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902B1 - Wall mounting type winch - Google Patents

Wall mounting type wi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902B1
KR100782902B1 KR1020060077390A KR20060077390A KR100782902B1 KR 100782902 B1 KR100782902 B1 KR 100782902B1 KR 1020060077390 A KR1020060077390 A KR 1020060077390A KR 20060077390 A KR20060077390 A KR 20060077390A KR 100782902 B1 KR100782902 B1 KR 100782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pulley
win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진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Priority to KR102006007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9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4Driving gear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16Manually or spring operated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A wall-mounted winch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near a work place where a pulling load is applied without using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 stand. A wall-mounted winch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10), a second support body(20), a winch block(30), and a pulling rope. The first support body includes a first frame(11), a pulley arm(12), a first pulley(13), and a connecting rod(14). The second support body includes a second frame(21), a connecting hole(22), a fixing member(23), a fastening member(24), and a second pulley(25). The winch block is installed in the second frame to provide the pulling force of a weight. The pulling rope is mounted along the winch block, the second pulley, and the first pulley to pull the weight.

Description

벽체 장착형 윈치{Wall Mounting Type Winch}Wall Mounting Type Winch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윈치의 분해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winc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윈치의 일부 평면도, 2 is a partial plan view of an exemplary winc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윈치의 사용상태 측면도,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wi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제1 풀리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first pulle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윈치블록의 측면도. Figure 5 is a side view of an exemplary winch blo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본 발명의 윈치 2: 벽체 2a: 벽체의 일측면1: winch of the invention 2: wall 2a: one side of a wall

2b: 벽체의 상벽 2c: 벽체의 타측면 3: 중량체2b: upper wall of the wall 2c: other side of the wall 3: weight

10: 제1 지지체 11: 제1 프레임 12: 풀리암10: first support 11: first frame 12: pulley

13: 제1 풀리 13a: 풀리 하우징 13b: 풀리13: first pulley 13a: pulley housing 13b: pulley

13c: 가이드롤러 13d: 록커 13e: 조립구13c: guide roller 13d: rocker 13e: assembly

14: 연결봉 20: 제2 지지체 21: 제2 프레임14: connecting rod 20: second support 21: second frame

21a: 제2 프레임의 상변 21b: 제2 프레임의 하변21a: upper side of the second frame 21b: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22: 연결공 23: 고정구 23a: 나사공22: connector 23: fixture 23a: screw hole

23b: 고정나사 24: 조임구 24a: 나사공23b: set screw 24: tightening hole 24a: screw hole

24b: 볼트 24c: 핸들 24d: 원판24b: bolt 24c: handle 24d: disc

24e: 받침대 25: 제2 풀리 30: 윈치블록24e: base 25: second pulley 30: winch block

31: 브래킷 31a, 31b: 바 32: 드럼31: Bracket 31a, 31b: Bar 32: Drum

33: 기어박스 34: 핸들 35: 스프링 33: gearbox 34: handle 35: spring

36: 고정나사 37: 요부 38: 받침대36: fixing screw 37: main part 38: pedestal

40: 권양로프 41: 고리 40: winch rope 41: hook

(기술분야)(Technology)

본 발명은 윈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 인접한 벽체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저중량 중량체를 권양할 수 있는 벽체 장착형 윈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mounted winch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a wall adjacent to the work site to reel low weight weights.

(배경기술)(Background)

중량체를 들어 올리는 장치로서 크레인(기중기, 호이스트)이나 윈치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크레인이나 윈치는 그 사용 목적과 장소 및 취급되는 중량체의 하중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어 있다. Cranes (lifters, hoists), winches and the like are widely used as lifting devices for weights, and cranes and winches have been developed in a wide variety of typ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location, and weight of the weight to be handled.

공장과 같은 각종 작업현장에서는 수백 킬로그램에서 수 톤에 달하는 고중량의 중량체를 운반하는 작업뿐만 아니라 인력으로 이동시키기에는 다소 무거운 예를 들어 100kg 내외의 저중량 중량체를 운반하여야 하는 작업이 수반된다.Various workplaces, such as factories, involve carrying heavy weights ranging from hundreds of kilograms to tonnes, as well as carrying heavy weights, for example, around 100 kg, which are rather heavy to move by manpower.

이와 같은 저중량의 중량체를 인력으로 운반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크레인이나 윈치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저중량 중량체의 운반에 대용량 크레인이나 윈치를 사용하는 것은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The use of such a crane or winch is recommended if possible to transport such a low weight body by humans. However, it is recommended to use a crane or winch as much as possible. Not only is it difficult to obtain, but is also undesirable in terms of work efficiency.

이런 배경 하에서 저중량 중량체를 취급하는 것에 효율적인 소규모 크레인이나 윈치 등이 널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소규모 크레인이나 윈치들은 비록 저중량 중량체를 들어올리기에는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고 하더라도, 장치를 구성하는 기기들이 스탠드나 차량 등과 같은 체적이 큰 구조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장치를 위치시킬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작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고, 또한 많은 점유면적을 차지하여 운반과 보관이 번거롭다고 하는 한계가 있다. Under these backgrounds, small scale cranes and winches, which are effective for handling low weight weights, have been widely developed and used. However, although these conventional small scale cranes or winches have been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lifting low weights,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device are usually installed in a large volume structure such as a stand or a vehicle.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use in a working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to be filled, and also occupies a large occupied area, which is cumbersome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본 발명의 목적은, 저중량 중량체의 권양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된 종래 소규모 크레인이나 윈치들에 내포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양작업현장 주변에 위치하는 벽체에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저중량 중량체의 권양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작업 후에는 분리하여 편리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는 벽체 장착형 윈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small-scale crane or winch developed for use in the lifting of low weight weight body, it is easy to pre-installed on the wall located around the lifting work site It is to provide a wall-mounted winch that can be carried out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ow weight weight body, and can be conveniently transported and stored after th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라 벽체 장착형 윈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wall mounted winch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장착형 윈치는, 제1 지지체, 제2 지지체, 윈치블록 및 권양로프를 포함한다. The wall-mounted wi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a second support, a winch block and a lifting rope.

상기 제1 지지체는, 벽체의 일측면과 상면에 걸쳐 올려지는 제1 프레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신장된 풀리암, 상기 풀리암에 설치된 제1 풀리,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길게 신장된 연결봉을 포함한다. The first support includes a first frame mounted on one sid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wall, a pulley extending from the frame, a first pulley installed on the pulley, and a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he frame.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벽체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봉이 입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공, 상기 연결공에 삽입된 상기 연결봉을 고정시키는 고정구,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조임구, 상기 제1 풀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된 제2 풀리를 포함한다. The second support is connected to a second fram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in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ng rod is inserted and retractable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ball, a fastener for fixing the connecting ro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a fastener formed in the second frame and fasten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firmly to the wall with the wall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pulley installed in the second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ey.

상기 윈치블록은,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어 중량체의 권양력을 제공한다. The winch block is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to provide a lifting force of the weight body.

상기 권양로프는, 상기 윈치블록, 상기 제2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에 걸쳐 장착되어 상기 중량체를 권양한다. The hoisting rope is mounted over the winch block, the second pulley and the first pulley to wind the weight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조임구는,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된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에 나사 결합된 볼트 및 상기 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를 조이면, 상기 볼트가 상기 벽체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벽체에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Preferably, the fastener includes a screw hole formed in the second frame, a bolt screwed to the screw hole, and a handle for rotating the bolt. When the bolt is tightened, the bolt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wall. To firmly fix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to the wall.

바람직하게, 상기 윈치블록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변과 하변 사이에 탄성 적으로 걸어서 고정하는 브래킷, 상기 권양로프가 감기는 드럼, 상기 드럼에 상기 권양로프가 감기고 풀리도록 하고 의도하지 않게 상기 권양로프가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를 통해 상기 드럼을 돌리는 핸들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winch block, a bracket for elastically walking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the drum winding the hoisting rope, the winding of the hoisting rope to the drum unwinding and unintentionally the winch A gearbox that prevents ropes from releasing from the drum, and a handle that rotates the drum through the gearbox.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장착형 윈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윈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wall-mounted wi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wi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장착형 윈치(1)는, 권양 작업이 있는 주변의 벽체(2)를 지지체로 활용하여 설치되는 윈치로서, 기본적으로 윈치(1)를 벽체(2)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제1 지지체(10) 및 제2 지지체(20)와, 중량체(3)를 권양하기 위한 윈치블록(30) 및 권양로프(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wall-mounted winch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nch that is installed by utilizing a wall 2 around the lifting operation as a support, and basically the winch 1 In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first support 10 and the second support 20 for firmly mounting on the wall (2), the winch block 30 and the lifting rope 40 for winding the weight (3) It is.

제1 지지체(10)는, 제1 프레임(11), 풀리암(12), 제1 풀리(13) 및 연결봉(14)을 포함한다. The first support 10 includes a first frame 11, a pulley arm 12, a first pulley 13, and a connecting rod 14.

제1 프레임(11)은 벽체(2)의 일측면(2a)과 상면(2b)에 걸쳐 올리어지는 골격부재로서, 중량체(3)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강재 파이프 등으로 일측면(2a)에 면하는 4각 측면골격을 형성하고 4각 측면골격의 상단에 강재 파이프 등을 덧붙여 상면(2b)에 면하는 상면골격을 형성함으로써, 측면에서 볼 때 벽체(2)의 종단면 윤곽에 대응하는 대략 L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프레임(11)의 형상은 제2 프레임(21)과 협력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면 족할 뿐, 그 형상이 첨부도면의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The first frame 11 is a skeletal member which is raised over one side 2a and the upper surface 2b of the wall 2 and is made of a steel pipe or the like having sufficient strength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weight 3. By forming a quadrilateral skeleton facing the side face 2a and adding a steel pipe or the like to the top of the quadrilateral skeleton to form a top skeleton facing the upper face 2b, the longitudinal profile of the wall 2 is viewed from the side. It can be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L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frame 11 is sufficient as long as it can form a support structure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frame 21, and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프레임(11)의 일측(바람직하게 상단)으로부터는 권양할 중량체(3) 쪽으로 풀리암(12)이 길게 신장되어 있고, 풀리암(12)의 단부에는 권양로프(40)가 걸리는 제1 풀리(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풀리암(12)을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길게 신장시키는 이유는, 권양로프(40)의 고리(41)에 걸려 권양되는 중량체(3)가 벽체(2)에 부딪히는 등 권양작업에 벽체(2)가 장해물이 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From the one side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11, the pulley arm 12 is elongated toward the weight body 3 to be wound, and the end of the pulley arm 12 is caught by the lifting rope 40. 1 pulley 13 is provided rotatably. The reason why the pulley arm 12 is elongated from the first frame 11 is that the weight body 3 caught by the hook 41 of the hoisting rope 40 hits the wall 2 such as the wall for lifting. This is to minimize the obstacle (2).

제1 풀리(13)는 이후에서 설명될 윈치블록(30)으로부터 제2 풀리(25)를 거쳐 수평으로 뻗은 권양로프(40)를 수직방향으로 방향 전화시키는 풀리로서,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하우징(13a) 내에 2개의 풀리(13b)가 나란히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The first pulley 13 is a pulley for vertically turning the hoisting rope 4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winch block 30 to the horizontal through the second pulley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wo pulleys 13b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in 13a).

제1 풀리(13)의 하우징(13a)에는 풀리(13b)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권양로프(40)가 향하는 쪽 양측에 가이드롤러(13c)를 설치하여 권양로프(4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중량체(3)의 흔들림으로 인한 권양로프(40)의 흔들림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롤러(13c)의 단부에는 록커(13d)를 설치하여 권양로프(40)가 가이드롤러(13c)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3e는 풀리암(12)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구이다. In the housing 13a of the first pulley 13, guide rollers 13c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isting rope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pulley 13b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hoisting rope 40 and the weight thereof.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shaking of the hoisting rope 40 due to the shake of the sieve 3, and the locker 13d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uide roller 13c so that the hoisting rope 40 is removed from the guide roller 13c. It is desirable to block the deviation. Reference numeral 13e denotes an assembly tool for assembling to the pulley arm 12.

본 발명의 윈치(1)는 벽체(2)에 고정시켜 사용되는 윈치이므로, 윈치(1)를 벽체(2)에 설치할 때 벽체(2)의 두께에 따라 제1 지지체(10)와 제2 지지체(20)의 간격을 조절하고 조절된 간격을 고정 및 해제시킬 필요가 있는바, 상기 연결봉(14) 은 이후에 설명될 제2 지지체(20)의 연결공(22) 및 고정구(23)와 협력하여 제1 지지체(10)와 제2 지지체(20)를 간격 조절 가능하게 조립함과 아울러 조절된 간격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부재이다. Since the winch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nch used to be fixed to the wall 2, the first support 10 and the second suppor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2) when the winch 1 is installed on the wall (2)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20 and to fix and release the adjusted spacing, the connecting rod 14 cooperates with the connecting hole 22 and the fixture 23 of the second suppor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assembling the first support 10 and the second support 20 so that the gap can be adjusted, and the member to act to fix the adjusted gap.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연결봉(14)으로서 제1 프레임(11)의 상단으로부터 벽체(2)의 타측면(2c) 쪽으로 길게 신장된 2개의 봉을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구체예의 연결봉(14)은 한쌍의 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봉을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배제되지 아니한다. 다만, 1개의 봉만을 설치할 경우 제1 프레임(11)에 대해 제2 프레임(21)이 회전모멘트를 받아 조립이 불편하고 구조적으로 취약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3개 이상의 봉을 설치할 경우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2개의 봉이 적합하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ng rod 14 illustrates two rods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11 toward the other side 2c of the wall 2. Although the connecting rod 14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composed of a pair of rods, it is not excluded to install one or three or more rods. However, when only one rod is installed, the second frame 21 receives a rotation mo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11, and thus, the assembly is inconvenient and structurally weak, which is undesirable. The two rods are suitable becaus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assembly process becomes difficult.

벽체(2)를 사이에 두고 제1 지지체(10)와 조립되는 제2 지지체(20)는, 제2 프레임(21), 연결공(22), 고정구(23), 조임구(24), 및 제2 풀리(25)를 포함한다. The second support body 20 assembled with the first support body 10 with the wall 2 therebetween includes a second frame 21, a connection hole 22, a fastener 23, a fastener 24, and And a second pulley 25.

제2 프레임(21)은 벽체(2)의 타측면(2c) 쪽에 설치되는 골격부재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3)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강재 파이프 등으로, 제1 프레임(11)에 대응하는 크기로 타측면(2c)에 면하는 4각 골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1)의 형상도 제1 프레임(11)과 협력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면 족할 뿐, 그 형상이 첨부도면의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The second frame 21 is a skeleton memb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ther side 2c of the wall 2, and as shown, is made of a steel pipe or the like having sufficient strength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weight 3. It can be formed in a quadrilateral skeleton facing the other side 2c in a size corresponding to one frame 11. The shape of the second frame 21 is also sufficient as long as the support structure can be formed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frame 11,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2 프레임(21)에는 연결공(22)과 고정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공(22)은 고정구(23) 및 연결봉(14)과 협력하여 제1 지지체(10)와 제2 지지체(20)를 간격 조절 가능하게 조립함과 아울러 조절된 간격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The connection hole 22 and the fastener 23 are formed in the 2nd frame 21.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hole 22 cooperates with the fixture 23 and the connecting rod 14 to assemble the first support 10 and the second support 20 to adjust the spacing and to fix the adjusted spacing. It works.

도시된 구체예에서 연결공(22)은, 연결봉(14)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 프레임(21: 도면에서는 제2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봉(14)이 삽입되어 자유롭게 입출하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on hole 22 is formed as a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rod 14 is inserted into and freely inserted into the second frame 21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rame in the draw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rod 14. have.

고정구(23)는 연결공(22)에 삽입된 연결봉(14)을 제2 프레임(21)에 고정시키고 해제하는 부재이다. 도시된 구체예의 고정구(23)는 연결공(22)으로 관통하는 나사공(23a)을 제2 프레임(21)에 형성하고 여기에 고정나사(23b)를 체결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로써 고정나사(23b)를 풀면 연결봉(14)에 대해 연결공(22)을 자유로이 입출 시켜 제1 지지체(10)와 제2 지지체(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고정나사(23b)를 조이면 제1 지지체(10)와 제2 지지체(20)의 위치가 고정된다. 물론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구(23)도 연결공(22)에 삽입된 연결봉(14)을 고정시킬 수 있으면 족하고, 첨부도면의 구조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The fixture 23 is a member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connecting rod 14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22 to the second frame 21. The fastener 23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screw hole 23a penetrating through the connecting hole 22 is formed in the second frame 21 and a fixing screw 23b is fastened thereto. When the 23b is released, the connection hole 22 can be freely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connecting rod 14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10 and the second support 20. When the fixing screw 23b is tightened, the first support can be adjusted. The positions of the 10 and the second support 20 are fixed. Of course, the fastener 23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sufficient to be able to fix the connecting rod 14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22, and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고정구(23)로 연결공(22)에 연결봉(14)을 고정시킨 상태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의 조립으로 벽체(2)를 위로부터 감싸서 어느 정도 벽체(2)에 고정시킨 상태일 뿐,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을 벽체(2)에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는 아닌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을 벽체(2)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2 지지체(20)에는 조임구(24)가 설치되어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ing rod 14 is fixed to the connecting hole 22 by the fixing tool 23, the wall 2 is wrapped from above by assembling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to some extent. (1) and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are not fixed to the wall (2). In order to fix it firmly to (2), the fastener 24 is provided in the 2nd support body 20. As shown in FIG.

즉, 제2 프레임(21)에 설치된 조임구(24)를 조이면, 연결봉(14), 연결공(22) 및 고정구(23)와 협력하여, 벽체(2)를 사이에 두고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이 벽체(2)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That is, when the fastener 24 provided in the 2nd frame 21 is tightened, it cooperates with the connecting rod 14, the connection hole 22, and the fastener 23, and the 1st frame 11 across the wall 2 between them. ) And the second frame 21 are firmly fixed to the wall (2).

도시된 구체예의 조임구(24)는, 제2 프레임(21)의 하측에 나사공(24a)을 형성하고 나사공(24a)에 볼트(24b)를 나사 결합하여 핸들(24c)을 사용하여 볼트(24b)를 조이면, 상측의 고정구(23)에 의해 연결봉(14)이 연결공(22)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24b)가 벽체의 타측면(2c)을 가압하면서 벽체(2)에 제1 지지체(10)와 제2 지지체(2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볼트(24b)를 핸들(24c) 쪽으로 이동시키면 풀림 상태가 되고, 볼트(24b)를 타측면(2c) 쪽으로 이동시키면 조임 상태가 된다.The fastener 24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rms a screw hole 24a 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21 and screwes the bolt 24b to the screw hole 24a to use the handle 24c to bolt. When the 24b is tightened, the bolt 24b is pressed against the other side 2c of the wall while the connecting rod 14 is fixed to the connecting hole 22 by the upper fixing member 23.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upport 10 and the second support 20 are firmly fixed. If the bolt 24b is moved toward the handle 24c here, it will be in an unlocked state, and if the bolt 24b is moved toward the other side 2c, it will be in a tightened state.

도시된 구체예에서 볼트(24b)의 하단에 원판(24d)을 부착한 것은 벽체(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조임구(23)에 대응하여 위치의 제2 프레임(21)의 상측에 받침대(24e)를 부착한 것은 조임구(24)의 조임 하중이 벽체(2)의 모서리가 아닌 타측면(2c)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제2 프레임(21)이 벽체(2)에 직접 접한 상태에서 조임구(24)를 조일 때 그 조임 하중이 벽체(2)의 모서리를 가해져 벽체(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sc 24d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bolt 24b to prevent damage to the wall 2 an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rame 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er 23. Attaching the pedestal 24e to the second frame 2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ll 2 by causing the tightening load of the fastener 24 to be applied to the other side 2c instead of the edge of the wall 2. When the fastener 24 is tightened in a state, the tightening load is applied to the edge of the wall 2 to prevent the wall 2 from being damaged.

제2 풀리(25)는 제1 풀리(13)와 윈치블록(30) 사이에 걸쳐지는 권양로프(40)의 방향을 바꿔주기 위한 풀리로서, 제1 풀리(13)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 프레임에 설치된다. The second pulley 25 is a pulley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oisting rope 40 spanned between the first pulley 13 and the winch block 30, and has a second posi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ulley 13. It is installed in the frame.

상기 윈치블록(30)은 제2 프레임(21)에 설치되어 중량체(3)를 들어 올리는 권양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윈치블록(30)으로서는 예를 들어 100kg 내외의 저중량 중량체(3)를 권양로프(40)로 권양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떤 윈치블록도 적용할 수 있다. The winch block 30 is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21 to provide a lifting force for lifting the weight 3. As the winch block 30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winch block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winch block 30 may be wound with the lifting rope 40.

도시된 구체예의 윈치블록(30)은 제2 프레임(2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제2 프레임에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는 수동식 윈치블록을 예시한 것이며, 전동식 윈치블록도 사용될 수 있다. The winch block 30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illustrates a manual winch block that is not fixedly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21 and can be assembled and detached to the second frame as needed, and an electric winch block may also be used. .

도시된 구체예의 윈치블록(30)은, 제2 프레임(21)의 상변(21a)과 하변(21b) 사이에 탄성적으로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브래킷(31), 권양로프(40)가 감기는 드럼(32), 권양로프(40)가 드럼(32)에 감기고 풀리도록 하고 의도하지 않게 권양로프(40)가 드럼(32)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어와 래칫이 포함된 기어박스(33), 및 기어박스(33)를 통해 드럼(32)을 돌리는 핸들(34)을 포함한다. 브래킷(31)은 입출 가능하게 끼워지는 2개의 로드(31a, 31b)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스프링(35)이 장착되어 브래킷(31)이 길어지는 쪽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로드(31a, 31b)는 고정나사(36)를 조임으로써 그 입출이 고정된다. 브래킷(31)의 양단에 형성된 ㄷ자 요부(37)는 브래킷(31)을 제2 프레임의 상변(21a)과 하변(21b)에 걸쳐 걸기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38은 드럼(32) 등이 올려지는 받침대이다. The winch block 30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a bracket 31, which is elastically walked and fixed between the upper side 21a and the lower side 21b of the second frame 21, and the winding rope 40 is wound. The drum 32, a gearbox 33 including gears and ratchets to allow the hoisting rope 40 to be wound and unwound on the drum 32 and to prevent the unwinding of the hoisting rope 40 from the drum 32 unintentionally; And a handle 34 for turning the drum 32 through the gearbox 33. Bracket 31 is composed of two rods (31a, 31b) that can be inserted and retractable, the spring 35 is mounted inside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toward the longer bracket 31, rods (31a, 31b) The entry and exit is fixed by tightening the fixing screw 36. The c-shaped recesses 37 formed at both ends of the bracket 31 are for hanging the bracket 31 over the upper side 21a and the lower side 21b of the second frame. Reference numeral 38 denotes a pedestal on which the drum 32 and the like are placed.

권양로프(40)는 윈치블록(30)의 드럼(32)과 제2 풀리(25) 및 제1 풀리(13)에 걸쳐 장착되며, 단부에 고리(41)가 설치되어 중량체(3)를 걸어서 권양하게 된다. The hoisting rope 40 is mounted over the drum 32 of the winch block 30, the second pulley 25, and the first pulley 13, and a ring 41 is installed at an end thereof to attach the weight 3. To be uplifted on foo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윈치(1)는, 권양 하중을 받는 구조체로서 스탠드와 같은 별도의 구조체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고 작업 현장 주변에 위치하는 벽체를 권양 하중을 받는 구조체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winch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structure that receives the lifting loa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 stand as a structure that receives the lifting loa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윈치(1)는, 종래의 장치들에 비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 고 하중과 체적이 작아서 조립, 분리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며, 권양작업공간확보가 용이하고 보관과 운반이 번거롭지 않은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winch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small load and volume, and is very easy to assemble, separate, and handle, compared to conventional devices, to secure a hoisting work space, and to be troublesome to store and transport. There is no effect.

Claims (3)

벽체(2)의 일측면(2a)과 상면(2b)에 걸쳐 올려지는 제1 프레임(11), 상기 프레임(11)으로부터 신장된 풀리암(12), 상기 풀리암(12)에 설치된 제1 풀리(13), 및 상기 프레임(11)으로부터 길게 신장된 연결봉(14)을 포함하는 제1 지지체(10); The first frame 11 which is raised over one side 2a and the upper surface 2b of the wall 2, the pulley 12 extending from the frame 11, the first installed in the pulley 12 A first support (10) comprising a pulley (13) and a connecting rod (14) elongated from the frame (11); 상기 벽체(2)의 타측면(2c) 쪽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21), 상기 제2 프레임(21)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봉(14)이 입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공(22), 상기 연결공(22)에 삽입된 상기 연결봉(14)을 고정시키는 고정구(23), 상기 제2 프레임(21)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2)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21)을 상기 벽체(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조임구(24), 상기 제1 풀리(13)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된 제2 풀리(25)를 포함하는 제2 지지체(20); The gap between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is formed in the second frame 21, the second frame 21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2c) side of the wall (2) In order to adjust the connecting rod 14 is inserted into the retractable hole 22, the fastener 23 for fixing the connecting rod 14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22, to the second frame 21 A fastener 24 which is formed and firmly fixes the first frame 11 and the second frame 21 to the wall 2 with the wall 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pulley ( A second support 20 including a second pulley 25 installed in the second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13); 상기 제2 프레임(21)에 설치되어 중량체(3)의 권양력을 제공하는 윈치블록(30); 및 A winch block 30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21 to provide a lifting force of the weight body 3; And 상기 윈치블록(30), 상기 제2 풀리(25) 및 상기 제1 풀리(13)에 걸쳐 장착되어 상기 중량체(3)를 권양하는 권양로프(40); A lifting rope 40 mounted over the winch block 30, the second pulley 25, and the first pulley 13 to wind the weight body 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장착형 윈치. Wall-mounted win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24)는, 상기 제2 프레임(21)에 형성된 나사 공(24a)과 상기 나사공(24a)에 나사 결합된 볼트(24b) 및 상기 볼트(24b)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4c)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24b)를 조이면, 상기 볼트(24b)가 상기 벽체(2)의 타측면(2c)을 가압하여 상기 벽체(2)에 상기 제1 지지체(10)와 상기 제2 지지체(2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장착형 윈치. The said fastener 24 is a screw hole 24a formed in the said 2nd frame 21, the bolt 24b screwed to the said screw hole 24a, and the said bolt 24b. And a handle 24c for rotating and tightening the bolt 24b, the bolt 24b presses the other side 2c of the wall 2 to the wall 2 with the first support ( 10) and the second support 20 is a wall-mounted winc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rmly fix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블록(30)은, 상기 제2 프레임(21)의 상변(21a)과 하변(21b) 사이에 탄성적으로 걸어서 고정하는 브래킷(31), 상기 권양로프(40)가 감기는 드럼(32), 상기 드럼(32)에 상기 권양로프(40)가 감기고 풀리도록 하고 의도하지 않게 상기 권양로프(40)가 상기 드럼(32)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어박스(33), 및 상기 기어박스(33)를 통해 상기 드럼(32)을 돌리는 핸들(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장착형 윈치. The said winch block 30 is a bracket 31 of Claim 1 or 2 which elastically walks and fixes between the upper side 21a and the lower side 21b of the said 2nd frame 21, The said winding A drum 32 to which the rope 40 is wound, a gear to allow the hoisting rope 40 to be wound and unwound on the drum 32 and to prevent the hoisting rope 40 from being unintentionally released from the drum 32. Wall-mounted win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x (33), and a handle (34) for turning the drum (32) through the gearbox (33).
KR1020060077390A 2006-08-17 2006-08-17 Wall mounting type winch KR100782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390A KR100782902B1 (en) 2006-08-17 2006-08-17 Wall mounting type wi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390A KR100782902B1 (en) 2006-08-17 2006-08-17 Wall mounting type wi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902B1 true KR100782902B1 (en) 2007-12-07

Family

ID=3913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390A KR100782902B1 (en) 2006-08-17 2006-08-17 Wall mounting type wi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90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368A (en) 1996-10-15 1998-05-12 Misawa Homes Co Ltd Household weight lif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368A (en) 1996-10-15 1998-05-12 Misawa Homes Co Ltd Household weight lif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386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hoisting heavy parts onto a wind turbine
US7850146B2 (en) Lineset winch with braking parts
JP5879155B2 (en) Torque converter and starter motor removal device from auxiliary compartment on gas turbine
RU2447011C2 (en) Protective device used in appliances for lifting boards for ceiling and walls
KR101405010B1 (en)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RU2679791C2 (en) Elevator with tubular motor and divided motor mount
US20020190533A1 (en) Gravity grip
KR100782902B1 (en) Wall mounting type winch
CN111689415B (en) Curtain hoist and mount are with moving shipping unit
JP7193374B2 (en) Mounting bracket for the base rod and method of mounting the base rod using the mounting bracket
JP2016199997A (en) Simple crane
JP2014159331A (en) Hanging device and hanging auxiliary tool
KR20210031307A (en) Mobile winch apparatus for transmission tower working
KR200429778Y1 (en) Ladder Mounting Type Winch
CN213834251U (en) Gallows structure is used in building engineering construction
JP2011032022A (en) Crane, crane set, load hoisting tool, and support base arranging instrument
JP5627958B2 (en) Pole work table
JP3171729B2 (en) Panel hanging tool
KR20140136693A (en) Move jig and move method for fpb
KR20120043972A (en) Worktable for hook of crane
CN220535703U (en) Steel structural component transfer device
BE102179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AT SEA A ROTOR SHEET OF A WIND TURBINE
CN217780602U (en) High-altitude movable hanging device
CN218465319U (en) Hoisting equipment
CN215666676U (en) Light column type small-sized allocation and transporta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