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357B1 -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 Google Patents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357B1
KR100805357B1 KR1020070029312A KR20070029312A KR100805357B1 KR 100805357 B1 KR100805357 B1 KR 100805357B1 KR 1020070029312 A KR1020070029312 A KR 1020070029312A KR 20070029312 A KR20070029312 A KR 20070029312A KR 100805357 B1 KR100805357 B1 KR 10080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infrared
heat
bed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휘
Original Assignee
박상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휘 filed Critical 박상휘
Priority to KR1020070029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4Lamps as heat source, i.e. heating elements with protective gas envelope, e.g. halogen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 발열체를 이용한 돌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 틀(10) 상부에 돌 부재(11)가 설치되고 돌 부재(11) 저면과 매트 틀(10) 바닥 사이에 공간부(12)를 형성하고 공간부에는 다수의 지지부재(13)가 설치되 돌부재(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간부(12) 일측에 근적외선 램프(21)를 갖는 근적외선 발열체(20)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12)에 설치된 지지부재(13) 각면과 공간부 바닥에 반사경(30)을 설치하여 근적외선 발열체(20)의 열이 돌부재(11)에 반사시켜 복사열이 발생되도록 침대를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돌을 가열하기 위한 전력소비를 절감하고 태양빛에 근접한 빛을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자연열을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유해 전자파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청정에너지를 사용함으로 주변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동시에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효과를 갖는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적외선, 근적외선 발열체, 돌부재, 구들석, 반사경, 침대

Description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A STONE BED INSTALLED HEAT SOURCE AS NEAR-INFRARED RAY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근적외선 발열체를 설치한 돌침대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근적외선 발열체와 돌 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근적외선 발열체가 설치된 침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근적외선 발열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침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돌 부재를 구들석으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돌침대의 종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요부 확대 발췌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매트 틀 11:돌부재
12:공간부 13:지지부재
14:구들석 15:앵글부재
20:근적외선 발열체 21:근적외선 램프
30:반사경 40:침대틀
41:온도조절기
본 발명은 근적외선 발열체를 이용한 돌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의 돌 부재가 설치된 저부에 공간 부를 형성하며 공간 부 일 측에 근적외선 발열체를 설치하고 공간부의 바닥과 측면에는 반사경을 설치하여 근적외선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이 직접 또는 반사경에 의해 효과적으로 손실 없이 돌 부재에 흡수되도록 하여 돌 부재 분자의 운동이 근적외선 파장과의 공진에 의한 격렬한 운동이 열로 방출 됨과 동시에 낮은 온도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전기에 의한 전자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돌 침대를 사용하는 사람의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우나실의 원적외선실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실내의 공기가 건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친환경적이고 태양열에 근접한 난방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 침대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돌 침대에 난방을 하기 위해 전기 발열매트 또는 보일러에 의한 난방파이프를 설치하여 돌 침대의 난방 열원으로 사용하였다.
기존의 돌 침대는 난방을 하기 위해 돌 부재 저면에 전열매트를 설치하고 돌 부재와 전열매트 사이에는 차폐 천을 위치시켜 전열매트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전자파를 최소화할 수는 있지만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며, 현재 사용되는 돌 침대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에 의해 피부가 건조하고 방안의 공기를 건조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일러를 이용한 황토침대 또는 돌 침대는 저면에 금속관이나 엑셀 파이프를 이용하여 침대 일측에 설치된 보일러와 연결시켜 온수가 배관을 순환하므로 황토매트나 돌 부재에 열을 가하여 난방이 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의 열로 돌을 가열시킬 때 발생하는 전자파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보일러 역시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게 됨으로 전기의 소비가 많을 뿐만 아니라 배관을 설치하기위한 복잡한 구조가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열매트를 이용한 발열체나, 보일러를 이용한 발열체는 모두 전기를 이용하여 돌을 가열시켜야 함으로 많은 전력이 소비되고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돌 부재가 설치된 저부에 공간 부를 형성하며 공간 부 일측에 근적외선 발열체를 설치하고 공간부의 바닥과 지지부에는 반사경을 설치하여 근적외선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이 직접 또는 반사경에 의해 돌 부재에 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하여 열과 복사열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전기에 의한 전자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 람의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피부질환을 치료하며 또한 실내의 공기가 자기장에 의해 건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친환경적이고 태양열에 근접한 난방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를 발열체로 한 돌침대에 있어서,
매트 틀(10) 상부에 돌 부재(11)가 설치되고 돌 부재(11) 저면과 매트 틀(10) 바닥 사이에 공간부(12)를 형성하고 공간부에는 다수의 지지부재(13)가 돌부재(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간부(12) 일측에 근적외선 램프(21)를 갖는 근적외선 발열체(20)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12)에 설치된 지지부재(13) 각 면과 공간부 바닥에 반사경(30)을 설치하여 근적외선 발열체(20)의 열이 돌부재(11)에 반사시켜 복사열이 발생되도록 침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매트 틀(10) 상부에 돌 부재(11)를 설치하되 돌 부재(11)는 구들석(14)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들석은 앵글부재(15)로 고정하며 돌 부재(11) 저면과 매트 틀(10) 바닥 사이에 공간부(12)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2) 바닥 중앙부에 근적외선 램프(21)를 갖는 근적외선 발열체(20)를 설치하며, 상기 공간부(12) 바닥에는 반사경(30)을 설치하여 근적외선 발열체(20)의 발광열이 돌 부재(11) 저면을 반사시켜 복사열이 발생되도록 침대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돌 부재를 형성하는 구들석(14)은 상면은 판판하고 저면은 교대로 높낮이를 갖도록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들석은 상면에 종이, 합성수지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마감재(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침대 상면 일측에 설치된 온도조절기(41)를 이용하여 전원을 온시키면 공간부(12)일측에 설치된 근적외선 발열체(20)에 의해 근적외선 램프(21)의 발열 빛이 공간부의 지지부재(13) 외면과 공간부(12) 바닥에 설치된 반사경(30)에 의해 발열 빛이 상부의 돌 부재(11) 저면에 접촉되어 흡수되면서 복사열이 발생되어 돌 부재를 가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은 햇빛에 근접한 열원으로 난방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하고 친환경 열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근적외선을 살펴보면,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가장 짧은 0.75~3㎛인 것을 근적외선이라 한다.
즉, 햇빛이나 발열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스펙트럼으로 분산시켰을 때 적색 스펙트럼의 끝보다 바깥쪽에 있는 것이 적외선이며, 이 가운데 파장이 가장 짧은 것이 근적외선이다.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강한 열작용을 지니고 있어 공업용이나 의료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근적외선은 전자스펙트럼을 포함하여 열작용 외에 사진작용, 광전작용(光電作用), 형광작용(螢光作用)을 나타내므로 검출기에는 사진건판·광전지·광전관·열전대(熱電對)·인광체(燐光體) 등으로 사용된다. 사진건판과 광전관은 1.2㎛의 파장만이 검출 가능하므로 근적외선이 사용되고 있으며, 소독이나 멸균, 관절과 근육 치료에 쓰이며, 텅스텐필라멘트 전구는 3.5㎛까지의 근적외선이 사용된다.
또한 근적외선을 포함하는 적외선은 어떤 물질에 흡수된 적외선 에너지로 그 물질내에서 열로 변한다.
다시 말하면 적외선에너지를 흡수하지 않으면 발열하지 않으며 반대로 흡수율이 큰 물체는 발열량도 크다. 따라서, 각종 물질은 고유의 원자와 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고유의 진동수를 가지고있다. 이러한 분자는 적외선이 입사할 경우 진동수에 의해 공명이 일어나는 동시에 분자의 진동은 더욱 격렬하게 일어나 진폭이 커지게 되며 이러한 운동은 발열로 변하며 커진 상태의 진폭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때 열로 방출하게 되고 이러한 열을 복사에너지라 한다.
이러한 복사에너지는 표면온도 2500℃일때 근적외선 복사에너지의 밀도가 가장 큰 것을 알려져 있다.
근적외선 복사에너지를 받은 실제 물체의 복사는 그 이상적인 물체가 흑체이며 이 흑체는 흡수한 에너지를 전량복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흑체는 입사하는 모든 복사선을 완전히 흡수하는 물체를 말하며 완전흑체라고도 한다. 흑체가 내는 복사를 흑체복사라 하며, 흑체복사의 성질과 흑체의 온도 사이에 간단한 관계가 성립되므로 이론적으로 깊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태양도 흑체에서 <스테판 볼츠만(Stefen-Boltzen)>의 법칙에 의하면 복사 발산도는 그 표면 온도만으로 결정되며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 한다 이다. 따라서 복사에너지를 많이 방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복사체의 온도가 높을수 록 좋다는 결론으로 근적외선이 발생온도가 적외선 중 가장 높으므로 그 전달되는 에너지 량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태양도 그로부터 오는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태양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된 벽에 작은 구멍을 뚫어 놓으면 외부에서 오는 열복사를 완전히 흡수하기 때문에 흑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절연체로 이와 같은 공동(空洞)을 만들어 복사고온계(輻射高溫計)의 눈금의 표준으로 쓰거나 복사의 법칙을 증명하기 위해 이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공동을 이용한 복사스펙트럼의 연구로부터 M.플랑크가 에너지양자(量子)에 대한 생각을 제출하였는데, 이것은 물리학에 큰 변혁을 가져오게 한 양자론(量子論)을 출현시키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키르호프(Kirchihoff)의 법칙에 의하면 어떤 고체 표면의 복사율과 흡수율은 동일하다. 따라서 흑체의 경우 이들값은 1이며, 각종물체의 이들 값은 1보다 작고 이는 그 물체의 특성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물체들로서는 재래식 온돌의 구들석, 사우나에서 사용하는 각종 돌 등이 흡수율과 복사율이 1에 근접하며 고래로부터 경험에 의해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돌침대의 열매체를 근적외선으로 하여 근적외선 램프의 발열빛을 돌 부재(11)에 방사시켜 복사열로 침대의 돌 부재(11)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간부(12) 일측에 설치된 근적외선 발열체(20)인 근적외선 램프(21)의 빛이 반사경에 조사되면 반사경(30)은 공간부(12)의 바닥과 다수의 지지부재(13) 외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근적외선 램프(21)의 빛을 돌 부재(11) 저면에 조사시키고 돌 부재(11)에 조사된 근적외선은 돌 부재에 흡수되면서 파장에 의한 복사열이 발생되어 돌 부재(11)을 가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침대의 돌 부재(11)를 가열하는 열원은 근적외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를 사용하지만 전기를 발열시켜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가 발열시 발생하는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으며 근적외선 램프(21)의 빛을 반사경(30)으로 반사시켜 그 양을 증대시킴으로 적은 전력으로 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근적외선 발열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돌 침대의 종단면도로서, 침대틀(40) 상면에 매트틀(10)을 위치시키되 매트틀(10) 내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부재가 다수 설치되어 돌부재(11)가 설치된다. 상기 돌부재(11)는 수정, 맥반석, 현무암, 운모석, 편모암, 옥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의 돌 침대를 형성하는 돌부재(11)를 사용한다.
상기 매트틀(10)과 상부에 위치하는 돌부재(11) 사이에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근적외선 발열체(20)가 설치된다. 상기 근적외선 발열체(20)는 근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근적외선 램프가 설치된다.
상기 공간부 바닥과 지지부재 외면에는 반사경(30)이 설치되어 근적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반사시켜 상부에 위치하는 돌부재(11)의 저면에 조사되도록하여 근적외선의 파장이 돌부재(11) 내부로 흡수되도록 하여 복사열이 발생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근적외선은 근적외선 램프(21)에서 조사되는 빛이 고열을 발생하지 않으나 돌부재(11)에 흡수된 후에는 자체의 복사에너지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여 돌 부재를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근적외선 발열체와 돌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돌 부재(11) 저면의 공간부 바닥 전체에는 거울로 이루어진 반사경(30)이 설치되고 돌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1) 외면 역시 반사경(30)이 설치되어 근적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열을 갖는 빛을 반사시켜 돌부재(11)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근적외선 램프(21)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 파장이 돌부재(11)에 흡수되어 복사열이 발생되도록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근적외선 발열체가 설치된 침대의 평면도로서, 매트틀(10)공간부의 바닥에는 반사경(30)이 형성되고 공간부에는 다수의 지지부재(13)가 설치되어 돌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었다. 돌부재 외면에는 반사경이 설치된 것이며 침대의 머리부에는 통상의 침대와 같이 온도조절기(41)를 구비하여 온도조절과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일측에는 표시창이 형성되어 온도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근적외선 발열체(20)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통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본 발명의 침대구조에 적합하도록 구조변경하여 설치한 것이다.
또한 근적외선 설치위치는 침대의 구조에 따라서 사면중 어느 일측면에 설치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침대에는 근적외선 발열체(20)를 1개만 설치하더라도 취하고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나, 침대가 킹 사이즈이고 근적외선 발열체는 소형일 경 우에 는 양측 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전 후면 2곳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 발열체가 설치된 침대 사시도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 발열체를 사용한 침대의 외형도를 예시한 것으로서 침대의 외형은 통상적인것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돌 부재를 구들석으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돌침대의 종단면도로서, 상기 도1 내지 도4에서 사용하는 돌 부재(11)를 여러 조각으로 형성된 구들석(14)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도 5는 침대에 사용되는 돌 부재(11)를 구둘석으로 하되 구들석(14)의 두께를 달리하여 각각의 인접 연결되는 상면은 평활하게 형성하고 저면은 들쑥날쑥하도록 연결하여 저부에서 반사되는 근적외선 열이 흡수되어 가열되는 시간을 달리한 것이다.
즉, 저부에서 반사되는 근적외선 열에 의하여 얇은 구들석은 빨리 달궈지고 두꺼운 구둘석은 천천히 달궈지도록 함으로서 침대의 열전달을 싱속하게 하고 또한 근적외선 발열체(20)의 전원을 오프(off)시켜 난방을 중지하더라도 두꺼운 구둘석에 의하여 온열이 천천히 식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매트 틀(10) 상부에 설치되는 구들석(14)은 저부에 설치된 앵글부재(15)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구들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들부재(14) 저면과 매트 틀(10) 바닥부사이에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공간부 바닥 중앙부에는 근적외선 램프(21)를 갖는 근적외선 발열체(20)가 설치되어 근적외선을 상부의 구들석 저면에 조사하여 구들석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매트 틀(10) 바닥에는 반사경이 설치되어 근적외선 램프(21)에서 조사되는 빛을 난반사시켜 상부의 구들석(14) 저면을 골고루 조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매트 틀(10) 바닥에 설치되는 근적외선 발열체(20)와 대응되는 매트 틀(10) 바닥과 침대틀(40)은 근적외선 발열체(20) 몸체 크기 만큼 천공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도 5에서 실시되는 근적외선 발열체 설치위치는 반드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1 내지 도4와 같이 매트 틀 일측에 설치하여 근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근적외선 발열체(20) 전원은 통상의 전기제품과 같은 방식으로 일측에 전기공급선이 형성되어 집안의 전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온도조절등은 침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온도조절기(41)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은 상가 도 5의 요부 확대 발췌단면도로서, 매트 틀(10) 바닥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근적외선 발열체(20)를 설치하고, 바닥에는 근적외선 발열 빛을 상부로 조사할 수 있도록 반사경(30)을 설치한다.
도 6은 근적외선 발열램프(21)에서 조사되는 발열 빛이 반사경에 의하여 난반사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와 6은 구들석에 관한 것으로 구들석 상면을 평활하게 한 후 그 상면에는 민속장판, 통상의 합성 수지 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마감재(16)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구들석(14)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황토를 도포시켜 황토층을 형성한 후 그 상면에 마감재(16)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돌 부재에 근적외선을 투과시켜 흡수토록 함으로서 일정시간 돌 부재에 열을 축적하는 효과를 가지며 적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최대한의 발열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경(30)을 사용하여 근적외선을 전달함으로서 돌부재(11)의 어느 일면 만을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돌부재의 저면에 균일하게 근적외선을 방사시킴으로서 침대의 돌부재 상면에 균일하게 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돌침대의 발열체를 근적외선을 이용함으로써, 돌을 가열하기 위한 전력소비를 절감하고 태양빛에 근접한 빛을 이용함으로서 인체에 자연 열을 접촉할 수 있도록 하며, 유해 전자파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발열 시 발생되는 적외선에 의한 인체의 피부질환을 예방 할 수 있으며,청정에너지를 사용함으로 주변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동시에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전기를 발열체로 한 돌침대에 있어서,
    매트 틀(10) 상부에 돌 부재(11)가 설치되고 돌 부재(11) 저면과 매트 틀(10) 바닥 사이에 공간부(12)를 형성하고 공간부에는 다수의 지지부재(13)가 돌부재(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간부(12) 일측에 근적외선 램프(21)를 갖는 근적외선 발열체(20)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12)에 설치된 지지부재(13) 각면과 공간부 바닥에 반사경(30)을 설치하여 근적외선 발열체(20)의 열이 돌부재(11)에 반사시켜 복사열이 발생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반사경은 유리,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근적외선 램프는 할로겐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4. 전기를 발열체로 한 돌침대에 있어서,
    매트 틀(10) 상부에 돌 부재(11)를 설치하되 돌 부재(11)는 구들석(14)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들석은 앵글부재(15)로 고정하며 돌 부재(11) 저면과 매트 틀(10) 바닥 사이에 공간부(12)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2) 바닥 중앙부에 근적외선 램프(21)를 갖는 근적외선 발열체(20)를 설치하며, 상기 공간부(12) 바닥에는 반사경(30)을 설치하여 근적외선 발열체(20)의 발광열이 돌 부재(11) 저면을 반사시켜 복사열이 발생되도록 침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돌 부재를 형성하는 구들석(14)은 상면은 판판하고 저면은 교대로 높낮이를 갖도록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6. 제4항에 있어서,
    구들석은 상면에 종이, 합성수지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마감재(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KR1020070029312A 2007-03-26 2007-03-26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KR10080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312A KR100805357B1 (ko) 2007-03-26 2007-03-26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312A KR100805357B1 (ko) 2007-03-26 2007-03-26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357B1 true KR100805357B1 (ko) 2008-02-20

Family

ID=3938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312A KR100805357B1 (ko) 2007-03-26 2007-03-26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3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90B1 (ko) 2011-05-11 2011-09-16 임호웅 조립식 돌침대
KR101155661B1 (ko) * 2010-02-26 2012-06-13 이영이 보석을 이용한 전신 온열마사지 장치
KR102562040B1 (ko) * 2023-01-13 2023-07-31 최월용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
KR20230145714A (ko) 2022-04-11 2023-10-18 김창환 근적외선 침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388U (ko) * 1996-11-09 1998-08-05 황만철 옥돌 또는 구들장 또는 타일을 적용시켜된 온돌침대 및 온돌매트
KR200185898Y1 (ko) 2000-01-21 2000-06-15 장인수 침대
KR200222773Y1 (ko) 2000-11-16 2001-05-15 양인상 침대
KR200286834Y1 (ko) 2002-05-13 2002-08-24 최종우 침대
KR200292694Y1 (ko) 2002-07-16 2002-10-25 최창환 분리 가능한 온돌 침대
KR20030024311A (ko) * 2001-09-17 2003-03-26 배해봉 매트리스 내부공기 재순환가열기를 장착한 발열 매트리스및 그 발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388U (ko) * 1996-11-09 1998-08-05 황만철 옥돌 또는 구들장 또는 타일을 적용시켜된 온돌침대 및 온돌매트
KR200185898Y1 (ko) 2000-01-21 2000-06-15 장인수 침대
KR200222773Y1 (ko) 2000-11-16 2001-05-15 양인상 침대
KR20030024311A (ko) * 2001-09-17 2003-03-26 배해봉 매트리스 내부공기 재순환가열기를 장착한 발열 매트리스및 그 발열 방법
KR200286834Y1 (ko) 2002-05-13 2002-08-24 최종우 침대
KR200292694Y1 (ko) 2002-07-16 2002-10-25 최창환 분리 가능한 온돌 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661B1 (ko) * 2010-02-26 2012-06-13 이영이 보석을 이용한 전신 온열마사지 장치
KR101065290B1 (ko) 2011-05-11 2011-09-16 임호웅 조립식 돌침대
KR20230145714A (ko) 2022-04-11 2023-10-18 김창환 근적외선 침대
KR102562040B1 (ko) * 2023-01-13 2023-07-31 최월용 적외선 온열부를 포함하는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357B1 (ko)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JP2008241062A (ja) 加熱調理装置
KR200475856Y1 (ko) 전신 돔 사우나 장치
KR100899663B1 (ko) 근적외선 화로
JP2741995B2 (ja) 遠赤外線放射電熱ヒータ
US20100133259A1 (en) Heater usable with cook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oker
RU94398U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KR101099554B1 (ko) 원적외선 전기 히터
JP2008075910A (ja) 電気ストーブの運転方法
KR101225496B1 (ko) 적외선 구역 복사 전기 가온장치
JP2007333250A (ja) 遠赤外線パネルヒーター
KR200452843Y1 (ko)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KR200281387Y1 (ko) 적외선 방사 전열장치
KR101736961B1 (ko) 방열패널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090008553U (ko) 벽걸이 맥반석 난방장치
KR100540066B1 (ko) 적외선 방사 전열장치
WO2011046473A2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90107628A (ko) 복사 및 대류 열전달을 이용한 가열장치
KR100594373B1 (ko) 적외선 방사장치용 방사체
CN206728311U (zh) 高效能电加热装置
KR20110094362A (ko) 원적외선 방사 장치
KR100918492B1 (ko) 원적외선 방폭 히터
KR100456641B1 (ko) 사우나 장치의 적외선 발생유닛
JP2009291621A (ja) 遠赤外線サウナボックス
JPH03100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