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188B1 -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of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188B1
KR100800188B1 KR1020070015810A KR20070015810A KR100800188B1 KR 100800188 B1 KR100800188 B1 KR 100800188B1 KR 1020070015810 A KR1020070015810 A KR 1020070015810A KR 20070015810 A KR20070015810 A KR 20070015810A KR 100800188 B1 KR100800188 B1 KR 100800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ase
pressing member
storage unit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8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1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1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Abstract

A vacuum cleaner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thereof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compress dust within a dust collecting vessel for maximizing the dust collecting capacity, and facilitate discharge of the collected dust by continuing the dust compression even when the vacuum cleaner is deactivated. A dust collecting device of a vacuum cleaner comprises a dust separation part for separating dust from inhaled air and a dust collecting vessel contouring a dust storage part to store the separated dust. The dust collecting vessel comprises a first case(240) connected to the dust separation part, a second case(250)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case, and first and second pressure members(270,280) mounted to the dust storage part to reduce the size of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part during the rotating process of the second case.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of}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분리부의 하부 사시도.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용기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도 6은 상기 집진 용기에 저장된 먼지의 압축을 위하여 제공되는 구동 장치와 집진 용기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riving device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provided for compressing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와 집진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device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 8 및 도 9는 상기 집진 용기 내부의 먼지 압축 과정을 보여주는 집진 용기의 평면도.8 and 9 are plan views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showing the dust compression process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단면도.10 is a sectional view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청소기 본체 200 : 집진 장치100: cleaner body 200: dust collector

210 : 먼지 분리부 230 : 집진 용기210: dust separation unit 230: dust collecting container

240 : 제 1 케이스 250 : 제 2 케이스240: first case 250: second case

270 : 제 1 가압 부재 280 : 제 2 가압 부재270: first pressing member 280: second pressing memb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an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eof in which a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maximized.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side the body.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을 거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관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닥에 쌓인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The vacuum cleaner may include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air containing dust, a cleaner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nozzle, an extension pipe for guiding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toward the cleaner body, and air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pipe. A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Here, a nozzle suction por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nozzle to allow the air containing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to be sucked.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로 먼지가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장치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there is provided a drive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suction force to suck the outside air containing dust to the suction nozzle.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진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흡입노즐에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to separate and store dust. The dust collector performs a function of separating and stor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상세히, 상기 집진 장치는, 집진 바디와, 상기 집진 바디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상기 집진 바디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싸이클론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포함된다.In detail,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es a dust collecting body, an inlet for allowing air to be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body, a cyclone portion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dust separated from the cyclone portion. The dust storage unit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cyclone portion is discharged.

한편, 상기 집진 바디의 하부 공간 즉,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작동하는 동안은 상기 집진 바디 내부의 회전류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상기 집진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운동한다. Meanwhile, the dust stored in the low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that is, the dust storage unit, continuously rot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by the rotational flow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while the vacuum cleaner is operating.

그리고,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집진 바디의 저면에 그대로 가라앉아 밀도가 낮은 상태로 저장된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is stopped, the vacuum cleaner sinks to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is stored in a low density state.

따라서, 종래의 집진 장치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작동되는 중에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저장되면, 먼지가 상기 집진 바디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집진 바디의 상부 공간에 형성되는 싸이클론부를 침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미분리된 먼지가 배출기류에 편승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므로,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dust collecting apparatus,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dust is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le the vacuum cleaner is operating, the dust rises while rotat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is formed in the upp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yclone portion is violated, and thus the unseparated dust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by piggybacking on the discharge airflow, so that dust collection performance is reduced.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먼지는 상기 집진 바디의 저면에 그대로 가라앉아 밀도가 낮은 상태로 저장된다. 즉, 상기 집진 바디 내부의 먼지가 그 무게에 비하여 너무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집진 성능의 유지를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를 자주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is stopped, the dust sinks to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body as it is stored in a low density state. That is, since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occupies a volume too large for its weight,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frequently emptying the dust collecting body in order to maintain dust collecting performance.

따라서, 근래에는 청소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에 집진되는 먼지의 용량을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cleaner use, efforts have been made to maximize the capacity of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to improv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and its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된 먼지의 압축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and its dust collecting apparatus in which the compression of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automatical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집진 장치에 저장된 먼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and its dust collecting apparatus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discharge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는 흡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상기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 저장부; 상기 먼지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외부 구동원에 의해서 이동 가능한 제 1 케이스; 상기 먼지 저장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케이스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된다.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a dust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dust from the intake air; A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parated dust; A first cas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movable by an external driving source;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dust storage unit to reduce the volume of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dur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case is included.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는 흡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및 상기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용기가 포함되며, 상기 집진 용기는, 상기 먼지 분리부에 연결되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먼지 저장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케이스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된다.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comprises a dust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dust from the sucked air;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having a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parated dust, where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mprises: a first case connected to the dust separating unit; A second cas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And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positioned in the dust storage unit to reduce the volume of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dur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case.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는 흡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상기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 상기 먼지 저장부의 적어도 저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먼지 분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제 1 가압 부재; 및 상기 먼지 저장부의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하는 제 2 가압 부재가 포함된다.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ust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sucked air; A dust storage unit in which the separated dust is stored; A first cas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A first pressing member rotated together when the first case is rotated;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fixed in a position of the dust storage unit so that the volume of dust is reduced by interaction with the first pressing member.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적어도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포함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 상기 먼지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가압 부재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집진 장치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청소기 본체가 포함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cleaner includes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 dust storage unit at least in which separated dust is stored;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movably provided inside the dust storage unit to reduce a volume of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A first cas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to receive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a cleaner body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selectively moun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is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내부에 흡입 모터(미도시)가 제공되는 청소기 본체(100)와,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진 장치(2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100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not shown)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200 that separates and stores dust contained in sucked air. It is configured.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Although not shown,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air containing dust and a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suction nozzle to the cleaner body 100 are further inclu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및 연결관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nozzle and the connection pip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본체 흡입부(110)가 형성된다. In detail, a main body suction part 110 through which the air containing the dust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is sucked is form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본체 배출부(12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body discharge part 120 through which dust separ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00.

또한, 상기 본체 흡입부(110)의 상측에는 상기 집진 장치(200)가 장착되는 집진 장치 장착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3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 흡입부(11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집진 장치(200)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14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device mounting unit 130 on which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is mount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suction unit 110, and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mounting unit 130 through the main body suction unit 110. An air outlet 140 is formed to discharg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한편, 상기 집진 장치(200)는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210)와, 상기 먼지 분리부(2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용기(230)가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includes a dust separator 210 for separat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2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2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분리부의 하부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200)는,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210)와, 상기 먼지 분리부(2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먼지 분리부(2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용기(230)와, 상기 먼지 분리부(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260)가 포함된다. 2 and 3,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dust separating unit 210 and the dust separating unit 210 to separate the dust contained in the inhaled air. A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210 is stored, and a cover member 26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dust separating unit 210 are included.

상세히, 상기 먼지 분리부(210)는,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싸이클론 원리, 즉 공기와 먼지의 원심력 차이로 분리되도록 하는 원통 형상의 싸이클론(211)이 포함된다. In detail, the dust separator 210 includes a cylindrical cyclone 211 to separate the sucked air and dust by the cyclone principle, that is, the centrifugal force difference between the air and the dust.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211)의 상측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212)는 상기 싸이클론(211)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싸이클론(211)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cyclone 211 is formed with an inlet 212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Here, the inlet 21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yclone 211 in order to generate a cyclone flow in the cyclone 211.

한편, 상기 커버 부재(260)의 중앙부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210)의 내부, 즉 싸이클론(211)에 의해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262)이 형성된다. Meanwhile, a discharge hole 26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260 to discharge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by the cyclone 211, that is, inside the dust separator 210.

그리고, 상기 배출공(262)에는 중공의 배기 부재(270)가 결합된다. 상기 배기 부재(270)의 외주면에는 상기 싸이클론(211)에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 개의 통공(27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hollow exhaust member 27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26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member 2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72 through which the air that has undergone the dust separation process from the cyclone 211 is discharged.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211) 내에서 일차적으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는 상기 배기 부재(270)를 거쳐 상기 배출공(262)을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에서 배출된다. Therefore, the air that has undergone the dust separation process within the cyclone 211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or 200 through the exhaust hole 262 via the exhaust member 270.

한편, 상기 집진 용기(230)는 상기 먼지 분리부(2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먼지 분리부(2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so that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is stored.

여기서, 상기 먼지 분리부(210)와 상기 집진 용기(230)의 용이한 취급을 위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210) 및 집진 용기(230)에는 각각 상부 손잡이(213)와 하부 손잡이(258)가 구비된다. Here, for easy handling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the dust separating unit 210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has an upper handle 213 and a lower handle 258, respectively. It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230)와 상기 먼지 분리부(2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후크 장치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hook device is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so tha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상세히, 상기 먼지 분리부(210)의 외주면 하단에는 후크 걸이(214)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 용기(230)의 외주면 상단에는 상기 후크 걸이(21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크부(256)가 구비된다. In detail, a hook hook 214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and a hook part 256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hook hook 214 at the top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230. do.

또한, 상기 집진 용기(230)의 상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구획판(2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구획판(252)은 상기 먼지 분리부(210)와 상기 집진 용기(230)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252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bov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The partition plate 252 serves to partition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이에 더하여, 상기 구획판(252)은 상기 먼지 분리부(210)가 상기 집진 용기(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230) 내부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먼지 분리부(210) 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252 is dust is stor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30 is scattered toward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is coupl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230. To further prevent this from happening.

그리고, 상기 구획판(252)에는 상기 싸이클론(211)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집진 용기(230)로 유입되도록 하는 개구부(254)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n opening 254 is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252 to allow the dust separated from the cyclone 211 to flow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210)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개구부(254)를 통하여 상기 집진 용기(230)로 유입되어 상기 집진 용기(230) 내에서 저장된다.Therefore, the dust separated by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through the opening 254 and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aximize the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stored therein.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상기 집진 용기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volume of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added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이하에서는 집진 용량이 최대화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200)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maximum dust collecting capacity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용기(230)는, 상기 먼지 분리부(210)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250)와, 상기 제 2 케이스(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케이스(240)가 포함된다.4 and 5,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ase 250 coupled to the dust separator 210 and a second case 250 rotatably. The first case 240 is included.

상세히, 상기 제 2 케이스(2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구획판(252)이 형성되고, 하측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측방에 하부 손잡이(258)가 형성된다. In detail, the second case 2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partition plate 25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the lower case 250 is formed to be opened. In addition, a lower handle 258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ase 250.

상기 제 1 케이스(2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제 2 케이스(250)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하측에는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하는 안 착단(242)이 형성된다. The first case 240 i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side, and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se 250 through the opened portion of the second case 250. In addition, a mounting end 242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ase 240 to allow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250 to be seated.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상기 제 2 케이스(250)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먼지 분리부(210)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1 케이스(240)에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케이스(240)에는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기 위한 먼지 저장부(241)가 형성된다. As the first case 24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se 250 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210 is stored in the first case 240. Therefore, the first case 240 is formed with a dust storage unit 241 for storing the separated dust.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24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4)가 삽입되기 위한 돌기 삽입홈(259)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guide protrusion 244 for guiding rotation of the first case 240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240, and the guide protrusion 244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50.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insertion groove 259 is inserted.

상세히, 상기 가이드 돌기(244)는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단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 삽입홈(259)은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24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detail, the guide protrusion 244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ase 240, and a cross section is formed to be round.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59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ase 250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244.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44)와 상기 돌기 삽입홈(259)에 의해서 상기 제 1 케이스(240)는 상기 제 2 케이스(250)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first case 240 may be stab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250 by the guide protrusion 244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59.

이 때, 상기 제 1 케이스(240)와 제 2 케이스(250)는 상기 가이드 돌기(244) 및 돌기 삽입홈(259)에 의해서 별도의 체결 수단이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244)와 돌기 삽입홈(259)은 상기 제 2 케이스(250)와 제 1 케이스(240)가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case 240 and the second case 250 may be coupled by the guide protrusion 244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59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That is, the guide protrusion 244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59 additionally serve to couple the second case 250 and the first case 240.

여기서,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상기 제 2 케이스(2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내주면은 소정 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24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5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first case 240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250.

그 이유는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가이드 돌기(244) 만이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 2 케이스(250)와의 마찰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마찰 시 발생하는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is that only the guide protrusion 244 of the first case 24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50, so that the guide case 244 of the first case 240 with the second case 250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case 240; By minimizing the friction area,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friction is minimized.

한편, 상기 집진 용기(230)에는 상기 먼지 저장부(241)에 저장되는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집진 용량을 증가시키는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essing members (270, 280) to reduce the volume of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41,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capacity.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는, 서로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먼지를 압축하여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먼지 저장부(241)에 저장되는 먼지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용기(230)의 최대 집진 용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Here, the pair of pressing members 270 and 280 compress the dust by interaction with each other to reduce the volume of dust, thereb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41. The maximum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is increased.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는, 상기 제 1 케이스(240)에 형성되는 제 1 가압 부재(270)와, 상기 제 2 케이스(250)에 형성되는 제 2 가압 부재(280)가 포함된다. The pair of pressing members 270 and 280 may include a first pressing member 270 formed in the first case 240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280 formed in the second case 250. ) Is included.

따라서,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회전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측면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일측면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 및 제 2 가압 부재(280) 사이에 위치하는 먼지가 압축된다. Therefore, when the first case 240 is rotated,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rotates toward one side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and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rotated. And a gap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opposite to one side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narrowed, and thus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 280 between the dust is compressed.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므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회전 부재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고정 부재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rotated together when the first case 240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may be referred to as a rotating member,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Since it remains fixed, it may be called a fixed member.

상세히,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구획판(25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케이스(250)에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내부 저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extends downward from the partition plate 252 of the second case 250. At this time,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is located close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24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ase 240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250. It is preferable.

그 이유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 의해서 밀려오는 먼지가,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하측에 형성된 틈을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is to minimize the leakage of dust pushed by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through the gap formed under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측단(281)은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타측단(282)은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중심축을 이루는 축선에서 소정 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The one end 281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ther end 282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is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xis forming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ase 250.

여기서,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측단(281)이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결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은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one side end 281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space for the first case 240 is coupled For sake. In addition, the space may correspond to or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ase 240.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타측단(282)이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중심축을 이루는 축선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이유는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other end 282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is spaced apart from the axis forming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ase 2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the first case 240 when the first case 240 is rotated.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한편,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성형된다. 이러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일단이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회전축(272)에 일체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case 240. One end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240, and the other e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272 of the first case 24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press member 270 and the 2nd press member 280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are comprised by the plate of square shape.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254)를 통하여 상기 먼지 저장부(241)로 유입되는 먼지의 낙하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부(254)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is formed by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storage unit 241 through the opening 254. 2 is preferably located opposite the opening 254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250).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상측 단부에는 소정 각도로 절개된 절개부(274 : Chamfer)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274)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상측 단부가 상기 개구부(254)의 하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254)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개구부(254)를 통하여 먼지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n upper end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may be formed with a cutout 274 (Chamfer)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cutout 274 has a space formed between the opening 254 and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wh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positioned below the opening 254. In this case, dust may be easily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254.

즉, 상기 절개부(274)는 상기 개구부(254)를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cutout 274 serves to prevent the dust flowing through the opening 254 from interfering with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상기 제 1 케이 스(2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케이스(240)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가 더 포함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riving devic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ase 240 to rotate the first case 240.

이하에서는 상기 집진 용기(230)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and the driv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상기 집진 용기에 저장된 먼지의 압축을 위하여 제공되는 구동 장치와 집진 용기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와 집진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riving device provided for compressing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device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케이스(2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축 모터(330)와, 상기 압축 모터(330)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케이스(24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10, 320)가 포함된다.6 and 7,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first case 240 includes a compression motor 33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driving force of the compression motor 330 with the first case 240.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310, 320 to transmit.

상세히, 상기 동력 전달부(310, 320)는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회전축(272)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310)와, 상기 종동 기어(31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320)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power transmission units 310 and 320 may be driven gear 310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72 of the first case 240, and drive gear 320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riven gear 310. Included.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320)는 상기 압축 모터(33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모터(330)에 의해 회전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gear 32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rotated by the compression motor 330.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330)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330)와 결합된 상기 구동 기어(320)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 기어(320)에 의해서 상기 압축 모터(330)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기어(310)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 기어(310)가 회전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rotated, the drive gear 320 coupled with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rotated,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driven by the drive gear 320. The driven gear 310 is rotated by being transmitted to the gear 310.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3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회 전되고, 이와 함께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된다. In addition, the first case 24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310, and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rotated at the same time.

상세히, 상기 종동 기어(310)의 기어 축(314)은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하측에서 상기 회전축(272)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동 기어(310)가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하측에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310)는 상기 집진 장치(2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In detail, the gear shaft 314 of the driven gear 31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72 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ase 240. As the driven gear 31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ase 240 as described above, the driven gear 3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여기서, 상기 종동 기어(310)의 회전시, 상기 종동 기어(310)가 헛돌지 않고 상기 제 1 케이스(240)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272)의 내주면과 상기 종동 기어(310)의 기어축(314)의 외주면 수평 단면 형상은 다각형임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driven gear 310 is rotat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272 and the driven gear 310 so that the driven gear 310 is rotated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case 240 without turn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ear shaft 314 is preferably polygonal.

즉, 상기 회전축(272) 및 상기 종동 기어(310)의 기어축(314)의 수평 단면 형상은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종동 기어(310)의 회전시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otation shaft 272 and the gear shaft 314 of the driven gear 310 is formed in a non-circular shape, the first case 240 smoothly rotates when the driven gear 310 is rotat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한편, 상기 압축 모터(330)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30)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기어(320)는 상기 압축 모터(33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30)의 바닥면에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provided below the dust collector mounting portion 130, the drive gear 320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compression motor 330,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mounting portion 130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320)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30)의 바닥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30)의 바닥 아래측에는 상기 압축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gear 320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or mounting portion 130.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motor accommodating part (not shown) in which the compression motor is installed is formed below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mounting part 130.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30) 바닥에는 상기 구동 기어(320)의 외주 면 일부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30)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31)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n opening 131 is formed at a bottom of the dust collector mounting unit 130 to expose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gear 320 to the dust collector mounting unit 130.

이렇게 상기 구동 기어(32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30)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30)에 상기 집진 장치(200)가 장착되면, 상기 종동 기어(310)가 상기 구동 기어(320)와 맞물리게 된다. As the driving gear 320 is exposed to the dust collector mounting unit 13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ust collector 200 is mounted on the dust collector mounting unit 130, the driven gear 310 may be driven by the driving gear 320. ) Is engaged.

여기서, 상기 압축 모터(330)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임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압축 모터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preferably a motor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In other words, the compression motor may be a motor capable of bidirectional rotation.

이에 따라 상기 제 1 케이스(240)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정회전 및 역회전 함에 따라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양측면에 압축된 먼지가 쌓이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case 240 may rotate forward and reverse, and as the first case 240 rotates forward and reverse, dust compres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may occur. Will accumulate.

이와 같이 상기 압축 모터(330)의 정역회전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 모터(330)는 싱크로노스 모터(synchronous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As such, in order to enabl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30, the compression motor 330 may use a synchronous motor.

이러한,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자체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의 일 방향 회전시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타 방향으로 변환된다. The synchro-motor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the motor itself,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mo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motor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converted to the other direction. .

이 때,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회전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먼지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력(토크 : torque)으로써, 상기 저항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방향이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force applied to the motor is a resistance force (torque: torque) generated w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presses the dust when the first case 240 rotates, and the resistance force is set to a value. When is reached,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configured to change direction.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싱크로로스 모터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중 하나이다. Since the synchronized motor is generally known in the motor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it is one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by the synchro motor.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하여 먼지를 압축시키면서 더이상 회전할 수 없는 정점에 도달한 경우에도,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먼지를 일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rotates to reach a peak that can no longer rotate while compressing the dust,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may continuously press the dust for a predetermined time. Do.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할 수 없는 정점이라 함은 상기 저항력이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를 말한다. Here, the peak that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cannot rotate refers to when the resistance reaches a set value.

그리고, 상기 저항력이 상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회전시키는 동력 즉, 상기 압축 모터(3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 시간 동안 차단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를 압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상기 압축 모터(3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resistance reaches the set value, the power for rotating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that is, the power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cut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first pressing member ( The dust is compressed in the stopped state 270, an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passes, the first pressurizing member 270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compression motor 330 again.

이 때, 상기 압축 모터(330)로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시점은 상기 저항력이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이므로, 상기 압축 모터(330)가 다시 구동되면, 상기 압축 모터(330)의 회전 방향은 전원 차단 전과 반대 방향이 될 것이다. At this time, since the resistance time 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30 reaches the set value, when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driven aga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a power source It will be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before.

또한, 상기 압축 모터(330)는 먼지의 압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케이스(240)를 동일한 각속도로 지속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mpression motor 330 preferably continuously rotates the first case 240 forward / reverse at the same angular speed so that dust can be easily compressed.

또한, 상기 먼지 저장부(241)의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집진되면, 집 진 성능의 저하와 모터의 과부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의 먼지 비움 시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dust is collected inside the dust storage unit 241,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dust collection performance and overload of the motor, the dust emptying time of the dust collector 200 is displayed to the user. It is preferable.

이를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나 집진 장치(200) 또는 핸들(미도시)에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먼지 저장부(241)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저장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 범위가 소정 각도 이하가 되면, 상기 집진 장치(200)의 먼지 비움 시기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To this end, a display unit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cleaner main body 100,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or the handle (not shown),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dust is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41. When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the dust emptying time of the dust collector 200 is displayed to the user.

도 8 및 도 9는 상기 집진 용기 내부의 먼지 압축 과정을 보여주는 집진 용기의 평면도이다. 8 and 9 are plan views of a dust collecting container showing a process of compressing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용 및 집진 용기 내에서의 먼지 압축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8 and 9,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nd the dust compression process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진공 청소기의 흡입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 노즐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uction motor of the vacuum cleaner,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and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by this suction force.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 흡입부(110)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소정의 유로를 거쳐 상기 집진 장치(200)로 유입된다.In additio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body 100 through the main body suction part 110, and the introduc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200 through a predetermined flow path.

상세히, 상기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부(210)의 흡입구(212)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211)의 접선 방향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211)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낙하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 다. In detail,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s suck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yclone 211 through the inlet 212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0. Then, the sucked air falls while turn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clone 211, in which air and dus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receiving different centrifugal forces by the weight difference.

그리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배기 부재(270)의 통공(272)을 통하여 여과된 후 상기 배출공(262)을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In addition, the dust is separated air is filtered through the through hole 272 of the exhaust member 27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or 200 through the discharge hole 262.

한편, 분리된 먼지는 상기 싸이클론(211)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되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부(254)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241)에 저장된다. Meanwhile, the separated dust is dropped downward through the opening 254 in the process of turn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clone 211 and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41.

그리고, 상기 배출공(262)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 모터를 지나 상기 본체 배출부(1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62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body 100.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leaner body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dy discharge part 120 through the suction motor.

이와 같이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241)에 먼지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는 상기 먼지 저장부(241)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킨다. As the dust in the air is separated and dust is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41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pressing members 270 and 280 compress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41.

상세히, 상기 압축 모터(330)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330)의 회전 동력이 상기 구동 기어(320)를 통하여 상기 종동 기어(310)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 기어(3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In detail, when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rotate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310 through the drive gear 320, so that the driven gear 310 in one direction Is rotated.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310)의 회전에 의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일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함께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first case 24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counterclockwise)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310, and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rotated at one time. Is rotated in the direction.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 사이의 먼지를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 측면 쪽으로 밀어내어 먼지를 압축시킨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removes dust between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from the second pressing member 270. The dust is compressed by pushing toward on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280.

이러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은 먼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저항력이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The rotation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continued until the resistan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dust reaches a set value.

그리고, 저항력이 설정값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 모터(33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먼지를 압축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정지된다. When the resistanc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power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cut off and the first case 240 is stopped while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compresses the dust. .

그러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정지된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먼지를 가압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상기 압축 모터(330)가 구동되어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회전된다. T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presses the dust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e stop positio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passes,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driven again to rotate the first case 240.

여기서, 상기 제 1 케이스(240)는, 저항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된 상태에서 정지되었으므로, 그 회전 방향이 변환되어 타 방향으로 회전된다. Here, since the first case 240 is stopped in a state where the resistance force reaches a set value, the rotation direction is changed and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타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 사이의 먼지를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타 측면 쪽으로 밀어내어 먼지를 압축시킨다. As shown in FIG. 9, when the first case 240 is rotated in another direction (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connected to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 The dust between the 280 is pushe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to compress the dust.

이렇게, 상기 제 1 케이스(240)의 회전 중에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설정값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 모터(33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먼지를 압축한 상태에서 정지된다. In this way, when the resistance applied to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case 240, the power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cut off, so that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is stopped while the dust is compressed.

그러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정지된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먼지를 가압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상기 압축 모터(330)가 구 동되어 상기 제 1 케이스(240)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T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presses the dust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e stop position. The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driven again to rotate the first case 240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렇게 상기 압축 작용은 상기 제 1 케이스(240) 및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 범위가 일정 각도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먼지 압축 과정이 종료된다. In this way, the compressing action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case 240 and the first pressing member 270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is stopped by the user in this process, dust compression is performed. The process ends.

한편, 상기 먼지 저장부(241)에 저장된 먼지를 비우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집진 장치(200)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230)를 상기 먼지 분리부(210)와 분리시킨 후, 상기 제 2 케이스(250)와 제 1 케이스(24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240)를 뒤집어서 먼지를 비우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mpty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41, the user separates the dust collector 200 from the cleaner body 100. In addition, after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30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210, the second case 250 and the first case 240 are separated. Then, the first case 240 is turned upside down to empty the dust.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간단하게 상기 제 1 케이스(240) 만을 뒤집어서 먼지를 비우면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제 1 케이스(240)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고, 먼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As such, the user simply needs to flip the first case 240 to empty the dus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andle the first case 240 and can easily discharge the dust. There is a growing advantag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단면도이다. 10 is a sectional view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집진 장치는,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용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ust collecting container in which dust is store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separating unit.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원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content as the original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400)는, 흡입된 공기 중에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410)와, 상기 먼지 분리부(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 용기(430)와, 상기 먼지 분리부(4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450)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separator 410 for separating dust from sucked air,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ust separator 410. The cover member 450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dust separator 410.

상기 먼지 분리부(410)의 하측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410)와 상기 집진 용기(430)를 구획하는 구획판(4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420)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개구부(422)가 형성된다. A partition plate 420 partitioning the dust separator 410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s formed below the dust separator 410. 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420 is formed with an opening 422 for discharg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410)의 하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집진 용기(430)가 결합되는 결합단(4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4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집진 용기(430)의 상측에는 가이드 돌기(43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424)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34)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425)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coupling end 424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s coupled is formed at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410. In addition, a guide protrusion 434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to smoothly rotat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and a protrusio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43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end 424. 425 is formed.

한편, 상기 집진 용기(430)는 상기 개구부(422)를 통하여 낙하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432)를 형성하는 제 1 케이스(431)가 포함된다. Meanwhil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ncludes a first case 431 which forms a dust storage unit 432 in which dust dropped through the opening 422 is stored.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431)의 내부 저면에서 상방으로는 상기 먼지 저장부(432)에 저장된 먼지의 압축을 위한 제 1 가압 부재(470)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42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는 제 2 가압 부재(48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first pressing member 470 for compressing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432 is formed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43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420 may be formed. The second pressing member 480 is formed downward.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480)가 상기 먼지 분리부(4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pressing member 480 is formed in the dust separator 410.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43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470)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480)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상기 먼지 저장부(432)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되도록 한다. A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s rotated,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part 432 is compres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470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480.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상기 압축 모터(330)가 회전되면, 상기 집진 용기(430)는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430)의 회전과 함께 상 기 제 1 가압 부재(470)가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470)가 상기 제 1 가압 부재(470)와 제 2 가압 부재(280) 사이의 먼지를 상기 제 2 가압 부재(480)의 일 측면 쪽으로 밀어내어 먼지를 압축시킨다. When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rotated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pressing member 470 is rotated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T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470 pushes the dust between the first pressing member 470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280 toward one side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480 to compress the dust.

이렇게, 상기 집진 용기(430)의 회전 중에 상기 제 1 가압 부재(470)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설정값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 모터(33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470)가 상기 먼지를 압축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430)가 정지된다. When the resistance applied to the first pressing member 470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during the rot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the power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cut off so that the first pressing member (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s stopped while 470 compresses the dust.

그러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470)는 정지된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먼지를 가압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상기 압축 모터(330)가 구동되어 상기 집진 용기(430)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된다. T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470 presses the dust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opped position. The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mpression motor 330 is driven again to rotat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렇게 상기 압축 작용은 상기 집진 용기(430) 및 제 1 가압 부재(470)의 회전 범위가 일정 각도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먼지 압축 과정이 종료된다. In this way, the compressing action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rotation rang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and the first pressing member 470 becomes a predetermined angle or less. When the cleaner is stopped by the user in this process, the dust is compressed. The process ends.

한편, 상기 먼지 저장부(432)에 저장된 먼지를 비우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집진 장치(200)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430)를 상기 먼지 분리부(410)와 분리시킨 후, 상기 집진 용기(430)를 뒤집어서 먼지를 비우게 된다. Meanwhile, in order to empty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432, the user separates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from the cleaner body 100. After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410,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s turned upside down to empty the dust.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집진 용기(430) 자체가 회전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집진 용기(430)의 구조가 한층 더 간단해지고, 무게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tself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is further simplified, and the weight is reduced.

그리고, 상기 먼지 저장부(432)에 저장된 먼지를 비우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먼지 분리부(410)와 상기 집진 용기(430) 만을 분리시키면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empty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432, the user only needs to separate the dust separation unit 410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430,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여서, 다음의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embodiments.

먼저, 원 실시예에서 제 1 케이스(240)가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내부에 수용되지 않고, 적어도 먼지 저장부의 저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50)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rst,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case 240 is not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case 25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ase 250 to form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storage unit. Can be.

한편, 제 2 케이스는 먼지 분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케이스가 상기 제 2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as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st separation unit, the first case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ase.

이 때,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지 않고, 적어도 먼지 저장부의 저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case may not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s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ase to form at least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dust storage unit.

또한, 먼지 저장부를 형성하는 제 1 케이스가 상기 먼지 분리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제 2 케이스가 상기 제 1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first case forming the dust storage uni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the second case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In this case, the first pressing member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ase,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may be formed in the first case.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가 압축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용량이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since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or is compressed to minimize the volu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apacity of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or is maximized.

또한, 먼지의 압축 작용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자주 비워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aximized by the compression action of the dust, the user has to remove the trouble of frequently emptying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또한, 진공 청소기의 작동 정지시에도 먼지의 압축 작용이 유지됨에 따라, 먼지의 비움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 외부로 쉽게 배출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mpression action of the dust is maintained even when the vacuum cleaner is stopped,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or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or when the dust is empty.

또한, 상기 집진 용기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집진되면, 상기 집진 장치의 먼지 비움 시기가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먼지를 비우는 시기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dust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since the dust emptying tim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display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when to empty the dust.

Claims (11)

흡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A dust separator configured to separate dust from the sucked air; 상기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 저장부; A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parated dust; 상기 먼지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외부 구동원에 의해서 이동 가능한 제 1 케이스; A first cas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movable by an external driving source; 상기 먼지 저장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케이스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The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dust storage unit,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for reducing the volume of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dur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cas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먼지 분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The first case is a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먼지 분리부에 연결되는 제 2 케이스가 더 포함되며,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ase connect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The first case is a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as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케이스는 적어도 상기 먼지 저장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The first case is a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to form at least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storag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케이스와 함께 이동되는 제 1 가압 부재와, The press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pressing member formed in the first case and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case;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제 1 가압 부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제 2 가압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A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econd pressing member fixed in a position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reducing a volume of dust by interaction with the first press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원은 구동 모터이고, The drive source is a drive motor,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e motor to the first case. 흡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및 A dust separator configured to separate dust from the sucked air; And 상기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용기가 포함되며, Includes a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formed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parated dust, 상기 집진 용기는,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상기 먼지 분리부에 연결되는 제 1 케이스; A first case connected to the dust separator; 상기 제 1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케이스; 및 A second cas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And 상기 먼지 저장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케이스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The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which is located in the dust storage unit,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for reducing the volume of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dur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cas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되고,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in the second case,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상기 가압 부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를 부피를 감소시키는 또 다른 가압 부재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The first case further comprises a further pressing member f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by interaction with the pressing member. 흡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A dust separator configured to separate dust from the sucked air; 상기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 A dust storage unit in which the separated dust is stored; 상기 먼지 저장부의 적어도 저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먼지 분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A first cas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상기 제 1 케이스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제 1 가압 부재; 및 A first pressing member rotated together when the first case is rotated; And 상기 먼지 저장부의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하는 제 2 가압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second pressing member fixed in a position of the dust storage unit to reduce the volume of dust by interaction with the first pressing member. 적어도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포함되는 집진 장치;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 dust storage unit storing at least separated dust; 상기 먼지 저장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movably provided inside the dust storage unit to reduce a volume of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상기 먼지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가압 부재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 1 케이스; 및A first cas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to receive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상기 집진 장치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청소기 본체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er body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selectively mounted.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제공되고,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for generating the drive force, 상기 구동력은 동력 전달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케이스로 전달되는 진공 청소기. The driving force is a vacuum cleaner which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ase by a power transmission unit.
KR1020070015810A 2007-02-15 2007-02-15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of KR1008001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810A KR100800188B1 (en) 2007-02-15 2007-02-15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810A KR100800188B1 (en) 2007-02-15 2007-02-15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188B1 true KR100800188B1 (en) 2008-02-01

Family

ID=3934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810A KR100800188B1 (en) 2007-02-15 2007-02-15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188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139A1 (en) * 2008-07-08 2010-01-14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7749295B2 (en) 2005-12-10 2010-07-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770253B2 (en) 2005-12-10 2010-08-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785396B2 (en) 2005-12-10 2010-08-3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WO2010104230A1 (en) * 2009-03-13 2010-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US7992252B2 (en) 2009-02-12 2011-08-0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012250B2 (en) 2005-12-10 2011-09-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151409B2 (en) 2009-02-26 2012-04-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713752B2 (en) 2009-03-13 2014-05-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978197B2 (en) 2009-03-13 2015-03-1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000A (en) * 2005-09-29 2007-04-12 Shin Etsu Handota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wafer
JP2007095001A (en) * 2005-09-30 2007-04-12 Noritsu Koki Co Ltd Print processing system
JP2008001009A (en) * 2006-06-23 2008-01-10 Zebra Pen Corp Connecting structure for writing part
JP2008006003A (en) * 2006-06-28 2008-01-17 Tiger Vacuum Bottle Co Ltd Chopper attachment for food processing blen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000A (en) * 2005-09-29 2007-04-12 Shin Etsu Handota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wafer
JP2007095001A (en) * 2005-09-30 2007-04-12 Noritsu Koki Co Ltd Print processing system
JP2008001009A (en) * 2006-06-23 2008-01-10 Zebra Pen Corp Connecting structure for writing part
JP2008006003A (en) * 2006-06-28 2008-01-17 Tiger Vacuum Bottle Co Ltd Chopper attachment for food processing blender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5-001664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90527호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6-0031442호
한국특허공보 특19960001804호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0001B2 (en) 2005-12-10 2012-08-14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8021452B2 (en) 2005-12-10 2011-09-2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8043410B2 (en) 2005-12-10 2011-10-25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785396B2 (en) 2005-12-10 2010-08-3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8043397B2 (en) 2005-12-10 2011-10-25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749295B2 (en) 2005-12-10 2010-07-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8012250B2 (en) 2005-12-10 2011-09-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060979B2 (en) 2005-12-10 2011-11-22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770253B2 (en) 2005-12-10 2010-08-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WO2010005139A1 (en) * 2008-07-08 2010-01-14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528163B2 (en) 2009-02-12 2013-09-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7992252B2 (en) 2009-02-12 2011-08-0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881343B2 (en) 2009-02-12 2014-11-1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151409B2 (en) 2009-02-26 2012-04-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O2010104230A1 (en) * 2009-03-13 2010-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US8713752B2 (en) 2009-03-13 2014-05-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978197B2 (en) 2009-03-13 2015-03-1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188B1 (en)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of
EP1839758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KR100838887B1 (en) Vacuum cleaner
KR100853332B1 (en) Vacuum cleaner,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eof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912316B1 (en) Vacuum cleaner
KR100871483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846900B1 (en) Vaccum cleaner
KR100906848B1 (en) Vaccum cleaner
KR100944748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100895145B1 (en) Control method of vaccum cleaner
KR100992221B1 (en) Vacuum cleaner
KR101052183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842963B1 (en) Vacuum cleaner
KR101093941B1 (en) Vacuum cleaner
KR100853330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838888B1 (en) Vacuum cleaner
KR101286853B1 (en) Vacuum cleaner
KR100853329B1 (en) Controlling method of vacuum cleaner
KR100838884B1 (en) Vacuum cleaner
KR101010416B1 (en) Vacuum cleaner
KR100838885B1 (en) Vacuum cleaner
KR100876700B1 (en) Vacuum cleaner and its dust collector
KR100912317B1 (en) Vacuum cleaner
KR100838889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1136618B1 (en) Control method of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