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568B1 -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568B1
KR100747568B1 KR1020040117586A KR20040117586A KR100747568B1 KR 100747568 B1 KR100747568 B1 KR 100747568B1 KR 1020040117586 A KR1020040117586 A KR 1020040117586A KR 20040117586 A KR20040117586 A KR 20040117586A KR 100747568 B1 KR100747568 B1 KR 100747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element
predetermined size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79406A (en
Inventor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568B1/en
Publication of KR2006007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4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5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8Laser speckle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의 출렁거림이나 밝기 저하 없이 레이저 반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빔을 일정 크기로 확산시키며 출사시키는 확산렌즈와,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도록 코팅된 엠보싱(embossing)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확산렌즈에서 출사되는 빔을 굴절시켜 서로 다른 빔의 경로를 만들어 출사하는 광학소자와, 상기 광학소자에서 투사되어진 빔을 다시 모아서 출사시키는 집속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reduce the laser spots without blurring or brightness of the screen, the diffusion lens for diffusing the input beam to a predetermined size and exit,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The optical element formed in the form of embossing coated to have a partially different refractive index and refracted by the beam emitted from the diffusing lens to form a path of different beams, and the beam projected from the optical elemen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cusing lens to collect and exit again.

레이저 반점, GoodmanLaser spot, Goodman

Description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학계{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를 이용한 광학계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tical system using a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를 나타낸 도면2 and 3 show a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광원 200 : 광학소자100: light source 200: optical element

210 : 굴절렌즈 220 : 유리구슬210: refractive lens 220: glass beads

310 : 확산렌즈 320 : 집속렌즈310: diffused lens 320: focusing lens

400 : 투사계 500 : 스크린400: projection system 500: screen

본 발명은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 검출기가 레이저 조명에 의해 조사된 표면을 관측하여 강도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반점을 감소시키기 위한 레이저 조명분야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field of laser illumination, in which an illumination detector observes a surface illuminated by laser illumination to reduce laser spots detected by an intensity detector.

최근 디스플레이 분야의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소비자들은 좀더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좀더 큰 화면으로 보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레이저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isplay field, consumers want to see brighter and clearer images on a larger screen. As one of means for satisfying the needs of consumers, the development of displays using lasers is actively progressing.

하지만 레이저 조명은 간섭성이기 때문에 스크린에 의해 확산될 때, 인간의 눈에 밝고 어두운 간섭무늬인 레이저 반점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서 본래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보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However, because laser light is coherent, when it is diffused by a screen, it creates laser spots, which are bright and dark interference patterns in the human eye. Therefore, due to this phenomenon, a phenomenon in which the original image cannot be seen clearly appears.

이러한 레이저 반점을 없애기 위해 사용된 종래의 방법들은 'Goodman'에 의해 알려진 N개의 무관계(uncorelated) 반점 패턴을 중첩시킴으로서 감소시키고 있다.Conventional methods used to eliminate such laser spots have been reduced by superimposing N uncorelated spot patterns known by Goodman.

즉, Goodman에 의해 알려진 시간평균을 사용하는 진동으로 시청 스크린이나 파이버를 움직임으로써 다중 반점 패턴을 생성한다. 이때 진동은 광학 축을 중심으로 작은 원 또는 작은 타원을 통상적으로 뒤따른다. 이는 반점 패턴이 시청 스크린을 보는 눈에 대해 변이 되도록 하여, 시간에 걸쳐 다중 반점 패턴을 형성한다.That is, multiple spot patterns are generated by moving the viewing screen or fiber with vibration using the time average known by Goodman. The vibration then typically follows a small circle or a small ellipse about the optical axis. This causes the spot pattern to shift with respect to the eye viewing the viewing screen, forming multiple spot patterns over time.

따라서 임의의 시간에서 반점의 양이 변화되지 않더라도, 눈은 진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이 되는 경우 감소된 반점을 인지한다. 즉, 눈은 진동이 통합 시간 내에서 무관계 반점 패턴을 생성할 만큼 눈에 대한 통합 시간이 충분히 길다면 감소된 반점을 검출하게 된다.Thus, even if the amount of spots does not change at any time, the eye perceives the reduced spots when the oscillation speed is above the threshold speed. That is, the eye will detect reduced spots if the integration time for the eye is long enough for the vibration to produce an irrelevant spot pattern within the integration time.

또한, 레이저 조명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회절성 광학소자가 레이저 반점을 감소시키기 위해 레이저 조명 영상 시스템에 부가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상기 회절성 광학소자는 중간 영상 평면에 또는 중간 영상 평면 근처에 위치되 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변화하는 위상을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시스템 광학층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환상 패턴인 중간 영상 평면에서 이동된다. 이렇게 변화하는 위상은 시간에 따라 무관계 반점 패턴을 생성하여서 시간 평균을 사용하여 감소된 반점을 검출한다.It is also known in the field of laser illumination displays that diffractive optics can be added to the laser illumination imaging system to reduce laser spots. That is,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mediate image plane and is moved in the intermediate image plane, which is a rotational or annular pattern about the display system optical layer, to produce a varying phase in the display screen. This changing phase generates an irrelevant spot pattern over time to detect reduced spots using a time average.

하지만, 이와 같이 시청 스크린이나 파이버를 움직임으로써 다중 반점 패턴을 생성하여 감소된 반점을 검출하는 방법은 화면의 출렁거림으로 시청에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밝기 저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detecting the reduced spots by generating multiple spot patterns by moving the viewing screen or the fiber may cause discomfort to viewing due to the flickering of the screen, and also has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brightne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화면의 출렁거림이나 밝기 저하 없이 레이저 반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reducing laser spots without flickering or deteriorating brightness of a scre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 빔의 이동경로를 다변화 할 수 있는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system capable of diversifying the movement path of the laser bea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 파이버(Fiber)를 사용하지 않는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system that does not use an optical fi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의 특징은 입력되는 빔을 일정 크기로 확산시키며 출사시키는 확산렌즈와,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도록 코팅된 엠보싱(embossing)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확산렌즈에서 출사되는 빔을 굴절시켜 서로 다른 빔의 경로를 만들어 출사하는 광학소자와, 상기 광학소자에서 투사되어진 빔을 다시 모아서 출사시키는 집속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Features of the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ffusing lens for diffusing the input beam to a predetermined size and exiting,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is partially different refractive index The optical element is formed in the form of embossing coated to have a shape to be refracted by the beam emitted from the diffusing lens to form a path of different beams, and the focusing lens to collect and emit the beam projected from the optical element agai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바람직하게 상기 확산렌즈, 광학소자 및 집속렌즈는 입사면에 AR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iffusion lens, the optical element and the focusing lens are AR coated on the incident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광학소자는 폴리카본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글라스(Glass)로 형성된 굴절렌즈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정 크기의 유리 구슬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tica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glass bead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ntrance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of the refractive lens formed of polycarbonate or glass.

바람직하게 상기 유리 구슬의 소정 크기는 150㎛ ~ 1mm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glass beads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ize of 150㎛ ~ 1mm.

바람직하게 상기 광학소자는 폴리카본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글라스(Glass)로 형성된 굴절렌즈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정 크기의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tica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microlen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entrance surface and an exit surface of a refractive lens formed of polycarbonate or glass.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소정 크기는 4㎛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micro le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4㎛.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광학소자는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tica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about the axis of the cen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특징은 빔(beam)의 소스를 제공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빔을 입력으로 일정 크기로 확산시키며 출사시키는 확산렌즈와,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도록 코팅된 유리 구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확산렌즈에서 출사되는 빔을 굴절시켜 서로 다른 빔의 경로를 만들어 출사하는 광학소자와, 상기 광학소자에서 투사되어진 빔을 다시 모아서 출사시키는 집속렌즈와, 상기 집속렌즈에서 출사되는 빔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Features of th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ight source for providing a source of a beam (beam), a diffusion lens for diffusing and outputting the beam to a predetermined size as an input from the light source,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exit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is formed in the form of glass beads coated to have a partially different refractive index to refracted by the beam emitted from the diffusion lens to form a path of different beams and the optical device, And a focusing lens for collecting and projecting the projected beams again, and a projection system for enlarging and projecting an image onto a screen by using the beams emitted from the focusing le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학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and the optical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를 이용한 광학계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tical system using a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빔(beam)의 소스를 제공하는 광원(100)과, 상기 광원(100)에서 빔을 입력으로 일정 크기로 확산시키며 출사시키는 확산렌즈(310)와,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유리 구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확산렌즈(310)에서 출사되는 빔을 굴절시켜 서로 다른 빔의 경로를 만들어 출사하는 광학소자(200)와, 상기 광학소자(200)에서 투사되어진 빔을 다시 모아서 출사시키는 집속렌즈(320)와, 상기 집속렌즈(320)에서 출사되는 빔을 이용하여 스크린(500)에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계(4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light source 100 providing a source of a beam, a diffusion lens 310 that emits light by diffusing the beam at a predetermined size as an input from the light source 100, and an incident surface and an exi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100. At least one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t least two glass beads to refracted the beam emitted from the diffusion lens 310 to form a path of different beams and to emit, and the optical element 200 The focusing lens 320, which collects and emits the beams projected by the light beams again, and the projection system 400 that enlarges and projects the image on the screen 500 by using the beams emitted from the focusing lens 320.

이때, 모든 렌즈 입사면은 무반사(anti-reflection : AR) 코팅을 하여 빔의 반사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ll the lens incident surface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reflection of the beam by the anti-reflection (AR) coating.

그리고 상기 광학소자(200)는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구성되며, 이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d the optical device 20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s 2 to 3,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시된 것과 같이, 광학소자(200)는 폴리카본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글라스(Glass)로 형성된 굴절렌즈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은 사이즈의 유리 구슬이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유리 구슬이 형성되어진 부분은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도록 코팅되어 있다.As shown, the optical element 200 has a glass bead of a small siz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ntrance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of the refractive lens formed of polycarbonate or glass, and the glass Part where the beads are formed is partly coated to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또한 상기 유리 구슬의 크기는 광학계에 따라 150㎛ ~ 1mm 까지 다양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아울러 여러 가지 사이즈의 유리 구슬을 하나의 광학소자(200)에 한꺼번에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glass beads may be used in various ways up to 150㎛ ~ 1mm according to the optical system, and may also be used in a single optical element 200, glass beads of various sizes at once.

즉, 150㎛~250㎛를 갖는 제 1 유리 구슬과, 400㎛~250㎛를 갖는 제 2 유리 구슬과, 600㎛~800㎛를 갖는 제 2 유리 구슬을 투명판에 각각 배열시켜 하나의 광학소자(200)를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glass beads having a 150 μm to 250 μm, the second glass beads having a 400 μm to 250 μm, and the second glass beads having a 600 μm to 800 μm are arranged on a transparent plate, respectively, to form one optical element. 200 can be configured.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유리 구슬의 조합은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As such, the combination of glass beads having different sizes or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ystem.

또한, 상기 유리 구슬 외에 4㎛ 크기의 마이크로 렌즈를 대신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현재의 기술력에서 4㎛의 크기로 제조되기 때문으로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 작은 마이크로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glass beads it may be configured instead of a microlens of 4㎛ size. In this case, since the microlenses are manufactured in a size of 4 μm in the current technology, smaller microlense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유리 구슬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시스템에 따라 4㎛의 더 작은 크기의 구조가 필요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Embodiments herein describe using glass beads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system, microlenses may be used when smaller structures of 4 µm are required.

그리고, 모터에 의해서 상기 각 광학소자(200)는 중심을 축으로 도 3에서 나 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And, by the motor, each optical element 200 is configured to rotat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를 이용한 광학계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ystem using the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레이저 광원(100)에서 나온 빔은 확산렌즈(310)의 입사면으로 받아 들여서 이를 일정한 크기로 확산시키면서 진행되게 된다.First, the beam emit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100 is received by the incident surface of the diffusion lens 310 and proceeds while diffusing it to a predetermined size.

이렇게 상기 확산렌즈(310)에서 확산되어서 나온 빔은 그대로 회전하고 있는 광학소자(200)로 진행을 하게 된다.The beam diffused from the diffusion lens 310 proceeds to the optical device 200 which is being rotated as it is.

그러면 상기 광학소자(200)는 굴절렌즈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된 유리 구슬에 의해 빔을 굴절시켜 서로 다른 빔의 경로를 만들어 출사시키게 된다. The optical device 200 then deflects the beam by glass bead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ntrance and exit surfaces of the refractive lens, thereby generating and outputting different beam paths.

이때, 상기 굴절렌즈에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유리 구슬을 구성하게 되면, 빛은 서로 다른 굴절률로 코팅된 유리 구슬이 채워진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반복적으로 통과하게 되면서 빔을 다르게 굴절시켜 서로 다른 빔의 경로를 만들어 출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굴절렌즈에 소정 간격을 갖지 않도록 유리 구슬을 구성하게 되면, 유리 구슬의 정점과 정점의 근접하는 부분을 반복적으로 통과하게 되면서 빔을 다르게 굴절시켜 서로 다른 빔의 경로를 만들어 출사시키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glass beads ar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efractive lens, light is repeatedly refracted by differently refracting the beams while the glass beads coated with th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filled with the glass beads that are not coated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You will make a path to exit. In addition, if the glass beads are configured not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efraction lens, the glass beads are repeatedly passed through portions close to the vertices and the vertices of the glass beads, and the beams are refracted differently to make and emit different beam paths.

또한, 상기 유리 구슬의 크기는 광학계에 따라 150㎛ ~ 1mm 까지 다양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아울러 여러 가지 사이즈의 유리 구슬을 하나의 광학소자(200)에 한꺼번에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glass beads may be used in various ways up to 150㎛ ~ 1mm depending on the optical system, and may also be used in a single optical element 200 glass beads of various sizes at once.

즉, 150㎛~250㎛를 갖는 제 1 유리 구슬과, 400㎛~250㎛를 갖는 제 2 유리 구슬과, 600㎛~800㎛를 갖는 제 2 유리 구슬을 투명판에 각각 배열시켜 하나의 광학소자(200)를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glass beads having a 150 μm to 250 μm, the second glass beads having a 400 μm to 250 μm, and the second glass beads having a 600 μm to 800 μm are arranged on a transparent plate, respectively, to form one optical element. 200 can be configured.

이와 같이, 상기 광학소자(200)의 회전을 통해 상기 광학소자(200)를 출사되는 빔은 연속되는 시간 동안에 각각의 유리 구슬을 통과하게 된다. 이는 크기의 변화로 인해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빔을 출사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유리 구슬의 특성상 유리 구슬의 정점과, 상기 정점의 이웃하는 위치를 투과하는 빔은 그 굴절률이 달라지게 되어, 동일한 크기의 유리 구슬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회전을 통해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빔을 출사시킬 수 있다.As such, the beam exiting the optical device 200 through the rotation of the optical device 200 passes through each glass marble for a continuous time. This may cause beam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due to the change in size,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glass beads, the beams passing through the vertices of the glass beads and the neighboring positions of the vertices may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n the case of using glass beads, it is possible to emit beam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rough rotation.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광학소자(200)를 통과하는 동안에 빔의 경로는 계속적으로 바뀌어지게 된다. 이러한 빔의 경로 변화로 인하여 스크린 상에는 서로 다른 레이저 반점 패턴이 독립적으로 생기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path of the beam is continuously 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optical device 200. Due to this beam path change, different laser spot patterns are generated independently on the screen.

이렇게 생긴 서로 독립적인 레이저 반점 패턴들이 스크린 상에서 보여질 때는 이러한 패턴들의 평균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레이저 반점을 줄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When these independent laser spot patterns are seen on the screen, they are shown as the average of these patterns, which has the same effect as reducing laser spots.

결과적으로 레이저 빔에서 나온 빔은 진술한 광학소자(200)를 거치는 동안 본래 가지고 있던 간섭(Coherency) 성질이 줄어들게 되고, 이는 스크린 상에서 레이저 반점의 감소로 나타나게 된다. As a result, the beam emitted from the laser beam is reduced in the coherency properties inherent during the stated optical element 200, which results in a reduction of laser spots on the screen.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학계는 레이저의 진행경로를 다변화 시켜줌으로 인해서 레이저의 고유한 특성인 간섭성을 줄여 스크린 상에서 레이저 반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The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and the optical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laser spot on the screen by reducing the coherence characteristic of the laser due to the diversification path of the laser.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이저를 광원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하여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e the effect of realizing a clearer image by applying to the display field using the laser as a light source.

Claims (9)

입력되는 빔을 일정 크기로 확산시키며 출사시키는 확산렌즈와,A diffusion lens for diffusing the input beam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emitting the light;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도록 코팅된 엠보싱(embossing)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확산렌즈에서 출사되는 빔을 굴절시켜 서로 다른 빔의 경로를 만들어 출사하는 광학소자와,At least one of the entrance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embossing (coated embossing) to have a partially different refractive index to refract the beam emitted from the diffusion lens to make a different beam path and exit Wow, 상기 광학소자에서 투사되어진 빔을 다시 모아서 출사시키는 집속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comprising a focusing lens for collecting and emitting a beam projected from the optical element agai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확산렌즈, 광학소자 및 집속렌즈는 입사면에 무반사(anti-reflection : AR)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The diffusing lens, the optical element and the focusing lens are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reflection (AR) coating on the incident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학소자는 폴리카본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글라스(Glass)로 형성된 굴절렌즈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정 크기의 유리 구슬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The optical device is a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 bead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ntrance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of the refractive lens formed of polycarbonate (glas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유리 구슬의 소정 크기는 150㎛ ~ 1mm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glass beads is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the size of 150㎛ ~ 1mm siz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학소자는 폴리카본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글라스(Glass)로 형성된 굴절렌즈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정 크기의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The optical element is a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len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ntrance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of the refractive lens formed of polycarbonate or glass.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소정 크기는 4㎛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micro lens is a laser spot re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4㎛.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학소자는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반점 감소 장치. And the optical element rotates about an axis thereof. 빔(beam)의 소스를 제공하는 광원과,A light source providing a source of a beam, 상기 광원에서 빔을 입력으로 일정 크기로 확산시키며 출사시키는 확산렌즈와,A diffusing lens for diffusing the beam from the light source to a predetermined size and outputting the beam;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도록 코팅된 유리 구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확산렌즈에서 출사되는 빔을 굴절시켜 서로 다른 빔의 경로를 만들어 출사하는 광학소자와,At least one of the entrance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glass beads coated so as to have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partially to refracted beams emitted from the diffusion lens to make a path of different beams and to emit; 상기 광학소자에서 투사되어진 빔을 다시 모아서 출사시키는 집속렌즈와,A focusing lens for collecting and emitting a beam projected from the optical element again; 상기 집속렌즈에서 출사되는 빔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And a projection system configured to enlarge and project an image on a screen by using the beam emitted from the focusing lens.
KR1020040117586A 2004-12-31 2004-12-31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KR1007475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86A KR100747568B1 (en) 2004-12-31 2004-12-31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86A KR100747568B1 (en) 2004-12-31 2004-12-31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406A KR20060079406A (en) 2006-07-06
KR100747568B1 true KR100747568B1 (en) 2007-08-08

Family

ID=3717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586A KR100747568B1 (en) 2004-12-31 2004-12-31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56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551A (en) * 2001-02-2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3098476A (en) * 2001-08-27 2003-04-03 Eastman Kodak Co Laser projection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551A (en) * 2001-02-2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3098476A (en) * 2001-08-27 2003-04-03 Eastman Kodak Co Laser projection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406A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4640B2 (en) Light source device, image display device, projector, and illumination device
JP4158987B2 (en) Two-dimens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JP5541462B2 (e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device
JP6327035B2 (en) Illumination device, projection device, lens array and optical module
JP20095277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eckle reduction by angular scanning for laser projection display
JP2008257242A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JP2007316640A (en) Light modulator for reducing laser speckles and light modulator module
US200702230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ser speckle reduction
JP5312234B2 (en) TRANSMISSION SCRE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07323013A (en) Transmission-type screen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JP5144508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2237811A (en) Illumination device, projection video display device, and light deflecting device
US8274736B2 (en) Transmission-type scree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KR100747568B1 (en)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JP6287196B2 (en) Illumination device, projection device, and optical scanning device
KR100686131B1 (en)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KR100686132B1 (en)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KR101234037B1 (en)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KR100685989B1 (en)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US20060250693A1 (en) Projection optics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101227474B1 (en)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and projection system of the same
KR101306705B1 (en) Image apparatus using light source of laser
KR100685968B1 (en) Apparatus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JP4954296B2 (en) TRANSMISSION SCRE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070223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ser speckle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