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487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487B1
KR100774487B1 KR1020067022901A KR20067022901A KR100774487B1 KR 100774487 B1 KR100774487 B1 KR 100774487B1 KR 1020067022901 A KR1020067022901 A KR 1020067022901A KR 20067022901 A KR20067022901 A KR 20067022901A KR 100774487 B1 KR100774487 B1 KR 10077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othes dryer
flow path
air flow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690A (ko
Inventor
백승면
안승표
문정욱
김대웅
류병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702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4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건조 공기에 유입되는 공기에 히트 펌프로 열을 공급하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류 건조기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 용기와, 상기 건조 용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건조 용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공기 유로와, 상기 건조 용기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캐비넷의 외부와 연결되는 제2공기 유로와, 상기 제 1 공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제 1 열교환부, 및 상기 제 2 공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제 2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기 유로 및 제 2 공기 유로는 상기 건조 용기의 하부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포함하는 배기 방식의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의류 건조기에서는 유입 공기에 열교환 사이클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열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킨다.
의류 건조기는 세탁을 마친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의류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면서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배기 방식과 응축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는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습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며, 후자의 경우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습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다시 건조기에 순환시키는 방식이다.
통상적으로 배기 방식의 건조기는 캐비넷 내부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드럼에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기 덕트 내에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팬의 구동으로 건조기 외부의 공기가 흡기 덕트로 유입되면서 히터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되는데, 이때 가열 온도는 약 100℃에 이른다. 이와 같은 고온의 공기가 건조기 내부의 건조 드럼으로 유입되어 드럼 내부에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시 킨다. 건조 과정에서 고온의 공기는 피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함유하게 되고, 고습의 공기가 배기 덕트를 거쳐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히터를 사용하여 유입 공기에 열을 전달하는 종래의 의류 건조기는 히터의 신속한 공기 가열로 전체적인 건조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고, 대용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유입되는 공기를 히터로 가열하므로로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100℃ 내지는 그 이상의 고온 공기로 피건조물을 건조하므로 건조 과정에서 피건조물의 재질에 따라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응축 방식의 의류 건조기는 의류 건조기 외부로 공기를 방출시키는 배기 덕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빌트인(built-in) 타입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에너지 효율은 배기 방식에 비하여 높지만, 건조 시간이 길고 대용량으로 제조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에너지 효율이 높으면서도 피건조물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개선된 의류 건조기가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의류 건조기 바닥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 바닥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공기 및 냉매의 흐름을 보여주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내부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댐퍼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모식도.
도 9는 건조 용기 내부의 온도(또는 습도) 변화량을 보인 그래프.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고, 건조 과정에서 고온의 공기로 인한 피건조물에 대한 손상의 가능성이 적은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를 마친 공기로부터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상태로 외부에 배출할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컴팩트한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 용기와, 상기 건조 용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건조 용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공기 유로와, 상기 건조 용기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캐비넷의 외부와 연결되는 제2공기 유로와, 상기 제 1 공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제 1 열교환부, 및 상기 제 2 공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제 2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기 유로 및 제 2 공기 유로는 상기 건조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열교환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승온시키며,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열교환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시킨다.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는 상기 캐비넷 내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압축기 및 팽창수단과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을 통하여 열역학적 사이클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 전면에는 건조 용기로 피건조물의 입출입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기 유로 및 제 2 공기 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팬이 설치되며, 상기 팬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 용기와, 상기 건조 용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건조 용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공기 유로와, 상기 건조 용기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캐비넷의 외부와 연결되는 제2공기 유로와, 상기 제 1 공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제 1 열교환부, 및 상기 제 2 공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제 2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기 유로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의류 건조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공기 유로에는 상기 댐퍼 앞쪽에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의 소정 값에 따라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상태로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되며, 당업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전면에 입구(14)가 구비되어 있는 캐비넷(12)은 내부가 비어 있고, 그 내부에는 건조 용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상기 의류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건조 용기(16)는 원통 형상의 구조물로서 상기 캐비넷(12)의 바닥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건조 용기(16)는 그 하부에, 바람직하게는 캐비넷(12) 바닥면에 설치되는 구동부(18), 예를 들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 가능하다. 통상, 회전력의 전달 수단은 구동부(18)의 구동축으로부터 건조 용기(16)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체결된 벨트가 적합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는 캐비넷(12)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팬(40)에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캐비넷 바닥면에 설치된 각종 요소들을 보인 것으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건조 용기(16)에는 일측에 흡입 공기가 흐르는 제 1 공기 유로(20)가 연결되며, 다른 일측에는 건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공기가 흐르는 제 2 공기 유로(22)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공기 유로(20)는 입구가 상기 캐비넷(12)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도 상관없으나, 상기 제 2 공기 유로(22)의 배출구는 캐비넷(12)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공기 유로(20) 및 제 2 공기 유로(22)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 될 필요가 없으며, 캐비넷 내부의 공간에 적합하게 유로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방향이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공기 유로(20)에는 제 1 열교환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30)는 제 1 공기 유로(20)에 유입되는 공기에 열을 가하여 승온된 상태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제 1 공기 유로(20)를 통과한 공기는 승온된 상태로 상기 건조 용기(16)에 진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공기 유로(22)에 후단에는 제 2 열교환부(32)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열교환부(32)는 건조 용기(16)로부터 제 2 공기 유로(2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제습된 상태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제 2 열교환부(32)를 통과한 공기는 제습된 상태로 캐비넷(12)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30) 및 제 2 열교환부(32)는 열역학적 사이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캐비넷(12)에는 압축기(34)와 팽창 기구(3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34) 및 팽창 기구(36)는 상기 건조 용기 하부에 또는 건조 용기 보다 낮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열교환부(30) 및 제 2 열교환부(32)와 배관(38)에 의하여 연결되어 하나의 폐루프를 이룬다. 이러한 사이클은 증기압축사이클에 해당하며, 제 1 공기 유로(30)를 흐르는 공기에 대하여 히트 펌프로서 작용한다.
상기 제 1 공기 유로(20)에 진입하는 공기는 제 1 열교환부(30)에서 열을 공급받아 승온된 상태로 건조 용기에 진입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열교환부(30)로는 유동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하는 응축기를 사용한다. 제 2 열교환부(32)는 건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사용한다.
상기 열교환부(30, 32)는 일반적으로 냉매가 통과하는 파이프에 열전달 면적을 넓히기 위한 다수의 열교환핀이 장착된다. 유동하는 공기는 응축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약 50℃ 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0 ~ 75 ℃ 정도의 온도로 승온된다. 따라서, 건조 용기에 진입하는 공기의 온도가 히터 방식에 의한 경우 보다 낮아 피건조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증기 압축 사이클을 구성하는 일요소인 압축기(34)는 캐비넷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면, 압축기(34)가 제 1 공기 유로(20) 측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제 1 열교환부(30) 전방에 압축기(34)가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압축기(34)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1 공기 유로(20)에 진입하는 공기를 1차적으로 승온시키므로 제 1 열교환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34)는 제 2 공기 유로(22)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면, 상기 압축기(34)는 상기 제 2 공기 유로(22) 측에서 상기 제 2 열교환부(32) 다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열교환부(32)를 통과한 공기가 압축기(34)를 냉각시키므로 증기 압축 사이클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이 상승된다.
도 6에는 상기 사이클에서의 냉매의 흐름 및 공기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사이클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38) 내부에는 적절한 냉매가 유동하는데 그 방향은 제 1 열교환부(30)에서 팽창 기구(36)를 거쳐 제 2 열교환부(32)로 진행하며, 다시 제 2 열교환부(32)에서 압축기(34)를 거쳐 제 1 열교환부(30)로 진행한다. 이러한 냉매의 유동 방향은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제 1 공기 유로(20)에 유입되는 공기는 제 1 열교환부(30)를 지나 건조 용기(16)에 진입하고 다시 제 2 공기 유로(22)를 통하여 제 2 열교환부(32)를 지나 캐비넷 외부로 배출되며, 이러한 공기의 유동 방향이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상기 사이클을 구성하는 각 요소, 즉 제 1 열교환부(30), 제 2 열교환부(32), 압축기(34), 팽창 기구(36) 및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38)은 모두 캐비넷(12) 내부에, 특히 건조 용기(16)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열교환부(30)가 설치되는 제 1 공기 유로(20)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 2 열교환부(32)가 설치되는 제 2 공기 유로(22)의 적어도 일부분은은 건조 용기(16)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캐비넷의 부피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의류 건조기가 컴팩트하게 된다. 의류 건조기 외부로 상기 요소들이 노출되거나 캐비넷의 부피가 커지게 되면 건물 내부에서 의류 건조기의 설치 면적도 확대되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게 될 것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 용기(16)에는 외주면에 벨트(42)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벨트(42)는 구동부(18)의 회전축(18a)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건조 용기(16)에 전달한다. 상기 구동부(18)는 또한 제 2 공기 유로(22)에 설치된 팬(40)에도 연결되어 상기 팬을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8)는 건조 용기(16)와 팬(4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18)만으로 건조 용기(16)와 팬(40)을 한꺼번에 구동함으로써 캐비넷 내부의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고, 추가 장치도 필요하지 않게 되어 유리하다. 도 7에는 팬(40)이 건조 용기(16) 근방의 제 2 공기 유로(22)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구동부(18)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만 있다면, 제 1 공기 유로 상에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 1 공기 유로(20)에는 제 1 열교환부 이전에 필터(도 4의 21)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오염 물질을 미리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의 건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18)의 회전에 의하여 팬(40)이 구동하면 흡입력이 발생되어 건조기 외부의 공기가 제 1 공기 유로(20)의 입구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고온의 제1 열교환부(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고온으로 변화된 공기는 계속하여 제 1 공기 유로(20) 내부를 통과하여 건조 용기(16)의 일측에 도달한다.
제 1 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는 약 50 ~ 75℃ 정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고온 공기는 건조 용기(16) 내부의 피건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건조 용기(16) 내부에 유입된 고온 저습의 공기는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과 접촉하면서 열을 전달하고 또한 피건조물로부터 수분을 전달받아 고습의 공기로 건조 용기를 빠져나오게 된다. 건조 용기로부터 유출된 고습의 공기는 제 2 공기 유로(22)를 지나면서 제 2 열교환부(32)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제거되며 저온 저습으로 변화되어 캐비넷(12)의 외부로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증기 압축 사이클에 의한 열발생 시스템은 동일 전력을 사용할 때 히터 방식과 비교하여 2 ~ 3 배의 가열 성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력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특히, 압축기를 제 1 공기 유로의 입구 또는 제 2 공기 유로의 출구 측에 설치함으로써 증기 압축 사이클 시스템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 방식에 의한 건조와 비교할 때 건조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피건조물의 손상이 적다.
뿐만 아니라, 열발생 시스템의 제 2 열교환부가 배출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므로 건조기 동작에 따라 습윤 공기가 건물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기 방식의 건조기는 건조 용기의 일측에 고온의 공기를 주입하고 다른 일측으로 습한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은 건조 초기로부터 건조 말기 까지 항상 동일하다. 고온의 공기가 건조 용기 내부에 잠시 머무르다가 곧 바로 건조 용기 외부로 배출되면 에너지 이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즉, 전체 건조 과정에서 에너지 소모가 크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 진행 과정에 따라 건조 용기에 공기가 머무르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공기가 배출되는 제 2 공기 유로 상에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댐퍼를 설치하여 공기 흐름을 제어한다.
도 8은 댐퍼가 설치된 의류 건조기의 일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 2 공기 유로(22)에는 댐퍼(60)가 건조 용기(16)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60) 앞쪽으로 건조 용기(16)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62)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62)로부터 감지되는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댐퍼(60)를 제어하여 제 2 공기 유로(22)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은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 또는 건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건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온도(A) 또는 습도(B)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나타나 있다.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온도의 상승률이 낮아지거나 또는 습도의 감소율이 둔해지는 포화점(saturation point)(Ps)을 기준으로 댐퍼의 개폐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건조 용기의 공기 배출구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여 소정 온도 (예를 들면 60℃) 미만일 경우에는 댐퍼가 닫히도록 제어하고,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댐퍼를 오픈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건조 용기의 공기 배출구 부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여 소정의 값 이상이 될 때까지는 댐퍼를 닫고, 소정 값을 넘어서면 댐퍼를 오픈 시키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 초기에는 댐퍼를 닫아 건조 용기 내에 고온의 공기가 머무르는 시간을 늘리고, 건조 중기 또는 말기에는 댐퍼를 열어 공기의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건조 초기에는 고온의 공기가 피건조물과 접촉하는 시간이 많아 적은 공기 흐름으로도 효율적으로 건조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 중기 또는 말기에는 공기 유출량을 증가시키는 대신 공기의 가열 정도를 낮춤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댐퍼를 오랜 시간 동안 완전히 오프시키게 되면 건조 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거나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팬에 부하가 많이 걸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를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시킬 수 있다. 즉, 건조 용기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소정 압력에 이르거나 건조 용기의 공기 배출구에서 소정 온도나 습도에 이르기 전의 일정한 값에 도달할 때 미리 댐퍼를 약간 오픈시킨 후, 온도나 습도가 소정의 값에 이르면 완전히 댐퍼를 개방하는 다단계 댐퍼 제어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히트 펌프로 작용하는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를 포함함으로써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조 용기 하부에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설치하면 건조기 내부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여 별도의 부피 증가가 필요없다. 즉, 캐비넷의 측면이나 후방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상기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요구되는 스페이스가 작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건조 용기과 공기 배출 유로 사이에 설치된 댐퍼의 개폐 정도를 변화시켜 고온의 공기가 건조 드럼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 과정 초기에 피건조물로부터 많은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건조기의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7)

  1.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 용기와,
    상기 건조 용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건조 용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공기 유로와,
    상기 건조 용기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캐비넷의 외부와 연결되는 제2공기 유로와,
    상기 제 1 공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제 1 열교환부, 및
    상기 제 2 공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제 2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기 유로 및 제 2 공기 유로는 상기 건조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열교환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승온시키며,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열교환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는 상기 캐비넷 내부 에 설치되는 별도의 압축기 및 팽창수단과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을 통하여 열역학적 사이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배관을 흐르는 유동 매체로부터 유입 공기에 열이 전달되는 응축기이며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유입 공기로부터 배관을 흐르는 유동 매에 열이 전달되는 증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와 팽창 수단은 상기 건조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 1 공기 유로 측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 1 공기 유로의 상기 제 1 열교환부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 2 공기 유로 측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 2 공기 유로의 상기 제 2 열교환부 다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전면에 피건조물의 입출입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유로 및 제 2 공기 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팬이 설치되며, 상기 팬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제 2 공기 유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건조 용기에 50 ~ 75℃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유로에는 제 1 열교환부 이전에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유로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유로에는 상기 댐퍼 앞쪽에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의 소정 값에 따라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KR1020067022901A 2006-10-31 2004-12-06 의류 건조기 KR10077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901A KR100774487B1 (ko) 2006-10-31 2004-12-06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901A KR100774487B1 (ko) 2006-10-31 2004-12-06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690A KR20070022690A (ko) 2007-02-27
KR100774487B1 true KR100774487B1 (ko) 2007-11-08

Family

ID=4163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901A KR100774487B1 (ko) 2006-10-31 2004-12-06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4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38B1 (ko) * 2007-09-04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KR101142774B1 (ko) 2009-12-15 2012-05-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1467769B1 (ko) * 2008-04-01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2348B (zh) * 2021-08-17 2024-03-29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滚筒干衣机烘干方法、存储器、***及滚筒干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2843A1 (en) * 1992-01-24 1993-07-28 CANDY S.p.A. Washing and drying machine with an improved safety device against water pollu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2843A1 (en) * 1992-01-24 1993-07-28 CANDY S.p.A. Washing and drying machine with an improved safety device against water pollu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38B1 (ko) * 2007-09-04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KR101467769B1 (ko) * 2008-04-01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42774B1 (ko) 2009-12-15 2012-05-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690A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559B2 (en) Clothes dryer
US7908766B2 (en) Clothes dryer
KR100595763B1 (ko) 제습 겸용 의류 건조기
JP2005253588A (ja) 乾燥機
JP4326445B2 (ja) 洗濯乾燥機
JP2008245927A (ja) 乾燥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JP5251173B2 (ja) 除湿加温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乾燥装置
KR101718042B1 (ko) 의류건조기
KR100724444B1 (ko) 드럼식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74487B1 (ko) 의류 건조기
KR100774486B1 (ko) 의류 건조기
RU2452804C2 (ru) Бытовое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лья
KR100652772B1 (ko) 하이브리드 의류 건조기 및 건조 방법
KR101167735B1 (ko)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작동 방법
KR101174656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KR100595760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KR100595762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KR100595761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KR101192197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KR101771455B1 (ko) 의류건조기
KR101142775B1 (ko) 의류건조기
JP2000140492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