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673B1 - 전동식 리프트 - Google Patents

전동식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673B1
KR100760673B1 KR1020070055209A KR20070055209A KR100760673B1 KR 100760673 B1 KR100760673 B1 KR 100760673B1 KR 1020070055209 A KR1020070055209 A KR 1020070055209A KR 20070055209 A KR20070055209 A KR 20070055209A KR 100760673 B1 KR100760673 B1 KR 100760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arm
roller
platform
coupled
electric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형
Original Assignee
(주)에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고테크 filed Critical (주)에고테크
Priority to KR102007005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을 적재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동식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평 이동가능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직암, 상기 수직암의 상부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상하로 운동하며 상부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플랫폼의 일 단부에 적재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가드, 상기 수직암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가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플랫폼의 상한 및 하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미트센서를 포함하는 전동식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리프트를 제공하여 적재부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물건을 적재 또는 하역시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물건이 적재된 리프트가 수평으로 이동시 또는 플랫폼이 수직으로 이동시 적재된 물건이 적재부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전동식 리프트, 적재가드, 회전부, 리프트,

Description

전동식 리프트{ELECTRICAL LIFT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횡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리프트의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종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상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배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측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상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배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작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사시도
※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지지부 20 : 수직암 30 : 손잡이
40 : 승강부 50 : 안전스위치 60 : 플랫폼
70 : 리미트센서 80 : 회전부
본 발명은 전동식 리프트(electrical lifting equipment)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건을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전동식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lifting equipment)는 물건을 위로 들어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대규모의 공장 내지는 소규모의 작업장 내에서 작업자가 물건을 위로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작업장 내 소정의 높이에 적재(積載)되어 있는 물건을 리프트로 적재하고, 상기 물건을 적재한 리프트를 이동하여 다른 장소의 소정의 높이를 가진 곳에 적재해야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리프트의 종류로는 기계식이나 유압식으로 리프팅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기계식 또는 유압식 리프트는 리프트를 원하는 높이로 미세 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프트에 물건을 적재할 때 또는 적재된 물건을 리프트로부터 하역(荷役)할 시 적재부 바닥의 마찰력 때문에 물건 적재 또는 하역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물건을 적재한 후 소정의 목적장소로 이동시 리프트장치의 이동에 의해 적재된 물건이 적재부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리프트를 제공하여 미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건을 리프트로 적재 또는 하역시 원활한 적재 또는 하역을 할 수 있는 전동식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건이 적재된 리프트가 이동시 적재된 물건이 적재부에서 이탈되지 않는 전동식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바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평 이동가능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직암, 상기 수직암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 상기 수직암의 하단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며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타이밍 롤러, 상기 수직암의 상단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한 아이들 롤러, 상기 타이밍 롤러와 아이들 롤러를 연동시키도록 상기 아이들 롤러와 상기 타이밍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타이밍 벨트, 상기 수직암의 일 측에서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 면과 고정 결합하며 상기 수직암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브라켓, 상기 타이밍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타이밍 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브라켓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암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승강부 및, 상기 수직암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며, 플랫폼의 상한 및 하한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상기 승강부와 결합하여 상하로 운동하며 상부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전동식 리프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직암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아이들 롤러의 축에 결합하는 장력조절나사가 구비된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직암 상단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직암의 상단 저면에 설치되는 보강리브가 포함되는 것이 상기 수직암의 상단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타이밍 벨트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 상기 벨트 결합부의 일 측면과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는 플랫폼 결합부, 상기 플랫폼 결합부의 양 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와 결합하는 롤러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의 가이드롤러는 수직암의 내측면에 가이드롤러의 일단이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상기 브라켓의 안정적 상하 운동을 도모하기에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랫폼의 일 단부에 적재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가드, 상기 수직암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가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는 한 쌍인 것이 플랫폼의 상하이동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직암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장공이 형성된 손잡이고정대와 상기 손잡이고정대의 양측과 결합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직암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블럭, 일단은 상기 변환블럭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적재가드의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적재가드를 회전시키는 작용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회전된 상기 적재가드를 원위치로 탄성회복시키도록 상기 플랫폼의 일 측과 상기 적재가드에 결합하는 탄성회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레버는 레버, 상기 레버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수직암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환블럭은 상기 회전부재를 수용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재의 직경보다 홀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변환블럭이 상기 회전부재를 따라 상하 이동 또는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랫폼은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는 브라켓결합부, 상기 브라켓결합부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부, 상기 한 쌍의 롤러부의 대향된 내측에 공회전하도록 양단이 결합하는 다수의 적재용 롤러,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적재가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한 쌍의 롤러부의 대향된 내측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적재가드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2 내지 도 4는 전동식 리프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는 지지부(10), 수직암(20), 손잡이(30), 승강부(40), 안전 스위치(50), 플랫폼(60), 리미트센서(70)을 포함한다.
지지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바퀴가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바퀴에는 스토퍼(미도시)가 부착되어 작업하는 동안 고정시킬 수도 있다.
수직암(20)은 상기 지지부(10)와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수직암(2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 예를 들어 사각 기둥의 형태이며, 그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술하는 승강부(40)가 배치된다. 수직암(20)은 네 면 중에서 일면은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손잡이(30)는 상기 수직암(20)의 상단 후면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파지하여 리프트의 수평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승강부(40)는 타이밍 롤러(41), 아이들 롤러(42), 타이밍 벨트(43), 구동모터(44), 브라켓(45), 장력조절수단(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이밍 롤러(4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직암(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형으로 회전 가능하게 가장자리를 따라 홈(41a)이 형성되어 있다.
아이들 롤러(42)는 상기 수직암(20)의 상단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아이들 롤러(42)는 타이밍 롤러(41)와는 달리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타이밍 벨트(43)는 상기 타이밍 롤러(41)와 아이들 롤러(42)를 연동시키도록 타이밍 롤러(41)와 아이들 롤러(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내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타이밍 벨트(43)의 홈은 타이밍 롤러(41)의 홈(41a)과 맞물리도록 홈의 크기와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동모터(44)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타이밍 롤러(41)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44)의 회전에 의해 타이밍 롤러(41)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44)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구동모터(44)의 회전에 의해 타이밍 롤러(41)와 맞물려 있는 타이밍 벨트(43)도 함께 이동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브라켓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5)은 벨트 결합부(45a), 플랫폼 결합부(45b), 높이 조절 구멍(45c), 롤러결합부(45d) 및 다수의 가이드롤러(45e)로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45)은 타이밍 벨트(43)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며 본 실시예와는 다른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벨트 결합부(45a)는 플랫폼 결합부(45b)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타이밍 벨트(43)의 일면과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플랫폼 결합부(45b)는 후술할 플랫폼(60)이 결합하며, 플랫폼(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구멍(45c)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롤러결합부(45d)는 플랫폼결합부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고, 후술할 가이드롤러(45e)를 수용하도록 다수의 수용홈(45d')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가이드롤러(45e)는 공회전하는 아이들 롤러로서, 롤러결합부(45d)의 수용홈(45e')에 각각 결합되며 브라켓(45)의 상하 이동시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가이드롤러(45e)는 수직암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있다.
한편, 가이드롤러(45e)는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롤러(45e)의 일단이 수직암(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만약, 가이드롤러(45e)의 양단이 내측면에 모두 접촉하게 되면 브라켓(45)이 상하로 운동할 때 브라켓(45)의 운동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45e)가 회전하지 않고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이드롤러(45e)는 일단이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라켓은 일방향으로 운동하지 않고 상하로 양방향 운동을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가이드롤러(45e)는 다수개가 설치되어야 한다.
장력조절수단(46)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리브(46a)와 장력조절나사(46b)로 구성된다. 보강리브(46a)는 상기 수직암 상단(20a)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직암의 상단((20a)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암의 상단(20a)을 관통하여 상기 아이들 롤러(42)의 축(42a)에 결합하는 장력조절나사(46b)가 구비된다. 이같은 장력조절수단(46)을 통해 후술할 플랫폼(60)의 상부로 물건을 적재하고 상하로 이동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아이들 롤러(42)가 하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보완해주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수단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타이밍 벨트(43)가 이동하면, 브라켓(45)과 플랫폼(60)도 함께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안전 스위치(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암(2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43)의 동작을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안전 스위치(50)는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손잡이(30)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60)은 상부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패널형태이고, 상기 브라켓(45)의 플랫폼 결합부(45b)와 결합하여 상하운동을 할 수 있고, 또한, 플랫폼 결합부(45b)는 높이 조절 구멍(45c)에 의해 플랫폼(6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리미트센서(70)는 수직암(20)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미트센서(70)는 플랫폼의 일 단부와 접촉에 의해 소정의 제어부로 접촉신호를 전송하여 플랫폼을 더이상 상승 또는 하강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설치되는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플랫폼(60)이 이동할 수 있는 최고 및 최저의 높이 즉, 브라켓(45)이 타이밍벨트(43)와 아이들 롤러(42) 또는 타이밍 벨트(43)와 타이밍 롤러(41)의 사이로 삽입되기 직전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리미트센서(70)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60)의 상향이동 제한지점 및 하향이동 제한지점을 지정해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상하 이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상하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4)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모터(44)의 회전에 의해 타이밍 롤러(41)와 맞물려 있는 타이밍 벨트(43)도 함께 이동한다.
타이밍 벨트(43)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아이들 롤러(42)도 회전하나 단지 타이밍벨트(43)를 이동시키는 역할만 수행한다.
타이밍 벨트(43)의 이동에 의해 타이밍 벨트(43)와 고정결합되어 있는 브라켓(45)도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물건을 적재한 플랫폼(60)도 함께 이동함으로써 리프트는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같은 방법으로, 구동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트의 이동방향이 하향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리프트의 플랫폼(60)은 상하 방향으로 무한정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수직암(20)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설치된 리미트센서(70)에 일단부가 접촉하게 되면 플랫폼(60)의 이동은 더 이상 이뤄지지 않고 제한받게 된다.
이와 같이 리프트는 구동모터(44)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는 지지부(10), 수직암(20), 손잡이(30), 승강부(40), 안전 스위치(50), 플랫폼(60), 회전부(80)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지지부(10), 수직암(20)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손잡이(30)는 손잡이부(31)와 한 쌍의 손잡이고정대(32) 구성된다. 손잡이부(31)는 대략"U"형상이며,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재이고, 손잡이고정대(32) 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하여 수직암(20)의 상부 양측면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또한, 손잡이고정대(32)는 수직암(2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33)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암(20)과 손잡이(32)의 결합방법은 상기 손잡이고정대(32)의 장공(33)과 수직암(20)의 나사홈을 대향되게 한 후, 소정의 체결수단으로서 나사(34)를 상기 장공(33)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수직암의 나사홈(미도시)으로 삽입하여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30)는 장공(33)을 통해 상하로 이동하여 수직암(2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원리로 손잡이(30)의 높낮이는 작업자의 신장에 맞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1)의 소정부에 후술할 플랫폼(60)의 상하운동을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스위치(35)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스위치(35)는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30)에 결합되어 있지만 사용되는 작업용도에 따라 리프트의 소정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부(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는 승강부의 개략도, 도 6b는 승강부의 종단면도, 도 6c는 승강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인 타이밍 롤러(41), 아이들 롤러(42), 타이밍 벨트(43), 구동모터(44), 브라켓(45)을 포함하며, 브라켓(45)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타이밍 롤러(41), 아이들 롤러(42), 타이밍 벨트(43)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이 한 쌍의 구성은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연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의 방향을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벨트의 폭이 넓은 부분이 브라켓(45)과 결합하도록 타이밍 롤러(41), 아이들 롤러(42), 타이밍 벨트(43) 방향이 90도 회전되어 설치된다.
브라켓(45)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벨트 결합부(45a), 플랫폼 결합부(45b), 높이 조절 구멍(45c), 롤러결합부(45d) 및 다수의 가이드롤러(45e)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결합부(45a)를 구성하고 있으나, 벨트결합부(45a)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플랫폼결합부(45b)에 타이밍 벨트(43)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 및 결합방식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안전 스위치(5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비상시에 작업자가 쉽게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43)의 구동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수직암(20)의 일 측에 배치된 제어박스(5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박스(51)는 안전 스위치(5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플랫폼(60)의 상하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안전한 상태일 때와 비상시 일 때를 나타내는 소정의 LED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는 플랫폼의 상면도, 도 7b는 플랫폼의 배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60)은 브라켓 결합부(61), 한 쌍의 롤러부(62), 적재용 롤러(63), 고정봉(64), 적재가드(65)로 구성된다.
브라켓결합부(61)는 브라켓의 상하 운동시 연동하여 플랫폼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브라켓(45)의 플랫폼결합부(45b)와 결합된다.
롤러부(6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대향되며, 일단은 상기 브라켓결합부(61)와 결합하고, 타단은 고정봉(64)이 결합된다.
적재용 롤러(63)는 상기 대향된 한 쌍의 롤러부(62)의 대향면에 양단이 고정되어 작업자가 플랫폼 상부로 물건을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해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며, 롤러부(62)의 길이에 따라 다수의 적재용 롤러(63)가 설치될 수 있다.
적재가드(65)는 패널 형태이고, 상기 고정봉(64)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소정의 보스가 일 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64)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회전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a 내지 도8c는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회전부의 측면도, 도 8b는 회전부의 상면도, 도 8c는 회전부의 배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80)는 회전레버(81), 변환블럭(82), 작용축(83), 스프링부(84)로 구성된다.
회전레버(81)는 레버(81a), 회전축(81b), 회전부재(81c), 연동부재(81d)로 구성되며, 레버(81a)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재이고, 회전축(81b)은 상기 레버(81a)에서 연직하방으로 절곡되어 수직암(2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재이다. 또한, 회전부재(81c)는 상기 회전축(81b)을 중심축으로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81b)과 상기 회전부재(81c)를 결합하는 소정의 연동부재(81d)가 양 측을 결합하고 있다.
변환블럭(82)은 상하로 관통하는 홀(82a)과 일 측면에 홈(82b)이 형성되어 상기 홀(82a)을 통해 회전부재(81c)와 결합하고, 홈을 통해 후술할 작용축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홀(82a)은 상기 회전부재(81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변환블럭(82)이 회전부재(81c)를 따라서 상하이동 및 회전부재(81c)를 수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작용축(83)은 일 단이 변환블럭(82)의 홈(82b)과 결합하고, 타 단은 적재가드(65)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변환블럭(82)이 회전하면 적재가드(65)를 변환블럭(82)이 회전한 거리만큼 밀게 되고, 적재가드(65)는 회전하게 된다.
스프링부(84)는 탄성회복수단인 스프링(84a)와 스프링고정부재(84b)로 구성되며, 스프링고정부재(84b)는 상기 플랫폼(60)의 한 쌍의 롤러부(62)의 배면에 고정된다. 스프링(84a)은 상기 스프링고정부재(84b)와 상기 적재가드(65)와 결합하여 적재가드(65)가 회전한 후 적재가드(65)를 회전 전 초기위치로 탄성회복하도록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으로 회전레버를 회전시켜 적재가드를 회전킬 수 있고, 작업자가 회전레버를 놓으면 적재가드가 회전전 위치로 돌아가게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리프트의 상하 이동방법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회전부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회전부의 작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회전레버(81)의 레버(81a)를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81b)이 회전하고, 이와 연동하는 회전부재(81c)는 상기 회전축(81b)를 중심축으로 소정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회전부재(81c)와 결합된 변환블럭(82)도 원운동을 하게 되되, 타측 단부가 적재가드(65)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변환블럭(82)의 위상은 변화하지 않고 회전부재와 함께 원호를 그리는 회전만 하게 되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변환블럭(82)의 이동에 따라 작용축(83)은 좌측으로 이동하고, 적재가드(65)는 작용축(83)의 하부 일측을 좌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고정봉(6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회전레버(81)의 레버(81a)를 놓게 되면 스프링부(84)에 의해 탄성회복되어 적재가드(65)는 처음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회전레버(8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적재가드(65)가 회전되고, 회전된 적재가드(65)는 플랫폼 상부로 물건을 적재하고 리프트가 수평이동시 적재된 물건이 플랫폼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는 지지부(10), 수직암(20), 손잡이(30), 승강부(40), 안전 스위치(50), 플랫폼(60), 리미트센서(70), 회전부(8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에 리미트센서가 추가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리미트센서(70)는 수직암(20)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미트센서(70)는 플랫폼의 일 단부와 접촉하여 플랫폼을 더이상 상승 또는 하강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센서이다. 바람직하게는 플랫폼(70)이 이동할 수 있는 최고 및 최저의 높이 즉,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는 아이들 롤러(41)의 중심축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는 타이밍 롤러(40)의 중심축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어 상기 플랫폼(60)의 상향이동 가능지점 및 하향이동 가능지점을 지정해줄 수 있다.
리미트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리프트의 작동방법 또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는,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리프트를 제공함으로써 적재부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를 제공함으로써, 물건을 리프트로 적재 또는 하역시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적재가드가 구비된 전동식 리프트를 제공함으로써, 물건이 적재된 리프트가 수평으로 이동시 또는 플랫폼이 상하로 이동시 적재된 물건이 적재부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바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평 이동가능한 지지부(10);
    상기 지지부(10)와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직암(20);
    상기 수직암(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30);
    상기 수직암(20)의 하단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며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타이밍 롤러(41), 상기 수직암(20)의 상단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한 아이들 롤러(42), 상기 타이밍 롤러(41)와 아이들 롤러(42)를 연동시키도록 상기 타이밍 롤러(41)와 상기 아이들 롤러(42)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타이밍 벨트(43), 상기 수직암(20)의 일 측에서 상기 타이밍 벨트(43)의 일 면과 고정 결합하며 상기 수직암(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브라켓(45), 상기 타이밍 롤러(41)에 연결되어 상기 타이밍 롤러(41)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44), 상기 브라켓(45)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암(20)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45e)를 포함하는 승강부(40);
    상기 승강부(40)와 결합하여 상하로 운동하며 상부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플랫폼(60); 및
    상기 수직암(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며, 플랫폼(60)의 상한 및 하한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수직암(20)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아이들 롤러(42)의 축에 결합하는 장력조절나사(46b)가 구비된 장력조절수단(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수직암(20) 상단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직암(20)의 상단 저면에 설치되는 보강리브(46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5)은 상기 타이밍 벨트(41)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45a), 상기 벨트 결합부(45a)의 일 측면과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는 플랫폼 결합부(45b), 상기 플랫폼 결합부(45b)의 양 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45e)와 결합하는 롤러결합부(45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의 가이드롤러(45e)는 수직암(20)의 내측면에 가이드롤러(45e)의 일단이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60)의 일 단부에 적재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가드(65);
    상기 수직암(2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가드(65)를 회전시키는 회전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수직암(2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3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장공이 형성된 손잡이고정대(32)와 상기 손잡이고정대(32)의 양측과 결합하는 손잡이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80)는,
    상기 수직암(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81);
    상기 회전레버(81)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레버(8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블럭(82);
    일단은 상기 변환블럭(82)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적재가드(65)의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레버(81)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적재가드(65)를 회전시키는 작용축(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80)는 회전된 상기 적재가드(65)를 원위치로 탄성회복시키도록 상기 플랫폼(60)의 일 측과 상기 적재가드(65)에 결합하는 탄성회복수단(84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81)는 레버(81a), 상기 레버(81a)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수직암(20)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81b), 상기 회전축(81b)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81b)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회전부재(8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블럭(82)은 상기 회전부재(81c)를 수용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재(81c)의 직경보다 홀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60)은 상기 브라켓(45)과 결합하는 브라켓결합부(61), 상기 브라켓결합부(61)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부(62), 상기 한 쌍의 롤러부(62)의 대향된 내측에 공회전하도록 양단이 결합하는 다수의 적재용 롤러(63), 상기 롤러부(6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적재가드(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60)은 상기 한 쌍의 롤러부(62)의 대향된 내측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적재가드(65)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봉(6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트
KR1020070055209A 2007-06-05 2007-06-05 전동식 리프트 KR100760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209A KR100760673B1 (ko) 2007-06-05 2007-06-05 전동식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209A KR100760673B1 (ko) 2007-06-05 2007-06-05 전동식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673B1 true KR100760673B1 (ko) 2007-09-20

Family

ID=3873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209A KR100760673B1 (ko) 2007-06-05 2007-06-05 전동식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947A2 (ko) * 2009-11-06 2011-05-12 Kim Seokil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101333334B1 (ko) * 2011-11-28 2013-11-27 정민필 가이드 레일 설치용 치공구
CN111532813A (zh) * 2020-04-28 2020-08-14 占天赐 一种运输车高层货物上货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361Y1 (ko) 2006-09-28 2006-12-11 (주)에고테크 전동식 리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361Y1 (ko) 2006-09-28 2006-12-11 (주)에고테크 전동식 리프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947A2 (ko) * 2009-11-06 2011-05-12 Kim Seokil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WO2011055947A3 (ko) * 2009-11-06 2011-09-22 Kim Seokil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101333334B1 (ko) * 2011-11-28 2013-11-27 정민필 가이드 레일 설치용 치공구
CN111532813A (zh) * 2020-04-28 2020-08-14 占天赐 一种运输车高层货物上货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275716B (zh) 升降装置及抹灰设备
JP5983752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WO2016106741A1 (zh) 管材切割设备及其夹持***
KR100760673B1 (ko) 전동식 리프트
EP2977176A1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uniaxial die opening and closing and bottom die positioning
JP2016196362A (ja) ローダ
JP2014151369A (ja) ロボット
KR102195604B1 (ko) 전동드라이버 안내장치
JP6086962B1 (ja) 引き違い戸装置
CN101799105B (zh) 可收合锁固的支撑架
CN110802570B (zh) 一种移动装置及建筑机器人
KR101581881B1 (ko)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AU2009338412B2 (en) Multilevel parking apparatus
KR20080038716A (ko) 로봇의 이동장치
CN110002363B (zh) 一种工件托运装置及工件托运方法
KR200433361Y1 (ko) 전동식 리프트
KR101745617B1 (ko) 전동식 리프터
CN218808695U (zh) 居中定位装置
CN220668846U (zh) 一种超声设备和支撑装置
JP2006068459A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JP6442368B2 (ja) パネル施工機
JP2001029146A (ja) 収納体の昇降機構
KR102260492B1 (ko) 지게차용 클램프장치
JP3699558B2 (ja) 収納部昇降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昇降収納装置
JPH0633673A (ja) ブライン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