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255B1 -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255B1
KR100762255B1 KR1020060134579A KR20060134579A KR100762255B1 KR 100762255 B1 KR100762255 B1 KR 100762255B1 KR 1020060134579 A KR1020060134579 A KR 1020060134579A KR 20060134579 A KR20060134579 A KR 20060134579A KR 100762255 B1 KR100762255 B1 KR 100762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s
polycaprolactone
average molecular
polymer
spinn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준
이세근
김호영
도석주
참 김
류원석
Original Assignee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3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01F6/625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고분자 자체의 고유한 성질을 유지하면서, 또한 공정이 단순하고, 다양한 고분자 미세섬유상을 갖는 나노섬유 제조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 방법은 방사 용액 형성 단계 및 방사 및 집적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방사 용액 형성 단계에서는 동일한 분자 구조를 가지면서 무게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복수의 고분자를 용매에 혼합 용해하여 방사 용액을 형성한다. 상기 방사 및 집적 단계에서는 상기 형성된 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집적한다.
나노섬유, 전기방사

Description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nano fi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로 제조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로 제조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3로 제조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1로 제조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비교예 2로 제조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다양한 중량비를 가지는 방사용액의 상대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전기방사를 통해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분자량을 가지는 동종의 고분자를 혼합 방사하여 섬유직경이 제어된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방사장치는 기본적으로 고분자 용액이 이송되는 노즐과 전압인가장치 장치 및 수집부(Collector)로 구성된다. 노즐을 빠져나온 고분자 용액은 노즐 끝에서 액적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노즐과 수 집부 사이에 고전압의 전기장을 걸어주면 액적은 인장 변형되어 테일러콘(원뿔형의 액적)을 형성하게 되고 충분히 높은 전압 하에서는 테일러콘의 끝에서 얇은 섬유 형태로 방사된다.
이때, 분자량이 작은 고분자용액인 경우에는 연속된 섬유상이 형성되지 않고 전하를 띤 액적이 형성되어 나노섬유 부직포를 얻을 수가 없다. 또한, 섬유상을 형성 할 수 있는 일정 분자량을 가지는 고분자용액의 경우에도 충분한 농도 이하에서는 고분자 사슬의 엉킴이 충분치 않아 비드가 없는 연속된 섬유상을 얻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고분자용액의 전기방사에서는 비드가 없는 연속된 섬유상을 얻기 위해 사슬의 엉킴이 충분하게 일어나는 최적의 성막농도 이상에서 방사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예를 들어 폴리카프로락톤의 경우, 최적의 성막농도 이상에서 방사를 실시했을 때 고분자용액의 표면 장력이 낮아 전기방사시 조건을 제어해도 원하는 미세 직경을 가지는 섬유상을 얻기가 힘든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03685호에는 테일러 콘에서 초기에 나오는 스트림의 굵기가 굵더라도 용매의 휘발도를 증가시켜 스트림의 직경을 급속하게 감소시키거나, 고분자의 농도를 크게 낮추지 않는 범위에서 고분자용액의 점도를 낮추면 토출량을 증가시키면서도 제조되는 고분자웹을 형성하는 섬유의 굵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원하는 굵기의 섬유상을 가진 고분자 나노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 따르면, 고분자용매의 온도가 40℃에서 용매의 비등점 이하의 온도 범위를 갖는 고분자 용액을 이용하여 고분자 미세 섬유상을 가지는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휘발성이 우수한 용매의 선정 및 대상 고분자의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분자의 고유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기 위해 이종의 분자량을 가지는 동종의 고분자를 혼합 방사함으로써, 비드(bead)가 없는 연속된 나노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나노섬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 방법은 방사 용액 형성 단계 및 방사 및 집적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방사 용액 형성 단계에서는 동일한 분자 구조를 가지면서 무게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복수의 고분자를 용매에 혼합 용해하여 방사 용액을 형성한다. 상기 방사 및 집적 단계에서는 상기 형성된 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집적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 방법의 일실시예(10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방사용액 형성 단계(S110) 및 방사 및 집적 단계(S120)를 구비한다.
방사용액 형성 단계(S110)에서는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 용질이 용매에 용해된 방사용액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방사용액의 고분자 용질로서, 예를 들어, 무게평균 분자량이 10,000인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과 무게평균 분자량이 80,000인 폴리카프로락톤과 같이, 동일한 분자 구조를 가지면서 무게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복수의 고분자(polymer) 즉, 동종이면서 무게평균 분자량이 이종인 복수의 고분자를 이용한다.
연속된 섬유상을 얻고, 또한 고분사 사슬의 엉킴이 충분히 일어나기 위해서는 무게평균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큰 고분자와 무게평균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고분자가 적절히 혼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복수의 고분자 각각은 복수의 고분자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10%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저분자량의 폴리카프로락톤과 중분자량의 폴리카프로락톤이 용질로 이용된다면, 저분자량 폴리카프로락톤의 중량비가 10% ~ 90% 라면, 중분자량 폴리카프로락톤의 중량비는 90% ~ 10%가 된다.
고분자 용질의 종류로는 이미 예시한 폴리카프로락톤 외에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 D,L-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와 같은 합성고분자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류일 수 있고,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알기네이트(Alginate), 알긴산(algin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키틴(chitin), 키토산(Chitosan)과 같은 천연고분자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류일 수 있다.
용매로는 클로로포름(Chloroform)과 에탄올(Ethanol)의 혼합액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방사용액 형성 단계(S110)에서 형성된 방사 용액에는 데시리터(dl)당 고분자 성분이 10g 정도 포함할 수 있다.
방사 및 집적 단계(S120)에서는 상기 방사용액 형성 단계(S110)에서 형성된 방사 용액을 전기방사장치의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을 통해 전기방사하여 수집부(Collector)에 집적한다.
전기방사는 전기방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기방사장치의 노즐에 10kV 이상의 충분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집부에 집적된 나노섬유의 상태는 부직포의 상태가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게평균 분자량이 10,000과 8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을 70% : 3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부피비가 75% : 25%인 클로로포름과 에탄올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고형성분이 10 g/dl인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전기방사하여 수집부상에 집적시켜 부직포를 형성한다. 전기방사시 전기방사장치의 노즐에 인가되는 전압은 20kV이다.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2와 같다.
실시예 2
무게평균 분자량이 10,000과 8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을 50% : 50%의 중량비 로 혼합한 다음, 부피비가 75% : 25%인 클로로포름과 에탄올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고형성분이 10 g/dl 인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전기방사하여 수집부상에 집적시켜 부직포를 형성한다. 전기방사시 전기방사장치의 노즐에 인가되는 전압은 20kV이다.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3과 같다.
실시예 3
무게평균 분자량이 10,000과 8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을 30% : 7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부피비가 75% : 25%인 클로로포름과 에탄올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고형성분이 10 g/dl 인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전기방사하여 수집부상에 집적시켜 부직포를 형성한다. 전기방사시 전기방사장치의 노즐에 인가되는 전압은 20kV이다.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4와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는 미세 직경을 가지는 섬유상들이 서로 엉켜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무게평균 분자량이 1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을 부피비가 75% : 25%인 클로로포름과 에탄올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고형성분이 10 g/dl 인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전기방사하여 수집부상에 집적시켜 부직포를 형성한다. 전기방사시 전기방사장치의 노즐에 인가되는 전압은 20kV이다.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5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무게평균 분자량이 10,000인 폴리카프로락톤만을 고분자 용질로 이용할 경우, 섬유상이 형성되지 않고 전하를 띤 액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무게평균분자량이 8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을 부피비가 75% : 25%인 클로로포름과 에탄올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고형성분이 10 g/dl 인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전기방사하여 수집부상에 집적시켜 부직포를 형성한다. 전기방사시 전기방사장치의 노즐에 인가되는 전압은 20kV이다.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6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무게평균 분자량이 80,000인 폴리카프로락톤만을 고분자 용질로 이용할 경우, 섬유상이 형성되었으나, 미세하지 않은 섬유상임을 알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이용되는 방사용액의 상대점도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우벨로드 점도계로 측정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게평균 분자량이 1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와 무게평균 분자량이 8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의 중량비에 따라 상대점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게평균 분자량 1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의 중량비가 클수록 상대점도는 낮으며, 반대로 무게평균 분자량의 80,000인 폴리카프로락톤의 중량비가 클수록 상대점도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종류의 고분자라도 무게평균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들을 적절히 혼합하면 원하는 점도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 방법은 이종의 분자량을 가지는 동종의 고분자를 혼합하여 방사함으로써, 고분자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섬유직경이 제어된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 방법은 공정이 단순하고, 다양한 고분자 미세섬유상을 갖는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전기방사를 통해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동일한 분자 구조를 가지면서 무게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복수의 고분자를 용매에 혼합 용해하여 방사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b)상기 형성된 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집적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분자 각각은,
    복수의 고분자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10%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분자는,
    무게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클로로포름(Chloroform)과 에탄올(Ethanol)의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 D,L-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콜라겐, 젤라틴, 알기네이트,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 방법.
KR1020060134579A 2006-12-27 2006-12-27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KR100762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579A KR100762255B1 (ko) 2006-12-27 2006-12-27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579A KR100762255B1 (ko) 2006-12-27 2006-12-27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255B1 true KR100762255B1 (ko) 2007-10-04

Family

ID=3941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579A KR100762255B1 (ko) 2006-12-27 2006-12-27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2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78B1 (ko) 2007-12-17 2009-11-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생분해성 플라스틱/나노 섬유 복합지지체 신경도관제조방법.
CN111793900A (zh) * 2020-06-15 2020-10-20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壳聚糖/聚己内酯复合纳米纤维膜材料及其应用
JPWO2020013199A1 (ja) * 2018-07-09 2021-08-02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不織布、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電界紡糸用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009A (ko) * 2004-06-17 2006-05-18 한국화학연구원 필라멘트 다발 형태의 나노 장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009A (ko) * 2004-06-17 2006-05-18 한국화학연구원 필라멘트 다발 형태의 나노 장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78B1 (ko) 2007-12-17 2009-11-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생분해성 플라스틱/나노 섬유 복합지지체 신경도관제조방법.
JPWO2020013199A1 (ja) * 2018-07-09 2021-08-02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不織布、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電界紡糸用組成物
EP3822402A4 (en) * 2018-07-09 2022-07-27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NON-WOVEN FABRIC, METHOD OF PRODUCTION AND COMPOSITION FOR ELECTROSPINNING
JP7391306B2 (ja) 2018-07-09 2023-12-05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不織布、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電界紡糸用組成物
IL279785B1 (en) * 2018-07-09 2024-04-01 Nat Inst Materials Science Non-woven fabric,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compound for electrospinning
CN111793900A (zh) * 2020-06-15 2020-10-20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壳聚糖/聚己内酯复合纳米纤维膜材料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metwally et al. Technology of nano-fibers: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perties-Critical review
Khajavi et al. Controlling nanofiber morphology by the electrospinning process
Zhou et al. Manufacturing technologies of polymeric nanofibres and nanofibre yarns
Lu et al. Parameter study and characterization for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fabricated via centrifugal spinning process
Kanani et al. Effect of changing solvents on poly (ε-caprolactone) nanofibrous webs morphology
KR101519169B1 (ko) 용융 방사에 의한 나노섬유의 제조
Li et al. Hierarchically structured PMMA fibers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EP1957256B1 (en) Method of solution preparation of polyolefin class polymers for electrospinning processing included
AK S et al. Fabrication of poly (Caprolactone)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Spasova et al. Perspectives on: criteria for complex evaluation of the morphology and alignment of electrospun polymer nanofibers
KR20040076006A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WO2005033381A2 (en) Electro-blowing technology for fabrication of fibrous articles and its applications of hyaluronan
US20100021711A1 (en) Lyocell Staple Fiber
JP2002249966A (ja) 微細繊維状高分子ウェブの製造方法
WO200711147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anofiber web
Mîndru et al. Morphological aspects of polymer fiber mats obtained by air flow rotary-jet spinning
CN101538776A (zh) 同轴聚膦腈纳米纤维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0762255B1 (ko)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Jeun et al. Electrospinning of Poly (L-lactide-co-D, L-lactide)
KR101118081B1 (ko)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JP2007084946A (ja) 分割型複合繊維
CN110747521A (zh) 具有表面纳米结构的三维静电纺微米纤维支架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7176850B2 (ja) 海島型複合繊維束
KR101118079B1 (ko)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Jabur et al. Ambient temperature affect the pore size of PVA nanofibers t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