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454B1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ub display device capable of direction contro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ub display device capable of direction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454B1
KR100747454B1 KR1020050088375A KR20050088375A KR100747454B1 KR 100747454 B1 KR100747454 B1 KR 100747454B1 KR 1020050088375 A KR1020050088375 A KR 1020050088375A KR 20050088375 A KR20050088375 A KR 20050088375A KR 100747454 B1 KR100747454 B1 KR 10074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3822A (en
Inventor
김봉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8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454B1/en
Publication of KR2007003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4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다른 측면에 부착된 부 화면을 필요시 주 화면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하여, 두 화면을 보면서 동일 작업 또는 각기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 화면과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부 화면의 일 측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그 표시 화면이 주 화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듀얼 폴더형 단말기의 폴더 외측에 부착된 부 화면을 필요시 주 화면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단말기의 동일한 면에 구비하던 부 화면과 달리 듀얼 폴더형 단말기의 외측에 구비하던 부 화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요시에만 부 화면의 방향을 조정하여 주 화면의 보조 화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 화면과 동일 작업 또는 각기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동시에 두 가지 작업 화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기능을 좀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b-screen capable of adjusting the sub-screen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if necessary, so that the same or different operations can be performed while looking at the two screens. It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ain screen and a sub-screen, having a rotating shaft on one side of the sub-screen, and adjusting the display screen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condary screen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older of the dual foldable terminal to be adjust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if necessary, unlike the secondary screen provided on the same side of the existing terminal of the dual foldable terminal The sub-screens can be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when necessary, the sub-screens can be adjusted to be used as sub-screens of the main screen to perform the same or different operations as the main screens. Since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two work screens can be viewed at the same time, the multitask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more efficiently performed.

Description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UB DISPLAY DEVICE CAPABLE OF DIRECTION CONTROL}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UB DISPLAY DEVICE CAPABLE OF DIRECTION CONTRO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예시도.1 is an illust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ub-screen capable of directio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ub-screen capable of directio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보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ub-screen capable of adjusting the direction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1 : 주 화면 102 : 부화면101: main screen 102: sub-screen

103 : 부 화면 회전축 300 : 폰 제어부103: secondary screen rotation axis 300: phone control unit

307 : 주 표시부 308 : 부 표시부307: primary display unit 308: secondary display unit

309 : 부 표시부 회전방향 검출부 401 : 네비게이션 키309: sub-display portion rotation direction detector 401: navigation key

402 : 기능 키402: function key

본 발명은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다른 측면에 부착된 부 화면을 필요시 주 화면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하여, 두 화면을 보면서 동일 작업 또는 각기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ub-screen capable of direction adjustment, and in particular, by adjusting the sub-screen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the same operation or each while viewing the two scree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ub-screen capable of adjusting other directions.

최근까지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형태와 기능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하였다. 그 형태에 있어서는 막대형 단말기에서부터 플립형, 폴더형, 듀얼 폴더형, 최근의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이르고 있으며, 기능에 있어서는 단순히 전화 송수신 기능에서부터 최근의 게임 및 VOD(Video On Demand),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기능에 이르고 있다.Until 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and developments in form and function. In its form, it ranges from a bar terminal to a flip, a clamshell, a dual clamshell, and a recent slide terminal. In terms of functions, it is simply a telephon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 recent game, a video on demand, an electronic dictionary, an MP3 player. It is reaching a function.

상기 단말기들을 형태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큰 특징은 화면의 개수 및 크기에 있는데, 플립형과 폴더형의 경우 하나의 화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크기도 작고 흑백 화면인데 반하여, 듀얼 폴더형 단말기는 폴더의 내측에 주 화면을 두고 그 외측에 부 화면을 두어 폴더를 열지 않고도 전화수신 정보 및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고, 슬라이드형의 경우는 하나의 화면을 구비하는 대신 컬러 화면이면서 화면의 크기를 좀더 크게 함으로써,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부 화면의 기능과 주 화면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 large feature that can formally distinguish the terminals is the number and size of screens. In the flip type and the folder type, a single screen is provided and its size is also small and black and white. With the main screen on the outside and a sub screen on the outside, it is convenient to check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and time without opening the folder.In the case of the slide type, it is a color screen but a screen size that is larger than one screen. By increasing the size, the sub screen function and the main screen function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최근 사용자들은 듀얼 폴더형 단말기와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주로 선호하고 있다.Recently, users prefer a dual folder type terminal and a slide type terminal.

일반적으로, 3G(3세대) 이전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기술상의 문제로 인하여 동시에 여러 작업(멀티테스킹)을 실행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3G 이동 통신 에서는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들의 동시 작업이 가능할 정도로 기술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중 작업을 수행할 경우 현재 수행되고 있는 다중 작업을 표시해주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In general, prior to 3G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ere unable to execute multiple tasks (multitasking) simultaneously due to technical problems. However, in 3G mobile communication, since the technology has been improved to allow simultaneous operation of all services provided by a terminal, when a user performs multiple tasks, there is a necessity to display the current multiple tasks.

즉, 전화통화를 하면서 인터넷 서비스(프로그램 다운로드 등)를 이용한다든지, 전화통화를 하면서 게임을 하는 경우(이어폰으로 전화통화를 하면서 화면으로는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또는 게임을 하면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등, 다중 작업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In other words, if you use an internet service (such as downloading a program) while making a phone call, play a game while making a phone call (playing a game on the screen while making a phone call with an earphone), or use a text message service while playing a game.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multiple tasks is required, for example, for use.

그러나,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멀티테스킹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예컨대, 듀얼 폴더형 단말기의 주 화면이나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게임을 하고 있는 중,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종래에는 게임 화면을 문자 메시지 수신 화면으로 일시 전환한 후,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면 다시 게임 화면으로 돌아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게임을 일시 중단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o not have a user interface for supporting a multitasking function. For example, when a text message is received while playing a game on a main screen or a slide type terminal of a dual folder type terminal, the game screen is temporarily switched to a text message receiving screen. Because of the way back to the screen, the game had to be suspended.

즉, 화면의 크기가 작은 단말기의 특성상 두 가지 작업을 한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전에 수행하던 작업의 화면 표시를 일시 중단한 후 새로 수행할 작업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That is, since it is difficult to display two tasks simultaneously on one scree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terminal having a small screen size, a display of a task screen to be newly performed after the screen display of a previously performed task is suspend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듀얼 폴더형 단말기의 폴더 외측에 부착된 부 화면을 필요시 주 화면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djust the sub-screen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older of the dual folder type terminal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if necessary.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주 화면과 부 화면을 동일 방향으로 조정한 후, 그 두 화면에서 동일 작업 또는 각기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by adjusting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n performing the same task or different tasks on the two screens. .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 화면과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부 화면의 일 측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그 표시 화면이 주 화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ain screen and a sub-screen, and includes a rotating shaft on one side of the sub-screen, and adjusts the display screen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본 발명은 주 화면과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그 단말기의 각 화면을 통해서 '게임'을 할 수 있는 화면 또는 '문자 송수신'이나 '전화 통화', 'MP3 기능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일측 화면만을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 효율성이 떨어지던 화면의 사용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ain screen and a sub-screen, wherein each screen of the terminal can perform a 'game' or a 'text transmission', 'telephone call', or 'MP3 function operation'. By displaying a screen that can be used, only one side of the screen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mode of the terminal to improve the use efficiency of the screen, the use efficiency is low, and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폴더의 외측에 부 화면을 갖는 듀얼 폴더형 단말기를 참조로 설명하며, 이때 그 외측으로 향해 있는 부 화면을 폴더 내측의 주 화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부 화면에 독립적인 제어 버튼(예 : 탐색키, 선택키, 네비게이션키)을 두어 문자 송수신이나, MP3 기능제어, 일정 관리 등을 단말기 본체의 키 패드를 이용하 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ual foldable terminal having a sub screen on the outer side of the fold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wherein the sub screen facing outward can be switch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inside the folder. Independent control buttons (e.g. navigation keys, selection keys, navigation keys) are provided on the sub-screen that can be changed in direction, and text transmission, MP3 function control, and schedul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without using the keypad of the terminal. Allow operation.

물론, 주 화면과 부 화면을 반대편에 위치한 상태로 다른 기능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매번 단말기의 앞/뒤를 쳐다봐야 하기 때문에 효율이 극히 떨어지게 되므로, 결국 이런 기능이 있으나 없으나 큰 의미가 없게 되는 것이다.Of course,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other side of the other function, but because the user has to look at the front and back of the terminal every time, the efficiency is extremely low, there is such a function in the end, but there is no significant meaning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폴더를 닫은 대기 상태에서 시간 등을 표시하던 부 화면을 필요시 주 화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두 화면(주 화면, 부 화면)을 동시에 보면서 두 가지 기능을 한번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sub screen, which displays the time and the like, in the standby state in which the folder is cl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if necessary, so that the user can simultaneously view the two screens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Enable both features at once.

다만, 상기와 같이 부 화면을 주 화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정했을 경우, 부 화면을 주 화면의 확장 표시 용도로 사용하거나, 부 화면과 주 화면에 각기 다른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기능 전환 버튼을 단말기에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However, when the sub screen is adjust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sub screen can be used for the expanded display of the main screen or for displaying different function screens on the sub screen and the main screen. It is desirable to have a function switch button on the terminal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예시도로서, (a)는 기존의 듀얼 폴더형 단말기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즉, 폴더의 내측에 주 화면(101)이 부착되고 폴더의 외측에 부 화면이 부착되는 것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ub-screen capable of directio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as the same shape as a conventional dual foldable terminal. That is, the main screen 101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folder and the sub screen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older.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b)와 같이 부 화면(102)을 회전시켜 주 화면(101)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부 화면을 폴더 외측에 고정시키지만, 필요시 부 화면을 회전축(10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 화면과 동일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b), the sub screen 102 can be rotated to adjus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101. That is, although the secondary screen is usuall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older, if necessary, the secondary screen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103 to be adjus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여기서, 상기 부 화면(10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103)은 단말기 본체(201)와 폴더(202)를 결합한 기구적 구성을 약간 변형하는 정도로 쉽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별도의 기구적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rotating shaft 103 for rotating the sub-screen 102 can be easily used to slightly modify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body 201 and the folder 202, a separate mechanica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ll be omitted.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크게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구성인 폰 제어부(300) 및 카메라부 등 각종 부속회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그 구성들은 선택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른 기능 블록부가 추가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ub-screen capable of directio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largely provided to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various accessory circuits such as the phone control unit 300 and the camera unit. However, the configurations are optional and are not essential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added according to embodiments.

상기 부속회로에는 키패드(306)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주 표시부(307) 및 부 표시부(308)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302)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회로(301)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 표시부(308)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부 표시부 회전방향 검출부(309)와; 상기 부 표시부 회전방향 검출부(309)를 통해 검출된 부 표시부의 방향에 따라 부 표시부의 온/오프 및 기 선택된 기능의 표시를 제어하는 폰 제어부(300)를 포함한다.The accessory circuit includes a keypad 306, a main display unit 307 and a sub display unit 308 for displaying menus and operating st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2 for extracting voice and data signals from radio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a voice input / output circuit 301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 voice call signal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microphone and a speak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b display unit rotation direc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b display unit 308 ( 309); And a phone controller 300 that controls on / off of the sub display unit and display of a pre-selected fun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ub display unit detected by the sub display unit rotation direction detector 309.

여기서, 폰 제어부(300)는 대부분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어 있으며, 통상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모뎀)와,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따라 서, 본 발명의 기능 수행 이외에 기능적으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고, 키패드(306)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Here, the phone controller 300 is commercially provided as a single integrated circuit, and this integrated circuit, commonly referred to as an MSM chip, has dedicated hardware (modem)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therein,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general purpose microcontroller. It includes a processor. Therefore, in addition to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ntrols the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functionally, and controls the entire system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r operation state input from the keypad 306.

예컨대, 폰 제어부(300)는 부 표시부(308)의 방향이 폴더의 외측에 부착되어 외측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아니면 부 표시부(308)를 회전시켜 폴더의 내측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를 부 표시부 회전방향 검출부(309)를 통해 검출한다. 상기 부 표시부 회전방향 검출부(309)는 일종의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hone controll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sub display unit 308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older and directed toward the outside, or whether the sub display unit 308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folder by rotating the sub display unit 308. 309 is detected. The secondary display unit rotation direction detector 309 may be configured as a kind of on / off switch.

만약, 부 표시부(308)가 폴더의 외측 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폰 제어부(30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전화(메시지) 착신 알림이나 시계 등을 표시하며,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부 표시부(308)가 폴더의 내측 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주 화면을 확장한 화면이나 주 화면에서 수행되는 기능과는 다른 기능(메시지 송수신, 전화 통화, MP3 기능제어, 일정관리 등) 화면을 표시한다. If the sub display unit 308 is direc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older, the phone control unit 300 displays a call (message) call notification or clock while the folder is closed, and the sub display unit in the open state. When 308 is direct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folder, a screen that expands the main screen or a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unction performed on the main screen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telephone call, MP3 function control, schedule management, etc.) is displayed.

물론, 부 표시부의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도 방향이 전환되기 전과 같이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기능 전환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다.Of course, even when the direction of the sub-display portion is switched, the time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as before the direction is switched, and a separate switch (button) may be provided for the function switching.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보인 예시도로서, 키 패드를 제외한 소정의 네비게이션 키(401) 및 기능 키(402)를 구비한다. 상기 기능 키들의 역할은 부 화면에서 표시하는 기능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ub-screen capable of direction adjustment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predetermined navigation key 401 and a function key 402 except for a keypad. The role of the function keys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unction displayed on the sub screen.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 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듀얼 폴더형 단말기의 폴더 외측에 부착된 부 화면을 필요시 주 화면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단말기의 동일한 면에 구비하던 부 화면과 달리 듀얼 폴더형 단말기의 외측에 구비하던 부 화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ub-screen capable of adjus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sub-screen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older of the dual folder type terminal so that the sub-screen is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if necessary. Unlike the sub-screens provided on the same side of the sub-screen, the sub-screen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ual foldable terminal can be utilized to improve the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에만 부 화면의 방향을 조정하여 주 화면의 보조 화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 화면과 동일 작업 또는 각기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sub-screen only when necessary so that i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screen of the main screen, to perform the same or different operations as the main screen. .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두 가지 작업 화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기능을 좀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multi-task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because the two work screens can be viewed at the same time.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주 화면과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상기 부 화면이 주 화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될 수 있게, 상기 부 화면의 일 측에 구비된 회전축과;A rotating shaf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creen so that the sub-screen can be adjust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상기 회전축을 통한 부 화면의 회전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해주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 화면의 회전 여부를 검출하는 부 화면 회전방향 검출부와;A sub-screen rotation direction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ub-screen is rotated by using a switch that outputs an on / off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ub-screen through the rotation axis; 상기 부 화면 회전방향 검출부의 검출에 근거하여 상기 주 화면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다른 기능에 대한 화면을 상기 부 화면에 표시해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screen for a function different from a function performed in the main screen on the sub screen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sub screen rotation direction detector.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주 화면과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상기 부 화면이 주 화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될 수 있게, 상기 부 화면의 일 측에 구비된 회전축과;A rotating shaf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creen so that the sub-screen can be adjust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creen; 상기 부 화면이 단말기 본체와는 별도의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부 화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키와;At least one function key provided on the sub screen such that the sub screen performs a function independent of the terminal body; 상기 기능 키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주 화면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다른 기능에 대한 화면을 상기 부 화면에 표시해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 screen for a function different from a function performed on the main screen on the sub screen based on the function key input.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키들은 부 화면에서 표시하는 화면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8, wherein the function keys can be set to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ub-scree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키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unction key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ub-screen capable of direction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perform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키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unction key MP3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ub-screen capable of direction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for performing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MP3 func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키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unction key 일정관리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ub-screen capable of direction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for performing a function for scheduling.
KR1020050088375A 2005-09-22 2005-09-22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ub display device capable of direction control KR1007474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375A KR100747454B1 (en) 2005-09-22 2005-09-22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ub display device capable of direction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375A KR100747454B1 (en) 2005-09-22 2005-09-22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ub display device capable of direction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822A KR20070033822A (en) 2007-03-27
KR100747454B1 true KR100747454B1 (en) 2007-08-09

Family

ID=4163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375A KR100747454B1 (en) 2005-09-22 2005-09-22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ub display device capable of direction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45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892A (en) * 2001-12-03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method for folder type mobile terminal equipment
KR20040044829A (en)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wo ti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892A (en) * 2001-12-03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method for folder type mobile terminal equipment
KR20040044829A (en)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wo t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822A (en)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642B1 (en) Watch phone and method of conducting call in watch phone
US860633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30064688A1 (en) Slide-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EP1995939A1 (en) Mobile telephone
KR100703486B1 (en) Method for perform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08710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1401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277992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for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KR100747454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ub display device capable of direction control
US20030155216A1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 terminal
US20110310067A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rtup of application thereof
KR1006940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in the hand helded phone of folder type
JP44805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7600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0365852B1 (en) Cellular phone having dual lcd
KR20050024021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wide screen of mobile phone
JP2005110326A (en) Foldable information processor
JP4243173B2 (en) Method for using cellular phone an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program for using the same
KR100655583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zoom level by shifting a sliding part of that terminal
KR200375504Y1 (en) Mobil phone with a outer power button
KR20080092229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screen in wireless terminal
KR20040092092A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KR20030056054A (en) Method for providing a landscape view in mobile phone
KR20070007538A (en) Key inputting device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phone
KR20050019645A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e mode in wireless terminal typing sl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