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025B1 -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025B1
KR100749025B1 KR1020060056510A KR20060056510A KR100749025B1 KR 100749025 B1 KR100749025 B1 KR 100749025B1 KR 1020060056510 A KR1020060056510 A KR 1020060056510A KR 20060056510 A KR20060056510 A KR 20060056510A KR 100749025 B1 KR100749025 B1 KR 10074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lux
mold
less
molten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욱
정현석
박중길
김구화
이상호
문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5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025B1/ko
Priority to PCT/KR2007/003032 priority patent/WO2007148939A1/en
Priority to CN2007800228800A priority patent/CN101472693B/zh
Priority to JP2009516406A priority patent/JP5037612B2/ja
Priority to EP07747064.9A priority patent/EP20351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O 20 내지 50중량%, SiO2 20 내지 50중량%, Al2O3 20중량% 이하, Na2O 20중량% 이하, Li2O 10중량% 이하, B2O3 20중량% 이하, MgO 10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몰드 플럭스의 열 전도도는 1.2W/m.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융 몰드 플럭스 조업을 적용하여 슬래그 베어를 제거하고 초기 완냉화로 인해 탕면 응고를 방지하고 표면 크랙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몰드 플럭스의 조성에 따라 열 전도도를 제어함으로써, 평균 전열량을 상승시켜 브레이크 아웃의 발생을 방지하고, 조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강, 연속 주조, 용강, 몰드 플럭스, 용융 몰드 플럭스, 슬래그 베어, 탕면, 전열량, 전열 유속, 브레이크 아웃

Description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Mold Flux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연속 주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연속 주조 주형 내 몰드 플럭스의 존재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턴디쉬 2 : 침지 노즐(SEN)
3 : 주형 4 : 용강
5 : 응고 셀 6 : 미응고 용강
7 : 몰드 플럭스 10 : 주형
100: 탕면 커버 200: 용해 유닛
205: 몰드플럭스 공급원 210: 도가니
220: 도가니 가열 수단 230: 배출구
240: 스토퍼 300: 이송 유닛
310: 주입관 312: 주입용 노즐
320: 주입관 가열 수단
본 발명은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 상태의 몰드 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은 용선 예비 처리 공정, 전로 정련 공정, 이차 정련 공정 및 연속 주조 공정 순으로 진행된다.
연속 주조 공정에서 제조되는 주편(슬라브, 빌렛, 블룸, 빔블랭크 등을 총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ladle)로부터 액체 상태의 용강을 공급받아, 이를 저장하는 턴디쉬(1, tundish)를 거쳐 침지 노즐(2)을 통해 주형(3, mould)을통과하면서, 주형(3)에서의 냉각 작용에 의해 고체 상태의 응고 셀(5)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강이 냉각된 응고 셀(5)은 그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롤에 의해 안내를 받으면서 스프레이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2차 냉각수에 의해 응고가 진행되어 완전한 고체 상태의 주편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철강의 연속 주조 조업 중, 용강이 주형 내에 공급될 때 용강 뿐만 아니라 부자재인 몰드 플럭스도 투입된다. 몰드 플럭스는 일반적으로 분말 혹은 과립과 같은 고체 상태로 투입되어 주형 내에 공급된 용강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용융되어 용강과 주형 사이의 열전달을 제어하고 윤활능을 향상시킨다.
도 2를 참조하여 연속 주조용 주형(10) 내에서 몰드 플럭스의 기능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주형(10) 내에 분말 혹은 과립 형태로 투입된 몰드 플럭 스는 용강(12)의 탕면 상에서 용융되어 상기 탕면에서부터 차례로 액상층(21), 소결층(23) 및 파우더층(25), 즉 용융슬래그층(21), 반용융층(23) 및 미용융층(25)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용융슬래그층(21)은 거의 투명하기 때문에 용강(12)에서 발산되는 500 내지 4,000nm 사이의 파장을 갖는 복사파가 쉽게 통과하게 된다. 반면에 반용융층(23) 및 미용융층(25)은 광학적으로 불투명하므로 복사파를 차단하여 탕면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분말 혹은 과립 형태의 몰드 플럭스는 용강(21)의 열에 의해 용해된 후 용융슬래그층(21)이 주형(10)과 응고 셀(11) 사이로 흘러 들어가 주형(10) 내측벽에서 응고되어 고상 슬래그 필름(27)을 형성하고, 용강(12)측에서는 액상 슬래그 필름(21)을 형성하여 용강(12)과 주형(10) 사이의 열전달을 제어하고 윤활능을 향상시킨다.
이 때, 상기 용해된 슬래그가 고상 슬래그 필름(27)과 응고 셀(11) 사이에 유입되는 지점에 주형(10)에 부착된 몰드 플럭스는 주형(10)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바, 이를 슬래그 베어(29)라 한다. 상기 슬래그 베어(29)는 용해된 슬래그가 몰드 플럭스 필름(27)과 응고쉘(11)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러한 슬래그 베어(29)로 인하여 주편 단위 면적당 몰드 플럭스 소모량이 제한되는데, 일반적으로 주조 속도가 증가할수록 몰드 플럭스 소모량이 감소하므로 주편과 주형 사이의 윤활능이 떨어지게 되어 브레이크 아웃 발생이 증가한다. 아울러 슬래그 베어(29)로 인하여 액상의 몰드 플럭스의 두께가 불균일해짐에 따라 열전달이 불균일하게 되어, 주형(10) 내에서 응고 셀의 형상이 불균일해지며 표면 크 랙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 역시 주조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심각한 문제가 된다.
최근에는 몰드 플럭스를 주형 외부에서 용해시킨 후 탕면으로 주입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용융 상태의 몰드 플럭스가 500 내지 4,000nm 사이의 파장에 대하여 거의 투명하므로 용강에서 발산되는 복사파가 쉽게 통과하여 복사열전달이 증가하여 용강 탕면을 보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주조 공정이 진행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용강의 탕면이 응고되어 원활한 연속 주조 공정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몰드 플럭스의 결정화를 촉진시켜 초기 완냉화를 시키고 있으나, 이는 몰드 플럭스의 혼입을 증가시키며, 평균 전열량을 감소시켜 오히려 브레이크 아웃의 발생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몰드 플럭스의 조성 및 전도도를 제어함으로써, 초기 완냉화로 인해 탕면 응고를 방지하고 표면 크랙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브레이크 아웃의 발생을 방지하여 조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속 주조용 몰드 플럭스에 있어서, CaO 20 내지 50중량%, SiO2 20 내지 50중량%, Al2O3 20중량% 이하, Na2O 20중량% 이하, Li2O 10중량% 이하, B2O3 20중량% 이하, MgO 10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럭스를 제공한다. 상기 몰드 플럭스의 열 전도도가 1.2W/m.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 주조 방법에 있어서, 주형의 외부에서 CaO 20 내지 50중량%, SiO2 20 내지 50중량%, Al2O3 20중량% 이하, Na2O 20중량% 이하, Li2O 10중량% 이하, B2O3 20중량% 이하, MgO 10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몰드 플럭스를 용해하는 단계 및 상기 용해된 몰드 플럭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연속 주조 전체 공정에 걸쳐 상기 용해된 몰드 플럭스를 주형 내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몰드 플럭스의 열 전도도가 1.2W/m.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용융 몰드 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속 주조 장치는 주형(10)과, 상기 주형(10) 내에 용강을 공급하는 침지 노즐(30)과, 상기 주형(10)의 상부를 덮는 탕면 커버(100)와, 상기 주형 내에 공급될 몰드 플럭스를 용융시키기 위한 몰드 플럭스 용해 유닛(200)과,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 유닛(200)에서 용해된 용융 몰드 플럭스(20)를 주형(10) 내에 공급하기 위한 몰드 플럭스 이송 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주형(10) 및 침지 노즐(30)은 종래의 연속 주조 장치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그에 대한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탕면 커버(100)는 상기 몰드(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탕면 전체를 덮어 용강(12)의 탕면에서 방출되는 복사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탕면 커버(100)의 내면, 즉 용강에 향하는 면은 알루미늄 거울이나 골드 코팅 거울 등 반사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용강(12)의 탕면에서 방출되는 복사파를 반사시켜 다시 용융 몰드 플럭스(20) 혹은 용강(12)의 표면으로 복사파를 흡수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용강(12)의 표면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용융 몰드 플럭스(20)가 주형(10) 벽면에서 다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 유닛(200)은 몰드 플럭스 공급원(205)과, 몰드 플럭스 공급원(205)으로부터 가용해된 액상 상태 또는 과립 혹은 분말 상태의 몰드 플럭스 원료를 수용하는 도가니(210)와, 상기 도가니(210) 둘레에 구비되어 몰드 플럭스를 용융시키기 위한 열선과 같은 몰드 플럭스 가열 수단(220)과, 상기 도가니(210) 내에서 원하는 상태로 용해된 용융 몰드 플럭스를 배출하는 배출구(230)와, 상기 배출구(230)를 개폐하여 배출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의 양을 제어하는 스토퍼(2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240)는 배출구(23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배출구(230)의 가장자리와 스토퍼(240)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의 양을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스토퍼(240)는 (도시되지 않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에 의해 상하 이동이 정밀하게 제어된 다.
상기 이송 유닛(300)은 일단이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 유닛(200)과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탕면 커버(100)를 관통하여 주형 내에 용융 몰드 플럭스(20)를 공급하는 주입용 노즐(312)이 구비된 주입관(310)과,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 유닛(200)과 상기 탕면 커버(100) 사이에서 상기 주입관(310)의 외부를 둘러싸서 상기 주입관(310)을 가열하는 열선과 같은 주입관 가열 수단(320)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20)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관(310)과 주입관 가열 수단(320)의 외부는 단열재로 단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드플럭스 용해 유닛(200) 및 이송 유닛(300)의 전부 혹은 일부분은 백금(Pt) 혹은 백금-로듐(Pt-Rh)과 같은 백금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몰드플럭스는 주조 중 주형 탕면으로 떠오르는 비금속 개재물을 신속하게 용해하여야 하므로 점도가 낮고 Al2O3 등의 산화물을 용해하는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기존의 유리 공업에서 사용하는 내화물 재질의 용해로는 용융 몰드 플럭스(20)에 의한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 유닛(200)에서 용융 몰드 플럭스(20)가 배출되는 배출구(230) 및 상기 스토퍼(240)의 하단부와 상기 몰드 플럭스 이송 유닛(300)의 주입용 노즐(312)을 포함하는 주입관(310)에서 이러한 침식이 발생할 경우 용융 몰드 플럭스의 정밀한 유량제어가 불가능해져서 안정적인 연속 주조 조업이 불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적어도 상기 주입관(310)과 그에 연결 및 접촉하는 부분, 즉 용융 몰드 플럭스가 배출되는 배출구(230) 및 상 기 스토퍼(240)와 주입관(310)을 백금 혹은 백금 합금 재질로 제작하여 몰드 플럭스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 몰드 플럭스의 유량은 단위 시간당 주형 내로 공급되는 용강량에 따라 변화하며, 스토퍼(240)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스토퍼(240)의 하단부와 배출구(230)의 가장자리 사이의 공간을 제어함으로써 용융 몰드 플럭스(20)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는 용융 몰드 플럭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스토퍼를 사용한 예에 대해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동 방식, 압력 차이에 의한 사이펀 방식 또는 슬라이딩 게이트와 같은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용융 몰드 플럭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를 사용하여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입하는 연속 주조 공정시 효과적인 초기 완냉화 및 전열량 제어를 위해, 본 발명의 몰드 플럭스는 CaO 20 내지 50중량%, SiO2 20 내지 50중량%, Al2O3 20중량% 이하, Na2O 20중량% 이하, Li2O 10중량% 이하, B2O3 20중량% 이하, MgO 10중량% 이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열 전도도(thermal conductivity)가 1.2W/m.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CaO와 SiO2는 몰드 플럭스의 염기도를 조성하는 성분으로, 상기 CaO가 50중량%을 초과하거나 SiO2가 20중량% 미만으로 조성되면, 슬래그의 점도가 매우 떨어지므로 용강 내에 슬래그 유입이 과다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CaO 가 20중량% 미만이거나 SiO2가 50중량%를 초과하여 조성되면, 슬래그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게 되어 용강 내 슬래그 유입이 곤란해지므로 주형의 윤활능이 떨어져서 브레이크 아웃 발생의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상기 Al2O3는 몰드 플럭스의 점도를 조절하는 성분으로, 20중량%를 초과하여 조성되면 몰드 플럭스의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하고 용강 내의 비금속 개재물 흡수능이 저하된다.
상기 Na2O는 상기 Al2O3와 마찬가지로 몰드 플럭스의 용융점을 제어하기 위해 조성되는 성분으로, 20중량%를 초과하여 조성되면 몰드 플럭스의 용융점이 낮아져 점도와 표면 장력이 지나치게 저하되므로 용강 혼입의 억제 효과를 현저히 저하시킨다. 따라서 점도를 증가시키려면 상기 Na2O 성분을 감소시키고 Al2O3 성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점도를 감소시키려면 상기 Na2O 성분을 증가시키고 Al2O3 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i2O와 B2O3는 몰드 플럭스의 용융점과 점도, 또는 열전도도를 제어하는 성분으로, Li2O와 B2O3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용융점과 점도가 낮아지고 열전도도가 높아지나, 지나치게 많은 함량이 첨가되는 경우에 몰드 플럭스의 융점과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져 용강으로의 혼입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Li2O는 10중량% 이하, B2O3는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gO는 상기 CaO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나 단위 중량당의 효과는 CaO에 미치지 못한다. 단, MgO가 지나치게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 고온의 석출물을 형성하여 점도를 높이거나 결정질의 형성을 촉진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MgO는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몰드 플럭스의 열 전도도(thermal conductivity)를 제어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시 조업 안정성과 주편 품질 확보를 위해 필요한 전열량 조절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몰드 플럭스의 열 전도도를 1.2W/m.k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은 평균전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연속 주조시 브레이크 아웃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몰드 플럭스의 조성을 최적화함에 따라 유리질 상태에서의 열 전도도가 증가하여 1.2W/m.k 이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염기도(CaO/SiO2)가 감소함에 따라 SiO2의 사슬 구조(chain structure)가 발달하며 포논(phonon) 전달이 용이해지며, 열 전도도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연속 주조 공정에 있어서, 상술한 몰드 플럭스를 이용한 용융 몰드 플럭스 조업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언급한 연속 주조 장치를 사용하여 몰드 플럭스를 주형 외부에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상기 용해된 몰드 플럭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주형 내로 주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용융 몰드 플럭스 조업을 적용함에 따라 슬래그 베어를 제거할 수 있으며, 몰드 플럭스의 소모량이 증가하여 몰드 플럭스 필름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열전달이 억제되고 초기 완냉화로 인해 탕면 응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표면 크랙과 같은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열 전도도가 향상된 몰드 플럭스를 사용함으로써, 평균 전열량은 증가하고, 즉, 응고셀의 두께를 증가시켜 브레이크 아웃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은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의 몰드 플럭스의 성분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몰드 플럭스의 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6044259598-pat00001
상기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은 열 전도도(thermal conductivity)가 1.2W/m.k 이하로 조성이 이루어지고, 반면에 실시예는 열 전도도가 1.2W/m.k 이상이 되도록 조성이 이루어진다.
하기 표 2는 상기 비교예1 내지 3 및 실시예의 조업 조건 및 조업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1 내지 비교예3 및 실시예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의 몰드 플럭스를 사용하여 연속 주조 장치에서 하단 폭이 1012mm, 두께가 140mm의 주형으로 슬라브 주조를 수행하였다. 강종은 탄소 농도 60ppm의 극저탄소강이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1은 주형 외부에서 몰드 플럭스를 완전히 용해한 후 스토퍼(stopper) 형태의 유량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형 내부로 주입하였으며, 주입시 용융 몰드 플럭스의 온도는 1,300℃이다. 주조 개시 전 용강이 주형에 충진된 시점에서 용융풀의 두께가 목적 값에 도달한 후 주조 개시와 동시에 탕면 커버를 주형에 설치하였다. 이후, 주조 진행에 따라 용융 몰드 플럭스의 소모량을 연속적으로 보충하였다. 상기 탕면 커버는 알루미늄 재질로 표면을 극히 미려하게 연마하였으며 용강 복사선 영역인 500 내지 4,000nm 영역의 적외선에 대한 평균 반사율을 85%로 하였다.
상기 비교예2 및 3은 파우더 몰드 플럭스를 사용하는 통상의 조업과 같이, 주조 개시 전 용강이 주형에 충진된 시점에서 파우더 몰드 플럭스를 투입하고 주조를 개시하였으며, 주조 중 수시로 분말 몰드 플럭스를 투입하여 보충하였다.
Figure 112006044259598-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용융 몰드 플럭스 조업을 적용함에 따라 슬래그 베어를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몰드 플럭스의 소모량이 파우더 몰드 플럭스 조업을 적용한 비교예2 및 비교예3에 비해 대폭 증가하여 주형과 응고 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비교예2 및 비교예3에 비해 최대전열량/평균전열량 비가 낮아져 초기 완냉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입함으로써, 파우더 몰드 플럭스에 비해 탕면 직하에서의 최대전열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평균전열량 대비 최대전열량의 비율은 파우더 몰드 플럭스를 투입하는 기존 조업에서 2.0 내지 2.5인데 비해, 용융 몰드 플럭스를 투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업을 실시할 경우 1.2 내지 1.5로 급격히 낮아지게 된다.
또한, 실시예는 동일한 용융 몰드 플럭스 조업을 적용한 비교예1에 비해 열전도도를 1.2W/m.k 이상으로 제어함으로써, 평균 전열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입함에 따라 초기 완냉화를 이루며 최대전열량/평균전열량 비는 거의 비슷하나, 열 전도도가 1.30W/m.k인 실시예의 경우 열 전도도가 1.05W/m.k인 비교예1에 비해 평균 전열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는 응고 셀의 두께를 증가시키며, 브레이크 아웃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몰드 플럭스의 조성에 따라 열 전도도를 1.2W/m.k 이상으로 제어한 용융 몰드 플럭스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완냉화로 인해 탕면 응고를 방지하고 표면 크랙의 발생을 감소시켜 제품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아웃의 발생을 방지하여 조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용융 몰드 플럭스 조업을 적용하여 슬래그 베어를 제거하고 초기 완냉화로 인해 탕면 응고를 방지하고 표면 크랙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몰드 플럭스의 조성에 따라 열 전도도를 제어함으로써, 평균 전열량을 상승시켜 브레이크 아웃의 발생을 방지하고, 조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연속 주조용 몰드 플럭스에 있어서,
    불소를 함유하지 않고, CaO 20 내지 50중량%, SiO2 20 내지 50중량%, Al2O3 20중량% 이하, Na2O 20중량% 이하, Li2O 10중량% 이하, B2O3 20중량% 이하, MgO 10중량% 이하를 함유하여 구성되며, 열 전도도가 1.2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럭스.
  2. 연속 주조 방법에 있어서,
    주형의 외부에서, 불소를 함유하지 않고, CaO 20 내지 50중량%, SiO2 20 내지 50중량%, Al2O3 20중량% 이하, Na2O 20중량% 이하, Li2O 10중량% 이하, B2O3 20중량% 이하, MgO 10중량% 이하를 함유하여 구성되며, 열 전도도가 1.2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럭스를 용해하는 단계; 및
    상기 용해된 몰드 플럭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연속 주조 전체 공정에 걸쳐 상기 용해된 몰드 플럭스를 주형 내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60056510A 2006-06-22 2006-06-22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074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510A KR100749025B1 (ko) 2006-06-22 2006-06-22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PCT/KR2007/003032 WO2007148939A1 (en) 2006-06-22 2007-06-22 Mold flux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07800228800A CN101472693B (zh) 2006-06-22 2007-06-22 保护渣和使用该保护渣的连铸方法
JP2009516406A JP5037612B2 (ja) 2006-06-22 2007-06-22 モールドフラックス及びこれを用いた連続鋳造方法
EP07747064.9A EP2035169B1 (en) 2006-06-22 2007-06-22 Mold flux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510A KR100749025B1 (ko) 2006-06-22 2006-06-22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025B1 true KR100749025B1 (ko) 2007-08-13

Family

ID=3860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510A KR100749025B1 (ko) 2006-06-22 2006-06-22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161A (ko) *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및 주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1862A (en) 1980-08-27 1982-03-09 Nippon Steel Corp Mold additive for continuous casting
JPS6475157A (en) * 1987-09-18 1989-03-20 Kawasaki Steel Co Continuous casting mold powder for extra-low carbon steel
JPH10314897A (ja) 1997-05-19 1998-12-02 Nkk Corp 鋼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KR20020052622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연속주조용 몰드에서 슬래그 베어의 생성을 방지하는 장치및 그 방법
JP2002301551A (ja) 2001-04-02 2002-10-15 Sumitomo Metal Ind Ltd モールドパウダおよび連続鋳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1862A (en) 1980-08-27 1982-03-09 Nippon Steel Corp Mold additive for continuous casting
JPS6475157A (en) * 1987-09-18 1989-03-20 Kawasaki Steel Co Continuous casting mold powder for extra-low carbon steel
JPH10314897A (ja) 1997-05-19 1998-12-02 Nkk Corp 鋼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KR20020052622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연속주조용 몰드에서 슬래그 베어의 생성을 방지하는 장치및 그 방법
JP2002301551A (ja) 2001-04-02 2002-10-15 Sumitomo Metal Ind Ltd モールドパウダおよび連続鋳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161A (ko) *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및 주조 방법
KR102179557B1 (ko) * 2018-10-29 2020-11-16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및 주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024B1 (ko) 용융 몰드 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0749027B1 (ko)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및 방법
KR100749026B1 (ko)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JP5037612B2 (ja) モールドフラックス及びこれを用いた連続鋳造方法
EP3821998A1 (en) Cored wire for reducing degree of superheat of molten steel and use method thereof
KR100749025B1 (ko)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JP4272577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WO2005123301A1 (en) Zirconia refractories for making steel
CA1077674A (en) Method of starting a pour in continuous casting plant and an arrangement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0822412B1 (ko) 연속 주조용 몰드 플럭스 투입장치
KR101940989B1 (ko) 용융 및 고상 몰드 플럭스의 하이브리드 조업을 이용한 고 Al 함유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0749021B1 (ko)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KR100321022B1 (ko) 중탄소고망간강용몰드플럭스
KR102456462B1 (ko) 나탕 발생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조업 방법
KR100349151B1 (ko) 중탄소강연속주조용지르코니아함유몰드플럭스
KR102277295B1 (ko) 침지노즐의 내화물 단변경 제어를 통한 강재의 연속주조방법
JPS61232047A (ja) 連続鋳造用金属溶湯の温度制御方法
KR101344898B1 (ko) 침지노즐
KR20110131356A (ko) 파우더 윤활재를 사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1064988B1 (ko)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b₂o₃계 몰드플럭스
KR20040056609A (ko) 연속주조시 구속 및 코너세로크랙에 의한 브랙아웃을저감할 수 있는 몰드 플럭스
KR20040054823A (ko) 완냉각형 몰드플럭스 적용에 의한 연속주조용 몰드동판수명 향상방법
JPS63235054A (ja) 連続鋳造鋳片の高速鋳造時の縦割れ防止方法
JPS61195744A (ja) 鋼の連続鋳造法
KR20110120482A (ko) 컴파운드 캐스팅의 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