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688B1 -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688B1
KR100805688B1 KR1020050086191A KR20050086191A KR100805688B1 KR 100805688 B1 KR100805688 B1 KR 100805688B1 KR 1020050086191 A KR1020050086191 A KR 1020050086191A KR 20050086191 A KR20050086191 A KR 20050086191A KR 100805688 B1 KR100805688 B1 KR 10080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color filter
thermosetting
formula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590A (ko
Inventor
권오범
장원범
이선율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688B1/ko
Priority to JP2005368385A priority patent/JP2007079527A/ja
Priority to US11/339,976 priority patent/US20070059546A1/en
Priority to TW95103465A priority patent/TWI332513B/zh
Priority to CNB2006100571380A priority patent/CN100427978C/zh
Publication of KR2007003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1C10or C11-(Meth)acrylate, e.g. isodec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or 2-naph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poxy Resi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쇄에 에폭시고리 구조를 가지는 1종 또는 2종의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이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은 평탄성, 밀착성, 투과도, 막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종래의 열경화성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 비해 보존안정성 및 UV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 보호막,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Thermosetting One-Solution type Composition for Protective Film of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쇄에 에폭시고리 구조를 가지는 1종 또는 2종의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이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의 표면에는 평탄성 양화와 보호를 목적으로 한 보호막이 부여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 보호막은 광학적인 투명성과 충분한 피막강도를 나타내야 하며, 또한, 상기 보호막 상에 투명 전도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견디기에 충분한 내열성을 나타내야 한다.
한편, 최근 개발된 수직 배향형 액정디스플레이용 보호막에는 투명성, 피막강도, 내열성 이외에도 에칭을 견디어 낼 수 있는 내산성이 필요하며, 레지스트 박리공정을 견디기 위한 내알칼리성 또한 요구된다.
컬러필터의 보호막 형성재료와 형성방법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일본 특개 평 1-134306호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특개 소 62-163016호에는 폴리이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특개 소 63-131103호에는 멜라민 수지와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로써 접착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내수성 등의 신뢰성이 높은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즉, 일본 특개평 08-050289호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에 페놀계의 경화제를 이용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08-201617 호에는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투명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경화제로 스티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물 폴리머와 아민류와의 반응물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는 경화제와의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사용시에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소위 이액형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액화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이액형은 취급이 복잡하며 공업적 생산에 이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공지 기술들에서는 투명성, 피막강도, 내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을 전부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에폭시 수지의 일액화까지 가능한 경우는 없었다. 이에 일본특개 제 2001-091732호는 다관능 카르본산 화합물을 비닐에테르 등으로 보호함으로써 보존안정성을 도모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보호기화는 제조가 번잡하여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가 없다. 또한, 비닐에테르 화합물의 사용은 인체에 유해하므로, 공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강도, 투명성, 피막강도, 내열성, 내산성, 내알카리성이 양호하며, 또한 장기 보존이 가능한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평탄성, 밀착성 및 막강도가 우수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측쇄에 에폭시고리 구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은 (i) 하기 화학식 1a, 화학식 1b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선택된 1종 이상과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a]
Figure 112005051666665-pat00001
[화학식 1-b]
Figure 112005051666665-pat00002
(상기 식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l및 l'는 20 ㏖%∼85 ㏖%를 나타내며, p는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51666665-pat00003
(상기 식 중,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m은 20 ㏖%∼85 ㏖%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05051666665-pat00004
(상기 식 중,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5 ㏖%∼45 ㏖%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1 종인 R5를 가지는 화학식 4의 구성단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4]
Figure 112005051666665-pat00005
(상기 식 중,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s는 10 ㏖%∼30 ㏖%를 나타내며, R5는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1 종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5051666665-pat00006
(상기 식 중, t는 4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R6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l+m은 20 ㏖%∼85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1,000,0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구성단위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메티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메티놀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아크릴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히드록시스티렌을 포함하는 스티렌류, N-비닐비 롤리돈,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미드 및 N-비닐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용제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에틸렌글리콜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를 포함하는 글리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 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포함하는 아미드류,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헥사논를 포함하는 케톤류,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 나프타(solvent naphtha)를 포함하는 석유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유산에틸을 포함하는 에스테르류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a, 화학식 1b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선택된 1종 이상과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반복단위간에 열가교 반응이 이루어져 열경화성을 갖게 된다. 상기 화학식 1-a, 화학식1-b,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현되는 반복단위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교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05051666665-pat00007
[화학식 1-b]
Figure 112005051666665-pat00008
(상기 식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l및 l'는 20 ㏖%∼85 ㏖%를 나타내며, p는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51666665-pat00009
(상기 식 중,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m은20 ㏖%∼85 ㏖%를 나타낸다.)
상기 l+m은 20 ㏖%∼85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05051666665-pat00010
(상기 식 중,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5 ㏖%∼45 ㏖%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중합 시에 추가적인 반복단위로써 화학식 5의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1 종인 R5를 가지는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05051666665-pat00011
상기 식 중,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s는 10 ㏖% ~ 30 ㏖%를 나타내며,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1 종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5051666665-pat00012
상기 식 중, t는 4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R6는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상기 공중합체 제조 시에 상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투명성과 유기용제 가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반복단위의 성분비 s는 접착강도, 투명성, 피막강도, 내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장기 보존 가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10 ㏖% ~ 3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중량평균 분자량 3,000 내지 1,0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분자량이 너무 낮으면 충분한 경화성이 얻어지지 않으며, 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용제가용성이 저하되거나 도포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의 필수성분인 유기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공중합체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가능한 유기용제의 예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에틸렌글리콜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 나프타(solvent naphtha) 등의 석유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유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한편,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특별한 제한없이 합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을 구성하는 유기용제와 같은 유기용제 안에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공중합에 사용하는 유기용제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의 필수성분으로 사용되는 유기용제와 같은 유기용제를 사용한다. 한편, 중합에 사용되는 유기용제의 양은 유기용제와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용액 중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농도가 5 내지 5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이다. 상기 용액 중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농도가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중합속도가 느려서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모노머가 문제되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서 취급이 어렵고, 반응속도의 조절 또한 곤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중합에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로는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산화환원계 개시제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취급의 용이성, 반응속도와 분자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과산화물계, 아조계 등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과산화물계 중합개시제의 예로는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메틸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아세틸아세톤퍼옥 사이드, 1,1-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er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1,1-비스(tert-헥실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er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1,1-비스(ter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이소부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호박산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옥타노일퍼옥사이드, 스테아로일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노말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메톡시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비스-(4-ter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α,α-비스-네오데카노일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제, 퍼옥시네오데칸산큐밀에스테르, 퍼옥시네오데칸산옥틸에스테르, 퍼옥시네오데칸산헥실에스테르, 퍼옥시네오데칸산-tert-부틸에스테르, 퍼옥시피바린산-tert-헥실에스테르, 퍼옥시피바린산-tert-부틸에스테르, 2,5-디메틸-2,5-비스(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퍼옥시-2-에틸헥산산-tert-헥실에스테르, 퍼옥시-2-에틸헥산산-tert-부틸에스테르, 퍼옥시-2-에틸헥산산-tert-부틸에스테르, 퍼옥시-3-메틸프로피온산-tert-부틸에스테르, 퍼옥시라우린산-tert-부틸에스테르, ter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ert-헥실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2,5-디메틸-2,5-비스(벤조일퍼옥시)헥산, 과초산-tert-부틸에스테르, 과안식향산-tert-헥실에스테르, 과안식향산-tert-부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산화물계 중합개시제에 환원제를 첨가해서 산화-환원 개시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아조계 중합개시제의 예로는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보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지노-프로판)염산염,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염산염,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2-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드)2수염, 4,4'-아조비스(4-시아노-결초산),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에스테르(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코순약공업주식회사 제품:V-601), 시아노―2―프로필아조포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아조계 중합 개시제 외에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중합단계에서 바람직한 분자량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 연쇄이동제, 연쇄정지제, 중합촉진제 등의 공지의 분자량 조절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그 예로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스테르, 치오글리콜, 치오글리세린, 도데실메르캅탄, 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중합 후, 구성 성분의 용해성 보조, 레벨링성 및 건조속도 조정 등의 목적으로 상기 중합에 사용되는 유기용제 외에 다른 용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 다.
또한, 합성된 공중합체는 정제, 보존, 용제변경 등의 목적으로 고체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을 이용해서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출방법에 제한은 없지만, 스프레이 건조, 필름건조, 빈용매에의 적하, 재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의 내에칭성, 내알칼리성 등을 향상시키거나 유동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이외에 다른 중합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첨가하는 폴리머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치환식 에폭시 등의 에폭시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 아마이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첨가하는 폴리머의 양은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는 열경화 반응의 촉매로서 아민화합물, 인화합물, 붕소화합물, 안티몬화합물, 카본산화합물, 유기술폰산화합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열경화 반응 촉매의 첨가량은 보존안정성의 관점에서 자기경화성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는 기타 성분으로 산화방지제, 적외선안정제, 가소제, 레벨링제, 커플링제, 필러 등 종래 공지된 것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한편, 컬러필터용 보호막의 제조를 위해서,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을 스크린 인쇄, 커튼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dip coating), 플로우 코팅(flow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슬릿 코팅(slit coating) 등의 방법으로 기판 위에 도포한다. 도포막의 두께는 건조 후 0.5~5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7~2.5 ㎛의 범위이다. 막 두께가 0.5 ㎛ 미만으로 너무 얇으면 단차에 대해서 충분한 평탄화 성능을 얻을 수가 없으며, 막 두께가 5 ㎛ 초과로 너무 두꺼우면 투과율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건조 및 경화에 시간이 걸리며, 생산성이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이 도포된 기판은 건조―열경화 공정에 의해 용제가 휘발되고, 가교반응에 의해 경화하여 강고한 막을 형성한다. 건조공정과 열경화 공정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할 수 있지만, 너무 급격하게 가열할 경우 발포나 균열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건조공정과 열경화 공정을 개별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온풍 건조기, 원적외선 건조기, 핫 플레이트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온도는 50 내지 15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건조시간은 건조기 용량, 풍량, 온도 및 막 두께에 따 라서 변화하지만, 1~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열경화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온풍 오븐, 원적외선 오븐, 핫 플레이트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열처리 온도는 150~250℃의 범위가 바람직한데, 열처리 온도가 150℃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반응이 충분히 진행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열처리 온도가 25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분자 화합물의 해중합 반응이나 탄화반응이 일어나 수득된 막의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환류냉각기와 교반기를 갖춘 500㎖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297g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플라스크 내부에 메타크릴산 56g,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78g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코순약공업(주)제품:V-601)6.8g의 혼합물을 1~1.5 시간 동안 적하, 투입 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두 적하한 후,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반응시켜, 투명한 고분자용액 (A)를 얻었다. 이 용액을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ission Chromatography : 이하, "GPC")법으로 측정한 결과, 폴리스티렌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0이었다.
상기 얻어진 고분자 용액 (A) 40g에 에폭시 수지(JER제 EP-152) 3.5g, 실란커플링제(Chisso제 S-510)1.4g, 계면활성제(DIC제 F-475) 0.12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1g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목적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F)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F)를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유리기판(코닝社 제품:1737번, 판두께 0.7 ㎜)및 RGB 패턴이 있는 더미(dummy) 컬러필터에 각각 도포하고, 80℃ 온도의 건조기 안에서 3분간 건조한 후, 다시 230℃의 온도로 50분간 경화시켜 막두께 1.5 ㎛의 투명한 보호막 및 컬러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2]
환류냉각기와 교반기를 갖춘 500㎖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90g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플라스크 내부에 메타크릴산 14g, 메타크릴산글리시딜 34g,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히타치화성공업(주)제품:FA-513M)78g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코순약공업 (주)제품:V-601)6.8g의 혼합물을 1 내지 1.5 시간 동안 적하,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두 적하한 후,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반응시켜, 투명한 고분자용액 (B)를 얻었다. 이 용액을 GPC법으로 측정한 결과, 폴리스티렌환산중량 평균 분자량은 32,000이었다.
고분자 용액 (A)대신에 상기 고분자 용액 (B) 4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G)를 얻었다.
상기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G)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막두께 1.5 ㎛의 투명한 보호막 및 컬러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3]
환류냉각기와 교반기를 갖춘 500㎖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90g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플라스크 내부에 메타크릴산 28g, 메타크릴산글리시딜 18g, 스티렌 60g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코순약공업(주)제품:V-601) 6.8g의 혼합물을 1 내지 1.5 시간 동안 적하,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두 적하한 후,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반응시켜, 투명한 고분자용액 (C)를 얻었다. 이 용액을 GPC법으로 측정한 결과, 폴리스티렌환산중량 평균 분자량은 23,000이었다.
고분자 용액 (A)대신에 상기 고분자 용액 (C) 4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H)를 얻었다.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F) 대신 제조된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H)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막두께 1.5 ㎛의 투명한 보호막 및 컬러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4]
환류냉각기와 교반기를 갖춘 500㎖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90g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플라스크 내부에 메타크릴산 28g, 메타크릴산글리시딜 18g, 시클로헥산메타크릴레이트(Aldrich사 제품) 58g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코순약공업(주)제품:V-601) 6.8g의 혼합물을 1 내지 1.5 시간 동안 적하,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두 적하한 후,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반응시켜, 투명한 고분자용액 (D)를 얻었다. 이 용액을 GPC법으로 측정한 결과, 폴리스티렌환산중량 평균 분자량은 25,000이었다.
고분자 용액 (A) 대신에 상기 고분자 용액 (D) 4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I)를 얻었다.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F) 대신 상기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I)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막두께 1.5 ㎛의 투명한 보호막 및 컬러필터를 얻었다.
[비교예 1]
환류냉각기와 교반기를 갖춘 500㎖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90.0g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플라스크 내부에 메타크릴산글리시딜 79g,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히타치화성공업(주)제품: FA-513M)30g, 스티렌 12g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코순약공업(주)제품:V-601) 8.5g의 혼합물을 1 내지 1.5 시간 동안 적하,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두 적하한 후,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투명한 고분자용액 (E)를 얻었다. 이 용액을 GPC법으로 측정한 결과, 폴리스티렌환산중량 평균 분자량은 17,000이었다.
상기 고분자 용액 (E) 40g에 에폭시 수지(JER제 EP-152) 3.5g, 실란커플링제(Chisso제 S-510)1.4g, 트리멜리틱안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Anhydride: Aldrich제) 3.1g, 계면활성제(DIC제 F-475) 0.12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1g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목적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J)를 얻었다.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F) 대신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J)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막두께 1.5 ㎛의 투명한 보호막 및 컬러필터를 얻었다.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통해서 얻어진 유리기판 및 컬러필터에 대해 하기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평탄성, 밀착성, 막강도, 내열성, UV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상기 제조예 1 내지 4 및 비교제조예 1을 통해서 얻어진 열경화성 조성물에 대한 보관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① 평탄성 평가
평탄성 평가를 위해 더미(dummy) 컬러필터의 적색화소와 녹색화소의 중심부분의 높이의 차(화소간 단차)를 구했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보호막이 도포된 컬러필터의 적색화소와 녹색화소의 중심부분의 높이의 차를 구했다. 하기, 식 (1)에 따라서, 보호막 도포 전의 화소간 단차(d1)와 보호막 도포 후의 화소간 단차(d2)의 비율 R을 구하고,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보호막 조성물의 평탄화성을 1 ~ 5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R = d2/d1 ……(1)
상기 식에서 구해진 R〉0.4일 때 1, 0.4≤ R ≤0.3일 때 2, 0.3〈 R ≤0.2일 때 3, 0.2〈 R ≤0.1일 때 4, R 〈0.1일 때 5로 하였다. 단, 1은 평탄화 성능이 낮은 것을 나타내며, 5는 평탄화성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② 밀착성 및 내화학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 의해 얻어진 컬러필터 보호막 위에 바둑판의 눈금 형상으로 100개의 크로스컷트(cross-cut)를 넣고, 셀로판 테이프를 이용해서 필링(peeling) 시험(크로스커트 시험)을 한 후, 바둑판 눈금의 박리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밀착성을 시험하였다.
또한, 수득된 컬러필터 보호막을 40℃의 N-메틸-2-피롤리돈(NMP), 10% 수산화칼륨수용액 및 Etchant용액 (제품명 CYANTEK CORPORATION LCE-12K) 에 30분간 침적한 후, 다시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밀착성 시험을 실시하여 눈금의 박리상태에 따라 100(침적후)/100(침적전)인 경우 합격 100이하일경우 불합격으로 표시함으로써 각 용액에 대한 내화학성을 평가하였다.
③ 막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투명한 보호막을 스태들러(Statdler) 社에서 제작한 연필 6종(1H~6H)로 긁어 기판의 손상정도에 따라서 막의 강도를 1H에서 6H까지 평가하였다.
④ 보관안정성 평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4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수득된 열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를 최초로 측정하고, 이들 각각을 10㎖ 바이알(vial)에 담아 40℃의 인큐베이터에 보관하면서 매 3일마다 점도를 측정하였다. 12일 후, 총 5회의 점도 측정결과 점도 증가량이 10%를 넘는 구간의 번호를 각각 0, 3, 6, 9, 12의 숫자로 표시하였다. 단, 3 이하는 불량으로 표시하였다.
⑤ 내열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투명한 보호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오븐에 넣어 300℃의 온도에서 각각 3시간씩 방치한 후 보호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막두께의 감소정도를 비교한다. 막두께의 감소가 10% 이내면 양호, 10%를 초과하면 불량으로 표시하였다.
⑥ UV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 의해 얻어진 컬러필터 보호막 위에 바둑판의 눈금 형상으로 100개의 크로스컷트(cross-cut)를 넣고, 셀로판 테이프를 이용해서 필링(peeling) 시험(크로스커트 시험)을 한 후, 바둑판 눈금의 박리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밀착성을 시험하였다. 이후 컬러필터 보호막에 일정세기의 UV를 지속적으로 조사하면서 3시간 단위로 필링(peeling) 시험(크로스커트 시험)을 반복하면서 눈금의 박리상태를 확인하였다. (박리분/전체로 표기)
구분 평탄성 밀착성 내화학성 (40℃의 N-메틸-2-피롤리돈(NMP,유기) ,10% 수산화칼륨수용액(염기) 및 Etchant(산)에 30분간 침적 전/침적 후) 투과도 막강도 보관 안정성 내열성
실시예 1 2 100/100 합격(산,염기,유기) 99 3H 6 양호(8%)
실시예 2 4 100/100 합격(산,염기,유기) 98 5H 9 양호(4%)
실시예 3 3 100/100 합격(산,염기,유기) 99 5H 9 양호(5%)
실시예 4 4 100/100 합격(산,염기,유기) 98 4H 12 양호(5%)
비교예 1 2 100/100 불합격(염기) 98 4H 3(불량) 불량(13%)
구분 UV조사 3시간 후 UV조사 6시간 후 UV조사 9시간 후 UV조사 12시간 후
실시예 1 100/100 100/100 100/100 99/100
실시예 2 100/100 100/100 98/100 97/100
실시예 3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실시예 4 100/100 99/100 97/100 95/100
비교예 1 98/100 82/100 51/100 12/10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컬러필터용 보호막의 평탄성, 밀착성, 투과도, 막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조된 조성물의 보관안정성은 종래의 열경화성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 비해 장기간 지속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UV 안정성에 있어서도 종래의 열경화성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은 종래의 열경화성 컬 러필터용 조성물에 비해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용 보호막의 평탄성, 밀착성, 투과도, 막강도, 내열성, UV안정성 또한 우수하다.

Claims (11)

  1. (i) 하기 화학식 1a, 하기 화학식 1b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선택된 1종 이상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1 종인 R5를 갖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ii) 유기용제, 및 (iii)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에폭시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
    [화학식 1-a]
    Figure 112007073065507-pat00013
    [화학식 1-b]
    Figure 112007073065507-pat00014
    (상기 식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l및 l'는 20 ㏖%∼85 ㏖%를 나타내며, p는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73065507-pat00015
    (상기 식 중,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m은
    20 ㏖%∼85 ㏖%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07073065507-pat00016
    (상기 식 중,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5 ㏖%∼45 ㏖%를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112007073065507-pat00017
    (상기 식 중,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s는 10 ㏖%∼30 ㏖%를 나타내며, R5는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1 종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7073065507-pat00018
    (상기 식 중, t는 4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R6는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l+m이 20 ㏖%∼85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1,000,0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구성단위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메티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메티놀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아크릴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히드록시스티렌을 포함하는 스티렌류, N-비닐비롤리돈,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미드 및 N-비닐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에틸렌글리콜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를 포함하는 글리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포함하는 아미드류,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헥사논를 포함하는 케톤류,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 나프타(solvent naphtha)를 포함하는 석유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유산에틸을 포함하는 에스테르류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산화방지제, 적외선안정제, 가소제, 레벨링제, 커플링제, 필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9. 제 1 항, 제 3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보호막의 두께가 0.5~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11. 제 9 항 기재의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50086191A 2005-09-15 2005-09-15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KR10080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191A KR100805688B1 (ko) 2005-09-15 2005-09-15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JP2005368385A JP2007079527A (ja) 2005-09-15 2005-12-21 カラーフィルター保護膜用一液型熱硬化性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ー
US11/339,976 US20070059546A1 (en) 2005-09-15 2006-01-26 One solution-type thermosetting compositions for color filter protective films and color filters using the same
TW95103465A TWI332513B (en) 2005-09-15 2006-01-27 One solution-type thermosetting compositions for color filter protective films and color filters using the same
CNB2006100571380A CN100427978C (zh) 2005-09-15 2006-03-10 热硬化性单溶液型组合物及使用该组合物的滤色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191A KR100805688B1 (ko) 2005-09-15 2005-09-15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590A KR20070031590A (ko) 2007-03-20
KR100805688B1 true KR100805688B1 (ko) 2008-02-21

Family

ID=3785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191A KR100805688B1 (ko) 2005-09-15 2005-09-15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59546A1 (ko)
JP (1) JP2007079527A (ko)
KR (1) KR100805688B1 (ko)
CN (1) CN100427978C (ko)
TW (1) TWI3325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79B1 (ko) * 2006-07-13 2007-09-14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 보호막용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835605B1 (ko) * 2007-06-19 2008-06-09 제일모직주식회사 Cmos 이미지센서 컬러필터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이미지센서
US7847013B2 (en) 2007-06-19 2010-12-07 Cheil Industries Inc. Glycidyl-, OH-, COOH- and aryl-(meth)acrylate copolymer for color filter
JP5762834B2 (ja) * 2011-06-14 2015-08-12 株式会社ダイセル 脂環式エポキシ基含有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製法及びその硬化物
WO2015076160A1 (ja) * 2013-11-22 2015-05-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硬化膜の製造方法、硬化膜および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0921A (ja) * 1988-12-29 1990-07-13 Kansai Paint Co Ltd 硬化性樹脂
JP2000034319A (ja) * 1998-07-17 2000-02-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共重合樹脂
KR100268697B1 (en) * 1992-07-24 2000-10-16 Jsr Corp Epoxy group-containing resin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0546B2 (ja) * 1996-10-22 2002-12-2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5182907B2 (ja) * 1999-02-24 2013-04-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明保護膜用熱硬化性樹脂組成物、透明保護膜及びカラーフィルタ
EP1035439B1 (en) * 1999-02-25 2005-06-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copolymer resin useful for them
JP2000258603A (ja) * 1999-03-09 2000-09-22 Nippon Steel Chem Co Ltd 光学膜用コーティング剤及びこれを用いたエマルジョンマスク
DE602004001096T2 (de) * 2003-06-30 2006-10-19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Hitze-härtbare Harzzusammensetzung und Verwendung davon
KR100642446B1 (ko) * 2004-10-15 2006-11-02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컬러필터
KR100758879B1 (ko) * 2006-07-13 2007-09-14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 보호막용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0921A (ja) * 1988-12-29 1990-07-13 Kansai Paint Co Ltd 硬化性樹脂
KR100268697B1 (en) * 1992-07-24 2000-10-16 Jsr Corp Epoxy group-containing resin composition
JP2000034319A (ja) * 1998-07-17 2000-02-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共重合樹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27978C (zh) 2008-10-22
KR20070031590A (ko) 2007-03-20
TW200712088A (en) 2007-04-01
US20070059546A1 (en) 2007-03-15
CN1932559A (zh) 2007-03-21
TWI332513B (en) 2010-11-01
JP2007079527A (ja)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605B1 (ko) Cmos 이미지센서 컬러필터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이미지센서
JP2006113547A (ja) 熱硬化性の一液型カラーフィルター用保護膜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ー
KR100805688B1 (ko)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KR100758879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TW201137019A (en) Cation polymeric resin, cation polymeric resin composition and cured article thereof
KR100872359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KR100845939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컬러필터
KR100845692B1 (ko)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컬러필터
KR100777965B1 (ko)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US8389621B2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for producing color filter for CMOS image sensor, color filter comprising transparent film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and CMOS image sensor using the color filter
KR100782264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컬러필터
JP2020066688A (ja) 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6577746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液晶表示素子用シール剤及び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剤
KR101002736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JP2010209258A (ja) 色材組成物
JP6813996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樹脂改質剤、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1246700B1 (ko) 바인더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열경화 수지조성물.
JP6565392B2 (ja) (メタ)アクリル樹脂溶液
JP2022188610A (ja) 液晶配向膜用樹脂組成物
CN112194793A (zh) 聚酰胺酸组合物
JP2018172530A (ja) ブロック共重合体、分散剤、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2053622A (ja) 耐熱性および耐薬品性の向上したメタクリル樹脂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