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760B1 -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 Google Patents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760B1
KR100753760B1 KR1020000079433A KR20000079433A KR100753760B1 KR 100753760 B1 KR100753760 B1 KR 100753760B1 KR 1020000079433 A KR1020000079433 A KR 1020000079433A KR 20000079433 A KR20000079433 A KR 20000079433A KR 100753760 B1 KR100753760 B1 KR 100753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ores
top sheet
quercetin
disposable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314A (ko
Inventor
박형국
이원경
김상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0007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7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퀘르세틴, 바이칼린, 지실 물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피부보호제를 포함하는 유상 조성물이 상부시트에 적용된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시 상부시트와 피부와의 마찰을 줄이고 배설물과 피부와의 접촉을 일부 차단함으로써 피부 짓무름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피부 짓무름, 퀘르세틴, 바이칼린, 지실 물 추출물, 일회용 흡수제품

Description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Disposable absorptive product for prevention of ras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에 사용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의 제조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부직포 원료 공급기 2: 유상조성물 공급기
3: 압축성형기 4: 부직포 회수롤
5: 산화아연 공급기
본 발명은 피부 짓무름 억제를 위한 피부보호제를 포함하는 유상조성물이 적용된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부보호제로서 퀘르세틴(quercetin), 바이칼린(baicalin), 지실 물 추출물(synephrine extracts)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유상 조성물이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적용된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회용 흡수제품은 장시간 착용시 피부의 짓무름을 유발하여 사용이 기피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통기성을 강화하고 상부시트의 구조를 개선하는 등의 여러 방법을 시도하였지만 짓무름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는 못했다. 피부 짓무름은 상부시트와 피부와의 장시간에 걸친 마찰 및 배뇨 성분에 의한 피부의 pH의 변화에 의한 자극에 기인하는 것으로 마찰 및 배설물과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않고는 짓무름 발생을 억제할 수 없다.
이러한 피부 짓무름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부시트에 바셀린이 처리된 제품이 개발되었다. 이는 바셀린이 피부에 코팅되어 마찰을 완화하고 배설물의 피부 접촉을 일부 차단하기는 하지만,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했기 때문에 그 효과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짓무름 완화를 위해서 2차적으로 발생되는 짓무름 또는 염증을 억제 및 완화할 수 있는 소염 또는 살균 기능을 가지는 물질을 첨가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시 상부시트에 피부보호제를 포함하는 유상 조성물이 적용되어 피부 짓무름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은 피부보호제로서 퀘르세틴, 바이칼린, 지실 물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조성물을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적용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시트는 산화아연 분말 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은 피부보호제로서 퀘르세틴, 바이칼린, 지실 물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조성물을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적용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보호제로서의 퀘르세틴, 바이칼린 및 지실 물 추출물은 천연 성분으로서 피부 자극에 의한 짓무름 또는 염증을 억제 및 완화하는 성질이 있다. 퀘르세틴은 식물체에 널리 분포하는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항산화제 또는 항모세혈관 투과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항염증 효과가 알려져 있다. 바이칼린은 황금에서 추출한 것으로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효과가 알려져 있다. 지실은 탱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에 지실 달인 물을 바르곤 했으며, 주성분은 시네프린 및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로서 위염 및 소화 장애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퀘르세틴, 바이칼린 및 지실 물 추출물은 오래 전부터 사용해 온 천연 성분으로서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고 극히 안전하다. 특히 이들 물질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면 그 효과가 증대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피부보호제를 통상의 바셀린 기재 로션에 포함시킨 유상조성물을 흡수제품의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적용시켜 피부 짓무름 등을 예방토 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상조성물은 상온에서는 고형이며 40℃ 내외에서 반고형 상태가 되도록 조성되었으며, 각 성분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이다.
기존의 바셀린 기재 로션에 퀘르세틴, 바이칼린, 지실 물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조성물을 첨가하여 상부시트에 적용시킴으로써 피부 짓무름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완화할 수 있었다. 특히 이들 물질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면 그 효과가 증대되었다. 유상조성물을 상부시트에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이미 제조된 부직포에 유상조성물을 분무 코팅하는 방법과 부직포 제작시 압출 성형 전에 유상조성물을 분무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 원료 공급기(1)로부터 공급되는 원료가 압축성형기(3)를 거쳐 압축성형되기 전에 산화아연 공급기(5)를 통해 산화아연을 공급하여 상부시트에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유상조성물 공급기(2)로부터 공급되는 피부보호제를 포함하는 유상조성물도 유사하게 상부시트에 적용시킬 수 있다. 제조된 부직포는 부직포 회수롤(4)에 감겨 회수된다.
상기 상부시트는 산화아연 분말 1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한다. 산화아연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부직포를 상부시트로 하여 상기의 피부보호제를 포함하는 유상조성물을 적용시킬 경우 그 효과가 증대되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 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비교예 1
기존의 바셀린 기재 로션을 제조하고 부직포에 적용시켜 상부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피부 짓무름 효과를 높이고자 퀘르세틴, 바이칼린 및 지실 물 추출물의 천연 성분을 2종 이상 혼합 사용하여 유상조성물을 제조하고, 이것을 이미 제조된 부직포에 적용시켜 상부시트를 제조하였다. 천연 성분 각각의 농도는 짓무름 억제 효과와 용해도를 감안하여 예비 실험을 통해 설정하였다. 각각의 천연 성분은 1,3-부티렌글리콜에 녹여 유화하여 사용하였다. 바셀린, 고형 파라핀 및 유동 파라핀 등을 주성분으로 하였고 상기 유효 성분 외에 계면활성제(3%) 등이 포함되었다. 고형 파라핀은 실온에서는 고체이고 42 내지 50 ℃에서 녹는점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분무에 적합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유상조성물 저장 장치의 온도를 55 내지 90 ℃로 유지하여야 한다.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상부시트는 부직포 제조 공정 중에 산화아연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유상조성물을 부직포에 분무 코팅시, 유상조성물 분무의 폭은 부직포 너비의 90% 수준으로 하였으며, 수분의 통과성을 고려하여 0.5 내지 1 cm 너비의 띠 형태로 코팅하였으며, 띠간 간격은 0.5 cm 로 조절하였다. 분무압은 유상조성물이 0.003 g/㎠ 정도로 코팅될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천연 성분 1 퀘르세틴 0.5% 바이칼린 0.5% 퀘르세틴 0.5%
천연 성분 2 바이칼린 0.5% 지실 물 추출물 0.5% 바이칼린 0.5%
부직포 무처리 무처리 산화아연 분말 1% 첨가
실험예 1: 유상조성물이 처리된 상부시트의 짓무름 억제 효과 측정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유상조성물이 처리된 상부시트의 짓무름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등판 패치 시험을 수행하였다. 유상조성물이 처리 되지 않은 부직포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대조군, 비교예 및 실시예의 상부시트를 등판에 부착하고 24시간 경과 후 유효 성분이 피부에 전달되게 한 다음, 자극 유발 물질인 컴파운드 48/80(미국 시그마사)을 함침한 부직포를 다시 부착하여 24시간 경과 후 피부 자극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대조군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피부자극도 1.2 0.9 0.5 0.7 0.2
※ 측정기준 - 0: 자극 없음 1: 약간 발적 2: 심한 발적 3: 부종(edema) 형성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퀘르세틴, 바이칼린 및 지실 물 추출물의 천연 성분을 2종 이상 혼합 사용한 유상조성물의 피부 짓무름 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특히 부직포에 산화아연 분말을 첨가시킨 상부시트에 적용시 그 효과가 가장 좋았다.
실험예 2: 유상조성물이 도포된 상부시트를 활용한 일회용 기저귀의 짓무름 억제 효과
실험예 1의 결과로부터 효과가 가장 좋았던 실시예 3의 유상조성물이 도포된 상부시트를 활용한 일회용 기저귀를 시험군으로 하고, 실시예의 유상조성물 및 바셀린이 전혀 도포되지 않은 상부시트를 활용한 일회용 기저귀를 대조군으로 하여 실제 기저귀의 짓무름 억제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짓무름 때문에 고생하는 아이 각각 10명에게 7일간 대조군과 시험군의 기저귀를 착용하게 한 후, 짓무름 억제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실험자에게서 별다른 유의 사항이 관찰되지 않음에 비해 10명의 시험군 실험자 중 8명이 짓무름 완화 효과를 보였으며, 대조군 대비 약 90% 정도 완화되어 거의 짓무름이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종합한 결과, 퀘르세틴, 바이칼린, 지실 물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피부보호제를 포함하는 유상조성물을 일회용 기저귀의 상부시트에 적용시킴으로써 피부 짓무름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시트에 피부보호제를 포함하는 유상 조성물이 적용되어 사용시 피부 짓무름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피부보호제로서 바이칼린, 지실 물 추출물 또는 이들 혼합물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유상조성물을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적용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시트가 산화아연 분말 1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퀘르세틴 0.1 내지 10 중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KR1020000079433A 2000-12-21 2000-12-21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KR100753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433A KR100753760B1 (ko) 2000-12-21 2000-12-21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433A KR100753760B1 (ko) 2000-12-21 2000-12-21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314A KR20020050314A (ko) 2002-06-27
KR100753760B1 true KR100753760B1 (ko) 2007-08-31

Family

ID=2768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433A KR100753760B1 (ko) 2000-12-21 2000-12-21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5449A (zh) * 2011-10-11 2012-02-01 天津工业大学 含黄芩苷和皂石的纳米复合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92B1 (ko) * 2002-06-28 2005-12-19 이영근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천연 조성물
KR100887619B1 (ko) * 2007-05-04 2009-03-12 그린텍이십일 주식회사 기저귀 발진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일회용흡수제품 도포용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918A (ja) * 1984-08-20 1986-03-13 Ichimaru Fuarukosu Kk バイカリン又はバイカレイン含有化粧料用組成液
KR940010979A (ko) * 1992-11-17 1994-06-20 최근선 산화아연을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KR19990068100A (ko) * 1998-01-30 1999-08-25 조지안느 플로 피부의 상태를 알려주는 클렌징 패치
KR19990084624A (ko) * 1998-05-08 1999-12-06 성재갑 일회용 흡수제품
JP2000086494A (ja) * 1998-07-31 2000-03-28 L'oreal Sa 皮膚の美容トリ―トメント方法と該方法のためのパッチ
WO2000069484A1 (en) * 1999-05-19 2000-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kin care composition
KR20010011939A (ko) * 1999-07-31 2001-02-15 성재갑 퀘르세틴을 함유하는 두발조성물
KR20020046400A (ko) * 2000-12-14 2002-06-21 성재갑 피부보호제를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918A (ja) * 1984-08-20 1986-03-13 Ichimaru Fuarukosu Kk バイカリン又はバイカレイン含有化粧料用組成液
KR940010979A (ko) * 1992-11-17 1994-06-20 최근선 산화아연을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KR19990068100A (ko) * 1998-01-30 1999-08-25 조지안느 플로 피부의 상태를 알려주는 클렌징 패치
KR19990084624A (ko) * 1998-05-08 1999-12-06 성재갑 일회용 흡수제품
JP2000086494A (ja) * 1998-07-31 2000-03-28 L'oreal Sa 皮膚の美容トリ―トメント方法と該方法のためのパッチ
WO2000069484A1 (en) * 1999-05-19 2000-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kin care composition
KR20010011939A (ko) * 1999-07-31 2001-02-15 성재갑 퀘르세틴을 함유하는 두발조성물
KR20020046400A (ko) * 2000-12-14 2002-06-21 성재갑 피부보호제를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5449A (zh) * 2011-10-11 2012-02-01 天津工业大学 含黄芩苷和皂石的纳米复合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314A (ko)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808B1 (ko)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7879372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ear inflammation caused by dry ear
CN111228207B (zh) 祛湿疹护臀霜及其制备方法
WO2005097216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copper salts and soy products
DE69839040T2 (de) Brunnenkresseextrakt enthaltende zubereitung zur äusserlichen anwendung
KR101417710B1 (ko)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3760B1 (ko) 피부 짓무름 억제용 일회용 흡수제품
KR101566223B1 (ko)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
US3663716A (en) Method of treating acne with benzyl alcohol
KR20040026268A (ko)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손상된 피부 복구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JPH0253717A (ja) 歯磨または洗口料
KR20180062495A (ko)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7350B1 (ko) 커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46434A (zh) 一种纯天然护肤香皂及其制备方法
KR102218008B1 (ko) 알로에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1891333B1 (ko) 모낭충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9620B1 (ko) 택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0958B1 (ko) 박하, 계피, 오레가노,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효과를 갖는 기능성 샴푸 제조방법
JP4167740B2 (ja) 皮膚のかぶれ又はかゆみ防止剤
KR102417303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93776B1 (ko) 기능성 머드팩
KR101894633B1 (ko) 피부 건강 및 미용 효능 비누의 제조방법
US5266330A (en) Method for treating pressure ulcers using calendula
KR20080077452A (ko) 발모·육모 성장 촉진제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960015184B1 (ko)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