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857B1 -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857B1
KR100772857B1 KR1020050056440A KR20050056440A KR100772857B1 KR 100772857 B1 KR100772857 B1 KR 100772857B1 KR 1020050056440 A KR1020050056440 A KR 1020050056440A KR 20050056440 A KR20050056440 A KR 20050056440A KR 100772857 B1 KR100772857 B1 KR 10077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bination
time information
number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808A (ko
Inventor
명인식
최승억
김상환
박현미
강현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857B1/ko
Priority to US11/476,102 priority patent/US20060294082A1/en
Priority to CNB2006100942855A priority patent/CN100562089C/zh
Publication of KR2007000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리모콘 등에 탑재된 숫자 키를 이용하여 입력된 숫자의 조합을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시간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시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프레임을 검색하여 재생하는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숫자의 조합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숫자의 조합을 시간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숫자 키, 숫자의 조합, 컨텐츠의 종류, 위치 바, 날짜, 시간

Description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 according to number-key input}
도 1은 디지털 정보 가전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검색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지 영상이 검색되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바의 표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이 검색되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10 : 저장부 320 : 수신부
330 : 변환부 340 : 검색부
350 : 재생부
본 발명은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콘 등에 탑재된 숫자 키를 이용하여 입력된 숫자의 조합을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시간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시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프레임을 검색하여 재생하는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특정 부류에만 국한된 인터넷이 웹의 구현을 통해 널리 퍼지게 되면서, 디지털 산업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와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컨텐츠는 21세기 디지털 산업의 척도가 되고 있다. 여기에 인터넷 망의 초고속화,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을 통해 컨텐츠의 멀티미디어화가 이루어지면서, 이제 멀티미디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TV에서 디지털 TV로의 진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TV를 통해 종래의 공중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디지털 정보 가전의 진화를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는 컴퓨팅 네트워크 시대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노트북, 메인 프레임 컴퓨터와 워크스테이션 등이 네트워크를 이루며 정보를 교환하였다. 이는 연구소, 또는 사무실 등 그 사용 영역이 한정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인터넷이 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홈 스테이션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대두되고, 또한 연구소와 사무실에 국한되던 인터넷이 개인과 가정에도 들어오게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또한 유선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는 급격히 성장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유통이 본격화 되고 있으며, 디지털 방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일부 서비스는 상용화에 이르고 있다. 한편, 많은 가전 기기들도 유비쿼터스 개념 하에 정보 가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디지털 정보는 컴퓨터나 워크 스테이션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디지털 TV, 휴대폰, 화상 전화기, 스마트 폰을 통해서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냉장고와 전자레인지, 에어컨 같은 가전 기기들 사이에도 홈 네트워크와 유비쿼터스의 개념 하에 디지털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사용자는 다양한 디지털 정보의 검색을 위하여 리모콘, 홈 패드(home-pad) 또는 월 패드(wall-pad) 등을 이용하는데, 위 장치의 특성상 정보의 검색이 용이하지 않는 실정이다.
즉, 검색하려는 디지털 정보의 저장 단위가 파일인 경우, 사용자는 소수의 파일(예를 들어, 10개~20개)을 검색하기 위하여 리모콘 등에 부착된 화살표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파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예를 들어, 100개~1000개) 화살표 버튼만으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다시 말해, 화살표 버튼으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대량의 디지털 정보를 검 색하는 것에 부합되지 않으며, 각 디지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특정 주소를 가리킴으로써 용이하게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의 등장이 요구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검색된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재생 장치(2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재생 한다. 이 때, 사용자는 저장된 정보(21)를 검색하기 위하여 리모콘(23) 등에 구비된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정보(21)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 1차원적인 구조로 저장되어 있다. 다시 말해, 파일의 이름, 파일의 크기, 파일의 종류, 생성 날짜 또는 수정된 날짜 등의 조건에 따른 순서로 저장되는데, 이것이 1차원적인 순서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장된 정보(21)를 검색함에 있어서 한번의 화살표 버튼 클릭을 이용하여 현재 검색된 정보의 앞 또는 뒤에 있는 정보만을 검색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연속적인 검색을 이용하여 현재 검색된 정보와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화살표 버튼의 수많은 클릭을 필요로 한다.
한국 공개 특허 특2002-0096002는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 탐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시간 입력에 의해 그 시간대의 프로그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 탐색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숫자를 입력하면 입력모드가 시간 입력모드인지 채널 입력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채널 입력모드이면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의 채널을 디스플레이하고, 시간 입력모드이면 입력된 시간의 유효함을 판단한 후에 해당 시간대의 프로그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전체 프로그램 정보 중 해당 시간대의 프로그램 정보를 탐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한정된 소수의 정보 중 특정 정보를 탐색하는 것에 불과하며 이에 따라, 다량의 정보 중 특정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장치 또는 방법의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숫자 키를 이용하여 입력된 숫자의 조합을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시간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시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프레임을 검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숫자의 조합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숫자의 조합을 시간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은 숫자의 조합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숫자의 조합을 시간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이하, 재생 장치라 한다)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장치는 저장부(310), 수신부(320), 변환부(330), 검색부(340) 및 재생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로는 디지털 TV, 휴대폰 등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용이하지 않는 장치로서 마우스 또는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저장된 컨텐츠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데스크톱, 랩톱 및 PDA 등은 본 발명의 재생 장치에 해당되지 않으나, 데스크톱, 랩톱 및 PDA 등에서도 후술하는 방법에 의한 컨텐츠 검색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310)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컨텐츠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뿐만 아니라 문서 등의 컨텐츠가 포함될 수도 있는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동영상과 정지 영상이 포함된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형태로 촬영된 정지 영상을 저장한다. JPEG 파일에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정보가 포함되는데, ExIF는 JPEG 파일에 삽입된 부가 정보로서 ExIF에는 카메라 모델, 셔터 스피드, 노출 상태, 플래시의 사용 여부 및 ISO 설정 값 등의 촬영 조건이 포함되며, 사진 찍은 날짜 및 시간 등도 포함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정지 영상이 아닌 경우 및 디지털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정지 영상이 영상 편집(Image Processing)된 경우에는 JPEG 파일에 ExIF의 사진 찍은 날짜 및 시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진 찍은 날짜 및 시간을 알 수 없는 것이 되는데, 이 경우에도 파일의 생성 날짜 및 시간은 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진 찍은 날짜 및 시간을 알 수 없는 경우 생성 날짜 및 시간을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정지 영상이 JPEG 파일이 아닌 경우, ExIF의 부재로 인하여 사진 찍은 날짜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파일 생성 날짜 및 시간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31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용한 모듈로서 재생 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때, 저장부(310)가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재생 장치는 저장부(310)가 구비된 별도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의 통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수신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숫자의 조합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재생 장치에는 키 입력 수단이 구비되어 있거나 별도의 리모콘 등에 의해 전파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수신부(320)는 키 입력 수단 또는 통신 수단에 의해 입력된 숫자의 조합을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숫자의 조합은 연, 월, 일, 시, 분 및 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시간 정보로서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일련의 숫자인데, 숫자의 조합에는 숫자뿐만 아니라 소정의 기호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과 월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연을 입력한 후에 화살표, 점, 콤마 등을 입력하고 월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에 입력되는 숫자의 조합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그 단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검색하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지 영상인 경우 이는 촬영된 날짜에 대한 검색인 것으로 간주되어 입력된 숫자의 조합은 날짜로 변환되고, 검색하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이는 동영상 중 특정 지점에 대한 검색인 것으로 간주되어 입력된 숫자의 조합은 시간으로 변환된다.
다시 말해, 날짜를 입력하려는 사용자는 4, 6, 8자리 숫자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는데, 4자리 숫자의 조합은 YYYY, YYMM, MMDD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Y는 연도(Year), M은 월(Month), D는 일(Day)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YYYY는 4자리 연도를 의미하며, YY, MM, DD는 각각 2자리 연도, 월 및 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2005년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키 입력 수단의 2, 0, 0, 5 버튼을 순서대로 클릭할 수 있으며, 2005년 6월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2자리 연도 및 2자리 월의 조합인 0, 5, 0, 6 버튼을 클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6자리 숫자의 조합은 YYYYMM, YYMMDD 등이 있을 수 있고, 8자리 숫자의 조합은 YYYYMMDD의 조합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숫자만으로 이루어진 숫자의 조합을 입력할 수도 있고, 숫자 및 기호로 이루어진 숫자의 조합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 때, 4자리 및 6자리 숫자의 조합의 해석이 문제되는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즉, 4자리 숫자의 조합이 입력된 경우 YYMM으로 해석되도록 하고, 6자리 숫자의 조합이 입력된 경우 YYMMDD로 해석되도록 하는 것이다.
시간을 입력하려는 사용자는 4자리 및 6자리 숫자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는데, 4자리 숫자의 조합은 HHMM, MMSS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6자리 숫자의 조합은 HHMMSS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H는 시(Hour), M은 분(Minute), S는 초(Second)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시간 3분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키 입력 수단의 0, 1, 0, 3 버튼을 순서대로 클릭할 수 있으며, 2시간 34분 42초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0, 2, 3, 4, 4, 2를 클릭할 수 있다.
날짜와 마찬가지로 입력된 시간도 4자리인 경우 HHMM 및 MMSS가 혼동될 수 있는데, 이 또한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조합이 사용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입력된 숫자의 조합은 변환부(330)로 전달되는데, 변환부(330)는 전달 받은 숫자의 조합을 시간 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날짜 또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정지 영상 또는 일반 문서 등을 검색하는 경우 날짜로서, 동영상을 검색하는 경우 시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는 컨텐츠가 정지 영상 또는 일반 문서 등의 파일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숫자의 조합은 날짜로서 간주되고, 검색되는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시간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변환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인식하고 있을 수도 있는데, 결국 변환부(330)는 사전에 설정된 숫자의 조합 해석 방식 및 검색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이용하여 전달 받은 숫자의 조합을 시간 정보로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6자리 숫자의 조합 해석 방식이 YYMMDD 또는 HHMMSS이고, 검색되는 컨텐츠의 종류가 정지 영상이며 전달 받은 숫자의 조합이 030717인 경우, 변환부(330)는 컨텐츠의 종류가 정지 영상이므로 전달 받은 숫자의 조합을 날짜로 간주하고, 날짜에 대한 숫자의 조합 해석 방식인 YYMMDD를 이용하여 030717을 YYMMDD에 대입함으로써 2003년 7월 17일인 시간 정보로 변환하는 것이다.
변환된 시간 정보는 검색부(340)로 전달되며, 검색부(340)는 전달 받은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전달 받은 시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역할 을 한다. 즉, 전달 받은 시간 정보가 날짜인 경우 정지 영상 또는 문서 등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전달 받은 시간 정보가 시간인 경우 동영상의 특정 위치를 검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종류가 정지 영상이고 전달 받은 시간 정보가 2005년 1월 27일 인 경우 2005년 1월 27에 촬영된 정지 영상을 검색하는 것이다. 이 때, 해당 날짜에 촬영된 정지 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 촬영된 시간까지 참조되어 가장 먼저 촬영된 정지 영상이 검색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파일이 파일의 이름, 파일의 크기 등에 따른 순서에 의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최상위 정지 영상이 검색될 수 있다.
한편, 전달 받은 날짜에 해당하는 정지 영상이 없는 경우 해당 날짜의 이후에 촬영된 정지 영상이 검색될 수 있는데, 만일 해당 날짜와 해당 날짜 이후의 정지 영상이 촬영된 날짜간의 간격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날짜 이전의 정지 영상이 검색될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검색부(340)는 정지 영상을 검색하는 경우 저장부(310)에 저장된 JPEG 파일의 ExIF를 이용하여 전달 받은 날짜에 대한 파일을 검색하는데, ExIF에 촬영된 날짜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또는 문서 등의 파일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촬영된 날짜가 아닌 파일 생성 날짜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검색부(340)는 변환부(330)로부터 시간 정보로서 날짜를 전달 받은 경우 우선 전달 받은 날짜에 촬영된 정지 영상을 검색하며, 해당 날짜에 촬영된 정지 영상이 없는 경우 해당 날짜에 생성된 정지 영상 또는 문서를 검색하는 것이다.
검색된 컨텐츠는 재생부(350)로 전달되는데, 재생부(350)는 전달 받은 컨텐츠를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뿐만 아니라 문서 등의 컨텐츠도 포함되는데, 재생부(350)는 검색된 컨텐츠가 정지 영상 또는 문서인 경우 해당 정지 영상 또는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며 동영상인 경우 해당 시간에서의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이다.
또한, 재생부(35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숫자의 조합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는데, 입력된 숫자의 조합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화면의 중앙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재생되는 컨텐츠를 가리지 않도록 화면의 가장자리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 때, 정지 영상 또는 문서 등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해당 날짜에 촬영되거나 생성된 파일의 상대적인 양(quantity)이 위치 바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지 영상이 검색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정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은 정지 영상 영역(420) 및 위치 바 영역(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정지 영상 영역(420)은 검색된 정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서 검색된 정지 영상의 전후 관계에 있는 정지 영상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정지 영상 영역(420)의 가장자리에는 해당 날짜가 디스플레이되며 해당 날짜에 촬영된 정지 영상 중 몇 번째인지를 나타내는 숫자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005년 1월 27일에 촬영된 12개의 정지 영 상 중 4번째인 경우, 도 4와 같이 2005/01/27(4/12)인 일련의 숫자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또한, 정지 영상 영역(420)에는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440)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4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정지 영상 영역(420)의 중앙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정지 영상 영역(420)의 가장 자리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위치 바 영역(410)은 현재 검색되어 디스플레이된 정지 영상의 시간 축에 따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도 4에는 연도 및 월로 구분된 위치 바를 나타내고 있으나, 위치 바(410)는 연도, 월, 일의 조합 또는 월, 일의 조합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특정 연도의 월이 격자에 의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해당 월에 촬영되거나 생성된 정지 영상의 수에 비례하여 격자의 크기가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4의 위치 바(410)를 통하여 사용자는 2005년 1, 2월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정지 영상이 촬영되거나 생성되었으며, 4월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정지 영상이 촬영되거나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위치 바(410)는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저장된 다량의 컨텐츠 중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위치 바(410) 격자의 상대적인 크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위치 바(410)는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상대적인 위치를 사용자에 게 알려주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숫자의 조합을 입력하면 재생부(350)는 입력된 숫자의 조합(440)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위치 바(410) 중 해당 날짜의 개략적인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 방식으로는 지시 아이콘(430)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위치 바(410)를 좌우로 이동하여 해당 날짜를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바의 표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정지 영상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위치 바(4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위치 바(410)는 연도 및 월의 조합으로 표시되거나 월 및 일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는 입력되는 숫자의 조합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05년 1월 27일에 해당되는 날짜를 6자리로 입력하는 경우, 05를 입력하면 위치 바(510)에는 연도만 나타나며 2005년에 지시 아이콘이 표시되거나 2005년이 화면의 가운데에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1월에 해당하는 01을 입력하면 위치 바(520)에는 각 연도의 월에 해당하는 격자가 컨텐츠의 수에 비례하여 나타나며, 2005년 1월에 해당하는 위치에 지시 아이콘이 표시되거나 2005년 1월이 화면의 가운데에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27일에 해당하는 27을 입력하면, 위치 바(530)에는 연도가 삭제되고 1월의 각 일에 해당하는 격자가 컨텐츠의 수에 비례하여 나타나며, 1월 27일에 해당하는 위치에 지시 아이콘이 표시되거나 1월 27일이 화면의 가운데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숫자의 조합을 입력하면서 해당 월 또는 일에 촬영되거 나 생성된 컨텐츠의 수를 개략적으로 알 수 있게 되며, 검색하는데 있어서 용이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이 검색되어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의 특정 위치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검색 시간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영상을 검색하는 경우 입력된 숫자의 조합은 시간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동영상의 경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재생함에 있어서, 1초에 약 15에서 30 프레임이 재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초단위로 검색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무리 없이 검색이 수행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4자리 또는 6자리 숫자의 조합(600)을 입력할 수 있다.
동영상의 특정 위치를 검색하는 경우에도 입력된 숫자의 조합(600)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거나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될 수 있는데, 숫자의 조합 입력 후 완료 버튼을 클릭하거나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 후에는 입력된 숫자의 조합(600)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동영상의 프레임이 전환된다.
예를 들어, 2시간 10분짜리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가 1시간 20분에 해당하는 6자리 숫자의 조합인 012000을 입력하면 재생부(350)는 1시간 20분에 해당하는 프레임부터 재생하는 것이다.
이 때, 동영상 컨텐츠의 총 시간을 벗어나거나 방식에 어긋난 숫자의 조합(600)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정보를 무시하거나 오류 메시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시간 10분짜리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가 120000을 입력하면, 이는 12시간 0분 0초를 의미하므로 동영상 컨텐츠의 총 시간을 벗어나게 되므로 검색부(340)는 검색을 중지하고, 차후의 검색 명령을 대기하거나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재생 장치는 검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확인한다(S710). 컨텐츠의 종류 확인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으며, 현재 컨텐츠를 재생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즉, 현재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이 정지 영상 또는 문서 출력 프로그램인 경우 컨텐츠의 종류를 정지 영상 또는 문서로 판단하고, 현재 컨텐츠를 재생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인 경우 컨텐츠의 종류를 동영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 다음, 숫자의 조합 해석 방식을 확인한다(S720). 숫자의 조합 방식은 정지 영상 또는 문서 등의 검색을 위한 날짜의 경우 4, 6, 8자리 조합이 있으며, 동영상 검색을 위한 시간의 경우 4, 6자리 조합이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혼동을 가져올 수 있는 숫자의 조합은 사전에 설정된 조합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컨텐츠의 종류 확인 및 숫자의 조합 해석 방식 확인은 그 순서가 바뀔 수도 있으며, 다음에 설명할 숫자의 조합 수신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부(320)는 숫자의 조합을 수신한다(S730). 사용자는 재생 장치에 구비된 키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숫자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으며,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숫자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는데, 수신부(320)는 키 입력 수단 또는 리모콘 등에 의해 입력된 숫자의 조합을 수신하는 것이다.
입력된 숫자의 조합은 변환부(330)로 전달되고, 변환부(330)는 전달 받은 숫자의 조합을 시간 정보로 변환한다(S740). 이 때, 변환부(330)는 기 확인된 컨텐츠의 종류 및 숫자의 조합 해석 방식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숫자의 조합이 020323이고, 확인된 컨텐츠의 종류가 정지 영상이며, 숫자의 조합이 YYMMDD인 경우 수신된 숫자의 조합을 2002년 3월 23일로 변환하고, 수신된 숫자의 조합이 020323이고, 확인된 컨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이며, 숫자의 조합이 HHMMDD인 경우 수신된 숫자의 조합을 2시간 3분 23초로 변환하는 것이다.
변환된 시간 정보는 검색부(340)로 전달되고, 검색부(34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 중 전달 받은 시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한다(S750). 기 확인된 컨텐츠의 종류 및 전달 받은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것인데, 확인된 컨텐츠의 종류는 검색할 경로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시 말해, 컨텐츠의 종류가 정지 영상인 경우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기본 디렉터리(폴더)가 검색할 경로가 되는 것이며, 컨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실행 중인 동영상이 검색할 경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확인된 컨텐츠의 종류가 정지 영상이고, 전달 받은 숫자의 조합이 050127인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기본 디렉터리(폴더)에서 2005년 1월 27일인 촬영된 날짜 또는 생성된 날짜를 갖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확인된 컨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이고, 전달 받은 숫자의 조합이 012343인 경우 현재 재생 중인 동영상에서 1시간 23분 43초인 위치를 검색하는 것이다.
검색된 컨텐츠는 재생부(350)를 통하여 재생된다(S760). 재생부(350)는 정지 영상 또는 문서 등이 검색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숫자의 조합이 입력되는 도중에 위치 바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위치 바는 숫자의 조합 입력 단계에 따라 표시되는 조합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숫자의 조합 해석 방식이 6자리이고, 입력될 숫자의 조합이 050127인 경우 05가 입력되면 연도에 대한 위치 바가 나타나고, 이어서 01이 입력되면 월에 대한 위치 바가 나타나며, 이어서 27이 입력되면 연도에 대한 위치 바가 삭제되고 일에 대한 위치 바가 나타나는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의 조합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화면의 중앙에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가리지 않도록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숫자 키를 이용하여 입력된 숫자의 조합을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시간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시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프레임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다량의 컨텐츠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다양한 조합의 숫자를 통해 컨텐츠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검색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0)

  1. 숫자의 조합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조합에 포함된 숫자의 자리수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숫자의 조합을 상기 자리수 및 검색 대상인 컨텐츠의 종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시간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특정 위치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 또는 상기 특정 위치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의 조합은 연, 월, 일, 시, 분 및 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간 정보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없는 경우 상기 시간 정보와 가장 근접한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소정의 시간 축상에서 상기 검색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의 위치를 위치 바에 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6. 숫자의 조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합에 포함된 숫자의 자리수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숫자의 조합을 상기 자리수 및 검색 대상인 컨텐츠의 종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시간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특정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 또는 상기 특정 위치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의 조합은 연, 월, 일, 시, 분 및 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간 정보인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없는 경우 상기 시간 정보와 가장 근접한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축상에서 상기 검색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의 위치를 위치 바에 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KR1020050056440A 2005-06-28 2005-06-28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7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40A KR100772857B1 (ko) 2005-06-28 2005-06-28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US11/476,102 US20060294082A1 (en) 2005-06-28 2006-06-28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 according to numeral key input
CNB2006100942855A CN100562089C (zh) 2005-06-28 2006-06-28 根据数字键输入播放内容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40A KR100772857B1 (ko) 2005-06-28 2005-06-28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08A KR20070000808A (ko) 2007-01-03
KR100772857B1 true KR100772857B1 (ko) 2007-11-02

Family

ID=3756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440A KR100772857B1 (ko) 2005-06-28 2005-06-28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94082A1 (ko)
KR (1) KR100772857B1 (ko)
CN (1) CN10056208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3325A (ja) * 2010-04-09 2011-11-04 Sony Corp コンテンツ検索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929869A (zh) * 2011-08-02 2013-02-1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基于地理位置的检索方法、装置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962A (ko) * 1998-05-23 1999-12-15 구자홍 위성 방송 수신기의 방송정보 서치방법
JP2004304818A (ja) 2004-04-22 2004-10-28 Sony Corp 画像検索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画像検索装置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1345A (en) * 1995-02-10 1998-05-12 Dozier Financial Corporation Image reten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system
US5585838A (en) * 1995-05-05 1996-12-17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 time guide
US5751372A (en) * 1996-02-19 1998-05-12 Hughes Electronics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an on-screen program guide
US5917958A (en) * 1996-10-31 1999-06-29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Distributed video data base with remote searching for image data features
US6504571B1 (en) * 1998-05-18 2003-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querying digital image archives using recorded parameters
US7131136B2 (en) * 2002-07-10 2006-10-31 E-Watch, Inc. Comprehensive multi-media surveillance and response system for aircraft, operations centers, airports and other commercial transports, centers and terminals
JP2001024965A (ja) * 1999-07-09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番組表の選択システム
JP3544925B2 (ja) * 2000-07-27 2004-07-21 株式会社東芝 番組予約機能を備えた放送受信システムとその放送受信装置及び番組予約端末
US7035468B2 (en) * 2001-04-20 2006-04-25 Front Porch Digit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rchiving, indexing and accessing audio and video data
US20020175995A1 (en) * 2001-05-26 2002-11-28 Marc Sleeckx Video surveillance system
US7272296B2 (en) * 2002-07-24 2007-09-18 Thomson Licensing Navigating to a particular program or specific time increment in a personal video recorder
US20050177859A1 (en) * 2004-02-09 2005-08-11 Valentino Henry Iii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doing business
CA2498364C (en) * 2004-02-24 2012-05-15 Dna 13 Inc.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edia searching and alerting
US20060184553A1 (en) * 2005-02-15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tributed MPEG-7 based surveillance servers for digital surveillance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962A (ko) * 1998-05-23 1999-12-15 구자홍 위성 방송 수신기의 방송정보 서치방법
JP2004304818A (ja) 2004-04-22 2004-10-28 Sony Corp 画像検索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画像検索装置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08A (ko) 2007-01-03
CN1893614A (zh) 2007-01-10
US20060294082A1 (en) 2006-12-28
CN100562089C (zh)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3738B2 (ja) ファイル転送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250490B2 (en) Display image control apparatus
US8634696B2 (en) Image reproduction system
JP4769889B2 (ja) 番組選択装置及び番組選択装置の制御方法
US8078618B2 (en) Automatic multimode system for organizing and retrieving content data files
US8700635B2 (en) Electronic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data control method, and content data processing system
JP443332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10022982A1 (en) Display processing device,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processing program
JP4636134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52116A (ko)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콘텐츠 매니지먼트 방법과,컴퓨터 프로그램
US8683336B2 (en) Inter-device operation interface, device control terminal, and program
KR100772857B1 (ko)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73441B1 (ko)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
US20080195666A1 (en) Automatic file saving method for digital home appliance system
JP200914045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237722A (ja) フォトアルバムコントローラ
US7532802B2 (en) Apparatus and program for image reproduction
CN100450171C (zh) 显示控制设备和显示控制方法
JP542866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070083026A (ko) 디지털 기기에서 편리한 이미지 검색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JP506039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2175298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23576A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画像管理方法
JP200512997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981237B1 (ko) 댁내 미디어 서비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