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015B1 -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015B1
KR100802015B1 KR1020040062744A KR20040062744A KR100802015B1 KR 100802015 B1 KR100802015 B1 KR 100802015B1 KR 1020040062744 A KR1020040062744 A KR 1020040062744A KR 20040062744 A KR20040062744 A KR 20040062744A KR 100802015 B1 KR100802015 B1 KR 10080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eccentric
rotating shaft
pres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156A (ko
Inventor
이정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015B1/ko
Priority to US11/102,853 priority patent/US7192259B2/en
Priority to CNB2005100742750A priority patent/CN100383393C/zh
Priority to JP2005175361A priority patent/JP4022554B2/ja
Publication of KR2006001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0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bl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5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04C29/0057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for eccentric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56Number of pump/machine units i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는 서로 다른 내용적으로 구획된 상부 및 하부 압축실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실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편심 설치되어 상기 각 압축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캠과,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편심캠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부시와, 상기 상부 편심부시와 하부 편심부시 사이에 마련되는 슬롯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의 양단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지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을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압입되도록 상기 걸림핀에 마련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가 압입되도록 상기 결합홀에 마련되는 압입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홀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압입력을 받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회전축, 걸림핀, 압입홀, 타원.

Description

용량가변 회전압축기{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대략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장치가 회전축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회전축과 걸림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회전축과 걸림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회전축과 걸림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회전축과 걸림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5는 회전축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심장치에 의해 상부 압축실에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회전축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심장치에 의해 하부 압축실에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 을 보인 것이다.
도 7은 회전축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심장치에 의해 하부 압축실에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회전축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심장치에 의해 상부 압축실에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 회전축 31: 상부 압축실
32: 하부 압축실 40: 편심장치
41: 상부 편심캠 42: 하부 편심캠
51: 상부 편심부시 52: 하부 편심부시
53: 슬롯 80: 걸림핀
81: 머리부 82: 수나사부
90: 결합홀 91: 압입홀부
92: 암나사부
본 발명은 회전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배치되는 편심장치에 의해 내용적이 다른 두 개의 압축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압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와 냉장고 등과 같이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주위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는 냉동사이클의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냉각장치의 냉각능력은 통상적으로 압축기의 압축용량에 따라 정해지게 되며, 따라서 압축기의 압축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주위의 온도와 설정온도 차이에 따라 냉각장치를 최적의 상태에서 운전되도록 하여 주위공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에는 회전압축기와 왕복동 압축기 등이 있는데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압축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회전압축기는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자와 회전자, 회전자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축,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된 편심캠, 압축실의 내부에서 편심캠의 외주면에 배치된 롤러를 구비하여서,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압축실 내부에 배치된 편심캠과 롤러의 편심 회전운동에 의해 압축실 내부로 기체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에 밀폐용기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회전압축기는 일정한 압축용량만을 갖기 때문에 주위의 온도와 설정온도 차이에 따라 압축용량을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주위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매우 높게 되면 주위공간을 신속하게 냉방 시키기 위해 압축기가 큰 압축용량으로 작동하는 것이 필요하고, 주위의 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크지 않으면 에너지 절감을 위해 작은 압축용량으로 운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지만, 종래의 회전압축기는 주위의 온도와 설정온도 차이와는 상관없이 동일한 압축용량으로만 운전되기 때문에 주위 공간의 온도변화에 따라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단점을 야기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에 배치되는 편심장치에 의해 내용적이 다른 두 개의 압축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압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회전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축의 굽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는 서로 다른 내용적으로 구획된 상부 및 하부 압축실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실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편심 설치되어 상기 각 압축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캠과,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편심캠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부시와, 상기 상부 편심부시와 하부 편심부시 사이에 마련되는 슬롯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의 양단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지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을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압입되도록 상기 걸림핀에 마련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가 압입되도록 상기 결합홀에 마련되는 압입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홀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압입력을 받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홀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장축방향을 갖는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핀은 상기 결합홀에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암나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홀부는 원형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양측부를 절개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는 서로 다른 내용적으로 구획된 상부 및 하부 압축실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실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편심 설치되어 상기 각 압축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캠과,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편심캠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부시와, 상기 상부 편심부시와 하부 편심부시 사이에 마련되는 슬롯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의 양단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 지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을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압입되도록 상기 걸림핀에 마련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가 압입되도록 상기 결합홀에 마련되는 압입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홀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회전축의 원주방향 길이보단 긴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대략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는 밀폐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회전력에 의해 기체를 압축하는 압축부(30)를 구비한다. 구동부(20)는 밀폐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고정자(22)와, 상기 고정자(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23)와, 상기 회전자(23)의 중심부로부터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자(23)와 함께 정회전(제 1 회전방향) 또는 역회전(제 2 회전방향)하게 되는 회전축(21)으로 구성된다.
압축부(3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내용적이 다른 원통형의 상부 압축실(31)과 하부 압축실(32)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33)과, 상기 하우징(33)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어 회전축(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플랜지(35) 및 하부 플랜지(36)와, 상기 상부 압축실(31)과 하부 압축실(32)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압축실(31)과 하부 압축실(32)이 서로 구획되도록 하는 중간판(34)을 포함한다.
상부 압축실(31)의 높이는 하부 압축실(32)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서 상부 압축실(31)의 내용적이 하부 압축실(32)의 내용적보다 더 크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 압축실(31)에서는 하부 압축실(32)에 비해 더 많은 유량의 기체를 압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압축기가 가변용량을 갖게 된다.
물론, 하부 압축실(32)의 높이를 상부 압축실(31)의 높이보다 더 크게 하면 하부 압축실(32)의 내용적이 상부 압축실(31)의 내용적보다 더 크게 되어 하부 압축실(32)에서 더 많은 유량의 기체를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압축실(31)과 하부 압축실(32)의 내부에는 회전축(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 압축실(31)과 하부 압축실(32) 중에서 어느 하나에서만 선택적으로 압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편심장치(40)가 배치되는데, 이 편심장치(40)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또한, 상부 압축실(31)과 하부 압축실(32)에는 상기 편심장치(4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롤러(37)와 하부 롤러(38)가 설치되고, 하우징(33)에는 각각 상부 압축실(31)과 하부 압축실(32)과 연통하도록 배치된 상하부 흡입구(63)(64)와 상하부 토출구(65)(66)(도 5 및 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흡입구(63)와 상부 토출구(65) 사이에는 상부 베인(61)이 지지스프링(61a)에 의해 상부 롤러(37)와 밀착된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도 5 참조), 하부 흡입구(64)와 하부 토출구(66) 사이에는 하부 베인(62)이 지지스프링(62a)에 의해 하부 롤러(38)와 밀착된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액냉매를 분리하여 가스냉매만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69)의 출구관(69a)에는 하우징(33)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흡입구(63)(64) 중에서 압축동작이 이루어지는 흡입구 측으로만 가스냉매가 공급되도록 각 흡입유로(67)(68)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유로 전환장치(70)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 전환장치(70)의 내부에는 상부 흡입구(63)와 연결된 흡입유로(67)와 하부 흡입구(64)와 연결된 흡입유로(68)의 압력차에 의해 이 흡입유로(67)(68)들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여 냉매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장치(71)가 좌우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장치(40)는 회전축(21)에서 각각 상부 압축실(31)과 하부 압축실(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상부 편심캠(41)과 하부 편심캠(42), 각각 상기 상부 편심캠(41)과 하부 편심캠(42)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상부 편심부시(51)와 하부 편심부시(52), 상부 편심캠(41)과 하부 편심캠(42) 사이에 설치되는 걸림핀(80), 상부 편심부시(51)와 하부 편심부시(52) 사이에 일정길이로 마련되어 회전축(2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핀(80)이 걸려져서 클러칭 동작을 하게 되는 슬롯(5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편심캠(41)과 하부 편심캠(42)은 회전축(21)의 외주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일체로 돌출하여 회전축(21)의 중심선(C1-C1)에 대해 편심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편심캠(41)(42)은 회전축(21)으로부터 최대로 돌출한 상부 및 하부 편심캠(41)(42)의 각 최대 편심부와 회전축(21)으로부터 최소로 돌출한 상부 및 하부 편심캠(41)(42)의 각 최소 편심부를 연결하는 상부 편심선 (L1-L1)과 하부 편심선(L2-L2)이 서로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 편심캠(41)의 종방향의 길이는 상부 압축실(3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하부 편심캠(42)의 종방향의 길이는 하부 압축실(3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걸림핀(80)은 머리부(81)와, 상기 머리부(81)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82)로 이루어져서, 상부 편심캠(41)과 하부 편심캠(42) 사이의 회전축(21)에서 상기 편심선(L1-L1)(L2-L2)들과 대략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홀(90)에 결합됨으로써 회전축(21)에 체결된다. 상기 걸림핀(80)이 회전축(21)의 결합홀(90)에 결합되는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부 편심캠(41)에 대응하는 종방향의 길이를 가진 상부 편심부시(51)와, 하부 편심캠(42)에 대응하는 종방향의 길이를 가진 하부 편심부시(52)는 그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54)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걸림핀(80)의 머리부(81)의 직경보다 약간 큰 폭을 가진 상기 슬롯(53)은 연결부(54)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5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 편심부시(51)와 하부 편심부시(52)를 회전축(21)에 끼우고 슬롯(53)을 통해 걸림핀(80)을 회전축(21)의 결합홀(90)에 체결하면 걸림핀(80)이 슬롯(53)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축(21)에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축(21)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될 때 걸림핀(80)이 슬롯(53)의 제 1 단(53a)과 제 2 단(53b) 중의 어느 하나에 걸리기 전까지는 상부 및 하부 편심부시(51)(52)는 회전하지 않게 되며, 걸림핀(90)이 제 1 단(53a) 또는 제 2 단(53b)에 걸리게 되면 상부 편심부시(51)와 하부 편심부시(52)가 회전축(21)과 함께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부 편심부시(51)의 최대 편심부와 최소 편심부를 연결하는 편심선(L3-L3)과 슬롯(53)의 제 1 단(53a)과 연결부(54)의 중심을 잇는 선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하부 편심부시(52)의 최대 편심부와 최소 편심부를 연결하는 편심선(L4-L4)과 슬롯(53)의 제 2 단(53b)과 연결부(54)의 중심을 잇는 선 사이의 각도도 마찬가지로 대략 90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 편심부시(51)의 편심선(L3-L3)과 하부 편심부시(52)의 편심선(L4-L4)은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되 상부 편심부시(51)의 최대 편심부와 하부 편심부시(52)의 최대 편심부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도록 편심 배치되며, 연결부(54)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53)의 제 1 단(53a)과 제 2 단(53b)을 연결하는 선도 1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구조에 의해 걸림핀(80)이 슬롯(53)의 제 1 단(53a)에 걸려져서 상부 편심부시(51)가 회전축(21)과 함께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물론, 하부 편심부시도 함께 회전하게 됨)하게 되는 각위치에서 상부 편심부시(51)는 상부 편심캠(41)의 최대 편심부와 상부 편심부시(51)의 최대 편심부가 서로 맞닿게 되어 회전축(21)과 최대로 편심된 상태로 정회전하게 되는 반면에(도 5 참조), 하부 편심부시(52)는 하부 편심캠(42)의 최대 편심부와 하부 편심부시(52)의 최소 편심부가 서로 맞닿게 되어 회전축(21)과 동심을 이룬 상태로 정회전하게 된다(도 6 참 조).
상기와 반대로, 걸림핀(80)이 슬롯(53)의 제 2 단(53b)에 걸려져서 하부 편심부시(52)가 회전축(21)과 함께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각위치에서 하부 편심부시(52)는 하부 편심캠(42)의 최대 편심부와 하부 편심부시(52)의 최대 편심부가 서로 맞닿게 되어 회전축(21)과 최대로 편심된 상태로 역회전하게 되는 반면에(도 7 참조), 상부 편심부시(51)는 상부 편심캠(41)의 최대 편심부와 상부 편심부시(51)의 최소 편심부가 서로 맞닿게 되어 회전축과 동심을 이룬 상태로 역회전하게 된다(도 8 참조).
다음은 걸림핀(80)과 회전축(21)간의 체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걸림핀(80)과 회전축(21)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3b는 걸림핀(80)이 회전축(21)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90)은 회전축(21)의 외주면으로부터 그 중심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걸림핀(80)의 머리부(81)가 압입되는 압입홀부(91)와 걸림핀(80)의 수나사부(82)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92)로 이루어진다. 걸림핀(80)의 머리부(81) 상면에는 육각홈(83)이 형성되어 있어 걸림핀(80)을 결합홀(90)에 체결할 때 육각형 단면을 갖는 체결공구를 이 육각홈(83)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회전시켜 체결하게 된다.
걸림핀(80)은 암나사부(92)와 수나사부(82) 간의 체결력과, 압입홀(91)과 머리부(81) 사이의 압입력에 의해 회전축(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만일 이 압입력이 머리부(81) 둘레에 사방으로 작용하게 될 경우, 회전축 (21)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A)은 걸림핀(80)이 슬롯(53)의 제1단(53a)이나 제2단(53b)에 충돌할 때 걸림핀(8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대하여 회전축(21)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B)은 회전축(21)에 굽힘변형을 일으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B)은 회전축에 모멘트(M)을 유발하여 걸림핀(80)을 기준으로 양측이 걸림핀(80)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한다.
회전축(21)의 구부러짐 정도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정도로 크지는 않으나, 회전축(21)의 단부에서는 대략 수십 μm 정도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변형은 부품의 마모나 운동의 저항을 유발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는 이러한 회전축(21)의 굽힘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입홀(91)의 단면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타원의 장축방향을 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히 하여 걸림핀(80)의 머리부(81)가 압입홀(91)에 삽입된 상태에서 머리부(81)는 회전축(21)의 원주방향의 양측부는 압입홀(91) 내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나 축방향의 양측부는 압입홀(91)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상태가 도3b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압입력은 회전축(21)의 축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한편, 걸림핀(80)의 머리부(81)는 압입작용을 위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 테이퍼 각도(θ)는 대략 2도 내지 5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머리부(81)가 압입되는 압입홀(91) 역시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머리부(81)과 접촉되는 부분의 테이퍼 각도는 머리부(81)의 테이퍼 각도와 동일하다.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형 회전압축기의 회전축(21)과 걸림핀(8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3a 및 3b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입홀(91)의 단면 형상을 원형에서 회전축(21)의 축방향을 따라 양측부를 제거한 형상으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압입홀(91)과 머리부(81)가 회전축(21)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됨으로써 회전축(21)의 축방향으로 압입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편심장치에 의해 상부 압축실 또는 하부 압축실에서 선택적으로 냉매가스가 압축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회전축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심장치에 의해 상부 압축실에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회전축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심장치에 의해 하부 압축실에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이 제 1 회전방향(도 5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축(21)에서 돌출한 걸림핀(80)이 상부 편심부시(51)와 하부 편심부시(52) 사이에 형성된 슬롯(53)에 끼워진 상태로 일정각도 회동하게 되면 걸림핀(80)(더 정확하게는 걸림핀(80)의 머리부(81)가 슬롯(53)의 제 1 단(53a)에 걸려져서 상부 편심부시(51)가 회전축(2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걸림핀(80)이 슬롯(53)의 제 1 단(53a)에 걸려진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편심캠(41)의 최대 편심부가 상부 편심부시(51)의 최대 편심부와 맞닿게 되어 상부 편심부시(51)가 회전축(21)의 중심선(C1-C1)에 대해 최대 편심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 롤러(37)가 상부 압축실(31)을 형성하는 하우징(33)의 내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서 압축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편심캠(42)의 최대 편심부는 하부 편심부시(52)의 최소 편심부에 맞닿게 되어 하부 편심부시(52)가 회전축(21)의 중심선(C1-C1)에 대해 동심을 이루는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부 롤러(38)가 하부 압축실(32)을 형성하는 하우징(33)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회전하게 되면서 압축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21)이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내용적이 큰 상부 압축실(31)에서는 상부 롤러(37)에 의해 상부 흡입구(63)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압축되어 상부 토출구(65)를 통해 배출되게 되고, 상대적으로 내용적이 작은 하부 압축실(32)에서는 압축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서, 회전 압축기는 압축용량이 큰 상태로 가변되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회전축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심장치에 의해 하부 압축실에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회전축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심장치에 의해 상부 압축실에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이 제 2 회전방향(도 7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상부 압축실(31)에서만 압축작용이 이루어지는 동작과 반대로 동작하게 되어 하부 압축실(32)에서만 압축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회전축(21)의 제 2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1)에서 돌출한 걸림핀(80)이 슬롯(53)의 제 2 단(53b)에 걸려지게 되어서 하부 편심부시(52)와 상부 편심부시(51)가 회전축(21)에 의해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전환동작에 의해 하부 편심캠(42)의 최대 편심부가 하부 편심부시(52)의 최대 편심부와 맞닿게 되어 하부 편심부시(52)가 회전축(21)의 중심선(C1-C1)에 대해 최대로 편심된 상태로 전환되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 롤러(38)가 하부 압축실(32)을 형성하는 하우징(33)의 내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서 압축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편심캠(41)의 최대 편심부는 상부 편심부시(51)의 최소 편심부와 맞닿게 되어 상부 편심부시(51)는 회전축(21)의 중심선(C1-C1)에 대해 동심을 이루는 상태로 전환되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 롤러(37)가 상부 압축실(31)을 형성하는 하우징(33)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회전하게 되면서 압축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내용적이 작은 하부 압축실(32)에서는 하부 롤러(38)에 의해 하부 흡입구(64)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압축되어 하부 토출구(66)를 통해 배출되게 되고, 상대적으로 내용적이 큰 상부 압축실(31)에서는 압축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서, 회전 압축기는 압축용량이 작은 상태로 가변되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는 서로 다른 내용적을 가진 상부 압축실과 하부 압축실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편심장치에 의해 압축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핀의 머리부가 압입되는 압입홀부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있어,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압입력이 작용하지 않아 회전축의 굽힘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서로 다른 내용적으로 구획된 상부 및 하부 압축실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실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편심 설치되어 상기 각 압축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캠과,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편심캠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부시와, 상기 상부 편심부시와 하부 편심부시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마련되는 슬롯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의 양단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지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을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형성된 압입홀에 압입되도록 상기 걸림핀에 마련되는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압입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압입홀부의 축방향 양측 내주면은 상기 머리부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홀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장축방향을 갖는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결합홀에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암나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홀부는 원형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양측부를 절개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결합홀에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암나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8. 서로 다른 내용적으로 구획된 상부 및 하부 압축실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축실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편심 설치되어 상기 각 압축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캠과,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편심캠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심부시와, 상기 상부 편심부시와 하부 편심부시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마련되는 슬롯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의 양단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지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을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형성된 압입홀부에 압입되도록 상기 걸림핀에 마련되는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홀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회전축의 원주방향 길이보단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홀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장축방향을 갖는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홀부는 원형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양측부를 절개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20040062744A 2004-08-10 2004-08-10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802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744A KR100802015B1 (ko) 2004-08-10 2004-08-10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US11/102,853 US7192259B2 (en) 2004-08-10 2005-04-11 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CNB2005100742750A CN100383393C (zh) 2004-08-10 2005-06-02 可变容量旋转压缩机
JP2005175361A JP4022554B2 (ja) 2004-08-10 2005-06-15 容量可変回転圧縮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744A KR100802015B1 (ko) 2004-08-10 2004-08-10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156A KR20060014156A (ko) 2006-02-15
KR100802015B1 true KR100802015B1 (ko) 2008-02-12

Family

ID=3607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744A KR100802015B1 (ko) 2004-08-10 2004-08-10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92259B2 (ko)
JP (1) JP4022554B2 (ko)
KR (1) KR100802015B1 (ko)
CN (1) CN10038339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561A (ko) *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802017B1 (ko) * 2005-03-29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CA2809945C (en) 2010-08-30 2018-10-16 Oscomp System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US9267504B2 (en) 2010-08-30 2016-02-23 Hicor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US10364902B2 (en) * 2011-06-17 2019-07-30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Rotary shear valve with a two-pin drive shaft for liquid chromatography applications
JP5441982B2 (ja) * 2011-10-31 2014-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圧縮機
EP3309400B1 (en) 2015-06-11 2023-06-07 Guangdong Meizhi Compressor Co., Ltd. Crankshaft for rotary compressor and rotary compressor having same
WO2019239300A1 (en) * 2018-06-15 2019-12-19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y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810A (ko) * 1998-09-30 2000-04-25 구자홍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20010015102A (ko) * 1999-07-01 2001-02-26 다카노 야스아키 다기통 회전 압축기
KR20020034883A (ko) * 2000-10-30 2002-05-09 가나이 쓰토무 복수 실린더 로터리 압축기
KR20040032358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993A (en) 1997-08-14 2000-07-25 Bristol Compressors, Inc. Adjustable crankpin throw structure having improved throw stabilizing means
US5951261A (en) 1998-06-17 1999-09-14 Tecumseh Products Company Reversible drive compressor
JP3389539B2 (ja) * 1999-08-31 2003-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内部中間圧型2段圧縮式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3490950B2 (ja) * 2000-03-15 2004-01-26 三洋電機株式会社 2シリンダ型2段圧縮式ロータリーコンプレッサ
JP3370046B2 (ja) * 2000-03-30 2003-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多段圧縮機
JP4065654B2 (ja) * 2000-10-30 2008-03-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複数シリンダロータリ圧縮機
US20040241010A1 (en) * 2003-03-27 2004-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KR20040100078A (ko) * 2003-05-21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04392A (ko) * 2003-07-02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04325A (ko) * 2003-07-02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11549A (ko) * 2003-07-23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11541A (ko) * 2003-07-23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11543A (ko) * 2003-07-23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11523A (ko) * 2003-07-23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11914A (ko) *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18199A (ko) * 2003-08-14 200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28159A (ko) * 2003-09-17 2005-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28626A (ko) * 2003-09-19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31794A (ko) * 2003-09-30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35740A (ko) * 2003-10-14 2005-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60561A (ko) *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92833A (ko) * 2004-03-17 200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810A (ko) * 1998-09-30 2000-04-25 구자홍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20010015102A (ko) * 1999-07-01 2001-02-26 다카노 야스아키 다기통 회전 압축기
KR20020034883A (ko) * 2000-10-30 2002-05-09 가나이 쓰토무 복수 실린더 로터리 압축기
KR20040032358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3393C (zh) 2008-04-23
JP2006052726A (ja) 2006-02-23
JP4022554B2 (ja) 2007-12-19
US7192259B2 (en) 2007-03-20
CN1734095A (zh) 2006-02-15
US20060034720A1 (en) 2006-02-16
KR20060014156A (ko)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2554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KR20050011523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JP4040616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KR100802017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JP4005051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JP4034309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JP4040605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KR20050035740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04392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31792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11914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21084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60008558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43323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21086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60008559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92674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626704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07977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07975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07974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664522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06901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07979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50116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