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145B1 -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145B1
KR100789145B1 KR1020060024727A KR20060024727A KR100789145B1 KR 100789145 B1 KR100789145 B1 KR 100789145B1 KR 1020060024727 A KR1020060024727 A KR 1020060024727A KR 20060024727 A KR20060024727 A KR 20060024727A KR 100789145 B1 KR100789145 B1 KR 10078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wall
impact
elevator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4274A (en
Inventor
정일원
이종복
김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6002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145B1/en
Publication of KR2007009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2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1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3/00Protecting clockworks by shields or other means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magnetic fields
    • G04B43/002Component shock prote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76Decoration of the case and of parts thereof, e.g. as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면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화물의 적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가 되어야 하는 충격 면의 보호를 위한 카펫 층을 가진 충격 면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는 기초 층 및 기초 층 위에 접착된 카펫 층을 포함하는 보호 판; 및 손잡이, 압착 측면 및 내부 공간을 가지는 다수 개의 진공 흡착기를 포함하고, 상기에서 카펫 층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트리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제조된 파일 형태의 직물이 되고 그리고 보호 판은 진공 흡착기의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드는 것에 의하여 충격 면에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act face pro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act face protection device having a carpet layer for protection of an impact face that must be protected from shocks that may occur during loading of cargo. Th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protective plate comprising a foundation layer and a carpet layer bonded over the foundation layer; And a plurality of vacuum adsorbers having a handle, a crimping side and an inner space, wherein the carpet layer is formed of a fabric in the form of a pil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trimethyl terephthalate. And the protective plate is joined to the impact surface by vacuum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vacuum adsorber.

충격 면, 진공 흡착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발포 플라스틱 Impact face, vacuum adsorber,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urethane foamed plastic

Description

충격 면 보호 장치{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도 1은 본 발명의 보호 장치의 보호 판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one embodiment of a protective plate of the protect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판을 승강기의 내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shows an apparatus for securing the protection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분 보호 판을 도시한 것이다. 3 shows a divisional protective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충격 면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화물의 적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가 되어야 하는 충격 면의 보호를 위한 카펫 층을 가진 충격 면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act face pro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act face protection device having a carpet layer for protection of an impact face that must be protected from shocks that may occur during loading of cargo.

본 발명에서 충격 면은 화물 또는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승강기의 내부 벽 또는 바닥 면과 같은 화물의 이송 또는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충격 또는 그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음에 노출된 평면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surface means a plane exposed to vibration, shock or impact sound generated therefrom that may occur during the transport or storage of the cargo, such as the inner wall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the cargo or person.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사람 또는 화물을 상하로 수송하기 위한 장치로 리프트(lift) 또는 엘리베이터(elevator)라고 불린다.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승강기는 특별히 벽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흔하지 아니하므로 벽면 또는 바닥 면이 특별히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파트와 같이 사람의 수송만을 위하여 설치된 승강기의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화물을 운송할 필요가 있게 되고, 그리고 이러한 경우 충격으로부터 승강기의 벽 또는 바닥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화물의 수송만을 위하여 설치된 승강기의 경우에는 특히 화물의 수송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승강기의 내부 면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In general, elevators are devices for transporting people or cargo up and down, called lifts or elevators. Elevators for transporting people are not particularly impacted on the wall, so there is no need for the wall or floor to be particularly protected from impact. However, even in the case of elevators installed only for the transportation of people, such as apartments, it is necessary to carry cargo as needed, and in such a case, a device capable of protecting the wall or floor of the elevator from impact is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or from the impact that may arise from the transportation of the cargo, especially in the case of elevators installed only for the transportation of cargo.

엘리베이터의 내벽을 보호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는 공개번호 10-2000-0065970 "엘리베이터 내벽 보호체"가 있다. 제안된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벽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가 내장된 보호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그리고 상하측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결합봉; 결합봉을 지지하도록 각 모서리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봉; 다수 개의 보호재; 및 보호재의 양쪽 측면에 동일한 형상의 다른 보호재의 부착이 가능한 제1 부착면 및 제2 부착면을 가진 보호체를 특징으로 한다. Prior art for protecting the inner wall of an elevator is the publication number 10-2000-0065970 "elevator inner wall protector". The proposed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rotector with a shock absorbing material embedded i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and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and a length adjustable coupling rod; A support rod vertically installed at each corner to support the coupling rod; A plurality of protective materials; And a protecting body having a first attaching surface and a second attaching surface, which are capable of attaching other protective materials of the same shape to both sides of the protective material.

벽체 및 운반물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선행 기술로는 공개번호 10-2006-0007711 "도어 및 벽체 손상 방지용 매트"가 있다. 제안된 발명은 손상 방지용 매트가 부착되는 흡착면 뒷면으로 자력이 차폐되어 이사짐 등에 포함된 자성 물질 및 가전제품과 같은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 및 벽체 손상 방 지용 매트를 제공한다. Another prior art for preventing damage due to contact of walls and packages is publication number 10-2006-0007711 "mats for preventing door and wall damage". The proposed invention provides a mat for preventing damage to doors and walls that can be safely protected, such as magnetic materials and home appliances, which are shielded by magnetic force on the back of the adsorption surface to which the damage prevention mat is attached.

제안된 선행 발명 또는 공지된 발명은 특별히 충격을 보호하기 위한 소재의 특성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는다. 공지된 충격 보호를 위한 소재는 스티로폼, 두꺼운 종이 또는 합판과 같은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재들은 충격 흡수의 효과 및 외관 면에서 모두 불리한 점을 가진다. 외부 충격으로부터 승강기의 내벽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충격 흡수 효율, 설치 및 분리의 용이성 및 외관의 적합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선행 기술들은 장치가 가져야할 이와 같은 전체적인 기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공지 기술이 가진 보호 소재의 문제점 및 분리 가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The proposed prior or known invention does not disclose in particular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for protecting the impact. Known impact protection materials are such as styrofoam, paperboard or plywood. However, such materials have disadvantages in terms of both the effect of shock absorption and the appearance.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from external impacts should have shock absorption efficiency, ease of installation and detachment and suitability of appearance. The disclosed prior ar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such an overall function that the device should ha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otective material with the known technology and the difficulty of sepa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 직물의 카펫 층으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 층 및 충격 흡수 층을 충격 면에 설치하기 위한 진공 흡착기를 가진 충격 면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act side protective device with a vacuum absorber for installing an impact absorbing layer consisting of a carpet layer of pile fabric and an impact absorbing layer on the impact sid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초 층 및 기초 층 위에 접착된 카펫 층을 포함하는 보호 판; 및 손잡이, 압착 측면 및 내부 공간을 가지는 다수 개의 진공 흡착기를 포함하고, 상기에서 카펫 층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트리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제조된 파일 형태의 직물이 되고 그리고 보호 판은 진공 흡착기의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드는 것에 의하여 충격 면에 결합이 된다. According to a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tective plate comprising a foundation layer and a carpet layer bonded over the foundation layer; And a plurality of vacuum adsorbers having a handle, a crimping side, and an inner space, wherein the carpet layer is formed of a fabric in the form of a pil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trimethyl terephthalate. And the protective plate is bonded to the impact surface by vacuum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vacuum adsorber.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진공 흡착기는 보호 판의 위쪽에 일정 간격으로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보호 판의 측면 가장 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adsorber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bove the protective plate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t the side edge of the protective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호 판은 다수 개의 구분 보호 판으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plate consists of a plurality of divisional protective plates.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초 층 및 카페 층이 일체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ndation layer and the cafe layer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수 개의 구분 보호 판의 각각은 접합 면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sional protection plates comprises a joining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합 면은 벌크로 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joining surface comprises bulk tape or double sided tape.

본 발명에서 충격 면은 화물 또는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승강기의 내부 벽 또는 바닥 면과 같은 화물의 이송 또는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충격 또는 그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음에 노출된 평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승강기의 내벽 또는 바닥 면을 예시적인 실시 예로 제시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충격 면은 이에 제한이 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surface means a plane exposed to vibration, shock or impact sound generated therefrom that may occur during the transport or storage of the cargo, such as the inner wall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for transporting the cargo or pers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wall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is shown as an exemplary embodiment, but the impact surfa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is not limited thereto.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로서 상세하게 설명이 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보호 장치의 보호 판(10)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one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plate 10 of the protect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보호 판(1)은 경량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된 기초 층(11) 및 카페 층(13)을 포함한다. 기초 층(11)은 임의의 공지된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가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발포 플라스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발포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보호 판(1)이 승강기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는 특별히 큰 무게를 가진 화물이 수송이 되는 경우라는 점을 고려할 때 또한 파손으로 인하여 재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초 판(11)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기초 층(11) 위쪽으로 카펫 층(13)이 접착이 된다. 카펫 층(13)은 아크릴과 같은 접착제로 기초 층(11) 위에 접착될 수 있지만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이 될 수 있다. 카페 층(13)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트리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제조된 파일 조직을 가질 수 있다. 파일 조직을 가진 카펫 층(13)은 바람직하게는 표면이 코팅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rotective plate 1 includes a base layer 11 and a cafe layer 13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lightweight plastic. The base layer 11 may b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ny known plastic or rubber but preferably may be a foamed plastic. And foamed plastics include polypropylene or polyurethane foamed plastics. When the protective plate 1 is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onsidering that the cargo with a particularly large weight is to be transported, and also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to reuse due to breakage, the base plate 11 is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waste plastic. The carpet layer 13 is bonded onto the foundation layer 11. The carpet layer 13 may be adhered onto the base layer 11 with an adhesive such as acrylic but may be adhered using double sided tape. The cafe layer 13 may have a pile structur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trimethyl terephthalate fibers. The carpet layer 13 with pile tissue may preferably be coated on its surface.

보호 판(1)은 다수 개의 설치 홀을 포함한다. 설치 홀은 보호 판(1)의 위쪽 부분, 가장 자리 부분, 중앙 부분 또는 아래쪽 부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설치 홀은 아래에서 설명을 하는 것처럼 진공 흡착기가 설치되어 보호 판(1)을 승강기의 내벽 또는 바닥 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protective plate 1 includes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The installation holes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per part, the edge part, the center part or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ive plate 1. The installation holes arranged in this way are provided with a vacuum adsorber as described below to fix the protection plate 1 to the inner wall or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도 1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기초 층(11) 및 카펫 층(13)이 분리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카펫 층(13)은 기초 층(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카펫 층(11)은 일반적으로 표면 섬유 층과 백킹 층(backing layer)으로 나누어지므로 기초 층(11)은 백킹 층이 기초 층을 대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킹 층이 기초 층(11)을 대치하는 특별히 백킹 층이 충격 및 소음 흡수 층의 기능을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두께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별히 화물 전용의 승강기 또는 대형 승강기의 경우에는 탄성 소재의 기초 층(11)의 별도로 형성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카펫 층(13)이 파일 조직을 가짐으로 대부분의 충격 및 소음이 흡수되고 그리고 기초 층(11)은 전달된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 및 탄성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보호 판(1)은 필요에 따라 다수 개의 진공 흡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진공 흡착 수단은 진공 흡착 고무가 된다. 진공 흡착 고무를 대신하여 또는 함께 밴드 형태의 자석 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Although the base layer 11 and the carpet layer 13 are separat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carpet layer 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layer 11 as necessary. The carpet layer 11 is generally divided into a surface fiber layer and a backing layer so that the backing layer 11 can replace the backing layer. Thus, the thickness needs to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backing layer replaces the foundation layer 11 and in particular the backing layer functions as a shock and noise absorbing layer. Howev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levators or large lifts dedicated to freight, it is advantageous that the foundation layer 11 of elastic material be formed separately. It is advantageous for the carpet layer 13 to have a pile structure so that most impact and noise are absorbed and the foundation layer 11 has sufficient thickness and elasticity to mitigate the transmitted impact and noise. The protective plate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cuum adsorption means as necessary, and the vacuum adsorption means is preferably a vacuum adsorption rubber. In place of or together with the vacuum absorbing rubber, a band-shaped magnetic tape may be installed.

도 1에서 제시한 접착 부분(14), 진공 흡착 수단(15) 또는 밴드 형태의 자석 테이프는 벽면에 대한 부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적당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 부분(14)은 필요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The adhesive portion 14, vacuum suction means 15, or band-shaped magnetic tape shown in FIG. 1 may be formed in a number of suitable shapes as necessary to improve adhesion to the wall. However, the adhesive portion 14 may not be formed as necessary.

보호 판(1)은 적당한 고정 장치에 의하여 충격 면에 설치되어야 한다. The protective plate 1 is to be installed on the impact surface by means of a suitable fix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판(1)을 승강기의 내벽(21)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2 shows an arrangement for securing the protection plat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the inner wall 21 of the elevator.

도 2를 참조하면, 보호 판(1)은 진공 흡착기(23)에 의하여 승강기의 내벽(21) 또는 바닥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진공 흡착기(23)는 손잡이(23a) 및 압착 측면(23b)을 포함한다. 진공 흡착기(23)는 보호 판(1)의 설치 홀(24)을 통하여 압착 측면(23b)이 내벽(21)과 접촉이 되도록 한다. 손잡이(23a)는 덮개 또는 마개의 역할을 하고 압착 측면(23b)은 공기압을 작용시켜 진공 흡착기(23)가 승강기의 내벽(21)에 밀착되도록 만든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보호 판(1)이 내벽(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진공 흡착기(23)는 보호 판(1)과 분리되어 보호 판(1)을 내벽(21)에 고정하는 경우에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보호 판(1)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진공 흡착기(21)가 보호 판(1)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진공 흡착기(21)는 고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서 표면을 통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소재로 제조되어야 한다. 진공 흡착기(23)의 전체적인 형태는 손잡이(23a) 부분이 정점이 되는 원뿔 형태가 되고 압착 측면(23b)은 내부 공간(V)을 형성한다. 보호 판(1)을 내벽(21)에 설치하는 경우 손잡이(23a)를 열면서 진공 흡착기(23)를 내벽(21) 방향으로 압착시키면 내부 공간(V)에 체류하는 공기는 공기 관로(도시되지 않음)를 외부로 유출된다. 이로 인하여 내부 공간(V)은 진공 상태가 되면서 압착 측면(23b)이 내벽(21)에 밀착이 되어 보호 판(1)이 내벽(21)에 고정이 된다. 그리고 손잡이(23a)를 닫고 보호 판(1)이 내벽(2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진공 흡착기(23)의 압착은 기계적으로 또는 사람의 손으로 압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 흡착기(23)는 빨판으로 알려진 공지의 밀착 수단으로 대치될 수 있지만 보호 판(1)의 전체 무게를 고려할 때 효과적으로 보호 판(1)을 내벽(21)에 고정시키기 어려울 것이다. 진공 흡착기(23)로 보호 판(1)을 내벽(21)에 고정시키는 경우 손잡이(23a)의 안쪽 면 및 압착 측면(23a)의 아래쪽 가장 자리 부분에는 오일 또는 물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여 공기가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V)으로 유입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protection plate 1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21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by the vacuum adsorber 23. The vacuum adsorber 23 includes a handle 23a and a pressing side 23b. The vacuum adsorber 23 allows the pressing side 23b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21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24 of the protective plate 1. The handle 23a acts as a cover or stopper and the compression side 23b acts on air pressure to bring the vacuum adsorber 23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21 of the elevator. And thereby the protection plate (1) to be fixed to the inner wall (21). The vacuum adsorber 23 may be installed only when the protection plate 1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plate 1 to fix the protection plate 1 to the inner wall 21. Preferably, the vacuum adsorption unit 21 is firmly attached to the protection plate 1. ) May be a component of the protective plate 1. Vacuum adsorber 21 is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that blocks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surface. The overall shape of the vacuum adsorber 23 is in the form of a cone in which the handle 23a portion is apex, and the pressing side 23b forms an inner space V. As shown in FIG. When the protective plate 1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21, the vacuum adsorber 23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wall 21 while the handle 23a is opened, and the air remaining in the interior space V is not connected to the air pipe (not shown). Is leak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inner space V is in a vacuum state, and the pressing side surface 23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21 so that the protective plate 1 is fixed to the inner wall 21. Then, the handle 23a is closed and the protection plate 1 is fixed to the inner wall 21 to be maintained. Compression of the vacuum adsorber 23 may be accomplished by mechanically or by means of human hands. The vacuum adsorber 23 may be replaced by a known contact means known as a sucker, but it will be difficult to effectively secure the protection plate 1 to the inner wall 21 in view of the total weight of the protection plate 1. When the protection plate 1 is fixed to the inner wall 21 by the vacuum adsorber 23,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23a and the lower edge of the pressing side 23a by using a liquid such as oil or water. It shall be prevented from entering into the internal space (V) from the outside.

진공 흡착기(23)는 보호 판(1)의 위쪽 부분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거나 또는 측면 가장 자리에 세로 방향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중앙 부분에 가로 방향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보호 판(1)의 내벽(21)에 대한 견고한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vacuum adsorber 23 may be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ve plate 1 or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ide edges. If necessary, a plurality of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can be improved to secure a firm fixing to the inner wall (21) of the protective plate (1).

승강기의 크기는 설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가 될 수 있다. 대형 승강기의 경우 하나의 보호 판(1)을 승강기의 하나의 내벽(21)에 부착시키면 접착력 및 보호 판(1)의 관리 및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형 승강기의 경우 다수 개의 보호 판이 내벽 또는 바닥 면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The size of the elevator can be of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pplication. In the case of a large elevator, if one protective plate 1 is attached to one inner wall 21 of the elevator, problems may arise in adhesion and management and adhesion of the protective plate 1. Therefore, in the case of large lifts, a plurality of protection plates need to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r the bottom surfa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분 보호 판(1a, 1b, 1c)을 도시한 것이다. 3 shows the divisional protective plates 1a, 1b and 1c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구분 보호 판(1a, 1b, 1c)의 각각은 진공 흡착기(23a, 23b, 23c) 및 접착 면(31a, 31b, 31c)을 포함한다. 접착 면(31a, 31b, 31c)은 서로 다른 보호 판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벌크로 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 면(31a, 31b, 31c)은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보호 판(1a, 1b, 1c)의 가장 자리에 인접하는 부분에 세로 방 향으로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벌크로 테이프가 설치되는 경우 보호 판(1a)에는 양의 벌크로 면 그리고 다른 보호 판(1b)은 음의 벌크로 면이 형성이 되어 두 개의 보호 판(1a, 1b)이 결합될 수 있다. 벌크로 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보호 판을 결합하는 것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each of the divisional protective plates 1a, 1b and 1c includes vacuum adsorbers 23a, 23b and 23c and adhesive surfaces 31a, 31b and 31c. The adhesive faces 31a, 31b, 31c are for joining different protective plates, for example, bulk tape or double-sided tape may be used. The adhesive faces 31a, 31b, 31c may be formed in any shape, but preferably a plurality of adhesive faces 31a, 31b, 31c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portion adjacent to the edge of each of the protective plates 1a, 1b, 1c. . When the bulk tape is installed, the protective plate 1a is formed with a positive bulk surface and the other protective plate 1b is formed with a negative bulk surface so that the two protective plates 1a and 1b may be combined. Joining two different protective plates using bulk tape or double-sided tape can be accomplished according to any method known in the art.

제시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승강기의 측면 벽에 보호 판을 설치하는 것은 승강기의 전면에 설치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승강기의 바닥 면에도 보호 판이 설치될 수 있다. 바닥 면에 보호 판을 설치하는 경우 특별히 조절 봉이 필요하지 않으며 전면 또는 측면 보호 판의 아래쪽에 형성된 벌크로 면과 바닥 면에 설치되는 보호 판의 대응되는 벌크로 면을 접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tallation of the protection plate on the side wall of the elevator can be made in the same way as the installation on the front of the elevator. In addition, a protective plate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protective plate on the bottom surface, no adjustment rod is required, and a method of bonding the surface to the bulk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or side protective plate and the corresponding bulk of the protective plat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can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는 승강기 내부의 전면, 측면, 바닥 면 또는 작동 기구 설치 면에 부착이 될 수 있다. 또한 형태를 적절히 변형하여 화물이 이동되는 복도와 같은 곳의 벽면 또는 바닥 면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승강기의 외부 홀의 벽면 또는 승강기에서 각각의 아파트에 이르는 통로 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는 아파트의 현관 벽면 또는 바닥 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격 면에 설치되는 보호 장치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side, bottom or inner working surface of the elevator. It can also be installed on the wall or floor surface of a place, such as a corridor, where the cargo moves, as well as on the wall surface of, for example, the outer hall of the elevator, or the passage surface from the elevator to each apartment. In addition, th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wall or floor of the apartment. The protective device installed on the impact surface may be installed in a detachable form.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embodiments presented above. The present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는 파일 조직은 가진 카펫 층을 포함하여 충격 및 흡음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는 다양한 벽면 또는 바닥 면에 설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승강기의 벽면 외관의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Th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impact and sound absorption functions are sufficiently exhibited by including a carpet layer with pile tissue. And th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installed on various wall or floor surfaces that need to be protected from impact. In additio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wall appearance of the elevator from being damaged.

Claims (7)

흡음 및 충격 흡수를 위한 충격 면 보호 장치에 있어서, In the shock surface protection device for sound absorption and shock absorption,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 플라스틱 소재의 기초 층 및 기초 층 위에 적층된 카펫 층을 포함하는 보호 판; A protective plate comprising a base layer of polypropylene or polyurethane foamed plastic material and a carpet layer laminated on the base layer; 손잡이, 압착 측면 및 내부 공간을 가지고, 보호 판이 충격 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진공 흡착기를 포함하고, A plurality of vacuum adsorber having a handle, a pressing side and an inner space, the protective plate being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mpact surface, 상기에서 카펫 층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트리메틸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섬유로 제조된 파일 형태의 직물이 되고 그리고 보호 판은 진공 흡착기의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드는 것에 의하여 충격 면에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면의 보호 장치. The carpet layer is in the form of a fabric in the form of a pile made of at least one fi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trimethyl terephthalate and the protective plate to vacuum the internal space of the vacuum adsorber. Protective device of the impac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impact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진공 흡착기는 보호 판의 위쪽에 일정 간격으로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보호 판의 측면 가장 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장치. Th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cuum adsorber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bove the protection plate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t the side edge of the protection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 판은 다수 개의 구분 보호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장치. Th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on plate consists of a plurality of division protection plates. 삭제delete 청구항 3에 있어서, 다수 개의 구분 보호 판의 각각은 접합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장치. 4. A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tinctive protective plates comprises a joining surface. 청구항 5에 있어서, 접합 면은 벌크로 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보호 장치. A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joining surface comprises bulk tape or double sided t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충격 면은 승강기 내부의 전면, 측면, 바닥 면 또는 작동 기구 설치 면, 화물이 이동되는 복도의 벽면 또는 바닥 면, 승강기의 외부 홀의 벽면 또는 승강기에서 각각의 아파트에 이르는 통로 면, 또는 아파트의 현관 벽면 또는 바닥 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장치.The impact surfa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pact surface is the front, side, floor or actuator installation surface inside the elevator, the wall or floor surface of the hallway through which cargo is moved, the wall surface of the elevator's outer hall or the passage surface from the elevator to each apartment, Or a front wall or floor surface of the apartment.
KR1020060024727A 2006-03-17 2006-03-17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KR1007891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27A KR100789145B1 (en) 2006-03-17 2006-03-17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27A KR100789145B1 (en) 2006-03-17 2006-03-17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274A KR20070094274A (en) 2007-09-20
KR100789145B1 true KR100789145B1 (en) 2007-12-28

Family

ID=3868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727A KR100789145B1 (en) 2006-03-17 2006-03-17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1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74B1 (en) * 2015-12-22 2020-04-08 (주)엘지하우시스 Protecting panel for elev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614A (en) 1978-07-21 1980-02-12 Daikyo Kk Mat for automobile
JPH07229053A (en) * 1994-02-16 1995-08-29 Ikeda Bussan Co Ltd Formed carpet
KR20000065970A (en) * 1999-04-12 2000-11-15 최재영 Inner Wall Protector for Elevator
KR20060007711A (en) * 2004-07-21 2006-01-26 대보마그네틱 주식회사 A damage prevent mattress of door and wa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614A (en) 1978-07-21 1980-02-12 Daikyo Kk Mat for automobile
JPH07229053A (en) * 1994-02-16 1995-08-29 Ikeda Bussan Co Ltd Formed carpet
KR20000065970A (en) * 1999-04-12 2000-11-15 최재영 Inner Wall Protector for Elevator
KR20060007711A (en) * 2004-07-21 2006-01-26 대보마그네틱 주식회사 A damage prevent mattress of door and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274A (en)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5367U (en) Insulating heat insulating plate and heat insulating box, wall plate or floor plate using the heat insulating plate
KR100743984B1 (en) Assembling-type mat block
JP2014514763A5 (en)
KR200405634Y1 (en) Flooring pad having air-groove
KR100789145B1 (en)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US6090462A (en) Shock absorbing carpet system
JPS63107649A (en) Floor material
KR100789151B1 (en) An Structure with Capet Layer for Protecting Lift-walls
KR100731989B1 (en)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KR100731990B1 (en)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KR20070109754A (en) Assembling-type mat block
KR100789144B1 (en) An Apparatus for Protecting Impacted walls
KR100701803B1 (en) An Structure with Capet Layer for Protecting Lift-walls
KR100751886B1 (en) A mat for protecting entering floor
TWM635778U (en) Sound insulation mat sealing structure
KR100824977B1 (en) A Capet Layer Set for Protecting Inner Walls of an Elevator
KR100731988B1 (en) An structure with capet layer for protecting lift-walls
KR100853037B1 (en) The structure of duplication floor
JP2627680B2 (en) Wooden soundproof floor structure
KR101183088B1 (en) Noise-insulator/shock-absorber having waterproof tape f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 side using the same
KR101265917B1 (en) Side shock aborbing material filling up the gap between side-wall and soundproofing materia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ide floor using the same
KR101481691B1 (en) Device for reducing noises through floor
KR102658333B1 (en) Floor Buffer Structure capable of Dispersing Shock through Air Lay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556076B1 (en) The shock-absorbing sheet of the hypocaust floor
JPH1176452A (en) Shock absorbing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