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544B1 -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 Google Patents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544B1
KR100769544B1 KR1020070081415A KR20070081415A KR100769544B1 KR 100769544 B1 KR100769544 B1 KR 100769544B1 KR 1020070081415 A KR1020070081415 A KR 1020070081415A KR 20070081415 A KR20070081415 A KR 20070081415A KR 100769544 B1 KR100769544 B1 KR 100769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main body
water
deodo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훈
Original Assignee
양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훈 filed Critical 양동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544B1/ko
Priority to PCT/KR2008/00429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14370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의 집수정에 장착되어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을 수집함으로써 이물이 집수정과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집수정으로부터 악취가 방출되고 유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집된 이물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1)는, 집수정(2)의 상측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유수(4)와 이물(5)이 유입되는 내부공간(11)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적어도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개방부(20); 및 상기 개방부(20) 양측의 기둥부(14)에 걸쳐 일정 틈새(G)를 두고 상하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1) 쪽이 낮아지는 경사를 가져서,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상기 유수(4)와 상기 이물(5)을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도하되, 상기 이물(5)은 상기 본체(10)의 저면(12) 위에 수집되게 하고 상기 유수(4)는 상기 틈새(G)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도판(3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Waste Collecting and Deodorizing Chamber for Manhole}
본 발명은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도의 집수정에 장착되어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을 수집함으로써 이물이 집수정과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집수정으로부터 악취가 방출되고 유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집된 이물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에 관한 것이다.
도로 등에는 하수와 우수(빗물) 등의 유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하수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로 바닥을 흐르는 유수는 하수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집수정을 통해 집수 및 배수된다.
도10은 종래의 일반적인 하수도 집수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집수정(100)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직육면체 형상 등의 맨홀을 지하 하수도에 매설하여 형성하고, 그 상류와 하류에는 하수관(101)이 연결되며, 유수는 집수정(100)에 일시 집수된 후에 상류에서 하류로 하수관(101)을 따라 흘러가게 된다. 집수정(100)의 상부는 유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부는 쓰레기와 같은 이물이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기 위해 그릴(뚜껑: 110)을 덮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집수정은 그릴 형태의 뚜껑이 덮여 있다고 하더라도 담배꽁초나 흙 등과 같은 각종 이물을 걸러 내는 기능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악취와 유수가 지상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유수와 함께 각종 이물(102)이 집수정으로 유입될 수밖에 없어 수시로 집수정과 하수관을 청소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수도의 막힘으로 인한 장마철 배수불량이 적지 않게 발생하였고, 또한 하수관의 악취가 집수정을 통해 지상으로 유출되어 도시 위생환경을 열악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으며, 집중호우 때 유수의 역류로 인한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집수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많은 제안이 제시되었으며, 그 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65463호의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2002.02.2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61948호의 맨홀(1999. 12. 0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46751호의 맨홀의 방취구조(1999.07. 05. 공개), 대한민국 특허 제406853호의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2003. 11.2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85529호(2005. 05. 30.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38761호(2004. 01. 16. 공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하수도의 집수정에 관련된 문제점 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이물을 용이하게 걸러 낼 수 있고 걸러진 이물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악취와 유수가 지상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는, 본체, 개방부 및 다수의 유도판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집수정의 상측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유수와 이물이 유입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도판은, 상기 개방부 양측의 기둥부에 걸쳐 일정 틈새를 두고 상하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 쪽이 낮아지는 경사를 가져서,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상기 유수와 상기 이물을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도하되, 상기 이물은 상기 본체의 저면 위에 수집되게 하고 상기 유수는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본체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판은 상기 기둥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유도판의 날개부가 상기 내부공간 쪽으로 뻗은 상태에서 회동축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고, 인접한 상기 유도판 사이의 상기 기둥부에는 상기 유도판의 상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범위제한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인접한 상기 유도판 사이의 상기 기둥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 되어 상기 유도판 사이의 상기 틈새를 막는 다수의 방취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방취판의 날개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반대쪽으로 뻗은 상태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방취판은 상기 유도판에 의해 그 상하 회동 범위가 제한되며, 이로써 상기 본체가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판들과 상기 방취판들의 협력으로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차단되어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악취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취판은 상기 회동범위제한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회동 가능한 상기 유도판이 그 하측에 있는 회동범위제한부재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유도판을 회동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유도판고정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유도판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기 유도판들과 상기 방취판들의 협력으로,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유수가 역류하는 것이 차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판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상기 유도판에 접하여 상기 유도판이 회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측면고정대, 및 상기 측면고정대의 상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측면고정대가 상기 유도판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판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상하에 형성된 빗장걸이 및 상기 빗장걸이에 끼워져 상기 유도판에 접하여 상기 유도판이 회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빗장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를 집수정의 상측에 삽입 장착하게 되면,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이물이 하수관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걸러 낼 수 있고, 걸러진 이물은 집수정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를 분리하여 털어 내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또한 유수의 배수에 최소한의 영향만을 미치면서 집수정과 하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지상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수정으로부터 지상으로 유수가 역류하는 것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1)는, 도로변 등의 하수도 시설에 설치된 집수정(2)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장착함으로써, 집수정(2)으로 유입되는 이물을 걸러 수집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고, 집수정(2)으로부터 지상으로 악취가 방출되고 유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는 집수정(2)의 개방부를 덮는 그릴(3: 뚜껑)의 아래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도2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수집-방취조(1)는, 본체(10), 개방부(20) 및 유도판(3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방취판(50)과 유도판고정수단(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집수정(2)에 삽입된 상태에서 집수정(2)의 상단에 걸쳐 장착되는 부재로서, 집수정(2)의 내부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의 하수도 집수정(2)은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바,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의 외형도 직육면체 집수정(2)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의 외형은, 집수정(2)에 대해 용이하게 삽입하고 인출할 수 있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하협(上廣下峽)의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의 상단에는 집수정(2)에 형성된 턱(2a)에 걸치기 위한 테두리(15)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는 집수정(2)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수(4)와 이물(5)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것이므로, 본체(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본체(10)의 내부에는 유수(4)와 이물(5)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11)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10)의 저면(12)은 막혀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후술하는 유도판(30)과 방취판(50)을 설치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다. 물론 본체(10)의 저면(12)에는 작은 배수공(12a)들을 형성함으로써 저면(12)에 고인 유수(4)가 집수정(2)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개방부(20)는 본체(10)의 적어도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도1과 도3의 구체예에서는 본체(10)의 4개의 측면 모두에 개방부(2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도6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2개의 측면에만 개방부(20)를 형성하고 나머지 측면은 밀폐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류의 하수관(6)이 있는 쪽 1개의 측면에만 개방부(20)를 형성하는 등 다른 배치도 배제되지는 아니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개방부(20)를 본체(10)의 저면(12)에 연이어 바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저면(12)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H) 이격된 위치에 형성한 것은, 저면(12)의 둘레의 상측으로 측면이 일부 남아서 턱(13)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본체(10)의 저부에 유입된 유수(4)가 턱(13)에 갇혀 일시 머물게 하고, 수집된 이물(5)이 유수(4)와 함께 이물수집-방취조(1) 밖으로 잘 흘러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도판(30)은 상기 개방부(20)의 양측 기둥부(14)에 걸쳐 일정 틈새(G)를 두고 상하로 다수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도판(30)은 인접한 유도판(30)과의 사이에 상하로 일정 간격(틈새: G)을 가지도록 평행하게 가로로 길게 설치되되, 본체(10)의 내부공간(11) 쪽이 낮고 그 반대쪽은 높은 경사(이하, '정방향 경사'라 한다)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내부공간(11) 쪽이 낮아지는 정방향 경사의 유도판(30)들이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개방부(20)에 상하로 다수 설치됨에 따라, 이물수집-방취조(1)로 유입된 유수(4)와 이물(5)은, 상하의 유도판(30)을 따라 자연스럽게 낙하하거나 흘러서 자연스럽게 본체(10)의 내부공간(11) 안으로 들어와 저면(12) 위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는 한편, 본체(10)의 저면(12) 위에 수집된 이물(5)은 저면(12)과 턱(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갇히고 경사진 유도판(30)에 의해 막혀 유수(4)와 함께 이물수집-방취조(1)로부터 쉽게 배출되지 않게 되고, 유수(4)는 배수공(12a)을 통해서 또는 턱(13)의 높이 이상 넘친 상태에서 인접한 유도판(30) 사이의 틈새(G)를 통해 자연스럽게 집수정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수집-방취조(1)에 의하면, 담배꽁초 등과 같은 이물(5)은 본체(10)의 저면(12) 위에 수집되고, 유수(4)는 본체(10) 내에 일시 저수된 후에 틈새(G)나 배수공(12a)을 통해 집수정(2)으로 흘러나가 하수관(6)을 통해 배수되는 바, 이물(5)을 청소하고자 할 때 집수정(2)의 바닥을 긁어내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정(2)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를 인출한 후에 뒤집어서 이물(5)을 털어내는 간단한 작업으로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수집-방취조(1)에 의하면, 유도판(30) 사이에 틈새(G)가 존재하더라도, 유도판(30)이 정방향 경사로 상하 평행하게 중첩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집수정(2)과 하수관(6)으로부터의 악취가 틈새(G)를 통해 쉽게 방출되지 아니하므로, 어느 정도 방취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를 뒤집어 수집된 이물(5)을 털어 낼 때, 낙하하는 이물(5)에 대해 유도판(30)의 경사는 정방향이 아닌 역방향이 되므로, 유도판(30)이 고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 낙하하는 이물(5)의 일부가 유도판(30)이나 그 사이의 틈새(G)에 걸려 청소 작업이 불편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유도판(30)은 고정식이 아닌 기둥부(1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기둥부(14)에 형성된 축공(32a)에는 유도판(30)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32)이 삽입되어 있으며, 유도판(30)의 타측에 있는 날개부(31)는 내부공간(11) 쪽으로 뻗은 상태에서 회동축(32)의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유도판(30)에 회동축(32)을 형성하고 기둥부(14)에 축공(32a)을 형성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반대로 유도판(30)에 축공을 형성하고 기둥부(14)에 회동축을 형성하는 등 다른 다양한 회동 구조도 채용 가능하다.
유도판(30)의 회동범위가 제한되지 않을 경우, 유도판(30)이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동되어 있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이물 수집 및 방취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인접한 유도판(30)의 사이의 기둥부(14)에는 유도판(30)의 상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범위제한부재(40)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회동범위제한부재(40)로서 기둥부(14)로부터 유도판(30)의 회동 경로로 돌출된 돌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도판(30)의 회동 경로의 적절한 위치에 회동범위제한부재(40)를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를 집수정(2)에 삽입한 정상적인 상태(도2 참조)에서는 각각의 유도판(30)이 회동하여 아래에 위치하는 회동범위제한부재(40)에 각각 걸림으로써 전술한 정방향 경사를 유지하게 되고, 이물(5)을 털어 내기 위해 이물수집-방취조(1)를 뒤집으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도판(30)이 그 위에 위치하는 회동범위제한부재(40: 뒤집은 상태에서 볼 때에는 아래에 위치하는 회동범위제한부재)에 걸릴 때까지 회동하여, 결국 뒤집은 상태에서도 다시 정방향 경사를 유지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에 수집된 이물(5)을 털어 낼 때, 이물(5)이 유도판(30)이나 그 사이의 틈새(G)에 걸리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수집-방취조(1)는 정방향 경사로 배치된 유도판(30)들이 상승하는 악취의 흐름을 방해하여 집수정(2)의 악취가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어 유도판(30)의 적용만으로 어느 정도 방취 효과를 가지게 되지만, 틈새(G)를 통해 그 내부공간(11)과 외부의 집수정(2)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하절기와 같이 상승기류가 강하고 악취가 심할 때에는, 집수정(2)의 악취가 틈새(G)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에는 다수의 방취판(50)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방취판(50)들은 인접한 유도판(30) 사이의 기둥부(1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방취판(50)은 기둥부(14)와의 사이에 별도의 회동축을 형성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지만, 유도판(3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형성한 회동범위제한부재(40: 예, 돌기)를 회동축으로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 등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방취판(50)은 그 일단에 형성된 축공이 회동범위제한부재(40)에 삽입되어 회동범위제한부재(40)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고, 방취판(50)의 날개부(51)는 내부공간(11)의 반대쪽 아래로 뻗은 상태에 위치하며, 방취판(50)은 유도판(30)의 회동축(32)이 있는 부분에 걸려 그 상하 회동 범위가 제한 된다.
이와 같은 방취판(50)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를 집수정에 삽입한 정상적인 상태에서, 각각의 유도판(30)들은 하측에 위치하는 회동범위제한부재(40)에 걸릴 때까지 회동해 내부공간(11) 쪽으로 정방향 경사로 위치하고, 각각의 방취판(50)들은 그 하측에 위치한 유도판(30)의 일측(유도판의 회동축이 있는 부분)에 걸려 내부공간(11)의 반대쪽 아래로 경사져 위치하여 유도판(30) 사이의 틈새(G)를 막게 되므로, 유도판(30)들과 방취판(50)들의 협력으로, 본체(10)의 내부공간(11)과 집수정(2)은 완전히 차단되며, 결과적으로 집수정(2)의 악취가 이물수집-방취조(1)를 통해 지상으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물수집-방취조(1)에 유입된 유수(4)는 그 하중에 의해 방취판(50)을 밀어 위로 회동시키면서 틈새(G)를 통해 집수정(2)으로 배수되므로, 방취판(50)의 적용으로 본체(10)의 내부공간(11)과 집수정(2)이 차단된다고 하더라도 유수(4)의 배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물(5)을 털어 내기 위해 이물수집-방취조(1)를 뒤집을 때, 유도판(30)이 정방향으로 회동하는 것과 함께 방취판(50)이 그 상측에 있는 유도판(30)의 회동축(32)에 걸릴 때까지 회동하여 있게 되므로, 방취판(50)이 수집된 이물(5)이 낙하하는 것에 방해가 되지도 아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수정(2)에 관련하여 발생하는 문제점 중에 하나는, 집중호우가 있거나 하수관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유수가 집수정을 통해 지 상으로 역류하는 형상이다.
도1의 구체예에 있어서, 유도판(30)이 고정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라면, 집수정(2)으로부터 본체(10) 안으로 유수가 역류되는 압력을 받아도, 유도판(30)은 고정되어 있고 방취판(50)은 유도판(30)에 걸려 회동이 제한되므로, 방취판(50)이 유도판(30)의 틈새(G)를 막아 본체(10)의 내부공간(11)과 집수정(2)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어, 집수정(2)의 유수가 본체(10) 안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지만, 유도판(30)을 회동 가능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역류하는 유수가 유도판(30)을 본체(10) 안쪽으로 회동시켜 틈새(G)를 통해 역류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도판(30)을 회동식으로 형성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유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에는 유도판고정수단(60)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유도판고정수단(60)은 회동 가능한 유도판(30)이 그 하측에 있는 회동범위제한부재(40)에 걸린 상태에서 상부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유도판고정수단(60)으로서는, 평상시 이물수집-방취조(1)를 집수정(2)에 장착한 때에는 유도판(30)을 회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지만, 청소 등을 위해 이물수집-방취조(1)를 뒤집어 수집된 이물(5)을 털어 낼 때에는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유도판(30)이 회동 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은 유도판고정수단(60)은,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도판고정수단(60)은,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판(30)에 접하여 유도판(30)이 회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측면고정대(61)와, 측면고정대(61)의 상하에 각각 연결되어서 측면고정대(61)가 유도판(30)에 접한 상태를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하부지지대(62)와 상부지지대(63)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의 구체예는, 본체(1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만 유도판(30)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상정하여, 측면고정대(61)는 본체(10)의 양측면의 유도판(30)을 각각 눌러주는 2개의 바(bar)로 형성하고, 하부지지대(62)는 본체(10)의 저면(1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으로 형성하여 측면고정대(61)의 하측을 연결한 상태에서 저면(12)위에 올려져 지지되게 하고, 상부지지대(63)는 측면고정대(61)의 상측을 연결하는 2개의 바로 형성하여 그 위에 올려진 그릴(3)에 의해 눌려지도록 형성한 예이다. 판상의 하부지지대(62)의 테두리에 상부로 돌출된 턱(62a)을 형성한 것은, 유입된 유수(4)가 일시 머물게 하고 수집된 이물(5)이 유수(4)와 함께 이물수집-방취조(1) 밖으로 잘 흘러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판상의 하부지지대(62)에도 배수공들을 형성함으로써 그 위에 고인 유수(4)가 집수정(2)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6의 유도판고정수단(60)의 구성에 따라, 상부지지대(63)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본체(10)에 삽입하면, 측면고정대(61)가 유도판(30)에 접하여 그 회동을 고정시키게 되고, 측면고정대(61)는 하부지지대(62) 및 상부지지대(63)에 의해 구조적으로 견고함을 유지하게 된다.
도6과 같이 판상의 하부지지대(62)가 구비된 유도판고정수단(60)을 본 발명 에 적용할 경우, 이물(5)을 청소할 때 유도판고정수단(60)을 인출하면 하부지지대(62) 위에 쌓인 이물(5)이 함께 인출되므로, 이물의 청소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
유도판고정수단(60)의 다른 예로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빗장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구체예도 본체(1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유도판(30)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상정한 것으로, 본체(10)의 상하에 각각 빗장걸이(64)를 형성하고, 이들 빗장걸이(64)에 예를 들어 ㄷ자형 빗장(65)을 끼움으로써, 빗장(65)이 유도판(30)을 눌러 그 회동을 고정시키도록 한 예이다. 본 구체예에서 이물(5)을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빗장(65)을 빼고 이물수집-방취조(1)를 뒤집으면 된다.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에 유도판고정수단(60)을 적용함에 따라, 집수정(2)으로부터 본체(10) 안으로 유수가 역류되는 압력을 받아도, 유도판(3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방취판(50)과 유도판고정수단(60)에 의해 회동할 수 없게 된 유도판(30)이 틈새(G)를 막아 본체(10)의 내부공간(11)과 집수정(2)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므로, 집수정(2)의 유수가 본체(10) 안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체(10)에서 집수정(2)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는 유수(4)는 그 하중에 의해 방취판(50)을 위로 회동시키면서 틈새(G)를 통해 배수되므로, 유도판고정수단(60)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유수(4)의 배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추가하여 본체(10)의 저면(12)과 도6 구체예의 하부지지대(62)에 배수공을 형성할 경우, 배수공을 통해 악취의 방출이나 유수의 역류를 우려할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이들 배수공은 고여 있는 상당히 적은 량의 유수가 흘러나가는 작은 구멍에 불과하고 통상적으로 그 위에 이물(5)이 쌓여 있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배수공을 통한 악취 방출이나 우수의 역류는 극히 미미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훼손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1)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테두리(15)를 집수정(2)에 형성된 턱(2a)에 걸치는 방식으로 집수정(2) 내측 상부에 장착된다.
도9의 A는 본 발명의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1)의 장착에 부합하도록 제작된 집수정(2)에 본 발명을 장착한 상태로서, 집수정(2)에는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를 걸치기 위한 턱(2a)과 함께 그릴(3)을 걸치기 위한 턱(2b)이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9의 B는, 그릴(3)을 걸치도록 하나의 턱(2c)이 형성된 이미 종래에 사용 중인 집수정(2)에 본 발명을 장착한 예로서,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1)는 그릴(3)과 함께 하나의 턱(2c)에 상하로 걸치게 된다.
도9의 C는 그릴(3)을 걸치도록 하나의 턱(2c)이 형성된 이미 종래에 사용 중인 집수정(2)에 턱(7a)을 가지는 별도의 장착대(7)를 삽입하여 상기 장착대(7)의 턱(7a)에 본 발명에 따른 이물수집-방취조(1)를 걸치고, 장착대(7) 위의 턱(2c)에 그릴(3)을 걸친 예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유도판 및 방취판의 작동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의 이물 청소 개념도,
도6은 예시적인 유도판고정부재가 적용된 본 발명의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유도판고정부재가 적용된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8은 다른 예시적인 유도판고정부재가 적용된 본 발명의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를 집수정에 장착하는 다양한 구조의 개략도,
도10은 종래의 일반적인 집수정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이물수집-방취조 2: 집수정 3: 그릴(뚜껑)
10: 본체 11: 내부공간 12: 저면
12a: 배수공 13: 턱 14: 기둥부
15: 테두리 20: 개방부 30: 유도판
31: 날개부 32: 회동축 32a: 축공
40: 회동범위제한부재 50: 방취판 51: 날개부
60: 유도판고정수단 61: 측면고정대 62: 하부지지대
63: 상부지지대 64: 빗장걸이 65: 빗장

Claims (4)

  1. 집수정(2)의 상측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유수(4)와 이물(5)이 유입되는 내부공간(11)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적어도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개방부(20); 및
    상기 개방부(20) 양측의 기둥부(14)에 걸쳐 일정 틈새(G)를 두고 상하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1) 쪽이 낮아지는 경사를 가져서,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상기 유수(4)와 상기 이물(5)을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도하되, 상기 이물(5)은 상기 본체(10)의 저면(12) 위에 수집되게 하고 상기 유수(4)는 상기 틈새(G)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도판(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30)은 상기 기둥부(1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유도판(30)의 날개부(31)가 상기 내부공간(11) 쪽으로 뻗은 상태에서 회동축(32)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고, 인접한 상기 유도판(30) 사이의 상기 기둥부(14)에는 상기 유도판(30)의 상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범위제한부재(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유도판(30) 사이의 상기 기둥부(1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유도판(30) 사이의 상기 틈새(G)를 막는 다 수의 방취판(50)이 더 포함되고, 상기 방취판(50)의 날개부(51)는 상기 내부공간(11)의 반대쪽으로 뻗은 상태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방취판(50)은 상기 유도판(30)에 의해 그 상하 회동 범위가 제한되며, 이로써 상기 본체(10)가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판(30)들과 상기 방취판(50)들의 협력으로 상기 내부공간(11)이 상기 집수정(2)으로부터 차단되어 상기 집수정(2)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11)으로 악취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4. 제3항에 있어서, 회동 가능한 상기 유도판(30)이 그 하측에 있는 회동범위제한부재(40)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유도판(30)을 회동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유도판고정수단(60)이 더 포함되고, 상기 유도판고정수단(60)에 의해 고정된 상기 유도판(30)들과 상기 방취판(50)들의 협력으로, 상기 집수정(2)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11)으로 상기 유수(4)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20070081415A 2007-07-25 2007-08-13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0769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4291 WO2009014370A2 (en) 2007-07-25 2008-07-23 Waste collecting and deodorizing chamber for man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4745 2007-07-25
KR1020070074745 2007-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544B1 true KR100769544B1 (ko) 2007-10-23

Family

ID=3881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415A KR100769544B1 (ko) 2007-07-25 2007-08-13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9544B1 (ko)
WO (1) WO2009014370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12B1 (ko) 2007-09-12 2007-12-17 수암산업개발 (주) 하수구의 악취유출 방지겸 이물질유입 방지장치
CN105401641A (zh) * 2015-12-11 2016-03-16 武汉圣禹排水***有限公司 带有滤水桶的雨水口结构
RU170816U1 (ru) * 2016-12-13 2017-05-11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фильтрующего патрона
RU170818U1 (ru) * 2016-11-29 2017-05-11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RU172246U1 (ru) * 2017-02-07 2017-07-03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CN109930678A (zh) * 2019-03-22 2019-06-25 张婷 一种防堵塞下水道
CN111173112A (zh) * 2020-01-19 2020-05-19 徐州工程学院 一种双重防臭地漏装置
CN111495007A (zh) * 2020-04-08 2020-08-07 陈锦华 一种污水处理除异防回流导流排放机构
CN112962764A (zh) * 2021-02-03 2021-06-15 广州市伟佳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下水道防臭井盖
CN114718167A (zh) * 2022-03-10 2022-07-08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市政排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48323C1 (ru) * 2013-12-30 2015-04-20 Олег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родоус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монтируемое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м колодце
CN104099996A (zh) * 2014-06-30 2014-10-15 武汉圣禹排水***有限公司 一种带有滤水桶的雨水口
CN104110063A (zh) * 2014-06-30 2014-10-22 武汉圣禹排水***有限公司 一种带有滤水袋的雨水口
CN105569174A (zh) * 2016-01-29 2016-05-11 武汉大禹阀门股份有限公司 弃流雨水口
JP6532417B2 (ja) * 2016-02-23 2019-06-1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雨水ます
RU178560U1 (ru) * 2016-11-22 2018-04-09 Андр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одобувкин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RU177034U1 (ru) * 2017-10-05 2018-02-06 Олег Иванович Звездин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US11414852B2 (en) * 2019-09-22 2022-08-16 Bio Clean Environmental Services, Inc. Removable trash filter basket with hinged wier for catch basins
JP7368831B2 (ja) * 2019-10-28 2023-10-25 ベルテクス株式会社 浸透誘導壁、浸透誘導管及びこれを備えた浸透施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30A (ko) * 1998-05-21 1998-08-17 김선회 걸름망을 설치한 배수구의 구조
KR200168160Y1 (ko) 1999-08-25 2000-02-15 권혁중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100659175B1 (ko) 2006-09-14 2006-12-20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이물질유입 방지용 맨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45Y1 (ko) * 2002-03-04 2002-09-28 김택진 악취방출 및 오물제거, 병충해방지, 역류처리 등 다기능하수구 뚜껑
KR200318205Y1 (ko) * 2003-03-26 2003-06-27 서환용 도로 집수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30A (ko) * 1998-05-21 1998-08-17 김선회 걸름망을 설치한 배수구의 구조
KR200168160Y1 (ko) 1999-08-25 2000-02-15 권혁중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100659175B1 (ko) 2006-09-14 2006-12-20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이물질유입 방지용 맨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12B1 (ko) 2007-09-12 2007-12-17 수암산업개발 (주) 하수구의 악취유출 방지겸 이물질유입 방지장치
CN105401641A (zh) * 2015-12-11 2016-03-16 武汉圣禹排水***有限公司 带有滤水桶的雨水口结构
RU170818U1 (ru) * 2016-11-29 2017-05-11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RU170816U1 (ru) * 2016-12-13 2017-05-11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фильтрующего патрона
RU172246U1 (ru) * 2017-02-07 2017-07-03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CN109930678A (zh) * 2019-03-22 2019-06-25 张婷 一种防堵塞下水道
CN111173112A (zh) * 2020-01-19 2020-05-19 徐州工程学院 一种双重防臭地漏装置
CN111495007A (zh) * 2020-04-08 2020-08-07 陈锦华 一种污水处理除异防回流导流排放机构
CN112962764A (zh) * 2021-02-03 2021-06-15 广州市伟佳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下水道防臭井盖
CN114718167A (zh) * 2022-03-10 2022-07-08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市政排水***
CN114718167B (zh) * 2022-03-10 2023-09-26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市政排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4370A3 (en) 2009-04-02
WO2009014370A2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US7309420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US7959799B2 (en) Street curb filter basket system
US7288188B2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US6623633B2 (en) Sewer eco-collar for sump application
US20080237100A1 (en) Storm water filter for positioning within a storm water inlet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20030036462A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0739875B1 (ko) 공공배수로의 퇴적물 제거형 하수구조
KR101770105B1 (ko)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JP7001830B2 (ja) 雨水ます
KR101858141B1 (ko) 오물수거함이 자동배출되는 우수받이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1889974B1 (ko) 우수받이
JP3673966B2 (ja) 初期雨水分離装置付き濾過沈殿装置及び連結型貯水槽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239950Y1 (ko) 침사조및악취역류방지기능을보유한배수구
KR19980059575U (ko) 빗물받이용 삽탈식 잡물 걸름망
KR20050095959A (ko) 두개의 필터가 내장된 맨홀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