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818B1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818B1
KR100795818B1 KR1020070018498A KR20070018498A KR100795818B1 KR 100795818 B1 KR100795818 B1 KR 100795818B1 KR 1020070018498 A KR1020070018498 A KR 1020070018498A KR 20070018498 A KR20070018498 A KR 20070018498A KR 100795818 B1 KR100795818 B1 KR 10079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ealing member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형
김광남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와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한정하도록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화소정의막과,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스페이서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밀봉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밀봉부재를 밀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주위를 둘러싸는 프릿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 >
110: 기판 120: 디스플레이 영역
121: 발광층 122: 화소정의막
123: 스페이서 130: 패시베이션막
140: 프릿층 150: 밀봉부재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분이 나 산소의 침투와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들 전극에 양극 및 음극 전압이 각각 인가됨에 따라 화소전극으로부터 주입되어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한 정공(hole)과, 대향전극으로부터 주입되어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전자가,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소멸하면서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이 여기자가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천이하면서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에 에너지를 전달하고 이것이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유기 발광 표시소자는 자발광형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표시소자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소자는 수분에 취약하여 외부로부터 산소 또는 수분이 소자의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산소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메탈 캡 또는 봉지기판(50)을 밀봉재(30)로 봉지시키고 밀봉 공간내에 실리콘오일 또는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40)를 채워서 산소 또는 수분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종래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기 발광 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21)을 한정하는 화소정의막(22) 상에 스페이서(23)를 배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스페이서(23)와 봉지기판(50) 사이의 공간이 비어있기 때문에(물론 질소와 같은 기체는 존재하지만)외부의 충격을 분산시키기 어려워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여 박막트랜지스터 소자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한정하도록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화소정의막과,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스페이서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밀봉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밀봉부재를 밀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주위를 둘러싸는 프릿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봉부재의 발광층을 향한 면은 상기 기판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화소정의막과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 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페이서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화소정의막과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한정하도록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화소정의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화소정의막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밀봉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밀봉부재를 밀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주위를 둘러싸는 프릿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기판(110)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120)과, 패시베이션막(130)과 프릿층(140)이 구비되고, 그 위에 밀봉부재(150)가 구비된다.
기판(110)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글라스재 기판일 수도 있고 그 외에도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질의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배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라면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야 하나, 전면 발광형의 경우에는 이러한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판(110) 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영역(120)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121)과, 화소영역(121)을 한정하는 화소정의막(122)과, 그 위에 스페이서(123)가 구비되어 있다.
화소영역(121)은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들을 갖는데, 각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각 유기 발광 소자는 그 발광 여부를 각 유기 발광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지 여부에 따라 능동 구동형(AM: active matrix) 유기 발광 소자와 수동 구동형(PM: passive matrix) 유기 발광 소자로 나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소자와 수동 구동형 유기 발광 소자 중 어느 것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상호 대향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이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을 구비한다.
제1전극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제2전극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한다. 물론, 이 제1전극과 제2전극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제1전극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명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구비될 수 있고,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투명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도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때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 중간층을 향하도록 증착하여 형성된 막과, 그 위의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보조 전극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위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유기막층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 N-디(나프탈렌-1-일)-N, N'-디페닐-벤지딘 (N, N'-Di(naphthalene-1-yl)-N, 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물은 마스크들을 이용하여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유기물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화소영역(121) 주위에는 화소영역(121)을 한정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절연물로 구성된 화소정의막(pixel define layer, PDL)(122)이 구비된다.
화소정의막(122)은 제1전극이 노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하고, 소정의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화소전극의 단부와 대향 전극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 전극의 단부에서 아크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소정의막(122)은 통상적으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유기절연물로 스핀코팅 등의 방법으로 적층하여 드라이 에칭 등을 통해 제1전극을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22)상에는 스페이서(123)가 소정의 두께로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123)는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소 정의막(122)과 동일한 재료 및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가능하다. 즉, 현재의 공 정 수준에서 화소정의막(122)을 두껍게 형성하여 화소정의막(122) 만으로 스페어서(123)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하여 화소정의막(122)을 형성하는 동일한 재료와 방법으로 스페이서(123)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소정의막(122)과 스페이서(123)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본 실시예와 달리 화소정의막(122)과 스페이서(123)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영역(120)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120)을 덮는 패시베이션막(130)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막(130)은 디스플레이 영역(120)을 덮으며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할 프릿층(140)과 함께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발광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시베이션막(130)은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한다. 이러한 무기 절연물질로는 알루미늄 옥사이드(AlO), 징크옥사이드(ZnO), 티타늄 옥사이드(TiO2), 탄탈륨 옥사이드(Ta2O6), 지르코늄 옥사이드(ZrO2), 하프늄 옥사이드(HfO2), 실리콘 옥사이드(SiO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알루미늄 옥시나이트라이드(AlO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20) 주위에는 밀봉 특성이 우수한 프릿층(140)이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프릿층(140)은 통상적으로 글라스 프릿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데, 프릿층(140)은 기판(110) 또는 후술할 밀봉부재(150)에 디스펜스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방법으로 도포한 후, 얼라인 및 용융하는 공정을 거친다.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글라스 프릿층(140)을 용융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미치는 열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글라스 프릿층(140)을 용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20)과 프릿(140)층 상에는 밀봉부재(15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150)의 발광층을 향하는 면은 기판(11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밀봉부재(150)의 발광층을 향하는 면이 에칭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술한 레이저 어닐링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층(140)은, 전술한 패시베이션막(130)과 함께, 종래 사용하던 UV경화용 실링제와 달리 우수한 밀봉 특성으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로부터 유기 발광소자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흡습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150)는 종래와 같이 흡습제가 배치되어야 할 공간을 따로 둘 필요가 없으므로, 밀봉부재(150)의 발광층을 향하는 면을 에칭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를 슬림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부재(150)의 발광층을 향한 면은 화소정의막(122) 상에 형성된 스페이서(123)상의 패시베이션막(130)과 접촉한다. 즉, 패시 베이션막(130)을 사이에 끼고 스페이서(123)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패시베이션막(130)을 통하여 스페이서(123)와 접촉된 영역을 따라 분산되기 때문에 발광층과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프릿층(140)의 두께는 슬림화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가능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글라스 프릿의 입도 및 균일도를 고려여 약 5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시베이션막(130)은 상술한 대로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화소정의막(122)과 스페이서(123)는, 전체 프릿층(140)의 두께(본 실시예의 경우 5 마이크로미터(㎛)에서 상기 패시베이션막(130)의 두께를 제외한 두께의 절반의 두께로 대략 2.5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술한 수치는 본 실시예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 전체를 한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경우 패시베이션막(130)을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를 갖는 무기절연막으로 한정하였으나, 만약 이 두께를 다르게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더 두껍게 하는 경우에는 프릿층(140)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더라고 화소정의막(122) 및/또는 스페이서(123)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래의 UV경화용 실링제와 흡습제 대신에 프릿층(140)과 패시베이션막(130)을 채용함으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밀봉 특성을 향상시키고, 밀봉부재(150)의 발광층을 향하는 면을 에칭없이 기판(110)에 평행하게 제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장치의 두께를 슬림화 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150)의 발광층을 향한 면이 프릿층(140)과 스페이서(123)와 접촉함으로써 소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기판(210)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패시베이션막(230)과 프릿층(240)이 구비되고, 그 위에 돌출부(251)를 포함한 밀봉부재(250)가 구비된다. 이하,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기판(210) 상에 구비된 디플레이 영역(220)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221)과, 화소영역(221)을 한정하는 화소정의막(222)과, 그 위에 스페이서(223)가 구비되어 있다.
화소영역(221)은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들을 갖는데, 각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상호 대향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이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화소영역(221) 주위에는 화소영역(221)을 한정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절연물로 구성된 화소정의막(222)이 구비된다. 이 화소정의막(222)을 구성하는 재료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화소정의막(222)상에는 스페이서(223)가 소정의 두께로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223)는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소 정의막(222)과 동일한 재료 및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가능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화소정의막(222)과 스페이서(223)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정의막(222)과 스페이서(223)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영역(220)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덮는 패시베이션막(230)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막(230)은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덮으며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후술할 프릿층(240)과 함께 발광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시베이션막(230)은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20) 주위에는 밀봉 특성이 우수한 프릿층(240)이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프릿층(24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글라스 프릿을 스크린 인쇄법으로 도포, 얼라인 후, 레이저 어닐링의 과정으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프릿(240)층 상에는 밀봉부재(250)가 구비되는 데, 본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25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돌출부(251)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밀봉부재(150)의 발광층을 향하는 면은 돌출부 없이 기판(11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250)의 경우 프릿층(240)에 대응하는 부분만 에칭되고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대응하는 영역은 돌출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레이저 어닐링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층(140)은, 전술한 패시베이션막(130)과 함께, 종래의 UV경화용 실링제와 달리 우수한 밀봉 특성으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로부터 유기 발광소자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흡습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250)는 종래와 같이 흡습제가 배치되어야 할 공간을 따로 둘 필요가 없으므로, 밀봉부재(250)의 발광층을 향하는 면을 에칭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공정 중 밀봉부재(250)의 흡습재 배치를 위한 밀봉 공간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밀봉부재(250)의 프릿층(240)에 대응하는 영역을 패터닝하는 공정으로 대체함으로써 추가적인 공정 없이 최종적으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두께를 슬림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부재(250)의 돌출부(251)는 화소정의막(222) 상에 형성된 스페이서(223)상의 패시베이션막(230)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은 밀봉부재(250)의 돌출부(251)가 패시베이션막(230)을 사이에 끼고 접촉된 스페이서(223)를 따라 분산되기 때문에 발광층과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프릿층(240)의 두께는 글라스 프릿의 입도 및 균일도를 고려하여 최소 5 마이크로미터(㎛)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림화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최대 10 마이크로미터(㎛)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시베이션막(230)은 상술한 대로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화소정의막(222)과 스페이서(223)는, 전체 프릿층(240)의 두께에서 상기 패시베이션막(230)의 두께를 제외한 두께의 절반의 두께로 각각 형성하되, 유기막의 노광 조건 등을 고려하여 약 1.5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술한 수치는 본 실시예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 전체를 한정할 수는 없으며, 상기 수치들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수치들의 조합으로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종래의 UV경화용 실링제와 흡습제 대신에 프릿층(240)과 패시베이션막(230)을 채용함으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밀봉 특성을 향상시키고, 밀봉부재(250)의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대응되는 면이 돌출되고 프릿층(240)에 대응되는 면이 에칭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장치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250)의 돌출부(251)가 스페이서(223)와 접촉함으로써 소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기판(310)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320)과, 패시베이션막(330)과 프릿층(340)이 구비되고, 그 위에 돌출부(351)를 포함한 밀봉부재(35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 플레이 영역(320)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321)과, 화소영역(321)을 한정하는 화소정의막(322)이 구비되지만,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스페이서가 구비되지 않는다.
즉, 화소영역(321) 주위에는 화소영역(321)을 한정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절연물로 구성된 화소정의막(322)만이 구비된다. 이 화소정의막(322)을 구성하는 재료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화소정의막(322)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320)을 덮는 패시베이션막(330)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막(330)은 디스플레이 영역(320)을 덮으며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후술할 프릿층(340)과 함께 발광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시베이션막(330)은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한다.
또한, 밀봉 특성이 우수한 프릿층(340)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글라스 프릿을 스크린 인쇄법으로 도포, 얼라인 후, 레이저 어닐링의 과정으로 디스플레이 영역(320)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프릿(340)층 상에는 밀봉부재(350)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350)는 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영역(320)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돌출부(351)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릿층(340)과 패시베이션막(330)을 채용함으로써 흡습제 없이 외부의 수분과 산소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350)도 발광층을 향하는 면을 에칭하는 대신에 프릿층(340)에 대응하는 영역만 에칭함으로써, 기존의 밀봉부재 패터닝 공정을 변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장치(300)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다.
한편, 밀봉부재(350)의 발광층을 향한 면 가운데 디스플레이 영역(320)에 대응되는 면은 화소정의막(322)상의 패시베이션막(330)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은 패시베이션막(330)을 통해 화소정의막(322)과 접촉된 영역을 따라 분산되기 때문에 발광층과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프릿층(340)의 두께는 글라스 프릿의 입도 및 균일도를 고려하여 최소 5 마이크로미터(㎛)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림화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최대 10 마이크로미터(㎛)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시베이션막(330)은 상술한 대로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화소정의막(322)은, 전체 프릿층(340)의 두께에서 상기 패시베이션막(330)의 두께를 제외한 두께로 형성하되, 유기막의 노광 조건 등을 고려하여 약 1.5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술한 수치는 본 실시예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 전체를 한정할 수는 없으며, 상기 수치들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수치들의 조합으로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종래의 UV경화용 실링제와 흡습제 대신에 프릿층(340)과 패시베이션막(330)을 채용함으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밀봉 특성을 향상시키고, 밀봉부재(350)의 디스플레이 영역(320)에 대응되는 면이 돌출되고 프릿층(340)에 대응되는 면이 에칭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장치(300)의 두께를 슬림화 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350)의 돌출부(351)가 화소정의막(322)과 접촉함으로써 소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프릿층과 패시베이션막을 채용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한다.
둘째, 밀봉부재를 에칭하지 않거나, 프릿층에 대응되는 영역을 에칭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세째, 밀봉부재의 일 측이 화소정의막 또는 스페이서에 접촉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광층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7)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한정하도록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화소정의막과,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패시베이션막;
    상기 스페이서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밀봉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밀봉부재를 밀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주위를 둘러싸는 프릿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발광층을 향한 면은 상기 기판과 평행하게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과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페이서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과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6.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한정하도록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화소정의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패시베이션막;
    상기 화소정의막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밀봉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밀봉부재를 밀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주위를 둘러싸는 프릿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070018498A 2007-02-23 2007-02-2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98A KR100795818B1 (ko) 2007-02-23 2007-02-2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98A KR100795818B1 (ko) 2007-02-23 2007-02-2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818B1 true KR100795818B1 (ko) 2008-01-21

Family

ID=3921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98A KR100795818B1 (ko) 2007-02-23 2007-02-2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52B1 (ko) * 2008-12-11 2010-07-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247A (ko) * 2004-11-30 2006-06-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전계발광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075740A (ko) * 2004-12-29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6236963A (ja) 2005-02-25 2006-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52988A (ja) 2005-03-11 2006-09-21 Seiko Epson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247A (ko) * 2004-11-30 2006-06-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전계발광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075740A (ko) * 2004-12-29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6236963A (ja) 2005-02-25 2006-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52988A (ja) 2005-03-11 2006-09-21 Seiko Epson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52B1 (ko) * 2008-12-11 2010-07-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525406B2 (en) 2008-12-11 2013-09-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238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KR1010942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5590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94669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518727B2 (en) Method of forming encapsulation substrate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WI582980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2082780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57610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133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72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4036125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37390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936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0238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8147161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20140127629A (ko) 기능성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6008099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40980A (ja) 機能性有機物素子及び機能性有機物装置
US824727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13164A (ko)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77746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036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9728594B2 (en) Display device
KR10083807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8888547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