2013-07-03 2014-01-09 (주)조은농기계 농작물 이식 장치
KR200472391Y1 (ko) * 2012-06-14 2014-04-25 대한민국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CN108575205A (zh) * 2018-07-16 2018-09-28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全自动人参移栽机
CN115500236A (zh) * 2022-09-30 2022-12-23 江西上堡茶叶有限公司 一种茶叶种植坑洞用茶树幼苗投入装置
CN117999932A (zh) * 2024-04-09 2024-05-10 山西省农业机械发展中心 一种农业机械智能种植装置及其种植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A (ja) * 1987-07-29 1990-01-05 Toray Ind Inc 3次非線形光学材料および素子
KR930011515B1 (ko) * 1992-03-30 1993-12-10 양용환 인삼(세근)이식장치
KR940019876U (ko) * 1993-02-24 1994-09-15 묘삼 이식기
KR970001088B1 (ko) * 1994-09-27 1997-01-28 김정호 인삼묘 식재기
KR970001345Y1 (ko) * 1994-03-21 1997-03-04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묘삼이식기
KR100644731B1 (ko) 2005-05-12 2006-11-14 김정호 인삼묘 식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A (ja) * 1987-07-29 1990-01-05 Toray Ind Inc 3次非線形光学材料および素子
KR930011515B1 (ko) * 1992-03-30 1993-12-10 양용환 인삼(세근)이식장치
KR940019876U (ko) * 1993-02-24 1994-09-15 묘삼 이식기
KR970001345Y1 (ko) * 1994-03-21 1997-03-04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묘삼이식기
KR970001088B1 (ko) * 1994-09-27 1997-01-28 김정호 인삼묘 식재기
KR100644731B1 (ko) 2005-05-12 2006-11-14 김정호 인삼묘 식재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연구보고서-2002.7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19B1 (ko) 2008-09-09 2011-03-09 신동균 종삼 이식기
KR200472391Y1 (ko) * 2012-06-14 2014-04-25 대한민국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KR101348296B1 (ko) 2013-07-03 2014-01-09 (주)조은농기계 농작물 이식 장치
CN108575205A (zh) * 2018-07-16 2018-09-28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全自动人参移栽机
CN115500236A (zh) * 2022-09-30 2022-12-23 江西上堡茶叶有限公司 一种茶叶种植坑洞用茶树幼苗投入装置
CN115500236B (zh) * 2022-09-30 2024-03-08 江西上堡茶叶有限公司 一种茶叶种植坑洞用茶树幼苗投入装置
CN117999932A (zh) * 2024-04-09 2024-05-10 山西省农业机械发展中心 一种农业机械智能种植装置及其种植方法
CN117999932B (zh) * 2024-04-09 2024-06-07 山西省农业机械发展中心 一种农业机械智能种植装置及其种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43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ting trees
KR100813442B1 (ko) 묘삼 이식기
KR102041505B1 (ko) 작물 이식 장치
US10004174B2 (en) Transplanter for a walk-behind tractor
KR20090106019A (ko) 양파 육묘정식기
KR20110101950A (ko) 로터리용 배토기
KR101021019B1 (ko) 종삼 이식기
KR20090020455A (ko) 묘삼 식재기 및 묘삼 식재방법
KR101267794B1 (ko)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KR200403237Y1 (ko) 인삼씨 파종기
CN108040514B (zh) 马蹄笋栽培机
KR102137579B1 (ko)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KR200472391Y1 (ko)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KR20140005052A (ko) 감자 파종기
CN106717382B (zh) 一种抓取式山药播种机
KR20070003503A (ko) 인삼씨 파종기
KR101190625B1 (ko)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CN107258158A (zh) 一种井窖式栽植机用挖坑与覆土装置
CN204796163U (zh) 前推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输送机的收获储存装置
CN204796157U (zh) 前推滑动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输送机
KR20200046312A (ko) 파종 장치
AU2010200555A1 (en) Transplanting apparatus
CN212677685U (zh) 一种林木药材快速种植的装置
CN109429632A (zh) 农业用快速播种装置
KR101206920B1 (ko) 묘삼 식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