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638B1 -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638B1
KR100754638B1 KR1020060021869A KR20060021869A KR100754638B1 KR 100754638 B1 KR100754638 B1 KR 100754638B1 KR 1020060021869 A KR1020060021869 A KR 1020060021869A KR 20060021869 A KR20060021869 A KR 20060021869A KR 100754638 B1 KR100754638 B1 KR 100754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creen
area
menu item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8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덕신
황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6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6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peedily entering into a menu in the idle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re provided to shorten the path to a desired menu by displaying a screen to directly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elected menu item in case of selecting a menu. Executing shifting between menu items of a mini bar displayed on the idle screen, a control part judges whether the input of a selection key is generated(700,705). In case that the user selects a menu item through the input of the selection key, the control part fetches previously stored screen information for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of the selected menu item. Based on the fetched screen information, the control part configures and outputs a screen(715).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the menu item, the menu items of the mini bar are divided by taps. The control part displays a window connected to the selected menu item tap.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ethod and device for fast menu entry in idle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메뉴 바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1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shortcut menu bar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구성도,3 is a screen configuration diagram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elected menu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메뉴 항목별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 정보를 테이블화한 도면,4 is a table listing screen information for executing a function of each menu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빠른 메시지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예시도,5 is a screen example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quick messag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뉴 항목별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예시도,6 is a screen example for executing a function of a menu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의 미니바에서 빠른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in a mini bar of a standby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진입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팝업창 형태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들이 표시되는 대기화면을 통해 선호도가 높은 메뉴 항목에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entr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ows a user to directly access a menu item having a high preference through a standby screen in which menu items frequently used by a user are displayed in a pop-up window form. In a quick menu entry method and apparatus.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의 처리와 사용자 욕구에 따른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기능 수행에 있어 통상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메뉴 선택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의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정해진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를 지정한 후 소정 요구 입력에 따라 지정된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따른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게다가 최근에는 각 메뉴를 아이콘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한 후 그 아이콘 선택에 따른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메뉴 선택을 통한 기능 수행 방법을 이루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 A commonly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processing of user information and user desires. As a method commonly used in performing such a function, a method of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 menu selection input is performed. have. This is done by designating a menu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unction and then displaying a designated menu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quest input so that when a user selects the menu,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is performed. In addition, recently,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through menu selection has been achieved by iconizing each menu so that a user selects an icon and then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icon selection. This is a proposed method to further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이들 기능들에 편리하게 접근하도록 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대기화면 팝업창에 배치하여 간단한 방향키 조작만으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대기화면 팝업창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모아놓은 아이콘 예컨대, 단문 메시지, 일정 등의 정보를 보여주는 아이콘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표시되고, 사용자가 방향키를 누르면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자(focus)가 이동하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자가 위치한 아이콘의 기능에 대응하는 간략한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 내용이 텍스트 형태로 보여지게 된다.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user to conveniently access these functio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ranges the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on the standby screen pop-up window as shown in FIG. have. At this time, the standby screen pop-up window displays icons that collect frequently used functions, such as short messages and schedules, arranged in a row,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direction key, the focus is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icon. As shown in FIG. 1B, brie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of the icon where the indicator is located is displayed while moving. For example, when a message icon is selected, the received message content is displayed in text form.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대기 화면 팝업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지라도 간략한 정보만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user selects a desired function from the standby screen popup window, only brief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따라서 본 발명은 팝업창 형태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들이 표시되는 대기화면을 통해 선호도가 높은 메뉴 항목에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entering a menu on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rectly access a menu item having a high preference through a standby screen on which a menu item frequently used by a user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항목들이 표시되는 단축메뉴 바 형태를 포함하는 대기화면에서 사용자가 상기 단축메뉴 바 중 소정 단축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메뉴로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단축메뉴 바에 모아놓은 메뉴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을 해당 기능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메뉴 항목 선택을 위 한 탭(tab) 영역, 선택된 메뉴 항목에 따른 태스크 인터액션(task interaction) 영역, 태스크 완료 액션 버튼(task completion action button) 영역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틀로 구획한다. 이러한 기본틀은 선택된 메뉴 카테고리에 따라 선호도가 높은 기능들을 사용자가 한 화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메뉴들 간에 계층적인 네비게이션(hierarchical navigation)을 할 필요없이 대기화면에서 원하는 메뉴로 바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unction of allowing a user to directly enter a corresponding menu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shortcut menu from the shortcut menu bar on a standby screen including a shortcut menu bar in which menu item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re display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when any one of the menus collected in the shortcut menu bar is selecte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a tab area for selecting a menu item, a task interaction area according to a selected menu item, and a task completion action button to easily use the function. completion action button) It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basic framework such as an area. This framework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execute high-precision functions on one screen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category.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enter a desired menu from the standby screen without the need for hierarchical navigation between the menus.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31), 무선부(32), 음성 처리부(33), 메모리(34), 키입력부(36), 표시부(3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ontrol unit 31, a wireless unit 32, a voice processing unit 33, a memory 34, a key input unit 36, and a display unit 35. Include.

여기서, 제어부(31)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특히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단축메뉴 영역을 표시하는 대기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템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을 그 선택된 메뉴 아이템과 연결된 창 형태로 표시부(35)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단축메뉴 영역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들만을 모아놓은 메뉴 아이템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메뉴 아이템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메뉴 아이템과 연결된 창 형태로 그 메뉴 아이템 선택에 따른 기능 수행을 위한 화면이 출력된다. 이때, 단축메뉴 영역에 나타나는 각 메뉴 항목들은 아이템으로 구현되며, 문자 메시지 항목을 표시하는 편지봉투, 플레이어 항목을 표시하는 헤드셋, 앨범을 나타내는 사진첩 등의 다양한 모양을 이용한 아이템을 제 공하여 해당 메뉴 항목이 어떤 기능을 위한 메뉴 항목인지를 표시한다. Herein, the controller 31 performs a general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tem when any one menu item is selected on a standby screen displaying a shortcut menu area including one or more menu items. The screen for execution is controlled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5 in the form of a window connected to the selected menu item. At this time, in the shortcut menu area, the menu items are collected and arranged in a line. The menu items are selected by the user. When the menu items are selected by the user, the menu items are linked to the selected menu items. The screen for execution is displayed. In this case, each menu item appearing in the shortcut menu area is implemented as an item, and an item using various shapes such as an envelope displaying a text message item, a headset displaying a player item, and a photo album representing an album is provided. Indicates which menu item this function is for.

이러한 단축메뉴 영역을 미니바(mini bar)라고도 칭할 수 있으며, 이 미니바(3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에 표시되다가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템이 선택되면 각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창을 포함하는 탭 형태로 표시된다. 이러한 미니바(300)는 대기화면에서 메뉴 항목에 따른 기능으로 바로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 3(a)에 도시된 단축메뉴 영역은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단축메뉴 영역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메뉴 아이템들을 일렬로 나열한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메뉴 아이템들이 흩어져 구성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is shortcut menu area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mini bar. The mini bar 300 is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as shown in FIG. I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ab including a user input window for executing a menu item. The mini bar 300 may provide a shortcut to a function according to a menu item on a standby screen. The shortcut menu area shown in FIG. 3 (a)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hortcut menu area may not only be configured as a bar in which a plurality of menu items are arranged in a line as shown in FIG. Can b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1)는 단축메뉴 바에 나타나는 각 메뉴 항목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메모리(34)로부터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를 독출하여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기능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을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항목들이 표시되는 미니바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된 현재의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 정보를 메모리(34)로부터 독출하여 그 선택된 메뉴 항목과 연결된 창 형태로 출력한다.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은 크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메뉴 항목들을 아이템으로 구분하여 배열해놓은 탭(tab) 영역(310),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기능 수 행이 이루어지는 태스크 인터액션 영역(320), 그 태스크 인터액션 영역(320)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액션을 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션 버튼이 표시되는 태스크 완료 액션 버튼 영역(330)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화면 구성은 3 단계(depth)의 메뉴를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매번 계층적 네비게이션없이도 기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The control unit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ich menu item is selected for each menu item displayed in the shortcut menu bar, and when one menu item is selected, the menu item selected from the memory 34. A screen is configured to read scre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of the selected menu item and to execute a function of the selected menu item. In detail, the controller 31 may store screen information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enu item selected when the user selects one menu item in the mini-bar where at least one menu item is displayed. Reads from and prints in the form of a window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menu item. The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enu item is largely divided into a tab area 310 in which menu items having high user preferences are arranged as items, as shown in FIG. 3B, and the number of functions for the selected item. The task interaction area 320 in which the row is formed is divided into a task completion action button area 330 in which at least one action button for taking an action on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task interaction area 320 is displayed. This screen configuration consists of a menu of three levels as a single screen, and the user can use basic functions without hierarchical navigation each time.

먼저, 탭 영역(310)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들을 아이템으로 모아놓은 영역이다. 사용자는 방향키 등의 입력을 통해 원하는 메뉴 항목이 있는 탭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태스크 인터액션 영역(320)은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원하는 파일로 이동하기 위한 휠 네비게이션(wheel navigation)이 가능한 영역이다. 태스크 완료 액션 버튼 영역(330)은 태스크 인터액션 영역(320)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액션을 취하기 위한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First, the tab area 310 is an area in which menus frequently used by a user are collected. The user may move to a tab having a desired menu item through an input such as a direction key. The task interaction area 320 is an area where wheel navigation is possible for a user to input text or move to a desired file. The task completion action button area 330 is an area where a button for taking an action 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ask interaction area 320 is displayed.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미니바(310)에서 특정 메뉴 아이템 탭을 선택할 때마다 탭이 전환되면서 그에 해당하는 화면이 출력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템 탭이 선택되면 나머지 탭 영역은 뒤에 숨겨지면서 선택된 아이템 탭에 연결된 탭 영역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탭 영역에 사용자 선호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창에 표시된다. 즉, 편지봉투 메뉴 아이템 탭이 선택되면 그 편지봉투 메뉴 아이템 탭에 연결된 메시지 작성창(320)이 활성화되어 표시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축메뉴 바를 탭 형식으로 구현하여 탭으로 각 메뉴 항목간에 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면 전체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한화면에서 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b), each time a specific menu item tab is selected in the mini bar 310 in which one or more menu items separated by tabs are displayed, the tabs are switched and a corresponding screen is output. do. In detail, when one menu item tab is selected, the other tab area is hidden behind the tab area connected to the selected item tab, and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for performing a user preference function on the activated tab area. That is, when the envelope menu item tab is selected, the message composition window 320 connected to the envelope menu item tab is activated and display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hortcut menu bar is implemented in a tab form, switching is performed between each menu item by tabs, so that the entire screen is not changed, but conversion is performed on one screen.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작성을 위한 창(320)이 표시되면 그 입력창이 표시되는 영역 하단에는 작성된 메시지에 대한 액션으로 보내기(send), 저장하기(save), 다른 기능(more) 등의 액션 버튼이 구현된 영역(330)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시지를 작성한 후에 액션 버튼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메시지 작성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선택된 메뉴에 따른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에는 각 메뉴 항목별 선호도가 높은 기능이 표시되는데, 이러한 선호도가 높은 기능은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 제조 업체 등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 (b), when the window 320 for writing a message is displayed, the bottom of the area where the input window is displayed is an action for sending a message, saving, saving, or other functions. The area 330 in which the action button such as) is implemented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create a message by selecting one of the action buttons after composing the message. Here, a function having a high preference for each menu item is displayed on a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The function having high preferenc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selection of a user, a service provider, or a terminal manufacturer.

그리고 무선부(32)는 제어부(31)와 연결되며,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wireless unit 3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1, converts and transmits voice data and control data into a wireless signal, and receives and converts the wireless signal into voice data and control data.

그리고 음성처리부(33)는 제어부(31)와 연결되어 제어부(31)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31)로 전달한다. The voice processor 33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1 to convert the voice data from the controller 31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a speaker and output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ler 31. To pass).

그리고 메모리(34)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메뉴 항목별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화면 정보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정리해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메뉴 항목별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 정보를 테이블화한 도면이다. The memory 34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In particular, each menu item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screen information for execution. Such screen information may be arranged in a table form as shown in FIG. 4. 4 is a table listing screen information for executing a function of each menu i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탭(Tabs)은 빠른 메시지(Quick Message), 미니 앨범(Mini album), 미니 플레이어(Mini player), 미니 폰북(Mini phonebook), 일정(Today), 미니 셋팅(Mini setting) 등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빠른 메시지 메뉴는 메시지 작성 또는 수신된 메시지를 보여주는 메뉴로서, 메시지 작성 후 그 메시지에 대한 액션으로 보내기, 저장하기, 다른 기능 등의 액션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미니 앨범 메뉴는 저장된 이미지들을 보여주는 메뉴로서, 그 이미지들에 대한 액션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보기(View), 보내기(Send via Bletooth), 바탕화면으로 설정하기(Set as wallpaper), 삭제(Delete), 다른 기능(More) 등의 액션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다른 기능(More)의 액션 버튼이 선택될 경우에는 제어부(31)는 보다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메인 앨범 메뉴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나머지 메뉴 항목들도 그 메뉴 항목마다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며, 그에 따른 액션 버튼도 함께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4 in detail, tab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quick message, a mini album, a mini player, a mini phonebook, a schedule ( It consists of menu items such as Today, Mini setting, etc. First, the quick message menu is a menu for displaying a message or a received message. The quick message menu may provide action buttons such as sending, saving, and other functions as an action on the message after the message is written. The Mini Album menu is a menu that displays saved images. You can zoom in or out with actions on the images to view, send via bletooth, set as wallpaper, delete, Action buttons such as More can be provided. Here, when an action button of another function (Mor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31 enters the main album menu to provide more various functions. Similarly, the other menu item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having high user preference for each menu item, and action buttons are also displayed.

그리고 키입력부(36)는 제어부(31)와 연결되며 다수의 숫자 및 문자키들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니바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메뉴 항목에 대한 이동 및 선택 등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3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36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1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umeric and character keys. 31) to deliver.

그리고 표시부(35)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바는 탭(tab) 형식을 통해 각각의 메뉴 항목이 구분되어 표시되며, 탭으로 각 메뉴 항목간에 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면 전체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한화면에서 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표시부(35)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미니바에서 사용자에 의한 메뉴 항목이 선택될 경우 각 메뉴 항목이 탭으로 구분되면서 그 선택된 메뉴 항목 탭에 연결된 탭 영역이 표시되는 화면이 출력된다. 이러한 탭 영역에는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창이 표시된다. 즉,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탭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5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mini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and displayed through a tab type. Since the switching is performed between each menu item with a tab, the conversion is performed on one screen instead of the entire screen. When the menu item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mini ba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the display unit 35 outputs a screen in which each menu item is divided into tabs and a tab area connected to the selected menu item tab is displayed. In this tab area, a window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tem is displayed. That is, a tap area for executing a function having high user preference for the selected menu item is activated.

이와 같은 메뉴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선택될 경우 그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화면은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이 화면은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이다. When any one of the menu items is selected, a screen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elected menu item is provided to the user as shown in FIGS. 5 to 6, and this screen displays a correspond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tem. This screen is for execu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및 도 6 에서는 각각 빠른 메시지, 미니 앨범, 미니 플레이어, 미니 폰북, 미니 셋팅 메뉴에 대응하여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 제조 업체 등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메뉴 항목들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5 and 6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quick message, a mini album, a mini player, a mini phone book, and a mini setting menu, respectively, is merely an example.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various menu item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or the service provider or the terminal manufacturer.

도 5 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a)는 빠른 메시지 메뉴에 대응하는 메시지 작성에 관한 예시도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빠른 메시지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빠른 메시지 메뉴에 대응하여 메시지 작성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메시지 작성을 위한 화면은 선택된 메뉴 항목이 표시되는 탭 영역, 메시지가 입력되는 입력창이 표시되는 영역, 입력된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보내기, 저장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션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the contents shown in FIG. 5, FIG. 5A illustrates an example of creating a message corresponding to a quick message menu. When a quick message item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a message is created in response to the selected quick message menu. Example of providing a screen for. The screen for creating a message shown in FIG. 5A may include at least one action button among a tab area in which a selected menu item is displayed, an area in which an input window in which a message is input is displayed, and a send and save for managing an input message. This is made up of the displayed area.

그리고, 도 5(b)는 빠른 메시지 메뉴에 대응하는 메시지 리스트 표시 기능에 관한 예시도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빠른 메시지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빠른 메시지 메뉴에 대응하여 수신된 메시지 또는 작성한 메시지에 대한 액션을 취할 수 있는 화면을 더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액션 버튼을 이용하여 전체 메시지를 보거나 답장을 쓰거나 이전 메시지를 보거나 메시지를 삭제할 수도 있다.5 (b) is an example of a message list display function corresponding to a quick message menu. When a quick message item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 action on a received message or a writte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quick message menu is displayed. It further illustrates providing a screen that can be taken. Accordingly, the user may use the action button to view the entire message, write a reply, view the previous message, or delete the message.

한편, 도 6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a)는 미니 앨범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예시도로, 사용자에 의해 미니 앨범 메뉴가 선택되면 저장된 이미지들을 보여주고 그 이미지들에 대한 액션을 취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6(b)는 미니 플레이어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예시도로, 사용자에 의해 미니 플레이어 메뉴가 선택되면 원하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6(c)는 미니 폰북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예시도로, 사용자에 의해 미니 폰북 메뉴가 선택되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상대방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6(d)는 미니 셋팅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예시도로, 사용자에 의해 미니 셋팅 메뉴가 선택되면 모드 등 프로파일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the contents shown in FIG. 6, FIG. 6 (a) is a screen example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ini album menu. When the mini album menu is selected by a user, the stored images are displayed and the image is displayed. It provides an example of providing a screen that can take action on the fields. 6 (b) illustrates a screen example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ini player menu, and provides a screen for playing a desired music when the mini player menu is selected by a user. 6 (c) illustrates a screen example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ini phone book menu. When the mini phone book menu is selected by a user, the screen for displaying the counterpart information used most often is provided. 6 (d) illustrates a screen example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ini setting menu, and provides a screen for changing profile information such as a mode when a mini setting menu is selected by a us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의 미니바에서 빠른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을 예시하여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항목별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 제공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in a mini bar of a standby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3, but the method for providing a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of a menu i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과 같이 대기화면에 미니바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어부(31)는 7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방향키 입력 등을 통해 미니바 상의 메뉴 항목 간 이동을 수행한다. 이어, 제어부(31)는 705단계에서 이동한 메뉴 항목에서 선택키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미니바에 나타나는 각 메뉴 항목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In the state where the mini bar is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31 moves between menu items on the mini bar through input of a direction key by the user in step 700. Next, the controller 3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selection key in the menu item moved in step 705. That is, it is determined which one of the menu items is selected for each menu item appearing in the mini bar.

판단 결과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31)는 710단계에서 선택에 따른 기저장된 메뉴 항목별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 정보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715단계에서 화면을 출력한다. 즉, 제어부(31)는 메모리(34)로부터 독출된 화면 정보를 근거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기능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탭 형식의 화면이 출력되는데, 선택된 메뉴 항목탭에 연결된 창이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창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에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한 수단이며 예컨대, 빠른 메시지 항목이 선택될 경우에는 그 선택된 메시지 항목탭에 연결된 탭 영역이 활성화되면서 메시지 작성 창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31)는 72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대기 화면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700단계로 되돌아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any one menu item is selected, the controller 31 reads screen information for executing previously stored menu item functions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 step 710 and outputs a screen in step 715 based on the result. That is, the controller 31 configures and outputs a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on a selected menu item based on the screen information read from the memory 34. Accordingly, a tabbed screen is output, and a window connected to the selected menu item tab is displayed. Such a window is a means for easily accessing a user's preferred function. For example, when a quick message item is selected, a message composition window is displayed while a tab area connected to the selected message item tab is activated. The controller 31 returns to step 700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unless the user moves to the standby screen in step 72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대기 화면에서 단축메뉴 바 형태로 표시되는 메뉴 항목 선택 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바로 실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원하는 메뉴로의 경로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path to the desired menu by displaying a screen for immediately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tem when selecting a menu item displayed in the form of a shortcut menu bar on the standby screen. have.

Claims (1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에 있어서,In the quick menu entry metho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단축메뉴 영역을 표시하는 대기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 아이템을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menu item selected by the user on a standby screen displaying a shortcut menu area including one or more menu items;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을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템과 연결된 창 형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And displaying a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tem in the form of a window connected to the selected menu i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item is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Fast menu entry metho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quency of use is hig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은,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for executing the function,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들을 아이템으로 구분하여 배열해놓은 탭 영역,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는 태스크 인터액션 영역, 상기 태스크 인터액션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액션을 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션 버튼이 표시되는 태스크 완료 액션 버튼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A tab area in which frequently used menu items are divided into items, a task interaction area in which a function is performed on the selected item, and at least one action button for taking action on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task interaction area is displayed. Method of entering a quick menu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ask completion action button area is configu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메뉴 영역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ortcut menu area, 빠른 메시지, 미니 앨범, 미니 플레이어, 미니 폰북, 일정, 미니 셋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A quick menu entry method on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menu item among a quick message, a mini album, a mini player, a mini phone book, a schedule, and a mini setting.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단축메뉴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빠른 메시지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응하여 메시지 작성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And a step of outputting a screen for creating a message in response to the selected menu item when the quick message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hortcut menu area.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작성을 위한 화면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creen for creating a message,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탭 영역, 메시지가 입력되는 입력창이 표시되는 영역, 입력된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보내기, 저장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션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tap area in which the selected menu item is displayed, an area in which an input window in which a message is input is displayed, and an area in which at least one action button of sending or storing an input message is displayed. To enter the Quick Menu from the Home scre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메뉴 아이템을 판단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selected menu item comprises: 탭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상기 단축메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 아이템 탭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And determining whether a particular menu item tab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hortcut menu area in which one or more menu items separated by tabs are display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창 형태로 출력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utputting in the form of a window comprises: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템 탭에 연결된 탭 영역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탭 영역에 사용자 선호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 And activating a tap area connected to the selected menu item tab to display an input window for performing a user preference function on the activated tap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장치에 있어서,In the quick menu entry device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단축메뉴 영역을 표시하는 대기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뉴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각 메뉴 아이템을 탭 형식으로 구분하여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템 탭에 연결된 탭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탭 영역에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한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는 제어부와,When a menu item is selected by a user on a standby screen displaying a shortcut menu area including one or more menu items, each menu item is divided into tabs to activate a tab area connected to the selected menu item tab.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figure a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on the selected menu item in a tab area;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한 기능 실행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for executing a function of the selected menu ite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ne or more menu items, 빠른 메시지 탭, 미니 앨범 탭, 미니 플레이어 탭, 미니 폰북 탭, 일정 탭, 미니 셋팅 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장치.A quick menu entry device on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being divided into a quick message tab, a mini album tab, a mini player tab, a mini phone book tab, a schedule tab, and a mini setting tab.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isplay unit, 상기 사용자에 의해 메뉴 아이템이 선택되면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아이템이 탭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탭 영역,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는 태스크 인터액션 영역, 상기 태스크 인터액션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액션을 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션 버튼이 표시되는 태스크 완료 액션 버튼 영역으로 구성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장치.When a menu item is selected by the user, a tab area in which frequently used menu items are divided into tabs is displayed, a task interaction area in which a function is performed on the selected item, and an action on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task interaction area. A device for entering a quick menu on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screen composed of a task completion action button area on which at least one action button to be taken is displayed.
KR1020060021869A 2006-03-08 2006-03-08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546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69A KR100754638B1 (en) 2006-03-08 2006-03-08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69A KR100754638B1 (en) 2006-03-08 2006-03-08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638B1 true KR100754638B1 (en) 2007-09-05

Family

ID=3873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869A KR100754638B1 (en) 2006-03-08 2006-03-08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63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919B1 (en) * 2010-12-29 201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13392129A (en) * 2021-06-28 2021-09-14 恒安嘉新(北京)科技股份公司 Menu search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68A (en) * 2002-10-24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enu display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68A (en) * 2002-10-24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enu display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919B1 (en) * 2010-12-29 201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13392129A (en) * 2021-06-28 2021-09-14 恒安嘉新(北京)科技股份公司 Menu search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392129B (en) * 2021-06-28 2024-04-12 恒安嘉新(北京)科技股份公司 Menu search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4680B2 (en) Method of dividing screen areas and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KR10074440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menu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U2415464C2 (en) Method, computer programme and graphic user interface for user input into electronic device
KR1017045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xt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RU2396727C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y of menu and submenu structure
US8082008B2 (en) User-interface and architecture for portable processing device
KR10139231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ebpage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956809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information inputting method using the same
JPWO2008010432A1 (en) User interface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9729691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recording of data
KR201200195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JP2006113637A (en) Portable terminal
WO2010052987A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10075463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40212B1 (en) Method of displaying a phrase on a wall pap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ini planar fun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10070501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ask Manager ind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635556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n the Mobile-Phone
US20110289408A1 (en) Menu path tracking and display of path steps
JP2006005695A (en) Portable terminal
US20060205440A1 (en) Multiple page sound tone dialog in communication device
KR10131460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KR10070194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hone number input enable for user to set and its setting method
KR100703437B1 (en) Method for standby screen displaying in wireless terminal
KR101054572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108781A (en) Method for providing jump key service in mobli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