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032B1 -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032B1
KR100749032B1 KR1020050124057A KR20050124057A KR100749032B1 KR 100749032 B1 KR100749032 B1 KR 100749032B1 KR 1020050124057 A KR1020050124057 A KR 1020050124057A KR 20050124057 A KR20050124057 A KR 20050124057A KR 100749032 B1 KR100749032 B1 KR 10074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ychological
picture
diagnosis
symptom
symp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813A (ko
Inventor
김성인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24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03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그림을 이용하여 심리증상을 진단하는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에 있어서, 그림특징, 개인환경, 심리장애 및 심리증상의 4가지 구성요소와 4가지 구성요소 간의 추론관계인 표준진단, 심리진단, 제1 피드백, 제2 피드백 및 제3 피드백을 이용하여 진단대상자의 그림특징, 개인환경, 심리장애로부터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다양한 전문 지식을 체계적으로 컴퓨터에서 구현하여 전문가의 작업과 판단에 도움을 주고 비전문가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고, 지식의 획득 및 축적, 지식의 구체화, 지식의 신뢰성 향상, 새로운 연구 결과의 해석, 적절한 그림주제의 선택 및 적용 및 각종 컴퓨터 기능의 활용을 가능케 하며, 미술치료 전문가의 생각(진단, 판단)하는 과정을 모델화한다.
미술치료, 심리증상, 심리진단, 지식베이스, 전문가 시스템

Description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a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특징을 테이블(table)화한 도면.
도 3은 그림특징 중 주제별특징 간의 상속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환경을 테이블화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증상을 테이블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장애를 테이블화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을 이용하여 심리증상을 진단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온톨로지 중 그림특징(D1) 온톨로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진단 온톨로지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추론 엔진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의 사용예.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사례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710 : 그림특징 추출 모듈
720 : 표준진단 모듈
730 : 제1 피드백 모듈
740 : 출력 모듈
750 : 심리진단 모듈
760 : 제2 피드백 모듈
770 : 제3 피드백 모듈
본 발명은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림의 투 사기능을 통해 진단대상자의 심리증상을 도출하고 진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림의 투사(projective) 기능에 의한 심리진단(이하 '그림진단'이라 함)의 유용성은 널리 인정받고 있다. 특히 아동의 그림은 아동들의 심리진단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아동들은 내면의 감정을 그림을 통하여 나타내기 때문에, 아동의 그림은 수천마디의 말과 같은 가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심리적으로 충격을 받은 아동은 그에 대한 공포, 불안 등의 느낌을 표현할 언어 능력이 부족하거나 그것을 발설하는 것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아동이 그린 그림은 적절한 표현 수단이 되어 정신적 외상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그림에서 드러나는 그림특징과 아동의 심리증상 간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다. 또한, 그림특징에는 아동 개인이 자라온 문화, 배경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expert)에 의한 그림 분석으로 그림진단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전문가의 주관적인 지식, 경험 또는 노하우(know-how)에 따라 그 결과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때로는 일관성이 없고 상충적이기도 한다. 그림진단 분야는 명확하고 객관적인 해법이 존재하지 못하고 다양하고 주관적이고 모호하고 불확실하며 때로는 상충적인 해답이 존재하는 불분명한 체계(ISP; Ill-Structured Paradigm)이다.
따라서, 비전문가인 부모나 교사들이 그들의 자녀나 학생들에 대해서 직접 그림진단을 실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그림진단이 가능한 전문가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더욱이 그림진단에는 미술, 심리, 임상, 통계 등 다양한 분 야의 전문 지식이 필요하며, 한 사람이 이러한 다방면의 전문 지식을 모두 갖추기는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그림진단에 사용되는 지식은 관련 전문 서적이나 학술잡지에 무수히 발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그림특징과 심리증상을 일대일로 대응시켜 놓은 간단한 관계들일 뿐이고, 원인 및 결과 간의 복잡한 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지 못하다. 또한, 이러한 지식들도 명확한 체계가 없이 무질서하게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분명한 체계(ISP) 특성을 가지는 그림진단 분야에서 자연 언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로보틱스(Robotics),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 등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분야에서 활용되는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을 이용하여 진단대상자의 심리증상을 진단할 수 있는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다양한 전문 지식을 체계적으로 컴퓨터에서 구현하여 전문가의 작업과 판단에 도움을 주고 비전문가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식의 획득 및 축적, 지식의 구체화 및 체계화, 지식의 신뢰성 향상, 새로운 연구 결과의 해석, 적절한 그림주제의 선택 및 적용, 진단과정에서의 도움, 비전문 사용자의 활용 및 각종 컴퓨터 기능의 활용을 가능케 하는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림을 이용하여 심리증상을 진단하는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에 있어서, 진단대상자의 그림을 입력받고, 상기 그림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그림특징을 추출하는 그림특징 추출 모듈; 상기 그림특징에 상응하는 표준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표준진단 모듈; 상기 진단대상자의 개인환경을 입력받고, 상기 개인환경에 따라 상기 표준 심리증상을 변환한 환경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제1 피드백 모듈; 및 상기 표준 심리증상 및 상기 환경 심리증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준진단 모듈은 상기 그림특징 및 상기 표준 심리증상 간의 매칭 테이블(matching table)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피드백 모듈은 상기 그림특징, 상기 개인환경 및 상기 환경 심리증상 간의 매칭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림특징은 상기 그림의 선(line), 구조 및 색깔(color)로 분류되는 일반특징 및 상기 그림의 주제에 따른 주제별특징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림의 주제는 자화상, 인물화, 집-나무-사람, 가족화, 동적 가족화, 집단 그림 및 학교 생활 그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환경은 나이, 성별, 국적, 문화권, 인적관계, 사회적환경, 심리적환경, 신체적환경, 공간적환경 및 경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된 상기 진단대상자의 심리장애에 따른 장애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심리진단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환경으로부터 상기 심리장애를 추론하고 상기 심리진단 모듈에 입력하는 제2 피드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피드백 모듈은 상기 개인환경 및 상기 심리장애 간의 매칭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리장애는 초기 임상적 문제, 성격/정신적 문제, 의학적 문제 및 환경/심리사회적 문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리진단 모듈은 상기 심리장애 및 상기 장애 심리증상 간의 매칭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준진단 모듈로부터의 표준 심리증상, 상기 제1 피드백 모듈로부터의 환경 심리증상 및 상기 심리진단 모듈로부터의 장애 심리증상을 입력받고, 상기 표준 심리증상, 상기 환경 심리증상 및 상기 장애 심리증상을 비교하여 최종 심리증상을 추론하며, 상기 최종 심리증상을 상기 출력 모듈로 전달하는 제3 피드백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최종 심리증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 심리증상, 상기 환경 심리증상, 상기 장애 심리증상 및 상기 최종 최종 심리증상은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생리적, 행동적 및 사회적 증상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진단 모듈, 상기 심리진단 모듈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피드백 모듈은 지식 기반의 추론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칭 테이블은 업데이트(update)가 가능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그림을 이용하여 심리증상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진단대상자의 그림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그림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그림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그림특징에 상응하는 표준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단계; (d) 상기 진단대상자의 개인환경을 입력받는 단계; 및 (e) 상기 개인환경에 따라 상기 표준 심리증상을 변환한 환경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증상 진단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림특징은 상기 그림의 선, 구조 및 색깔로 분류되는 일반특징 및 상기 그림의 주제에 따른 주제별특징으로 나뉠 수 있고, 상기 그림의 주제는 자화상, 인물화, 집-나무-사람, 가족화, 동적 가족화, 집단 그림 및 학교 생활 그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환경은 나이, 성별, 국적, 문화권, 인적관계, 사회적환경, 심리적환경, 신체적환경, 공간적환경 및 경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f) 상기 진단대상자의 심리장애를 입력받는 단계; 및 (g) 상기 심리장애에 상응하는 장애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f)는 상기 심리장애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개인환경에 의해 추론되어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리장애는 초기 임상적 문제, 성격/정신적 문제, 의학적 문제 및 환경/심리사회적 문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h) 상기 표준 심리증상, 상기 환경 심리증상 및 상기 장애 심리증상을 비교하여 최종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 심리증상, 상기 환경 심리증상, 상기 장애 심리증상 및 상기 최종 최종 심리증상은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생리적, 행동적 및 사회적 증상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종 심리증상의 수정 또는 변경이 없을때까지 상기 단계 (a) 내지 (h)를 반복하되, 상기 그림, 상기 개인환경 및 외부로부터의 상기 심리장애는 한번만 입력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개체를 순차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특징을 테이블(table)화한 도면이고, 도 3은 그림특징 중 주제별특징 간의 상속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환경을 테이블화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증상을 테이블화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장애를 테이블화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은 4개의 요소(D1 내지 D4)와 5가지 관계(f1 내지 f5)로 이루어진다.
4개의 요소는 그림특징(D1), 개인환경(D2), 심리증상(D3), 심리장애(D4)가 되고, 4개의 요소 사이의 5가지 관계는 표준진단(f1), 심리진단(f2), 제1 피드백(f4), 제2 피드백(f3), 제3 피드백(f5)로 구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림특징(D1)은 크게 일반특징과 주제별특징으로 구분된다.
일반특징은 그림의 구조(composition), 선(line), 색깔(color)로 분류된다. 구조(composition)는 그림의 균형, 위치, 크기, 공간 사용법 등으로 다시 소분류되 어진다. 위치의 세부내용으로는 좌, 우, 상, 하, 좌상, 좌하, 우상, 우하, 중앙이 있고, 크기의 세부내용으로는 지나치게 큰 경우와 지나치게 작은 경우로 나뉜다. 선(line)은 필압과 모양으로 다시 소분류되어지며, 필압은 강함, 약함 또는 모두 존재의 세부내용을 가지게 된다. 색깔(color)은 주조색, 복합색, 혼합색으로 소분류되어지고, 검정색, 흰색, 보라색, 빨강색, 주황색, 파랑색, 노랑색, 고동색 등의 세부내용을 가지게 된다. 주조색은 그림의 전체 분위기를 결정하는 색 또는 가장 많이 쓰인 색을 의미한다. 또한, 색깔은 사용한 가지수에 따라 특정 개수 이하와 이상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주제별특징은 그림의 주제에 따라 인물화(DAP; Drawing A Person), 동적 가족화(KFD; Kinetic Family Drawing), 집-나무-사람(HTP; House-Tree-Person) 등으로 분류된다. 인물화(DAP)는 자화상(DYS; Drawing YourSelf)을 포함하기도 하며, 부위 특성(남, 여), 그려진 수, 지수 등으로 분류된다. 그림 내용은 머리(얼굴), 팔, 다리, 몸통, 의상으로 나누고, 머리는 눈, 코, 귀, 입, 목, 머리카락으로 나눈다. 그리고 그림 내용은 일반적인 경우와 특별히 강조하는 경우로 나누고, 정상적인 색깔과 비정상적인 색깔로 나눈다. 지수는 인지적 성숙도(남, 여), 부적응 지표, 충동성 지표, 뇌손상 지표, 정서장애 지표, 불안 지표 등을 세부내용으로 가진다. 동적 가족화(KFD)는 역동성, 인물의 특징, 양식, 표현내용, 상징, 지수로 분류되며, 역동성은 인물묘사의 순서, 인물상의 위치, 인물상의 크기, 인물상 간의 거리, 인물상의 방향, 인물상의 생략, 타인의 묘사 등을 세부내용으로 가진다. 집-나무-사람(HTP)은 문, 창문, 벽, 굴뚝, 지붕, 계단 및 출입로, 집과 지면의 선, 바라 보는 관점, 부수적인 사물 등의 세부내용을 가지는 특성과, 그린순서, 행위 등으로 분류한다. 이 외에도 주제별특징은 가족화(DAF; Drawing A Family), 집단 그림(DAG; Drawing A Group), 학교 생활 그림(KSD; Kinetic School Drawing) 등으로 더 많은 분류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림의 주제를 선정함에 있어서는 심리증상의 진단을 위한 그림 투사 기법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는 바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합한 기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기의 표 1을 참조하면, 각 기법들이 서로 다른 개념과 배경을 갖고 개발되었으며, 목적, 적용조건, 실시상 제약, 그림특징 또는 지수, 분석 방법, 장단점 등의 면에서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인물화(DAP)의 성질은 사람 그림의 일종인 동적 가족화(KFD)에도 있고, 사람 그림이 포함되어 있는 집-나무-사람(HTP)에도 있게 된다. 이러한 성질의 상속(inheritance) 관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속 관계를 고려하여 지식을 체계화하면 하기의 표 1과 같게 된다.
Figure 112005073489415-pat00001
도 4를 참조하면, 개인환경(D2)은 성별, 나이, 문화권, 국적 및 기타환경을 포함한다. 기타환경으로는 가족, 친구, 친지, 단체 등의 인적관계와, 학대 여부 및 가정형편을 나타내는 사회적환경과, 성격 및 정신병력을 나타내는 심리적환경과, 신체병력을 나타내는 신체적환경과, 공간적 환경과, 특수경험 여부를 나타내는 시간적환경 등이 있다. 또한, 미술교육 또는 미술치료를 받았었는지 여부 및 범죄 여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로부터 가정환경 척도, 우울증 평정 척도, 자기능력지각 척도, 자기개념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사기관련 정서 척도 등이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정환경 척도는 가정의 분위기, 부모의 양육, 통제와 영향, 부부간의 조화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자기개념 척도는 신체, 도덕성, 성격, 가정, 사회, 능력으로부터 계산되며, 자기능력지각 척도는 자기존종감, 학업능력, 사회능력, 운동능력, 품행, 신체적 매력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 내에서의 진단의 최종목표인 심리증상(D3)은 진단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구체적인 심리증상으로 판별하는 것이다. 심리증상은 일차적으로 인지적, 정서적, 신체/생리적, 행동적 및 사회적 증상의 5가지로 분류된다. 여기서, 행동적 증상은 외향적 증상과 내향적 증상으로 나뉜다. 그리고 각 증상에 대하여 최종적인 심리증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림진단과는 별도로 심리학적 측면에서 심리상태를 장애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 정신과 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IV)를 기반으로 한다. 심리장애(D4)는 1차 진단시 초기 임상적 문제로 전반적 발달 장애, 주의력 결핍 및 파괴적 행동 장애, 정서 장애를 구분하고, 2차 진단시 성격/정신 문제로 성격 장애 또는 정신 장애를 구분한다. 3차 진단시 심리 장애 외에 정신 건강과 관련된 일반 의학적 문제를, 4차 진단시 환경/심리사회적 문제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또는 사회적 장애를 구분한다.
그림특징(D1), 개인환경(D2), 심리증상(D3), 심리장애(D4) 간의 관계 즉, 진단에 관한 지식을 체계화하여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정한다. 그림특징(D1)과 심리증상(D3) 간의 관계인 표준진단(f1), 심리장애(D4)와 심리증상(D3) 간의 관계인 심리진단(f2), 개인환경(D2)과 그림특징(D1) 간의 관계인 제1 피드백(f4), 개인환경(D2)과 심리장애(D4) 간의 관계인 제2 피드백(f3), 심리장애(D4)와 그림특징(D1) 간의 관계인 제3 피드백(f5)에 대하여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700)은 그림특징 추출 모듈(710), 표준진단 모듈(720), 제1 피드백 모듈(730), 출력 모듈(740), 심리진단 모듈(750), 제2 피드백 모듈(760), 제3 피드백 모듈(770)을 포함한다.
그림특징 추출 모듈(710)은 진단대상자의 그림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그림으로부터 도 2에 도시된 그림특징을 하나 이상 추출한다. 그림특징의 추출은 그림을 분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거나, 진단자가 진단대상자의 그림으로부터 추출해낸 하나 이상의 그림특징을 데이터 형태로 입력받음에 의할 수 있다.
표준진단 모듈(720)은 그림특징 추출 모듈(710)로부터의 그림특징을 표준진단 지식(knowledge)을 통해 심리증상을 추론한다(표준진단 (f1)). 표준진단 모듈(720)에 의해 추론된 심리증상을 표준 심리증상이라고 한다. 표준진단 지식은 표준 심리증상과 그림특징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으로, 진단대상자의 심리적 상태가 그림의 어떠한 특징으로 투사되는가에 대한 지식이다. 이는 그림특징 및 그에 상응하는 표준 심리증상 간에 매칭 테이블(matching table)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 내의 표준진단 지식 데이터베이스(knowledge database)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진단 지식은 다음과 같다. 선의 필압이 강하면 긴장, 불안, 편집, 반사회적, 뇌질환, 간질, 정신지체, 위축, 단호, 자기주장적, 공격적, 충동적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 크기가 지나치게 크면 과활동적, 행동화, 충동적, 공격적, 자아팽창, 과대망상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2). 크기가 지나치게 작으면 수줍음, 열등감, 부적절함, 자신감부족, 위축, 우울, 압박감, 고립감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3). 머리카락을 강조하면 뇌파 이상, 발작성 경련과 관련이 있다(표준진단 지식 4). 그림의 위치가 좌상에 치우졌으면 불안정, 퇴행적, 위축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5). 머리를 너무 크게 그렸으면 불안감에 대한 과도 보상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6). 귀를 강조하였으면 예민함을, 입을 생략하였으면 애정교류상의 갈등, 결핍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7). 혀를 강조하였으면 야뇨증이나 성문제가 있을 수 있다(표준진단 지식 8). 작은 발은 불균형, 불안정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9). 코 또는 목을 검은 색 또는 길게 그려서 강조하였으면 감기나 소아전색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0). 주제색이 보라색이라면 병이나 불행감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1). 주제색이 주황이면 순응적, 명랑, 겁쟁이, 소심, 불안, 상상적, 현실도피를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2). 주제색이 주황이면 안정적, 상상적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3). 팔과 손을 검은색으로 그렸으면 죄의식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4). 성기를 그렸으면 성적학대의 증상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5). 의상에서 단추를 강조하였으면 어머니에 대한 의존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6).
제1 피드백 모듈(730)은 진단대상자의 개인환경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현재 또는 과거의 개인환경은 표준진단 모듈(710)에 의한 표준진단 지식과 다르게 투사되는 경우에 제1 피드백 지식에 의해 표준 심리증상을 변환하여 환경 심리증상을 추론한다(제1 피드백 (f4)). 제1 피드백 지식은 환경 심리증상, 개인환경, 그리고 그림특징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으로, 진단대상자의 현재 또는 과거의 환경이 그림의 어떠한 특징으로 투사되는가에 대한 지식이다. 이는 그림특징, 개인환경 및 그에 상응하는 환경 심리증상 간에 매칭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의 제1 피드백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드백 지식은 다음과 같다. 큰 그림인 경우 나이에 따라 아동이면 인지적 미성숙을, 청소년이면 열등감, 무가치감, 좌절, 실망감에 대한 과잉보상 욕구, 성인이면 조증을 나타낸다(제1 피드백 지식 1). 유아의 경우 머리가 큰 그림도 정상으로 본다(제1 피드백 지식 2). 정신지체아의 그림은 수준히 현저히 떨어지는 그림으로 나타낸다(제1 피드백 지식 3). 수준이 현저히 떨어지는 그림이라도 뇌성마비아의 경우에는 그에 따른 증상을 삭제한다(제1 피드백 지식 4). 흰 색의 경우 국적이 인도인 아동의 경우에는 죽음으로 해석한다(제1 피드백 지식 5). 사회적 지위에 대한 자신감은 큰 그림으로 나타난다(제1 피드백 지식 6). 흑인의 그림은 작은 크기로, 하단에 나타난다(제1 피드백 지식 7). 동생을 괴롭히는 경우에는 평소 죄의식을 가지고 있다(제1 피드백 지식 8).
출력 모듈(740)은 표준진단 모듈(720)에서의 표준 심리증상 또는 제1 피드백 모듈(730)에서의 환경 심리증상을 외부로 출력한다. 분석자 또는 진단대상자가 입력한 그림 또는 그림특징, 개인환경에 따라 진단된 심리증상을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거나 파일로 생성하거나 프린트되어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심리증상의 내용을 표시한다.
심리진단 모듈(750)은 진단대상자의 심리장애를 입력받고, 심리진단 지식에 따라 심리증상을 추론한다(심리진단 (f2)). 심리진단 모듈(750)에 의해 추론된 심리증상을 장애 심리증상이라고 한다. 심리진단 지식은 심리장애와 장애 심리증상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으로, 심리장애별로 나타나는 심리증상을 표시하는 지식이다. 이는 심리장애 및 그에 상응하는 장애 심리증상 간에 매칭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의 심리진단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진단 지식은 다음과 같다. 주의력 결핍은 충동적, 부주의, 우발적 행동으로 나타난다(심리진단 지식 1). 품행장애는 공격적, 반사회적 행동, 분노감, 의존적, 좌절감, 폭력적, 자기중심적, 수동적, 피상적, 갈등으로 나타난다(심리진단 지식 2). 불안장애는 불안, 두려움, 긴장, 공포, 회피, 근심, 걱정, 히스테리, 강박, 자신감 부족 및 결여, 대인관계 위축, 방어적, 과민, 경계, 퇴행, 집착으로 나타난다(심리진단 지식 3). 우울증의 증상은 불행감, 우울감, 슬픔, 고독감, 공허감, 절망감, 무의미감, 죄책감, 부정적, 비관적, 성기능 장애, 현실검증력 장애로 나타난다(심리진단 지식 4). 과인행동 장애는 과민, 자기통제력 결여, 자신감 결여, 우울, 애정 욕구, 충동적으로 나타난다(심리진단 지식 5).
심리진단 모듈(750)에 입력되는 진단대상자의 심리장애는 외부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심리장애이거나 제2 피드백 모듈(760)에 의해 추론된 심리장애일 수 있다.
제2 피드백 모듈(760)은 진단대상자의 개인환경을 입력받고, 제2 피드백 지식에 따라 개인환경으로부터 심리장애를 추론한다(제2 피드백 (f3)). 제2 피드백 지식은 개인환경과 심리장애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으로, 그림을 떠나서 심리학적 측면에서 개인의 현재와 과거의 가족, 교육, 문화적 환경 등을 통해 심리장애를 추론하는 지식이다. 개인환경으로부터의 지수를 계산하여 심리장애와 관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개인환경 및 심리장애 간에 매칭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의 제2 피드백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피드백 지식은 다음과 같다. 가정환경 척도가 낮으면 사회적 장애 중 가정 문제를 나타낸다(제2 피드백 지식 1). 우울증 평정 척도가 낮으면 정서장애 중 우울장애를 나타낸다(제2 피드백 지식 2). 표준화검사에서 지수가 낮으면, 발달장애를 나타낸다(제2 피드백 지식 3). 뇌성마비, 편마비, 근육이영양증이 있으면 발달장애를 나타낸다(제2 피드백 지식 4). 가족관계의 부적절은 사회성 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제2 피드백 지식 5).
제3 피드백 모듈(770)은 표준진단 모듈(720)로부터 표준 심리증상, 제1 피드백 모듈(730)로부터 환경 심리증상, 심리진단 모듈(750)로부터 장애 심리증상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표준 심리증상, 환경 심리증상, 장애 심리증상을 비교하여 제3 피드백 지식에 따라 최종 심리증상을 추론한다(제3 피드백 (f5)). 즉, 그림특징에 의한 심리증상(표준 심리증상, 환경 심리증상)과 심리장애에 의한 심리증상(장애 심리증상)을 서로 비교하고 반영하여 추론한다. 그리고 최종 심리증상을 출력 모듈(740)로 전달하여 출력 모듈(740)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한다. 제3 피드백 지식은 그림특징에 의한 심리증상과 심리장애에 의한 심리증상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이다. 이는 표준 심리증상, 환경 심리증상, 장애 심리증상 간에 매칭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의 제3 피드백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피드백 지식은 다음과 같다. 인물화(DAP)의 Goodenough-Harris의 인지적 성숙도 척도와 발달장애 지수를 비교한다(제3 피드백 지식 1). 인물화(DAP)의 Malony-Glasser 부적응 지수를 사회성 척도와 비교한다(제3 피드백 지식 2). 인물화(DAP)의 Oas 충동성 지수를 과잉행동 장애와 비교한다(제3 피드백 지식 3). 인물화(DAP)의 McLachlan 뇌손상 지수를 발달장애와 비교한다(제3 피드백 지식 4). 인물화(DAP)의 Koppitz 정서장애 지수를 불안장애와 비교한다(제3 피드백 지식 5). 인물화(DAP)의 불안지표를 불안장애, 우울장애 및 양극성장애와 비교한다(제3 피드백 지식 6). 동적 가족화(KFD)에서 레이톤의 기준 중 가족구성원 지수를 사회성 장애와 비교한다(제3 피드백 지식 7). 동적 가족화(KFD)에서 Myers의 운동상호작용 지수를 가족만족도 지수와 비교한다(제3 피드백 지식 8). 머리카락 등으로 머리를 강조하였으면 뇌파검사를 권장한다(제3 피드백 지식 9).
본 발명에서 표준진단 모듈(720), 제1 피드백 모듈(730), 심리진단 모듈(750), 제2 피드백 모듈(760), 제3 피드백 모듈(770)에서의 각 매칭 테이블 또는 지식 데이터베이스는 업데이트(update)가 가능하다. 즉, 전문가(expert)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표준진단 지식, 제1 피드백 지식, 심리진단 지식, 제2 피드백 지식, 제3 피드백 지식은 갱신될 수 있다.
또한, 표준진단 모듈(720), 제1 피드백 모듈(730), 심리진단 모듈(750), 제2 피드백 모듈(760), 제3 피드백 모듈(770)은 각각 표준진단 지식, 제1 피드백 지식, 심리진단 지식, 제2 피드백 지식, 제3 피드백 지식에 기반을 둔 추론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추론 엔진을 이용하여 각각의 지식에 따라 다양한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그림 또는 그림특징, 개인환경, 심리장애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700)에 입력부(미도시)가 있어 입력부에서 일괄적으로 입력을 받고서, 그림특징 추출 모듈(710), 제1 피드백 모듈(730), 심리진단 모듈(750), 제2 피드백 모듈(760)에 입력되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700)에서의 심리증상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을 이용하여 심리증상을 진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805에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700)은 분석대상자의 그림을 입력받는다. 그림 자체를 입력받거나 그림으로부터 전문가 또는 분석자가 추출한 그림특징을 입력받는다.
단계 S810에서, 입력받은 그림으로부터 표준진단 모듈(710)에 표준진단(f1)을 하기에 적절한 그림특징을 추출한다. 또는 단계 S805에서 입력받은 전문까 또는 분석자가 추출한 그림특징을 그래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815에서, 표준진단 모듈(720)은 표준진단 지식에 따라 추출된 그림특징으로부터 표준 심리증상을 추론한다(표준진단 (f1)).
단계 S820에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700)은 분석대상자의 개인환경을 입력받는다. 개인환경의 입력은 단계 S805에서 그림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825에서, 제1 피드백 모듈(730)은 제1 피드백 지식에 따라 그림특징 추출 모듈(710)에서 추출한 그림특징, 개인환경으로부터 환경 심리증상을 추론한다(제1 피드백 (f4)). 환경 심리증상은 단계 S815에서 추론된 표준 심리증상 중 개인환경으로 인해 추가되거나 삭제되거나 변화되는 심리증상을 의미한다.
이후 표준 심리증상 및 개인환경에 따른 환경 심리증상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출력 모듈(740)을 통해 사용자 또는 분석자가 확인가능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환경 심리증상만을 출력 모듈(740)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심리진단 (f2), 제2 피드백 (f3), 제3 피드백(f5)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700)은 분석대상자의 심리장애를 입력받는다.
심리진단 모듈(750)이 입력받는 심리장애는 단계 S805 또는 단계 S820에서 분석대상자의 그림 또는 개인환경과 동시에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심리진단 모듈(750)이 입력받는 심리장애는 제2 피드백 모듈(760)이 단계 S820에서 입력받은 개인환경을 제2 피드백 지식에 따라 추론한 심리장애일 수 있다.
단계 S835에서, 심리진단 모듈(750)은 심리진단 지식에 따라 심리장애로부터 장애 심리증상을 추론한다.
단계 S840에서, 제3 피드백 모듈(770)은 표준진단 모듈(720)로부터 표준 심리증상, 제1 피드백 모듈(730)로부터 환경 심리증상, 심리진단 모듈(750)로부터 장애 심리증상을 입력받고, 제3 피드백 지식에 따라 최종 심리증상을 추론한다. 최종 심리증상은 그림특징에 의한 심리증상(표준 심리증상, 환경 심리증상) 및 심리장애에 의한 심리증상(장애 심리증상)을 서로 비교하고 반영하여 결정된 분석대상자의 심리증상을 의미한다.
단계 S845에서, 최종 심리증상의 추가적인 변경 또는 수정이 없을 때까지 단계 S805 내지 단계 S840을 반복한다. 이중 단계 S805에서의 그림 입력, 단계 S820에서의 개인환경 입력, 단계 S830에서의 외부로부터의 심리장애 입력은 한번만 이루어지고 이후 반복과정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준진단 모듈(720), 제1 피드백 모듈(730), 심리진단 모듈(750), 제2 피드백 모듈(760) 및 제3 피드백 모듈(770)에서의 지식 데이터베이스는 온톨로지(Ontology) 개념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온톨로지는 전문가와 컴퓨터 사이의 지식을 공유 또는 재사용하기 위한 지식 모델(knowledge model)이다. 지식의 계층적 분류로서, 개념을 담는 클래스(Class)와 이의 성질을 정의하는 속성(Attribute), 속성의 구체적인 값인 인스턴스(Instance)의 기본 구조를 가진다.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Meta-class)의 속성이 될 수 있으며, 클래스는 그 속성으로 하위 클래스(Sub-class)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로간의 계층을 표시하고 상위 계층의 성질을 상속받는다(Inheritance).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온톨로지 중 그림특징(D1) 온톨로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인물화(DAP)_클래스의 상위 클래스는 주제별특징_클래스가 된다(도 9에서는 미도시). 인물화(DAP)_클래스의 하위 클래스인 그림구성_클래스는 생략여부, 크기, 위치, 강조여부, 관계여부의 속성을 가지며, 이는 그림구성_클래스의 하위 클래스인 얼굴_클래스, 몸통_클래스, 팔_클래스, 다리_클래스에 상속된다. 한편, 균형_클래스는 인물화(DAP)에서 머리의 크기(비율) 등 그림 구성요소 간의 균형관계를 가지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진단 온톨로지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준진단 온톨로지는 그림특징(D1)과 심리증상(D3) 간의 관계를 정립한다. 즉, 어떠한 그림특징이 어떠한 심리증상을 나타내는지에 대해 표준진단 지식으로 추론한다. 상술한 예에서, 표준진단 지식 1을 참조하면, "선의 필압이 강하면 긴장, 불안, 편집, 반사회적, 뇌질환, 간질, 정신지체, 위축, 단호, 자기주장적, 공격적, 충동적을 나타낸다"는 지식을 통해 1개의 조건으로부터 12개의 심리증상을 관련시킨다. 여기에서 조건의 수, 결과의 수 등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반복 회수와 그에 따른 내용이 표시된다. 화면 표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화면 내용을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추론 엔진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의 사용예이다. 여기서, 추론 엔진은 자바(java)로 작성된 제스(Jess)를 사용한다.
추론 엔진 즉, 제스를 설치하면 도 6과 같이 화면 상에 표시되며, 이를 선택하면 콘솔(console)이 나타난다.
인물화(DAP)_클래스(class)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상태라는 속성(Attribute)을 가지고 있으며, 표준진단_클래스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상태, 진단결과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표준진단 지식에 따라 규칙을 정하고,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물화_클래스의 인스턴스(Instance)로 "얼굴이 크다", "발이 검다"라는 사실을 만든다. 도 16을 참조하면, 표준진단 지식에 따른 표준진단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진단결과는 "발이 검으면 죄의식", "얼굴이 크면 보상욕구"라는 규칙이 생성되어 화면 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그림특징(D1), 개인환경(D2), 심리장애(D4), 심리증상(D3)의 인스턴스는 초기에 주어진 사실로 계속 저장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림은 5세된 남자 아이의 그림으로, 개인환경은 자주 폭력적인 행동을 보이며, 누이동생을 못살게 구는 것이다. 모눈종이 눈금을 사용하여 그림의 전체 크기와 얼굴의 크기를 객관적으로 판정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림특징으로, 큰 그림, 큰 얼굴, 머리카락 강조, 검은 코와 긴 목, 검은 손과 발, 작은 발, 단추 강조가 발견된다. 이를 전술한 표준진단 지식에 따라 표준 심리증상을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큰 그림은 과활동적, 행동화, 충동적, 공격적, 자아팽창, 과대망상을 나타내고(표준진단 지식 2), 큰 얼굴은 보상욕구를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6). 머리카락을 강조한 것은 뇌파이상, 발작성 경련을 나타내고(표준진단 지식 4), 검은 코와 긴 목은 감기, 소아전색을 나타내며(표준진단 지식 10), 검은 손과 발은 죄의식을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4). 작은 발은 불균형, 불안정을 나타내고(표준진단 지식 9), 단추 강조는 어머니에 대한 강조를 나타낸다(표준진단 지식 16).
이러한 진단 결과는 개인환경(D2)을 제1 피드백 지식에 따라 수정, 추가하게 된다. 평소의 폭력적인 행동이나 누이동생과의 관계로부터 죄의식은 더욱 확신하게 되며(제1 피드백 지식 8), 나이(5세)로부터 큰 그림은 인지적 미성숙으로 조정된다(제1 피드백 지식 1). 또한, 나이(5세)로부터 큰 얼굴은 정상적으로 판단되어(제1 피드백 지식 2), 보상욕구 진단은 삭제된다.
그 외에는 진단 과정이 없으므로, 최종 심리증상을 확정시키고, 이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으로 보여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은 불분명한 체계(ISP) 특성을 가지는 그림진단 분야에서 전문가 시스템을 활용하여 진단대상자의 심리증상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다양한 전문 지식을 체계적으로 컴퓨터에서 구현하여 전문가의 작업과 판단에 도움을 주고 비전문가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식의 획득 및 축적, 지식의 구체화 및 체계화, 지식의 신뢰성 향상, 새로운 연구 결과의 해석, 적절한 그림주제의 선택 및 적용, 진단과정에서의 도움, 비전문 사용자의 활용 및 각종 컴퓨터 기능의 활용을 가능케 한다.
또한, 교사, 부모, 심리학자, 심리임상의, 그림진단 및 그림치료사 등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미술치료 전문가의 생각(진단, 판단)하는 과정을 모델화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그림을 이용하여 심리증상을 진단하는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에 있어서,
    진단대상자의 그림을 입력받고, 상기 그림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그림특징을 추출하는 그림특징 추출 모듈;
    상기 그림특징에 상응하는 표준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표준진단 모듈;
    상기 진단대상자의 개인환경을 입력받고, 상기 개인환경에 따라 상기 표준 심리증상을 변환한 환경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제1 피드백 모듈;
    상기 개인환경으로부터 상기 심리장애를 추론하는 제2 피드백 모듈;
    외부로부터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진단대상자의 심리장애에 따른 장애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심리진단 모듈;
    상기 표준진단 모듈로부터의 표준 심리증상, 상기 제1 피드백 모듈로부터의 환경 심리증상 및 상기 심리진단 모듈로부터의 장애 심리증상을 입력받고, 상기 표준 심리증상, 상기 환경 심리증상 및 상기 장애 심리증상을 비교하여 최종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제3 피드백 모듈; 및
    상기 표준 심리증상, 상기 환경 심리증상 및 상기 최종 심리증상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진단 모듈은 상기 그림특징 및 상기 표준 심리증상 간의 매칭 테이블(matching table)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드백 모듈은 상기 그림특징, 상기 개인환경 및 상기 환경 심리증상 간의 매칭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특징은 상기 그림의 선(line), 구조 및 색깔(color)로 분류되는 일반특징 및 상기 그림의 주제에 따른 주제별특징으로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의 주제는 자화상, 인물화, 집-나무-사람, 가족화, 동적 가족화, 집단 그림 및 학교 생활 그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환경은 나이, 성별, 국적, 문화권, 인적관계, 사회적환경, 심리적환경, 신체적환경, 공간적환경 및 경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드백 모듈은 상기 개인환경 및 상기 심리장애 간의 매칭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장애는 초기 임상적 문제, 성격/정신적 문제, 의학적 문제 및 환경 /심리사회적 문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진단 모듈은 상기 심리장애 및 상기 장애 심리증상 간의 매칭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심리증상, 상기 환경 심리증상, 상기 장애 심리증상 및 상기 최종 최종 심리증상은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생리적, 행동적 및 사회적 증상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진단 모듈, 상기 심리진단 모듈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피드백 모듈은 지식 기반의 추론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15. 제2항, 제3항, 제9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테이블은 업데이트(update)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16. 그림을 이용하여 심리증상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진단대상자의 그림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그림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그림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그림특징에 상응하는 표준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단계;
    (d) 상기 진단대상자의 개인환경을 입력받는 단계;
    (e) 상기 개인환경에 따라 상기 표준 심리증상을 변환한 환경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단계;
    (f) 상기 진단대상자의 심리장애를 입력받는 단계;
    (g) 상기 심리장애에 상응하는 장애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단계; 및
    (h) 상기 표준 심리증상, 상기 환경 심리증상 및 상기 장애 심리증상을 비교하여 최종 심리증상을 추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리증상 진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특징은 상기 그림의 선, 구조 및 색깔로 분류되는 일반특징 및 상기 그림의 주제에 따른 주제별특징으로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의 주제는 자화상, 인물화, 집-나무-사람, 가족화, 동적 가족화, 집단 그림 및 학교 생활 그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환경은 나이, 성별, 국적, 문화권, 인적관계, 사회적환경, 심리적환경, 신체적환경, 공간적환경 및 경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방법.
  20. 삭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심리장애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개인환경에 의해 추론되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장애는 초기 임상적 문제, 성격/정신적 문제, 의학적 문제 및 환경/심리사회적 문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방법.
  23. 삭제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심리증상, 상기 환경 심리증상, 상기 장애 심리증상 및 상기 최종 최종 심리증상은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생리적, 행동적 및 사회적 증상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심리증상의 수정 또는 변경이 없을때까지 상기 단계 (a) 내지 (h)를 반복하되,
    상기 그림, 상기 개인환경 및 외부로부터의 상기 심리장애는 한번만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증상 진단 방법.
KR1020050124057A 2005-12-15 2005-12-15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057A KR100749032B1 (ko) 2005-12-15 2005-12-15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057A KR100749032B1 (ko) 2005-12-15 2005-12-15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813A KR20070063813A (ko) 2007-06-20
KR100749032B1 true KR100749032B1 (ko) 2007-08-13

Family

ID=3836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057A KR100749032B1 (ko) 2005-12-15 2005-12-15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0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97B1 (ko) 2009-07-03 2011-09-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적 가족화 진단을 위한 객체 기반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US9934426B2 (en) 2013-09-27 2018-04-03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emotion recognition capability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emotion recognition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KR101880159B1 (ko) 2017-09-14 2018-07-19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계 그림 심리검사 전용 검사지 및 그 검사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시스템과 방법
KR101926836B1 (ko) * 2018-02-09 2018-12-07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심리 스크리닝을 위한 인공지능기반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1844A (ko) 2020-05-14 2021-11-2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그림검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013B1 (ko) * 2008-01-29 2010-0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의 문양 색칠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046269B1 (ko) * 2009-10-28 2011-07-04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98037B1 (ko) * 2018-12-12 2019-07-08 황영진 증강현실 기반의 심리유형 분석 방법 및 스마트 기기
KR102234241B1 (ko) * 2020-07-29 2021-04-01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신청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 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
KR102590541B1 (ko) * 2021-03-03 2023-10-18 (주)알에프캠프 관리 서버, 모방 드로잉 데이터들 사이의 상대적인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268A (ko) * 2003-10-24 2005-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상태에 따른 음악 및 그림 치료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93283A (ko) * 2004-03-18 2005-09-23 브이엘씨주식회사 심리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268A (ko) * 2003-10-24 2005-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상태에 따른 음악 및 그림 치료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93283A (ko) * 2004-03-18 2005-09-23 브이엘씨주식회사 심리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97B1 (ko) 2009-07-03 2011-09-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적 가족화 진단을 위한 객체 기반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US9934426B2 (en) 2013-09-27 2018-04-03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emotion recognition capability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emotion recognition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KR101880159B1 (ko) 2017-09-14 2018-07-19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계 그림 심리검사 전용 검사지 및 그 검사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시스템과 방법
KR101926836B1 (ko) * 2018-02-09 2018-12-07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심리 스크리닝을 위한 인공지능기반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1844A (ko) 2020-05-14 2021-11-2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그림검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813A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032B1 (ko)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Ekman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New findings, new questions
Young et al. Configurational information in face perception
Ekman et al. What is meant by calling emotions basic
Jack Culture and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Zhang et al. Ontology-based context modeling for emotion recognition in an intelligent web
Fincher et al. Interfacing with faces: Perceptual humanization and dehumanization
Downey et al. Neuroanthropology and the encultured brain
JP5058064B2 (ja) 絵画療法の模様選択及び配列、色塗り分析方法、絵画療法の模様分析による心理症状の診断方法、及びこれを行う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Bar et al. The proactive brain: Using rudimentary information to make predictive judgments
Correll et al. Of kith and kin: Perceptual enrichment, expectancy, and reciprocity in face perception
CN110211689B (zh) 心理咨询智能机器人
Hayn-Leichsenring et al. Colliding terminological systems—Immanuel Kant and contemporary empirical aesthetics
Rui et al. A review of EEG and fMRI measuring aesthetic processing in visual user experience research
Tian et al. Applied Affective Computing
Qi et al. Explanation strategies for image classification in humans vs. current explainable AI
Hadar-Shoval et al. Assessing the alignment of large language models with human values for mental health integration: cross-sectional study using Schwartz’s theory of basic values
Elkobaisi et al. Human emotion modeling (HEM): an interface for IoT systems
MirMashhouri et al. Collecting a database for emotional responses to simple and patterned two-color images
Lamy et al. Translating visually the reasoning of a perceptron: the weighted rainbow boxes technique and an application in antibiotherapy
Verhoef et al. Towards affective computing that works for everyone
Loitsch Designing accessible user interfaces for all by means of adaptive systems
Pei et al. Affective Computing: Recent Advances, Challenges, and Future Trends
Højen et al.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visualization of SNOMED CT concept sets
Carroll HCI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