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039B1 -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039B1
KR100774039B1 KR1020060025557A KR20060025557A KR100774039B1 KR 100774039 B1 KR100774039 B1 KR 100774039B1 KR 1020060025557 A KR1020060025557 A KR 1020060025557A KR 20060025557 A KR20060025557 A KR 20060025557A KR 100774039 B1 KR100774039 B1 KR 10077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gear
shaft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385A (ko
Inventor
겐이찌로 쯔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0428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07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3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3524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6011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37/042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 F16H37/043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61H33/065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with steam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54Electrical circuits therefor with liquid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37/042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 F16H37/043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37/04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a separate gearing unit for shifting between forward or rever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2037/049Forward-reverse units with forward and reverse gears for achieving multiple forward and reverse gears, e.g. for work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Argicultural-type 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엔진과 변속 장치 사이에, 전진 동력을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하고 또한 유압 클러치에 의해 절환 가능한 전후진 절환 장치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비용 절감을 도모한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후진 절환 장치(12)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진 고속측으로 절환하는 전진 고속 클러치(27)와, 전진 저속측으로 절환하는 전진 저속 클러치(31)와, 후진측으로 절환하는 후진 클러치(29)를 구비하고, 이들 클러치(27, 31, 29)를, 상기 클러치(27, 31, 29)에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작동하는 유압 클러치로 구성한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전진 고속 클러치(27)와 전진 저속 클러치(31)와 후진 클러치(29)를,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추진축(10) 상에 축심 방향 직렬 형상으로 배치하여 설치한다.
절환 장치, 클러치, 추진축, 동력 전달 장치, 기어

Description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TRANSMISSION FOR A TRACT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절환 장치의 측면 단면을 도시한 전개도.
도2는 동력 전달 장치의 전방부의 측면 단면도.
도3은 동력 전달 장치의 후방부의 측면 단면도.
도4는 전후진 절환 장치의 제어 계통의 블록도.
도5는 주변속 4단 사양의 변속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6은 동력 전달 장치의 전방부의 측면 단면도.
도7은 클러치 하우징 및 커버 등의 배면 단면도.
도8은 커버의 측면도.
도9는 도8의 A-A선 화살표 단면도.
도10은 주변속 장치, 부변속 장치 및 클리프 변속 장치의 시프트 기구의 측면도.
도11은 도8의 B-B선 화살표 단면도.
도12는 도9의 C-C선 화살표 단면도.
도13은 주변속 장치, 부변속 장치 및 클리프 변속 장치의 시프트 기구의 평면도.
도14는 주변속 장치의 조작 기구의 평면 단면도.
도15는 부변속 장치 및 클리프 변속 장치의 바닥면 단면도.
도16은 부변속 장치 및 클리프 변속 장치의 시프트 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17은 주변속 6단 사양의 변속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18은 주변속 6단 사양의 변속 장치의 도11에 대응하는 도면.
도19는 주변속 6단 사양의 변속 장치의 도10에 대응하는 도면.
도20은 주변속 6단 사양의 변속 장치의 도14에 대응하는 도면.
도21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주변속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22는 본 발명의 관성 제동 기구가 구비된 유압식 PTO 클러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주요부 종단 측면도.
도23은 도22에 있어서의 클러치 본체와 피제동 플레이트와의 결합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2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트랙터의 트랜스미션 기구 전체의 종단 측면도.
도25는 펌프 동력 취출부의 주요부 종단 측면도.
도26은 도25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펌프 동력 취출부의 주요부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변속 장치
12 : 전후진 절환 장치
26a : 전진 고속 출력 기어
26b : 제1 입력 기어
27 : 전진 고속 클러치
28b : 후진 전동축
28d : 후진 전동 기어
29 : 후진 클러치
30b : 제2 입력 기어
31 : 전진 저속 클러치
42 : 셔틀 밸브
44 : 고저속 절환 밸브
141 : 주변속 장치
142 : 부변속 장치
143 : 클리프 변속 장치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4-107348호 공보
본 발명은,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구동륜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 사이에 동력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여 전후진 절환 장치를 설치하고, 이 전후진 절환 장치는 전진을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한 동시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 을 전진 고속측으로 절환하는 전진 고속 클러치와, 전진 저속측으로 절환하는 전진 저속 클러치와, 후진측으로 절환하는 후진 클러치를 구비하고, 이들 클러치를, 습식 다판 유압 클러치에 의해 구성한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가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4-107348호 참조).
이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는, 전진 고속 클러치는 엔진의 출력축에 직결된 추진축에 설치되고, 전진 저속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상기 추진축의 하방에 배치된 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있다.
습식 다판 유압 클러치는 피스톤의 배면에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을 움직여 드라이브 플레이트와 클러치 디스크를 프레셔 플레이트에 압박함으로써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피스톤 배면으로 압유를 보내는 유로는 클러치를 설치하는 축에 형성된다.
상기 종래의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는, 전진 고속 클러치는 추진축에, 전진 저속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각에 압유 공급용 유로를 형성해야만 해 구조의 복잡화 및 비용고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엔진과 변속 장치 사이에, 전진을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한 전후진 절환 장치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유로의 집중화를 도모하고, 유로를 형성할 때의 구조의 간소화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한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는, 엔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구동륜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 사이에 동력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는 전후진 절환 장치를 설치하고, 이 전후진 절환 장치는 전진시에는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한 동시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진 고속측으로 절환하는 전진 고속 클러치와, 전진 저속측으로 절환하는 전진 저속 클러치와, 후진측으로 절환하는 후진 클러치를 구비하고, 이들 클러치를, 상기 클러치에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작동하는 유압 클러치로 구성한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전진 고속 클러치와 전진 저속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를,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추진축 상에 축심 방향 직렬 형상으로 배치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변속 장치에 동력을 입력하는 제1 및 제2 입력 기어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입력 기어에 맞물리고 또한 전진 고속 클러치에 의해 전진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변속 장치에 전진 고속 동력을 전달하는 전진 고속 출력 기어와, 상기 제2 입력 기어에 맞물리고 또한 전진 저속 클러치(31)에 의해 전진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변속 장치에 전진 저속 동력을 전달하는 전진 저속 출력 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 입력 기어 중 한쪽에 맞물리고 또한 후진 클러치에 의해 후진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변속 장치에 후진 동력을 전달하는 후진 전동 기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추진축의 하방에 후진 전동축을 평행 형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입력 기어가 설치되어 있어 변속 장치에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을, 이들 추진축과 후진 전동축 사이의 위치의 측방에 추진축과 평행 형상으로서 배치하고, 추진축 상에 전진 고속 출력 기어와 전진 저속 출력 기어와 후진 출력 기어를 설치하고, 후진 전동축 상에 상기 후진 출력 기어에 맞물려 회전 방향을 변환하는 역전 기어와 상기 후진 전동 기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진측 클러치나 또는 후진 클러치에 압유를 공급하도록 압유의 경로를 절환하는 셔틀 밸브를 구비하고, 이 셔틀 밸브와 전진측 클러치 사이에 전진 고속 클러치나 또는 전진 저속 클러치에 압유를 공급하도록 압유의 경로를 절환하는 고저속 절환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변속 장치는 전후로 간격을 둔 한 쌍의 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변속 장치는 주변속 장치와, 부변속 장치와, 클리프 변속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변속 장치는 제거 가능한 클리프 변속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후진 절환 장치의 전방에는 이를 지지하는 제1 벽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진 절환 장치와 상기 변속 장치 사이에는 이들을 지지하는 제2 벽이 구비되고, 상기 변속 장치의 후방에는 제3 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3 벽의 후방에 동력 취출축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는 복수의 실시 형태가 포함되지만,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특정한 특징을, 다른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2에 있어서, 부호 1은 클러치 하우징이며, 이 클러치 하우징(1)은 엔진의 후방 단부측에 연결된 플라이 휠 하우징(2)의 후방 단부측에 연결되어 있고, 도3에 있어서 부호 3은 클러치 하우징(1)의 후방 단부측에 연결된 미션 케이스이며, 이 미션 케이스(3)의 후방 단부측 개구는 후방부 커버(4)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하우징(전방부 케이스)(1)과 미션 케이스(후방부 케이스)(3)로 트랙터의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동 케이스(5)가 구성되고, 이 전동 케이스(5)와, 엔진과, 플라이 휠 하우징(2) 등으로 트랙터의 차체가 주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 케이스(5) 내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계통과 PTO축(6)에 전달하는 PTO계 동력 전달 계통을 갖는 동력 전달 장치(7)가 수용되어 있다.
이 동력 전달 장치(7)의 주행계는, 엔진의 크랭크축(8)으로부터 플라이 휠(9) 등을 거쳐서 동력이 전달되는 추진축(10)과, 이 추진축(10)으로부터의 동력을 토크를 변환하여 후륜(구동륜) 등으로 전달하는 변속 장치(11)와, 추진축(10)으로부터 변속 장치(11)로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여 트랙터의 전·후진을 절환하는 전후진 절환 장치(셔틀 기구)(12)와, 변속 장치(11)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후륜으로 전달하는 후륜 차동 장치(13)와, 변속 장치(11)를 경유한 후의 동력을 전륜(구동륜)으로 전달하는 전륜 추진축(14)을 구비하고 있다.
추진축(10) 및 전륜 추진축(14)은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또한, 동력 전달 장치(7)의 PTO계는 상기 추진축(10)의 후방부에 동축심 형상으로서 직결된 PTO 구동축(16)과, 이 PTO 구동축(16)의 후방에 동축심 형상으로 설치된 PTO 전동축(17)과, PTO 구동축(16)으로부터 PTO 전동축(17)으로 동력을 단접(斷接) 가능하게 전달하는 PTO 클러치(18)와, PTO 전동축(17)으로부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PTO축(6)으로 전달하는 감속 장치(PTO 변속 기구)(19)를 구비하고 있다.
플라이 휠(9)이 설치된 클러치 하우징(1)의 제1 실(20)과, 전후진 절환 장치(12)가 설치된 클러치 하우징(1)의 제2 실(21)을 구획하는 격벽(22)에 추진축(10)의 전방부측이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 실(21)과, 변속 장치(11)가 설치된 클러치 하우징(1)의 제3 실(24)을 구획하는 구획벽(25)에 추진축(10)의 후방부측이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절환 장치(12)는 추진축(10)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여 변속 장치(11)에 전진 동력 또는 후진 동력을 전달 가능한 것 외에, 전진 동력은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은 전개도이며, 추진축(10)과, 이후에 설명하는 입력축(32)과, 후진 전동축(28b)의 축심 방향으로부터의 위치는 각각 도7에서 도시되는 부호 16, 129 및 144로 나타내어지는 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축(32)은 추진축(10)과 후진 전동축(28b) 사이의 위치의 측방에 추진축(1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전후진 절환 장치(12)는 추진축(10)으로부터 변속 장치(11)에 전진 고속 동력을 전달하는 전진 고속 기어열(26)과, 이 전진 고속 기어열(26)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전진 고속 클러치(27)와, 추진축(10)으로부터 변속 장치(11)에 후진 동력을 전달하는 후진 기어 전동 기구(28)와, 이 후진 기어 전동 기구(28)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후진 클러치(29)와, 추진축(10)으로부터 변속 장치(11)에 전진 저속 동력을 전달하는 전진 저속 기어열(列)(30)과, 이 전진 저속 기어열(30)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전진 저속 클러치(31)를 구비하고 있다.
전진 고속 기어열(26)은 추진축(10)에 외부 끼움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진 고속 출력 기어(26a)와, 변속 장치(11)의 입력축(3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또한 상기 전진 고속 출력 기어(26a)에 맞물려 변속 장치(11)에 동력을 입력하는 제1 입력 기어(26b)로 구성되어 있다.
전진 저속 기어열(30)은 추진축(10)에 외부 끼움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진 저속 출력 기어(30a)와, 변속 장치(11)의 입력축(3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또한 상기 전진 저속 출력 기어(30a)에 맞물려 변속 장치(11)에 동력을 입력하는 제2 입력 기어(30b)로 구성되어 있다.
후진 기어 전동 기구(28)는 추진축(10)에 외부 끼움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진 출력 기어(28a)와, 추진축(10)의 하방측에 상기 추진축(10)과 평행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 격벽(22)·구획벽(25)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진 전동축(28b)과, 이 후진 전동축(28b)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또한 상기 후진 출력 기어(28a)에 맞물려 회전 방향을 변환하는 역전 기어(28c)와, 상기 후진 전동축(28b)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또한 상기 제2 입력 기어(30b)에 맞물려 변속 장치(11)에 후진 동력을 전달하는 후진 전동 기어(28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속 장치(11)의 입력축(32)은 추진축(10) 및 PTO 구동축(16)의 우측에 상기 추진축(10) 및 PTO 구동축(16)과 평행 형상으로서 배치되어 있고, 이 입력축(32)의 중도부는 구획벽(25)에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되고, 후방부는 클러치 하우징(1)의 후방 단부 개구를 폐색하는 미션 케이스(3)의 전방 단부벽(33)에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고, 입력축(32)의 전방부는 구획벽(25)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제2 실(21)에 돌출된 부분에 상기 제1 및 제2 입력 기어(26b, 30b)가 설치되고, 제1 입력 기어(26b)는 입력축(32)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제2 입력 기어(30b)는 구획벽(25)의 전방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진 고속 클러치(27)와 전진 저속 클러치(31)와 후진 클러치(29)는 이들 클러치(27, 31, 29)에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작동하는 유압 클러치에 의해 구성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습식 다판 클러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추진축(10) 상에 축방향 직렬 형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으로부터 전진 고속 클러치(27), 후진 클러치(29), 전진 저속 클러치(31)의 순으로 배치되고, 전진 고속 출력 기어(26a)는 전진 고속 클러치(27)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후진 출력 기어(28a)는 후진 클러치(29)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전진 저속 출력 기어(30a)는 전진 저속 클러치(31)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역전 기어(28c)는 후진 출력 기어(28a)의 하방에 배치되고, 후진 전동 기어(28d)는 전진 저속 출력 기어(30a)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진 고속 클러치(27), 전진 저속 클러치(31) 및 후진 클러치(29)는, 추진축(10) 상에 동축심 형상으로서 고정되어 있어 추진축(10)과 일체 회전하는 클러치 본체(34)와, 이 클러치 본체(34) 내에 설치된 피스톤(35)과, 추진축(10) 상에 동축심 형상이면서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내부 통체(36)와, 클러치 본체(34)와 일체 회전하는 프레셔 플레이트(37)와, 이 프레셔 플레이트(37)와 피스톤(35) 사이에 축심 방향 교대로 개재된 드라이브 플레이트(38) 및 클러치 디스크(39)를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브 플레이트(38)는 클러치 본체(34)와 일체 회전하고, 클러치 디스크(39)는 내부 통체(36)와 일체 회전하고, 전진 고속 클러치(27)의 내부 통체(36)는 전진 고속 출력 기어(26a)와 일체 회전하고, 전진 저속 클러치(31)의 내부 통체(36)는 전진 저속 출력 기어(30a)와 일체 회전하고, 후진 클러치(29)의 내부 통체(36)는 후진 출력 기어(28a)와 일체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진 클러치(29)의 클러치 본체(34)와, 전진 저속 클러치(31)의 클러치 본체(34)는 일체 형성되어 공통화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클러치(27, 29, 31)에 있어서는, 피스톤(35)의 배면에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피스톤(35)이 프레셔 플레이트(37)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35)이 드라이브 플레이트(38)를 압동하는 동시에 클러치 디스크(39)를 압동하여 이들이 프레셔 플레이트(37)에 압박되어 압접되고, 이에 의해 클러치(27, 29, 31)가 접속되어 클러치 본체(34), 드라이브 플레이트(38), 프레셔 플레이트(37), 클러치 디스크(39) 및 내부 통체(36)가 추진축과 일체 회전한다.
또한, 피스톤(35)의 배면으로부터 압유를 배출함으로써 복귀 스프링(40)에 의해 피스톤(35)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드라이브 플레이트(38)와 클러치 디스 크(39)가 이반되어 클러치(27, 29, 31)가 절단된다.
그리고, 전진 고속 클러치(27)를 접속함으로써 전진 고속 기어열(26)을 거쳐서 입력축(32)에 전진 고속 동력이 전달되고, 전진 저속 클러치(31)를 접속함으로써 전진 저속 기어열(30)을 거쳐서 입력축(32)에 전진 저속 동력이 전달되고, 또한 후진 클러치(29)를 접속함으로써 후진 기어 전동 기구(28)를 거쳐서 입력축(32)에 후진 동력이 전달된다.
추진축(10)에는 전진 고속 클러치(27)의 피스톤(35)의 배면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유로(41a)와, 후진 클러치(29)의 피스톤(35)의 배면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유로(41b)와, 전진 저속 클러치(31)의 피스톤(35)의 배면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제3 유로(41c)가 추진축(10)의 축방향에 또한 서로 평행 형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추진축(10)의 격벽(22)에 삽통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제1 내지 제3 주위 홈(45a, 45b, 45c)이 형성되고, 제1 주위 홈(45a)에 상기 제1 유로(41a)가 연통되고, 제2 주위 홈(45b)에 상기 제2 유로(41b)가 연통되고, 제3 주위 홈(45c)에 상기 제3 유로(41c)가 연통되어 있고, 이들 제1 내지 제3 주위 홈(41a 내지 41c) 중 어느 하나에, 후술하는 셔틀 밸브(42), 고저속 절환 밸브(44)로부터의 압유가 선택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전진 고속 클러치(27), 후진 클러치(29), 전진 저속 클러치(31)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한다.
상기 구성의 전후진 절환 장치(12)에 있어서는, 유압 클러치로 이루어지는 전진 고속 클러치(27)와 전진 저속 클러치(31)와 후진 클러치(29)를 추진축(10) 상 에 축방향 직렬 형상으로 배치하여 설치하였으므로, 이들 클러치(27, 31, 29)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로(41a 내지 41c)를 형성할 때에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트랙터를 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시키는 절환은, 예를 들어 핸들의 근방에 설치한 셔틀 레버 등의 조작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고, 상기 셔틀 레버에 의해 셔틀 밸브(42)가 절환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펌프(P)로부터의 압유는 셔틀 밸브(42)에 공급되고, 이 셔틀 밸브(42)에 의해 전진측 클러치(27, 31) 또는 후진 클러치(29)에 압유가 공급되도록 압유의 경로(흐름)가 절환된다.
또한, 셔틀 밸브(42)를 중립으로 하면 전진측 클러치(27, 31) 또는 후진 클러치(29)의 어느 쪽에도 압유가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셔틀 밸브(42)와 전진측 클러치(27, 31) 사이의 유압 경로에는, 셔틀 밸브(42)를 거쳐서 공급되는 압유를 전진 고속 클러치(27)나 또는 전진 저속 클러치(31)에 공급하도록 압유의 경로(흐름)를 절환하는 고저속 절환 밸브(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저속 절환 밸브(44)의 절환 조작은, 예를 들어 운전석의 근방에 설치되는 고저속 절환 레버 등의 조작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전후진의 절환을 행하는 셔틀 밸브(42)와 전진측 클러치, 또한 셔틀 밸브(42)와 전진측 클러치(27, 31) 사이에는 셔틀 밸브(42)를 거쳐서 공급되는 압유를 전진 고속 클러치(27)나 또는 전진 저속 클러치(31)에 공급 하도록 압유의 경로(흐름)를 절환하는 고저속 절환 밸브(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저속 절환 밸브(44)의 절환 조작은, 예를 들어 운전석의 근방에 설치되는 고저속 절환 레버 등의 조작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셔틀 밸브(42)와 전진측 클러치(27, 31) 사이의 유압 경로에, 압유를 전진 고속 클러치(27)나 또는 전진 저속 클러치(31)에 공급하는 고저속 절환 밸브(44)를 개재 장착함으로써, 고저속 절환 밸브(44)를 전진 고속 클러치(27)나 또는 전진 저속 클러치(31)에 압유를 공급하도록 절환한 상태로 셔틀 밸브(42)를 절환 조작함으로써 셔틀 밸브(42)에 메인 클러치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셔틀 밸브(42)의 모듈레이션 기능 또는 인칭 기능에 의해 전진 고속 클러치(27), 전진 저속 클러치(31), 후진 클러치(29)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셔틀 밸브(42) 및 고저속 절환 밸브(44)는 미션 케이스(3)에 부착되고, 이들 밸브(42, 44)로부터 미션 케이스(3)의 벽부나 격벽(22) 등에 형성된 유로나 파이프 등의 유압 관로를 거쳐서 추진축에 설치된 상기 제1 내지 제3 주위 홈(45a 내지 45c) 중 어느 하나에 압유가 공급된다.
상기 셔틀 밸브(42) 및 고저속 절환 밸브(44), 그 밖에 파워 스티어링 제어 밸브, 보조 제어 밸브, 유압식 작업기 승강 장치 등의 유압 기기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P)는 2개의 기어 펌프를 좌우에 인접하여 갖는 2연 펌프에 의해 구성되고, 미션 케이스(3)의 우측면의 전방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제2 실(21)에 수용되어 있는 전후진 절환 장치(112)의 제2 실시 형태와, 제3 실(24)에 수용되는 변속 장치(111)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후진 절환 장치(112)는, 전진을 고저 2단으로 변속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전후진 절환 장치(112)는 추진축(10) 상에 설치된 전진 클러치(126)와, 이 전진 클러치(126)의 후방측에 있어서 추진축(10) 상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진 출력 기어(127)와, 후진 클러치(123)와, 이 후진 클러치(123)의 전방측에 있어서 추진축(10) 상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진 출력 기어(128)와, 추진축(10)의 하방측에 상기 추진축(10)과 평행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 격벽(22)·구획벽(25)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진 전동축(129)과, 이 후진 전동축(129)의 전방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진 제1 전동 기어(130)와, 후진 전동축(129)의 후방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진 제2 전동 기어(131)를 구비하고 있다.
전진 출력 기어(127)와 후진 제2 전동 기어(131)는, 변속 장치(111)에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 기어(132)에 맞물려 있고, 후진 제1 전동 기어(130)는 후진 출력 기어(128)에 맞물려 있다.
전진 클러치(126) 및 후진 클러치(123)는 추진축(10) 상에 동축심 형상으로서 고정된 공통 클러치 본체(133)를 갖는 습식 다판 유압 클러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유압에 의해 전진용 피스톤(138) 또는 후진용 피스톤(139)을 작동시켜 클러치 본체(133)와 일체 회전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와, 전진 출력 기어(127) 또는 후진 출력 기어(128)와 일체 회전하는 클러치 디스크를 압접함으로써, 추진축(10)으로부터의 동력이 전진 출력 기어(127) 또는 후진 출력 기어(128)에 전달되고, 전진 출력 기어(127)로부터 상기 입력 기어(132)에 전진 동력이 전달되거나 또는 후진 출력 기어(128) → 후진 제1 전동 기어(130) → 후진 전동축(129) → 후진 제2 전동 기어(131)를 경유하여 상기 입력 기어(132)에 후진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진용 피스톤(138) 또는 후진용 피스톤(139)을 비작동으로 하면, 추진축(10)으로부터의 동력은 전진 출력 기어(127) 또는 후진 출력 기어(128)에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3 실(24)에 수용되는 변속 장치(111)에 관하여 설명한다.
변속 장치(111)는 전후진 절환 장치(112)를 경유한 동력을 제1속 내지 제4속의 4단으로 변속 가능한 주변속 장치(141)와, 이 주변속 장치(141)를 경유한 동력을 다시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한 부변속 장치(142)와, 주변속 장치(141)를 경유한 후의 동력을 부변속 장치(142)의 저속보다도 느린 초저속으로 변속 가능한 클리프 변속 장치(143)와, 전후진 절환 장치(112)로부터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144)과, 이 입력축(144)으로부터 주변속 장치(141)를 거쳐서 동력이 전달되는 카운터축(145)과, 변속 장치(111)에 의해 변속된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146)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축(144)은 전후진 절환 장치(112)의 후방측이고 또한 PTO 구동축(16)의 우측에 상기 PTO 구동축(16)과 평행 형상으로서 배치되어 있고, 이 입력축(144)의 전방부는 구획벽(25)에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되고, 후방부는 클러치 하우징(1)의 후방 단부 개구를 폐색하는 미션 케이스(3)의 전방 단부벽(147)에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고, 입력축(144)의 전방 단부는 구획벽(25)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제2 실(21)에 돌출된 부분에 상기 입력 기어(132)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입력축(144)의 전방 단부를 전후진 절환 장치(112)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돌출 부분에 입력 기어(132)를 설치하고, 입력축(144)을 추진축(10) 및 후진 전동축(129) 사이의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입력 기어(132)를 전진 출력 기어(127)와 후진 제2 전동 기어(131)에 동시에 맞물림시키고 있다.
카운터축(145)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PTO 구동축(1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출력축(146)은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고, 상기 후진 전동축(129)의 후방의, 카운터축(145)의 바로 아래에 평행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출력축(146)은 구획벽(25) 및 미션 케이스(3)의 전방 단부벽(147)에 베어링을 거쳐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미션 케이스(3)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출력축(146)의 후방 단부측은 후륜 차동 장치(13)에 동력을 전달하는 차동 구동축(48)에 커플링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입력축(144), 카운터축(145) 및 출력축(146)은 서로 평행 형상으로 배치되고 또한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장치(141)는 싱크로 메쉬식 변속 기구가 채용되고, 입력축(144)으로부터 카운터축(145)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내지 제4속 기어열(149 내지 152)과, 이 제1 내지 제4속 기어열(149 내지 152)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열(149 내지 152)을 거쳐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동력 전달 경로를 절환하는 제1 및 제2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 15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속 기어열(149 내지 152)은, 후방을 향해 제4속 기어열(152), 제3속 기어열(151), 제2속 기어열(150), 제1속 기어열(149)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3속 기어열(151)과 제2속 기어열(150) 사이에는 주변속 장치(141)에 2단의 기어열을 추가 가능한 공간(140)이 마련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변속 장치(141)가 4단 변속 사양으로부터 6단 변속 사양으로 사양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제1 내지 제4속 기어열(149 내지 152)의 구동측 기어(149a 내지 152a)는 입력축(144)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피구동측 기어(149b 내지 154b)는 카운터축(145)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제1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는 제1속 기어열(149)과 제2속 기어열(150)의 구동측 기어(149a, 150a)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1속 또는 2속의 절환을 행하고, 제2 주변속 절환 클러치(156)는 제3속 기어열(151)과 제4속 기어열(152)의 구동측 기어(151a, 152a)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3속 또는 4속의 절환을 행한다.
이 제1 및 제2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 156)는 동력 전동측[입력축(144)]과 피동력 전동측[주변속 장치(141)의 기어열의 구동측 기어]의 회전수를 동기시켜 기어열(149 내지 152)을 절환하는(기어 체인지하는) 싱크로 메쉬 기구가 채용된 싱크로식 클러치가 채용되어 있고, 각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 156)는 입력축(144)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커플링(155a, 156a)과, 이 커플링(155a, 156a)에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심 방향(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주변속용 시프터(클러치 기어)(155b, 156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의 주변속용 시프터(155b)를 제1 주변속용 시프터(155b)라 하고, 제2 주변속 절환 클러치(156)의 주변속용 시프터(156b)를 제2 주변속용 시프터(156b)라 한다.
입력축의, 제3속 기어열(151)의 구동측 기어(151a)와, 제2속 기어열(150)의 구동측 기어(150a) 사이에도, 추가되는 주변속 절환 클러치의 커플링 등을 끼워 맞춤하기 위해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속 기어열(151)과 제2속 기어열(150)의 구동측 기어(151a, 150a) 사이에는, 통 형상의 스페이서(158)가 외부 끼움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속 기어열(149 내지 152)의 구동측 기어(149a 내지 152a)에는 각각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터(155b, 156b)가 맞물리는 맞물림부(149c 내지 152c)가 설치되고, 이 맞물림부(149c 내지 152c)에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터(155b, 156b)가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가 제1 내지 제4속 기어열(149 내지 152)을 거쳐서 입력축(144)으로부터 카운터축(145)으로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비동력 전동 상태이며 중립 위치가 되고,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터(155b, 156b) 중 어느 하나를 중립 위치로부터 축심 방향(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 내지 제4속 기어열(149 내지 152)의 구동측 기어(149a 내지 152a)의 맞물림부(149c 내지 152c) 중 어느 하나와 커플링(155a, 156a)에 걸쳐 맞물리게 함으로써 입력축(144) → 커플링(155a, 156a) → 주변속용 시프터(155b, 156b) → 맞물림부(149c 내지 152c) → 구동측 기어(149a 내지 152a) → 피구동측 기어(149b 내지 152b)를 경유하여 카운터축(145)에 동력이 전달되고, 입력축(144)에 입력된 동력이 주변속 장치(141)의 제1속 내지 제4속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변속되어 카운터축(145)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1)의 우측의 측벽에는 개구부(159)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59)는 클러치 하우징(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160)에 의해 폐색된다.
도8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커버(16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터(155b, 156b)에 결합하여 이를 축심 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동력 전달 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는 제1 주변속용 시프터(155b)에 결합되고,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2)는 제2 주변속용 시프터(156b)에 결합된다.
또한, 커버(160)에는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를 지지하는 시프트 로드(164, 165)가 상기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에 대응하여 2개 설치되어 있다.
커버(160)의 내면 상부측에는, 전후 한 쌍의 지지벽(167, 168)과 이 전후 지지벽(167, 168)의 상부 사이에 설치된 중간 지지벽(16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 로드(164, 165)는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고, 제1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를 지지하는 제1 시프트 로드(164)는 후방 지지벽(168)과 중간 지지벽(169)과의 상부 사이에 걸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주변속용 시 프트 포크(162)를 지지하는 제2 시프트 로드(165)는 전방 지지벽(167)과 중간 지지벽(169)에 걸쳐서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의 베이스부는 제1 시프트 로드(164)에 고정 형상으로 부착되고,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2)의 베이스부는 제2 시프트 로드(165)에 고정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고,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가 제1 및 제2 시프트 로드(164, 165)를 거쳐서 커버(160)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시프트 로드(164)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2)의 베이스부에는, 각각 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70A, 170B)가 설치되고, 이 결합부(170A, 170B)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제1 시프트 로드(164)에 형성된 결합부를 제1 결합부(170A)라 하고,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2)의 베이스부에 설치된 결합부를 제2 결합부(170B)라 함].
또한, 커버(160)에는 트랙터의 차체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된 주변속 레버에 연동 연결되어 있어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기구(17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기구(172)는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작하는 조작축(173)과, 이 조작축(173)에 결합하여 상기 조작축(173)을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기 위한 셀렉트 부재(174)와, 조작축(173)에 축심 방향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조작축(173)을 회 전시킴으로써 선택한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부재(175)와, 조작축(173)을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176)을 갖는다.
한편, 커버(160)에는 좌우 방향 외측에 돌출 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지지부(177)가 설치되고, 이 지지부(177)에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지지 구멍(178)이 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구멍(178)에 조작축(173)이 삽통되어 있다.
조작축(173)은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의 대경부(173a)와, 이 대경부(173a)보다도 작게 형성된 좌우 방향 중도부의 중경부(173b)와, 이 중경부(173b)보다도 작게 형성된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의 소경부(173c)를 갖는다.
상기 대경부(173a)는 상기 지지 구멍(178)에 축심 방향(좌우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대경부(173a)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에는 직경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상측으로 돌출하는 아암 부재(179)가 설치되고, 상기 대경부(173a)의 좌우 방향 외측에는 결합 홈(180)이 주위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 부재(179)의 선단부측(상단부측, 피결합부)(179a)은 조작축(173)의 기준 위치에 있어서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2)의 결합부(170B)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조작축(173)을 좌우 방향 외측(제1 이동 위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암 부재(179)의 선단부측(179a)이 제1 시프트 로드(164)의 결합부(170A)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조작축(17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173)을 기준 위치 또는 제1 이동 위치에서 축심 주위로(좌우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아암 부재(179)가 좌우축 주위로 전후로 요동하고, 선택된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162)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77)의 전방부의, 상기 결합 홈(18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셀렉트 부재(174)를 수납하는 수납부(1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182)에는 상기 수납부(182) 형성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의 전방측을 폐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 지지부(177)의 지지 구멍(178)에 연통되는 수납실(183)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수납실(183)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있어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8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실(183)에는 셀렉트 부재(174)가 수납되고, 상기 셀렉트 부재(174)는 상기 회전축(184)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후방측에 돌출 형상으로서 그 기단부측이 상기 회전축(184)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셀렉트 부재(174)의 선단부측(74a)은 지지 구멍(178)에 삽입되어 결합 홈(180)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184)을 축심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셀렉트 부재(174)가 좌우로 요동하여 조작축(17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84)의 하단부측은 수납부(18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1 레버 부재(185)가 직경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좌우 방향 외측에 돌출 형상으로서 고정되고, 이 제1 레버 부재(185)에 와이어 연결용 핀(18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175)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 방향 내측이, 상기 지지 구멍(178)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에 좌우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회전 부재(175)의 내주부의 좌우 방향 내측이 조작축(173)의 중경부(173b)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스플라임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 회전 부재(175)는 지지부(177)의 외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플레이트(187)에 의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175)의 내주부의 좌우 방향 외측은 내측의 스플라인부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된 수용 구멍(188)으로 되어 있어, 회전 부재(175)의 내주부가 단차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축(173)의 소경부(173c)가 상기 수용 구멍(188) 내에 돌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조작축(173)의 소경부(173c)에는 좌우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링 형상의 스프링 받침 부재(189, 190)가 좌우 방향[조작축(173)의 축심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스프링 받침 부재 사이(89, 90)에, 압축 형상으로 개재 장착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176)이 외부 끼움되어 있다.
좌우 방향 외측의 스프링 받침 부재(이것을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라 함)(189)는 소경부(173c)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에 끼워 넣어진 고정륜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부(이것을 외측 접촉부라 함)(191)에 의해, 소경부(173c)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189)의 좌우 방향 외측에는,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189)의 반대 방향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규제부(이것을 외측 규제부라 함)(192)가 내부 끼움되고, 이 외측 규제부(192)는 빠짐 방지 부재(193)에 의해 수용 구멍(188)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외측 규제부(192)의 내주 직경은 조작축(173)의 소경부(173c)에 마련된 외측 접촉부(191)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소경부(173c) 및 외측 접촉부(191)는 외측 규제부(192) 내를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작축(173)은, 기준 위치에 있어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189)는 복귀 스프링(176)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외측 규제부(192) 및 외측 접촉부(191)에 접촉하고 있고, 좌우 방향 내측의 스프링 받침 부재(이것을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라 함)(190)는 복귀 스프링(176)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중경부(173b)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면[이 부분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190)에 접촉하는 접촉부(194)가 되고, 이것을 내측 접촉부라 함] 및 회전 부재(175)의 내주부의 단차부[이 부분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190)의 반대 방향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195)가 되고, 이것을 내측 규제부라 함]에 접촉하고 있고, 복귀 스프링(176)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축(173)이 기준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아암 부재(179)의 선단부(179a)를 제1 결합부(170A)에 결합시키도록 조작축 (173)을 기준 위치로부터 좌우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190)가 내측 접촉부(194)에 의해 압박되어 복귀 스프링(176)을 압축시키면서 좌우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조작축(173)의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이 상태로부터 조작축(173)에 대한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190)가 복귀 스프링(176)의 가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좌우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고 조작축(173)이 기준 위치로 복귀된다.
회전 부재(175)의, 지지부(177)로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제2 레버 부재(196)가 직경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후방측으로 돌출 형상으로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수용 구멍(188)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은 덮개(197)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상기 제1 레버 부재(185)는 푸쉬풀 와이어 등에 의해 구성된 셀렉트 와이어에 의해 주변속 레버에 연동 연결되고, 제2 레버 부재(196)는 링크 기구 등을 거쳐서 주변속 레버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주변속 레버는 일방향과,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타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고, 일방향의 요동 조작에 의해 제1 레버 부재(185), 회전축(184), 셀렉트 부재(174)를 거쳐서 조작축(173)이 좌우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방향의 조작에 의해 제2 레버 부재(196) 및 회전 부재(175)를 거쳐서 조작축(173)이 좌우 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60)의 외면에는 상기 셀렉트 와이어의 외측 와이어를 부착하는 부착 부재(198)가 고정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변속 장치(142)는 콘스탄트 메쉬식 변속 기구에 의해 구성되고, 고속 기어열(201)과, 이 고속 기어열(20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저속 기어열(202)과, 출력축(146)의 고속 기어열(201)과 저속 기어열(202) 사이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스플라인 끼워 맞춤)된 스플라인 보스(303)와, 이 스플라인 보스(303)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스플라인 끼워 맞춤)된 부변속용 시프터(204)를 갖는다.
고속 기어열(201)의 구동측 기어는 주변속 장치(141)의 제3속 기어열(151)의 피구동측 기어(151b)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부재의 겸용화가 도모되어 있는 동시에, 변속 장치(111)의 콤팩트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고속 기어열(201)의 피구동측 기어(201b)는 출력축(14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고, 출력축(146)의 피구동측 기어(201b)의 전방측에는 상기 피구동측 기어(201b)의 위치 결정용 스페이서(181)가 외부 끼움되어 있다.
또한, 저속 기어열(202)의 구동측 기어(202a)는 카운터축(145) 상의 제2속 기어열(150)의 피구동측 기어(150b)와 제3속 기어열(151)의 피구동측 기어(151b) 사이에 일체 형성되고, 피구동측 기어(202b)는 출력축(14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주변속 장치(141)에 2단의 기어열을 추가하기 위한 스페이서(140)는 저속 기어열(202)의 구동측 기어(20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축(145)의 저속 기어열(202)의 구동측 기어(202a)와 제3 기어열(151)의 피구동측 기어(151b) 사이에는, 기어를 끼워 맞춤하기 위한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속 기어열(201)의 피구동측 기어(201b)의 후방부측 및 저속 기어열(202)의 피구동측 기어(202b)의 전방부측에는 부변속용 시프터(204)에 맞물리는 맞물림부(205, 206)가 설치되고, 이 맞물림부(205, 206)에 부변속용 시프터(204)가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비동력 전동 상태가 되고, 이 위치로부터 부변속용 시프터(204)를 축심 방향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부변속용 시프터(204)를 스플라인 보스(303)와 고속 기어열(201)의 피구동측 기어(201b)의 맞물림부(205)에 걸쳐 맞물림시킴으로써 고속 기어열(201), 부변속용 시프터(204), 스플라인 보스(303)를 거쳐서 카운터축(145)으로부터 출력축(146)으로 부변속의 고속측 동력을 전달하는 부변속 장치(142)의 고속 상태가 되고, 상기 비동력 전동 위치로부터 부변속용 시프터(204)를 축심 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부변속용 시프터(204)를 스플라인 보스(303)와 저속 기어열(202)의 피구동측 기어(202b)의 맞물림부(206)에 걸쳐 맞물림시킴으로써 저속 기어열(202), 부변속용 시프터(204), 스플라인 보스(303)를 거쳐서 카운터축(145)으로부터 출력축(146)으로 부변속의 저속측 동력을 전달하는 부변속 장치(142)의 저속 상태가 된다.
또한, 저속 기어열(202)의 피구동측 기어(202b)의 맞물림부(206)는 부변속용 시프터(204)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길게(또는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부변속용 시프터(204)를 스플라인 보스(30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부변속용 시프터(204)가 스플라인 보스(303)로부터 떨어진 위치가 부변속 장치(142)를 고속 상태 또는 저속 상태 중 어느 쪽으로도 하지 않는 위치이며 클리프 변속 장치(143)를 온 상태로 하기 위한 클리프 변속 절환 위치(C) 가 되고, 부변속용 시프터(204)를 그 이동 영역의 전방 단부측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축심 방향 한쪽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부변속 장치(142)를 고속 상태로 하는 고속 위치(H)와, 부변속 장치(142)를 저속 상태로 하는 저속 위치(L)와, 부변속 장치(142)를 고속 상태 또는 저속 상태 중 어느 쪽으로도 하지 않는 클리프 변속 절환 위치(C)로 부변속용 시프터(204)가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부변속용 시프터(204)는 디텐트 기구에 의해 고속 위치(H), 저속 위치(L), 클리프 변속 절환 위치(C)로 보유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속 위치(H)와 저속 위치(L) 사이의 중립 위치로도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저속 기어열(202)의 후방부에는, 클리프 변속 장치(143)로 동력을 출력하는 클리프 출력 기어(207)가 일체 형성되고, 이 클리프 출력 기어(207)의 후방에는 클리프 변속 장치(143)에 의해 감속된 동력을 출력축(146)에 입력하는 클리프 최종 기어(208)가 배치되고, 상기 클리프 최종 기어(208)는 출력축(14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또한, 이 클리프 최종 기어(208)는 주변속 장치(141)의 제1속 기어열과 제2속 기어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는, 마모 등을 생각하면 통상 입력축(144)보다도 회전이 느린 카운터축(145)측에 설치하는 것이 좋지만, 카운터축(145)에 설치하면 관성량이 커져 싱크로량이 커지고, 또한 감속비가 클수록 싱크로량이 커지므로, 제1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가 직경 방향으로 커져 기어 직경이 큰 클리프 최종 기어(208)를 주변속 장치(141)의 제1속 기어열(149)과 제2속 기어 열(150) 사이에 배치할 수 없게 되어, 주변속 장치(141), 부변속 장치(142) 및 클리프 변속 장치(143)를 전동 케이스(5)의 한 쌍의 벽부(25, 147) 사이에 수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카운터축(145)과 출력축(146) 사이의 축간 거리는 다른 기어의 제약을 받아, 크게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주변속의 제1속과 제2속을 절환하는 제1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를 입력축(144)에 설치함으로써, 제1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가 직경 방향으로 콤팩트해지고, 기어 직경이 큰 클리프 최종 기어(208)를 주변속 장치(141)의 제1속 기어열(149)과 제2속 기어열(150) 사이에 배치할 수 있어, 주변속 장치(141), 부변속 장치(142) 및 클리프 변속 장치(143)를 전동 케이스(5)의 한 쌍의 벽부(25, 147) 사이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프 최종 기어(208)의 후방부측에는 전륜 동력 취출 기어열(209)의 구동측 기어(209a)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전륜 동력 취출 기어(209)의 피구동측 기어(209b)는 상기 전륜 추진축(14)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고, 이 전륜 추진축(14) 상에 전후 방향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210)의 미끄럼 이동 조작에 의해 변속 장치(111)를 경유한 후의 동력이 전륜에 단접 가능하게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클리프 변속 장치(143)의 대부분은, 상기 커버(160)에 조립 부착되어 있어, 상기 커버(160)를 클러치 하우징(1)에 부착함으로써 클리프 변속 장치(143)가 부변속 장치(142)와 후륜 차동 장치(13) 사이의 동력 전달 계통에 걸림 이탈 가 능하게 개재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클리프 변속 장치(143)를 커버(160)에 조립 부착한 상태의 클리프 변속 있음 사양과, 클리프 변속 장치(143)를 커버(160)에 조립 부착하지 않은 상태의 클리프 변속 없음 사양으로 변속 장치(111)를 간단히 사양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클리프 변속 장치(143)는, 도5, 도8, 도9, 도10, 도11,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클리프 출력 기어(207) 및 클리프 최종 기어(208) 외에, 커버(160)의 내면에 설치된 전후방 지지벽(167, 168)의 하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전동축(211, 212)을 구비하고, 한쪽(좌우 방향 외측) 전동축(211)은 입력측 전동축이 되고, 다른 쪽(좌우 방향 내측) 전동축(212)은 출력측 전동축으로 되어 있다.
또한, 클리프 변속 장치(143)는 출력측 전동축(212)의 중도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또한 상기 클리프 출력 기어(207)에 맞물리는 제1 클리프 변속 기어(213)와, 이 제1 클리프 변속 기어(213)의 후방부측에 일체 형성된 제2 클리프 변속 기어(214)와, 이 제2 클리프 변속 기어(214)에 맞물림되는 동시에 입력측 전동축(21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제3 클리프 변속 기어(215)와, 이 제3 클리프 변속 기어(215)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입력측 전동축(21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제4 클리프 변속 기어(216)와, 이 제4 클리프 변속 기어(216)와 맞물리는 제5 클리프 변속 기어(217)와, 출력측 전동축(21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또한 제5 클리프 변속 기어(217)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전동 통(218)과, 이 전동 통(218)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 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클리프 변속용 전동 통(218)과, 상기 제2 클리프 변속 기어(214)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클리프 최종 기어(208)에 맞물림되는 동시에 출력측 전동축(21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제6 클리프 변속 기어(2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의 전후 방향의 이동 영역의 후방 단부측에는,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에 맞물리는 맞물림부(221)가 출력측 전동축(21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클리프 변속 장치(143)에 있어서는,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를 맞물림부(221)에 맞물리게 하면, 카운터축(145)으로부터 저속 기어열(202) → 클리프 출력 기어(207) → 제1 클리프 변속 기어(213) → 제2 클리프 변속 기어(214) → 제3 클리프 변속 기어(215) → 입력측 전동축(211) → 제4 클리프 변속 기어(216) → 제5 클리프 변속 기어(217) → 전동 통(218) →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 → 맞물림부(221) → 출력측 전동축(212) → 제6 클리프 변속 기어(220) → 클리프 최종 기어(208)를 경유하여 출력축(146)으로 동력이 초저속으로 감속되어 전달되는 클리프 변속 장치(143)의 연결 상태(클리프 변속 상태)가 되고,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와 맞물림부(221)의 맞물림을 해제하면, 입력측 전동축(211)으로부터 출력측 전동축(212)으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클리프 변속 장치(143)의 해제 상태가 된다.
부변속용 시프터(204)를 전후로 이동 조작하기 위한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222)와,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를 전후로 이동 조작하기 위한 클리프 변속용 시프트 포크(223)는 상기 커버(160)에 조립 부착되어 있고, 또한 클리프 변속용 시프트 포크(223)는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222)에 일체 형성되어 있어,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222)와 클리프 변속용 시프트 포크(223)는 1개의 부변속 레버(조작 레버)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커버(160)에 설치된 전후방 지지벽(168)에 걸쳐 제4 시프트 로드(224)가 전후 방향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이 제4 시프트 로드(224)에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222) 및 클리프 변속용 시프트 포크(223)의 베이스부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시프트 로드(224)를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222) 및 클리프 변속용 시프트 포크(223)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부변속용 시프터(204)와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가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변속용 시프터(204)와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를 별개의 부재로 형성하여 동일한 시프트 로드에 부착함으로써, 부변속용 시프터(204)와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를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클리프 변속용 시프터(219)는 부변속용 시프터(204)가 고속 위치(H) 및 저속 위치(L)에 위치할 때에는, 맞물림부(221)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가 되고, 부변속용 시프터(204)가 클리프 변속 절환 위치(C)에 위치하였을 때에 맞물림부(221)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1개의 부변속 레버를 일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요동 조작하여, 부변속용 시프터(204)를 고속 위치(H), 저속 위치(L), 클리프 위치(C)로 절환함으로써 부 변속 장치(142)의 고속 상태 → 부변속의 저속 상태 → 클리프 변속 상태로 순차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160)의 후방 하부에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동시에 축심 방향 양단부측이 개방 형상이 된 삽통 구멍(228)을 갖는 지지부(229)가 설치되고, 이 지지부(229)의 삽통 구멍(228)에 회전축(230)이 삽입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230)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회전축(230)은 지지부(229)의 외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빠짐 방지 플레이트(231)에 의해 좌우 방향 외측으로 빠짐 방지되어 있다.
이 회전축(230)의 내측 단부측은 커버(160)로부터 클러치 하우징(1) 내로 돌출되어 있고, 이 회전축(230)의 내측 단부측에 아암 부재(232)가 직경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상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아암 부재(232)의 선단부측(상단부측)(232a)이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222) 및 클리프 변속용 시프트 포크(223)의 베이스부(233)에 마련된 결합 홈(236)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축(230)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측은 지지부(229)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 부분에 통 부재(234)가 외부 끼움되어 핀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 통 부재(234)에 레버 부재(235)가 직경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후방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 부재(235)의 후방 단부측은, 부변속 레버에 연동 기구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부변속 레버를 요동 조작함으로써 레버 부재(235)가 상하로 요동하 여 회전축(230)이 회전하는 동시에 아암 부재(232)가 전후로 요동하여, 제4 시프트 로드(224)를 거쳐서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222) 및 클리프 변속용 시프트 포크(223)가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7 내지 도20은, 상기 실시 형태의 주변속 장치(141)를 6단 변속 사양으로 한 경우의 동력 전달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예의 주변속 장치(141)에 있어서는, 제5속 기어열(154)과, 제6속 기어열(152)과, 이들 변속 절환을 행하는 제3 주변속 절환 클러치(157)를 전술한 공간(140)에 조립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4속 기어열(151), 제3속 기어열(150), 제6속 기어열(152), 제5속 기어열(154), 제2속 기어열(153), 제1속 기어열(149)이 전방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4단 변속 사양의 주변속 장치(141)에 있어서의 제1속 기어열(149)과 제2속 기어열(150) 사이의 변속비의 기어열과, 제3속 기어열(151)과 제4속 기어열(152) 사이의 변속비의 기어열이 추가됨으로써 6단 변속 사양의 주변속 장치(141)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17 내지 도20에 도시한 6단 변속 사양의 주변속 장치(141)는, 제1속 기어열(149)이 4단 변속 사양의 제1속 기어열(149)과 같은 변속비가 되고, 제2속 기어열(153)이 4단 변속 사양의 제1속 기어열(149)과 제2속 기어열(150) 사이의 변속비가 되고, 제3속 기어열(150)이 4단 변속 사양의 제2속 기어열(150)과 같은 변속비가 되고, 제4속 기어열(151)이 4단 변속 사양의 제3속 기어열(151)과 같은 변속비가 되고, 제5속 기어열(154)이 4단 변속 사양의 제3속 기어열(151)과 제4속 기어열(152) 사이의 변속비가 되고, 제6속 기어열(152)이 4단 변속 사양의 제4속 기어열(152)과 같은 변속비가 되어 있다.
또한, 이 6단 변속 사양의 주변속 장치(141)의, 제2속 기어열(153)과 제5속 기어열(154)의 피구동측 기어(153b, 154b)는 일체 형성된 2연 기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카운터축(145)과의 맞물림 부분의 겸용화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속 장치(111)에 있어서는, 제4속 기어열(151)의 피구동측 기어(151b)가 부변속 장치(142)의 고속 기어열(201)의 구동측 기어(151b)가 되고, 이 고속 기어열(201)의 피구동측 기어(201b)의 후방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부의 후방 단부측에 부변속용 시프터(204)가 맞물리는 맞물림부(20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160)에는 제3 주변속 절환 클러치(157)의 주변속용 시프터(이것을 제3 주변속용 시프터라 함)(157b)에 결합하여 이것을 축심 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제5속이나 또는 제6속으로 동력 전달 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3)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3)를 지지하는 시프트 로드(166)[제3 시프트 로드(166)라 함]가 마련되고,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3)의 베이스부는 제3 시프트 로드(166)에 고정 형상으로 부착되고, 이 제3 시프트 로드(166)는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고 상기 제1 시프트 로드(164)의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 후방 지지벽(168)과 중간 지지벽(169)에 걸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시프트 로드(166)에는 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70C)(제3 결합부) 가 설치되고, 제1 내지 제3 결합부(170A 내지 170C)는 제2 결합부(170B)가 제1 결합부(170B)와 제3 결합부(170C)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아암 부재(179)의 선단부측(179a)은 조작축(173)의 기준 위치에 있어서 제2 결합부(170B)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조작축(173)을 좌우 방향 외측(제1 이동 위치)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 부재(179)의 선단부측(179a)이 제1 결합부(170A)에 결합되고, 기준 위치로부터 조작축(173)을 좌우 방향 내측(제2 이동 위치)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 부재(179)의 선단부측(179a)이 제3 결합부(170C)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조작축(17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내지 16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173)을 기준 위치, 제1 이동 위치 또는 제2 이동 위치에서 축심 주위로(좌우 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아암 부재(179)가 좌우 축 주위에 전후로 요동하고, 선택된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161 내지 163)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 부재(179)의 선단부(179a)를 제1 결합부(170A)에 결합시키도록 조작축(173)을 기준 위치로부터 좌우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190)가 내측 접촉부(194)에 의해 압박되어 복귀 스프링(176)을 압축시키면서 좌우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조작축(173)의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이 상태로부터 조작축(173)에 대한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조작력 을 해제하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190)가 복귀 스프링(176)의 가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좌우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고, 조작축(173)이 기준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아암 부재(179)의 선단부(179a)를 제3 결합부(170C)에 결합시키도록 조작축(173)을 기준 위치로부터 좌우 축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189)가 외측 접촉부(191)에 의해 압박되어 복귀 스프링(176)을 압축시키면서 좌우 축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조작축(173)의 좌우 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이 상태로부터 조작축(173)에 대한 좌우 방향 내측으로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189)가 복귀 스프링(176)의 가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좌우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조작축(173)이 기준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좌우 축방향 3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한 조작축(173)을, 1개의 복귀 스프링(176)에 의해 상기 3 위치의 중간의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5 내지 도16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21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주변속 장치(141)의 구동측 기어, 제1 및 제2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 156)의 조립 부착 용이화를 도모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2속 기어열(150)의 구동측 기어(150a), 제1 주변속 절환 클러치(155), 제1속 기어열(149)의 구동측 기어(149a)는, 이 순서로 입력축(144)에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차례로 외부 끼움되어 조립 부착되고, 제2속 기어열(150)의 구동측 기어(150a)의 전방 단부의 위치 결정은 입력축(144)에 부착한 고정륜(237) 으로 행하고, 제1속 기어열(149)의 구동측 기어(149a)의 후방 단부의 위치 결정을 하는 고정륜(238)의 전방측에 조정 칼라(collar)(239)를 넣음으로써 덜걱거림을 없애고 있다.
한편, 제3속 기어열(151)의 구동측 기어(151a), 제2 주변속 절환 클러치(156), 제4속 기어열(152)의 구동측 기어(152a), 베어링(240)은 이 순서로 입력축(144)에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차례로 외부 끼움되어 조립 부착되고, 제3속 기어열(151)의 구동측 기어(151a)의 후방 단부의 위치 결정은 입력축(144)에 부착한 고정륜(241)으로 행하고, 이들 제3속 기어열(151)의 구동측 기어(151a), 제2 주변속 절환 클러치(156), 제4속 기어열(152)의 구동측 기어(152a), 베어링(240)을 조립 부착한 후에, 입력축(144)의 전방 단부측을 후방으로부터 구획벽(25)으로 형성된 베어링(240)의 지지 구멍(242)에 삽통하고, 삽통 후에 입력 기어(132)를 입력축(144)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입력축(144)에 외부 끼움되고, 입력 기어(132)의 전방 단부측에 접촉하는 빠짐 방지 플레이트(243)를 입력축(144)에 전방 단부에 볼트(244)로 고정하고 있다.
이 빠짐 방지 플레이트(244)는 스프링강 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볼트(244)를 체결 부착하고, 상기 빠짐 방지 플레이트(244)로 입력 기어(132)를 후방으로 압박함으로써 덜걱거림을 없애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6단 변속 사양으로 하는 경우 입력축(144)도 교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복수의 변속단의 주변속 장치(141)에 1개 또는 복수개의 변속단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다음에, 클러치 기구(18)나 관성 제동 기구(319)에 관하여 설명한다.
PTO 구동축(16)은 클러치 기구(18)를 거쳐서 PTO 전동축(17)에 엔진 동력을 전달하고, 이 PTO 전동축(17)은 미션 케이스(3)의 후방부의 PTO축(6)에 PTO 변속 기구(19)를 거쳐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PTO 구동축(16)과 PTO 전동축(17)은, 미션 케이스(3) 내에서 동일 축선 상에 대향 배치되고, 모두 미션 케이스(3) 내에 베어링을 거쳐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18)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구동축(16)에 연결된 디스크 부착체(312)와, PTO 전동축(17)에 연결된 클러치 본체(313)와, 클러치 본체(313)의 실린더실(314)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실(314) 내에 공급되는 유압력에 의해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 전진 동작하여 상기 디스크 부착체(312)의 클러치 디스크(315)와 상기 클러치 본체(313)의 드라이브 플레이트(316)를 압접시켜 클러치 접속 상태로 하는 클러치 피스톤(317)과, 상기 유압력의 배제에 의해 상기 클러치 피스톤(317)을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후퇴 동작시켜 상기 클러치 디스크(315)와 드라이브 플레이트(316)와의 압접을 해제시켜 클러치 차단 상태로 하는 클러치 스프링(318)을 구비하고 있다.
이 클러치 기구(18)에는, 클러치 차단시에 클러치 본체(313)를 거쳐서 PTO 전동축(17)의 관성 회전을 제동하는 관성 제동 기구(319)가 부설되어 있다. 이 관성 제동 기구(319)는, 미션 케이스(3)에 고정 보유 지지되는 브레이크 디스크(320) 와, 클러치 본체(313)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320)를 향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장착된 피제동 플레이트(321)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 부착체(312)는 컵 형상으로 되고, 상기 컵 형상의 바닥부에 보스부(312a)가 형성되고, 이 보스부(312a)가 PTO 구동축(16)의 후방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 축부(16a)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고, 상기 스플라인 축부(16a)에 고정 부착된 스톱퍼링(16b)에 의해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부착체(312)의 컵 형상의 개구 단부측 외주면 전체 주위에 요철조가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이 요철조에 결합하는 요철조를 내주면에 형성한 복수매의 클러치 디스크(315)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은 디스크 부착체(312)와 일체적으로 행하도록 끼워 맞춤되어 있다.
클러치 본체(313)는 디스크 부착체(312)보다도 대경의 컵 형상으로 되고, 이 컵 형상의 바닥부에 보스부(313a)가 축방향 후방 단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또한 노즈 슬리브(313b)가 축방향 전방 단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313a) 및 노즈 슬리브(313b)가 PTO 전동축(17)의 축방향 전방 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 축부(17a)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어 있다. 보스부(313a)의 외주면은 급유 칼라(326)에 베어링(327)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급유 칼라(326)는 미션 케이스(3)의 지지 브래킷(328)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 PTO 구동축(16)의 후방 단부 중심부에는 소경 축 구멍(16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소경 축 구멍(16c) 내에 PTO 전동축(17)의 전방 단부 중심부의 소경 축부(17b)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에 의해 PTO 구동축(16)과 PTO 전동축(17)이 동심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본체(313)와 상기 디스크 부착체(312)는 상호의 컵 형상의 개구부측을 마주보게 하여 전자로 후자를 피복하도록 동심 형상으로 조합되어 있다. 클러치 본체(313)의 노즈 슬리브(313b)는, 디스크 부착체(312)의 컵 형상 내를 향해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이 노즈 슬리브(313b)의 선단부는 베어링(329)을 거쳐서 디스크 부착체(312)의 컵 형상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본체(313)의 컵 형상부는, 소경 내주면(313c)과 대경 내주면(313d)을 전자를 바닥부측으로 하고, 후자를 개구부측으로 하여 형성하고 있다. 클러치 본체(313)의 대경 내주면(313d)의 개구 단부측 내주면 전체 주위에는, 요철조가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이 요철조에 결합하는 요철조를 외주면에 형성한 복수매의 드라이브 플레이트(316)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은 클러치 본체(313)와 일체적으로 행하도록 끼워 맞춤되어 있다. 상기 복수매의 클러치 디스크(315)와 복수매의 드라이브 플레이트(316)는 축선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본체(313)의 대경 내주면(313d)의 개구부측 단부에는, 프레셔 플레이트(322)가 스톱퍼링(323a)과 접시 스프링(323b)을 거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316)와 마찬가지로 요철조 결합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은 클러치 본체(313)와 일체적으로 행하도록 끼워 맞춤되어 있다. 클러치 본체(313)의 대경 내주면(313d)과 소경 내주면(313c)의 경계부의 단차면(313e)에 핀(324)의 지지부로서의 핀 지지 구멍(325)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핀 지지 구멍(325)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피스톤(317)에는 상기 클러치 본체(313)의 소경 내주면(313c) 및 대경 내주면(313d)에 대응하는 소경 외주면(317a)과 대경 외주면(31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피스톤(317)의 내주면(317c)은 클러치 본체(313)의 노즈 슬리브(313b)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어 있다. 클러치 피스톤(317)의 소경 외주면(317a)의 일부에는, 클러치 본체(313)의 소경 내주면(313d)에 대응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O링 등의 환상 시일(317d)이 장착되고, 또한 노즈 슬리브(313b)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클러치 피스톤(317)의 내주면(317c)에 대응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O링 등의 환상 시일(313f)이 장착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클러치 피스톤(317)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어 있는 실린더실(314)은 기밀성이 유지되어 오일 누설이 방지되어 있다. 이 실린더실(314)에는 급유 칼라(326)에 형성된 급유구(326a) 및 클러치 본체(313)의 보스부(313a)에 형성된 유로(313g)를 통해 유압력이 공급 도입된다. 실린더실(314) 내로의 유압력의 공급 및 배제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로부터 제어 밸브를 거쳐서 행해진다. 클러치 스프링(318)은, 코일 형상의 압축 스프링이 채용되어 있고, 이것을 디스크 부착체(312)의 컵 형상부 내에서 상기 노즈 슬리브(313b)의 선단부 부근에 장착한 스프링 시트(330)와 클러치 피스톤(317)의 단부면 사이에 압축 개재시키고 있다.
관성 제동 기구(319)의 브레이크 디스크(320)는 원반 형상의 플레이트가 채용되어 있고, 이것의 외주부가 미션 케이스(3)의 일부에 고정 보유 지지되어 있고, 또한 내주부의 축방향 단부면이 지지 브래킷(328)에 고정 지지된 급유 칼라(326)의 축방향 전단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클러치 본체(313)의 보스부(313a)의 외주면에 동심 형상으로 헐겁게 끼워져 있다. 피제동 플레이트(321)는 도22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320)와 동일한 원반 형상의 플레이트가 채용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요철 갈고리(321a)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본체(313)의 컵 형상의 바닥부측 축방향 단부 외면에는 피제동 플레이트(321)의 상기 요철 갈고리(321a)에 대응하는 요철 갈고리(313h)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제동 플레이트(321)의 요철 갈고리(321a)와 클러치 디스크(313)의 요철 갈고리(313h)를 결합시킴으로써 피제동 플레이트(321)는 클러치 디스크(313)외 동일 축선 상에서 클러치 디스크(313)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은 클러치 본체(313)와 일체적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피제동 플레이트(321)는 클러치 본체(313)에 대해 브레이크 디스크(320)를 향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클러치 본체(31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320)와 피제동 플레이트(321)의 접촉면 중 한쪽 또는 양쪽에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장착되어 있다. 핀(324)은 클러치 피스톤(317)과 피제동 플레이트(321) 중 어느 쪽으로도 연결되지 않고, 또한 클러치 차단시에 클러치 피스톤(317)과 피제동 플레이트(321)에 접촉하여 클러치 스프링(318)의 스프링력을 클러치 피스톤(317)을 거쳐서 피제동 플레이트(321)에 전달하여 상기 피제동 플레이트(321)를 브레이크 디스크(320)에 탄압시키도록 상기 클러치 본체(313)의 핀 지지 구멍(325)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핀(324)은 또한, 실린더실(314)에 유압력이 도입 공급되어 클러치 피스톤(317)이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핀(324)과 클러치 피스톤(317)의 접촉면 사이에 축방향의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제동 플레이트(321)를 클러치 스프링(318)의 스프링력으로부터 해방하여 브레이크 디스크(320)로의 탄압을 해제하는 기능, 즉 PTO 전동축(17)의 제동력을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시키는 것으로, 핀 지지 구멍(325)에 대한 축방향 길이는 핀(324) 쪽을 핀 지지 구멍(325)보다도 길게 하고, 클러치 차단 동작시에 핀(324)이 핀 지지 구멍(325)보다도 피제동 플레이트(321)측으로 돌출하여 피제동 플레이트(321)를 브레이크 디스크(320)에 탄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핀(324)의 핀 지지 구멍(325)으로부터의 돌출량은 피제동 플레이트(321)의 브레이크 디스크(320)에 대한 축방향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되고, 예를 들어 상기 피제동 플레이트(321)의 축방향 이동 거리와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상기 핀(324)의 지지 위치, 즉, 상기 핀 지지 구멍(325)의 클러치 본체(313)에의 형성 위치는, 상기 실린더실(314)의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클러치 피스톤(317)의 외주부와 대응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위치는 클러치 피스톤(317)의 소경 외주면(317a)과 대경 외주면(317b)의 경계면[클러치 피스톤(317)의 대경부 단부면]에 대응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핀(324)의 지지 위치는 피제동 플레이트(321)의 요철 갈고리(321a)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클러치 본체(313)의 외경을 크게 하거나 또는 실린더실(314)의 내경을 작게 하거나 하는 일 없이 실린더실(314)과 핀 지지 구멍(325) 사이의 직경 방향 두께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관성 제동 기구가 구비된 유압식 PTO 클러치는, 실린더실(314)에 유압력이 공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클러치 스프링(318)의 스프링력에 의해 클러치 피스톤(317)이 클러치 본체(313)의 컵 형상의 바닥부측으로 밀려 이동하여 클러치 디스크(315)와 드라이브 플레이트(316)의 압접을 해제하여 클러치 차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피제동 플레이트(321)가 클러치 스프링(318)의 스프링력에 의해 클러치 피스톤(317) 및 핀(324)을 거쳐서 브레이크 디스크(320)를 향해 탄압되어 제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PTO 전동축(17)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실린더실(314)에 유압력이 공급되면, 클러치 피스톤(317)이 클러치 스프링(318)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클러치 본체(313)의 컵 형상의 개구 단부측으로 밀려 이동하여, 클러치 디스크(315)와 드라이브 플레이트(316)를 프레셔 플레이트(322)를 향해 압접하여 클러치 접속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피제동 플레이트(321)는 클러치 피스톤(317) 및 핀(324)으로부터의 탄압으로부터 해방되고, 브레이크 디스크(320)로부터 이격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따라서, PTO 전동축(17)에는 PTO 구동축(16)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실린더실(314)의 유압력이 배제되면, 클러치 스프링(318)의 스프링력에 의해 클러치 피스톤(317)이 클러치 본체(313)의 컵 형상의 바닥부측으로 밀려 이동하여, 클러치 디스크(315)와 드라이브 플레이트(316)의 압접을 해제하여 클러치 차단 상태로 하고 클러치 피스톤(317) 및 핀(324)을 거쳐서 피제동 플레이트(321)가 브레이크 디스크(320)를 향해 탄압되어 피제동 플레이트(321) 및 클러치 본체(313)를 거쳐서 PTO 전동축(17)에 제동이 걸려 PTO 전동축(17)의 관성 회전이 제동된다.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관성 제동 기구가 구비된 유압식 PTO 클러치를 트랙터의 주행계 트랜스미션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동일 축선 상에 대향 배치되는 구동측축과 피동측축 사이에서 회전 토크를 전달·차단시키는 범용 클러치에 적용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 트랙터의 주행계 트랜스미션에 적용되는 PTO 변속 기구(19)의 베어링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PTO 변속 기구(19)는,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전동축(17)으로부터 PTO축(6)으로 변속하여 출력시키기 위해 양축에 전동 기어(331, 332)가 맞물림 상태로 미션 케이스(3)의 후방 단부의 단부 커버(4)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서는, 한쪽 전동 기어(331)는 짧은 축(도시 생략)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짧은 축의 전방 단부와 PTO 전동축(17)의 후방 단부가 커플링축 이음매(도시 생략)로 접속되어 있고, 게다가 상기 짧은 축은 단부 커버(4)에 전동 기어(331)의 양측에서 양 지지 구조로 지지되어 있었다. 또한, 다른 쪽 전동 기어(332)도 종래에서는 단부 커버(4)에 양 지지 구조로 지지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단부 커버(4)는 종래에서는 전동 기어(331, 332)의 양측에 지지벽(도시 생략)이 평행 상태로 형성된 2면벽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PTO 변속 기구(19)의 베어링 구조는 복잡해지고, 부품 개수도 많으므로 비용 절감의 저해 요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기어 (331, 332)는 모두 외팔보 구조로 단부 커버(4)에 지지시켜, 상기 단부 커버(4)를 1면벽 구조로 한 것이다. 또한, 전동 기어(331)는 중심부에 종래의 짧은 축 대신에 스플라인 축 구멍(331a)을 형성하고, 이 스플라인 축 구멍(331a) 내에 PTO 전동축(17)의 후방 단부의 스플라인 축부(17c)를 끼움 삽입하여, 단부 커버(4)에 대해 1개의 베어링(336)으로 후방 단부측을 외팔보 구조로 지지시킨 것이다. 또한, PTO축(6)은 축방향으로 이격된 2 군데를 단부 커버(4)의 중앙부의 베어링 슬리브(4a)에 베어링(337, 338)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베어링 슬리브(4a)는 단부 커버(4)에 축방향 내외로 돌출시켜 형성되어 있다. 전동 기어(332)는 베어링 슬리브(4a)에 베어링(337, 338)을 거쳐서 단부 커버(4)의 내외 방향으로 관통 지지된 PTO축(6)의 내측 단부에 체결 부착 너트(339)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전동 기어(332)는 베어링 슬리브(4a)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위치에서 단부 커버(4)의 베어링 슬리브(4a)에 외팔보 구조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단부 커버(4)의 상부에는 비스듬히 상향으로 급유구(4b)가 형성되어 있고, 캡(4c)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PTO 전동축(17)의 후방 단부를 PTO 변속 기구(19)의 전동 기어(331)에 직접 스플라인 끼워 맞춤시켜 상기 전동 기어(331)의 짧은 축을 생략하고, 또한 전동 기어(331, 332)를 단부 커버(4)에 외팔보 구조로 지지함으로써 단부 커버(4)를 1면벽 구조로 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PTO 변속 기구(19)의 베어링 구조의 간소화 및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트랙터의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 공급 수단이나 트랙터 후방부에 설치되는 3점 링크 히치 기구 구동용 유압 공급 수단 등에의 유압 공급 수단으로서 미션 케이스(3)에 부착되는 펌프 동력 취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 펌프 동력은 항시 회전하고 있는 PTO 추진축으로부터 평기어 3매(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취출되고 있었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펌프 입력축(도시 생략)은 PTO 추진축과 평행이 되어 양축 사이에 중간축(도시 생략)을 배치하고, 이들 3개의 축에 평기어를 각각 장착하여 펌프를 구동하고 있었다. 이 경우, 펌프 입력축에 장착되는 기어와 중간축에 장착되는 기어는 부착용 케이스(도시 생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부착용 케이스의 한쪽 측면에 펌프 본체(도시 생략)가 부착되고, 상기 측면과 직교하는 측면을 미션 케이스의 측면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로 인해, 종래의 펌프 구동 취출 구조는 부품 개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 절감의 저해 요인이 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구동축(16)으로부터 한 쌍의 베벨 기어(341, 342)로 동력을 취출하여 펌프 입력축(443)을 회전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펌프 구동 취출 위치는 PTO 구동축(16)의 후방 단부 부근을 베어링(344)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미션 케이스(3)의 지지 브래킷(345)과 클러치 기구(18)의 설치 위치 사이가 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베벨 기어(341)는 축방향의 한쪽으로 신장되는 짧은 통축 형상의 보스부(341a)를 갖고, 이 보스부(341a)를 PTO 구동축(16)의 후방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 축부(16a)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고, 미션 케이스(3)의 지지 통 부(345)에 베어링(344)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PTO 구동축(16)에 끼움 삽입된 스톱퍼링(346)에 의해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다른 쪽 베벨 기어(342)는 축방향의 한쪽으로 신장되는 통축 형상의 보스부(342a)가 중공 축 구조가 되고, 이 보스부(342a)가 축방향으로 이격된 2 군데에서 베어링(347, 348)을 거쳐서 부착용 케이스(34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위치 결정 링(350, 351)으로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스부(342a)의 일단부 내주면에는 스플라인 홈(34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플라인 홈(342b)에 펌프 입력축(343)이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어 있다.
상기 부착용 케이스(349)는 통 형상부(349a)와, 상기 통 형상부(349a)의 일단부 외주부에 직경 외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외측 부착 플랜지부(349b)와, 상기 통 형상부(349a)의 일단부 내주부에 스폿 페이싱 형성된 펌프 부착부(349c)를 갖고 있고, 펌프 부착부(349c)에는 펌프 본체(P)의 부착 플랜지부(353)가 볼트 부착 고정되고, 외측 부착 플랜지부(349b)를 미션 케이스(3)의 측면의 부착 시트면(도시 생략)에 볼트 부착 고정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3)의 부착 시트면(도시 생략)에는 통 형상부(349a)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PTO 구동축(16)에 대해 펌프 입력축(343)은 직교 상태로 미션 케이스(3)의 측면에 부착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펌프 동력 취출 구조는 부품 개수가 삭감되고 구조도 간소화되므로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도26은 펌프 동력 취출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부착용 케이스(349)를 생략하여 펌프 본체(P)의 부착 플랜지부(353)를 미션 케이스(3)의 측면의 부착 시트면 (354)에 직접 붙이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미션 케이스(3)의 측면의 부착 시트면(354)에는 펌프 입력축(343)과 연결되는 베벨 기어(3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형상부(35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통 형상부(355)에 베벨 기어(342)가 베어링(347, 348)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도25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펌프 동력 취출 구조는 한층 더 간소화되고, 부품 개수도 삭감되어 비용 절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 클러치로 이루어지는 전진 고속 클러치와 전진 저속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를 추진축 상, 즉 1축 상에 설치하였으므로 이들 클러치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할 때에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엔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구동륜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11) 사이에 동력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는 전후진 절환 장치(12)를 설치하고, 이 전후진 절환 장치(12)는 전진시에는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한 동시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진 고속측으로 절환하는 전진 고속 클러치(27)와, 전진 저속측으로 절환하는 전진 저속 클러치(31)와, 후진측으로 절환하는 후진 클러치(29)를 구비하고, 이들 클러치(27, 31, 29)를, 상기 클러치(27, 31, 29)에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작동하는 유압 클러치로 구성한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전진 고속 클러치(27)와 전진 저속 클러치(31)와 후진 클러치(29)를,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추진축(10) 상에 축심 방향 직렬 형상으로 배치하여 설치하고,
    변속 장치(11)에 동력을 입력하는 제1 및 제2 입력 기어(26b, 30b)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입력 기어(26b)에 맞물리고 또한 전진 고속 클러치(27)에 의해 전진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변속 장치(11)에 전진 고속 동력을 전달하는 전진 고속 출력 기어(26a)와, 상기 제2 입력 기어(30b)에 맞물리고 또한 전진 저속 클러치(31)에 의해 전진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변속 장치(11)에 전진 저속 동력을 전달하는 전진 저속 출력 기어(30a)와, 상기 제1 및 제2 입력 기어(26b, 30b) 중 한쪽에 맞물리고 또한 후진 클러치(29)에 의해 후진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변속 장치(11)에 후진 동력을 전달하는 후진 전동 기어(28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축(10)의 하방에 후진 전동축(28b)을 평행 형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입력 기어(26b, 30b)가 설치되어 있어 변속 장치(11)에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32)을, 이들 추진축(10)과 후진 전동축(28b) 사이의 위치의 측방에 추진축(10)과 평행 형상으로서 배치하고, 추진축(10) 상에 전진 고속 출력 기어(26a)와 전진 저속 출력 기어(30a)와 후진 출력 기어(28a)를 설치하고, 후진 전동축(28b) 상에 상기 후진 출력 기어(28a)에 맞물려 회전 방향을 변환하는 역전 기어(28c)와 상기 후진 전동 기어(28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전진측 클러치(27, 31)나 또는 후진 클러치(29)에 압유를 공급하도록 압유의 경로를 절환하는 셔틀 밸브(42)를 구비하고, 이 셔틀 밸브(42)와 전진측 클러치(27, 31) 사이에 전진 고속 클러치(27)나 또는 전진 저속 클러치(31)에 압유를 공급하도록 압유의 경로를 절환하는 고저속 절환 밸브(4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장치(11)는 전후에 간격을 둔 한 쌍의 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변속 장치(11)는 주변속 장치(141)와, 부변속 장치(142)와, 클리프 변속 장치(1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6. 삭제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절환 장치(12)의 전방에는 이를 지지하는 제1 벽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진 절환 장치(12)와 상기 변속 장치(11) 사이에는 이들을 지지하는 제2 벽이 구비되고, 상기 변속 장치(11)의 후방에는 제3 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3 벽의 후방에 동력 취출축(34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KR1020060025557A 2005-04-27 2006-03-21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KR100774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0428A JP4390744B2 (ja) 2005-04-27 2005-04-27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JP-P-2005-00130428 2005-04-27
JP2005163113A JP2006335248A (ja) 2005-06-02 2005-06-02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JP-P-2005-00163113 2005-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85A KR20060113385A (ko) 2006-11-02
KR100774039B1 true KR100774039B1 (ko) 2007-11-06

Family

ID=3723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557A KR100774039B1 (ko) 2005-04-27 2006-03-21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00410B2 (ko)
KR (1) KR100774039B1 (ko)
ES (1) ES2294917B2 (ko)
FR (1) FR2885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303446L (sv) * 2003-12-17 2004-11-02 Volvo Lastvagnar Ab Automatiskt växlingsförfarande för fordon med inkopplat kopplingsberoende kraftuttag samt automatiskt urkopplingsförfarande av ett kopplingsberoende kraftuttag
US8172714B2 (en) * 2007-03-05 2012-05-08 Kubota Corporation Speed changing transmission apparatus
ITTO20070260A1 (it) * 2007-04-13 2008-10-14 Cnh Italia Spa Dispositivo di presa di forza per un veicolo agricolo, in particolare un trattore
KR100852991B1 (ko) * 2007-06-11 2008-08-19 대동공업주식회사 작업기의 브레이크 제동시 시동꺼짐 방지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EP3450800B1 (en) 2010-09-28 2020-03-04 Kubota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ractor
CN102537287B (zh) * 2012-01-15 2014-08-20 福田雷沃国际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18+6档位的拖拉机变速装置
BR112014026296B1 (pt) 2012-06-07 2022-03-03 Cnh Industrial America Llc Sistema e método para realizar mudanças de reversão com uma transmissão de um veículo de trabalho
EP3203118B1 (en) * 2014-09-29 2021-03-03 Aichi Machine Industry Co., Ltd. Gearbox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EP3401827A1 (en) 2017-05-10 2018-11-14 Checkmarx Ltd. Method and system of static and dynamic data flow analysis
US11112005B2 (en) 2018-03-28 2021-09-07 Cnh Industrial America Llc Transmiss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US11773950B2 (en) 2018-09-05 2023-10-03 Kubota Corporation Tractor, travel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tractor, and tractor provided with the travel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tractor
DE102019219048A1 (de) 2019-12-06 2021-06-10 Zf Friedrichshafen Ag Kraftfahrzeuggetriebe mit einem Nebenabtrieb
JP7480084B2 (ja) * 2021-03-17 2024-05-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の動力伝達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130A (ja) 1983-01-28 1984-08-11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農用トラクタ−の変速レバ−装置
JPH04107348A (ja) * 1990-08-24 1992-04-08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トラクタの変速機構
JPH07172199A (ja) * 1993-12-21 1995-07-11 Kubota Corp 走行車両用変速装置の潤滑構造
JP2000158958A (ja) 1998-11-20 2000-06-13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農用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6273A (en) * 1960-05-02 1963-10-08 Deere & Co Transmission and controls therefor
US3149498A (en) * 1961-06-15 1964-09-22 Deere & Co High-low-reverse transmission
US3374681A (en) * 1966-07-22 1968-03-26 Int Harvester Co Concentric power take-offs
US3552232A (en) * 1966-09-26 1971-01-05 Deere & Co Transmission control
JPS5345830A (en) * 1976-10-01 1978-04-2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tractor or other
US4463622A (en) * 1980-01-11 1984-08-07 Deere & Company Transmission and reverse gear synchronizing therefor
GB2096251B (en) 1981-03-13 1984-09-19 Iseki Agricult Mach Speed-changing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s
US4782714A (en) * 1987-04-14 1988-11-08 Deere & Company Multi-range synchronized transmission and housing therefor
CA2123660C (en) * 1993-05-14 2000-06-13 Alan Charles Stine Compound transmission having deep reduction auxiliary section gear
US5573471A (en) * 1995-03-17 1996-11-12 Case Corporation Transmission for an off-highway implement
JP3616557B2 (ja) 2000-06-30 2005-02-02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
JP3723486B2 (ja) 2001-10-26 2005-12-07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4304051B2 (ja) * 2003-11-12 2009-07-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変速機
KR100577946B1 (ko) * 2004-02-12 2006-05-1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주행 변속 구조
JP4878137B2 (ja) * 2005-09-16 2012-02-15 ヤンマー株式会社 油圧−機械式変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130A (ja) 1983-01-28 1984-08-11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農用トラクタ−の変速レバ−装置
JPH04107348A (ja) * 1990-08-24 1992-04-08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トラクタの変速機構
JPH07172199A (ja) * 1993-12-21 1995-07-11 Kubota Corp 走行車両用変速装置の潤滑構造
JP2000158958A (ja) 1998-11-20 2000-06-13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農用トラ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43513A1 (en) 2006-11-02
ES2294917A1 (es) 2008-04-01
ES2294917B2 (es) 2010-10-01
FR2885085B1 (fr) 2015-11-20
KR20060113385A (ko) 2006-11-02
US7500410B2 (en) 2009-03-10
FR2885085A1 (fr) 200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039B1 (ko)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US7434488B2 (en) Transmission for tractor
KR100985673B1 (ko) 주행 차량의 변속 장치
KR101240817B1 (ko) 변속 전동 장치
JP4372072B2 (ja) 変速伝動装置
JP4801813B2 (ja) クラッチ装置
JP2008208912A (ja) 作業車用変速機構
JP2008057619A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における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装置
JP4902075B2 (ja) 作業車の動力取出し装置
US5511436A (en) Vehicle transmission assembly
TW201441086A (zh) 作業車輛
JPS623009B2 (ko)
JP3600286B2 (ja) 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
CN100451385C (zh) 用于牵引车的变速器
JP4885349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7015520A (ja) トラクタ
JP2006335248A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4606197B2 (ja) シフトフォークの操作装置
JP4437446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5094104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4866329B2 (ja) 走行車両の動力伝達装置
JP4860449B2 (ja) 油圧管路構造
KR20160128775A (ko)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JP4431468B2 (ja) 作業車両
JPS5835885B2 (ja) 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