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181B1 -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181B1
KR100796181B1 KR1020037003457A KR20037003457A KR100796181B1 KR 100796181 B1 KR100796181 B1 KR 100796181B1 KR 1020037003457 A KR1020037003457 A KR 1020037003457A KR 20037003457 A KR20037003457 A KR 20037003457A KR 100796181 B1 KR100796181 B1 KR 100796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halo
alkyl
phenyl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768A (ko
Inventor
크루멜칼레오폴드
리드루쓰세자르
올름스테드토마스에이.
로쓰게리앨런
킹이안로버트
브라테사니도날드닐
캠프벨켄트더글라스
데이비스존
Original Assignee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30036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07D215/2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07D215/2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 C07D215/233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only one oxygen atom which is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07D215/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 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0의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64461506-pct00015
할로-4-페녹시퀴놀린, 진균, 진균성 질환, 살진균제.

Description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Process to produce halo-4-phenoxyquinolines}
우선권
본 특허원은 2000년 9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원 제60/231,71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 분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인류의 역사에는, 사람에게 널리 퍼져 고통을 유발하는 진균성 질환이 자주 창궐한다. 진균성 질환의 영향을 보자면, 대략 100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1850년대의 아일랜드 감자 기근만한 예가 없다.
살진균제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화합물로,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상해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현재의 농업 방법은 살진균제 사용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작물들은 살진균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유용하게 성장할 수가 없다. 살진균제 사용은 재배자의 작물 수확량을 증가시켜, 작물의 가격을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경우, 작물 가격의 증가는 살진균제의 사용 비용보다 3배 이상의 가치가 있다.
그러나, 살진균제의 생산가를 낮추어 살진균제 사용과 관련된 비용을 낮추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제공한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의 목적은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화합물(1)을 화합물(2)과 반응시켜 화합물(3)을 생성하는 제1 단계,
화합물(3)을 반응시켜 화합물(4)을 생성하는 제2 단계,
화합물(4)을 화합물(5)과 반응시켜 화합물(6)을 생성하는 제3 단계,
화합물(6)을 화합물(7)과 반응시켜 화합물(8)을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화합물(8)을 화합물(9)과 반응시켜 화합물(10)을 생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112006064461506-pct00016

Figure 112006064461506-pct00017
본 방법의 제1 단계는,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1)을 화합물(2)과 반응시켜 화합물(3)을 생성하는 것이다.
화합물(1)[본원에서는 "아닐린 화합물"로도 지칭함]에서, R1 및 R3은 독립적으로 할로이고, R2 및 R4는 H이거나; R3은 할로이고, R1은 할로 또는 H이고, R2 및 R4는 H이거나; R4는 할로이고, R1 내지 R3은 H이다. 일반적으로는, 화합물(1)로서 3,5-디클로로아닐린(본원에서는 "DCA"로도 지칭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2)(본원에서는 "알콕시메틸렌 말로네이트 디알킬 에스테르 화합물"로도 지칭함]에서, R5는 (C1-C4)알킬이고,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다. 일반적으로는, 화합물(2)로서 디에틸 에톡시메틸렌말로네이트(본원에서는 "EMME"로도 지칭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3)은 본원에서 "아닐린-알콕시메틸렌 말로네이트 디알킬 에스테르 생성 화합물"로도 지칭된다. R 그룹은 화합물(1) 및 화합물(2)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당해 반응은, 화합물(1)과 화합물(2)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약 50 내지 약 210℃,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210℃의 온도와 약 5 내지 약 50psia의 압력에서, 반응이 완결되기에 충분한 시간, 일반적으로는 약 0.5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일반적으로는, 화합물(2)를 화합물(1)에 대해 약간 몰 과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방법의 상기 단계는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으나, 용매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단계의 반응 조건하에 화합물(1) 또는 화합물(2)과 반응하지 않는 어떠한 용매도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의 비점은 반응 조건 적용시 반응 온도 이상이다. 예를 들어, 설폴란, 테트라글림, 폴리에테르, 장쇄 (C10-40)알킬방향족, C1-6 알킬화 나프탈렌, 나프탈렌, 디젤유 또는 중유 등의 용매가 적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하이드로카빌 방향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C1-C30) 알킬 치환된 하이드로카빌 방향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도데실벤젠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실질적인 측면에서는 (C1-C30)알킬 치환된 아릴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저렴하다.
본 방법의 제2 단계는,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3)을 반응시켜 화합물(4)을 생성하는 것이다.
화합물(4)[본원에서는 "알콕시카보닐 퀴놀린 화합물"로도 지칭함)에서, R8은 (C1-C4)알킬이다.
당해 반응은, 화합물(3)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약 200 내지 약 270℃, 바람직하게는 약 220 내지 약 250℃의 온도와 약 5 내지 약 50psia의 압력에서, 반응이 완결되기에 충분한 시간, 일반적으로는 약 2 내지 20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방법의 상기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제1 단계에서 논의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임의로, 본 단계는 당해 방법의 제3 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화합물(4)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회수 단계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공보 제5,973,153호(본원에 참조로 인용됨)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화합물(4)을 분리시키는 임의의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화합물(4)를 분리할 경우, R8을 수소(-H)로 교환시켜 화합물(4)을 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방법의 제3 단계는,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4)을 화합물(5)과 반응시켜 화합물(6)을 생성하는 것이다.
화합물(5)[본원에서는 "하이드록시 화합물"로도 지칭함]은, 하이드록시 그룹(-OH)을 함유하고 화합물(4) 중의 -C(=O)-O-R8 그룹과 상호작용하여 화합물(6)[본원에서는 "하이드록시 퀴놀린 화합물"로도 지칭함]을 생성하는 임의의 화합물이다. 일반적으로, 화합물(5)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화합물은 H2O이다.
당해 반응은, 화합물(4)과 화합물(5)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약 180 내지 약 270℃,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230℃의 온도와 약 5 내지 약 50psia의 압력에서, 반응이 완결되기에 충분한 시간, 일반적으로는 약 2 내지 20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방법의 상기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제1 단계에서 논의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극성 하이드로카빌헤테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C1-C10) 극성 하이드로카빌헤테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설폴란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매:화합물(4)의 중량비가 5:1 내지 20:1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화합물(6)을 분리하여, 이를 용매 중에서 화합물(7)과 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화합물(6)을 건조시켜, 이를 용매 중에서 화합물(7)과 반응시킬 수 있다.
본 방법의 제4 단계는,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6)을 화합물(7)과 반응시켜 화합물(8)을 생성하는 것이다.
화합물(7)[본원에서는 "할로 화합물"로도 지칭함]은, 할로 그룹(-F, Cl, Br 또는 I)을 함유하고 화합물(6) 중의 -OH 그룹과 상호작용하여 화합물(8)[본원에서는 "할로 퀴놀린 화합물"로도 지칭함)을 생성하는 임의의 화합물이다. 일반적으로, 화합물(7)로서 SOCl2(아카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반응은, 화합물(6)과 화합물(7)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약 5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90℃의 온도와 약 5 내지 약 50psia의 압력에서, 반응이 완결되기에 충분한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위의 제1 단계에서 논의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극성 하이드로카빌헤테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촉매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N-디에틸포름아미드가 바람직한 촉매이다.
일반적으로는, 본 방법의 제5 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임의의 화합물(7) 또는 원치 않는 다른 부산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단계는,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8)을 화합물(9)과 반응시켜 화합물(10)을 생성하는 것이다.
화합물(9)[본원에서는 "아릴옥시 화합물"로도 지칭함]에서, R9 내지 R13은 독립적으로 H, CN, NO2, OH, 할로, (C1-C4)알킬, (C2-C4)알카노일, 할로(C1-C7)알킬, 하이드록시(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C1-C7)알콕시, (C1-C7)알킬티오, 할로(C1-C7)알킬티오, 페닐, 치환된 페닐, 페녹시, 치환된 페녹시, 페닐티오, 치환된 페닐티오, 페닐(C1-C4)알킬, 치환된 페닐(C1-C4)알킬, 벤조일, SiR20R21R22 또는 OSiR20R21R22[여기서, R20, R21 및 R22는 H, (C1-C6)알킬 그룹,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이며, 단 R20, R21 및 R22 중의 하나 이상은 H가 아니다]이거나, R11과 R12 또는 R12와 R13은 서로 결합하여 카보사이클릭 환을 형성하며, 단 R9 내지 R13이 모두 H 또는 F가 아닌 경우, R9 내지 R13 중의 2개 이상은 H이다. 상기 정의에서, 용어 "치환된 페닐"은 할로, (C1-C10)알킬, 할로(C1-C7)알킬, 하이드록시(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C1-C7)알콕시, 페녹시, 페닐, NO2, OH, CN, (C1-C4)알카노일옥시 및 벤질옥시로부터 선택된 3개 이하의 그룹으로 치환된 페닐을 의미한다. 용어 "알킬"은 선형, 측쇄 또는 환형 알킬을 의미한다. 용어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를 의미한다. 용어 "치환된 페녹시"는 할로, (C1-C10)알킬, 할로(C1-C7)알킬, 하이드록시(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C1-C7)알콕시, 페녹시, 페닐, NO2, OH, CN, (C1-C4)알카노일옥시 및 벤질옥시로부터 선택된 3개 이하의 그룹으로 치환된 페녹시 그룹을 의미한다. 용어 "치환된 페닐티오"는 할로, (C1-C10)알킬, 할로(C1-C7)알킬, 하이드록시(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C1-C7)알콕시, 페녹시, 페닐, NO2, OH, CN, (C1-C4)알카노일옥시 및 벤질옥시로부터 선택된 3개 이하의 그룹으로 치환된 페닐티오 그룹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화합물(9)로서 파라플루오로페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반응은, 화합물(8)과 화합물(9)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약 4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55 내지 65℃의 온도와 약 0.5 내지 약 50psia의 압력에서, 반응이 완결되기에 충분한 시간, 일반적으로는 약 0.5 내지 20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방법의 상기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제1 단계에서 상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극성 하이드로카빌헤테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반응 동안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커플링 반응을 촉진시키는 임의의 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OH 그룹을 포함한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수산화칼륨이 바람직하다.
임의로, 제5 단계는 화합물(10)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수 단계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공보 제5,973,153호에 거론된 바와 같이, 화합물(10)을 분리시키는 임의의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제1 단계 및 제2 단계의 용매로서 도데실벤젠을 사용하고 제3 단계 내지 제5 단계의 용매로서 설폴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화합물(4)을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함은 아니다.
실시예 1: 플루오로-4-페녹시-5,7-디클로로퀴놀린의 제조
화합물 3,5-디클로로아닐린(DCA, 162.7g, 1.0mol)과 디에틸 에톡시메틸렌말로네이트(EMME, 221.1g, 1.02mol)를 재순환된 도데실벤젠 1.135㎏ 및 신선한 도데실벤젠 83.3g과 혼합하였다. 기계식 교반기와 딘 스타크(Dean Stark) 증류 장치가 장착된 스테인레스 강 3L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 속에서 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액체 수위 아래에서 200cc/분의 유량으로 질소를 퍼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분에 걸쳐 180℃로 가열한 다음, 30분 동안 200℃로 가열하여, 딘 스타크 장치 속에서 약 1당량의 에탄올 오버헤드를 회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질소 퍼징하에 밤새 방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액체 수위 아래에서 180cc/분의 유량으로 질소 퍼징하고 약 450RPM에서 교반하면서 240℃로 약 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동안, 대략 1당량의 에탄올을 회수하였다. 혼합물을 130℃로 냉각시키고, 와트만(Whatman) 1번 종이가 있는 부흐너(Buchner) 깔때기를 사용하여 고온 여과시켰다. 케이크를 신선한 도데실벤젠 150㎖로 세척하고, 전체 여액(1066.3g)을 제거하여 재순환시켰다. 이어서, 케이크를 재순환된 에탄올 377g(500㎖)으로 2회 세척한 다음, 증류된 에탄올 377g으로 1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케이크를 고온수(50℃) 500㎖로 세척하였다. 이렇게 하여, 화합물(4)의 습윤 케이크를 439.7g 수득하였다.
이어서, 습윤 케이크 431.4g(샘플 제거 후)을 5L들이 유리 반응기 중에서 재순환된 설폴란 1.8㎏(약 1.43L)에 가하였다. 잔류수(습윤 케이크로부터)를 90 내지 215℃에서 대기압하에 용액으로부터 증류시켜, 물 약 130.9g(통기 가스와 함께 약간의 물 손실)을 회수하였다. 혼합물이 과열되지 않도록 조심하고, 질소를 반응기를 통해 약 200cc/분에서 퍼징시켰다. 200℃의 온도에 도달한 후, 질소 퍼징을 제거하고, 혼합물을 220℃로 서서히 가열하였다. 이어서, 물을 5시간에 걸쳐 6g/시간의 유량으로 가하여, 딘 스타크 트랩에 에탄올/물 56g을 회수하며, 온도를 219℃로 유지하였다. 220℃에서 2시간 추가로 계속 가열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밤새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20℃로 가열한 다음, 잔류수를 감압(25mmHg)하에 1시간 동안 제거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75℃ 온도에서 2시간 동안 디메틸포름아미드 3.71g(0.05mol) 및 티오닐 클로라이드 155.7g(1.31mol)으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과량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감압(25mmHg)하에 90℃에서 2시간 동안 제거하여, 초기 트랩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 및 이산화황 25.7g을 회수하였다. 이어서, 내용물을 3일 주말에 걸쳐 실온에서 질소 패드하에 유지시켰다(트리클로로퀴놀린 화합물 혼합물).
5L들이 스테인레스 강 반응기를 p-플루오로페놀 102.1g(0.91mol)과 45% 수산화칼륨 300.7g(2.41mol)으로 충전시키고, 실온에서 혼합하였다. 당해 트리클로로퀴놀린 용액(유리 반응기중)을 혼합하고, 50℃로 가열하여 슬러리의 이동성을 증가시키고 형성된 다른 고체를 분산시켰다. 이어서, 트리클로로퀴놀린 혼합물을 5L들이 스레인레스강 반응기 중의 용액에 가하고, 21℃에서 51℃로 발열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주시하였다. 신선한 설폴란 81.3g으로 반응기를 슬러리화하고, 혼합물을 사용하여, 슬러리 부가에 사용되는 깔때기에 부착된 고체를 세척하였다. 이어서, 600RPM의 교반 속도에서 4시간 동안 반응 혼합물을 66℃로 가열하였다. 66℃에서 가열한 지 4시간 후, 물 부가 펌프를 작동시키고, 가속 4-tier 속도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에 물을 가하였다. 40분 동안 물을 5㎖/분의 유량으로 가하였다. 이어서, 후속 20분 동안 유량을 10㎖/분으로 증가시켰다. 반응기에 부가된 물이 1200㎖로 될 때까지, 다음 10분 동안은 유량을 2배로 하여 20㎖/분으로 하고, 최종적으로는 40㎖/분(15분)으로 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50℃로 냉각시킨 다음, 4L들이 비이커내의 반응물을 비웠다. 반응기의 배출 밸브를 신선한 물 227㎖로 플러슁하고, 이를 급냉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온수(50℃) 500㎖로 세척하여, 설폴란 회수를 위해 여액 3665.3g을 회수하였다. 이어서, 습윤 케이크를 고온수 500㎖로 2회 세척하여 화합물(10)을 포함하는 습윤 케이크를 342.8g 회수하였다.
실시예 2: 플루오로-4-페녹시-5,7-디클로로퀴놀린의 제조
본 실시예는 당해 방법의 제3 단계 내지 제5 단계를 예시한다. 습윤(물 약 3중량%) 설폴란 7018㎏을 반응기 속에 넣은 다음, 3,5-디클로로-3-카복시-4-하이드록시퀴놀린 906㎏을 가중시켜 습윤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슬러리를 대기압하에서 220℃로 가열하여 물을 대부분 제거하고, 당해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유지하여 3,5-디클로로-4-하이드록시퀴놀린을 생성하였다. 당해 혼합물을 105℃로 냉각시키고, 완전 진공을 3시간 동안 적용시켜 물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수송관을 세척하기 위해 설폴란 750㎏을 추가로 사용하여, 혼합물을 다른 반응기로 옮기고 70℃로 추가로 냉각시킨 다음, 티오닐 클로라이드 522㎏과 N,N-디메틸포름아미드 13.4㎏을 가하고, 3,5-디클로로-4-하이드록시퀴놀린을 7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4,5,7-트리클로로퀴놀린을 생성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완전 진공하에 3시간 동안 95℃로 가열하여 SO2와 SOCl2를 제거한 다음, 60℃로 냉각시킨 후에 옮겼다. 다음 반응기에 45% KOH 수용액 1077㎏과 파라플루오로페놀 373㎏을 미리 넣어, 4,5,7-트리클로로퀴놀린 혼합물을 공급받고 라인 세척용으로 추가의 설폴란 600㎏을 공급받는다. 이어서, 물을 제거하지 않으면서 혼합물을 6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켜, 플루오로-4-페녹시-5,7-디클로로퀴놀린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물 5760㎏을 4시간에 걸쳐 가한 다음, 40℃로 냉각시켜 결정 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2개의 원심분리기에 넣어 생성물을 회수하였다. 고체를 물로 세척하였다.
삭제
삭제

Claims (5)

  1. 화합물(1)을 화합물(2)과 반응시켜 화합물(3)을 생성하는 제1 단계,
    화합물(3)을 반응시켜 화합물(4)을 생성하는 제2 단계,
    화합물(4)을 화합물(5)과 반응시켜 화합물(6)을 생성하는 제3 단계,
    화합물(6)을 화합물(7)과 반응시켜 화합물(8)을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화합물(8)을 화합물(9)과 반응시켜 화합물(10)을 생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07069318019-pct00018
    위의 반응식 1에서,
    R1 및 R3은 독립적으로 할로이고, R2 및 R4는 H이거나,
    R1은 할로 또는 H이고, R3은 할로이고, R2 및 R4는 H이거나,
    R1 내지 R3은 H이고, R4는 할로이고,
    R5는 (C1-C4)알킬이고,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고,
    R8은 (C1-C4)알킬이고,
    A-OH는 하이드록시 그룹(-OH)을 함유하고 화합물(4) 중의 -C(=O)-O-R8 그룹과 상호작용하여 화합물(6)을 생성하는 임의의 화합물이고,
    E-X는 할로 그룹(-F, Cl, Br 또는 I)을 함유하고 화합물(6) 중의 -OH 그룹과 상호작용하여 화합물(8)을 생성하는 임의의 화합물이고,
    R9 내지 R13은 독립적으로 H, CN, NO2, OH, 할로, (C1-C4)알킬, (C2-C4)알카노일, 할로(C1-C7)알킬, 하이드록시(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C1-C7)알콕시, (C1-C7)알킬티오, 할로(C1-C7)알킬티오, 페닐, 치환된 페닐, 페녹시, 치환된 페녹시, 페닐티오, 치환된 페닐티오, 페닐(C1-C4)알킬, 치환된 페닐(C1-C4)알킬, 벤조일, SiR20R21R22 또는 OSiR20R21R22[여기서, R20, R21 및 R22는 H, (C1-C6)알킬 그룹,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이며, 단 R20, R21 및 R22 중의 하나 이상은 H가 아니다]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할로, (C1-C10)알킬, 할로(C1-C7)알킬, 하이드록시(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C1-C7)알콕시, 페녹시, 페닐, NO2, OH, CN, (C1-C4)알카노일옥시 및 벤질옥시로부터 선택된 3개 이하의 그룹으로 치환된 페닐을 의미하고,
    치환된 페녹시는 할로, (C1-C10)알킬, 할로(C1-C7)알킬, 하이드록시(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C1-C7)알콕시, 페녹시, 페닐, NO2, OH, CN, (C1-C4)알카노일옥시 및 벤질옥시로부터 선택된 3개 이하의 그룹으로 치환된 페녹시 그룹을 의미하고,
    치환된 페닐티오는 할로, (C1-C10)알킬, 할로(C1-C7)알킬, 하이드록시(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C1-C7)알콕시, 페녹시, 페닐, NO2, OH, CN, (C1-C4)알카노일옥시 및 벤질옥시로부터 선택된 3개 이하의 그룹으로 치환된 페닐티오 그룹을 의미하거나,
    R11과 R12 또는 R12와 R13은 서로 결합하여 카보사이클릭 환을 형성하며,
    단 R9 내지 R13이 모두 H 또는 F가 아닌 경우, R9 내지 R13 중의 2개 이상은 H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37003457A 2000-09-08 2001-09-07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 KR100796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171900P 2000-09-08 2000-09-08
US60/231,719 2000-09-08
PCT/US2001/027689 WO2002020490A2 (en) 2000-09-08 2001-09-07 Process to produce halo-4-phenoxyquinol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768A KR20030036768A (ko) 2003-05-09
KR100796181B1 true KR100796181B1 (ko) 2008-01-21

Family

ID=2287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457A KR100796181B1 (ko) 2000-09-08 2001-09-07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1315702B1 (ko)
JP (1) JP5761886B2 (ko)
KR (1) KR100796181B1 (ko)
CN (1) CN1268613C (ko)
AT (1) ATE282026T1 (ko)
AU (2) AU2001287117B2 (ko)
BR (1) BRPI0113727B8 (ko)
DE (1) DE60107098T2 (ko)
DK (1) DK1315702T3 (ko)
HU (1) HU230651B1 (ko)
IL (2) IL154764A0 (ko)
WO (1) WO2002020490A2 (ko)
ZA (1) ZA2003020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9927B (zh) * 2018-07-09 2020-07-03 陕西恒润化学工业有限公司 一种苯氧喹啉及其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036A (en) * 1992-05-07 1993-09-14 Dowelanco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phenoxyquinoline compounds
CH685560A5 (de) * 1993-12-07 1995-08-15 Lonz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Hydroxychinolinen.
US5731440A (en) * 1994-03-01 1998-03-24 Ishihara Sangyo Kaisha Ltd. Intermediates for producing 5,7-dichloro-4-hydroxyquinoline
DE69813511T2 (de) * 1997-01-31 2003-11-13 Dow Agrosciences Llc Verbessert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lo-4-phenoxychinolinen
GB9709907D0 (en) * 1997-05-15 1997-07-09 Ciba Geigy Ag Novel combina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제공개 제98-33774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87117B2 (en) 2007-09-06
DE60107098D1 (de) 2004-12-16
KR20030036768A (ko) 2003-05-09
CN1541204A (zh) 2004-10-27
HUP0302110A2 (hu) 2003-09-29
ZA200302088B (en) 2004-03-15
BRPI0113727B8 (pt) 2022-06-28
BRPI0113727B1 (ko) 2012-11-13
JP2004508358A (ja) 2004-03-18
WO2002020490A3 (en) 2002-06-13
DK1315702T3 (da) 2005-03-14
CN1268613C (zh) 2006-08-09
HU230651B1 (hu) 2017-05-29
ATE282026T1 (de) 2004-11-15
AU8711701A (en) 2002-03-22
EP1315702A2 (en) 2003-06-04
JP5761886B2 (ja) 2015-08-12
DE60107098T2 (de) 2005-03-24
EP1315702B1 (en) 2004-11-10
IL154764A0 (en) 2003-10-31
WO2002020490A2 (en) 2002-03-14
BR0113727A (pt) 2003-07-22
IL154764A (en) 200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29924A (zh) 經精製之胺化合物的製造方法
KR100796181B1 (ko)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제조방법
JPS6121637B2 (ko)
SU516341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замещенных бензофенонов
KR100692106B1 (ko) 할로-4-페녹시퀴놀린의 개선된 제조방법
JP4592158B2 (ja) カルボン酸アリー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S6253509B2 (ko)
US20040044217A1 (en) Process to produce halo-4-phenoxyquinolines
AU2001287117A1 (en) Process to produce halo-4-phenoxyquinolines
EP0402561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nilinofumarate via chloromaleate or chlorofumarate or mixtures thereof
KR970006470B1 (ko) 아닐리노 푸마레이트의 개선된 제조 방법
US4001284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5-sulfamoyl-anthranilic acids
EP0144477A1 (en) Method for producing bisphenol derivatives
EP0262305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nilinofumarate and quinoline-2,3-dicarboxylic acid
JPH0517214B2 (ko)
RU270212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ого бензилового эфира 2-аминоникотиновой кислоты
US4681941A (en) Method of preparing esters of aryloxyphenoxy propanoic acid
US5001254A (en) Novel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2,3-dicarboxylic
JPH0475229B2 (ko)
US5113001A (en) Process for preparing sulfophenylalkylsiloxanes or sulfonaphthylalkylsiloxanes
US4847405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nilinofumarate [quinoline-2,3- dicarboxylic]
JP4368494B2 (ja) カルボン酸3級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2097915A (en) Ice color intermediates
JPH0321538B2 (ko)
US5091577A (en) Method of preparing fungicidal intermedi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