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397B1 - 해산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해산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397B1
KR100799397B1 KR1020060131174A KR20060131174A KR100799397B1 KR 100799397 B1 KR100799397 B1 KR 100799397B1 KR 1020060131174 A KR1020060131174 A KR 1020060131174A KR 20060131174 A KR20060131174 A KR 20060131174A KR 100799397 B1 KR100799397 B1 KR 100799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eafood
sorting plate
sor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900A (ko
Inventor
정구명
Original Assignee
정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구명 filed Critical 정구명
Priority to KR102006013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3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해산물의 선별 효율이 좋고 선별량을 높일 수 있으며, 각종 건조해산물이 섞여있더라도 용이하게 해산물을 선별할 수 있는 해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종류 이상이 섞인 건조해산물을 선별하는 해산물 선별기에 있어서, 일측부로부터 타측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측부의 상부에 형성된 해산물투입부, 타측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 바닥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된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선별부와;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거나 배출구를 관통하도록 다단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선별판과; 선별부의 측면에 장착되어 선별부에 진동을 가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진동부와; 한쪽에 탄력부재가 설치되어 선별부를 지지하는 유동부, 한쪽이 유동부와 힌지결합되고 유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본체; 및 한쪽은 유동부에 장착되고, 다른 쪽은 고정부에 배치되어 유동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해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해산물, 멸치, 새우, 꼴뚜기, 선별기, 선별판, 진동부, 각도조절부

Description

해산물 선별기{SORTING EQUIPMENT FOR MARINE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산물 선별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산물 선별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별판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도 4에 도시된 선별판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선별부 10a: 바닥면
12: 제1 배출구 14', 14": 제2 배출구
16: 해산물투입부 18: 보조바아
20: 제1 선별판 22: 안착부
24: 고정대 24a: 고정공
24b: 각도조절공 30: 제2 선별판
40: 진동부 50: 본체
52: 유동부 52a: 탄력부재
54: 고정부 54a: 바퀴
56: 제어부 58: 힌지
60: 각도조절부 62: 힘전달부
62a: 축 64: 각도조절바아
64a: 톱니 66: 각도조절핸들
100: 해산물 선별기 200: 수납통
B: 결합수단 G: 가이드판
M: 건조해산물 A: 멸치
S: 새우 O: 꼴뚜기
본 발명은 해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해산물의 선별 효율이 좋고 선별량을 높일 수 있으며, 각종 건조해산물이 섞여있더라도 용이하게 해산물을 선별할 수 있는 해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멸치는 멸치를 어장에서 포획하여 삶은 후 일정한 기간 동안 건조시켜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멸치를 포획할 때 새우나 새우의 치어, 꼴뚜기 등이 멸치와 함께 포획되어 같이 삶겨진 후 건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멸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새우나 꼴뚜기와 같은 다른 종류의 해산물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을 위해 2종 이상이 섞여있는 건조 해산물을 용기에 담은 후 작동되고 있는 선풍기의 전방에 낙하시킴으로서 해산물 종류에 따른 무게 차이에 의해 각각 다른 장소로 떨어지도록 하여 분리하거나, 키(Winnow)질을 하여 선별하거나, 직접 수작업으로 골라내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선별 효과가 떨어지고, 비용 및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99864호 '건멸치에 포함 되어있는 건새우의 선별장치', 등록실용 제20-278841호 '꼴뚜기와 건멸치의 분리장치'와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건멸치에 포함 되어있는 건새우의 선별장치'는 풍력을 이용함으로써 선별 과정에서 건새우 또는 건멸치가 사방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꼴뚜기와 건멸치의 분리장치'의 경우 3종 이상의 해산물을 선별하기가 어렵고 꼴뚜기와 건멸치 외의 다른 종류의 해산물 또한 선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해산물의 선별 효율이 좋고 선별량을 높일 수 있는 해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건조해산물이 섞여있더라도 용이하게 해산물을 선별할 수 있는 해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2종류 이상이 섞인 건조해산물을 선별하는 해산물 선별기에 있어서, 일측부로부터 타측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일측부의 상부에 형성된 해산물투입부, 상기 타측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 바닥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된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선별부와; 상기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거나 상기 배출구를 관통하도록 다단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선별판과; 상기 선별부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선별부에 진동을 가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진동부와; 한쪽에 탄력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를 지지하는 유동부, 한쪽이 상기 유동부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본체; 및 한쪽은 상기 유동부에 장착되고, 다른 쪽은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해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상기 선별판은 제1 선별판과 제2 선별판으로 구성되고, 제1 선별판은 상기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 선별판은 상기 제2 배출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선별판은, 판 상의 안착부; 및 한쪽에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각도조절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끝단에 하나 또는 둘로 마련되는 고정대; 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판은 상기 고정공 및 각도조절공을 통해 결합되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선별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공을 축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바퀴가 더 포 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내부에 기어결합된 다수의 기어가 배치되고, 내부로부터 돌출된 축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둘 이상의 힘전달부와;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한쪽이 상기 유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다른 쪽이 상기 축에 연결되며, 상기 톱니가 상호 결합되어 동작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바아; 및 상기 힘전달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각도조절핸들;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별부의 바닥면은, 다층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선별하고자 하는 건조해산물이 3종류, 즉 멸치와 새우 및 꼴뚜기가 섞여있는 건조해산물을 투입하여 선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산물 선별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산물 선별기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100)는 크게 선별부(10)와 선별판(20, 30), 진동부(40), 본체(50) 및 각도조절부(60)로 구성된다.
선별부(10)는 일부가 개방되어 일측부의 상부에 배치된 해산물투입부(16)를 통해 건조해산물(도 6의 M)이 투입됨으로써 건조해산물(도 6의 M)이 선별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해산물투입부(16)는 해산물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 고, 구조 자체를 생략하고 선별부(10)의 일측부 상부 자체를 해산물투입부(16)로 지칭할 수도 있다. 선별부(10)는 일측부로부터 타측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타측부의 상부에는 제1 배출구(12)가 형성되고, 바닥면(도 6의 10a)의 중앙부근과 하부에는 각각 하나씩, 즉 두 개의 제2 배출구(도 6의 14', 14")가 형성된다. 만약, 섞여있는 건조해산물(도 6의 M)의 종류가 3종류가 아니라 더 많을 경우에는 제2 배출구(14', 14")의 개수를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선별부(10)의 바닥면(도 6의 10a)은 다층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별부(10)의 개방된 면에는 외력 등에 의해 선별부(10)가 벌어지지 않도록 보조바아(18)가 설치된다.
선별판(20, 30)은 다수의 개수로 구비되어 선별부(10)의 내부에 다단으로 배치된다. 선별판(20, 30)은 제1 선별판(20)과 제2 선별판(30)으로 구성되는데, 제1 선별판(20)은 선별부(10)의 바닥면(도 6의 10a)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선별판(30)은 선별부(10)의 바닥면(도 6의 10a)에 형성된 제2 배출구(도 6의 14', 14")를 관통하여 배치되는데, 이러한 제2 선별판(30) 중 하부에 위치한 두 번째 제2 선별판(30)은 선별부(10) 하부 벽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에, 제2 선별판(30) 중 하부에 위치한 두 번째 제2 선별판(30)은 별도로 형성하여 선별부(10)의 하부에 장착할 수도 있고, 선별부(10)를 제작할 때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진동부(40)는 선별부(10)의 측면에 장착되어 선별부(1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수로 구성되며, 진동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러한 진동부(40)는 일반적인 진동발생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진동부(40)의 진동발생방향은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나 선별판(20, 30)의 전방 방향, 즉 제1 배출구(12) 방향으로 관성력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50)는 선별부(10)를 지지하는 유동부(52, 도 3의 빗금친 부분)와, 유동부(5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고정부(54)로 구성된다. 유동부(52)와 고정부(54)의 한쪽은 내부의 힌지(58)에 의해 결합되어 유동부(52)가 고정부(54)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유동부(52)는 선별부(10)의 측면에 장착되며, 진동부(40)에 의해 선별부(10)가 진동될 경우 선별부(10)의 진동은 증폭시키되, 고정부(54)에 전달되는 진동은 줄일 수 있도록 한쪽에 탄력부재(52a)가 위치한다. 고정부(54)는 지면에 닿도록 설치되는데, 해산물 선별기(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고정부(54)의 하면에는 바퀴(54a)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탄력부재(52a)로서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외에 다양한 형상 또는 재질의 탄력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탄력부재(52a)는 유동부(52)의 상측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유동부(52)의 중간측이나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부(5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등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6)가 설치된다.
각도조절부(60)는 본체(50)에 배치되어 선별하고자 하는 건조해산물(도 6의 M)의 건조 상태나 크기에 따라 선별부(10)의 전체 경사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각도조절부(60)는 본체(50)의 측면 등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본 체(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거의 보이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에서는 각도조절부(60)의 구조 및 동작의 이해를 돕고,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각도조절부(60)가 외부로 드러나 보이는 것처럼 도시한 것이다.
각도조절부(60)는 한 쌍의 힘전달부(62)와 한 쌍의 각도조절바아(64) 및 각도조절핸들(66)로 구성되는데, 힘전달부(62)는 내부에 기어결합된 다수의 기어(미도시)가 배치되고, 내부로부터 돌출된 축(62a)이 본체(50)의 고정부(5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전술한 축(62a)에 장착되는 각도조절바아(64)는 한쪽에 다수의 톱니(64a)가 형성되며, 이렇게 톱니(64a)가 형성된 한쪽이 본체(50)의 유동부(52) 한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한 쌍의 각도조절바아(64)는 각각 톱니(64a)가 형성된 한쪽이 상호 맞닿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고정부(54)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유동부(52)의 한쪽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선별부(10)의 전체적인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각도조절핸들(66)은 본체(5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사용자가 잡아서 동작하기 좋도록 일부가 꺾여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사용자가 각도조절핸들(66)을 잡고 회전시킬 때 그 회전력을 힘전달부(62)를 통해 각도조절바아(64)에 전달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핸들(66)의 일단이 힘전달부(62)에 연결된다. 이때, 각도조절바아(6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100)의 사용장소나 사용환경 등의 제약에 상관없이 한 쌍의 힘전달부(62)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될 경우 각도조절바아(64)와 힘전달부(62)가 연결되는 부분의 단면을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각도조절 바아(64)의 일단이 힘전달부(62)에 형상맞춤되어 장착되도록 형성하여 각도조절핸들(66)을 힘전달부(62) 중 어느 하나에 장착했을 경우 각도조절핸들(66)의 회전력이 힘전달부(62)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별판의 사시도이고, 도 5의 (a) 내지 (c)는 도 4에 도시된 선별판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선별판은 제1 선별판을 나타낸 것이며, 제2 선별판의 경우 통상의 판재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2 선별판 또한 제1 선별판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제1 선별판(20)은 안착부(22)와 고정대(24)로 구성되어 건조해산물(도 6의 M)에 포함되어 있는 멸치(도 6의 A)나 새우(도 6의 S), 꼴뚜기(도 5의 O) 등의 종류에 따라 건조해산물(도 6의 M)을 선별하기 좋은 각도로 조절하게 된다.
안착부(22)는 건조해산물(도 6의 M)이 안착될 수 있는 판 상으로 형성되는데, 안착부(22)의 전면부와 후면부는 선별된 건조해산물(도 6의 M)이 쉽게 낙하할 수 있도록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이 좋다.
고정대(24)는 한쪽에 고정공(24a)이 형성되며, 고정공(24a)을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각도조절공(24b)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대(24)는 안착부(22)의 측면에 마련되는데, 제1 선별판(20)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해서는 안착부(22)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선별판(20)은 전술한 고정공(24a)과 각도조절공(24b)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수단(B),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선별부(10)의 내부 양측면에 장착되는데, 고정공(24a)에 결합된 결합수단(B) 을 축으로 하여 각도가 조절되고, 각도조절공(24b)에 결합된 결합수단(B)에 의해 조절되는 각도의 최대치가 설정된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것은 제1 선별판(20)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양측의 각도조절공(24b)에 결합된 나사(B)가 각도조절공(24b)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어있으므로 고정공(24a)에 결합된 나사(B)를 축으로 하여 제1 선별판(20)의 한쪽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b)의 경우 제1 선별판(20)의 한쪽을 최대한 상승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c)는 도 5의 (b)와는 반대로 제1 선별판(20)의 한쪽을 최대한 하강시킨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 5의 (b)의 경우 고정공(24a)에 결합된 나사(B)를 축으로 하여 상승시키고자 하는 한쪽 위치에 배치된 나사(B)가 각도조절공(24b)의 상측에 접하고, 상대적으로 하강된 위치의 나사(B)는 각도조절공(24b)의 하측에 접하게 되며, 도 5의 (c)에서는 도 5의 (b)와는 반대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선별판(20)의 각도는 각도조절공(24b)에 결합된 나사(B)가 각도조절공(24b)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접하기 전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꼴뚜기와 새우, 멸치가 섞이지 않고 완벽하게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의 선별기 내부 단면을 나 타낸 것으로서, 해산물 선별기를 이용하여 건조해산물을 선별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여기에서는, 건조해산물(M)을 선별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이므로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선별부(10)와 선별판(20, 30)과 같이 건조해산물(M)과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생략하기로 하며, 제1 선별판(20)의 고정대(24) 또한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56)를 조작하여 진동부(40)를 작동시키게 되면, 진동부(40)에서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선별부(10)가 진동을 하게 된다. 이때, 유동부(52)의 상측에 위치한 탄력부재(52a), 즉 코일스프링에 의해 선별부(10)의 진동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고정부(54)에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한으로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진동부(40)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100) 일측부의 상부에 위치한 해산물투입부(16)를 통해 선별하고자 하는 멸치(A)와 새우(S) 및 꼴뚜기(O)가 섞인 건조해산물(M)이 투입된다.
해산물투입부(16)에서 공급된 건조해산물(M)은 선별부(10)의 가장 상부에 위치하여 진동하고 있는 첫 번째 제1 선별판(20)의 중앙부근에 안착되는데 모든 선별판, 즉 제1 및 제2 선별판(30)은 선별부(10)의 경사각도와는 소정의 반대 방향 각도(약 17˚)로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다. 선별부(10)와 선별판(20, 30)의 각도는 투입되는 건조해산물(M)에 섞여있는 해산물의 종류나 건조상태, 크기 등에 따라 각각 변경하여 사용하게 된다.
다음, 도 7을 살펴보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된 상태로 진동하고 있 는 제1 선별판(20)에 안착된 건조해산물(M)은 상대적으로 꼴뚜기(O)로부터 새우(S), 멸치(A)의 순서로 넓적한 형태를 갖는다. 이에 더 넓적한 해산물(M)은 제1 선별판(20)에 면 접촉하여 제1 선별판(20)의 전방, 즉 제1 배출구(12) 방향을 향해 거슬러 올라가 결국 다음의 제1 선별판(20) 중앙 부근으로 낙하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점 접촉을 하는 해산물(M)은 제1 선별판(20)의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선별부(10)의 바닥면(10a)으로 낙하하게 된다. 즉, 대부분의 멸치(A)와 새우(S)는 제1 선별판(20)의 전방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되며 약간의 새우(S), 즉 꼴뚜기(O)와 유사한 넓이의 새우(S)와 대부분의 꼴뚜기(O)는 제1 선별판(2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투입된 건조해산물(M)의 양이 많을 경우 제1 선별판(20)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멸치(A)에 의해 새우(S)나 꼴뚜기(O)가 끌려올려져 다음 제1 선별판(20)으로 함께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제1 선별판(20)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처음의 제1 선별판(20)의 전방으로 배출된 건조해산물(M)이 다음의 제1 선별판(20)으로 낙하하면서 멸치(A)와 새우(S), 꼴뚜기(O)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고, 재차 꼴뚜기(O)와 약간의 새우(S)를 멸치(A)로부터 선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꼴뚜기(O)를 멸치(A)와 새우(S)로부터 선별, 분리하는 과정은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는 선별판, 특히 제1 선별판(20)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첫번째 제2 선별판(30)에 도달하기 전까지 계속 반복됨으로써 꼴뚜기(O)의 선별효율과 처리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는 해산물투입부(16)에 의해 투입된 건조해산물(M)이 3개의 제1 선별판(20)을 거쳐 첫번째 제2 선별판(30)에 도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선별해야 하는 건조해산물(M)의 양 등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제1 선별판(20)을 거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다단의 제1 선별판(20)의 전방으로 배출된 건조해산물(M), 즉 멸치(A)와 대부분의 새우(S)는 첫번째 제2 선별판(30)의 중앙부근으로 낙하하여 안착되고, 제2 선별판(30)의 내측부근에는 선별부(10)의 바닥면(10a)을 따라 이동한 꼴뚜기(O)와 약간의 새우(S)가 안착된다. 이때, 제2 선별판(30) 또한 제1 선별판(20)과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장착되고, 진동부(40)에 의해 진동하게 되므로 제1 선별판(20)과 동일하게 꼴뚜기(O)를 멸치(A)와 새우(S)로부터 선별하게 되며, 제2 선별판(30)은 선별부(10)의 바닥면(10a)에 형성된 제2 배출구(14')를 관통하여 배치되므로 결국 꼴뚜기(O)와 약간의 새우(S)가 선별부(1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대략 꼴뚜기(O) 60~80%, 새우(S) 20~40% 정도의 비율로 수납통(200)에 수납된다. 이때, 제2 배출구(14')의 전면, 즉 선별부(10)의 하면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꼴뚜기(O)와 새우(S)를 수납통(200)에 용이하게 모을 수 있도록 가이드판(G)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한편, 제1 선별판(20)을 거치면서 선별부(10)의 바닥면(10a)으로 낙하된 꼴뚜기(O)와 새우(S)가 한꺼번에 배출될 경우 제2 배출구(14')가 막힐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선별부(10)의 바닥면(10a)을 다층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 선별판(20)에서 선별부(10)의 바닥면(10a)으로 낙하된 꼴뚜기(O)와 새우(S)가 한번에 제2 선별판(30)까지 도달하지 않고 몇 번의 단계를 거쳐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꼴뚜기(O)와 약간의 새우(S)가 선별되고 난 후 멸치(A)와 새우(S), 약간의 꼴뚜기(O, 새우와 유사한 넓이의 꼴뚜기)가 섞여있는 건조해산물(M)은 첫번째 제2 선별판(30)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첫번째 제2 선별판(30) 다음에 위치한 제1 선별판(20)의 중앙 부근에 안착되어 다시 멸치(A)와 새우(S), 꼴뚜기(O)를 분리하기 위한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첫번째 제2 선별판(30)과 두번째 제2 선별판(30)의 사이에 다단으로 위치하는 제1 선별판(20)은 대부분의 꼴뚜기(O)와 약간의 새우(S)가 선별된 제1 선별판(20), 즉 첫 번째 제2 선별판(3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선별판(20)의 경사각도와 다르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선별판(20)에 안착된 건조해산물(M) 중 멸치(A)는 새우(S)나 약간의 꼴뚜기(O)보다 상대적으로 제1 선별판(20)에 면 접촉하여 제1 선별판(20)의 전방을 향해 거슬러 올라가게 되고, 새우(S)와 약간의 꼴뚜기(O)의 경우 상대적으로 점 접촉을 하여 제1 선별판(20)의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선별부(10)의 바닥면(10a)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 선별판(20)을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멸치(A)와 새우(S) 및 약간의 꼴뚜기(O)를 선별, 분리함으로써 선별효율과 처리량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후, 마지막으로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두 번째 제2 선별판(30)의 중앙부근에 멸치(A)가 낙하되고, 내측부근에 선별부(10)의 바닥면(10a)을 따라 이동된 새우(S)와 약간의 꼴뚜기(O)가 안착된다. 그리고 제2 선별판(30)의 진동에 의 해 전방, 즉 제1 배출구(12)를 통해 멸치(A)가 선별되어 배출되고, 제2 배출구(14")를 통하여 새우(S)와 약간의 꼴뚜기(O)가 선별부(10)로부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멸치(A)와 새우(S) 및 꼴뚜기(O)가 각각 선별, 분리되어 별도의 수납통(200)에 담기게 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선별부(10)의 바닥면(10a)에 형성된 제2 배출구(14', 14")가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선별하고자 하는 건조해산물(M)에 섞여있는 해산물의 종류 숫자에 따라 제2 배출구(14', 14")를 1개로 구성하거나 3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3개 이상으로 구성할 경우 선별부(10)의 길이와 제1 선별판(20) 및 제2 선별판(30)의 개수를 늘려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선별기에 의하면, 건조해산물의 선별 효율이 좋고 선별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건조해산물이 섞여있더라도 용이하게 해산물을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2종류 이상이 섞인 건조해산물을 선별하는 해산물 선별기에 있어서,
    일측부로부터 타측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일측부의 상부에 형성된 해산물투입부, 상기 타측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 바닥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된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선별부와;
    상기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거나 상기 배출구를 관통하도록 다단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선별판과;
    상기 선별부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선별부에 진동을 가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진동부와;
    한쪽에 탄력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를 지지하는 유동부, 한쪽이 상기 유동부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본체; 및
    한쪽은 상기 유동부에 장착되고, 다른 쪽은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해산물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은 제1 선별판과 제2 선별판으로 구성되고,
    제1 선별판은 상기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 선별판은 상기 제2 배출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선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별판은,
    판 상의 안착부; 및
    한쪽에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각도조절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끝단에 하나 또는 둘로 마련되는 고정대; 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판은 상기 고정공 및 각도조절공을 통해 결합되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선별부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공을 축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선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바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선별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내부에 기어결합된 다수의 기어가 배치되고, 내부로부터 돌출된 축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둘 이상의 힘전달부와;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한쪽이 상기 유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다른 쪽이 상기 축에 연결되며, 상기 톱니가 상호 결합되어 동작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바아; 및
    상기 힘전달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각도조절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선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의 바닥면은, 다층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선별기.
KR1020060131174A 2006-12-20 2006-12-20 해산물 선별기 KR100799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174A KR100799397B1 (ko) 2006-12-20 2006-12-20 해산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174A KR100799397B1 (ko) 2006-12-20 2006-12-20 해산물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900A KR20070005900A (ko) 2007-01-10
KR100799397B1 true KR100799397B1 (ko) 2008-01-30

Family

ID=3787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174A KR100799397B1 (ko) 2006-12-20 2006-12-20 해산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2745A (zh) * 2010-10-26 2011-02-16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色选机的接料副斗
CN104959305B (zh) * 2015-07-20 2016-08-24 安徽理工大学 一种弛张筛分段式活动梁振幅调节装置
KR102300798B1 (ko) 2019-07-31 2021-09-13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젓갈용 해산물 선별장치
CN111480606A (zh) * 2020-04-23 2020-08-04 舟山国家远洋渔业基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远洋捕捞船用海产分级处理***
CN111659179B (zh) * 2020-05-25 2021-03-16 安徽方园塑胶有限责任公司 一种层叠式模块化高频筛机
KR20240103434A (ko) 2022-12-27 2024-07-04 주식회사 포엠 양식 패류 분리 및 선별장치
CN116213247B (zh) * 2023-05-04 2023-07-28 四川磊蒙机械设备有限公司 振动筛及其筛板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435B1 (ko) * 1984-05-08 1990-03-10 게브뤼더 뷜러 주식회사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JPH1043689A (ja) 1996-05-28 1998-02-17 Komaki Kogyo Kk 振動篩装置
KR20030024761A (ko) * 2003-03-06 2003-03-26 김윤호 건멸치에 포함 되어있는 건새우의 선별장치
JP2003091761A (ja) 2001-09-17 2003-03-28 Akio Hiraoka 硬貨と硬貨に混入付着したごみの分離除去装置
KR20040045550A (ko) * 2002-11-25 2004-06-02 주식회사 스페코 골재 선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435B1 (ko) * 1984-05-08 1990-03-10 게브뤼더 뷜러 주식회사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JPH1043689A (ja) 1996-05-28 1998-02-17 Komaki Kogyo Kk 振動篩装置
JP2003091761A (ja) 2001-09-17 2003-03-28 Akio Hiraoka 硬貨と硬貨に混入付着したごみの分離除去装置
KR20040045550A (ko) * 2002-11-25 2004-06-02 주식회사 스페코 골재 선별기
KR20030024761A (ko) * 2003-03-06 2003-03-26 김윤호 건멸치에 포함 되어있는 건새우의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900A (ko)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397B1 (ko) 해산물 선별기
CN110152984A (zh) 一种农业油菜籽筛选设备
CN106862081A (zh) 一种小型震荡谷物除壳机
CN206622322U (zh) 一种小型震荡谷物除壳机
CN109201451A (zh) 一种大米自动化筛分加工制作设备
KR200416455Y1 (ko) 곡물탈곡기
KR20120106097A (ko) 곡물탈곡기
CN109127417A (zh) 一种油菜籽机械式筛选设备
CN216500581U (zh) 一种豌豆制种粒选除杂装置
CN207325250U (zh) 振动筛分装置
CN111299156A (zh) 一种种子筛选装置
KR101302871B1 (ko) 피잣 선별장치
CN115193697B (zh) 大豆筛选用自动筛分装置及方法
CN215141943U (zh) 一种大米生产用筛选装置
CN114009409A (zh) 一种自动抓螺蛳机
CN109731676B (zh) 一种种子磁选分级装置
CN203523368U (zh) 立式板栗脱粒机
CN209349006U (zh) 一种薯片分拣装置
CN209006189U (zh) 一种食品加工用黄豆筛选装置
CN209109588U (zh) 一种大豆种子筛选装置
KR102036989B1 (ko)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CN219683263U (zh) 一种高效摇摆式自动筛沙装置
JP4177272B2 (ja) 粉ふるい
CN218108392U (zh) 一种孔径可变的升降式再生骨料筛选装置
CN217222346U (zh) 一种兽药用高效筛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