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213B1 -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 Google Patents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213B1
KR100760213B1 KR1020060136256A KR20060136256A KR100760213B1 KR 100760213 B1 KR100760213 B1 KR 100760213B1 KR 1020060136256 A KR1020060136256 A KR 1020060136256A KR 20060136256 A KR20060136256 A KR 20060136256A KR 100760213 B1 KR100760213 B1 KR 10076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s
coupled
bracket
earth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중암
손일준
안영규
이만기
유병규
최규호
백순봉
독고준현
Original Assignee
(주) 신기술산업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73831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602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기술산업,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 신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06013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213B1/ko
Priority to AU2007339652A priority patent/AU2007339652B2/en
Priority to EA200900903A priority patent/EA014724B1/ru
Priority to PCT/KR2007/004845 priority patent/WO2008082060A1/en
Priority to US12/521,515 priority patent/US7985038B2/en
Priority to EP07833158A priority patent/EP2126225A4/en
Priority to CN2007800517923A priority patent/CN101617084B/zh
Priority to MYPI20092656 priority patent/MY151519A/en
Priority to JP2007339670A priority patent/JP437743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에 따라 토류벽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는 앵커체의 자유장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토류벽의 측면에 결합된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는 브라켓으로서, 톱니를 가지는 곡선부가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양 측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양 측판의 톱니와 치합하는 걸림턱과 상기 앵커체의 자유장을 인출하기 위한 관통부를 구비하는 지압(支壓)수단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스 앵커 브라켓의 측판에 톱니를 가지는 곡선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앵커체의 삽입을 위한 천공부의 위치가 정위치를 다소 벗어나더라도 앵커체의 인장력을 지탱하는 지압수단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내압 성능이 크게 강화되었기 때문에, 동일 인장력을 기준으로 보면 종래에 비해 어스 앵커 브라켓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어스 앵커 브라켓, 곡선부, 톱니

Description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도 1은 어스 앵커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방식의 어스 앵커 브라켓의 일 유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다른 유형의 종래 어스 앵커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브라켓의 설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실린더부재에 고리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고리부가 형성된 실린더부재를 이용하여 측판의 곡선부를 따라 실린더부재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지압플레이트에 실린더부재가 결합된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스 앵커 브라켓 110: 측판
111, 112 : 제1,2 경사변 114: 곡선부
115: 톱니 116: 결합홀
120: 연결부재 130: 지압플레이트
132: 관통부 134: 걸림턱
140: 실린더부재 142: 거치부
144: 걸림턱 146: 고리부
150: 지지부재 160a,160b: 제1,2 베이스 플레이트
162: 걸림단 170: 고정부재
172: 결합홀 180: 볼트
182: 너트 190: 보강재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 내에 삽입고정되는 어스앵커(earth anchor)를 지지하는 어스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압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판의 곡선부에 톱니를 형성한 어스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 현장의 터파기 공사나 기초공사에서 급경사의 굴착공을 형성할 때 토류벽이 굴착공쪽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스 앵커 공법이 많이 이용된다. 어스 앵커 공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H빔 등을 이용한 엄지말뚝을 박고 지정된 지반을 굴착한 후에 각각의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토류벽(1)을 형성한다.
이어서 토류벽(1)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으로 천공을 실시하고, 천공부(2)에 앵커체(3)를 박은 후에 정착장(Lb)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앵커체(3)를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앵커체(3)는 굴착공의 바닥면(6) 모서리와 지반사이에 토질에 따른 설계기준에 의해 가상붕괴선(도면상 점선)을 설정한 후 천공각과 만나는 부분을 기준으로 자유장(La)과 정착장(Lb)으로 구분되며 통상 1차 그라우팅은 정착장(Lb)에 대해 실시된다.
그라우팅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체(3)의 자유장(La)에 인장력을 가하여 토류벽(1)의 수평보(4)에 설치된 브라켓(10)에 고정하며, 이를 위해 앵커체(3)의 자유장(La)을 브라켓(10)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과시킨 후에 상기 관통부보다 큰 직경의 콘(5)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앵커체(3)를 브라켓(10)에 고정시킨 후에는 천공부(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2차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시공을 마치게 되며, 이를 통해 앵커체(3)의 인장력이 토압에 대응하여 토류벽(1)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어스 앵커 공법에서 앵커체(3)의 자유장(La)에 인장력을 가하여 고정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에 많이 사용되던 브라켓(10)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대략 삼각형상의 2개의 측판(11), 상기 양 측판(11)의 동일 경사변의 상부에 횡설(橫設)되어 양 측판(11)을 연결하는 한편 중심부에 앵커체(3)가 인출되는 관통부(12a)를 가지는 지압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브라켓(10)은 앵커체(3)의 인장력이 지압플레이트(12)와 양 측판(11)을 통해 분배되기 때문에 실제 시공과정에서 지압플레이트(12)가 휘어지거나 측판(11)이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은 수평보(4)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브라켓(1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브라켓(10)의 양 측판을 수평보(4)에 용접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브라켓(10)의 설치 및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용접으로 인해 수평보(4)의 손상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브라켓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는 등록특허 제441619호를 통해 개시된 브라켓(5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브라켓(50)은 메인지지부재(20), 보조지지부재(40), 메인지지부재(20)와 보조지지부재(40)의 사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지지부재(20)는 2개의 측판(21), 양 측판(21)의 동일 경사변(21a)의 상부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관통부(24)를 가지는 지압플레이트(23), 소정 간격 이격되어 측판(21)의 하부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22a, 22b)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조지지부재(40)는 중앙이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서 메인지지부재(20)의 양 측판(21)사이에 고정되며, 가이드부재(3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서 일단은 메인지지부재(20)의 지압플레이트(23)에 고정되고 타단은 보조지지부재(40)에 고정된다.
이러한 브라켓(50)은 보조지지부재(40)와 가이드부재(30)가 메인지지부재(20)에 미치는 앵커체의 인장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도 2의 브라켓에 비해 더 큰 인장력을 견딜 수 있으며, 도 4의 설치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체(3)의 실제 인장방향과 브라켓(50)의 기준 인장각도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원통형의 가이드부재(30)를 통해 앵커체(3)의 자유장을 인출하므로, 지압플레이트의 관통부(24)이나 수평보(4)와 간섭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브라켓(50)의 경우에도 앵커체(3)의 실제 인장방향과 브라켓(50)의 기준 인장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체(3)를 심하게 절곡시켜 가이드부재(30) 및 관통부를 통해 인출시킬 수밖에 없다.
이렇게 앵커체(3)를 절곡시키게 되면 앵커체(3)에 인장방향과 다른 방향의 힘이 가해지므로 결과적으로 앵커체(3)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분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설계기준에 맞는 인장력을 앵커체(3)에 가하기 위해서는 인장력의 분산을 감안하여 정상적인 경우보다 더 큰 인장력을 가하여야 하며 이것은 브라켓(50)이 더 큰 지지력을 가져야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브라켓(50)을 경량화하거나 소형화하는데 한계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 측판의 경사변에 아치형 곡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곡선부를 따라 지압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어스 앵커 브라켓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어스 앵커 브라켓에 이러한 곡선부를 형성하면 앵커체의 설치각도에 따라 지압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앵커체를 절곡시키지 않더라도 앵커체의 인장방향과 지압플레이트를 수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이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앵커체 삽입을 위해 토류벽에 형성되는 천공부가 어스 앵커 브라켓의 상기 아치형 곡선부의 곡률중심에 정확히 천공되어야 한다.
그런데 실제 시공현장에서는 천공부가 기준위치에서 벗어나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압플레이트를 아치형 곡선부를 따라 이동시키더라도 앵커체의 인장방향과 지압플레이트를 수직으로 유지하기가 어렵다.
앵커체의 인장방향과 지압플레이트가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지압플레 이트에 수직방향 이외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어스 앵커 브라켓의 곡선부를 따라 지압플레이트의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 과정에서 지압플레이트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목적을 가진다.
첫째, 앵커체의 인장방향이 기준 인장각도와 달라지더라도 하나의 브라켓만으로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종래에 비해 지지력이 보다 강화된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셋째, 브라켓을 지지하는 수평보의 간격이 달라지더라도 이에 대응할 수 있고, 수평보에 브라켓을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넷째, 지압플레이트가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스 앵커 브라켓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에 따라 토류벽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는 앵커체의 자유장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토류벽의 측면에 결합된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는 브라켓으로서, 톱니를 가지는 곡선부가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양 측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양 측판의 톱니와 치합하는 걸림턱과 상기 앵커체의 자유장을 인출하기 위한 관통부를 구비하는 지압(支壓)수단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공한다.
상기 지압수단은, 상기 관통부를 가지며 하단부가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양 측판의 곡선부에 거치되며, 하부에 상기 톱니와 치합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판의 내벽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이 상기 곡선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지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으며, 내압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상기 측판의 내벽을 연결되는 보조 지지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를 상기 측판의 내벽에 결합된 지지부재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단에 고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압수단은 상기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측판의 곡선부에 거치되며, 양 단부에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지압플레이트;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관통부와 연통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내압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단에 결합하는 보조지압플레이트; 상기 보조지압플레이트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판의 내벽에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곡선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의 외벽에 결합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보강재의 제2플레이트는 상기 측판의 곡선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100)의 사시도와 설치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100)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판(110), 앵커체의 자유장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판(110)의 상단부에 횡설되는 지압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양 측판(110)은 인장력이 인가될 때도 서로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양 측판(110)의 사이에는 서로를 단단히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측판(110)은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지압플레이트(130)가 결합하는 제1 경사변(111)에는 아치형의 곡선부(114)가 형성되고, 반대편의 제2 경사변(112)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지압플레이트(130)는 중앙에 앵커체의 자유장이 인출되는 관통부(132)를 가진다. 또한 상기 측판(110)의 제1 경사변(111)의 곡선부(114)에 결합하므로 상기 곡선부(114)와 같은 곡률을 가지는 플레이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압플레이트(13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판 제1 경사변(111)의 아치형 곡선부(114)에 톱니(115)를 형성하고, 지압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상기 톱니(115)와 치합하는 걸림턱(134)을 돌출 형성한다.
따라서 지압플레이트(130)의 걸림턱(134)이 제1 경사변(111)의 톱니(115)에 맞물리게 되면, 앵커체의 인장방향이 기준 인장각도에서 다소 벗어나더라도 지압플레이트(130)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때 각 측판(110)에서 제1 경사변(111)의 전부가 곡선부(114)로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지압플레이트(130)가 결합하는 부분은 일정한 곡률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경사변(111)의 곡선부(114)에 형성되는 각 톱니(115)의 상단을 각각 연결하는 가상의 선도 동일한 원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톱니(115)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지압플레이트의 걸림턱(134)과 치합되는 형상을 가져야 하고, 적어도 지압플레이트(130)의 걸림턱(134)과 치합한 상태에서 앵커체의 인장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곡선부(114)의 톱니(115)는 지압플레이트(13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각 톱니의 간격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톱니(115)가 곡선부(114)를 따라 2 도 내지 3도 정도의 각도만큼 이격되도록 형성하였다.
한편, 어스 앵커 브라켓(100)은 상하로 이격되어 있는 통상 H빔의 수평보(4)에 설치되므로 양 측판(11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수평보(4)를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양 측판(110)의 하단부가 직접 수평보에 접하는 것보다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110)의 하단부에 서로 이격된 제1,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a, 160b)를 결합하여, 제1,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a, 160b)를 수평보(4)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a, 160b)는 대략 수평보(4)의 설치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1 또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a, 160b)의 상단부에는 어스 앵커 브라켓(100)을 수평보(4)에 거치하기 위한 걸림단(162)을 형성한다. 따라서 걸림단(162)을 수평보에 걸치기만 하면 상기 어스 앵커 브라켓(100)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수평보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용접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치시에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b)의 상단부를 절곡시켜 걸림단(162)을 형성하였으나 제1 베이스 플레이트(160a)의 상단부에 걸림단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100)을 도 6과 같이 수평보(4)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b)의 걸림단(162)을 수평보(4) 에 거치하여 제1,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a, 160b)를 각각 상하의 수평보(4)에 밀착시킨다.
이어서 제1 경사변의 곡선부(114)의 적정 위치에 지압플레이트(130)를 걸림턱(134)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앵커체의 자유장을 지압플레이트(130)의 관통부(132)을 통해 인출한 후 인장력을 가한다.
이때 토류벽에 형성되는 천공부가 정위치를 벗어나면 지압플레이트(130)의 설치각도가 앵커체의 인장방향과 수직에서 벗어나고 이로 인해 지압플레이트(130)에는 제1 경사변(111)의 접선방향으로의 힘이 미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톱니(115)와 걸림턱(134)으로인해 지압플레이트(130)가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1,2 베이스 플레이트(160a, 160b)의 간격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평보의 간격이 달라지는 경우에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제1,2 베이스 플레이트(160a, 160b) 중 적어도 하나를 측판(110)에 대하여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60a)는 양 측판(1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는 한편 걸림단(162)을 가지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b)를 측판(1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b)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홀(172)을 가지는 고정부재(170)를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제2 경사변(112)이 형성된 양 측판(110)의 단부 부근에 다수의 결합홀(116)을 상기 측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고정부재(170)의 결합홀(172)과 측판(110)의 결합홀(116)에 볼트(18)를 관통시키면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b)가 양 측판(11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달리 제1,2 베이스 플레이트(160a,160b)를 모두 측판(11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수평보(4)의 간격에 따라 제1,2 베이스 플레이트(160a, 160b)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180)를 해체한 후 적당한 결합홀(116)을 통해 다시 결합하는 방식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브라켓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100) 하나 만으로도 다양한 설치 간격에 대처할 수 있다.
측판(110)의 결합홀(116)은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1,2 베이스 플레이트(160a, 160b) 사이의 간격 조절폭을 보다 미세하게 하기 위해서는 2열 이상으로 형성하되 인접한 열의 결합홀이 서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부재(170)에 형성되는 결합홀(172)도 상기 결합홀(116)의 각 열에 대응하여 2열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10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10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각 톱니(115)가 형성된 곡선부(114)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110), 상기 양 측판(110)의 밑변 양단에 이격되어 양 측판(11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제2 베이스 플레이트(160a,16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어스 앵커 브라켓(100)의 내압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 측판(110)의 외측에 보강재(190)를 설치하고, 양 측판(110)의 사이에 앵커체의 자유장을 인출하기 위한 실린더부재(140)를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때 실린더부재(140)의 외측에 양 측판(110)의 제1 경사변(111)의 곡선부(114)에 거치되는 거치부(14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거치부(142)의 하부에 상기 측판의 톱니(115)와 치합하는 걸림턱(144)을 형성한다.
실린더부재(140)의 외측에 형성된 거치부(142)는 설치시에 양 측판(110)의 제1 경사변(111)의 곡선부(114)에 직접 접하는 부분이므로 제1 실시예의 지압플레이트(130)와 마찬가지로 앵커체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직접 받게 된다.
따라서 앵커체의 인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거치부(142)의 하면은 상기 곡선부(114)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어스 앵커 브라켓(100)의 내압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 측판(110)의 마주보는 내벽에 상기 실린더부재(14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50)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재(150)의 상면은 측판(110)의 곡선부(114)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부재(1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곡선부(114)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재(150)는 2개의 띠형태로서 각각 하나씩의 측판에 결합할 수도 있고, 중앙부에 앵커체 인출을 위한 관통부를 가지는 일체형의 판재로서 양 측단이 각각 양 측판(110)의 내벽에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린더부재(140)의 거치부(142)에 가해지는 앵커체의 인장력은 양 측판(110)으로 분산되는 한편, 실린더부재(140)의 하단에 의해 지지부재(150)로도 전달되어 양 측판(110)으로 분산되므로 전체적인 내압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이때 상단이 지지부재(15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측판(110)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보조 지지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지지부재(150)를 지지하면 내압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내압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각 측판(110)의 외측벽에 보강재(190)를 설치한다.
상기 보강재(190)는 'ㄱ'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측판의 외벽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191)와 상기 제1플레이트(191)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2플레이트(192)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192)는 측판(110)의 제1 경사변(111)의 곡선부(114)와 비슷한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순히 제1플레이트(191)와 같은 띠형상의 판재를 덧붙이지 않고 전술한 형상의 보강재(190)를 사용하는 이유는 실험결과 띠형상의 판재를 붙이는 경우에 비하여 내압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보강재(190)의 제1플레이트(191)가 측판(110)에 가해지는 수축력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제2플레이트(192)가 측판(110)이 외측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실린더부재(140)는 측판(110)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설치할 때에는 먼저 측판(110)을 수평보에 고정시킨 이후에 실린더부재(140)를 양 측판(110)의 사이에 끼워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실린더부재(140)와 측판(110)이 분리되어 있으면 이로 인해 시공속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140)의 하단에 고리부(146)를 연결하고 상기 고리부(146)를 지지부재(150)에 걸어서 실린더부재(140)를 측판(110)에 결합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상기 고리부(146)를 실린더부재(140)의 일단에만 형성하였는데 이것은 실린더부재(140)의 위치를 변경할 때 걸림턱(144)을 톱니(115)의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146) 가 없는 타단쪽을 들어올리면 고리부(146)가 지지부재(150)에 걸린 상태에서도 실린더부재(140)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100)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실린더부재(140)의 관통부를 통해 인출된 앵커체(3)의 자유장이 인장기(200)에 의해 고정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실린더부재(140)의 외측에 형성된 거치부(142)가 측판(110)의 곡선부(114)와 결합하였지만, 상기 실린더부재(140)는 이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관통부(132)와 연통되는 실린더부재(14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측판(110)의 제1 경사변(111)에 톱니(115)를 가지는 곡선부(114)를 형성하고, 지압 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상기 톱니(115)와 치합하는 걸림턱(134)을 형성한다.
그리고 실린더부재(140)의 하단에 상단의 지압 플레이트(130)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보조 지압플레이트(148)를 결합하고, 양 측판(110)의 내벽에는 상기 보조 지압플레이트(148)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50)의 상면이 제1 경사변(111)의 곡선부(114)와 동일한 곡률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스 앵커 브라켓의 측판에 톱니를 가지는 곡선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앵커체의 삽입을 위한 천공부의 위치가 정위치를 다소 벗어나더라도 앵커체의 인장력을 지탱하는 지압수단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내압 성능이 크게 강화되었기 때문에, 동일 인장력을 기준으로 보면 종래에 비해 어스 앵커 브라켓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3)

  1. 어스 앵커(earth anchor) 공법에 따라 토류벽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는 앵커체의 자유장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토류벽의 측면에 결합된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는 브라켓으로서,
    톱니를 가지는 곡선부가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판;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양 측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양 측판의 톱니와 치합하는 걸림턱과 상기 앵커체의 자유장을 인출하기 위한 관통부를 구비하는 지압(支壓)수단;
    을 포함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수단은,
    상기 관통부를 가지며 하단부가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양 측판의 곡선부에 거치되며, 하부에 상기 톱니와 치합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거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내벽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이 상기 곡선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내압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상기 측판의 내벽을 연결하는 보조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를 상기 측판의 내벽에 결합된 지지부재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단에 고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수단은,
    상기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측판의 곡선부에 거치되며, 양 단부에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지압플레이트;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관통부와 연통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결합하는 보조지압플레이트;
    상기 보조지압플레이트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판의 내벽에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곡선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외벽에 결합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과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측판의 곡선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상기 수평보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양 측판의 하단에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결합하되,
    상기 양 측판은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가지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결합홀과 상기 측판의 상기 다수의 결합홀을 선택하여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수평보에 거치하기 위한 걸림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136256A 2006-12-28 2006-12-28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76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256A KR100760213B1 (ko) 2006-12-28 2006-12-28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MYPI20092656 MY151519A (en) 2006-12-28 2007-10-04 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CN2007800517923A CN101617084B (zh) 2006-12-28 2007-10-04 具有锯齿和弯曲部的地锚支架
EA200900903A EA014724B1 (ru) 2006-12-28 2007-10-04 Опорный кронштейн анке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грунтовой стенки
AU2007339652A AU2007339652B2 (en) 2006-12-28 2007-10-04 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PCT/KR2007/004845 WO2008082060A1 (en) 2006-12-28 2007-10-04 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US12/521,515 US7985038B2 (en) 2006-12-28 2007-10-04 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EP07833158A EP2126225A4 (en) 2006-12-28 2007-10-04 FOUNDATION ANCHOR SUPPORT COMPRISING A CURVED PART PROVIDED WITH SAW TEETH
JP2007339670A JP4377430B2 (ja) 2006-12-28 2007-12-28 歯車が形成された曲線部を持つアースアンカーブラケ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256A KR100760213B1 (ko) 2006-12-28 2006-12-28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213B1 true KR100760213B1 (ko) 2007-09-20

Family

ID=3873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256A KR100760213B1 (ko) 2006-12-28 2006-12-28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85038B2 (ko)
EP (1) EP2126225A4 (ko)
JP (1) JP4377430B2 (ko)
KR (1) KR100760213B1 (ko)
CN (1) CN101617084B (ko)
AU (1) AU2007339652B2 (ko)
EA (1) EA014724B1 (ko)
MY (1) MY151519A (ko)
WO (1) WO2008082060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96B1 (ko) 2008-05-14 2009-04-16 나병관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KR100899528B1 (ko) * 2008-09-03 2009-05-26 백순봉 스토퍼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WO2009125935A1 (ko) 2008-04-08 2009-10-15 (주)신기술산업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927279B1 (ko) * 2009-04-28 2009-11-18 윤상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어스앵커브라켓
KR100964258B1 (ko)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KR200449592Y1 (ko) * 2009-02-25 2010-07-22 노연식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0980185B1 (ko) * 2010-03-25 2010-09-03 권오민 다각을 갖는 브라켓
KR101084953B1 (ko) 2011-06-23 2011-11-22 노연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좌굴방지 어스앵커브라켓
KR101351729B1 (ko) * 2012-03-28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각도조절용 어스앵커 브라켓
KR20150117473A (ko) 2014-04-10 2015-10-20 윤용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1852563B1 (ko) * 2016-05-17 2018-04-26 이강희 어스 앵커 브라켓
US10054808B2 (en) 2014-04-03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chassis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5182356A (zh) * 2022-06-30 2022-10-14 上安实业江苏有限公司 一种基坑支撑防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0781B2 (ja) * 2007-04-25 2012-07-18 鹿島建設株式会社 アースアンカー固定台座
US8250817B2 (en) * 2010-07-06 2012-08-28 American Tower Corporation Guy anchor reinforcement
US9322143B1 (en) 2014-04-09 2016-04-26 Desmond D. Bryan Retaining wall clamping assembly
USD759473S1 (en) * 2015-02-20 2016-06-21 Wei Zhou Earth anchor
US10240315B2 (en) * 2016-01-29 2019-03-26 McMillen Jacobs Associates, Inc. Tieback anchor alignment and access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972U (ko) * 1989-08-31 1991-04-22
JPH06322759A (ja) * 1993-05-14 1994-11-22 Kajima Corp アンカーの台座
JPH07243213A (ja) * 1994-03-04 1995-09-19 Ibiden Kogyo Kk グランドアンカー用支圧板装置
JPH09189113A (ja) * 1996-01-09 1997-07-22 Swan Shoji Co Ltd 手摺支柱立設用ブラケット
KR200372358Y1 (ko) 2004-06-30 2005-01-14 대한금속주식회사 앵커체의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200421331Y1 (ko) 2006-03-31 2006-07-11 (주)맥스앤우드 어스 앵커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798A (en) * 1969-04-18 1970-11-24 Harry Schnabel Jr Method and structure for shoring a lateral face of an excavation
USRE28977E (en) * 1970-04-01 1976-09-28 Shotcrete Engineering, Lt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DE2609402A1 (de) * 1976-03-06 1977-09-08 Mueller Ludwig Vorrichtung fuer einen kraftschluessigen anschluss eines pfahles an eine spundwand
US4690588A (en) * 1984-05-04 1987-09-01 C-Lock Retention Systems, Inc. Seawall
US4725168A (en) * 1986-10-24 1988-02-16 Fagundes Charles P Retaining wall anchoring system and method
US4911582A (en) * 1987-06-01 1990-03-27 Schnabel Foundation Company Concrete replacement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wall
JPH0359215A (ja) * 1989-07-27 1991-03-14 Shin Gijutsu Koei Kk グランドアンカー台座の取付方法及びグランドアンカー台座
JP2684167B2 (ja) * 1995-09-18 1997-12-03 新技術工営株式会社 グラウンドアンカー地上定着構造
US6168351B1 (en) * 1997-04-30 2001-01-02 Anchor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anchoring system
KR100441619B1 (ko) 2002-05-09 2004-07-27 심명보 어스 앵커용 브라켓 장치
US6893191B2 (en) * 2002-07-19 2005-05-17 Creative Pultrusions, Inc. Wale and retaining wall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972U (ko) * 1989-08-31 1991-04-22
JPH06322759A (ja) * 1993-05-14 1994-11-22 Kajima Corp アンカーの台座
JPH07243213A (ja) * 1994-03-04 1995-09-19 Ibiden Kogyo Kk グランドアンカー用支圧板装置
JPH09189113A (ja) * 1996-01-09 1997-07-22 Swan Shoji Co Ltd 手摺支柱立設用ブラケット
KR200372358Y1 (ko) 2004-06-30 2005-01-14 대한금속주식회사 앵커체의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200421331Y1 (ko) 2006-03-31 2006-07-11 (주)맥스앤우드 어스 앵커 브라켓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42B1 (ko) * 2008-04-08 2010-11-08 (주) 신기술산업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WO2009125935A1 (ko) 2008-04-08 2009-10-15 (주)신기술산업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893196B1 (ko) 2008-05-14 2009-04-16 나병관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KR100899528B1 (ko) * 2008-09-03 2009-05-26 백순봉 스토퍼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200449592Y1 (ko) * 2009-02-25 2010-07-22 노연식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0927279B1 (ko) * 2009-04-28 2009-11-18 윤상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어스앵커브라켓
KR100964258B1 (ko)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KR100980185B1 (ko) * 2010-03-25 2010-09-03 권오민 다각을 갖는 브라켓
KR101084953B1 (ko) 2011-06-23 2011-11-22 노연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좌굴방지 어스앵커브라켓
KR101351729B1 (ko) * 2012-03-28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각도조절용 어스앵커 브라켓
US10054808B2 (en) 2014-04-03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chassis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50117473A (ko) 2014-04-10 2015-10-20 윤용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1852563B1 (ko) * 2016-05-17 2018-04-26 이강희 어스 앵커 브라켓
CN115182356A (zh) * 2022-06-30 2022-10-14 上安实业江苏有限公司 一种基坑支撑防护装置
CN115182356B (zh) * 2022-06-30 2024-01-26 上安实业江苏有限公司 一种基坑支撑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339652B2 (en) 2010-11-25
JP2008163738A (ja) 2008-07-17
EP2126225A4 (en) 2012-06-20
WO2008082060A1 (en) 2008-07-10
EA014724B1 (ru) 2011-02-28
US7985038B2 (en) 2011-07-26
JP4377430B2 (ja) 2009-12-02
CN101617084A (zh) 2009-12-30
EP2126225A1 (en) 2009-12-02
AU2007339652A1 (en) 2008-07-10
MY151519A (en) 2014-05-30
EA200900903A1 (ru) 2009-12-30
US20100322718A1 (en) 2010-12-23
CN101617084B (zh)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213B1 (ko)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652530B1 (ko)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992942B1 (ko)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102127896B1 (ko) 오거 드릴 가이드 부싱 및 오거 드릴 가이드 부싱을 이용한 말뚝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CN101310078A (zh) 横撑固定装置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JP6606911B2 (ja) 山留め壁の支持構造および山留め壁の支持工法
KR101093185B1 (ko) 연속 벽체용 각도 조절 브라켓
KR100715098B1 (ko) 흙막이 구조물
KR20120131996A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14757A (ko) 흙막이용 개량형 자립 파일 구조
KR100733720B1 (ko) 강관버팀보 및 주형보의 처짐 방지구조
KR100899528B1 (ko) 스토퍼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95068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KR200421331Y1 (ko) 어스 앵커 브라켓
JP4456041B2 (ja) 土木施設用アンカー装置
KR102382845B1 (ko) 경사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KR200457659Y1 (ko) 어스 앵커용 브래킷
KR101004639B1 (ko) 앵커 브라켓
JP2004211459A (ja) 土留め構造
JP6674843B2 (ja) アンカー
KR100989023B1 (ko) 띠장 사이로 내설되는 앵커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JP2007132035A (ja) 土木施設用ロープの方向変換装置
KR200416515Y1 (ko) 강관버팀보 및 주형보의 처짐 방지구조
KR20130005556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굴 방지 어스앵커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000073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331

Effective date: 201108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331

Effective date: 201108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0009207;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923

Effective date: 20120209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923

Effective date: 2012020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000259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1017

Effective date: 201204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1017

Effective date: 201204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100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405

Effective date: 2013101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405

Effective date: 2013101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9560;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956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04

Effective date: 2014062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708

Effective date: 2014081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3000010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708

Effective date: 201408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