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205B1 - 미립자 흡입기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미립자 흡입기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205B1
KR100797205B1 KR1020027011367A KR20027011367A KR100797205B1 KR 100797205 B1 KR100797205 B1 KR 100797205B1 KR 1020027011367 A KR1020027011367 A KR 1020027011367A KR 20027011367 A KR20027011367 A KR 20027011367A KR 100797205 B1 KR100797205 B1 KR 100797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blades
blade
sec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730A (ko
Inventor
이아인 그리어슨 맥더먼트
데이비드 알렉산더 보덴 모톤
존 니콜라스 스테니포쓰
Original Assignee
앤디-벤티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0302979A external-priority patent/EP1142601B1/en
Application filed by 앤디-벤티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앤디-벤티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2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6Inhalation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2Particle size control by flow deviation causing inertial separation of transported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립자 약제용 흡입기(10)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11)에 관한 것으로, 이 마우스피스(11)는 미립자로 된 약제를 위한 입구(13) 및 출구(14)와; 마우스피스를 가로질러 뻗어 있고,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어 사용시 약제가 마우스피스(11)를 통과 하면서 분쇄되도록 된 다수의 받침대(16);를 구비하되, 이 받침대(16)는 약제의 이동방향으로 가느다란 단면을 갖는 블레이드(16)이다.

Description

미립자 흡입기용 마우스피스{Mouthpiece for a particulate inhaler}
본 발명은 미립자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에 휩쓸리는 약제의 입자크기가 최소로 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 미립자 흡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흡입기용 마우스피스는 환자가 흡입하는 미립자로 된 약제를 분쇄하는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수단은 서로 엇갈린 치형상부와, 스크린, 배플판(baffle plate) 및, 필터 등의 사용을 포함한다.
특히, 유럽특허 제 023750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흡입기의 마우스피스내에 정적인 형태로 배치되어서 마우스피스 단면의 압축에 의해 전향장치(deflector device)의 영역에서 공기흐름이 가속되는 하나 이상의 전향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공기흐름은 구심력에 의해 가속되어 미립자나 혼합물의 집합이 서로 충돌하거나 전향장치의 벽에 충돌함으로써 더 작은 입자로 분쇄된다.
이러한 구조의 주요 단점은 흡입저항이 증가한다는 것으로, 이는 마우스피스를 통과하는 유동면적이 압축되기 때문에,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는 상기 약제를 올바르게 복용하기가 더욱 어렵게 됨을 의미한다.
국제특허공개 WO 97/25086호에는 공기에 휩쓸린 약제와 함께 공기흐름이 흘러 지나가도록 된 일련의 배플을 구비한 분말흡입장치가 기술되어 있는 바, 상기 흐름은 각 배플의 한 표면을 따라 다른 배플과 접촉할 때까지 통과하여 공기흐름이 배출도관에서 흐름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러한 흐름방향의 변경은 약제의 흐름율을 감소시키고 흡입저항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시 흡입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약제 입자들의 덩어리를 분쇄하는 미립자 약제용 흡입기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립자 약제를 위한 입구 및 출구와; 마우스피스를 가로질러 뻗어 있고,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어서 사용시 약제가 마우스피스를 통과하면서 약제 덩어리가 분쇄되도록 된 다수의 받침대;를 구비한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입구에서 출구까지 약제의 이동방향으로 가느다란 단면을 갖고 있으며, 사용시 그 주위로 약제가 지나갈 수 있도록 된 블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약제용 흡입기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게 된다.
약제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의 표면과 충돌하여 덩어리지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약제는 편향되어서 마우스피스의 벽이나 다른 약제 덩어리와 충돌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기가 약제덩어리를 지나가면서 이의 전단작용에 의해 덩어리지지 않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는 예리한 앞쪽선단이나 뒤쪽선단을 구비하는데, 이로써 양쪽선단에서 약제의 부착이 전혀 또는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된다. 원형단면의블레이드가 시험되었으나, 앞쪽선단과 뒤쪽선단에 상당한 약제의 부착을 야기하는 정적인 영역이 받침대 주위의 공기흐름에서 발생됨을 알게 되었다. 원형단면인 받침대의 다른 단점은 충분히 공기역학적인 모양이 아니어서 흡입저항에 어떤 개선도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가느다란 구조는 최선의 해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블레이드는 이 블레이드의 단면의 긴 축이 마우스피스를 통과하는 공기흐름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입구에서 출구까지 줄지어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같은 열에서 인접한 블레이드들의 단면의 긴 축은 블레이드가 놓여 있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1.5mm와 2.5mm 사이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8mm와 2.2mm 사이로 분리된다. 상기 블레이드들의 단면의 긴 길이는 3.8mm와 4.8mm 사이로, 바람직하게는 4.1mm와 4.5mm 사이로 될 수 있다.
인접한 열에서 블레이드들의 단면의 짧은 축은 공기흐름의 방향으로 4mm와 5mm 사이로, 바람직하게는 4.5mm로 분리된다. 상기 블레이드들의 단면의 짧은 길이는 0.6mm와 1.2mm 사이로, 바람직하게는 0.9mm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입자 전향장치는 마우스피스벽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조 블레이드로 작용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입자 전향장치를 구비하면, 미립자 약제용 마우스피스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의 방향으로 직선경로를 없게 하여 약제의 유동이 항상 분열되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갖춘 흡입기의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단면도,
도 4는 마우스피스의 반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기(10)는 사용시 공기흐름에 휩쓸린 미립자 약제(도시되지 않음)가 빨려 들어오는 통로(12)를 갖춘 마우스피스(11)를 구비한다. 상기 통로(12)는 입구(13)와 출구(14)가 있으며, 마우스피스의 입구(13)는 미립자 약제가 빨려 들어오고, 공기흐름에 휩쓸리는 공급관(15)과 유체가 연동되게 연결되어 있다. 다수의 블레이드(16)가 통로(12)를 가로질러 뻗어 있고, 이들 블레이드(16)는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어 도 2에서 화살표(17)로 표시된 공기유동이 마우스피스(11)의 입구(13)로부터 출구(14)까지 억지로 구불구불한 경로를 갖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16)는 공기흐름의 방향으로 가느다란 단면을 가지며, 예리한 앞쪽선단(18)과 뒤쪽선단(19)을 갖춘다.
도 3에서 상기 블레이드(16)의 구조를 분명하게 볼 수 있는 바, 추가적인 입자 전향장치(20)가 마우스피스(11)의 상부와 하부영역 근처에 구비된다. 이러한 전향장치(20)는 반쪽 블레이드의 형태로 되어, 동일한 바깥쪽 곡면을 갖춘다.
도 4는 마우스피스(11)의 반쪽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분명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16)와 입자 전향장치(20)는 마우스피스(11)의 다른 반쪽의 상응하는 내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블레이드(16)나 입자 전향장치(20)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의해 입자의 유동이 분열되지 않고서는 입구(13)로 들어간 미립자들이 출구(14)로 이동될 수 없게 한다.

Claims (14)

  1. 빨아들일 미립자로 된 약제를 위한 입구(13) 및 출구(14)를 구비하는 통로(12)와; 마우스피스(11)를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상기 통로에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된 2 이상의 받침대;를 구비한 마우스피스(1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입구(13)에서 출구(14)까지 가느다란 단면을 갖고, 앞쪽선단(18)과 뒤쪽선단(19)을 구비한 블레이드(16)로 되어 있으며, 사용시 그 둘레로 약제가 지나갈 수 있도록 된 블레이드(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로 된 약제를 위한 흡입기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의 앞쪽선단(18)과 뒤쪽선단(19)은 예리하게 되어 있는 마우스피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는 입구(13)에서 출구(14)까지 줄지어 배열되는 마우스피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들의 단면의 긴 축은 상기 입구마우스피스(11)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에 평행인 마우스피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같은 열에서 인접한 블레이드(16)들의 단면의 긴 축은 블레이드가 놓여있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1.5mm와 2.5mm의 사이로 분리되는 마우스피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의 긴 축은 1.8mm와 2.2mm의 사이로 분리되는 마우스피스.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들의 단면의 긴 길이는 3.8mm와 4.8mm의 사이로 되는 마우스피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들의 긴 길이는 4.1mm와 4.5mm의 사이로 되는 마우스피스.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인접한 열에서 블레이드(16)들의 단면의 짧은 축은 공기흐름의 방향으로 4mm와 5mm의 사이로 분리되는 마우스피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의 짧은 축은 4.5mm로 분리되는 마우스피스.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들의 단면의 짧은 길이는 0.6mm와 1.2mm의 사이로 되는 마우스피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들의 짧은 길이는 0.9mm로 되는 마우스피스.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11)벽의 내부면으로부터 입자 전향장치(20)가 돌출된 마우스피스.
  14. 삭제
KR1020027011367A 2000-04-07 2001-03-20 미립자 흡입기용 마우스피스 KR100797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302979A EP1142601B1 (en) 2000-04-07 2000-04-07 Mouthpiece for a particulate inhaler
EP00302979.0 2000-04-07
PCT/GB2001/001215 WO2001076670A1 (en) 2000-04-07 2001-03-20 Mouthpiece for a particulate inha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730A KR20030028730A (ko) 2003-04-10
KR100797205B1 true KR100797205B1 (ko) 2008-01-22

Family

ID=4454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367A KR100797205B1 (ko) 2000-04-07 2001-03-20 미립자 흡입기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41159B2 (ko)
KR (1) KR1007972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5086A2 (en) * 1996-01-03 1997-07-17 Glaxo Group Limited Inhal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8880A1 (de) * 1992-03-19 1993-09-23 Boehringer Ingelheim Kg Separator fuer pulverinhalatoren
SE9502800D0 (sv) * 1995-08-10 1995-08-10 Astra Ab Disposable inha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5086A2 (en) * 1996-01-03 1997-07-17 Glaxo Group Limited Inha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730A (ko) 2003-04-10
JP2003530164A (ja) 2003-10-14
JP4741159B2 (ja)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3385B2 (ja) 吸入器
CA2131544C (en) Separator for powdered inhalers
JP2006507876A (ja) 吸入用粉末の解凝集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H06501176A (ja) 乾燥粉薬吸入器
EP1142601B1 (en) Mouthpiece for a particulate inhaler
CA2304792C (en) Inhaler spacer
KR100797205B1 (ko) 미립자 흡입기용 마우스피스
US6810875B2 (en) Mouthpiece for a particulate inha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