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357B1 -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357B1
KR100797357B1 KR1020060075865A KR20060075865A KR100797357B1 KR 100797357 B1 KR100797357 B1 KR 100797357B1 KR 1020060075865 A KR1020060075865 A KR 1020060075865A KR 20060075865 A KR20060075865 A KR 20060075865A KR 100797357 B1 KR100797357 B1 KR 10079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brush roll
crystal
pressure ai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환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7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도금으로 인해 강판의 에지부에 형성된 수지상 결정을 제거하는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강판의 에지부에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브러시롤(10)을 갖는 결정제거부와, 상기 강판의 에지부로부터 제거된 수지상 결정이 강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40)을 갖는 고압공기 분사부와, 상기 고압공기 분사에 의해 강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불어 내어진 수지상 결정을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설치된 결정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강판의 에지부에서 제거된 수지상 결정이 다시 강판의 표면에 떨어져 강판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강판, 에지, 수지, 고압공기, 브러시, 흡입

Description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dendrite from the edge part of a strip}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3은 도2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브러시롤을 나타낸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상세도;
도7은 본 발명의 센서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
도8은 본 발명의 하우징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러시롤 12 : 몸통
14 : 브러시프레임 15 : 브러시
16 : 스프링 20 : 하우징
26 : 결정흡입구멍 30 : 결정배출배관
40 : 분사노즐 42 : 고압공기공급관
50 : 지지프레임 52 : 회전모터
58 : 랙 60 : 연결프레임
62 : 승강모터 64 : 피니언
70 : 메인모터 72 : 실린더
88 : 센서 S : 강판
본 발명은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도금으로 인해 강판의 에지부에 형성된 수지상 결정을 제거하는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을 도금할 때, 과전류에 의한 과도금이 발생하면 트리 형태의 수지상 결정인 덴드라이트(Dendrite)가 강판의 에지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수지상 결정은 도장 작업시 강판의 에지부로부터 떨어져 페인트와 혼합됨으로써 도장 부위의 품질이 저하되며, 도금 강판의 프레스 작업시 수지상 결정이 프레스 설비에 유입되어 프레스 제품의 형상 불량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도1은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다.
이에 의하면, 강판(S)의 진행 경로 상에 강판(S)을 감싸는 형상을 갖도록 더스트컬렉터(1)가 설치되어 강판의 에지부로부터 제거된 수지상 결정 등의 이물질이 자중 등에 의해 더스트컬렉터(1)의 하부에 형성된 수집통(2)에 모여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컬렉터(1)의 내부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환봉 모양을 갖는 결정제거봉(3)이 설치됨으로써 결정제거봉(3)이 강판(S)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면서 강판(S)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지상 결정을 떼어낸다.
또한, 상기 더스트컬렉터(1)의 내부에는 상기 결정제거봉(3)에 의해 강판(S)의 가장자리로부터 제거된 수지상 결정이 강판(S)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4)이 설치된다.
즉, 결정제거봉(3)이 강판(S)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면서 강판(S)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지상 결정을 떼어내면, 분사노즐(4)로부터 분사되는 고압공기가 수지상 결정을 강판(S)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불어내며, 이렇게 강판(S)의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동된 수지상 결정이 자중 등에 의해 수집통(2)에 모여짐으로써 강판(S)의 가장자리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분사노즐(4)에서 분사된 고압공기에 의해 수지상 결정이 강판(S)의 표면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강판(S)의 에지부에서 떨어진 수지상 결정은 고압공기에 의해 부유하다가 일부가 강판(S)의 표면에 다시 떨어져 부착됨으로써 강판의 표면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 제점이 여전히 발생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결정제거봉(3)과 강판(S)의 에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 압력이 과도하게 큰 경우, 결정제거봉(3)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도금으로 인해 강판의 에지부에 형성된 수지상 결정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특히 강판의 에지부에서 제거된 수지상 결정이나 기존 연마지석의 가루가 다시 강판의 표면에 떨어져 강판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특히 브러시롤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강판 두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여 브러시롤과 강판 에지부 접촉 부분을 지속적으로 가변시키어 브러시롤의 국부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과도금으로 인해 강판의 에지부에 형성된 수지상 결정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강판의 에지부에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브러시롤을 갖는 결정제거부;와, 상기 강판의 에지부로부터 제거된 수지상 결정이 강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갖는 고압공기 분사부; 및, 상기 고압공기 분사에 의해 강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불어 내어진 수지상 결정을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설치된 결정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와 결정흡입부는 상기 브러시롤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브러시롤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브러시롤은 브러시롤몸통에 여러 개가 배치된 브러시지지구의 외측에 고정된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지지구가 상기 브러시몸통과 일정 거리 떨어져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롤은 상기 강판의 두께 방향으로 신장된 랙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랙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피니언과, 이 피니언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승강모터가 구비되면서 메인프레임에 강판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연결프레임에 강판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며, 도3은 도2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강판의 에지부에서 수지상 결정을 떼어내기 위한 결정제거부를 갖는다.
상기 결정제거부는 회전하는 브러시롤(10)을 이용하여 강판의 에지부에서 수지상 결정을 떼어내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브러시롤(10)은, 도4 및 도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중실의 원통 모양을 갖는 몸통(12)과, 상기 몸통(12)의 외경이 이루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배치되어 몸통(1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브러시지지구(14)와, 상기 브러시지지구(14)의 외경 측에 고정된 브러시(15)와, 상기 브러시지지구(14)가 몸통(12)과 일정 거리 떨어져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을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지지구(14)가 몸통(1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몸통(12)에 고정된 하우징(17)과, 상기 하우징(17)에 끼워져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몸통(12)의 반경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러시지지구(14)에 고정된 슬라이더(18) 및 상기 슬라이더(18)가 하우징(17)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9)를 갖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슬라이더(18)와 하우징(17)의 접촉부위는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 예컨대 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지지구(14)는 각각 대략의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지지구(14)들의 전체적인 형상은 몸통(12)을 링 형태로 감싸는 모양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시지지구(14)가 몸통(12)의 외경 부위에 밀착하는 위치에 있을 때, 이웃한 브러시지지구(14) 사이의 간격이 '0'에 가깝고, 상기 브러시지지구(14)의 내경 부위와 외경 부위가 이루는 곡률 반경의 중심이 상기 몸통(12)의 중심에 위치되게 한다. 이러한 브러시지지구(14)는 몸통(12)에서 먼 쪽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15)는 이 브러시지지구(14)의 개방된 부위로 소정 거리 돌출되도록 장착된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브러시롤(10)에 의해 강판의 에지부에서 분리된 수지상 결정을 강판의 에지부로부터 불어내도록 고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고압공기 분사부와, 고압공기에 의해 강판의 에지부로부터 불어낸 수지상 결정을 흡입하기 위한 결정흡입부를 갖는다.
이러한 고압공기 분사부와 결정흡입부는 상기 브러시롤(10)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브러시롤(10)의 상, 하부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어느 일측의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결정흡입부는 상기 브러시롤(10)의 몸통(12)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20)을 갖는바, 이 하우징(20)은 상기 몸통(12) 상하의 양측 끝단 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브러시롤(10)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가짐에 의해 대략의 모양이 원판 또 는 플랜지(Flange)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도2, 도4 및 도8에 도시된 것처럼, 브러시롤(10)에 인접한 부위를 이루는 내벽(22)과, 브러시롤(10)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를 이루며 대략의 원판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내벽(22)의 가장자리에 밀폐된 형태로 연결된 외벽(24)을 포함한다. 상기 내벽(22)은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경사는 브러시롤(10)과 수직한 면에 대하여 브러시롤(10)이 위치된 쪽과 반대쪽으로 소정 각도를 갖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내벽(22)에는 여러 개의 결정흡입구멍(26)이 형성되며, 이 결정흡입구멍(26)은 내벽(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는 상기 결정흡입구멍(26)을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연결되고 또한 상기 결정흡입구멍(26)을 통해 흡입된 수지상 결정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결정배출배관(3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상기 내벽(22)을 따라 밀착되고 내부에 공간(33)이 형성되며 상기 결정흡입구멍(26)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하여 형성된 결정흡입통로(34)가 구비된 흡입연결부재(32)가 고정 설치되며, 이 경우, 상기 흡입연결부재(32)가 상기 결정배출배관(30)에 연결된다.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는 상기 하우징(20)에 고정 설치된 분사노즐(40)을 갖는다.
이러한 분사노즐(40)은 고압공기 공급관(42)을 통해 고압공기를 공급받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40)은 상기 결정배출배관(30)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에 고정 설치된 고압공기 공급헤더(44)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노즐(40)은 도4 및 도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우징(2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그 분사노즐(4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공기의 방향은 상기 브러시롤(10)의 대략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42)은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여러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분사노즐(40)은 여러 개로 분할된 형태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고압고기 공급관(42)에 연결된다.
상기 결정제거부, 결정흡입부 및 고압공기 분사부는 지지프레임(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회전 중심선은 상기 브러시롤(10)을 이루는 몸통(12)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고압공기 공급헤더(44)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지지프레임(50)에는 고압공기 공급헤더(44)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모터(5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52)의 회전력은 다양한 형태로 고압공기 공급헤더(44)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는 상기 고압공기 공급헤더(44)와 회전모터(52)의 회전축에 각각 스프로킷(54)(55)이 설치되고 이 스프로킷(54)(55)이 체인(56)에 의해 연결된 구성을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52)가 회전되면, 그에 회전 동력을 제공받도록 연결된 결정제거부, 결정흡입부 및 고압공기 분사부가 회전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스트립(S)의 두께 방향, 즉 도2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6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50)에는 도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신장되는 랙(58)이 구비되며, 이 랙(58)은 상기 연결프레임(60)에 장착된 승강모터(62)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64)에 맞물려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모터(62)가 회전되면 그 회전 운동은 랙(58)과 피니언(64)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연결프레임(50)은 실린더(72)를 매개로 메인프레임(70)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프레임(70)은 고정요소, 예컨대 바닥이나 설비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72)는 상기 지지프레임(50)을 강판(S) 쪽으로 근접하거나 강판(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50)에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강판(S)의 에지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80)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80)는 도3 및 도7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프레임(50)에 고정 설치된 기어박스(84)와, 상기 기어박스(84)에 연결되어 강판(S) 쪽으로 전, 후진되도록 장착된 이동축(82)과, 상기 기어박스(84)에 연결된 모터(86)와, 상기 이동축(82)의 단부에 설치되어 강판(S)의 에지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8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배출배관(30)과 고압공기 공급헤더(44)는 베어링(90)을 매개로 각각 연결배관(91)(92)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배관(91)(92)은 신축관(93)(94)을 매개로 각각 메인배관(95)(96)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배관(95)(96)은 각각 흡입 팬(미도시됨)과 고압공기공급펌프(미도시됨)에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요소들 중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곳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센서(88)로부터 강판(S)의 에지부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후술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 제어부(미도시됨)가 구비되며, 또는 수동으로 이들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를 작동시키면 미도시된 흡입팬과 고압공기공급펌프가 가동되어 하우징(20)의 결정흡입구멍(26)을 통해 흡입력이 발생되며 또한 분사노즐(40)을 통해 고압공기가 분사된다.
또한, 회전모터(52)가 가동되어 브러시롤(10), 하우징(20) 및 이 하우징(20)에 설치된 분사노즐(40) 등이 회전된다.
그리고, 실린더(72)의 구동에 의해 연결프레임(60) 및 이에 장착된 지지프레임(50) 등이 강판(S)의 에지부 쪽으로 이동되며, 센서(88)가 강판(S)의 에지부를 감지하면 실린더(72)가 멈춘다.
따라서, 브러시롤(10)의 브러시(15)가 강판(S)의 에지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강판(S)의 에지부에 형성된 수지상 결정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강판(S)의 에지부에서 제거된 수지상 결정은 결정흡입구멍(26)을 통해 흡입되어 제거된다.
이때, 분사노즐(40)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는 강판(S)의 에지부에서 제거된 수지상 결정이 강판(S)의 표면에 다시 부착되지 않고 상기 결정흡입구멍(26)으로 흡입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롤(10)의 브러시(15)는 스프링(16)에 의해 강판(S)의 에지부에 적정 압력으로 접촉하게 한다.
상기 브러시롤(10)은 승강모터(62)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으며, 이렇게 브러시롤(10)을 상하로 승강시키면 브러시롤(10)에 구비된 브러시(15)가 고르게 마모되게 하며, 이는 브러시롤(1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브러시롤(10)은 일정시간 사용되면 브러시(15)의 마모에 의해 강판(S)의 에지부로부터 수지상 결정을 제거하는 효율이 저하되며, 이 경우, 센서(88)를 모터(86)의 구동에 의해 강판(S)의 에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예컨대 1~2mm 정도 이동시키면, 상기 실린더(72)가 다시 구동되어 브러시롤(10)이 강판(S)의 에지부 쪽으로 1~2mm 정도 이동됨으로써 수지상 결정의 제거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에 의하면, 과도금으로 인해 강판의 에지부에 형성된 수지상 결정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특히 강판의 에지부에서 제거된 수지상 결정이나 기존 연마지석의 가루가 다시 강판의 표면에 떨어져 강판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특히 브러시롤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강판 두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여 브러시롤과 강판 에지부 접촉 부분을 지속적으로 가변시키어 브러시롤의 국부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8)

  1. 과도금으로 인해 강판의 에지부에 형성된 수지상 결정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강판(S)의 에지부에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브러시롤(10)을 갖는 결정제거부;와, 상기 강판의 에지부로부터 제거된 수지상 결정이 강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40)을 갖는 고압공기 분사부; 및, 상기 고압공기 분사에 의해 강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불어 내어진 수지상 결정을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설치된 결정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와 결정흡입부는 상기 브러시롤(10)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브러시롤(10)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브러시롤(10)은 브러시롤몸통(12)에 여러 개가 배치된 브러시지지구(14)의 외측에 고정된 브러시(15)와, 상기 브러시지지구(14)가 상기 브러시몸통(12)과 일정 거리 떨어져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롤(10)은 상기 강판(S)의 두께 방향으로 신장된 랙(58)이 형성된 지지프레임(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상기 랙(58)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피니언(64)과, 이 피니언(64)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승강모터(62)가 구비되면서 메인프레임(70)에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연결프레임(60)에 강판(S)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롤(10)의 브러시지지구(14)는, 상기 브러시롤몸통(12)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배치되면서 각각 몸통(12)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롤몸통(12)에서 먼 쪽 부위가 브러시롤몸통(1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흡입부는, 상기 브러시롤(10)의 외경 크기보다 큰 외경 크기를 갖는 플랜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러시롤(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형성된 결정흡입구멍(26)과,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흡입력을 상기 결정흡입구멍(26)에 제공하도록 연결된 결정배출배관(3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의 분사노즐(40)은 상기 강판(S)의 중앙부의 상, 하부에서 상기 브러시롤(10)의 중앙부 쪽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60)과 상기 메인프레임(70)은 실린더(7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연결프레임(60)은 상기 메인프레임(70)에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60)에는 강판(S) 쪽으로 전, 후진되어 상기 강판(S)의 에지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8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KR1020060075865A 2006-08-10 2006-08-10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KR10079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865A KR100797357B1 (ko) 2006-08-10 2006-08-10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865A KR100797357B1 (ko) 2006-08-10 2006-08-10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357B1 true KR100797357B1 (ko) 2008-01-22

Family

ID=3921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865A KR100797357B1 (ko) 2006-08-10 2006-08-10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38B1 (ko) * 2007-07-27 2009-12-10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 강판의 에지 과도금 제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859A (ja) * 1988-08-02 1990-02-13 Sumitomo Metal Ind Ltd めっき鋼帯の両側面研削設備
JPH07164290A (ja) * 1993-12-10 1995-06-27 Hotani:Kk ストリップ側端面研磨装置
JPH0819945A (ja) * 1994-07-06 1996-01-23 Hotani:Kk 金属ストリップ側端研磨装置
JP2003019653A (ja) 2001-07-05 2003-01-21 Hotani:Kk ストリップ側端研磨ブラシロール
KR20030009951A (ko) * 2001-07-24 2003-02-05 주식회사 포스코 롤 표면의 파우더 자동 제거장치
KR20030035461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강판 에지부의 과도금 제거장치
KR20040038502A (ko) * 2002-11-01 2004-05-0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전기도금용 아노드의 산화피막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859A (ja) * 1988-08-02 1990-02-13 Sumitomo Metal Ind Ltd めっき鋼帯の両側面研削設備
JPH07164290A (ja) * 1993-12-10 1995-06-27 Hotani:Kk ストリップ側端面研磨装置
JPH0819945A (ja) * 1994-07-06 1996-01-23 Hotani:Kk 金属ストリップ側端研磨装置
JP2003019653A (ja) 2001-07-05 2003-01-21 Hotani:Kk ストリップ側端研磨ブラシロール
KR20030009951A (ko) * 2001-07-24 2003-02-05 주식회사 포스코 롤 표면의 파우더 자동 제거장치
KR20030035461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강판 에지부의 과도금 제거장치
KR20040038502A (ko) * 2002-11-01 2004-05-0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전기도금용 아노드의 산화피막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38B1 (ko) * 2007-07-27 2009-12-10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 강판의 에지 과도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579B1 (ko) 강판용 클리너 장치
KR10161453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98428B1 (ko) 하수 또는 폐수의 부유물 처리장치
CN210255603U (zh) 一种机械加工用钢板表面除锈装置
CN104364152A (zh) 一种用于清洁大型表面的工具
CN107089485A (zh) 一种带式输送机输送带清洗装置
CN101071761A (zh) 面板清洗设备和清洗方法
JP3947893B2 (ja) 乾式電気集塵機の洗浄装置
JP2005254156A (ja) 表面付着物の研掃装置
EP1987870A2 (en) Cleaning device for filters
CN116116631A (zh) 一种管路清扫喷漆机器人
KR100797357B1 (ko)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KR20190127105A (ko)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KR20110066275A (ko)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세척장치
KR20090021668A (ko) 컨베이어 벨트의 세척장치
CN211768471U (zh) 一种带式输送机
KR102044316B1 (ko)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5676302A (zh) 一种自带清洁装置的输送机
KR102017663B1 (ko) 도금 강판 표면 보호장치
KR20100019911A (ko) 컨베이어 벨트 청소 장치
CN209968641U (zh) 一种高频谐波磁场磁选机
KR20180108250A (ko) 집진장치
KR101199336B1 (ko) 회전식 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0619393U (zh) 一种皮运机清扫装置
CN218950523U (zh) 一种皮带机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