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532B1 -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532B1
KR100749532B1 KR1020040001285A KR20040001285A KR100749532B1 KR 100749532 B1 KR100749532 B1 KR 100749532B1 KR 1020040001285 A KR1020040001285 A KR 1020040001285A KR 20040001285 A KR20040001285 A KR 20040001285A KR 100749532 B1 KR100749532 B1 KR 10074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synchronous
asynchronous
pack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3098A (en
Inventor
김현욱
김영락
김남건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532B1/en
Priority to JP2006549120A priority patent/JP4713499B2/en
Priority to BRPI0506478-3A priority patent/BRPI0506478A/en
Priority to CN2005800020540A priority patent/CN1910837B/en
Priority to US10/585,405 priority patent/US7664074B2/en
Priority to PCT/KR2005/000051 priority patent/WO2005067179A1/en
Publication of KR2005007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0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5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도먼트 상태에서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을 제시한다.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handover method for enabling handover in a doped state for using packet data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are mixed are provided.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비동기망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동기망의 PDSN(Packet Data Service Node)이 상호 접속되어 있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도먼트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동기망에서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받고, 동기망으로 핸드오버를 명령하면,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망 간에 호 처리 및 채널 할당 과정과 트렁크 설정을 수행함으로써 동기망으로 이동한 이동통신 단말이 계속해서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of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of a synchronous network are interconnected, and thus, a packet data service is used for a packet data service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s reported that a handover is required i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when a handover is commanded to a synchronous network, call processing and channel allocation process and trunk setup are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network. By doing s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ing to the synchronous network continues to maintain the doping state.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킷 데이터 서비스 이용중 서비스 단절 현상 없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handover can be performed without using a service disconnection phenomenon while using a packet data service.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패킷 데이터, 핸드오버, 도먼트 상태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cket data, handover, dormant state

Description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조도,2 and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버 개념도,4A and 4B are conceptual diagrams of handover for a packet data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are mix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의 일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otocol stack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DBDM 이동통신 단말 20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10: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40 : IP망30: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40: IP network

50 : CP 서버 110, 150 : 안테나50: CP server 110, 150: antenna

120 : 비동기 모듈 130 : 동기 모듈120: asynchronous module 130: synchronous module

121, 131, 160 : 듀플렉서 122 :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 121, 131, 160: duplexer 122: asynchronous wireless transceiver                 

123 : 비동기 모뎀부 132 : 동기 무선 송수신부123: asynchronous modem unit 132: synchronous wireless transceiver

133 : 동기 모뎀부 140 : 공통 모듈133: synchronous modem unit 140: common module

170 : 멀티밴드 무선 송수신부 180 : 멀티모드 모뎀부170: multi-band wireless transceiver 180: multi-mode modem unit

190 : 기타 처리 모듈 210 : 노드B190: other processing module 210: node B

220 : 무선망 제어기 230 : 비동기 교환기220: wireless network controller 230: asynchronous switch

240 : SGSN 250 : GPRS망240: SGSN 250: GPRS network

260 : GGSN 310 : 기지국260: GGSN 310: base station

320 : 기지국 제어기/패킷 제어기 330 : 교환기320: base station controller / packet controller 330: switchboard

340 : PDSN/FA 350 : HA340: PDSN / FA 350: HA

360 : AAA360: AAA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망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동기망의 PDSN(Packet Data Service Node)이 상호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도먼트(dormant) 상태 중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over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and a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of a synchronous network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are mix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handover method for enabling handover in a dormant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interconnections are connected.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망은 세대를 거듭하여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는 2세대 또는 2.5세대망이라 불리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CDMA 이동통신 시스템)과 3세대망이라 불리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WCDMA 이동통신 시스템)이 공존하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have been changing for generations.Currently,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lled 2nd generation or 2.5 generation network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CDMA) called 3rd generation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coexist.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을 지원하기 위해 동기방식의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Dual Band Dual Mode Terminal; DBDM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함에 의해 비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및 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각각에서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global roam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being used in both a synchronous system and an asynchronous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us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s can be used in each of the asynchronous system domain and the synchronous system domain.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요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 중에 있고, 이에 따라 동기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서비스 영역이 비동기 방식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그런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아직 서비스 초기 단계에 있으며, 시스템 구현에 막대한 투자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없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 중첩된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Currently,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being built around regions with high service demands. Accordingly,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evolved to include service areas of asynchronous system. However,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till in the early stage of service, and because a huge investment cost is required to implement the syste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not be serviced in a large area, and thus,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uperimposed o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이 제한되기 때문에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비동기 영역에서 도먼트(dormant) 상태에 있던 중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동기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서비스가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since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limited, the service is disconnected when the subscriber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ves to the synchronous area where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not provided while the subscriber is in the dormant state in the asynchronous area. There is a problem.

여기에서, 도먼트 상태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 접속 중단 상태가 되었다가 데이터 통신 신호가 발생하면 바로 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만 약,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시 도먼트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면, 즉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완전히 해제된다면 이동통신 단말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접속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수행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접속 시간이 지연되는 등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ere, the dormant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s interrupted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packet data ser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n immediately transitions to an active state when a data communication signal is generated. If the dome state is not maintained during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if the packet data service is completely releas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Must be performed again from the beginning, and thu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quality of service is degraded, such as a delay in access time.

이와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공존하고 있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보다 작은 경우 비동기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exist, and th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handover for providing continuous packet data service between the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s required. It is necessar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동기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도먼트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동기망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동기망의 PDSN(Packet Data Service Node)간의 상호 접속 관계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망으로 핸드오버한 경우에도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즉시 개시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dormant state moves to the synchronous network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asynchronous network, the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and the synchronous network of the asynchronous network By performing a handover using the inter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PDSNs (Packet Data Service Nodes) of the mobile station,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handed over to the synchronous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can be started immediately and the packet data service can be started immediately.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in providing a system and a handover method.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은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도먼트 상태에 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SGSN/GGSN이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수신하는 제 1 과정; 상기 SGSN/GGSN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기지국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간에 호 처리 및 채널 할당이 수행되는 제 3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 호 처리 설정 관련 협상을 수행하는 제 4 과정;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렁크 설정을 수행하는 제 5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제 6 과정;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교환기로 채널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제 7 과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handset for packet data service of a dual-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synchronous modem unit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mixed. As an over method,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onnected to a packet data service node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in doment state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 first step of receiving a need for handover by an SGSN / GGS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it moves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econd step of instructing the SGSN / GGSN to perform handover to a base station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hird step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empts to make a call to the base station and performs call processing and channel allocation during an exchange perio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fourth process of negotiating a call processing setu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 fifth process of performing trunk setting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ixth step of initializing a radio link protoco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a seventh step of reporting, by the base station, that channel allocation is completed to the exchang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위주로 도시하였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mainly illustrates components for providing a packet data service.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10)은 듀얼 밴드 듀얼 모드(이하, 'DBDM'이라 함) 이동통신 단말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와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 가능한 형태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 템(30)과 선택적으로 무선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al band dual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simultaneously provide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may be selectively wirelessly connected to use voice and data servic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210), 노드 B(210)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RNC, 220), 무선망 제어기(22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교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교환기(MSC, 230), 무선망 제어기(22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5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240), SGSN(24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50)을 통해 연결되고, IP망(40)에 접속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260)을 포함한다.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is a Node B 210 as a base station for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220) for controlling the Node B 210, a radio network controller An asynchronous exchange (MSC) 230, a wireless network controller 220, and a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network 250 that is connected to the 220 and performs a call exchange for providing a voice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240, a SGSN 240, and a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network 250 that are connected between each other to maintain a location tr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perform access control and security functions. It is connected through the, and connected to the IP network 40 includes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260) to support the interworking with external packets.

또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이동통신 단말(1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310), 기지국(310)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관리 등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시 기지국 제어기(BSC)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패킷 제어기(Packet Control Function; PCF)(320),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330), 패킷 제어기(320)와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0)과 PPP 세션을 설정하고 외부 노드와 접속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등록을 위한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FA) 기능을 수행하여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40),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40)와 IP망(40) 간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코어망(DCN, 도시하지 않음), 이동통신 단말(10)의 인증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를 외부 에이전트로 전달하기 위한 홈 에이전트(Home Agent, 350), 이동통신 단말의 인증(Authentication), 권한부여(Authorization) 및 과금(Account) 기능을 수행하는 AAA(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is a base station 310 for supporting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310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packet data service A packet control function (PCF) 320 that performs a role similar to that of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in providing a packet data service, a switch (MSC) 330 connected to one or more base station controllers to perform a call exchange; It is connected to the packet controller 320 to establish a PPP sess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o connect with an external node, and performs a foreign agent (FA) function for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data core network (DCN) for suppor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340 and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340 and the IP network 40 to provide a packet data service to a subscriber. Well), the home agent (350)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delivering packet data to an external agent,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unt) AAA 360 to perform a function).

도시하지 않았지만,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교환기(230, 330)는 No.7 공통신호망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핸드오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GGSN(260)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PDSN(340)은 P-P(Packet Data- Packet Data)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어 신호 및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P-P 인터페이스는 원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DSN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인데, 이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GGSN(260)과의 통신에 적용함으로써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신호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switchboards 230 and 330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are interconnected by a No. 7 common signal network, and are required for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r the like.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GGSN 260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PDSN 340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may transmit control signals and traffic through a packet data packet data (P-P) interface. The P-P interface is originally an interf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PDSNs in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ay be applied to communication with the GGSN 260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facilitate signal exchange betwee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10)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두 시스템의 신호처리 상황을 전송하고 처리한다. In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o transmit and process the signal processing status of both systems.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일 예시도로서, 비동기망 및 동기망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기능부를 독립적으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a func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is independently implemented.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DBDM 이동통신 단말(10)은 안테나(110),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20),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30) 및 공통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enna 110, a module 120 for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module 130 for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common module 14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안테나(110)는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The antenna 110 may simultaneously process a frequency band for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frequency band f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비동기 모듈(12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21),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122) 및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비동기 모뎀부(123)를 포함하고, 동기 모듈(13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31),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동기 무선 송수신부(132)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기 모뎀부(133)를 포함한다.The asynchronous module 120 includes a duplexer 121 that operates as a band pass filter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respective frequencies, an asynchronous wireless transceiver 122 for sepa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a wireless section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ncludes an asynchronous modem unit 123 for processing a protocol, the synchronization module 130 is a duplexer 131, which operates as a band pass filter for processing each of the different frequency, synchronous radio for sepa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It include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32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133 for processing a wireless section protocol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공통 모듈(140)은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 기타 응용 처리부 등을 포함한다.The common module 140 includes an application processor, a memory, an input / output unit, other application processing units, etc. that operate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and perform multimedia functions.

또한, DBDM 이동통신 단말(1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각종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equipped with software for user interface, additional service, mobility management, access / session control, resource control, and protocol processing, so that a user can use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and perform handover. Performs protocol convers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에서, 공통 모듈(140)에 의해 비동기 모듈(120)의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듈(130)의 동기 모뎀부(133)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 중 어느 하나의 모뎀부가 전체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on module 140 may control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of the asynchronous module 120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of the synchronous module 130. The modem unit of any one of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may control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다른 예시도로서, 비동기망 및 동기망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기능부가 일체형으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3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a functional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is integrally implemented.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DBDM 이동통신 단말(10)은 안테나(150), 듀플렉서(160), 멀티밴드 무선 송수신부(170), 멀티모드 모뎀부(180) 및 기타 처리 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enna 150, duplexer 160, multi-band wireless transceiver 170, multi-mode modem unit 180 and other processing module 19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안테나(150)는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The antenna 150 may simultaneously process a frequency band for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frequency band f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듀플렉서(160)는 비동기망으로부터의 주파수 및 동기망으로부터의 주파수를 각각의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고, 멀티밴드 무선 송수신부(170)는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며, 멀티모드 모뎀부(180)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한다.The duplexer 160 operates as a band pass filter for separately processing a frequency from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frequency from a synchronous network, and the multiband wireless transceiver 170 separat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into predetermined frequency bands, and The mode modem unit 180 processes a wireless section protocol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타 처리 모듈(190)은 멀티모드 모뎀부(180)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 기타 응용 처리부 등을 포함한다.The other processing module 190 includes an application processor, a memory, an input / output unit, other application processing unit, etc. that operate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multimode modem unit 180 and perform a multimedia function.

또한, DBDM 이동통신 단말(1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각종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equipped with software for user interface, additional service, mobility management, access / session control, resource control, and protocol processing, so that a user can use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and perform handover. Performs protocol convers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 및 모뎀부를 일체화하여 구현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1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모뎀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As such, when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and the modem unit are integrated,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n be reduce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modem memory can be shared. .

도 4a 및 4b는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도먼트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개념도이다.4A and 4B are conceptual diagrams of hando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donor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are mixed.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또는 핸드오프)는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서비스의 단절 현상 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망에서, DBDM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 영역(B)에서 비동기 영역(A)으로 이동한 경우와, 이동통신 단말(10)이 비동기 영역(A)에서 동기 영역(B)으로 이동한 경우 중에서, 후자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or handoff) refers to a technology that enables a user to communicate without disconnection of servic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from one cell to another ce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over method of a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network in which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mixed, and a cas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oves from a synchronous area B to an asynchronous area A. In the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oves from the asynchronous area A to the synchronization area B,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ly to the latter.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비동기 영역(A)에서 이동통신 단말은 노드B(210)와 세션이 설정되어 있고 모바일 IP가 할당되어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발생하면 SGSN(240), GGSN(260)을 통해 IP망(40)에 접속되어 CP 서버(50)에서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도먼트 상태에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A, in the asynchronous area 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ession established with a node B 210 and a mobile IP is assigned, and when a data signal is generated, the SGSN 240 and the GGSN 260. It is connected to the IP network 40 through the doped state that can use the packet data service provided by the CP server 50.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10)이 비동기 영역(A)과 동기 영역(B)의 중첩 영역(C)을 통해 점차 동기 영역(B)으로 접근함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노드 B(210)와 이동통신 단말(10)간의 송수신 전력이 점차 감쇄되게 되며, 전력 감쇄를 감지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단말의 접근을 감지한 동기 이동통 신 시스템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SGSN/GGSN(240, 260)으로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한다. 이에 따라 SGSN/GGSN(240, 260)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310)으로 핸드오버를 명령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호 설정 및 트렁크 설정이 이루어진다.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gradually approaches the synchronization area B through the overlap area C of the asynchronous area A and the synchronization area 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oves with the node B 210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wer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s 10 is gradually attenuated,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tecting power loss or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tecting ac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GSN / GGSN (240, 260)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port handover is required. Accordingly, the SGSN / GGSN 240 and 260 commands a handover to the base station 310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by making a call setup and trunk setu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에서, 비동기망의 GGSN(260)과 동기망의 PDSN(340)이 P-P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어 신호 및 트래픽을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10)이 노드B(210)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동기망의 BTS(310)와 접속되더라도 비동기망의 GGSN(260)에서 할당한 모바일IP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동기망에서 새로운 모바일 IP를 할당하지 않아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GSN 260 of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PDSN 340 of the synchronous network can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signals and traffic by the PP interfa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NodeB 210. In addition, even when connected to the BTS 310 of the synchronous network, the mobile IP allocated by the GGSN 260 of the asynchronous network can be used continuously.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allocate a new mobile IP in the synchronous network.

결과적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B)으로 핸드오버한 이동통신 단말은 BTS(310), PCF(320), PDSN(340)을 통해 PDSN(340)과 P-P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GGSN(260)과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a result, referring to FIG. 4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nding 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B is asynchronously interfaced with the PDSN 340 through the BTS 310, the PCF 320, and the PDSN 340. The dosing state is maintained with the GGSN 26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와 같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B)으로 핸드오버한 이동통신 단말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며, 이후 데이터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As su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nded 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B maintains the dormant state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hen the data signal occurs, the packet data service is immediately available. Transition to the enabled state.

이러한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비동기망에서 도먼트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망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동기망의 노드B(210)는 이동통신 단말(10)과의 송수신 전력 감쇄를 인지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SGSN/GGSN(240, 260)으로 보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비동기 영역에서 벗어났음을 알린다(SRNS Relocation Required)(S101). 이때, 이동통신 단말(10)의 식별 번호를 함께 전송한다. 또한, SGSN/GGSN(240, 260)으로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하는 단계(S101)은 이동통신 단말의 접근을 감지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TS, 310)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the dormant state in the asynchronous network moves to the synchronous network area, the node B 210 of the asynchronous network recognizes a decrease in transmission / reception power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needs hando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 of the asynchronous area by reporting it to SGSN / GGSN (240, 260) (SRNS Relocation Required) (S101).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transmitted together. In addition, the step (S101) of reporting the need for handover to the SGSN / GGSN (240, 260) may be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BTS, 310)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detects the ac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받은 SGSN/GGSN(240, 260)은 동기망의 기지국(BTS, 31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SRSN Relocation Command, S102). 또한, 노드B(210)는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데(HANDOVER FROM UTRAN CMD)(S103), 이 메시지에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관련 메시지가 포함되며, 특히 채널 할당, 트래픽 채널 진입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SGSN / GGSN (240, 260) reported that the handover is required to command the base station (BTS, 310) of the synchronization network to perform the handover (SRSN Relocation Command, S102). Further, the Node B 210 instructs hando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NDOVER FROM UTRAN CMD) (S103). The message includes a message related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information related to channel allocation, traffic channel entry, and the like. Will be included.

이후, 이동통신 단말은 ORM(Origination Message)를 이용하여 기지국(BTS, 310)로 발신을 시도하고(ORM[DRS=1, APN name])(S104), 이에 따라 기지국(310)과 교환기(330)간에 호 처리 및 채널 할당이 수행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시도에 따라 기지국(310)은 교환기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CM Serv. Req.)(S105), 교환기(330)는 기지국(310)으로 채널 할당을 요청하며(Assign. Req.)(S106), 이를 수신한 기지국(310)이 이동통신 단말로 채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한다(ECAM; Extended Channel Assignment Message)(S107). There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empts to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BTS, 310) using an ORM (Origination Message) (ORM [DRS = 1, APN name]) (S104),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310 and the switch 330 Call processing and channel allocation are performed between In more detail, in response to an attempt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se station 310 transmits a service request message to the exchange (CM Serv. Req.) (S105), and the exchange 330 allocates a channel to the base station 310. (Assign. Req.) (S106), and the base station 310 receives this transmits a channel assignment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CAM; Extended Channel Assignment Message (SCAM) (S107).                     

다음에, 이동통신 단말(동기 모듈)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310) 간에 호 처리 설정 관련 협상(negotiate and connect service)이 이루어지고(S108) 트렁크 설정 과정이 수행된다. 트렁크 설정 과정은 A-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310)이 패킷 제어기(PCF, 320)로 트렁크 설정을 요청하면(A9 Setup-A8)(S109), 패킷 제어기(320)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40)으로 트렁크 설정을 요청하면, (A11 RRQ)(S110), 비동기망의 SGSN/GGSN(240, 260)과 동기망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고(P-P Setup)(S111),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40)는 패킷 제어기(320)로 트렁크 설정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A11 RRP(S112). 이후,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40)의 응답 신호를 패킷 제어기(320)가 기지국(310)으로 전송한다(A9 Connect-A8)(S113).Next, a negotiation and call service setup negoti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nchronization module) and the base station 310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108), and a trunk setup process is performed. The trunk setup process may be performed by the A-interface. More specifically, when the base station 310 requests the trunk setup to the packet controller (PCF) 320 (A9 Setup-A8) (S109), the packet controller ( When the 320 requests a packet establishment to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340), (A11 RRQ) (S110), a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SGSN / GGSN (240, 260) of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of the synchronous network. At step PP111 (S111),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34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or establishing a trunk to the packet controller 320 (A11 RRP S112).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340 then responds. The packet controller 320 transmits a signal to the base station 310 (A9 Connect-A8) (S113).

이와 같이, 트렁크 설정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과 기지국(310) 간에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RLP)의 초기화가 수행되고(RLP Initialization)(S114), 기지국(310)은 교환기(330)로 채널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함으로써(Assignment Complete)(S115),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PDSN(340)을 통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GGSN(260)과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uch, when trunk setting is completed, initialization of a radio link protocol (RLP) is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310 (RLP Initialization) (S114), and the base station 310 moves to the exchange 330. By reporting that the channel assignment is completed (Assignment Complete) (S11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tains the doping state with the GGSN 260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PDSN 340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에서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PDSN(340)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GGSN(260)과 P-P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먼트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한 경우 새로운 모바일 IP를 할당하지 않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할당한 모바일 IP에 의해 계속해서 도먼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DSN 340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onnected to the GGSN 260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the PP interfa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dormant state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case of moving to a new mobile IP, the mobile IP allocated by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maintain the doping stat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의 일 예시도로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DBDM 이동통신 단말에서 공통 모듈(140)이 이동통신 단말을 제어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적용 가능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otocol stack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pplied when the common module 140 has a structure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2. Represents a possible user plane protocol stack.

본 발명에서, 비동기망의 GGSN(260)은 동기망의 PDSN(340)과 P-P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따라서, GGSN(260)은 IP망(40)과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비동기망의 GSSN(240)과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및 동기망의 PDSN(340)과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갖는다. 세 가지 경우의 프로토콜 모두 코딩, 변조 등을 수행하기 위한 계층(L1, 물리계층) 및 메시지의 정확한 전송을 위한 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계층(L2)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GSN 260 of the asynchronous network is interconnected by the PDSN 340 of the synchronous network and the PP interface, so that the GGSN 260 is a protocol for the communication with the IP network 40, asynchronous network Protocol for communication with the GSSN 240 and the PDSN 340 for the synchronous network. All three protocols have a layer (L1, physical layer) for performing coding, modulation, and the like, and a layer (L2) for processing a response for the correct transmission of a message.

보다 구체적으로, GGSN(260)은 IP망(40)과의 통신을 위해 L1, L2 외에 IP 계층, 계층(L2)의 터널링을 위한 계층을 포함하고, SSSN(240)과 Gn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하여 L1, L2 외에 IP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서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는 UDP/IP 계층, 패킷 데이터와 정보 흐름을 정의하기 위한 GTP(GPRS Tunneling Protocol)-U 계층을 포함하며, PDSN(340)과 P-P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하여 L1, L2 외에 UDP/IP 계층, 패킷의 암호화, 압축 등을 수행하기 위한 GRE(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계층 및 링크의 접속과 해지를 위한 링크 관리, 동기화 문제,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등을 수행하기 위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이밍 계층을 포함한다. 또한, SGSN(240)과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 및 PDSN(340)과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은 PPP(Point-to-Point Protocol) 계층을 더 포함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패킷의 압축, 인증,IP 할당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GGSN 260 includes a layer for tunneling an IP layer and a layer L2 in addition to L1 and L2 for communication with the IP network 40, and communicates with the SSSN 240 through a Gn interface. In addition to the L1 and L2, a UDP / IP layer for performing message exchange in a system that transmits data using IP, and a GPRS Tunneling Protocol (GTP) -U layer for defining packet data and information flow, and a PDSN (340). Link management, synchronization problem, and flow for connection and termination of GRE (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layer and link to perform UDP / IP layer, packet encryption, compression, etc. in addition to L1 and L2 It includes a 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framing layer for performing control, error contro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rotocol stack for communication with the SGSN 240 and the protocol stack for communication with the PDSN 340 further include a Point-to-Point Protocol (PPP) layer to compress and authenticate packets for data communication. , IP assignment, etc. are performed.

다음으로, SGSN(240)은 GGSN(260)과 Gn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며, GGSN(26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에 대응하는 L1bis 계층, L2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의 생성, 추출, 교환 등을 수행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을 포함하고, 그 이상의 계층(UDP/IP, GTP-U)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다.Next, the SGSN 240 is connected to the GGSN 260 by the Gn interface, and generates packet data corresponding to the L1bis layer and the L2 layer corresponding to the L1 layer for protocol conversion used by the GGSN 260. It includes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layer that performs extraction, exchange, and the like, and does not perform protocol conversion for data used in higher layers (UDP / IP and GTP-U).

또한, 노드B/무선망 제어기(210, 220)는 SGSN(240)과 Iu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며, SGSN(24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bis 계층에 대응하는 L1 계층, ATM 계층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등을 수행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UDP/IP 계층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 링크 설정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의 조합, 분할 등을 수행하기 위한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GTP-U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 헤더의 압축 등을 수행하기 위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s 210 and 220 are connected by the SGSN 240 and the Iu interface, and correspond to the L1 layer and the ATM layer corresponding to the L1bis layer for protocol conversion used by the SGSN 240. To set up a radio link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sponse to a MAC (Media Access Control) layer and a UDP / IP layer to perform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media data processing, and to perform a combination and partitioning of packet data. It includes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layer for compressing a packet data header in correspondence with a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and a GTP-U layer.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123)는 노드B/무선망 제어기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은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MAC/RLC/PDCP 계층에 대응하여 링크의 접속과 해지를 위한 링크 관리, 동기화 문제,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등을 수행하기 위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이밍 계층을 포함하고, GGSN(260)의 PPP 계층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PPP 계층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perform protocol conversion in the L1 layer to convert the protocol used in the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and the connection of the link corresponding to the MAC / RLC / PDCP layer A PPP layer for receiving data by the PPP layer of the GGSN 260, including a 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framing layer for performing link management, synchronization problems, flow control, and error control for revocation. Include.

한편, PDSN(340)은 GGSN(260)과 P-P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며, GGSN(26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에 대응하는 L1bis 계층, L2 계층에 대응하여 패킷 데이터의 생성, 추출, 교환 등을 수행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을 포함하고, 그 이상의 계층(UDP/IP, GRE)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PDSN 340 is connected to the GGSN 260 and the PP interface, and generates and extracts packet data corresponding to the L1bis layer and the L2 layer corresponding to the L1 layer for protocol conversion used by the GGSN 260. It includes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layer for performing exchanges, and the like, and does not perform protocol conversion for data used in higher layers (UDP / IP and GRE).

또한, 기지국/패킷 제어기(310, 320)는 PDSN(340)과 A-인터페이스(A10)에 의해 접속되며, PDSN(34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bis 계층에 대응하는 L1 계층, ATM 계층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등을 수행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UDP/IP 계층에 대응하여 무선 구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의 재전송을 요구하기 위한 RLP(Radio Link Protocol) 계층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 packet controllers 310 and 320 are connected by the PDSN 340 and the A-interface A10, and for the protocol conversion used by the PDSN 340, an L1 layer and an ATM layer corresponding to the L1bis lay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a frame in which an error occurs in order to prevent an error occurring in a wireless section in response to a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and a UDP / IP layer for perform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media data processing, RLP (Radio Link Protocol) layer is included.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133)는 기지국/패킷 제어기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은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MAC/RLP 계층에 대응하여 링크의 접속과 해지를 위한 링크 관리, 동기화 문제,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등을 수행하기 위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이밍 계층을 포함하고, GGSN(260)의 PPP 계층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PPP 계층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perform protocol conversion in the L1 layer to convert the protocol used by the base station / packet controller, and the link for connection and termination of the link corresponding to the MAC / RLP layer It includes a 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framing layer for performing management, synchronization problems, flow control, error control, and the like, and includes a PPP layer that receives data by the PPP layer of the GGSN 260.

마지막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공통 모듈(140)은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프로토콜 변환을 위하여 L1 계층, PPP 계층, IP 계층, 전송(Transport) 계층, 응용(Application) 계층을 포함한다.Lastly, the common module 1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L1 layer, a PPP layer, an IP layer, a transport layer, for protocol conversion of data received from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Contains the Application layer.

본 실시예에서,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는 단순히 통신 기능만 담당하며, 공통 모듈에서 PPP와 IP 계층 상위단의 프로토콜이 설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are merely responsible for the communication fun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otocol of the upper end of the PPP and IP layer in the common module.

본 발명에서는 비동기망의 GGSN과 동기망의 PDSN이 P-P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듈(120)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도먼트 상태에 있던 중,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채널 할당 및 트렁크 설정을 수행한 후, 동기망의 PDSN을 통해 비동기망의 GGSN을 경유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도먼트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GSN of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PDSN of the synchronous network are connected by the PP interface, the asynchronous module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n a dormant state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moves to the synchronization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performs channel allocation and trunk setting for the packet data service from the synchronization network, and then packet data service via the GGSN of the asynchronous network through the PDSN of the synchroniz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maintain the doping state for us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먼트 상태에 있던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GGSN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PDSN과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새로운 모바일 IP를 할당하지 않고 계속해서 도먼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즉시 반응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mixed, when the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dormant state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ves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interface between the GGS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PDSN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lows the mobile device to remain in dormant state without allocating a new mobile IP, thereby enabling immediate response to packet data services,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Claims (9)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은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접속되어 있으며,A handover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of a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synchronous modem unit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mixed, the GGS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ateway GPRS Support Node) is connected to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도먼트 상태에 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SGSN/GGSN이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수신하는 제 1 과정;A first step of receiving a handover of the SGSN / GGS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in dormant state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ves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SGSN/GGSN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과정;A second step of instructing the SGSN / GGSN to perform handover to a base station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기지국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간에 호 처리 및 채널 할당이 수행되는 제 3 과정;A third step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empts to make a call to the base station and performs call processing and channel allocation during an exchange perio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 호 처리 설정 관련 협상을 수행하는 제 4 과정;A fourth process of negotiating a call processing setu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렁크 설정을 수행하는 제 5 과정;A fifth process of performing trunk setting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제 6 과정; 및A sixth step of initializing a radio link protoco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교환기로 채널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제 7 과정;A seventh step of reporting, by the base station, that channel allocation is completed to the exchange; 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과정에서 상기 SGSN/GGSN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노드B 또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In the first step, the SGSN / GGSN receives a handover report from the Node B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the base station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과정에서 상기 SGSN/GGSN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 번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In the first process, the SGSN / GGSN is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과정에서 상기 SGSN/GGSN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 수행 명령 메시지는 채널 할당 정보, 트래픽 채널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In the second process, the SGSN / GGSN handover execution command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andov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traffic channel entry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시도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교환기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The third process includes the step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a service request message to the exchange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attemp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교환기가 상기 기지국으로 채널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및The exchange requesting channel allocation to the base station; And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채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base station, a channel assignment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5 과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제어기로 트렁크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The fifth process includes the step of the base station requesting the establishment of a trunk to the packet controller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패킷 제어기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트렁크 설정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The packet controller requesting to establish a trunk to a packet data service node and receiving a response; And 상기 패킷 제어기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응답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The packet controller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of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to the base station;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은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P-P(패킷 데이터-패킷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The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onnected to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a packet data-packet data (P-P) inte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01285A 2004-01-08 2004-01-08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KR100749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285A KR100749532B1 (en) 2004-01-08 2004-01-08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JP2006549120A JP4713499B2 (en) 2004-01-08 2005-01-07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coexist
BRPI0506478-3A BRPI0506478A (en) 2004-01-08 2005-01-07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mixe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transfer method
CN2005800020540A CN1910837B (en) 2004-01-08 2005-01-07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US10/585,405 US7664074B2 (en) 2004-01-08 2005-01-07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PCT/KR2005/000051 WO2005067179A1 (en) 2004-01-08 2005-01-07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285A KR100749532B1 (en) 2004-01-08 2004-01-08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098A KR20050073098A (en) 2005-07-13
KR100749532B1 true KR100749532B1 (en) 2007-08-16

Family

ID=3726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285A KR100749532B1 (en) 2004-01-08 2004-01-08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53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9141A1 (en) 1998-12-11 2000-06-14 Lucent Technologies Inc. Two phase local mobility scheme for wireless access to packet-based networks
KR20010059522A (en)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and-off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58563A (en) * 2000-12-30 2002-07-12 조정남 Pseudo HLR system and method
KR20040042493A (en) * 2002-11-14 2004-05-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o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rom Asynchronous Network to Synchronous Network of IMT-2000Using Termination Control System
KR20050053869A (en) * 2003-12-03 2005-06-10 이노에이스(주) Dual-mode 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nd-off in the dual-mode mobi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9141A1 (en) 1998-12-11 2000-06-14 Lucent Technologies Inc. Two phase local mobility scheme for wireless access to packet-based networks
KR20010059522A (en)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and-off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58563A (en) * 2000-12-30 2002-07-12 조정남 Pseudo HLR system and method
KR20040042493A (en) * 2002-11-14 2004-05-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o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rom Asynchronous Network to Synchronous Network of IMT-2000Using Termination Control System
KR20050053869A (en) * 2003-12-03 2005-06-10 이노에이스(주) Dual-mode 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nd-off in the dual-mode 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098A (en)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709B2 (en)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JP4713499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coexist
US7372835B2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RU2369986C2 (en) Method for service switching with commutation of packets
JP3917427B2 (en) Connect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060099949A1 (en) Handover system and method in heterogeneous network
US20060046728A1 (e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KR20020016892A (en) Independant synchronisation of ppp links on um and rm interfaces
JP2007518341A (en) Handover method betwe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910837B (en)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KR100706893B1 (en)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JP2007534265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acket handover method for enabling packet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KR100749532B1 (en)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US7869406B2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779403B1 (en)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KR101005176B1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1038982B1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FID Detector therefor
KR100589953B1 (en) Hand Over Method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63632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handovver on cellular system using the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KR100612683B1 (en) Decision Method of Initial Transmitting Pow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460023B1 (en) Dormant Handoff Method In The Packet Data Service Network
KR100612676B1 (en) Handover Method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