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910B1 -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910B1
KR100755910B1 KR1020070020051A KR20070020051A KR100755910B1 KR 100755910 B1 KR100755910 B1 KR 100755910B1 KR 1020070020051 A KR1020070020051 A KR 1020070020051A KR 20070020051 A KR20070020051 A KR 20070020051A KR 100755910 B1 KR100755910 B1 KR 10075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oil
contaminated
contaminated soil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주
권기생
Original Assignee
금광개발 주식회사
(주)금광 이 엔 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광개발 주식회사, (주)금광 이 엔 지 filed Critical 금광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油類)에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적정 입도로 파쇄한 후 이에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세척함에 의해 복원하되, 세척된 토양을 재생 조골재와 세골재로 분리 회수토록 하고, 세척에 의해 토양으로부터 탈리된 유류는 별도로 분리 수거토록 하며, 세척수는 반복 사용가능토록 함으로써, 복원 과정에서 2차적인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복원작업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유류에 오염된 건설폐자재의 복원에도 활용될 수 있는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류 오염토양을 세척하여 유류와 토양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염토양을 세척하기 전에 계면활성제를 물과 혼합하여 오염토양과 교반하는 계면활성단계를 가진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오염토양,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APG

Description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The process for recovering petroleum-contaminated soil and its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의 개략도
도 2는 오염토양이 함수율이 높은 이토 또는 사질토인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수분리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단계에 사용되는 장치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단계에 사용되는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계면활성단계에 사용되는 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피더 11a : 피더스크린 12 : 1차 파쇄기
13 : 2차 파쇄기 14 : 오염토집하탱크 15 : 준설펌프
21 : 진동스크린세척기 21a : 상단스크린 21b : 하단스크린
22 : 세척수탱크 23 : 3차파쇄기 24 : 배토장치
31 : 분급기 32 : 폐수집수정 41 : 약품반응조
42 : 약품탱크 51 : 침전조 61 : 농축조
62 : 탈수기 70 : 유수분리기 71 : 유입부
72 : 분리부 73 : 유류회수부 74 : 세척수회수부
75 : 제1격막 76 : 제2격막 77 : 제3격막
78 : 에어블로어 81 : 분리조 82a, 82b : 에어노즐
83 : 이송스크류 84 : 배출호퍼 86 : 저장탱크
87 : 투입호퍼 88 : 배출구
본 발명은 유류(油類)에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적정 입도로 파쇄한 후 이에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세척함에 의해 복원하되, 세척된 토양을 재생 조골재와 세골재로 분리 회수토록 하고, 세척에 의해 토양으로부터 탈리된 유류는 별도로 분리 수거토록 하며, 세척수는 반복 사용가능토록 함으로써, 복원 과정에서 2차적인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복원작업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유류에 오염된 건설폐자재의 복원에도 활용될 수 있는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석유의 소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석유의 정제, 운송, 저장 및 소비 단계에서 심각한 환경오염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특히, 유류에 의한 토양의 오염은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주유소나 저유소, 군사시설 등의 유류저장시설로부터의 누유, 석유화학공장 등 관련 산업체의 장치 노후나 사고, 기타 유류의 불법매립폐기 등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데, 토양의 특성상 토양이 일단 유류에 오염되고 나면 이를 정화하여 복원하는 데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방치하게 되면 토양 자체의 사용 불능은 물론 지하수와 인근 하천에까지 오염이 확산되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되므로 오염 토양의 정화와 복원은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복원, 재생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종래부터 이루어져 왔으나, 종래의 유류오염토양에 대한 복원방법은 오염토양에 화염을 직접 가함으로써 토양에 부착된 유류를 소각시키는 소각방식과 열탈착방식, 오염토양을 화염과 간접으로 열접촉시켜 토양에 부착된 유류를 기화시킨 후 이를 응축, 냉각 시켜 포집하는 열접촉방식, 그리고 석유계 탄화수소 분해 균주인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류를 분해하여 제거하는 생물학적 방식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소각방식은 토양에 부착된 유류의 소각에 따른 연소부산물로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을 발생시킴에 의해 오염성분이 대기로 옮아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열탈착방식은 공정이 복잡하고 시설의 구비와 운영에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고, 생물학적 방식은 탄화수소의 분해 균주인 미생물의 생장이 환경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바, 특히, 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동절기 등에는 유류의 분해 정화작용이 중지될 뿐 아니라 토양의 복원에도 수년 단위의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저렴한 비용으로 파쇄 및 고압살수에 의한 세척으로 단시간내에 복원하여 재생 조골재와 세골재로서 입도별로 분리 회수할 있도록 하되, 복원작업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원 과정에서 2차적인 환경오염의 염려도 없는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파쇄된 오염토양 또는 이토와 사질토 등과 같이 함수율이 높고 입자가 작은 오염토양의 복원을 위해 물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APG를 혼합교반하여 오염원인 유류를 분리 배출하는 방법과 이의 장치를 제공함에 구체적인 목적이 있다.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종래의 공법으로서 본 출원인의 등록번호 제10-0599222호에 의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염토양을 입도 50㎜ 이하의 토양립으로 분리, 파쇄하는 제1단계; 입도 50㎜ 이하로 분리, 파쇄된 토양을 진동스크린세척기(21)에서 세척함과 동시에 세척된 토양으로부터 입도 5∼25㎜의 조골재를 분리해 내는 제2단계; 입도 5㎜ 이하의 토양립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을 분급기(31)에 유입시켜 이로부터 입도 0.01∼5㎜의 세골재를 분리해 내는 제3단계;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을 약품반응조(41)에 유입시켜 응집제를 가하고 교반하는 제4단계; 응집제가 가해진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을 침전조(51)에 유입시켜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를 각각 층상으로 분리하는 제5단계; 침전조(51)의 저 부로 배출된 잔여 토분을 농축, 탈수하고, 침전조(51)의 상부로 오버플로어된 세척수와 탈리 유류를 각각으로 분리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오염토양의 성상이 함수율이 높은 이토(진흙) 또는 사질토인 경우에 상기 제2단계 내지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 제2단계의 전단계로서 오염토양과 유류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오염토양과 물을 혼합하고, 이에 계면활성제를 투입혼합하여 교반하는 계면활성단계가 추가된다.
상기에서의 교반물은 고온의 상태로 유지함이 바람직하고, 40~100℃의 범위에서 오염토양의 성상이나 오염의 정도에 따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를 올리기 위한 방법으로 100℃의 물을 사용하거나 고온의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반물을 고온으로 할 경우 계면활성의 작용이 증대된다.
이 단계에서는 물, 오염토양, 계면활성제가 혼합교반되는 분리조(81)가 사용되고, 상기 분리조(81)의 하부에서 공기를 유입시켜 교반을 용이하게 함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하부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혼합물을 교반하고, 기포가 터지면서 그 충격으로 유류와 토양을 분리하며, 이와 동시에 계면활성제가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오염토양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분리조(81)와, 분리조(81)의 하부에 설치되어 오염토양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에어노즐(82a)과, 분리조(81)의 일측 하부로부터 타측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스크류(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송스크류(83)의 상부에는 유류와 분리되어 이송된 토양이 배출되는 배출호퍼(84)가 도 1과 도 2의 배토장치(24)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또한 이송스크류(83)가 분리조(81)의 상단을 통과하는 부분과 상기 배출호퍼(84)의 사이 부분에도 에어노즐(82b)이 설치된다. 에어노즐(82b)은 물의 상부에 부유하는 유류 및 찌꺼기를 불어서 제거함으로써 이송스크류(83)를 통해 이송되는 토양에 다시 점착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분리조(81)의 상부에는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저장탱크(86) 또는 주입구가 설치되고, 오염토를 주입하는 투입호퍼(87)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분리조(81)의 상부 수면부에는 폐수집수정(32)과 연결되는 배출구(8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이송스크류(83) 대신에 혼합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펌프 등의 다른 구성 요소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단계는 오염토양을 입도 50㎜ 이하가 되도록 분리, 파쇄하는 단계로서, 이는 경질토사나 자갈섞인 토사의 경우 또는 오염토양내에 콘크리트덩이와 같은 건설폐자재가 매립되어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오염토양이 견고하게 덩어리져 있거나 입도가 큰 입자가 포함된 경우에 이들 덩어리나 큰 입자의 표면부 미세크랙 등을 통해 소정 깊이 내부로 스며든 유류는 표면부의 세척만으로는 제거가 되지 않으므로 이들을 적정 입도로 파쇄함으로써, 내부에 스며든 오염유류들도 다음 단계에서 고압 세척수의 분사에 의해 충분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단계에서 오염토양을 진동하는 피더스크린(11a)이 구비된 피더(11)를 거치도록 하여 50㎜ 이하의 입도를 갖는 토양립은 통과시키되, 50㎜를 초과하는 입도를 갖는 토양립은 걸러내어 파쇄기(12)(13)에 의해 50㎜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파쇄하게 된다.
여기서, 입도가 큰 토양립을 급히 작게 부순다는 것은 비능률적이고 또 기계가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50㎜를 초과하는 입도를 갖는 토양립의 파쇄는 예컨대, 1차파쇄기(12)에 의해 먼저 입도 100㎜ 이하로 파쇄하고 다음 2차파쇄기(13)에 의해 50㎜ 이하로 파쇄하는 것과 같이 다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파쇄기(12)는 통상의 조크러셔, 2차파쇄기(13)는 조크러셔 또는 콘크러셔로 할 수 있다.
다만, 오염토양이 실토나 점토, 사질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보통토사로서 입도 50㎜를 초과하는 토양립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와 오염토양의 성상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이토 또는 사질토인 경우에는 본 단계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오염토양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이토(진흙)나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사질토인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토양을 오염토집하탱크(14)에 저치한 후 준설펌프(15)를 이용하여 투입호퍼(87)로 송급하거나, 또는 현장에서 준설펌프(15)로 바로 투입호퍼(87)로 송급하여 후술하는 제2단계부터 시행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단계로서, 계면활성단계이다. 투입호퍼(87)로 오염토양이 별도로 공급된 물과 혼합되어 투입된다. 분리조(81)에서는 오염토양과 물이 혼합되어 투입되고, 이에 계면활성제 저장탱크(86) 또는 외부에 설치된 저장탱 크와 연결된 주입구를 통해 계면활성제가 투입되어 함께 교반된다.
혼합물의 교반을 위해 본 발명은 공기를 이용하고, 분리조(81)의 바닥에 다수개의 에어노즐(82a)이 설치되어 이로부터 공기가 분출된다. 따라서 공기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교반하고,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그 충격력에 의해 오염토양과 유류가 분리되도록 한다. 더불어 계면활성제는 유류와 오염토양 입자의 분리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계면활성단계는 토양 세척 기법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토양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오염 물질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킴으로써 기름으로 유류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유류를 분리시키는 물리화학적 기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계면활성단계는 계면활성제의 CMC(Critical Micelle Concent ration)값 이상의 농도에서 유기 오염물질이 미세(micelle)구조 내부로 분배되는 용해화 과정과 토양내 NAPLs가 계면활성제에 의해 계면 장력이 감소하여 이동성이 생기는 이동화 과정을 기초로 하여 오염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계면활성제인 화학계면활성제가 난분해성이고, 환경에 유독성을 가짐으로써 2차 오염을 유발하여 재처리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성이 있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APG(Alkyl Poly Glucosides)를 사용함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세척액의 농도는 APG가 0.3~6.0중량%가 바람직하다. 즉 분리조(5)에는 오염토양과 물 및 APG가 혼합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APG는 물과 APG의 전체 혼 합량에 대하여 0.3~6.0중량%가 되도록 한다. 또한 혼합하여 세척하는 시간은 초기 3시간이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의 계면활성단계는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데, 상기의 경우는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일정한 장소에서 행하는 경우이고, 이와 별도로 오염된 원지반에서 오염토양을 터파기 할 때 APG 혼합액을 분사하여 미리 혼합함으로써, 터파기하는 동안과, 오염토양 처리 장소로 이동되는 시간동안 계면활성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여 시간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오염토양을 이송하는 레디믹스 차량에서 계면활성단계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또한 이동되는 시간동안 계면활성 작용을 하게 되어 시간적인 잇점을 가지게 된다. 즉 유류에 오염된 저습지 등에서는 사전에 계면활성제를 일정량 투입하여 포크레인 등의 장비로 교반한 후 레디믹스 차량 또는 덤프트럭이나 준설 펌프 등으로 세척장치까지 이송하여 세척할 수도 있다.
세척장치에 있어서의 이송스크류(83)는 유류와 분리된 토양을 상부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교반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APG와 혼합되고, 공기방울에 의해 유류와 토양이 분리되면, 토양은 분리조(81)의 하부로 침강하고, 분리된 유류와 찌꺼기들은 상부로 부유하게 된다. 상부로 부유된 것은 분리조(81)의 상부에 설치되고 폐수집수정(32)과 연결된 배출구(88)로 배출된다.
분리조(81)의 상부에는 에어노즐(82b)이 설치되어 있어, 이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분리된 유류와 찌꺼기들을 배출구(88) 쪽으로 불어 이송시킴으로써 이송스 크류(83)에 유류를 붙지 않게 된다.
분리된 토양은 이송스크류(83)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어, 이송스크류(83)의 상단부에 위치된 배출호퍼(84)로 배출되고, 배출호퍼(84)를 통과하는 토양은 배토장치(24)로 이송된다.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를 거쳐 입도 50㎜ 이하로 분리, 파쇄된 토양을 진동스크린세척기(21)에서 세척함과 동시에 세척된 토양으로부터 입도 5∼25㎜의 조골재를 분리해 내는 단계로서, 토양립에 부착되어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는 유류가 본 단계에서 세척에 의해 토양립으로부터 탈리되게 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세척기(21)는 세척수탱크(22)와 연결된 다수개의 세척노즐이 구비되어 이 세척노즐로부터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토양립의 표면에 부착된 유류를 탈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스크린세척기(21)에는 상하 2단의 스크린(21a)(21b)이 진동하게 구비되어 상단 스크린(21a)에서는 25∼50㎜의 입도를 갖는 토양립이 걸러지고 하단 스크린(21b)에서는 5∼25㎜의 입도를 갖는 토양립이 재생 조골재로서 걸러지며, 나머지 5㎜ 이하의 입도를 갖는 토양립은 탈리된 유류 및 세척수와 함께 진동스크린세척기(21)의 저부로 배출된다.
상단 스크린(21a)에 의해 걸러진 입도 25∼50㎜의 토양립은 3차파쇄기(23)에 의해 입도 25㎜ 이하의 토양립으로 파쇄된 후 반복하여 진동스크린세척기를 거치도록 한다. 즉, 입도 25∼50㎜인 토양립의 경우에는 한번 세척이 이루어진 후 25㎜ 이하의 입도로 파쇄되어 또한번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여 세척도가 극대화되도록 한 것이다. 본 단계에서도 오염토양이 함수율이 높은 이토(진흙)나 함수율이 높은 사 질토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3차파쇄기(23)에 의한 파쇄작업은 필요치 않을 것이다. 상기 3차파쇄기(23) 역시 통상의 콘크러셔 또는 임펙트크러셔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스크린세척기(21)의 상단부에는 오염된 토양립에 대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오염 토양립을 물로 불리는 한편 진동스크린세척기(21)의 상단 스크린(21a) 상부에 오염 토양립이 고루 흩뿌려지도록 기능하는 배토장치(24)를 설치하여 이 배토장치(24)를 통해 상기 제1단계를 거쳐 분리, 파쇄된 오염 토양립이 상기 진통스크린세척기(21)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러한 배토장치(24)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작용은 본원 출원인이 기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2004-0014163의 출원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단계는 입도 5㎜ 이하의 토양립과 세척수 및 탈리유류의 혼합액을 분급기(31)에 유입시켜 이로부터 입도 0.01∼5㎜의 세골재를 분리해 내는 단계로서, 상기 제2단계의 진동스크린세척기(21)의 저부로 유출된 입도 5㎜ 이하의 토양립과 세척수 및 세척에 의해 토양립으로부터 탈리된 유류의 혼합액을 분급기(31)에 유입시켜 방향이 서로 반대인 원심력과 유체항력에 의해 입도 0.01∼5㎜의 토양립은 분급기(31)의 외주부로 모아 세골재로서 분리해내고, 입도 0.01㎜ 이하인 미분 상태의 잔여 토분(슬러지)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은 분급기(31)의 중심부에 모아 분급기(31)의 저부로 배출하여 폐수집수정(32)에 집수한다.
본 발명의 제4단계는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을 약품반응조(41)에 유입시켜 응집제를 가하고 교반하는 단계로서, 오염 토양으로부터 복원된 조골재와 세골재가 분리되고 남은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은 마치 뻘물과 같이 미분상태의 잔여 토분이 세척수와 탈리 유류에 현탁되어 있는 폐수상태로 폐수집수정(32)에 집수되는 바, 다음 단계에서 잔여 토분을 응집, 침강시킴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혼합액을 약품반응조(41)에 유입시켜 이에 약품탱크(42)로부터 공급되는 응집제를 가하게 된다. 이때, 응집제가 혼합액에 균일하게 섞이도록 적절한 교반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5단계는 응집제가 가해진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을 침전조(51)에 유입시켜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를 각각 층상으로 분리하는 단계로서, 침전조(51)에서 입도 0.01㎜ 이하인 잔여 토분은 응집제의 작용으로 응집되어 침전조(51)의 하부로 침강하게 되고 액상인 세척수와 탈리 유류는 침전조(51)의 상부에서 비중차에 의해 층을 이루게 되는데, 이렇게 응집, 침강된 잔여 토분은 침전조(51)의 저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상부의 세척수와 탈리 유류는 침전조(51)의 상단부로 오버플로어시켜 배출시킨다. 이때 유류는 비중이 작아 세척수의 상부에 위치되므로 오염 토양립으로부터 탈리된 모든 유류가 일부 세척수와 함께 침전조(51)로부터 오버플로어되어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6단계는 침전조(51)의 저부로 배출된 잔여 토분을 농축, 탈수하고, 침전조(51)의 상부로 오버플로어된 세척수와 탈리 유류를 각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로, 침전조(51)의 저부로 배출된 잔여 토분을 농축조(61)에서 농축시킨 후 탈수기(62)에서 탈수시켜 케이크화함으로써 수거하는 한편, 침전조(51)의 상부로 오버플로어된 세척수와 탈리 유류의 혼합액은 유수분리기(70)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유류를 세척수로부터 분리 제거해 낸다.
여기서, 상기 유수분리기(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71), 분리부(72), 유류회수부(73) 및 세척수회수부(74)가 각각 제1격막(75), 제2격막(76) 및 제3격막(77)에 의해 구획되어지고 상기 분리부(72)의 저부에는 외부의 펌프와 연결된 에어블로어(78)가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분리부(72)의 상부로는 유겔화제가 투입되는 바, 유입부에 유입된 세척수와 유류의 혼합액이 제1격막(75)의 하부를 통해 분리부(72)로 유입될 때, 상기 에어블로어(78)로부터 발생된 기포가 부상하면서 혼합액 중에 포함된 유류입자를 세척수 상부로 함께 부상시키고 부상된 유류입자는 유겔화제에 의해 아교상태로 되며 이와 같이 아교상태로 된 유류는 제2격막(76) 상단을 넘어 유류회수부(73)로 유입된 후 상기 유류회수부(73)의 상부에서 회수되어지고, 반면 세척수는 제2격막(76) 하부를 통해 유류회수부(73)에 유입되고, 제3격막(77) 하부를 통해 다시 세척수회수부(74)로 유입된 후 세척수회수부(74)에서 별도로 회수되게 된다.
이렇게 분리 회수된 유류는 폐유처리시설로 보내지며, 유류가 제거된 세척수는 수관을 통해 세척수탱크(22)로 보내어져 상기 제2단계에서 재이용되도록 한다.
한편, 탈수기(62)에서 발생된 수분은 다시 상기 폐수집수정(32)으로 보내어 역시 재이용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단계는 파쇄와 세척에 의해 오염토양을 복원하여 조골재와 세골재를 회수하는 공정이고, 제4 내지 제6단계는 오염된 세척수에 대한 수처리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오염 토양을 적정 입도로 파쇄하여 세척함으로써 세척에 의해서도 충분한 유류제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고, 각 단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속 프로세스이므로 오염토양의 복원에 걸리는 시간이 대폭 줄어들게 되며, 복원에 사용되는 세척수는 오염 유류가 제거되어 계속적으로 순환되어 반복 활용되므로, 오염 토양의 복원에 따른 2차 오염의 염려가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APG(Alkyl Poly Glucosides)를 사용한 계면활성단계를 가짐으로써, 계면활성제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고, 파쇄된 오염토나 이토나 사질토 등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은 유류에 오염된 토양이 적정 입도로 파쇄되어 세척됨으로써 효율적으로 복원되어지고 복원된 토양은 조골제와 세골제로서 입도별로 회수되어지되, 토양으로부터 탈리된 유류는 분리 수거되고 세척수는 반복사용이 가능케 되어, 복원 과정에서 2차적인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으면서 복원작업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류에 오염된 건설폐자재의 복원에도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오염토양을 입도 50㎜ 이하의 토양립으로 분리, 파쇄하는 제1단계; 입도 50㎜ 이하로 분리, 파쇄된 토양을 진동스크린세척기(21)에서 세척함과 동시에 세척된 토양으로부터 입도 5∼25㎜의 조골재를 분리해 내는 제2단계; 입도 5㎜ 이하의 토양립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을 분급기(31)에 유입시켜 이로부터 입도 0.01∼5㎜의 세골재를 분리해 내는 제3단계;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을 약품반응조(41)에 유입시켜 응집제를 가하고 교반하는 제4단계; 응집제가 가해진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의 혼합액을 침전조(51)에 유입시켜 잔여 토분과 세척수 및 탈리 유류를 각각 층상으로 분리하는 제5단계; 침전조(51)의 저부로 배출된 잔여 토분을 농축, 탈수하고, 침전조(51)의 상부로 오버플로어된 세척수와 탈리 유류를 각각으로 분리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한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사이에, APG(Alkyl Poly Glucosides)가 0.3~6.0중량%의 농도로 포함된 세척수로써 3시간 동안 오염토양과 교반하는 계면활성단계가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오염토양과 물을 혼합하여 유류 오염토양의 유분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분리조(81); 분리조(81)의 하부에 설치되어 기포로써 오염토양 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에어노즐(82a); 분리조(81)의 일측 하부로부터 타측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스크류(83); 이송스크류(83)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류와 분리되어 이송된 토양이 배출되는 배출호퍼(84); 이송스크류(83)가 분리조(81)의 상단을 통과하는 부분과 배출호퍼(84)의 사이에 설치되어 부유하는 유류 및 찌꺼기를 불어 제거하는 에어노즐(82b); 분리조(81)의 상부 수면부에 설치되어 분리된 유류 및 찌꺼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8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에 사용되는 장치.
KR1020070020051A 2007-02-28 2007-02-28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10075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051A KR100755910B1 (ko) 2007-02-28 2007-02-28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051A KR100755910B1 (ko) 2007-02-28 2007-02-28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910B1 true KR100755910B1 (ko) 2007-09-06

Family

ID=3873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051A KR100755910B1 (ko) 2007-02-28 2007-02-28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91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22B1 (ko) 2009-02-27 2009-07-01 금광개발 주식회사 유류나 중금속에 오염된 토양, 토사석의 복원방법 및 그 장치
KR100988047B1 (ko) * 2009-03-12 2010-10-18 (주) 삼우이엔지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방법 및 시스템
CN103706621A (zh) * 2013-12-24 2014-04-09 南京大学 一种有机污染场地土壤超声强化修复的设备及其方法
KR101474308B1 (ko) 2014-10-21 2014-12-18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토양복원장치
KR20140146313A (ko) * 2013-06-17 2014-12-26 (주)로커스솔루션 토양 세척 방법
CN105478463A (zh) * 2016-01-22 2016-04-13 上田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异位污染土壤修复治理设备
KR101627328B1 (ko) * 2015-08-31 2016-06-07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토양복원장치
CN110842017A (zh) * 2019-11-27 2020-02-28 智优株式会社 模块化移动式土壤淋洗***
CN111744941A (zh) * 2020-07-24 2020-10-09 北京建工资源循环利用投资有限公司 一种装修垃圾处置方法
CN111922044A (zh) * 2020-08-06 2020-11-13 北京建工资源循环利用投资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分选方法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190A (ja) 2002-10-17 2004-05-13 Kawasaki Heavy Ind Ltd 泥土等の造粒方法
JP2005000759A (ja) * 2003-06-10 2005-01-06 Jfe Koken Corp 土壌洗浄方法及び土壌洗浄処理装置
KR100484528B1 (ko) 2003-02-26 2005-04-20 임종순 협잡물 및 모래 처리장치
KR100545544B1 (ko) 2004-01-13 2006-01-25 주식회사 에코비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대수층 내 오염물질의 제거방법
KR100633111B1 (ko) 2006-01-26 2006-10-11 (주)에스지알테크 토양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190A (ja) 2002-10-17 2004-05-13 Kawasaki Heavy Ind Ltd 泥土等の造粒方法
KR100484528B1 (ko) 2003-02-26 2005-04-20 임종순 협잡물 및 모래 처리장치
JP2005000759A (ja) * 2003-06-10 2005-01-06 Jfe Koken Corp 土壌洗浄方法及び土壌洗浄処理装置
KR100545544B1 (ko) 2004-01-13 2006-01-25 주식회사 에코비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대수층 내 오염물질의 제거방법
KR100633111B1 (ko) 2006-01-26 2006-10-11 (주)에스지알테크 토양 세척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22B1 (ko) 2009-02-27 2009-07-01 금광개발 주식회사 유류나 중금속에 오염된 토양, 토사석의 복원방법 및 그 장치
KR100988047B1 (ko) * 2009-03-12 2010-10-18 (주) 삼우이엔지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방법 및 시스템
KR20140146313A (ko) * 2013-06-17 2014-12-26 (주)로커스솔루션 토양 세척 방법
CN103706621A (zh) * 2013-12-24 2014-04-09 南京大学 一种有机污染场地土壤超声强化修复的设备及其方法
KR101474308B1 (ko) 2014-10-21 2014-12-18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토양복원장치
KR101627328B1 (ko) * 2015-08-31 2016-06-07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토양복원장치
CN105478463A (zh) * 2016-01-22 2016-04-13 上田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异位污染土壤修复治理设备
CN110842017A (zh) * 2019-11-27 2020-02-28 智优株式会社 模块化移动式土壤淋洗***
CN111744941A (zh) * 2020-07-24 2020-10-09 北京建工资源循环利用投资有限公司 一种装修垃圾处置方法
CN111922044A (zh) * 2020-08-06 2020-11-13 北京建工资源循环利用投资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分选方法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10B1 (ko)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100988047B1 (ko)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방법 및 시스템
KR100988942B1 (ko)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0870909B1 (ko) 유류에 오염된 토사석의 복원방법 및 그 장치
KR101396416B1 (ko) 열 변형 파쇄를 이용한 복합오염 토양의 유류와 중금속 동시 탈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CN105750316A (zh) 一种工程化的多级筛分式异位土壤淋洗修复方法
WO20182324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OLID WASTE
KR101782615B1 (ko)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CN204220613U (zh) 一种土壤淋洗设备
US61234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soil and mud polluted with hazardous waste and petroleum products
KR101658523B1 (ko) 오염토양 선별 및 세척처리 정화시스템
KR100460629B1 (ko) 토양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토양세척장치
KR100987198B1 (ko)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1223435B1 (ko) 유류 및 금속 혼합 오염 토양의 처리 시스템
KR100599222B1 (ko)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
US56371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ediating soil
JP2002254063A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分離装置
CN217700633U (zh) 用于土壤净化的模块型清洗装置
KR102208394B1 (ko) 굴삭기 버킷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KR102112962B1 (ko) 오염토 세척 선별 장치
JP3236219B2 (ja) 土壌浄化工法及び装置
JP2004261795A (ja) 土壌中の非揮発性汚染物質の除去方法
KR100988043B1 (ko)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의 슬러지 분리장치
WO20010158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fine grained soil, clay and silt
JP3221558B2 (ja) 土壌浄化工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