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045B1 - 순수한 니켈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순수한 니켈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045B1
KR100800045B1 KR1020060042409A KR20060042409A KR100800045B1 KR 100800045 B1 KR100800045 B1 KR 100800045B1 KR 1020060042409 A KR1020060042409 A KR 1020060042409A KR 20060042409 A KR20060042409 A KR 20060042409A KR 100800045 B1 KR100800045 B1 KR 10080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tallic compound
pure
alcl
low temperature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440A (ko
Inventor
남석우
임태훈
함형철
윤성필
한종희
하흥용
이재영
조은애
김형준
이상엽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4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045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433Nickel- or cobalt-based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41Metals or alloys
    • H01M4/905Metals or alloy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Ni 및 Al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제조하되,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혼합 분말의 제조 시 Ni 및 Al이 혼합되는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S1); 및 상기 혼합 분말을 반응기에 넣은 후 활성화제인 AlCl3를 Ni 및 Al의 용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반응기에 도입하고 상기 혼합 분말을 반응시켜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Ni 및 Al의 초기 함량 조절과 나아가 AlCl3 도입 시간 및 도입 시의 반응기 온도 조절을 통하여 순수하고 내산화성이 더욱 향상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저온에서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은 촉매 지지체 및 촉매 그 자체로도 활용 가능하고, 연료 전지용 다공성 전극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순수, 니켈알루미늄, 금속간화합물, 저온제조, 염화알루미늄, 내산화성

Description

순수한 니켈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pure intermetallic compound of Ni3Al at low temperature}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Ni 및 Al의 상 평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Ni 및 Al의 단순 혼합물의 XRD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600℃ 반응기 온도에서 AlCl3를 도입하여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XRD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500℃ 반응기 온도에서 AlCl3를 도입하여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XRD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TGA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Ni3Al 금속간 화합물 제조 전의 Ni 및 Al의 단순 혼합물의 TGA 그래프이다.
도 7은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 판의 XRD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AlCl3를 이용하여 연료 전지용 수소 발생 촉매 및 촉매 지지체로 이용될 수 있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저온에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Ni3Al 금속간 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은 고온 재료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되는 금속간 화합물로서, 최근 열처리용 고온 부품 소재, 단조용 다이(die) 소재, 다이 캐스팅(die casting)용 다이 소재로서 그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연료 전지 등에 있어서 수소 발생 촉매로의 사용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으며 금속간 화합물의 촉매로의 응용 범위는 점차 넓어지고 있다. <Science, 300(27), 2075-2077, 2003 참조>
종래의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주로 Ni과 Al 입자의 혼합물을 고온에서 용융하여 평형 상태에 도달하도록 한 후 제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구성 성분들 사이의 용융점의 큰 차이로 인하여 금속간 화합물의 제조 자체가 대단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AlCl3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Ni 및 Al의 용융점 이하에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미국특허등록 제6,893,48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80830호 참조>.
그러나, 상기 제조 방법은 주로 3 내지 5 중량%의 Al을 이용하는 것(Ni-3중량%Al, Ni-5중량%Al)과 같이 Al의 투입 함량에 대하여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았고, 그 결과 순수하며 내산화성이 더욱 향상된 Ni3Al의 분말을 얻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제시된 기존의 AlCl3를 이용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으로부터 진일보하여, Ni 및 Al의 단순 혼합물에 있어서 Ni 또는 Al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특히 순수하고 내산화성이 더욱 향상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저온에서 획득 가능하도록 한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Ni 및 Al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제조하되,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혼합 분말의 제조 시 Ni 및 Al이 혼합되는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S1); 및 상기 혼합 분말을 반응기에 넣은 후 활성화제인 AlCl3를 Ni 및 Al의 용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반응기에 도입하고 상기 혼합 분 말을 반응시켜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Al 분말 함량이 전체 혼합물에 대하여 13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Ni 및 Al 분말을 볼 밀(ball mill) 또는 드라이 믹싱(dry mixing) 법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AlCl3의 도입 시간을 0.1 시간 내지 40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6 시간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AlCl3의 도입 시 반응기의 온도를 500 내지 6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AlCl3의 도입시 운반 가스로서 물 및 산소가 제거된 헬륨, 아르곤, 수소 또는 질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9.9% 수소를 팔라듐 멤브레인 또는 산소 트랩 및 물 트랩에 통과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을 상술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Ni 및 Al 분말을 혼합하여 단순 혼합물 분말을 제조하 되, 특히 순수한 Ni3A 금속간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도록, 혼합되는 Al 분말 함량 또는 Ni 분말 함량을 조절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Ni 및 Al의 상 평형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제조 시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얻을 수 있는 지점은 일정 함량 범위로 제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lCl3의 도입 전 Ni 및 Al이 단순 혼합되는 과정에서 그 각각의 함량이 조절되어야 AlCl3의 도입 이후의 과정에서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Ni 및 Al의 단순 혼합물에 있어서 조절되는 함량 범위는 Ni이 85 내지 86.3 중량%, Al이 13 내지 15 중량%이다. 상기 범위 외로 Ni 및 Al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수득할 수 없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로 Ni 및 Al의 단순 혼합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혼합 시 특히 볼밀법이나 드라이 믹싱 법을 이용하는 것이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수득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반응기에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단순 혼합 분말을 투입하고 활성화제(촉매 역할을 수행함)로서 AlCl3를 도입하여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분말과 반응시킨다(S2).
상기 AlCl3를 활성제로 이용하는 경우에 Ni3Al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는 원 리는 다음과 같다.
하기 [화학식 1]은 상기 Ni 및 Al의 단순 혼합물에 포함된 Al에 의해서 AlCl, AlCl2가 형성되는 반응식이고, 하기 [화학식 2]는 Ni3Al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반응식이다.
AlCl3 + Al(s) <-> AlCl(g) + AlCl2(g)
Ni(s) + AlCl(g) + AlCl2(g) <-> Ni3Al + AlCl3(g)
상기 반응 과정에서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얻으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1 단계에서 이미 Ni 및 Al의 혼합 함량이 조절되어야 하고, 나아가, 이와 같이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얻기 위한 바람직한 반응 조건으로서 AlCl3의 도입 시간과 이때의 반응기 온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상기 AlCl3 도입 시간은 0.1 내지 40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6시간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AlCl3가 도입되는 반응기의 온도는 500 내지 650℃인 것이 바람직하다. AlCl3가 도입되는 반응기의 온도가 500℃ 미만인 경우에는 순수한 Ni3Al 합금 분말을 얻기 위한 AlCl2, AlCl가 충분히 형성되는 것이 어렵고, 나아가, AlCl3가 도 입되는 반응기 온도가 650℃를 초과하면 Al의 융점에 도달하게 될 뿐만 아니라 경제성도 저하된다.
상기 AlCl3를 반응기 안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수소, 질소, 헬륨 혹은 아르곤 같은 운반가스를 이용하도록 한다. 예컨대, 135℃로 유지되는 AlCl3를 함유하는 상기 운반 가스를 증발기를 통하여 반응기 안으로 도입시킨다. 이때, 상기 운반 가스는 물 및 산소 등이 제거되어 있는 가스를 사용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도입되는 AlCl3이 물 및 산소와 반응하여 알루미나를 형성하므로 Ni3Al 금속간 화합물 자체가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 과정 중 AlCl3가 사용되므로 생성된 금속간 화합물로부터 Cl- 이온이 관찰되게 된다. S1 단계에서 Al을 13 내지 15 중량% 첨가하여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수득하는 경우에 관찰되는 Cl- 이온의 일정 농도는 0.01wt% 내지 1wt% 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활성제로서 AlCl3를 이용하여 저온에서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Ni 및 Al 분말의 단순 혼합물로부터 단지 함량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와 같이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 입자는 테이프 캐스팅 법을 이용하여 그린 시트를 제조하고 연료 전지용 다공성 전극 및 지지체를 만들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Ni3Al 금속간 화합물 제조를 위하여 Ni(제조사: Inco 255) 85g 및 Al(제조사 : AEE) 15g을 넣고, 12시간 볼밀하였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준비된 단순 혼합물의 XRD 피크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단순 Ni 및 Al 분말 혼합물 10g을 알루미나 접시 위에 담아 반응기에 넣었다.
충분한 퍼징을 위해서 질소 또는 수소를 300ccm의 유량으로 반응기 내에 도입하면서 반응기의 온도를 500℃ 또는 600℃로 유지하였다.
상기 Ni 및 Al 혼합물에 활성제로서 AlCl3을 도입하였다. AlCl3는 반응성이 커서 물이나 산소와 만나서 쉽게 Al2O3로 변하므로 도입 시 물이나 산소는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99.9% 수소를 팔라듐 멤브레인 또는 산소 트랩 및 물 트랩에 통과시킨 초수소를 사용하여 산소 및 물을 제거하였다.
10g의 AlCl3(Junsei Chemical Co.)를 유통 시험관(flow-through test tube)에 넣어 히팅 자켓(heating jacket)에서 135±2℃ 로 유지하며 기화시켰다.
표 1은 AlCl3 도입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도입 시간 및 이때의 반응기의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 온도(℃) 시간(hr) 도입 기체
1 25 0 H2
2 500 또는 600 4 H2
3 500 또는 600 6 AlCl3/H2
4 20 3 H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단계에서 H2 기체를 공급하면서 4시간 동안 반응기의 온도가 500℃ 또는 600℃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제3 단계에서 AlCl3와 H2 기체를 공급하면서 6시간 동안 반응기의 온도를 500℃ 또는 600℃가 되도록 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AlCl3의 도입을 중단하고 H2 기체만을 도입하며 반응기를 냉각시켰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600℃ 반응기 온도에서 AlCl3를 도입하여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XRD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500℃ 반응기 온도에서 AlCl3를 도입하여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XRD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 및 600℃ 온도의 경우 모두에서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 판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TGA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Ni3Al 금속간 화합물 제조 전의 Ni 및 Al의 단순 혼합물의 TGA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Ni3Al은 산화저항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에서의 Cl- 이온 농도를 측정(IC 사용)한 결과 0.42wt% 이었다.
[비교예]
AlCl3(Junsei Chemical Co.)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Al의 초기 함량을 15중량% 대신에 5중량%로 하였고, AlCl3의 도입시 조건을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하였다.
표 2는 비교예에서 AlCl3 도입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도입 시간 및 이때의 반응기의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 온도(℃) 시간(hr) 도입 기체
1 25 0 H2
2 400 4 H2
3 400 6 AlCl3/H2
4 20 3 H2
도 7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 판을 나타내는 XRD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에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특히 Ni 및 Al의 초기 함량 조절과 나아가 AlCl3 도입 시간 및 도입 시의 반응기 온도 조절을 통하여 순수하고 내산화성이 더욱 향상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저온에서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은 촉매 지지체 및 촉매 그 자체로도 활용 가능하고, 연료 전지용 다공성 전극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7)

  1.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으로서,
    Ni 및 Al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제조하되,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혼합 분말의 제조 시 Ni 및 Al이 혼합되는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S1); 및
    상기 혼합 분말을 반응기에 넣은 후 활성화제인 AlCl3를 Ni 및 Al의 용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반응기에 도입하고 상기 혼합 분말을 반응시켜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을 제조하되, 상기 AlCl3의 도입 시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500 내지 650℃로 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Al 분말 함량이 전체 혼합물에 대하여 13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Ni 및 Al 분말을 볼 밀 또는 드라이 믹싱 법으로 혼 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AlCl3의 도입 시간을 0.1 내지 6 시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AlCl3의 도입시 운반 가스로서 99.9% 수소를 팔라듐 멤브레인 또는 산소 트랩 및 물 트랩에 통과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생성된 Ni3Al 금속간 화합물에서 관찰되는 Cl- 이온의 농도가 0.01 내지 1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Ni3Al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KR1020060042409A 2006-05-11 2006-05-11 순수한 니켈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KR10080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09A KR100800045B1 (ko) 2006-05-11 2006-05-11 순수한 니켈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09A KR100800045B1 (ko) 2006-05-11 2006-05-11 순수한 니켈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440A KR20070109440A (ko) 2007-11-15
KR100800045B1 true KR100800045B1 (ko) 2008-02-01

Family

ID=3906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409A KR100800045B1 (ko) 2006-05-11 2006-05-11 순수한 니켈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657B1 (ko) 2013-05-07 2015-03-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니켈-알루미늄 합금 분말 저온 제조 방법
KR102243511B1 (ko) 2019-08-01 2021-04-22 주식회사 티에스엘켐 수전해 전극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580A (en) 1992-05-12 1994-05-17 Erickson Diane S Methods of manufacturing porous metal alloy fuel cell components
KR19990011050A (ko) * 1997-07-21 1999-02-18 이대원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연료전극 제조방법
KR20010048022A (ko) * 1999-11-24 2001-06-15 채문식 혼합용융염에서의 Ni₃Al 화합물 합성방법
KR100480830B1 (ko) 2003-05-06 2005-04-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염화알루미늄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알루미늄 합금 분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580A (en) 1992-05-12 1994-05-17 Erickson Diane S Methods of manufacturing porous metal alloy fuel cell components
KR19990011050A (ko) * 1997-07-21 1999-02-18 이대원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연료전극 제조방법
KR20010048022A (ko) * 1999-11-24 2001-06-15 채문식 혼합용융염에서의 Ni₃Al 화합물 합성방법
KR100480830B1 (ko) 2003-05-06 2005-04-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염화알루미늄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알루미늄 합금 분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440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3129B (zh) 导电性钙铝石型化合物粉末的制造方法
US20130183224A1 (en) Ammonia synthesis catalyst and ammonia synthesis method
US20090035204A1 (en) Methods for Synthesizing Lithium Iron Phosphate as a Material for the Cathode of Lithium Batteries
EP3395441A1 (en) Transition-metal-supporting intermetallic compound, supported metallic catalyst, and ammonia producing method
JP4361773B2 (ja) 固体組成物、水素発生方法及びプロトン交換膜燃料電池
JP2003049267A (ja) ルテニウム薄膜の形成方法
JP2016538127A (ja) アンモニア合成及びアンモニア分解のための触媒
KR20190072582A (ko) 금속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촉매
JPS6112844B2 (ko)
WO2005121399A1 (en) Precursors for deposition of silicon nitride, silicon oxynitride and metal silicon oxynitrides
KR100800045B1 (ko) 순수한 니켈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의 저온 제조 방법
CN106232523A (zh) 含有亚氨基阴离子的钙铝石型化合物及其制备方法
US5693305A (en) Method for synthesizing aluminum nitride whiskers
KR100757072B1 (ko) 염화알루미늄을 이용한 니켈-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촉매 및 촉매 지지체 제조 방법
WO2012091261A1 (ko) 고체 카르바즈 산 유도체 분말의 제조 방법
JP5732772B2 (ja) ルテニウム錯体混合物、その製造方法、成膜用組成物、ルテニウム含有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79438A (ja) マグネシウム系水素貯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092664B (zh) 一种自分相混合导体三相膜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08303107A (ja) 水素貯蔵材料の製造方法
JPS623007A (ja) 窒化アルミニウム粉末の製造方法
CN112028042B (zh) 一种CoP的碳热还原制备方法、产品及应用
US20220126276A1 (en) Catalyst for ammonia synthesi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mmonia using the same
KR101253426B1 (ko) 질화알루미늄 분말의 제조방법
JP2006063065A (ja) アルキルテトラゾール誘導体及び該誘導体を用いた窒素含有膜の製造方法並びにアルキルテトラゾール誘導体の精製方法
Ohtaki et al. Strong influence of CO/sub 2/partial pressure on inhomogeneous Na distributions and the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polycrystalline NaCo/sub 2/O/sub 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