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018B1 -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 Google Patents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018B1
KR100790018B1 KR1020070018246A KR20070018246A KR100790018B1 KR 100790018 B1 KR100790018 B1 KR 100790018B1 KR 1020070018246 A KR1020070018246 A KR 1020070018246A KR 20070018246 A KR20070018246 A KR 20070018246A KR 100790018 B1 KR100790018 B1 KR 10079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wire
deformed iron
deformed
cross
f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섭
Original Assignee
선진산업개발(주)
(주) 대도엠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산업개발(주), (주) 대도엠알티 filed Critical 선진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07001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018B1/ko
Priority to PCT/KR2007/002524 priority patent/WO2007136233A1/en
Priority to US12/227,588 priority patent/US20090260312A1/en
Priority to GB0821279A priority patent/GB2451787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12Discrete reinforcing elements, e.g.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벽체를 보강할 때 사용되는 이형철선에 관한 것으로, 이형철선 자체에 교차연결부, 인방고리부 등을 형성하여 별도의 부품 없이 벽체 보강 시공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형철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형철선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다각형을 이루고,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픽스홀더 또는 다른 이형철선을 교차 연결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교차연결부 또는 이형철선의 일단부에 형성된 인방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STEEL WIRE USED FOR BRICKS WALL REINFORCEMENT}
도 1은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의 일실시예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픽스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의 일실시예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이형철선의 실시예들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픽스가 도 2의 픽스홀더에 의해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이형철선이 도 2의 픽스홀더에 의해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픽스와 도 3의 이형철선이 도 2의 픽스홀더에 의해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내벽에 압입된 픽스와 그 뒤에 체결된 픽스홀더가 이형철선에 의해 상하-좌우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 및 도 7c는 두 이형철선이 이형철선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조적벽체 보강공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형철선이 적용된 조적벽체 와 그 내부에 설치된 픽스, 픽스홀더, 이형철선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이형철선을 사용한 조적벽체 보강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철선을 사용한 조적벽체 보강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철선을 사용한 조적벽체 보강공법에서 인방보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픽스 11 : 심축
12 : 날개
2 : 픽스홀더 21 : 오목부
22 : 날개수용부
5 : 기본형 이형철선 5' :교차연결형 이형철선
5'' : 인방고리형 이형철선 5'''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
51, 51a, 51b : 교차연결부 52 : 인방고리부
8 : 벽돌
9 : 인방벽돌
C : 내벽 M : 몰탈
G : 갭 S : 이격공간
본 발명은 조적벽체를 보강할 때 사용되는 이형철선에 관한 것으로, 이형철선 자체에 교차연결부, 인방고리부 등을 형성하여 별도의 부품 없이 벽체 보강 시공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형철선에 관한 것이다.
조적 벽체는 돌, 벽돌, 콘크리트블록(concrete block) 등을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구조로서,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은 벽돌구조, 석조(石造), 콘크리트블록 구조를 순조적구조(純組積構造)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고, 특히 석조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던 구조이다. 구조적으로도 지진이 적은 서유럽 등에서는 각종 구조법이 사용되고 의장적(意匠的)으로도 뛰어난 아치(arch)나 돔(dome) 등이 오래 전부터 완성되어, 현재도 벽돌구조 등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벽돌구조는 단순히 벽돌만을 쌓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내벽의 외면에 벽돌을 쌓아올리는 것으로, 이 내벽과 벽돌간의 결합력이 매우 중요하다. 내벽과 벽돌벽 사이에 결합력이 떨어지는 경우 지진이나 충격 또는 풍압에 의해 조적하였던 벽돌이 무너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들 조적된 벽돌을 내벽과 긴밀히 결합하도록 하여 벽돌이 무너져버리거나 하여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들 벽돌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심축과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하는 픽스를 내벽에 박아 벽 돌벽과 내벽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픽스를 내벽에 박은 후, 픽스와 벽돌벽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품이 많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벽에 압입된 픽스와 체결된 픽스홀더를 별도의 부품 없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이형철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파이프와 같이 가늘고 길며 속이 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가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를 가지고 나사형태로 감겨지는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 체결 가능한 이형철선으로서, 상기 이형철선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픽스홀더 또는 다른 이형철선을 교차 연결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교차연결부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이 없이도 이형철선만으로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픽스홀더 또는 다른 이형철선을 교차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형철선의 단면이 정삼각형, 정육각형인 경우에는 2날 픽스, 3날 픽스와 함께 6개의 날개수용부를 가지는 픽스홀더를 범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이형철선의 단면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2날 픽스와 함께 4개의 날개수용 부를 가지는 픽스홀더를 범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은 몰탈에 매립되었을 때 이형철선과 몰탈과의 접착력을 극대화하여 몰탈과 이형철선이 매우 단단하게 일체화되도록 해준다.
여기서 상기 교차연결부는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 또는 다른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간편한 공정만으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을 제작할 수 있게 해주며 보강 공법 시공도 매우 편리하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 교차연결부의 입구의 폭은 픽스홀더의 폭보다는 작고 이형철선의 폭보다는 크도록 하면, 조립의 편의성과 구조의 견고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형철선은 2개의 교차연결부를 가지고, 제1교차연결부와 제2교차연결부는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두 교차연결부가 대략 벽돌의 높이의 1배 이상의 정수배 간격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하면, 하나의 이형철선만으로 그 이형철선에 수직이면서 또한 서로간에도 수직인 방향으로 픽스홀더와 다른 이형철선을 연결할 수 있으며, 그 연결부위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시공 과정이 단순하고 편리해진다.
한편 상기 이형철선의 일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연결부는 상기 인방고리부와 소정 간격 이격 위치하도록 하여, 이형철선으로 인방보강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교차연결부는 상기 이형철선의 타단부에 형성되도록 하면, 간단 한 구조로 인방보강을 더 촘촘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방고리부는 이형철선의 단부를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인방고리부의 입구는 이형철선의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안쪽으로 트여진 형상이어서, 시공시 인방고리부를 인방벽돌을 관통하는 이형철선에 먼저 걸고 인방벽돌 상부에 있는 이형철선에 다시 끼울 수 있게 하여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교차연결부가 형성된 이형철선으로서, 상기 인방고리부는 상기 이형철선의 일단을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다른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교차연결부는 상기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 또는 다른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이형철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인방보강을 촘촘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방고리부의 입구는 이형철선의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안쪽으로 트여진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이형철선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다각형을 이루고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어서 몰탈의 접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와 같이 가늘고 길며 속이 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가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를 가지고 나사형태로 감겨지는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 체결 가능한 이형철선으로서, 상기 이형철선은 단면 이 실질적으로 정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며, 일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된 것이다. 이는 인방보강에 사용된 이형철선의 상부에 픽스홀더를 통해 다른 이형철선을 연결하여, 조적벽체의 보강에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이형철선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픽스(1)의 일실시예의 형상도이고, 도 1b는 그 단면도이다.
픽스(1)는 습기 등에 부식되지 아니하며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서, 중심을 이루는 심축(11)과 심축 둘레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날개(12)는 심축(11)을 중심으로 픽스(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날개(12)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정도의 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강도와 구조의 단순화를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한 면이 있다.
도 2a는 도 1의 픽스(1)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2)의 형상도, 도 2b는 그 단면도이다.
픽스홀더(2)는 습기 등에 부식되는 않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황동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픽스홀더(2)의 원통 형상의 둘레방향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수용부(22)가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픽스(1)의 날개(12)에 의한 피치(P)와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의한 피치(P)는 일치한다. 날개수용부(22)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면, 픽스홀더(2)는 2개 또는 3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고 후술할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이형철선(5)과도 체결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픽스홀더(2)와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이형철선(5)의 형상도(도 3a) 및 단면도(도 3b, 도 3c), 그리고 이러한 이형철선의 여러 실시예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이형철선(5)은 대략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철선을 길이방향으로 나사 형태로 일정 피치(P)를 가지고 꼬아 놓은 형상이다. 이형철선(5)의 피치(P)는 픽스(1) 및 픽스홀더(2)의 피치(P; 도 1a 및 도 2a 참조)와 일치한다.
도 3a는 기본적인 이형철선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변형 형태로서 도 3d에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 도 3e에는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 도 3f에는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5''')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은 2개의 교차연결부(51a, 51b)를 구비하고 있으나, 1개의 교차연결부만 있어도 이들 이형철선을 픽스홀더로 연결하면 도 3d에 도시된 이형철선(5')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교차연결부(51)는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2)나 다른 이형철선(5)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교차연결부(51)의 입구의 폭은 픽스홀더(2)의 폭보다는 작고 이형철선(5)의 폭보다는 큰 것이 조립의 편의성과 견고성의 측면에서 모두 유리하다.
상기 교차연결부들(51a, 51b)은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두 교차연결부가 벽돌 1개의 높이 간격만큼 이격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는 조적벽체에서 두 교차연결부(51a, 51b)가 서로 다른 벽돌 단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조립 과정도 단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높이 간격이 반드시 벽돌 1개의 높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미 앞서 설명하였듯이 아예 서로 다른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에 교차연결부가 하나씩만 있다 하더라도 이들을 픽스홀더(2)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면 충분히 도 3d에 도시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도 3e의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은 하단부에 인방고리부(52)가 형성되고, 그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교차연결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인방고리부(52)는 이형철선의 하단을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다른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그 입구는 대략 측상방향으로 트여진 형상이다. 도 3e의 이형철선은 하나의 교차연결부(51)만 형성된 것이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d와 같이 2개의 교차연결부를 구비하여 인방 보강에 사용된 이형철선(5'')이 직접 조적벽체 보강에 바로 사용될 수도 있고, 오직 인방고리부만 구비한 인방고리형 이형철선의 상부에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을 픽스홀더(2)로 연결하여도 도 3e의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 도 3e의 이형철선은 교차연결부(51)와 인방고리부(52)가 서로 수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서로 다른 두 이형철선을 평행하게 연결하고 있으나, 서로 수직을 이루게 하여 교차연결부(51)가 내벽을 향해 배치된 픽스홀더(2)와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f는 도 3e의 인방고리형 이형철선에서 교차연결부(51)의 상부가 없는 상태, 즉 하단부에는 인방고리부(5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교차연결부(51)가 형성된 상태의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5''')이다. 인방고리부(52)와 교차연결부(51)간의 거리는 도 3e의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이형철선은, 인방지지는 조적벽체보다 더 조밀하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조적벽체 보강과 별도로 오직 인방지지만 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만든 이형철선이다.
픽스(1), 픽스홀더(2), 이형철선(5)은 모두 길이방향으로 나사형태로 감겨진 형태이어서 몰탈에 매립되었을 때 몰탈과 단단하게 결합 지지되어 일체화된다.
도 4a는 도 2의 픽스홀더(2)를 사용한 도 1의 픽스(1)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b는 그 체결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와 픽스(1)는 그 피치(P)가 일치하기 때문에 서로 나사방향으로 돌리면서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픽스홀더(2)의 양단부로 픽스(1)를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두개의 픽스(1)를 연결하는 데에 픽스홀더(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6개의 날개수용부(22)가 형성된 픽스홀더(2)에는 3개의 날개(12)를 가진 픽스(1)도 체결 가능하고(도 5b), 2개의 날개를 가진 픽스도 체결 가능하다. 픽스(1)의 날개(12)는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약간의 갭(G)을 유지하며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다. 기하학적으로는 픽스(1)의 중심에서부터 날개(12)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날개(12)가 오목부(21)에 간섭됨으로써, 픽스(1)가 픽스홀더(2) 내 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조적벽체에 픽스홀더(2)가 설치되면 픽스홀더(2)의 외부는 몰탈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픽스(1)가 움직여 픽스홀더(2)를 가압하더라도 픽스홀더(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픽스(1)는 픽스홀더(2)에 의해 더욱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픽스(1)와 픽스홀더(2)는 각각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길이방향으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에 상대적인 회전만 주면 체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단면 형상으로 보았을 때 픽스(1)와 픽스 홀더(2)에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부재의 단면계수를 크게 하여 부재의 휨 강성을 크게 해준다.
또한 픽스(1)와 픽스홀더(2) 체결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G)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보강에 상기 픽스(1) 및 픽스홀더(2)를 사용하였을 때 건축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기 갭(G)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며, 계절의 변화 등에 의한 재질의 열팽창 등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픽스(1)의 심축(11)과 픽스홀더(2)의 오목부(21) 사이의 이격공간(S)은 습기나 공기의 통풍이 가능하게 하여 물고임 등으로 인한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날개(12)를 수용하지 않은 나머지 날개수용부(22)의 내부면적이 이격공간(S)에 가세되어 단면적이 더욱 넓은 통기공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픽스홀더(2)의 외면에 굴곡을 더 많이 주기 때문에 슬릿(24)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효과를 내고, 특히 픽스(1)와 픽스홀더(2) 체결시 방향을 굳이 맞추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날개(12)가 날개수용부(22)로 유도되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도 5a는 도 2의 픽스홀더(2)를 사용한 도 3의 이형철선(5)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 도 5b 내지 도 5c는 그 체결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픽스홀더(2)를 사용한 도 1의 픽스(1)와 도 3의 이형철선(5)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형철선(5)의 피치는 픽스홀더(2)의 피치와 일치하므로, 픽스(1)와 픽스홀더(2)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였듯이, 이형철선(5)과 픽스홀더(2)도 도 5a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가 6개인 경우에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삼각형 단면의 이형철선(5)과도 체결 가능하고 정육각형 단면의 이형철선(5)과도 체결 가능하다.
기하학적으로는 이형철선(5)의 중심에서부터 단면 형상의 꼭지점 부분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이형철선(5)의 단면 형상의 꼭지점 부분이 오목부(21)에 간섭됨으로써, 이형철선(5)이 픽스홀더(2)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조적벽체에 픽스홀더(2)가 설치되면 픽스홀더(2)의 외부는 몰탈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이형철선(5)이 움직여 픽스홀더(2)를 가압하더라도 픽스홀더(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이형철선(5)은 픽스홀더(2)에 의해 더욱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이형철선(5)과 픽스홀더(2) 모두 길이방향으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에 상대적인 회전만 주면 체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형철선(5)과 픽스홀더(2) 체결시 둘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보강에 이들을 사용하였을 때 건축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이러한 갭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며, 계절의 변화 등에 의한 재질의 열팽창 등에도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세 부품 모두의 피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1)와 이형철선(5)을 픽스홀더(2)로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픽스(1)와 이형철선(5)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일이 없다면 굳이 세 부품 모두의 피치가 일치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픽스(1)와 결합되는 픽스홀더(2)는 픽스와 피치를 맞추고, 이형철선(5)과 결합되는 픽스홀더(2)는 이형철선과 피치를 맞추는 것으로도 족하다.
도 7은 도 1의 픽스, 도 2의 픽스홀더, 도 3의 이형철선의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콘크리트벽과 같은 내벽(C)에 압입 고정된 픽스(1)에 체결된 픽스홀더(2)가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과 제1교차연결부(51a)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벽돌 한단의 높이길이만큼 하단에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의 제2교차연결부(51b)에 의해 또 다른 이형철선(5)을 상기 픽스홀더(2) 및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 모두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은 상하를 뒤집어도 교차연결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하게 배치되는 구조, 즉 상하의 구분이 특별히 없기 때문에 교차연결부를 제1과 제2로 나눈 순서에는 큰 의미가 없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은 두개의 이형철선(5)을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하부에 위치하는 이형철선은 인방고리부(52)를 관통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이형철선은 교차연결부(51)를 관통하게 함으로써 두 이형철선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c도 마찬가지로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5''')에 의해서도 두개의 이형철선(5)을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은 교차연결부(51)의 상부에 또다른 교차연결부를 더 만들 수도 있고 픽스홀더(2)에 의해 그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다른 이형철선(5')을 연결하여 인방 보강에 사용된 부품이 조적벽체의 보강에 연결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설명한 픽스(1), 픽스홀더(2), 이형철선(5, 5', 5'', 5''')를 적용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9a는 도 8의 X-X 단면도, 도 9b는 도 8의 Y-Y 단면도, 도 9c는 도 8의 Z-Z 단면도이다.
도 7a와 관련된 도면은 도 8의 X-X 부분과 도 9a로서, 내벽(C)에 박힌 픽스의 후반부에 체결된 픽스홀더(2)는 벽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이형철선(5')과 제1교차연결부(51a)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그보다 한단 아래 부분에서는 벽체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이형철선(5)이 상기 벽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이형철선(5')과 제2교차연결부(51b)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좌우, 상하로 배치되는 이형철선(5, 5')은 도 5에 도시된 방식처럼 픽스홀더(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조적벽체에 위와 같은 보강을 행할 수 있다.
도 7b와 관련된 도면은 도 8의 Y-Y 부분과 도 9b로서, 인방벽돌(9)을 관통하여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과, 인방벽돌(9)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을 각각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의 인방고리부(52)와 교차연결부(51)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인방벽돌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형철선(5'')은 그 상방으로 도 5에 도시된 방식처럼 픽스홀더(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방으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은 다시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된다.
도 7c와 관련된 도면은 도 8의 Z-Z 부분과 도 9c로서, 인방벽돌(9)을 관통하여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과, 인방벽돌(9)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을 각각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5''')의 인방고리부(52)와 교차연결부(51)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인방벽돌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형철선(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방벽돌을 관통하여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과, 인방벽돌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을 촘촘하게 연결하여 인방보강을 더욱 확실하게 하며, 특히 인방벽돌의 양측단부에 더 촘촘하게 배치하여 양측단부의 벽돌이 처지는 문제를 확실히 그리고 간단하게 예방할 수 있다. 조적벽체를 보강할 때보다 인방보강할 때 서로 연결되는 개소가 많아야 하는데, 이를 일일이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으로 하면 재료도 낭비되고 벽돌 조적에 더욱 신경을 써야 되므로 불편한 점이 있는바,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5''')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이형철선을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공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를 참조하면, 도 11a와 같이 내벽(C)의 외부로 벽돌(8)이 일정 높이 조적된 상태에서, 도 11b와 같이 건물의 둘레방향(벽돌의 길이방향)으로 이형철선(5)을 연결 배치하고, 벽돌(8)의 중앙구멍(81)을 통해 건물의 높이방향(상하방향)으로 이형철선(5')을 배치하며, 두 이형철선(5, 5')을 제2교차연결부(51b)로 서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도 11c와 같이 줄눈을 채우며 이형철선(5')이 관통하는 부분에 측면홈(82)이 마주하도록 벽돌을 한단 더 쌓는다. 제2교차연결부(51b)와 제1교차연결부(51a)는 벽돌 1단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현재 벽돌의 상단면 높이에 제1교차연결부(51a)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교차연결부(51b)와 제1교차연결부(51a)는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건물의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교차연결부(51a)에 픽스홀더(2)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픽스홀더(2)의 후단에는 앞서 설명한 캡(4)을 끼우고 캡은 줄눈 밖으로 노출되도록 몰탈로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도 11d와 같이 벽돌을 그 위로 조적하며, 앞서 설명한 도 11a 내지 도 11c의 과정을 되풀이하면, 건물의 둘레방향 그리고 높이방향으로 이형철선들(5, 5')이 서로 연결되고, 또 거기에 픽스홀더(2)가 연결되어 조적벽체의 강도를 보강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1e와 같이 픽스홀더(2)의 후단부에서 픽스(1)를 압입하여 픽스(1)가 내벽에 박히며 픽스홀더(2)와 연결되도록 하면 조적벽체 전체가 내벽에 강하게 고정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형철선으로 인방보강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2a와 같이 인방벽돌(9)의 구멍을 통하여 이형철선(5)이 관통되도록 배치하고, 도 12b와 같이 인방벽돌(9)의 상면에 이형철선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12c와 같이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의 인방고리부(52)를 하부에 있는 이형철선(5)에 걸고, 도 12d와 같이 인방고리부(52)와 소정간격(두 이형철선(5)의 간격) 이격 형성된 교차연결부(51)에 상부 이형철선(5)을 걸어넣은 후, 몰탈로 매립하며 벽돌을 조적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인방벽돌은 확실히 지지되며, 상기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의 상부에 픽스홀더(2)를 사용하여 다른 이형철선을 계속 연결하여 조적벽체의 보강을 이어서 할 수 있고, 상기 인방벽돌(9)의 상면에 배치된 이형철선(5)의 측방으로 다른 이형철선(5')을 연결하여 조적벽체의 보강을 역시 이어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반복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벽체 전체에 걸쳐 픽스, 픽스홀더, 이형철선에 의한 보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철선에 의하면 최소한의 부품개수만으로 조적벽체를 보강할 수 있고, 인방보강도 별도의 부품 없이 조적벽체에 사용된 것만으로 시행할 수 있어 시공 작업자에게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파이프와 같이 가늘고 길며 속이 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가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를 가지고 나사형태로 감겨지는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 체결 가능한 이형철선으로서,
    상기 이형철선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픽스홀더 또는 다른 이형철선을 교차 연결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교차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연결부는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 또는 다른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연결부의 입구의 폭은 픽스홀더의 폭보다는 작고 이형철선의 폭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철선은 2개의 교차연결부를 가지고, 제1교차연결부와 제2교차연결부는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두 교차연결부가 대략 벽돌의 높이의 1배 이상의 정수배 간격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철선의 일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연결부는 상기 인방고리부와 소정 간격 이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연결부는 상기 이형철선의 타단부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방고리부는 이형철선의 단부를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방고리부의 입구는 이형철선의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안쪽 으로 트여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9. 일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교차연결부가 형성된 이형철선으로서,
    상기 인방고리부는 상기 이형철선의 일단을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다른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교차연결부는 상기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 또는 다른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방고리부의 입구는 이형철선의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안쪽으로 트여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철선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다각형을 이루고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12. 파이프와 같이 가늘고 길며 속이 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가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를 가지고 나사형태로 감겨지는 픽스홀더와 길이방향으로 체결 가능한 이형철선으로서,
    상기 이형철선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며, 일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선.
KR1020070018246A 2006-05-24 2007-02-23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KR10079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46A KR100790018B1 (ko) 2007-02-23 2007-02-23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PCT/KR2007/002524 WO2007136233A1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US12/227,588 US20090260312A1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GB0821279A GB2451787B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46A KR100790018B1 (ko) 2007-02-23 2007-02-23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018B1 true KR100790018B1 (ko) 2008-01-02

Family

ID=3921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246A KR100790018B1 (ko) 2006-05-24 2007-02-23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97B1 (ko) 2013-08-29 2014-10-08 주식회사 대도인더스트리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807U (ko) * 1999-01-11 1999-06-25 이인석 벽돌의연결보강부재
KR100538759B1 (ko) 2005-01-21 2005-12-23 이광원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KR20050121764A (ko) * 2004-06-22 2005-12-28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20060034153A (ko) * 2004-10-18 2006-04-21 최연수 외벽보강시스템
KR200415963Y1 (ko) 2006-02-10 2006-05-09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200421510Y1 (ko) 2006-04-24 2006-07-14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807U (ko) * 1999-01-11 1999-06-25 이인석 벽돌의연결보강부재
KR20050121764A (ko) * 2004-06-22 2005-12-28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20060034153A (ko) * 2004-10-18 2006-04-21 최연수 외벽보강시스템
KR100538759B1 (ko) 2005-01-21 2005-12-23 이광원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KR200415963Y1 (ko) 2006-02-10 2006-05-09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200421510Y1 (ko) 2006-04-24 2006-07-14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97B1 (ko) 2013-08-29 2014-10-08 주식회사 대도인더스트리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0312A1 (en)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RU2338847C2 (ru) Изолирующая опалубка (варианты)
KR100538759B1 (ko)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US8011637B2 (en) Concrete form system for low-clearance applications
KR101371098B1 (ko) 조적벽체 보강 구조
WO2016005631A1 (es) Dispositivo de unión para pilares prefabricados de hormigón armado con junta seca
KR101546067B1 (ko) 중공형 콘크리트 충전 거더와 그 제작방법
KR101029042B1 (ko) 쉬스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를 이용한기둥구조물 시공방법
KR100790019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948670B1 (ko) 벽돌
KR100790018B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KR101537358B1 (ko) Pc강선으로 외부를 보강하는 중공패널을 이용한 원통형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27735B1 (ko) 내진보강형 칸막이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415963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1061015B1 (ko) 조적벽체 단열 및 보강 공법
KR200421510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1510429B1 (ko) Pc강선을 이용한 물탱크의 내부보강장치
JP2004190350A (ja) 鉄筋籠並びに鉄筋籠組込鋼管及び充填型鋼管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施工方法
KR20080005708A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200423652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도금철선
KR20190091913A (ko) 철근이음장치
KR102137915B1 (ko) 내진 보강을 위한 3축 홀더유닛을 이용한 치장벽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0140947U (zh) 灌浆套筒
JP2002213077A (ja)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KR101921834B1 (ko) 돌출 데크를 이용한 콘크리트 합성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