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119B1 -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119B1
KR100790119B1 KR1020060108348A KR20060108348A KR100790119B1 KR 100790119 B1 KR100790119 B1 KR 100790119B1 KR 1020060108348 A KR1020060108348 A KR 1020060108348A KR 20060108348 A KR20060108348 A KR 20060108348A KR 100790119 B1 KR100790119 B1 KR 10079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mode
displaying
nu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1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1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A method for inputting numerals in a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input numerals without sliding the slide part of a portable terminal up for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pushing the slide part up whenever to make a call. If a specific key is inputted when the slide part of a portable terminal is down(300), a control part releases button locking(310) and activates function key execution mode(320). Then the control part judges whether the specific key has been inputted during more than an appointed time(330). If so, the control part transfers to number key input mode(340). Then, if the input of a key on the first key input part is detected, the control part judges whether the inputted key is a navigation key(350). If so, the control part judges how many navigation keys have been inputted(360). In case only one navigation key has been inputted, the control part displays a numeral equivalent to the navigation key(361). However, if it is judged that more than two navigation keys have been inputted at the same time(370), the control part displays a numeral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navigation keys(371).

Description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숫자입력방법{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How to enter number in mobile terminal for slide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for a sl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제1 키입력부 도시도,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key input unit provided in a slide unit in a slid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3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number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number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가 다운일 때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nputting a number when the slide is down in the mobile terminal for a slide.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PCS), an IMT-2000 terminal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 ( It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terminal, such a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휴대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and is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As a result,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slimmer,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multimedia in which various functions can be pursued.

특히 추후의 휴대단말기는 점점 소형화, 다기능 및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In particular, future mobile terminals will be increasingly miniaturized, versatile and versatile,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and the Internet environment.

한편, 최근에는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의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market share of slide portable terminals has increased, and the user has much interest in the design of slide portable terminals.

하지만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는 디자인 구조상 전화가 수신되면 슬라이드부를 업하여 전화를 연결하거나, 슬라이드부를 업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부를 반드시 업하고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의 본체에 구비된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해야 한다.However, when the mobile terminal for a slide has a design structure, the mobile terminal for the slide can be connected to the phone by the slide unit up, or the phone can be connected without the slide unit. However, in order to input a number, the slide unit must be up and a character must be input using a key in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slide portable terminal.

이럴 경우 사용자가 전화를 자주 걸 경우에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부를 계속해서 업 다운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this case, if the user frequently makes a phone call,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slide part of the mobile terminal must be continuously up and dow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키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putting a number by using a key provided in the slide unit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숫자키입력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a number in a slid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lide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own, switching to a numeric key input mode, and in the numeric key input mode. When at least one of the keys provided in the slide unit is input, a process of 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숫자키입력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방향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방향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확인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switching to a numeric key input mode when the slid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own, and inputting at least one direction key among direction keys provided in the slide unit in the numeric key input mode. And 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confirmation key when the confirmation key provided in the slide unit is input.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숫자키입력모드에서 표시부에 숫자배열판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방향키를 통해 커서를 이동하여 상기 숫자배열판의 숫자 중 해당 숫자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커서가 위치된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a number in a slide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 of switching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numeric array panel on the display unit in the numeric key input mode. And positioning the cursor on a corresponding number among the numbers of the number array plate by moving the cursor through the direction key provided on the slide unit, and when the confirmation key provided on the slide unit is input, the cursor is positioned. It features a process of displaying number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lid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는 제어부(100), 무선송수신부(110), 모뎀(120), 오디오처리부(130), 표시부(140), 제1 키입력부(150)와 제2 키입력부(160) 를 포함하는 키입력부 및 메모리부(170)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for a slide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10, a modem 120, an audio processor 130, a display unit 140, a first key input unit 150, and a second key input unit 160. It includes a key input unit and a memory unit 170 including.

도 1을 참조하면, 키입력부는 제1 키입력부(150)와 제2 키입력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키입력부(150)는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에 구비되며 방향키, 확인키, 통화키, 종료키 및 메뉴키와 같은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 a key input unit includes a first key input unit 150 and a second key input unit 160. In additio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is provided in the slide unit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a function key such as a direction key, an identification key, a call key, an end key, and a menu key to input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Output to the control unit 1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키입력부(150)는 도 2(a)와 같이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된 상태에서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면 제1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기능키들을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is provided i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when the slide unit is switched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while the slide unit is down, as shown in FIG. You can enter numbers using the assigned function key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키입력부(150)는 도 2(b)와 같이 제1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방향키와 확인키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may input a number using the direction key and the confirmation key provided i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as shown in FIG.

제2 키입력부(160)는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본체에 구비된 키입력부로 일반적인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The second key input unit 160 is a key in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slide portable terminal, and has a general key matrix structure (not shown), and is provided by the user by including a letter key, a numeric key, various function keys, and an external volume key.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to be output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00.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4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4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outputs various display data generated by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display unit 140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0.

또한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가 다운일 때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제1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방향키와 확인키에 할당된 숫자들을 표시하거나,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숫자배열판을 표시한다. 여기서 숫자배열판은 숫자 0~9까지 배열되어 있는 판으로 표시부(140)의 소정 영역에 표시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40 confirms with the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whe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when the slide is d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s assigned to the keys are displayed, or the number array panel is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he number array plate is a plate arranged up to the numbers 0 to 9 and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제어부(100)는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slide.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기능키수행모드에서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고 제1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키는 방향키, 확인키, 메뉴키등 제1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모든 키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switches from the function key execution mode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of the keys provided i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When is input,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on the display unit 140. Here, the key provided i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may be any key provided i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such as a direction key, a confirmation key, and a menu key.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고 제1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방향키 또는 확인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적어도 두 개의 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동시에 입력된 적어도 두 개의 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switches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key or the confirmation key provided i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is input. If so, the control unit display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on the display unit 140. In addition, when at least two keys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keys simultaneously input.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면 숫자배열판을 표시부(140)의 소정 영역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1 키입력부(150)인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방향키를 이용하여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커서가 숫자배열판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숫자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확인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확인키가 입력될 때에 커서가 위치된 숫자를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o simultaneously display the numeric array plat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when the slide unit is switched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when the slide unit is d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to be positioned at the number to be input on the numeric array panel by using the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slide unit, which is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the number where the cursor is located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무선송수신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10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signal transmitted therefor and a received signal It includes an RF receiver for amplifying low noise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The modem 1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the like.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11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 는 무선송수신부(11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 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audio processor 130 modulates the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voice data. The audio processor 130 demodulates the encoded voice data input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1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speaker. .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30 includes a codec for converting and reproducing a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10 into an analog audio signal or converting an analog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into a digital audio signal. It is preferable. The codec is composed of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the like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such as voice. The codec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00.

메모리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부(100)를 통해 엑세스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어부(10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The memory unit 170 may include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and store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selected based on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nd user selec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ROM for storing an operation algorithm accessed through the control unit 100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AM for storing data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 a data processing process of the control unit 100. It is compos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제1 키입력부 도시 도이고,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key input unit provided in a slide unit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3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number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도 2(a)는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기능키 들을 나타내고, 도 2(b)는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기능키 중 방향키(200)와 확인키(201)를 나타낸다. 또한,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숫자를 입력할 경우 방향키(200)와 확인키(201)에 할당된 숫자들을 나타낸다. 2 (a) shows the function keys provided in the slide unit when the slide unit of the slide portable terminal is down, and FIG. 2 (b) shows the direction key 200 and the confirmation key among the function keys provided in the slide unit. (201) is shown. In addition, when entering the number key input mode to enter the number indicates the numbers assigned to the direction key 200 and the confirmation key (20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부가 다운인 300단계에서 소정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여 310단계에서 버튼잠금을 해제하고 기능키수행모드인 320단계를 진행한다.1 to 3, 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in step 300 where the slide unit of the slide portable terminal is down,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and releases the button lock in step 310 and performs the function key execution mode 320. Proceed.

기능키수행모드인 320단계에서 소정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330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소정 키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었으면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340단계를 진행한다.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in step 320, which is a function key execution mode,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predetermined key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step 330, and switches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in step 340. Proceed.

여기서 다른 실시 예로 310단계에서 버튼잠금이 해제되면, 입력모드의 종류를 표시하여 기능키수행모드 또는 숫자키입력모드 중 전환할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button lock is released in step 310, the mode to be switched may be selected from the function key execution mode or the numeric key input mode by displaying the type of the input mode.

그리고 340단계에서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00)는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표시부(140)의 소정 영역에 제1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방향키(200)와 확인키(201)에 할당된 숫자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소정 메뉴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방향키(200)와 확인키(201)에 할당된 숫자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알릴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부(140)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는 숫자들을 참고하여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In operation 340, when the control unit 100 switches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the control unit 100 switches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and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key 200 and the confirmation key provided i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The numbers assigned to 201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menu to inform the user of a method of inputting a number using the numbers assigned to the direction key 200 and the confirmation key 201. Therefore, the user may input the number by referring to the numbers displayed on th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display unit 140.

340단계에서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고 제1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35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방향키(200)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35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방향키(200)이면 제어부(100)는 360단계에서 입력된 방향키(200)의 개수를 판단한다.In operation 340, when the controller enters the numeric key input mode and detects a key input provided in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key is the direction key 200 in operation 350. If the key input in step 350 is the direction key 20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number of direction keys 200 input in step 360.

360단계에서 하나의 방향키(200)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00)는 361단계에서 입력된 하나의 방향키(200)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한다. 만약,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키입력부(150)의 방향키(200) 상, 하, 좌, 우에 각각 숫자 2, 8, 4, 6이 할당되어있고, 확인키(201)에는 숫자 5, 0이 할당되어있고, 좌, 상 방향키(200)가 동시에 입력되면 숫자 1, 우, 상 방향키(200)가 동시에 입력되면 숫자 3, 좌, 하 방향키(200)가 동시에 입력되면 숫자 7, 우, 하 방향키(200)가 동시에 입력되면 숫자 9가 입력된다고 설정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100)는 360단계에서 입력된 하나의 방향키(200)를 판단하여 361단계에서 숫자 2, 4, 6, 8 중 입력된 방향키(200)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한다.If one direction key 200 is input in step 360,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key 200 input in step 361. As shown in FIG. 2B, numbers 2, 8, 4, and 6 are assigned to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rection key 200 of the first key input unit 150, respectively, and the confirmation key 201 The numbers 5 and 0 are assigned, and when the left and up arrow keys 200 are input simultaneously, the number 1 and the right and up arrow keys 200 are simultaneously input. 7, when right and down arrow keys 200 are simultaneously input, if the number 9 is set to be input,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e one direction key 200 input in step 360 and the numbers 2, 4, 6 in step 361. , 8 to displa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direction key 200.

만약, 360단계에서 입력된 방향키(200)가 하나의 방향키(200)가 아닐 경우 제어부(100)는 370단계에서 적어도 두 개의 방향키(200)가 동시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370단계에서 적어도 두 개의 방향키(200)가 동시에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00)는 371단계에서 두 개의 방향키(200)가 동시에 입력될 경우 표시될 수 있는 숫자를 표시한다.If the direction key 200 input in step 360 is not one direction key 20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at least two direction keys 200 are simultaneously input in step 370. If at least two direction keys 200 are simultaneously input in step 370,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numb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wo direction keys 200 are simultaneously input in step 371.

도 2(b)에 도시된 방향키(200)와 확인키(201)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1, 3, 7, 9 중 동시에 입력된 두 개의 방향키(200)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irection key 200 and the confirmation key 201 illustrated in FIG. 2 (b) as an example, numbers corresponding to two direction keys 200 simultaneously input among 1, 3, and 7 may be displayed. .

여기서 두 개의 방향키(200)가 동시에 입력되어야 표시될 수 있는 숫자들의 경우 소정 시간 이내에 두 개의 방향키(200)가 각각 입력되면 상기 소정 시간 안에 입력된 두 개의 방향키(200)를 동시에 입력된 것과 같이 판단하고 두 개의 방향키(200)가 동시에 입력되어야 표시되는 숫자들 중 해당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두 개의 방향키(200)를 동시에 입력하는 것이 어려운 사용자도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방향키(200)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 간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numbers that can be displayed when two direction keys 200 are simultaneously input, when two direction keys 200 are respectively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two direction keys 200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are judged as if they were simultaneously input. And two direction keys 200 can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to display the number of the displayed number. In such a case, a user having difficulty in simultaneously inputting two direction keys 200 may input a number using the direction key 200 provided in the slide unit. Here, of course, the predetermined time can be changed by the user.

한편, 35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방향키(200)가 아닐 경우 제어부(100)는 38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확인키(201)인지 판단하고, 확인키(201)이면 제어부(100)는 390단계에서 입력된 확인키(201)가 소정 시간 이상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key input in step 350 is not the direction key 200,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key input in step 380 is the confirmation key 201, and if the confirmation key 201, the control unit 100 is step 39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firmation key 201 inputted in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만약, 390단계에서 확인키(201)가 소정시간 이상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00)는 확인키(201)가 소정시간 이상 입력될 경우에 대응되는 숫자를 표시하고, 소정시간 이내에 입력이 완료되면 소정 시간 이내에 입력될 경우에 대응되는 숫자를 표시한다.If the confirmation key 201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step 390,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a number corresponding to when the confirmation key 201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Displays the corresponding number when entered within.

도 2(b)를 예를 들면 390단계에서 확인키(201)가 소정시간 이상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00)는 391단계에서 숫자 0을 표시하고, 390단계에서 확인키(201)가 소정시간 이내에 입력이 완료되었으면 제어부(100)는 392단계에서 숫자 5를 표시한다.For example, if the confirmation key 201 is input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n step 390,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the number 0 in step 391, and the confirmation key 201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step 390. When this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the number 5 in step 392.

예를 들어 사용자가 321-5678로 통화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우, 상 방향키(200)를 동시에 입력하여 숫자 3을 입력한다. 또한 상 방향키(200)를 입력하여 숫자 2, 좌, 상 방향키(200)를 동시에 입력하여 숫자 1, 확인키(201)의 입력을 소정 시간 이내에 완료하여 숫자 5를 입력할 수 있으며, 우 방향키(200)를 입력하여 숫자 6, 좌, 하 방향키(200)를 동시에 입력하여 숫자 7 및 하 방향키(200)를 입력하여 숫자 8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통화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통화키를 입력하여 상기 321-5678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connect a call to 321-5678, the user inputs the number 3 by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right and up arrow keys 200. In addition, by inputting the up arrow key 200, the number 2, left, up arrow 200 at the same time to complete the input of the number 1, the confirmation key 201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o enter the number 5, the right arrow key ( 200 may be inputted by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number 6, the left and the down arrow keys 200, the number 7 and the down arrow key 200, and the number 8 may be input. If the user wants to connect the call, the user can input the call key to connect the call to 321-5678.

이로 인해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에도 슬라이드 부에 구비된 방향키(200)와 확인키(201)를 숫자키로 사용하여 숫자를 입력하고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input a number and connect a call using the direction key 200 and the confirmation key 201 provided on the slide unit as the numeric keys.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가 다운일 때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4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number when the slide is down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부가 다운인 400단계에서 소정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여 410단계에서 버튼잠금을 해제하고 기능키수행모드인 420단계를 진행한다.1 to 4, 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in step 400 where the slide unit of the slide portable terminal is down,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and releases the button lock in step 410 and performs the function key execution mode step 420. Proceed.

기능키수행모드인 420단계에서 소정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430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소정 키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었으면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440단계를 진행한다.If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in step 420, which is a function key execution mode,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ted predetermined key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step 430, and switches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in step 440. Proceed.

또 다른 실시 예로 410단계에서 버튼잠금이 해제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모드의 종류를 선택받는 창을 표시하여 기능키수행모드 또는 숫자키입력모드 중 전환할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button lock is released in step 410, the controller 100 may display a window for selecting the type of the input mode to select a mode to switch among the function key execution mode or the numeric key input mode.

440단계에서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00)는 450단계에서 표시부(140)의 소정 영역에 숫자배열판을 표시한다. 여기서 숫자배열판은 숫자가 배열 되어있는 소정 표로 사용자가 상기 숫자배열판을 이용하여 원하는 숫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00 enters the numeric key input mode in step 440,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numeric array plat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in step 450. Here, the number array plate is a predetermined table in which numbers are arranged, and a user may select and input a desired number using the number array plate.

450단계에서 숫자배열판이 표시되고 방향키(200)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460단계에서 입력된 방향키(200)만큼 표시부(140)에 나타나는 커서를 이동시킨다. 46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방향키(200)의 입력에 따라 커서를 이동하고 470단계에서 숫자배열판의 숫자 중 입력된 방향키(200)에 해당하는 숫자에 커서를 위치시킨다.When the numeric array panel is displayed in step 450 and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200 is sensed, the controller 100 moves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by the direction key 200 input in step 460. In step 460, the control unit 100 moves the cursor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200, and in step 470, locates the cursor o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direction key 200 among the numbers of the number array.

470단계에서 표시부(140)에 입력된 방향키(200)에 해당하는 숫자에 커서가 위치하는 중에 키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48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확인키(201)인지 판단한다.If a key input is detected while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key 200 input to the display unit 140 in step 47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key input in step 480 is the confirmation key 201.

48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확인키(201)이면 제어부(100)는 490단계에서 커서가 위치된 숫자를 표시한다.If the key input in step 480 is the confirmation key 201,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number where the cursor is located in step 490.

따라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도 표시부(140)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는 숫자배열판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손쉽게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만약, 숫자배열판 대신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가 배열된 문자배열판이 표시부(140)의 소정 영역에 표시될 경우 사용자는 슬라이드부가 다운된 상태에서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slide unit is down, the user can easily input a number by using the number array panel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If the character array panel in which characters for character input are arranged instead of the number array panel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the user may input the character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ven when the slide unit is down.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를 올리지 않고 숫자를 입력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전화를 걸 때마다 슬라이드를 올려야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make a call by inputting a number without raising the slide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This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aise the slide every time a user makes a call.

Claims (15)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entering a number in a mobile terminal for slide, 상기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 numeric key input mode when the slid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own; 상기 숫자키입력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when at least one of the keys provided in the slide unit is input in the numeric key input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comprises: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버튼잠금이 해제되면, 기능키수행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When the button lock is released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portable terminal, switching to a function key execution mode; 상기 기능키수행모드에서 소정 키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면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switching to a numeric key input mode 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e function key performing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comprises: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버튼잠금이 해제되면, 입력모드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type of an input mode when the button lock is released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입력모드에서 선택된 기능키수행모드 또는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converting the selected function key performing mode or the numeric key input mode from the input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키는The key of claim 1, wherein the key is provided in the slide unit. 상기 숫자키입력모드에서 숫자키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Numeric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numeric key in the numeric key input mode.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entering a number in a mobile terminal for slide, 상기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 numeric key input mode when the slid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own; 상기 숫자키입력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방향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방향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direction key when at least one direction key among the direction keys provided in the slide unit is input in the number key input mode;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확인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firmation key when the confirmation key provided in the slide unit is inpu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witching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comprises: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버튼잠금이 해제되면, 기능키수행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When the button lock is released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portable terminal, switching to a function key execution mode; 상기 기능키수행모드에서 소정 키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면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switching to a numeric key input mode 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e function key performing mod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witching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comprises: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버튼잠금이 해제되면, 입력모드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type of an input mode when the button lock is released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입력모드에서 선택된 기능키수행모드 또는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converting the selected function key performing mode or the numeric key input mode from the input mode.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방향키와 상기 확인키에 할당된 숫자들을 표시부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the numbers assigned to the direction key and the confirmation key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number key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number key input mod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key comprise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키가 입력되면 소정 시간 이내에 입력된 방향키의 개수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the number of input direction key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t least one direction key is input; 상기 소정 시간 이내에 하나의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방향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direction key when one direction key is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적어도 두 개의 방향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동시에 입력된 방향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imultaneously input direction keys when at least two direction keys are simultaneously inpu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key comprise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키가 입력되면 소정 시간 이내에 입력된 방향키의 개수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the number of input direction key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t least one direction key is input; 상기 소정 시간 이내에 하나의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방향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direction key when one direction key is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상기 소정 시간 이내에 적어도 두 개의 방향키가 각각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두 개의 방향키를 동시에 입력된 것과 같이 판단하는 과정과,If the at least two direction keys are respectively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determining the inputted two direction keys as if simultaneously input; 상기 동시에 입력된 방향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imultaneously input direction key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키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key comprises: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확인키의 입력 시간을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n input time of the confirmation key when the confirmation key provided in the slide unit is input; 상기 확인키가 소정 시간 이내에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입력된 시간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time when the input of the confirmation key is comple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상기 확인키가 소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시간에 해당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time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entering a number in a mobile terminal for slide,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 numeric key input mode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숫자키입력모드에서 표시부에 숫자배열판을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numeric array panel on a display unit in the numeric key input mode;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방향키를 통해 커서를 이동하여 상기 숫자배열판의 숫자 중 해당 숫자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과정과,Moving the cursor through a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slide unit to position the cursor on a corresponding number among the numbers of the number array plate; 상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커서가 위치된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number o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when a confirmation key provided in the slide unit is input.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witching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comprises: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버튼잠금이 해제되면, 기능키수행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When the button lock is released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portable terminal, switching to a function key execution mode; 상기 기능키수행모드에서 소정 키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면 숫자키입력모드 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switching to a numeric key input mode 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e function key performing mod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witching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comprises: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가 다운일 때 버튼잠금이 해제되면, 입력모드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type of an input mode when the button lock is released when the slide unit is down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입력모드에서 선택된 기능키수행모드 또는 숫자키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And converting the selected function key performing mode or the numeric key input mode from the input mode. 제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숫자배열판은 표시부의 소정 영역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 방법.The number array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input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KR1020060108348A 2006-11-03 2006-11-03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0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348A KR100790119B1 (en) 2006-11-03 2006-11-03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348A KR100790119B1 (en) 2006-11-03 2006-11-03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119B1 true KR100790119B1 (en) 2008-01-02

Family

ID=3921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348A KR100790119B1 (en) 2006-11-03 2006-11-03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11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540A (en) 1997-09-04 1999-06-22 Nokia Mobile Phones Ltd Portable telephone set provided with navigation key for handset
KR100610483B1 (en) 2004-12-29 2006-08-08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ouble over layer type input key pads
KR20060109578A (en) * 2005-04-16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its qwerty keypad character input mode
KR20070030062A (en) * 2005-09-12 200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540A (en) 1997-09-04 1999-06-22 Nokia Mobile Phones Ltd Portable telephone set provided with navigation key for handset
KR100610483B1 (en) 2004-12-29 2006-08-08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ouble over layer type input key pads
KR20060109578A (en) * 2005-04-16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its qwerty keypad character input mode
KR20070030062A (en) * 2005-09-12 200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522B1 (en) Method for displaying icon and controlling direct link in wireless terminal
US20110319136A1 (en)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Managing Status Components for Global Call Control
WO2010008078A1 (en) Information terminal
KR20080068780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WO2009054478A1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KR1007901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numb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278454A1 (en) Method for setting touch sensitivity in portable terminal
JP2008305294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mounted with full keyboard and full keyboard display method
KR100678248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6296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ing touch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0119B1 (en)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0159B1 (en)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150936A (en)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122935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touch key pa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8492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 inputting in slid type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646347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menu selection function by using movement recognition sensor
KR100983270B1 (en) Mobile phone
KR100765218B1 (en) Input apparatus an electronic equipment for charater/a number/a symbor input and output
KR100690292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oft keyboard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4536106B2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5043983A (en) Key input device
KR100860685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ask function in a wireless terminal with slide
KR20080099107A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optimizing touch sensitivity
KR1008008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obile terminal
US2009014695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