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855B1 -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855B1
KR100766855B1 KR1020060004887A KR20060004887A KR100766855B1 KR 100766855 B1 KR100766855 B1 KR 100766855B1 KR 1020060004887 A KR1020060004887 A KR 1020060004887A KR 20060004887 A KR20060004887 A KR 20060004887A KR 100766855 B1 KR100766855 B1 KR 10076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bumper stopper
coil spring
suspension device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005A (ko
Inventor
박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6000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8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현가 장치에 있어서, 차체와 차륜에 연결되며 리바운드 행정과 컴프레션 행정을 수행하는 쇽업소버와, 차체와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과, 일단은 차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코일 스프링과 연결된 범퍼 스토퍼 및 범퍼 스토퍼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황에 따라 높이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는 캡을 포함하므로 범퍼 스토퍼를 새로이 제작하는 기술적 어려움과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현가장치, 쇽업소버, 코일 스프링, 범퍼 스토퍼, 가변 범퍼스토퍼

Description

현가장치 { Suspension Devic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스프링과 범퍼 스토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토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현가 장치 110 : 차축
120 : 로어 암 130 : 레터럴 로드
140 : 쇽업소버 150 : 코일 스프링
160 : 범퍼 스토퍼 170 : 캡
본 발명은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스프링과 쇽업소 버가 분리되어 배치된 링크 타입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 장치(Suspension System)는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차륜으로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쇽업소버는 조종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적재화물의 보호, 차량의 각 부품을 보호하며, 양호한 핸들링 특성을 살리고, 운전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극대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현가장치가 연구개발 및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차량의 현가 장치는 크게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소버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현가 장치 중에서 링크 타입 현가 장치는 엔진이 앞쪽에 장착된 후륜구동차의 뒤쪽 현가장치에 많이 이용되며 차축을 4개 또는 5개의 링크로 지지하는 형식이다. 차축을 5개의 링크로 지지하는 링크 타입 현가 장치는 앞, 뒤 하중을 받는 좌우 두개씩의 암과 횡하중을 받는 래터럴 로드 등 5개의 링크와 코일 스프링 및 쇽업소버로 구성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의 상측에는 범퍼 스토퍼(Bump Stopper)가 설치된다. 범퍼 스토퍼는 차륜에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부품이다.
그런데, 종래의 링크 타입 현가장치는 차체가 높거나 대형차에 설치될 경우 규격 사이즈로 제작된 범퍼 스토퍼가 차체에 고정될 수 없다. 이에, 새로이 범퍼 스토퍼를 제작하면서 형상 및 길이를 증대를 시켜 범퍼 스토퍼와 차체를 고정시키 고 있으나, 이는 제작상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높이에 따라 쇽업소버가 길어지더라도 규격 사이즈로 제작된 범퍼 스토퍼를 사용할 수 있는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와 상기 차륜에 연결되며 리바운드 행정과 컴프레션 행정을 수행하는 쇽업소버와, 상기 차체와 결합되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차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과 연결된 범퍼 스토퍼 및 상기 범퍼 스토퍼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황에 따라 높이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는 캡을 포함하는 현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캡은 필요한 길이만큼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퍼 스토퍼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쇽업소버와 상기 코일 스프링은 병렬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일실시예를 상세하 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스프링과 범퍼 스토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링크 타입 현가 장치(100)는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차축(110)과, 차축(110)의 양측 선단에서 설치되되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들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앞뒤 하중을 받는 로어암(120)과, 차축(110)과 로어 암(120)을 링크하는 레터널 로드(130)와, 차축(110)이나 로어암(120)에 설치되는 쇽업소버(140)와, 쇽업소버(140)와 병렬로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150) 그리고, 코일 스프링(150)에 설치되는 범퍼 스토퍼(160)를 포함한다.
쇽업소버(140)는 실린더(141)와, 일측은 실린더(141)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실린더(141)의 외측으로 인출된 피스톤 로드(143)와, 피스톤 로드(143)의 하단에 연결되어 컴프레션 챔버(CC)와 리바운드 챔버(RC)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145)로 이루어진다.
코일 스프링(150)은 쇽업소버(140)와 병렬로 배치된다. 다시 설명하면, 쇽업소버(140)가 차축(110)에 설치될 경우, 코일 스프링(150)은 로어암(1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쇽업소버(140)와 코일 스프링(150)이 차축(110)에 설치되더라도, 코일 스프링(150)은 쇽업소버(140)가 설치된 위치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범퍼 스토퍼(160)는 코일 스프링(150)의 상측에 설치된다. 또한, 범퍼 스토퍼(160)는 일단이 코일 스프링(150)의 코일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은 차체에 결합된다. 따라서, 범퍼 스토퍼(160)는 차체의 높이가 높아지면 길이가 길어질 수 있어야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범퍼 스토퍼(160)는 규격 사이즈로 제작되므로 범퍼 스토퍼(160)에는 차체의 높이에 따라 그 길이가 길어질 수 있는 캡(170)이 마련된다.
캡(1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스토퍼(160)의 상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억지끼움되는 삽입부(171)와, 삽입부(17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게 형성되어 범퍼 스토퍼(16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173) 그리고, 캡(170)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75)가 포함된다. 돌출부(175)의 길이는 범퍼 스토퍼(160)가 삽입된 캡(170)과 차체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돌출부(175)의 상면에는 범퍼 스토퍼(160)와 차체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177)이 형성된다.
따라서, 범퍼 스토퍼(160)는 규격 사이즈로 제작되고, 범퍼 스토퍼(160)의 상측에 설치된 캡(170)은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75)의 길이가 범퍼 스토퍼(160)와 차체 사이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제작하여 범퍼 스토퍼(160)가 차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돌출부(175)는 쇽업소버(14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풀리바운드시 그 길이가 길어진다.
이에, 현가장치(100)는 차륜에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쇽업소버(140)와 코일 스프링(15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캡(170)의 삽입부(171)에 억지끼움되어 차체에 결합된 범퍼 스토퍼(160)는 차체에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 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체가 높아지는 차종일 경우에도 규격사이즈로 제작된 범퍼 스토퍼와 차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범퍼 스토퍼의 상측에 돌출부를 갖는 캡을 설치함으로써, 각 차종마다 범퍼 스토퍼를 제작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범퍼 스토퍼를 새로이 제작하는 기술적 어려움과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후륜에서 풀리바운드 행정이 실시될 때 최대 길이를 확보하여 쇽업소버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와 상기 차륜에 연결되며 리바운드 행정과 컴프레션 행정을 수행하는 쇽업소버;
    상기 차체와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
    일단은 상기 차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과 연결된 범퍼 스토퍼; 및
    상기 범퍼 스토퍼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황에 따라 높이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는 캡; 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필요한 길이만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스토퍼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측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와 상기 코일 스프링은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
KR1020060004887A 2006-01-17 2006-01-17 현가장치 KR10076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887A KR100766855B1 (ko) 2006-01-17 2006-01-17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887A KR100766855B1 (ko) 2006-01-17 2006-01-17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005A KR20070076005A (ko) 2007-07-24
KR100766855B1 true KR100766855B1 (ko) 2007-10-17

Family

ID=3850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887A KR100766855B1 (ko) 2006-01-17 2006-01-17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8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203A (ja) 1997-07-22 1999-02-12 Hiroyuki Shibazaki スプリング高調整装置
JP2000074126A (ja) 1998-08-31 2000-03-07 Bridgestone Corp バンパーラバー
KR20060021991A (ko) * 2004-09-06 2006-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203A (ja) 1997-07-22 1999-02-12 Hiroyuki Shibazaki スプリング高調整装置
JP2000074126A (ja) 1998-08-31 2000-03-07 Bridgestone Corp バンパーラバー
KR20060021991A (ko) * 2004-09-06 2006-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005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8923A1 (en) Bump stopper for suspension system
KR20150080955A (ko)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US11407267B2 (en) Silencer for leaf spring for commercial vehicle
KR100766855B1 (ko) 현가장치
KR100757812B1 (ko) 현가장치
CN103158826B (zh) 三轮摩托车扭杆式前悬挂装置
KR101724479B1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KR20030040959A (ko) 차량용 공기 스프링
KR10116230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2575159B1 (ko) 고강성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CN202500947U (zh) 一种直筒型减震器
CN203142939U (zh) 三轮摩托车扭杆式前悬挂的限位装置
KR100428132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10020490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59701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KR101724724B1 (ko) 쇼크 업소버용 브래킷 및 제작 방법
KR100559892B1 (ko) 상용차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톱퍼
KR100530032B1 (ko) 듀얼 스트러트 타입 현가장치
KR20200041477A (ko)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KR100357595B1 (ko) 탄성 케이블을 이용한 더블위시본 서스펜션
KR100412872B1 (ko) 차량 현가장치의 부시어셈블리
KR101162310B1 (ko) 위치결정부를 갖는 부시 조립체
JP2010149642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80068833A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