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473B1 -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473B1
KR100761473B1 KR1020010043588A KR20010043588A KR100761473B1 KR 100761473 B1 KR100761473 B1 KR 100761473B1 KR 1020010043588 A KR1020010043588 A KR 1020010043588A KR 20010043588 A KR20010043588 A KR 20010043588A KR 100761473 B1 KR100761473 B1 KR 10076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attribute information
attribute
edit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732A (ko
Inventor
유호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473B1/ko
Priority to US10/125,514 priority patent/US7058659B2/en
Priority to CNB021206481A priority patent/CN1188793C/zh
Priority to EP02253845A priority patent/EP1280160A3/en
Publication of KR2003000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3Generating database or data structure, e.g. via user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4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 Y10S707/99945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8Application of database or data structure, e.g. distributed, multimedia, or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대용량의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디스크엔진, 저장된 속성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명령을 입력하는 입렵부, 독출된 속성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파일의 재생/기록이 처리되도록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에 의한 속성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도록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의 속성은 편집명령에 의해 편집가능하며, 각 파일은 그 속성에 따라 처리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대용량의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파일속성, 파일, 디렉토리, 경로, 휴대용 기기, 레지스터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File management system for portable device and a mathod of the same}
도 1은 DCD의 일면을 기록영역별로 구분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DCD에 데이터를 재생/기록하기 위한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의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에 구비된 호스트와 레지스터간의 데이터교환을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도 2의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DCD 12 : 홀
14 : 고유번호 기록영역 16 : 데이터 기록영역
18 : 파일시스템 기록영역 100 :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
120 : 엔진부 127 : 레지스터부
140 : 호스트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들의 속성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의 저장장치에 기록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들의 속성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소정의 정보들을 시간 및 장소에 구애을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생하거나 복원할 수 있는 유용한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왔다. 대중적으로 제시되어 왔던 기기들 중에는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FD), 컴팩트디스크(CD) 등의 기록매체 및 그 기록매체를 이용한 기기(이하, 시스템이라 한다)가 있다.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기록매체는 대용량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 시스템 또한 소형화, 고속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와 시스템의 발달, 그리고 인터넷의 대중화로 개인은 많은 양의 정보를 취득하고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지름 32mm의 소형 디스크로서 그 크기에 비해 500메가바이트의 대용량을 갖는 기록매체와 이 기록매체(이하, DCD(Digital Convergence Disc)라고 일컫는다)를 구동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개발되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대용량의 정보를 휴대하는데 더욱 용이해졌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보다 많은 정보를 휴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기록매체에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하는 방안이 요구되게 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정보는 특정사용자만이 엑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기 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의 속성에 따라 각각의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는, 기록매체로부터 파일의 재생/기록을 처리하는 휴대용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디스크엔진, 및 독출된 상기 속성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파일의 재생/기록이 처리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관리장치는 기록된 상기 속성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한 편집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의 속성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속성정보를 갱신시키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일관리장치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사용자에 의한 상기 속성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속성정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면, 상기 제어부는 편집된 상기 속성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구현된다.
또한, 독출된 상기 파일의 속성이 쓰기불능으로 기 설정된 경우에 쓰기명령 키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파일의 속성을 쓰기가능으로 전환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환여 부에 대해 응답된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파일을 처리하도록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독출된 상기 속성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파일의 재생/기록이 처리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저장된 상기 속성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의 속성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속성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한 상기 속성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속성정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면, 편집된 상기 속성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독출된 상기 파일의 속성이 쓰기불능으로 기 설정된 경우에 쓰기명령 키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파일의 속성을 쓰기가능으로 전환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표시시키는 단계, 및 입력부로부터 전환여부에 대해 응답된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파일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하는 대용량의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된 각 파일의 속성에 따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양면기록 가능한 DCD의 일 면을 기록영역별로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DCD(10)는 원판 형상이며, 원판의 중심에서부터 외주방향으로 홀(12), 고유번호기록영역(14), 데이터기록영역(16), 파일시스템기록영역(18)으로 구분되어 있다.
홀(12)은 DCD(1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DCD(10)가 회전되는 동안 흔들림을 완화시켜준다. DCD(10)의 고유번호기록영역(14)은 홀(12)의 주위에 소정 범위를 점유하도록 링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유번호기록영역(14)에는 각각의 DCD(10)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DCD(10)에 부여된 고유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고유번호기록영역(14)에는 양면 기록 가능한 광기록매체인 DCD(10)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DCD(10)의 일면 및 타면에 대한 식별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기록영역(16)은 음악데이터, 문서데이터, 영상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파일이 기록되는 영역으로서 DCD 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파일시스템기록영역(18)은 DCD(10)의 가장 외주 부분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DCD(10)의 데이터기록영역(16)에 기록된 각 파일에 대한 정보 즉, 파일시스템정보 및 디렉토리정보가 기록된다. 파일시스템정보란, DCD(10)의 데이터기록영역(16)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파일 사이즈, 파일 이름, 기록 날짜 및 시간, 기록된 파일의 형식, 기록된 데이터들의 디렉토리 정보 및 파일의 최종 수정날짜 및 시간 등을 말한다. 디렉토리정보란, 서로 연관이 있는 파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어서 저장할 수 있도록 구분된 공간을 의미하는데, 관련이 없는 다른 파일은 다른 디렉토리에 저장됨으로써 섞이지 않게 된다.
도 2는 DCD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DCD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엔진부(120) 및 호스트(140)를 포함한다.
엔진부(120)는 DCD(10)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하는 DCD드라이버이다. 호스트(140)는 엔진부(120)와 접속되어 엔진부(120)를 제어하며, 외부기기, 예를들면 개인용컴퓨터(PC)(200)와 접속되어 엔진부(120)를 제어할수 있다.
엔진부(120)는 DCD데크부(122), DCD서보(124), 버퍼(125), 엔진메모리(126), 엔진마이콤(128) 및 엔진인터페이스(129)를 포함한다. DCD데크부(122)는 DCD(10)가 엔진부(120)로 삽입되면, 엔진마이콤(128)에 의해 제어되어 DCD(10)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한다. DCD서보(124)는 엔진마이콤(128)의 제어에 따라 DCD데크(122)를 구동한다. 버퍼(125)는 DCD(10)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경우 기록 및 재생될 데이터를 임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SRAM을 사용할 수 있다. 엔진메모리(126)는 DCD(10)와 엔진부(120) 및 엔진부(120)와 호스트(140) 사이에 약속된 각종 커멘드어들의 코드값 및 제어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플래쉬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엔진마이콤(128)은 DCD데크(122), DCD서보(124) 및 버퍼(125)를 제어한다. 엔진인터페이스(129)는 엔진부(120)와 호스트(14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호스트(140)는 DSP(141), 전원부(142), 메모리(143), 외부인터페이스(144), LCD 디스플레이(145), 오디오출력부(146), 음성입력부(147), 키입력부(148) 및 배 터리잔량검출부(149)를 포함한다.
DSP(141)는 엔진 인터페이스(129)와 접속되고, 엔진부(120)를 억세스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출할 뿐만 아니라 독출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 및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DSP(141)는 파일단위로 독출되는 데이터의 속성정보에 따라 파일의 재생/기록이 처리되도록 DCD용 디바이스(100) 전체를 제어한다.
DSP(141)는 타이머(141a) 및 OSD처리부(141b)를 포함한다. 타이머(141a)는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정보를 제공한다. OSD처리부(141b)는 LCD디스플레이(145)에 표시될 다양한 문자정보를 제공한다.
전원부(142)는 메인배터리(142a)와 백업배터리(142b)를 포함한다. 메인배터리(142a)는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백업배터리(142a)는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오프된 후 메모리(143)에 남아있는 데이터를 DCD(10)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배터리 잔량검출부(149)는 메인배터리(142a)의 잔량을 검사하여 그 결과를 DSP(141)로 전달한다.
메모리(143)는 DSP(141)에 의하여 제어되며, DCD로부터 속성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메모리(143)에 저장되는 속성정보는 DCD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숨김여부, 쓰기가능여부, 파일이름변경여부, 파일경로, 삭제가능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외부인터페이스(144)는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와 PC(200) 사이의 인터 페이스로서, USB인터페이스를 사용하였다.
LCD디스플레이(145)는 사용자에 의한 속성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도록 메모리에 저장된 속성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DCD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숨김여부, 쓰기가능여부, 파일이름변경여부, 파일경로, 삭제가능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면, LCD디스플레이(145)는 편집된 속성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속성정보의 갱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오디오출력부(146)는 DCD(10)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DSP(141)에서 생성된 각종 메시지를 출력한다. 음성입력부(147)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커멘드을 처리하여 DSP(141)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키입력부(148)를 통해서도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대한 커멘드을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키입력부(148)는 음성입력부(147)는 DCD에 기록된 속성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명령을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엔진부(120)는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개의 레지스터들로 구성된 레지스터부(127)를 포함한다. 레지스터부(127)는 콘트롤 레지스터(127a), 스테이터스 레지스터(127b), 바이트카운터 레지스터(127c) 및 데이터 레지스터(127d)로 구성되며, 각 레지스터들은 호스트(140)와의 통신에 사용된다. 호스트(140)는 DCD 인터페이스용 어드레스비트 2비트(DPI_ADD0와 DPI_ADD1)의 값에 따라 레지스터부(127)의 레지스터들 중 억세스할 레지스터를 선택한다. 콘트롤 레지스터(127a)에 대하여 호스트(140)는 기록동작을 수행하고, 엔진(120)은 독출동작을 수행한다.
콘트롤 레지스터(127a)는 호스트(140)에 의해 기록된 기능제어 및 인터페이스 인터럽트 인에이블/디스에이블값들을 가진다. 스테이터스 레지스터(127b)에 대하여 호스트(140)는 독출만 가능하고, 엔진부(120)는 독출 및 기록이 모두 가능하다. 스테이터스 레지스터(127b)는 상태정보 및 인터럽트 이유 정보를 보유한다. 바이트카운터 레지스터(127c)에 대하여 호스트(140) 및 엔진부(120) 각각은 기록 및 독출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호스트(140)는 스테이터스 레지스터(127b)의 비지(BUSY) 비트가 클리어인 경우에만 바이트카운터 레지스터(127c)에 기록할 수 있고, 스테이터스 레지스터(127b)의 데이터(DATA) 비트가 세트인 경우에만 바이트카운터 레지스터(127c)에서 리턴 유효 정보(return valid information)를 독출한다. 바이트카운터 레지스터(127c)는 다음 커멘드, 데이터, 또는 스테이터스 모드 전송을 위한 바이트 카운트를 포함한다. 데이터 레지스터(127d)에 대하여, 호스트(140) 및 엔진부(120)는 독출 및 기록 동작이 모두 가능하다. 다만, 호스트(140)는 커멘드(Command) 및 데이터 출력 모드(Data Out phases)동안 엔진부(1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 레지스터(127d)에 기록한다. 또한, 호스트(140)는 스테이터스(Status) 및 데이터 입력 모드(Data In phases) 동안 엔진부(12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 레지스터(127d)를 읽는다.
이와 같이 DCD(10)는 어떠한 디지털 디바이스인지에 관계없이 엔진부(120)가 설치되는 경우 어디에서나 적용할 수 있다.
호스트(140)와 엔진부(120) 사이에는 호스트(140)와 엔진부(120) 사이를 물 리적으로 연결하는 물리적인 연결층(physical layer), 호스트(140)와 엔진부(120) 사이의 정보 교환에 사용되는 방법을 정의한 데이터링크 레이어(data-link layer), 엔진부(120)에서 접근하는 데이터를 통제하기 위하여 DCD(10)에 대한 데이터와 관련된 커멘드들을 기록한 커멘드 레이어(command layer), 및 파일데이터/메타(meta) 데이터의 매핑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layer) 등 4개층의 연결상태가 존재한다. 호스트(140)와 엔진부(120) 사이에 존재하는 4개층의 연결상태는 엔진부(120)에 의해 구동되는 DCD에 기록된 파일데이터/메타데이터가 원할하게 호스트(140)로 전송되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파일관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DCD를 삽입하면, DSP(141)는 엔진부(120)를 구동하여 DCD로부터 파일속성정보를 독출시킨다(S401). 여기서, DSP(141)가 DCD로부터 파일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과정은, DCD용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DCD가 삽입되면 DSP(141)가 자동적으로 처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키입력부(148)로부터 파일속성정보의 독출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DSP(141)는 DCD로부터 독출한 파일속성정보를 메모리(143)에 저장시킨다(S403). 또한, DSP(141)는 DCD로부터 독출한 파일속성정보를 LCD디스플레이(145)에 표시시킴으로써(S405), 사용자로 하여금 파일속성정보에 대한 편집이 용이하도록 한다.
LCD디스플레이(145)에 파일속성정보가 표시되면, DSP(141)는 키입력부(148)로부터 파일속성에 대한 편집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7). 파일속성에 대한 편집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48)를 통해 입력된다.
DSP(141)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파일속성에 대한 편집명령을 수신하면, DSP(141)는 수신된 키입력신호가 어떤 종류의 파일속성에 대한 편집명령인지를 판독한다(S409). 즉, DSP(141)는 DCD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숨김여부, 쓰기가능여부, 파일이름변경여부, 파일경로, 삭제가능여부 중의 어떤것에 대한 편집명령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파일에 대한 속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른 파일속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DSP(141)가 파일속성이 쓰기불능으로 기 설정된 경우에 쓰기명령 키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S411), DSP(141)는 표시부에 선택된 파일에 대하여 기 설정된 파일의 속성이 쓰기불능임을 표시하고, 또한 쓰기불능으로 기 설정된 파일의 속성을 쓰기가능으로 전환할 것인지에 대한 전환선택여부를 표시한다(S413).
키입력부(148)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기 설정된 파일속성의 전환명령이 수신되면(S417), DSP(141)는 쓰기불능으로 기 설정된 파일의 속성을 쓰기가능으로 전환시킨다(S417). 여기서, 쓰기명령 키신호는 직접적인 쓰기명령은 아니더라도 기 설정된 파일의 속성이 쓰기불능으로 설정된 경우에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라" 등과 같은 쓰기에 관한 명령인 경우를 포함한다.
DSP(141)는 전환된 쓰기가능으로 전환된 파일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파일의 속성을 편집된 파일속성으로 갱신한다(S419). 또한, DSP(141)는 편집된 파일의 속성을 LCD디스플레이(145)에 표시시킴으로써(S421), 사용자로 하여금 기 설정된 파일의 속성이 새로운 파일속성으로 갱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방법은 종료된다.
파일속성에 대한 전환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DSP(141)는 별다른 조치없이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방법을 종료시킨다.
메모리(143)에 저장된 파일속성이 LCD디스플레이(145)에 표시된 후에 키입력부(148)로부터 파일속성에 대한 편집명령이 없으면, DSP(141)는 파일관리방법에 대한 절차를 종료시킨다. 여기서, DSP(141)는 LCD디스플레이(145)에 편집명령을 입력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DSP(141)가 키입력부(148)로부터 파일속성에 대한 편집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키 입력신호가 기 설정된 파일속성이 쓰기가능인 경우에 입력된 것이라고 판단하면, DSP(141)는 기 설정된 파일속성을 편집된 파일속성으로 갱신한다(S419). 기 설정된 파일의 속성이 편집된 파일속성으로 갱신되면, DSP(141)는 편집된 파일속성을 LCD디스플레이(145)에 표시시킨다(S421). 이로써,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방법은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대용량의 파일 각각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 각각에 대한 속성에 따라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각 파일에 대한 속성을 편집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파일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기록매체로부터 파일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휴대용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엔진;
    독출된 상기 속성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파일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하나가 처리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기록된 상기 속성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한 편집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의 속성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속성정보를 갱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사용자에 의한 상기 속성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파일에 대한 숨김여부, 쓰기가능여부, 파일이름변경여부, 파일경로, 삭제가능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속성정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면, 상기 제어부는 편집된 상기 속성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독출된 상기 파일의 속성이 쓰기불능으로 기 설정된 경우에 쓰기명령 키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파일의 속성을 쓰기가능으로 전환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환여부에 대해 응답된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파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7.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독출된 상기 속성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파일의 재생 및 기록 중 어느 하나가 처리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속성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의 속성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속성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방법.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한 상기 속성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되는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파일에 대한 숨김여부, 쓰기가능여부, 파일이름변경여부, 파일경로, 삭제가능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면, 편집된 상기 속성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독출된 상기 파일의 속성이 쓰기불능으로 기 설정된 경우에 쓰기명령 키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파일의 속성을 쓰기가능으로 전환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표시시키는 단계; 및
    입력부로부터 전환여부에 대해 응답된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파일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방법.
KR1020010043588A 2001-07-19 2001-07-19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KR10076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588A KR100761473B1 (ko) 2001-07-19 2001-07-19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US10/125,514 US7058659B2 (en) 2001-07-19 2002-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file management of portable device
CNB021206481A CN1188793C (zh) 2001-07-19 2002-05-27 便携式设备的文件管理装置和方法
EP02253845A EP1280160A3 (en) 2001-07-19 2002-05-31 Portabl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588A KR100761473B1 (ko) 2001-07-19 2001-07-19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732A KR20030008732A (ko) 2003-01-29
KR100761473B1 true KR100761473B1 (ko) 2007-09-27

Family

ID=1971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588A KR100761473B1 (ko) 2001-07-19 2001-07-19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58659B2 (ko)
EP (1) EP1280160A3 (ko)
KR (1) KR100761473B1 (ko)
CN (1) CN118879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563B1 (ko) * 2005-05-16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와 호스트 기기간의 음악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7013574A (ja) * 2005-06-30 2007-01-18 Toshiba Corp ファイルアクセス手法および特定の画像ファイル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その画像ファイルの再生が可能なカメラ装置
KR100714709B1 (ko) 2006-01-1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숨김 영역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90119772A1 (en) * 2007-11-06 2009-05-07 Mariette Awad Secure file access
US8549657B2 (en) * 2008-05-12 2013-10-01 Microsoft Corporation Owner privacy in a shared mobile device
US8496957B2 (en) 2008-07-21 2013-07-30 Otonomy, Inc Controlled release auris sensory cell modulato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otic disorders
JP4796655B1 (ja) * 2010-09-22 2011-10-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US9027117B2 (en) 2010-10-04 2015-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access-level lock screen
US9880604B2 (en) 2011-04-20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ergy efficient location detection
US8732822B2 (en) 2011-12-16 2014-05-20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locking with hierarchical activity preservation
US9467834B2 (en) 2011-12-23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emergency service
US20130305354A1 (en) 2011-12-23 2013-11-14 Microsoft Corporation Restricted execution modes
US8874162B2 (en) 2011-12-23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safe driving
US9325752B2 (en) 2011-12-23 2016-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ivate interaction hubs
US9710982B2 (en) 2011-12-23 2017-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ub key service
US9420432B2 (en) 2011-12-23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s control
US9230076B2 (en) 2012-08-30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child share
US9820231B2 (en) 2013-06-14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alescing geo-fence events
US9998866B2 (en) 2013-06-14 2018-06-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geo-fence events using varying confidence leve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961A (ja) * 1992-08-05 1994-03-04 Nec Corp ファイル管理方式
JPH08287653A (ja) * 1995-04-12 1996-11-01 Fujitsu Ltd 光記録媒体
KR960038903A (ko) * 1995-04-06 1996-11-21 사또오 후미오 재생 데이타와 재생 데이타의 속성 정보를 함께 기록하는 기록 장치
KR20010055509A (ko) * 1999-12-10 2001-07-04 구자홍 기록 디지털 스트림의 파일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8733A (en) * 1988-10-17 1996-04-16 Kassatly; L. Samuel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receiv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GB2283596B (en) * 1993-11-01 1998-07-01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Multiprocessor data memory sharing
US6167404A (en) * 1997-07-31 2000-12-26 Avid Technology, Inc. Multimedia plug-in using dynamic objec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961A (ja) * 1992-08-05 1994-03-04 Nec Corp ファイル管理方式
KR960038903A (ko) * 1995-04-06 1996-11-21 사또오 후미오 재생 데이타와 재생 데이타의 속성 정보를 함께 기록하는 기록 장치
KR100221429B1 (ko) * 1995-04-06 1999-09-15 니시무로 타이죠 재생 데이타와 재생 데이타의 속성 정보를 함께 기록하는 기록 장치
JPH08287653A (ja) * 1995-04-12 1996-11-01 Fujitsu Ltd 光記録媒体
KR20010055509A (ko) * 1999-12-10 2001-07-04 구자홍 기록 디지털 스트림의 파일 관리방법
KR100354176B1 (ko) * 1999-12-10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 디지털 스트림의 파일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58659B2 (en) 2006-06-06
CN1188793C (zh) 2005-02-09
EP1280160A2 (en) 2003-01-29
KR20030008732A (ko) 2003-01-29
US20030018610A1 (en) 2003-01-23
CN1399204A (zh) 2003-02-26
EP1280160A3 (en)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473B1 (ko)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US5233576A (en) Multi-function optical disk drive and media
KR100761474B1 (ko) 휴대용 기기 및 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음성출력방법과 파일명/디렉토리명 기록방법
JP4490917B2 (ja) 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367295B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지역정보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EP0425125B1 (en) System with a multi-function optical disk and drive for it
KR100818237B1 (ko) 휴대용 기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US6064635A (en) Changeable storage device of plural optical recording media of same physical form and different logical formats
KR100725489B1 (ko) 지정된 파일을 자동으로 재생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것을이용한 파일자동 재생방법
KR100831372B1 (ko) 파일 삭제/복원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기기 및 파일삭제/복원방법
JPH0876935A (ja) バックアップデータ作成再生システム
KR100806848B1 (ko) 휴대용 기기의 파일루틴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및그것을 이용한 휴대용 기기 및 파일재생방법
JP3279854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778113B1 (ko)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이 가능한 기록/재생 장치 및 그장치에서 플레이 리스트 생성 방법
KR100725534B1 (ko) 초기화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및 그 휴대용 기기의초기화 제어방법
KR100758988B1 (ko) 휴대용 기기 및 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데이터기록/독출방법
JP2001282462A (ja) 記録再生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
KR100419216B1 (ko) 기록되는 파일의 순서를 변경 가능한 광기록장치
JPH1050031A (ja) データ記録方法
JPH07306756A (ja)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H09198656A (ja) 光ディスクの記録装置
KR20030012945A (ko) 컨텐츠 업로드 시스템 및 방법
JPH0826323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9980071621A (ko)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0339818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