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987B1 -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및 이 구조를 이용한 게이트 메모리 - Google Patents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및 이 구조를 이용한 게이트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987B1
KR100789987B1 KR1020050043406A KR20050043406A KR100789987B1 KR 100789987 B1 KR100789987 B1 KR 100789987B1 KR 1020050043406 A KR1020050043406 A KR 1020050043406A KR 20050043406 A KR20050043406 A KR 20050043406A KR 100789987 B1 KR100789987 B1 KR 100789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ube
plasma
gas
nano
silicon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324A (ko
Inventor
준 신 이
김경해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4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98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74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the RF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에서 반응가스를 혼합하고 RF 입력파워의 조절을 통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반응성 이온 에칭 방법으로 실리콘 웨이퍼를 건식 식각하여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나노 피라미드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고, 형성된 나노 피라미드 형태의 구조를 통하여 플로팅 게이트 메모리의 양자점과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진공 상태의 RF 플라즈마 반응관내부의 전극에 실리콘 웨이퍼를 투입하는 웨이퍼 투입 단계;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부에 불화유황(SF6)과 산소(O2)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 단계; 가스가 주입된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부에 RF 전력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 단계; 투입되는 불화유황(SF6)과 산소(O2)가스의 유량이 상기 불화유황(SF6) : 산소(O2)가 20~25sccm : 10~15sccm의 가스 분압을 가지도록 조정하고,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부에 인가되는 RF 전력을 90~110W로 조정함으로서 조정된 플라즈마를 통하여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나노 피라미드 형태로 건식 식각하는 실리콘 웨이퍼 표면 식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및 이 구조를 이용한 게이트 메모리{Method of Nano pyramid type structure on wafer using silicon dry etching and Gate memory using the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부유 게이트 메모리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부유 게이트 메모리 구조의 저장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안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피라미드 구조의 표면을 가진 실리콘 기판을 이용하여 구성된 부유 게이트 메모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플라즈마 발생과 반응성 이온 에칭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피라미드 표면을 가진 실리콘 웨이퍼와 기존 평면 구조의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건식식각한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다.
도 7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피라미드 표면을 가지는 실리콘 웨이퍼의 PL(Photoluminescence)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반도체 기판 12 : 터널 산화막
13 : 양자점 14 : 컨트롤 절연막
15 : 게이트 16 : 게이트 스페이서
17 : 소오스 18 : 드레인
19 : 금속 전극 20 : 나노 피라미드
30 : 질량유량계 40 : RF 플라즈마 반응관
42 : 밸브
본 발명은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에서 반응가스를 혼합하고 RF 입력파워의 조절을 통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반응성 이온 에칭 방법으로 실리콘 웨이퍼를 건식 식각하여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나노 피라미드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고, 형성된 나노 피라미드 형태의 구조를 통하여 플로팅 게이트 메모리의 양자점과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및 이 구조를 이용한 게이트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부유 게이트 메모리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기판(1)의 상부에 터널 산화막(2)을 증착하고, 증착된 터널 산화막(2)상에 실리콘 양자점(3)을 형성한다. 이후에 실리콘 양자점(3)상에 컨트롤 절연막(4)을 형성하고, 컨트롤 절연막(4)상에 컨트롤 게이트(5)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부유 게이트 메모리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의 표면은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컨트롤 게이트(5)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소오스(7)와 드레인(8)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통해 이동하는 전자를 양자점(3)에 가둠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그러므로 양자점(3)은 평면상에 배치된 평면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평면형 부유 게이트 메모리 소자의 양자점(3)의 갯수를 증가시켜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구조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의 상부에 핀(Fin)(10)을 형성하고, 형성된 핀(10)의 주위에 양자점(3)을 배치함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명상에 배치된 양자점(3)보다 양자점(3)의 접촉 개수를 증가시켜 데이터 저장 용량을 확대시키는 방법으로,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양자점과의 접촉 개수를 증가시켜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확대하는 부유 게이트 메모리는 향후 초미세/고집적 메모리 소자로서 작동하기 위하여 데이터 저장 공간의 증가를 위한 양자점의 개수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제한이 따른다. 즉, 초미세/고집적 메모리 소자에서는 핀을 이용한 양자점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일정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으며, 초미세의 공간에 다량의 정보를 읽고, 쓰기 위해서는 좀 더 효율적인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에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반응성 이온 에칭 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를 건식 식각하여 실리콘 웨이퍼 표면을 나노 피라미드 구조로 형성한다. 형성된 나노 피라미드 구조를 이용하여 플로팅 게이트 메모리의 양자점과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제 1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한 방법을 이용하여 저장된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게이트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공 상태의 RF 플라즈마 반응관내부의 전극에 실리콘 웨이퍼를 투입하는 웨이퍼 투입 단계;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부에 불화유황(SF6)과 산소(O2)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 단계; 가스가 주입된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부에 RF 전력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 단계; 투입되는 불화유황(SF6)과 산소(O2)가스의 유량이 상기 불화유황(SF6) : 산소(O2)가 20~25sccm : 10~15sccm의 가스 분압을 가지도록 조정하고,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부에 인가되는 RF 전력을 90~110W로 조정함으로서 조정된 플라즈마를 통하여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나노 피라미드 형태로 건식 식각하는 실리콘 웨이퍼 표면 식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피라미드 구조의 표면을 가진 실리콘 기판을 이용하여 구성된 부유 게이트 메모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플라즈마 발생과 반응성 이온 에칭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피라미드 표면을 가진 실리콘 웨이퍼와 기존 평면 구조의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건식식각한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며, 도 8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피라미드 표면을 가지는 실리콘 웨이퍼의 PL(Photoluminescence)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에 나노 피라미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42)의 조작에 의하여 진공 상태를 이룰 수 있는 RF 플라즈마 반응관(40)이 형성되며, 이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의 상단에는 불화유황(SF6)가스를 저장하는 탱크(44) 및 산소(O2)가스를 저장하는 탱크(45)로부터 질량유량계(30)를 통과하여 배관(22)을 통하여 공급된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43)이 형성된다. 또한,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의 하단에는 실리콘웨이퍼(도시되지 않음)가 인입되며, RF전력발생장치(24)로부터 발생된 RF전력을 임피던스 정합장치(26)를 사용하여 케이블(23)을 통하여 인가받아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21)이 형성된다. RF 플라즈마 반응관(40)에는 반응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27)가 형성되고,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 부에서 플라즈마 생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반응성 라디칼과 실리콘 웨이퍼 표면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28)가 형성되며, 펌프(28)의 일측에는 불소가 포함한 유해한 기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스세정기(2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실리콘 웨이퍼를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의 전극(21)에 삽입한 후,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를 진공인 상태로 형성하고, 질량유량계(30)를 사용하여 배관(22)을 통하여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로 불화유황(SF6) 및 산소(O2) 가스를 주입한다. 가스를 주입하고 나서 케이블(23)을 통해 RF전력발생장치(24)에서 발생된 RF전력을 인가하면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에서는 고밀도 플라즈마(25)가 발생된다.
이후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의 발생된 고밀도 플라즈마(25)를 최적의 조건으로 조정하여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로 인입된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을 나노 피라미드 형태로 건식 식각하게 된다. 이때 최적의 조건은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로 투입되는 불화유황(SF6)과 산소(O2)가스의 유량이 상기 불화유황(SF6) : 산소(O2)가 22sccm : 12sccm의 가스 분압을 가지도록 조정하고,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에 인가되는 RF 전력을 100W로 조정하는 것이다.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에서 불화유황(SF6)과 산소(O2)가스를 사용하여 생성된 플라즈마 활성종은 SFx*, F*, O* 등이며, 이때 불화유황(SF6) 가스로부터 생성된 활성종들은 RF 플라즈마 반응관(40)의 전극(21)에 인입된 실리콘 웨이퍼 표면과 반응하여 사불화규소(SiF4) 기체를 발생시키는 등방성 식각을 유도하여 실리콘 웨이퍼 표면을 식각하게 되고, 식각된 표면의 측면은 활성종과 실리콘층의 반응으로 인해 생성된 SiOxFy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나노 피라미드 형태를 가진 표면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나노 피라미드 구조의 표면을 가진 실리콘 웨이퍼로 구성된 부유 게이트 메모리의 특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오스(17)와 드레인(18)을 구성하고 게이트(15)에 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이 형성되도록 하여, 실리콘 기판(11)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20) 형태로 인하여 넓어진 접촉면을 따라 형성된 증가된 양자점(13)에 채널을 통하여 이동하는 전자를 터널 산화막(12)를 관통하여 가둠으로써 더 많은 정보의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나노 피라미드 구조(20)의 표면을 가진 실리콘 기판(11)를 가지고 구성된 부유 게이트 메모리는, 반응성 이온 에칭을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11)을 건식 식각 시켜 나노 피라미드 구조(20)를 형성하고, 나노 피라미드 구조(20)가 형성된 실리콘 기판(11)위에 터널 산화막(12)을 형성하고 상기 터널 산화막(12) 상에 양자점(13)을 형성한 후에, 상기 양자점(13) 상에 컨트롤 절연막(14)을 형성하고 상기 컨트롤 절연막(14) 상에 게이트 전극(15)을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31)위에 구성된 나노 피라미드 형태로 만들어진 표면을 확대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나노 피라미드의 각이 45°와 30°일 경우를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라서 종래의 실리콘 웨이퍼의 평면구조의 표면적을 100으로 기준하였을 때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건식 식각된 나노 피라미드 구조가 45°의 경우에는 141.42로, 30°일 경우에는 115.47로 증가하며, 이에 따라서 실리콘 표면에 양자점의 개수도 증가하게 된다.
<표1> 종래의 평면구조를 갖는 실리콘 웨이퍼와 본 발명에 따라 건식식각된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적 비교
구조 평면구조 30°삼각형구조 45°삼각형구조
표면적 100 115.47 141.42
실리콘 웨이퍼 표면의 최적화된 나노 피라미드 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불화유황(SF6)의 유량이 22sccm, 산소(O2)의 유량의 유량이 12sccm, 그리고 RF 입력파워가 100W 일 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적화로 건식 식각한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구조를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실리콘 웨이퍼의 에칭시 반응 기체의 유량조절과 RF 입력파워의 조절을 통하여 미세한 구조의 나노 피라미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나노 피라미드 표면을 가지는 실리콘의 PL(Photoluminescence) 그래프를 나타내며, 570nm 영역에서 yellow 발산을 확인할 수 있다. 이 PL peak은 SiO2:Si 계면의 지역화된 상태와 실리콘 클러스터(cluster)에서 양자 가둠 현상(quantum confinement effect)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상기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가 양자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식 식각 기술을 통하여 실리콘 웨이퍼 표면을 나노 피라미드 형태의 구조로 만들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기존 차세대 플래시 메모리 중 하나인 부유 게이트 메모리에서 데이터 저장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성 이온 에칭 장 비 내에서 단순한 공정을 통하여 제작이 가능하고, 건식 식각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학물질의 사용량이 적고, 오염물질의 발생도 거의 없으며, 실리콘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를 통하여 양자점과의 접촉 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 방법이 단순하고 저렴하여 실제 사용시에도 적합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ⅰ)진공 상태의 RF 플라즈마 반응관내부의 전극에 실리콘 웨이퍼를 투입하는 웨이퍼 투입 단계;
    ⅱ)상기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부에 불화유황(SF6)과 산소(O2)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 단계;
    ⅲ)상기 가스가 주입된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부에 RF 전력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 단계; 그리고,
    ⅳ) 상기 단계후에 투입되는 불화유황(SF6)과 산소(O2)가스의 유량이 상기 불화유황(SF6) : 산소(O2)가 20~25sccm : 10~15sccm의 가스 분압을 가지도록 조정하고, 상기 RF 플라즈마 반응관 내부에 인가되는 RF 전력을 90~110W로 조정함으로서 조정된 플라즈마를 통하여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나노 피라미드 형태로 건식 식각하는 실리콘 웨이퍼 표면 식각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ⅳ단계에서 상기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로 투입되는 불화유황(SF6)과 산소(O2)가스의 유량은 상기 불화유황(SF6) : 산소(O2)가 22sccm : 12sccm의 가스 분압을 가지도록 조정하고, 상기 RF 플라즈마 반응관(40)내부에 인가되는 RF 전력을 100W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3.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항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나노 피라미드 표면 구조(20)를 가지도록 식각된 실리콘 기판(11)상에 터널 산화막(12)을 형성하고, 상기 터널 산화막(12)상에 양자점(13)을 형성한 후에, 상기 양자점(13)상에 컨트롤 절연막(14)을 형성하고 상기 컨트롤 절연막(14)상에 게이트 전극(15)을 형성하여 정보 저장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유 게이트 메모리.
KR1020050043406A 2005-05-24 2005-05-24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및 이 구조를 이용한 게이트 메모리 KR100789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406A KR100789987B1 (ko) 2005-05-24 2005-05-24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및 이 구조를 이용한 게이트 메모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406A KR100789987B1 (ko) 2005-05-24 2005-05-24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및 이 구조를 이용한 게이트 메모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324A KR20060121324A (ko) 2006-11-29
KR100789987B1 true KR100789987B1 (ko) 2008-01-02

Family

ID=3770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406A KR100789987B1 (ko) 2005-05-24 2005-05-24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및 이 구조를 이용한 게이트 메모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9276B1 (fr) * 2009-08-24 2012-04-06 Ecole Polytech Procede de texturation de la surface d'un substrat de silicium et substrat de silicium texture pour cellule solai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09Y1 (ko) * 2003-11-13 2004-03-04 라병렬 고구마 순 심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09Y1 (ko) * 2003-11-13 2004-03-04 라병렬 고구마 순 심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324A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7553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recess gate
KR100707803B1 (ko) 리세스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90033124A (ko) 반도체장치의 리세스게이트 제조 방법
KR100808049B1 (ko) 실리콘의 금속 마스크 에칭
KR100700332B1 (ko) 플라스크형 리세스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28378B1 (ko) 리세스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10811423B2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structure
US20080268650A1 (en) Triple poly-si replacement scheme for memory devices
KR20070056389A (ko) 플라스크형 리세스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20110171833A1 (en) Dry etching method of high-k film
US785847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recess gate
US20080160766A1 (en) Method for fabricating bulb-shaped recess pattern
CN101202232B (zh) 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及半导体器件
KR100789987B1 (ko) 실리콘 건식식각을 이용한 웨이퍼 표면의 나노 피라미드 구조 형성방법 및 이 구조를 이용한 게이트 메모리
KR100792365B1 (ko)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제조 방법
KR100789988B1 (ko) 실리콘 건식 식각을 이용한 나노 구조의 실리콘 표면형성방법 및 이 나노 구조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의제조방법.
CN101276755B (zh) 形成快闪存储器件的栅极图案的方法
US20050079672A1 (en) Etching method for forming a square cornered polysilicon wordline electrode
KR20060012695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6619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4497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607754B1 (ko)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어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864629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및 그 형성방법
KR100792355B1 (ko) 탑라운드 리세스 패턴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01489A (ko) 플라스크 모양의 리세스게이트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