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610B1 -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610B1
KR100803610B1 KR1020060115449A KR20060115449A KR100803610B1 KR 100803610 B1 KR100803610 B1 KR 100803610B1 KR 1020060115449 A KR1020060115449 A KR 1020060115449A KR 20060115449 A KR20060115449 A KR 20060115449A KR 100803610 B1 KR100803610 B1 KR 10080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user interface
based user
control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모
류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610B1/ko
Priority to US11/762,454 priority patent/US7912972B2/en
Priority to EP07111134A priority patent/EP1926252B1/en
Priority to CNA2007101282344A priority patent/CN101188584A/zh
Priority to JP2007211799A priority patent/JP453179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610B1/ko
Priority to US12/879,132 priority patent/US2010033267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가지고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에 가입하고, 가입 후에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디바이스의 제어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evice connect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via internet, the system and devi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EA-2014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기술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예약 녹화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타깃 디바이스(UPnP 디바이스, CEA-2014 디바이스, 레가시 디바이스)
110 :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RUIC)
111 : 통지/이벤트 처리부
112 : XHTML 브라우저
113 : UPnP 콘트롤 포인트
114 : UI 콘트롤 포인트
120 :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RUIS)
150 : 인터넷
121 : 통지/이벤트 처리부
122 : 웹 서버
130 : 외부 장치
140 : UPnP 홈 네트워크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EA-2014가 제공하는 폴링 기반의 통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작고 다양한 디바이스에도 컴퓨팅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저렴하고 보편적인 네트워킹 기술들이 출현하거나 사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정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텔레비젼, 세탁기, 퍼스널 컴퓨터, 오디오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Universal plug and play, UPnP)가 제안되었다. UPnP는 퍼스널 컴퓨터, 주변장치, 지능형 가전제품, 무선 장비 등과 같은 장치들을 네트워크에 접속시켰을 때, 인터넷과 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로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이다. UPnP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어떤 장치를 네트워크에 추가하면 그 장치는 스스로 구성을 완료하며, TCP/IP 주소를 받고, 다른 장치들에게 자신의 존 재를 알리기 위해 인터넷 HTTP에 기반을 둔 발견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카메라와 프린터가 있고 그 프린터를 통해 사진을 출력하려고 할 때, 카메라의 단추를 누르면 카메라가 "발견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에 보냄으로써 이용 가능한 프린터가 네트워크상에 있는지 찾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그 신호를 받은 프린터는 자신의 위치를 URL의 형태로 카메라에게 응답하게 된다. 카메라와 프린터는 공용의 언어로 XML을 사용하거나, 또는 프로토콜 협상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게 된다. 의사소통을 위한 공용언어가 결정되면, 카메라는 프린터를 제어하고 선택된 사진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 1.0 사양은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구조를 기반으로 UPnP 홈 네트워크 내의 각 가전 제품들이 중앙 집중의 관리를 받지 않고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UPnP는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구조의 기술적인 구성요소로 IP, HTTP 등과 같은 표준 네트워킹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운영체제, 플랫폼 및 전송 매체에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UPnP 1.0 규격에서는 디바이스의 발견을 위해 멀티캐스트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를 발견하고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현재 IPv4 주소의 부족으로 UPnP 홈 네트워크가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으로 구성되는 환경하에서는 UPnP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을 통하지 않고서는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없다. 또한 포트 맵핑 방식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나, 이 경우는 별도의 UPnP IGD(Internet Gateway Device)를 필요로 한다.
상기 이유들 때문에, UPnP 1.0 규격을 채택하여 UPnP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상 사설망으로 구성되는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폴링 기반의 통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a)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가지고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에 가입하는 단계; (b) 상기 가입 후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로,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로,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가지고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에 가입하는 통지/이벤트 처리부; 상기 변환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제1 콘트롤 포인트; 및 상기 변환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콘트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a) 상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장치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가지고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제2 장치에 가입하는 단계; (b) 상기 가입 후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장치에서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1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1 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장치에서, 상기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상기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1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EA-2014 시스템의 구성도로, UPnP 홈 네트워크(140) 에 접속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10) 및 디바이스(100)와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10)와 인터넷(150)을 통해 연결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바이스(100)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와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전자의 경우는 CEA-2014 디바이스, 후자의 경우는 UPnP 디바이스와 레가시 디바이스를 말한다. CEA-2014는 Web-based 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s(CEA) R7 홈 네트워크 협회가 공개한 새로운 표준으로, UPnP 네트워크 및 인터넷에 기반을 둔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웹-기반의 프로토콜 및 프레임 워크이다. CEA-2014 디바이스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PnP 디바이스이며, UPnP 디바이 스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UPnP 디바이스다. 한편, 레가시 디바이스는 UPnP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도 않는 디바이스로 정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1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는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21)로부터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3자 통지 메시지는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로, 사용자가 발생한 이벤트를 포함하며, CEA-2014 표준에 의거하여 생성된다. 또한,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는 수신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각각의 콘트롤 포인트(113 또는 114)로 전달한다. 또한,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는 CEA-2014의 폴링 기반의 통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UPnP 콘트롤 포인트(113) 또는 UI 콘트롤 포인트(114)가 수집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가지고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에 가입한다.
또한, UPnP 콘트롤 포인트(113)는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로부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제어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후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는 전달받은 제어 메시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UPnP 콘트롤 포인트(113) 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결과를 전달받고, 제어 결과에 대한 리포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로 전송한다. 또한, UPnP 콘트롤 포인트(113)는 UPnP 액션을 이용하여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한다. 특히, 레가시 디바이스의 경우는 UPnP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대역 외 프로토콜(Out-of-band protocol)을 이용하여 레가시 디바이스 스스로 제어정보를 UPnP 콘트롤 포인트(113)에 등록해야 한다.
한편, UI 콘트롤 포인트(114)는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로부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제어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후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전달받은 제어 메시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UPnP 콘트롤 포인트(114)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결과를 전달받고, 제어 결과에 대한 리포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로 전송한다. 또한, UI 콘트롤 포인트(114)는 UPnP 액션을 이용하여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한다.
한편, XHTML 브라우저(112)는 웹 서버(122)로부터 전달받은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의 웹 서버(122)는 외부 장치(130)에 UPnP 홈 네트워크(140)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 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웹 서버(122)는 외부 장치(130)가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장치(130)를 인증할 수 있다.
외부 장치(130)는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웹 서버(122)가 제공하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제어 이벤트를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에게 제공한다.
통지/이벤트 처리부(121)는 외부 장치(130)에서 발생된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제어 이벤트를 포함하는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인터넷을 이용한 폴링 기반의 통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폴링 기반의 통지 서비스는 CEA-2014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가입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10)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전송하여 주는 서비스이다. 인터넷에서 변경된 내용을 쉽게 구독할 수 있도록 바뀐 내용을 가입자에게 제공하여 준다는 점에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기술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0 내지 단계 202은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등록 및 수집하는 단계이다.
단계 200에서 레가시 디바이스가 대역 외 프로토콜(Out-of-band protocol)을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콘트롤 포인트(113)에 직접 등록한다.
단계 201에서는 콘트롤 포인트(113, 114)가 UPnP 액션을 이용하여 UPnP 디바이스 및 CEA-2014 디바이스를 발견하고, 발견된 UPnP 디바이스 및 CEA-2014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등록한다.
단계 202에서, 콘트롤 포인트(113, 114)는 등록된 제어정보로부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집한다.
단계 203에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2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는 수집된 제어정보를 가지고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21)에 가입 요청을 한다.
단계 204에서, 가입 요청을 받은 통지/이벤트 처리부(121)는 가입을 승인하고,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이벤트 포함)를 등록한다.
단계 205에서, 사용자가 웹 서버(122)가 제공하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웹 페이지)를 액세스함으로써 이벤트가 발생한다.
단계 206에서는 통지/이벤트 처리부(121)는 이벤트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 207에서는 통지/이벤트 처리부(121)는 생성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1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로 전송한다.
단계 208에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1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는 수신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한다.
단계 209에서, 콘트롤 포인트(113, 114)는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타깃 디바이스(레가시 디바이스, UPnP 디바이스, 또는 CEA-2014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한다.
단계 210에서 타깃 디바이스는 제어 메시지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 결과를 콘트롤 포인트(113, 114)로 전송한다.
단계 211에서는 콘트롤 포인트(113, 114)는 제어 결과에 대한 리포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포트 메시지를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의 웹 서버(122)로 전송한다.
단계 212에서 웹 서버(122)는 수신된 리포트 메시지를 외부장치(130)로 전송한다. 전송된 리포트 메시지는 이후 외부장치에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웹 페이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예약 녹화를 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외부장치(130)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이며, PVR은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UPnP 디바이스라고 가정한다.
단계 300에서는 UPnP 콘트롤 포인트(113)는 UPnP 액션을 이용하여 UPnP 디바이스(PVR)을 발견하고, 발견된 UPnP 디바이스(PVR)에 대한 제어정보를 등록한다. 제어정보는 디바이스의 이름, 제어방법, 상태 등일 수 있다.
단계 301에서, UPnP 콘트롤 포인트(113)는 등록된 제어정보로부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집한다.
단계 302에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2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는 수집된 제어정보를 가지고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21)에 가입 요청을 한다.
단계 303에서, 가입 요청을 받은 통지/이벤트 처리부(121)는 가입을 승인하고,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이벤트 포함)를 등록한다.
단계 304 및 305에서, 사용자가 웹 서버(122)가 제공하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웹 페이지)를 액세스함으로써 이벤트(예약녹화)가 발생한다. 예약녹화에 관한 이벤트는 녹화 일자, 시간 등일 수 있다.
단계 306에서는 통지/이벤트 처리부(121)는 이벤트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 307에서는 통지/이벤트 처리부(121)는 생성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1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로 전송한다.
단계 308에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110)의 통지/이벤트 처리부(111)는 수신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UPnP 디바이스(PVR)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한다.
단계 309에서, UPnP 콘트롤 포인트(113)는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UPnP 디바 이스(PVR)로 전송한다.
단계 310에서 UPnP 디바이스(PVR)는 제어 메시지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단계 311에서 UPnP 디바이스(PVR)는 제어 결과를 UPnP 콘트롤 포인트(113)로 전송한다.
단계 312에서는 UPnP 콘트롤 포인트(113)는 제어 결과에 대한 리포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포트 메시지를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120)의 웹 서버(122)로 전송한다. 이후 단계 312에서 웹 서버(122)는 수신된 리포트 메시지를 외부장치(130)로 전송한다. 전송된 리포트 메시지는 이후 외부장치에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웹 페이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폴링 기반의 통지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3자 통지 메시지를 CEA-2014. UPnP 디바이스, 및 UPnP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레가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함으로써 비표준 디바이스와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23)

  1.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가지고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에 가입하는 단계;
    (b) 상기 가입 후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로,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결과로, 리포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리포트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단계;
    (a2) 상기 발견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a3) 상기 수집된 제어정보를 가지고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에 가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레가시 디바이스인 경우 대역 외 프로토콜(Out-of-band protocol)을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CEA-2014 디바이스이며,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는 레가시 디바이스 또는 UPnP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7.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UPnP 홈 네트 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로,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가지고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에 가입하는 통지/이벤트 처리부;
    상기 변환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제1 콘트롤 포인트; 및
    상기 변환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콘트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트롤 포인트 또는 상기 제2 콘트롤 포인트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결과로서 리포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CEA-2014 디바이스이며,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는 레가시 디바이스 또는 UPnP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트롤 포인트는
    상기 디바이스가 레가시 디바이스인 경우 대역 외 프로토콜(Out-of-band protocol)을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장치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가지고 상기 UPnP 홈 네트워크 외부의 제2 장치에 가입하는 단계;
    (b) 상기 가입 후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장치에서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1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1 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장치에서, 상기 변환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 장치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결과로, 리포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제2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단계;
    (a2) 상기 발견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a3) 상기 수집된 제어정보를 가지고 상기 제2 장치에 가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레가시 디바이스인 경우 대역 외 프로토콜(Out-of-band protocol)을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CEA-2014 디바이스이며,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는 레가시 디바이스 또는 UPnP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18.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상기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1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1 장치로 전송하는 통지/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제3자 통지 메시지를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정보를 가지고 상기 제1 장치에 가입하는 통지/이벤트 처리부;
    상기 변환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제1 콘트롤 포인트; 및
    상기 변환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콘트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트롤 포인트 또는 상기 제2 콘트롤 포인트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결과로서 리포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제2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CEA-2014 디바이스이며,
    상기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는 레가시 디바이스 또는 UPnP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트롤 포인트는
    상기 디바이스가 레가시 디바이스인 경우 대역 외 프로토콜(Out-of-band protocol)을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60115449A 2006-11-21 2006-11-21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080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49A KR100803610B1 (ko) 2006-11-21 2006-11-21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11/762,454 US7912972B2 (en) 2006-11-21 2007-06-13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connect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via internet, and system and device for the method
EP07111134A EP1926252B1 (en) 2006-11-21 2007-06-27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connected to a network
CNA2007101282344A CN101188584A (zh) 2006-11-21 2007-07-05 控制设备的方法以及用于该方法的***和设备
JP2007211799A JP4531794B2 (ja) 2006-11-21 2007-08-15 インターネットを通じてUPnP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デバイスを制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装置
US12/879,132 US20100332670A1 (en) 2006-11-21 2010-09-10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connect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via internet, and system and device for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49A KR100803610B1 (ko) 2006-11-21 2006-11-21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610B1 true KR100803610B1 (ko) 2008-02-15

Family

ID=3914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449A KR100803610B1 (ko) 2006-11-21 2006-11-21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12972B2 (ko)
EP (1) EP1926252B1 (ko)
JP (1) JP4531794B2 (ko)
KR (1) KR100803610B1 (ko)
CN (1) CN1011885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724A3 (en) * 2008-08-05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remote user interface client about event of remote user interface server in home network
WO2010019000A3 (en) * 2008-08-14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put in home network using upnp
KR101442640B1 (ko) * 2012-12-27 2014-09-19 전자부품연구원 홈 네트워크 프록시 서버를 이용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8887B2 (en) 2008-06-24 2011-05-24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bandwidth measurement
US8307093B2 (en) * 2008-06-25 2012-11-06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access between UPnP devices
KR20100049474A (ko) * 2008-11-03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85806B1 (ko) * 2009-05-28 2015-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640031B2 (en) * 2009-09-01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mote user interface in a home network
KR101612553B1 (ko) * 2009-10-09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와 리모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64430B1 (ko) 2009-11-13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ui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X2012005667A (es) * 2009-12-15 2012-06-19 Ericsson Telefon Ab L M Cambio de tiempo de transmision de medios en vivo.
KR101531532B1 (ko) * 2010-02-11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접속에 기초해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98354B1 (ko) * 2010-07-16 2017-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944282B (zh) * 2010-09-07 2012-12-05 龚湘明 遥控器及其遥控方法和***
KR20120072115A (ko) 2010-12-23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 영역 확장 장치 및 방법
US10952038B2 (en) * 2011-03-21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endar services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environment
CA2794110C (en) 2011-11-01 2021-01-19 Wmode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carousel
KR102147237B1 (ko) * 2013-12-27 202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31095B2 (en) * 2014-04-29 2019-06-25 Cox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development of an automation control service
KR102401645B1 (ko) * 2015-05-22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게이트웨이와 그 제어 방법
CN108063703A (zh) * 2017-10-25 2018-05-22 合肥润东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广电网络的智能家庭***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766A (ko) * 2001-12-27 200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중망에서 사설망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30089126A (ko) * 2002-05-16 2003-1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외부 인터넷에 의한 댁내망의 UPnP장치 관리제어 장치및 방법
KR20040027926A (ko) * 2001-08-22 2004-04-01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을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050091063A (ko) * 2003-01-07 2005-09-14 오픈픽 인크. 상주 또는 비상주 네트워크용 레거시 장치 브리지
KR20050119018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525A (ko) 2000-03-22 2001-10-26 윤종용 인터넷 프로토콜 근간 네트워크 기기로서 비 인터넷프로토콜 근간 네트워크 기기의 제어를 이루는 인터넷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US6686838B1 (en) * 2000-09-06 2004-02-03 Xanbo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automatic registration of devices
GB0116877D0 (en) * 2001-07-10 2001-09-05 Hewlett Packard Co Intelligent feature selection and pan zoom control
JP2003030072A (ja) 2001-07-18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代理方法および遠隔制御代理装置
KR20040005503A (ko) 2002-07-10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유피엔피 기능 분산 시스템
JP4337591B2 (ja) * 2004-03-19 2009-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6080586A (ja) * 2004-09-07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装置、およ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US20060245403A1 (en) * 2005-04-27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PnP mobility extension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US8616976B2 (en) * 2006-11-07 2013-12-31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Gaming via peer-to-peer network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926A (ko) * 2001-08-22 2004-04-01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을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030055766A (ko) * 2001-12-27 200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중망에서 사설망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30089126A (ko) * 2002-05-16 2003-1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외부 인터넷에 의한 댁내망의 UPnP장치 관리제어 장치및 방법
KR20050091063A (ko) * 2003-01-07 2005-09-14 오픈픽 인크. 상주 또는 비상주 네트워크용 레거시 장치 브리지
KR20050119018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서버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724A3 (en) * 2008-08-05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remote user interface client about event of remote user interface server in home network
US9088458B2 (en) 2008-08-05 2015-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remote user interface client about event of remote user interface server in home network
WO2010019000A3 (en) * 2008-08-14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put in home network using upnp
US8429309B2 (en) 2008-08-14 2013-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put in home network using UPnP
KR101442640B1 (ko) * 2012-12-27 2014-09-19 전자부품연구원 홈 네트워크 프록시 서버를 이용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8584A (zh) 2008-05-28
EP1926252A3 (en) 2011-11-09
EP1926252B1 (en) 2012-12-19
JP4531794B2 (ja) 2010-08-25
US7912972B2 (en) 2011-03-22
JP2008130082A (ja) 2008-06-05
US20100332670A1 (en) 2010-12-30
EP1926252A2 (en) 2008-05-28
US20080120422A1 (en)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610B1 (ko) 인터넷을 통해 UPnP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11115507B2 (en) Service discovery
JP4041118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JP4058845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
CN105409183B (zh) 用于在html5应用中实现任何网络功能客户端或服务器的***和设备
KR100555809B1 (ko) 네트워크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제어 방법
JP5916822B2 (ja) リモート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サーバとリモート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クライアントとの間の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9372839B2 (en) Rendering system
JP2008236344A (ja) プロキシ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01202317A (ja)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リモート表示装置
JP2006236354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サービスフレームワーク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20007433A (ko) 컴퓨터 장치 간의 고화질 비디오 텔레포니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5106358A (ja) リモート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宅内機器制御装置
KR20170063423A (ko) 멀티미디어 공유 방법, 등록 방법, 서버 및 프록시 서버
JP5142216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内の端末から広域ネットワークへコンテンツを送信する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50078541A (ko)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JP2010004344A (ja) リモートアクセスを行う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72115A (ko) UPnP 네트워크 영역 확장 장치 및 방법
KR100632399B1 (ko) 고속 직렬 디바이스를 범용 플러그앤플레이 디바이스와연동시키기 위한 브리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6795B1 (ko)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를 포트 포워딩을 이용하여 원격 디바이스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952280B1 (ko) 댁내에 설치되는 주거 게이트웨이의 재부팅을 원격으로제어하는 방법
JP5191878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内の端末から広域ネットワークへコンテンツを送信するコンテンツ転送方法及びシステム
JP4743178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Tranmanh et al. Implementation and Validation of UPnP for Embedded Systems in a Home Networking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